KR200303142Y1 - 자동차용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142Y1
KR200303142Y1 KR20-2002-0034280U KR20020034280U KR200303142Y1 KR 200303142 Y1 KR200303142 Y1 KR 200303142Y1 KR 20020034280 U KR20020034280 U KR 20020034280U KR 200303142 Y1 KR200303142 Y1 KR 2003031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ester
braking
roller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2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애
Original Assignee
이순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애 filed Critical 이순애
Priority to KR20-2002-00342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1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1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1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21/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or devic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G01P21/02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or devic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f speedo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동 시험기와 속도계 시험기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로울러를 좌우 한 조로 형성하는 제동 시험기(50) 및 속도계 시험기(60)를 검사장치(1)의 동일 프레임(10)상에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각 한 쌍의 로울러(51,52)(61,62) 사이에는 유공압 리프트(30)를 형성하고, 외측 제동로울러(51)의 전방과 외측 가속로울러(62)의 후방 및 내측 제동로울러(52)와 가속로울러(61) 사이에는 난간프레임(11)을 형성하며, 상기 제동 시험기(50)측에 형성된 유공압 리프트(30)를 중량계(70)와 유기적으로 결합한 검사장치(1)를 "T"형의 차량 검사용 피트(80)의 종단에 안착함으로써, 검사장치(1)를 구성하는 원자재를 경감할 수 있고, 제조, 운송, 설치가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간편하며, 설치공간을 대폭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수리 및 청소가 용이한 효과가 있는 자동차용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검사장치 {A tester for a car}
본 고안은 제동 시험기와 속도계 시험기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동 시험기 및 속도계 시험기와 중량계를 동일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하여 "T"형 피트(pit)의 종단부에 안착함으로써, 원자재를 경감할 수 있고, 제조, 운송, 설치가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간편하며, 설치공간을 대폭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수리 및 청소가 용이한 자동차용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자동차는 정기적으로 차량검사를 실시하는 바, 상기 차량 검사사항은 자동차의 주행시 측면 미끌림량을 측정하는 사이드슬립 검사와, 자동차 각 차륜의 제동력을 검출하는 제동력 검사, 자동차의 도로 주행시 주행속도와 자동차 내부에 형성된 속도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속도계 검사 및 하체검사와 전조등 검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차량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종래의 자동차 검사소에는 도 1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사이드슬립 측정기(190), 제동 시험기(150), 속도계 시험기(160), 차량 정비용 피트(180; pit), 전조등 시험기(미도시)를 구비하며, 최초 차량이 사이드슬립 측정기(190)로 진입하여 제동 시험기(150), 속도계 시험기(160)를 거쳐 피트(180)에서 차량의 하부 안전성을 검사한 후 전조등을 검사한다.
한편, 상기 종래의 자동차 검사소에 구비된 각종 시험기기 중에서 제동 시험기(150)와 속도계 시험기(160)의 구성을 살펴보되 우선 제동 시험기(150)의 구성을 하기에서 살펴보면, 종래 제동 시험기(150)의 구성은 외주면에 요철(153)이 형성되고 동력전달수단(154)에 의하여 일체로 회전하는 한 쌍의 제동로울러(151)(152)가 좌우 한 조로 형성되며, 상기 각 조의 일측 제동로울러(151)에는 공지된 제동력 검출장치(155)가 각각 부착됨과 아울러 한 쌍의 제동로울러(151)(152) 사이에는 상하 왕복운동을 하는 공압 리프트(1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종래 속도계 시험기(160)의 구성은 한 쌍의 가속로울러(161)(162)가 좌우 한 조로 형성되며, 일측의 좌우 대응하는 복수개의 가속로울러(162)는 연결축(164)으로써 일체로 연결됨과 아울러 연결된 가속로울러(162)의 일측에는 속도계(165)가 부착되는 한편 상기 한 쌍의 가속로울러(161)(162) 사이에는 상하 왕복운동을 하는 공압 리프트(130)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제동 시험기(150)와 속도계 시험기(160)의 경우 그 구성에 있어서 일부 동일한 부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개별로 제조하였으며 그 설치 또한 자동차 검사소의 바닥에 각각 안착홈(185)을 형성하여 개별로 설치하였는 바, 각 시험기의 동일한 부분이 중복 구성되어 원자재가 낭비될 뿐만 아니라, 그 제조 및 운송에 있어서도 중복작업을 유발하여 노동력 손실을 야기하였으며, 특히자동차 검사소에 설치시 제동 시험기(150)와 속도계 시험기(160)의 수평을 각각 조절하여 설치함과 아울러 양 시험기 상호간의 높이 또한 조절하여야 하며 충분한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는 설치상의 문제점이 상당히 있었다.
