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898Y1 - 콘센트 구조체 - Google Patents

콘센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898Y1
KR200302898Y1 KR20-2002-0028680U KR20020028680U KR200302898Y1 KR 200302898 Y1 KR200302898 Y1 KR 200302898Y1 KR 20020028680 U KR20020028680 U KR 20020028680U KR 200302898 Y1 KR200302898 Y1 KR 2003028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nsertion hole
plug insertion
present
outle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욱
Original Assignee
이주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욱 filed Critical 이주욱
Priority to KR20-2002-0028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8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8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8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 구조체는, 벽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그 상면, 하면 혹은 측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하우징; 및 상기 플러그 삽입공에 상응하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외부 전원케이블과 접속되는 단자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이 광고가 게재되는 전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하우징의 상하면이나 측면부에 플러그 삽입공이 형성되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그 전면부를 통해 광고나 장식효과를 얻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콘센트 구조체{Electric outlet structure}
본 고안은 콘센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전사고 예방과 더불어 편리하게 플러그로의 전원공급 상태를 제어할 수 있고, 그 유효면적을 통해 광고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콘센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는 각종 전기제품에 연장된 플러그를 꽂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삽입구(1)가 그 전면부에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콘센트는 플러그 삽입구(1)가 그 전면에 형성되므로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전성 물질이나 수분이 플러그 삽입구(1)로 유입되기 쉬우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는 취약점이 있다.
또한, 일단 콘센트에 삽입된 플러그를 뽑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이 분리과정에서 감전사고도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한편, 콘센트에는 보통 다중의 플러그 삽입구(1)가 형성되어 TV나 냉장고, 오디오 등 여러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꽂아서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콘센트의 각 플러그 삽입구(1)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이 없어서 엉뚱한 플러그를 뽑는 등 불편함이 있는 것이 사실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콘센트의 측면으로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때 얻어지는 전면의 유효면적을 광고영역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콘센트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중의 플러그 삽입구에 각각 대응되는 스위칭수단을 구성하여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콘센트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플러그 삽입구를 구분하도록 식별수단이 구성되는 콘센트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콘센트의 측면으로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때 얻어지는 전면의 유효면적을 실내 인테리어를 위한 영역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콘센트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콘센트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구조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3은 스위칭부에 연동하여 발광소자의 점등과 단자유니트로의 전원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회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 구조체의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5...플러그 삽입공 10...하우징 11...단자유니트
12...전면부 13...식별부 14...스위칭부
15...지지부 19...발광소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 구조체는, 벽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그 상면, 하면 혹은 측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하우징; 및 상기 플러그 삽입공에 상응하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외부 전원케이블과 접속되는 단자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이 광고가 게재되는 전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은 상기 단자유니트와 전원케이블 사이에 개재되어 선택적으로 단자유니트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으로서, 그 버튼부분이 상기 하우징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버튼은 반투명하게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발광소자가 설치된다.
또한, 본 고안에는 전기제품을 식별하는 문구 혹은 문양이 플러그 삽입공과 근접하여 하우징 상에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구조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 삽입공(5) 및 전면부(12)가 형성된 몸체 하우징(10)과, 상기 몸체 하우징(10)에 수용되는 단자유니트(11)를 포함한다.
플러그 삽입공(5)은 표준화되어 있는 통상의 전기 플러그를 꽂기 위한 부분으로서, 하우징(10)의 상면이나 하면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양측면부에 복수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플러그 삽입공(5) 주변에는 안착홈(6)을 형성하여 삽입된 플러그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은 다면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상면부, 하면부 및 측면부를 가지는 구조의 범위내에서 그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10)의 배면에는 통공이 형성된 연장부(10a)가 하우징(10)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벽면에 체결되는, 예컨대 스크류에 해당하는 체결부재(미도시)가 부가적으로 포함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전면부는,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우징(10)을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구성이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우징(10) 내부의 상기 플러그 삽입공(5)에 상응하는 지점에는 단자유니트(11)가 수용된다. 이 단자유니트(11)는 바람직하게 소정 판상의 지지부(15) 상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그 일측이 옥내배선 전원케이블(미도시)에 연결되고 그 타측은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플러그의 단자와