그리고, 상기 제동 시험기(150)와 속도계 시험기(160)가 자동차 검사소의 바닥면에 형성된 각각의 안착홈(185)에 설치됨으로써, 고장시 상기 각 시험기의 저면이 노출되지 않아 수리가 곤란함에 따라 시험기 전체를 들어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음과 아울러 시험기 내부로 쓰레기 등의 이물이 유입될 경우 그 청소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수많은 검사대상 차량이 빈번히 출입을 함에따라 상대적으로 약한 바닥부분인 제동 시험기(150)와 속도계 시험기(160) 사이의 콘크리트 바닥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원자재를 경감할 수 있고, 제조, 운송, 설치가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간편하며, 설치공간을 대폭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수리 및 청소가 용이한 자동차용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한 쌍의 로울러가 한 조를 구성하는 제동 시험기 및 속도계 시험기를 동일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로울러 사이에는 유공압 리프트를 설치하되 제동 시험기측에 형성된 유공압 리프트에는 중량계를 유기적으로 결합한 자동차용 검사장치를 "T"형 피트의 종단부에 설치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검사장치의 프레임 및 유공압 리프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검사장치의 중량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검사장치의 베이스 및 난간프레임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검사장치의 제동 시험기와 속도계 시험기의 구성 및 그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검사장치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10은 종래 제동 시험기와 속도계 시험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5 : 중심프레임 20 : 가동프레임
25 : 보조프레임 30 : 유공압 리프트 40 : 베이스
50 :제동 시험기 51, 52 : 제동로울러 55 : 제동력 검출장치
60 : 속도계 시험기 61, 62 : 가속로울러 65 : 속도계
70 : 중량계 80 : 피트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검사장치의 구성을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검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한 쌍의 로울러를 좌우 한 조로 형성하는 제동 시험기(50) 및 속도계 시험기(60)를 검사장치(1)의 동일 프레임상에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각 한 쌍의 로울러(51,52)(61,62) 사이에는 유공압 리프트(30)를 형성하고, 외측 제동로울러(51)의 전방과 외측 가속로울러(62)의 후방 및 내측 제동로울러(52)와 가속로울러(61) 사이에는 난간프레임(11)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검사장치(1)의 제동 시험기(50)와 속도계 시험기(60)는 공지된 제동력 검출장치(미도시)와 속도계(미도시)를 구비하는 한편 검사장치(1)는 "T"형 피트(80)의 종단부에 안착되며,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90은 공지된 사이드슬립 측정기(90)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검사장치의 프레임 및 유공압 리프트의 구성을 살펴보면, 직사각형 형태의 프레임(10)에는 상기 프레임(10)을 횡방향으로 구분하는 중심프레임(15)을 일체로 형성하여 프레임(10)을 전방과 후방으로 구획하되, 상기 프레임(10)의 전방과 후방의 구획부(10a)(10b)에는 유공압 리프트(30)를 설치한다(도 2).
한편,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구획부(10a)에 설치되는 유공압 리프트(30)는 보조프레임(25)상에 설치되는 바 그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프레임(10) 및 중심프레임(15)의 전방 구획부(10a) 내측면 양측단에는 받침돌기(12)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돌기(12)에 안착되는 걸림돌기(23)가 형성된 한 쌍의 대칭되는 "ㄷ"형 가동프레임(20)을 형성하되 상기 각 가동프레임(20)의 내측에는 다른 받침돌기(22)를 형성하며, 상기 받침돌기(22)에 안착되는 다른 걸림돌기(28)를 형성한 보조프레임(25)에 복수개의 유공압 리프트(30)를 설치한다(도 3 및 도 4).
그리고, 상기 가동프레임(20)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양측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1)을 보조프레임(25)의 상부를 지나 일체로 부착한다(도 4).
도 5를 참조하여 중량계(70)의 구성을 하기에서 살펴보면, 프레임(10)의 전단 중간부분과 중심프레임(15)의 중간부분에 걸쳐 브라켓(72)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72)의 일측에는 가동편(75)을 힌지결합하되 상기 가동편(75)의 종단측 브라켓(72)의 상부에는 가압력을 측정하는 압전소자(78)를 형성하며, 상기 가동편(75)의 중간부에는 연결프레임(21)과 부착되는 연결편(76)을 힌지결합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중량계(70)에 의하면, 보조프레임(25)에 설치된 유공압 리프트(30)상에 차량의 하중이 부가되면 상기 하중은 유공압 리프트(30)가 설치된 보조프레임(25)의 걸림돌기(28) 및 가동프레임(20)의 받침돌기(22)를 통하여 그 하중이 가동프레임(20)에 전달되고, 상기 가동프레임(20)은 양측단이 프레임(10) 및 중심프레임(15)에 형성된 다른 받침돌기(12)에 걸림돌기(23)로써 위치고정됨에 따라 양측 가동프레임(20)이 각각의 걸림돌기(23)를 중심으로 하여 하측방으로 회전력이 발생하며, 상기 회전력은 가동프레임(20)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연결프레임(21)과 일체로 연결된 연결편(76)에 의하여 중량계(70)의 가동편(75)으로 전달되어 상기 가동편(75)이 압전소자(78)를 가압함으로써 압전소자(78)는 그 가압력을 검출하여 차량의 중량을 산출한다(도 3 내지 도 5).
도 6을 참고하여 제동 시험기 및 속도계 시험기의 로울러가 설치되는 베이스(40)와 난간프레임(11)의 구성을 살펴보면, 프레임(10)의 상측단에는 한 쌍의 대응하는 베이스(40)가 좌우 양측으로 한 조를 이루도록 상기 프레임(10)의 종방향으로 설치하는 한편, 프레임(10)의 전,후단 및 중심프레임(15)에는 그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난간프레임(11)을 상부에 형성한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공지된 제동 시험기 및 속도계 시험기의 구성을 살펴보되 우선 제동 시험기(50)의 구성을 살펴보면, 외주면에 요철(53)을 형성하고 동력전달수단으로써 체인(54a) 및 스프라켓(54b)에 의하여 일체로 회전하는 한 쌍의 제동로울러(51)(52)를 좌우 한 조로 형성하며, 상기 각 조의 일측 제동로울러(51)에는 공지된 제동력 검출장치(55)를 각각 부착한다(도 7).
그리고, 속도계 시험기(60)의 구성은 한 쌍의 가속로울러(61)(62)를 좌우 한 조로 형성하며, 일측의 좌우 대응하는 복수개의 가속로울러(62)는 연결축(64)으로써 일체로 연결함과 아울러 연결된 가속로울러(62)의 일측에는 속도계(65)를 부착한다(도 7).
한편, 상기 제동 시험기(50) 및 속도계 시험기(60)는 상기 프레임(10)의 베이스(40)상에 설치하는 바, 유공압 리프트(30)가 제동 시험기(50) 및 속도계 시험기(60)를 구성하는 각 로울러(51,52)(61,6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한다(도 8).
도 9를 참고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검사장치(1)의 설치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각 구성요소가 형성된 검사장치(1)의 프레임(10)은 차량 검사용 피트(80)의 내주면에 안착되는 바, 상기 피트(80)는 "T"형으로 형성하되 그 종단의 내부에는 단턱(85)을 형성하여 상기 검사장치(1)의 프레임(10)을 안착함으로써, 검사장치(1)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수거가 용이함과 아울러 특히 검사장치(1)의 고장시 검사장치(1)의 하부가 노출됨으로서 그 수리가 용이하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35는 각 유공압 리프트의 상측단에 일체로 부착한 플레이트(35)이고, 는 90은 공지된 사이트슬립 측정기(90)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차용 검사장치의 작용효과를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최초 공지된 사이드슬립 측정기(90)로 진입한 차량은 사이드슬립 측정 후 검사장치(1)의 난간프레임(11)을 지나 제동 시험기(50)의 유공압 리프트(30)상에 정차하는 바, 이때 차량의 전륜으로 부터 상기 유압 리프트(30)상에 부가되는 하중은 중량계(70)로 전달되어 차량의 중량을 측정하며, 후술하는 각 단계를 거쳐 차량의 후륜에 부가되는 중량을 제차 측정함으로써 차량 전체의 하중을 검출한다.
한편, 상기 전륜에 부가되는 중량을 측정한 후 상기 유공압 리프트(30)가 하강하여 상기 차량의 차륜이 제동 시험기(50)의 제동로울러(51)(52)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동력을 측정하며, 상기 제동력 측정이 완료되면 유공압 리프트(30)가 상승하고, 이어서 차량이 전진하여 난간프레임(11)을 지나 속도계 시험기(60)측의 유공압 리프트(30) 상에 위치하면 상기 제동 시험기(50)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차량의 속도계 이상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검사장치(1)에 의한 검사과정이 종료되면 차량은 피트(80)로 진입하여 차량 하체의 안정성여부를 검사한 후 전조등 검사를 함으로써 차량검사를 종료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검사장치에 의하면, 한 쌍의 로울러가 한 조를 구성하는 제동 시험기 및 속도계 시험기를 동일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로울러 사이에는 유공압 리프트를 설치하되 제동 시험기에 형성된 유공압 리프트에는 중량계를 유기적으로 결합한 자동차용 검사장치를 "T"형 피트의 종단부에 설치함으로써, 검사장치를 구성하는 원자재를 경감할 수 있고, 제조, 운송, 설치가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간편하며, 설치공간을 대폭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수리 및 청소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통상의 제동력 검출장치(55)와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하는 한 쌍의 제동로울러(51)(52)를 좌우 한 조로 구성한 제동 시험기(50)와, 한 쌍의 가속로울러(61)(62)를 좌우 한 조로 구성하되 일측에 속도계(65)를 부착한 속도계 시험기(60)에 있어서;
    중심프레임(15) 의하여 전,후방을 구획하되 전방 구획부(10a)의 내측면 양측단에는 받침돌기(12)를 형성하고 후방 구획부(10b)에는 복수의 유공압 리프트(30)를 형성한 프레임(10)과; 상기 받침돌기(12)에 안착되는 걸림돌기(23)를 외측면에 형성하고 내측면에는 다른 받침돌기(22)를 형성한 한 쌍의 대칭되는 "ㄷ"형의 가동프레임(20)과; 상기 가동프레임(20)의 받침돌기(22)에 안착되는 다른 걸림돌기(28)를 외측면에 형성하되 복수의 유공압 리프트(30)를 설치한 보조프레임(25)과; 상기 보조프레임(25)의 상측을 지나 각 가동프레임(20)의 양측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1)과; 프레임(10) 및 중심프레임(15)에 걸쳐 브라켓(72)을 형성하되 그 일측에는 가동편(75)을 힌지결합하고, 상기 가동편(75)의 종단측에는 압전소자(78)를 형성함과 아울러 중간부에는 연결프레임(21)과 부착되는 연결편(76)을 힌지결합한 중량계(70)와; 프레임(10)의 전,후단 및 중심프레임(15)양측 상부에 형성한 난간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에 형성하여 상기 제동 시험기(50) 및 속도계 시험기(60)의 각 로울러(51)(52)(61)(62)가 안착되는 베이스(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검사장치의 프레임(10) 하단부가 "T"형 피트(80)의 종단 내부에 형성된 단턱(85)에 안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검사장치.
KR20-2002-0034280U 2002-11-16 2002-11-16 자동차용 검사장치 KR2003031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280U KR200303142Y1 (ko) 2002-11-16 2002-11-16 자동차용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280U KR200303142Y1 (ko) 2002-11-16 2002-11-16 자동차용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142Y1 true KR200303142Y1 (ko) 2003-02-11

Family

ID=49400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280U KR200303142Y1 (ko) 2002-11-16 2002-11-16 자동차용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14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886B1 (ko) * 2007-06-15 2008-08-19 진성인텍 주식회사 롤러절삭기 및 이를 이용하여 롤러에 홈을 형성하는 방법.
KR101777024B1 (ko) * 2015-12-15 2017-09-19 차인환 편심축하중 측정장치를 가진 자동차검사용 제동시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886B1 (ko) * 2007-06-15 2008-08-19 진성인텍 주식회사 롤러절삭기 및 이를 이용하여 롤러에 홈을 형성하는 방법.
KR101777024B1 (ko) * 2015-12-15 2017-09-19 차인환 편심축하중 측정장치를 가진 자동차검사용 제동시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02014B (zh) 基于台架的汽车轴荷自动调整的制动力检测装置及方法
US4073188A (en) Wind tunnel
CN108426671B (zh) 一种制动检验平台用检定装置
CN106918459B (zh) 货车超载判定方法
CN207540795U (zh) 一种适用不同轴距的四驱底盘测功检测设备
AU720341B2 (en) Vehicle testing device
KR200303142Y1 (ko) 자동차용 검사장치
KR101777024B1 (ko) 편심축하중 측정장치를 가진 자동차검사용 제동시험기
CN208125388U (zh) 汽车底盘寿命试验装置
CN212059370U (zh) 一种平板式制动检验平台检定装置
CN211504520U (zh) 用于平板式制动检验平台的检定装置
CN217132579U (zh) 一种新型汽车abs性能检测台
JP3169662B2 (ja) 車両用プレート式複合試験機
CN108680362B (zh) 一种平板式制动检验平台的检定方法
ITMO20100330A1 (it) Attrezzatura per banchi di prova dell'impianto frenante di veicoli
CN101476957B (zh) 电机驱动的机动车平板式制动力测量装置
CN108414241A (zh) 一种平板式制动检验平台检定装置及检定方法
CN208621333U (zh) 一种汽车加载举升制动检验台
JPH09218137A (ja) サイドスリップテスタを組み込んだ複合型車検装置
CN113155475A (zh) 一种用于双转向轴汽车车轴侧向力调整检验台
CN113375946B (zh) 一种车辆的车身动态扭转和弯曲测试方法及装置
JP2002340743A (ja) 自動車用計測機器及び/又はそれらを集合した複合型車検装置
KR20090002714U (ko) 타이어 비드 언시팅 시험 장치
CN2386432Y (zh) 板式机动车制动、轮重检测仪
SU1193038A1 (ru) Стенд дл испытани тормозов автомобил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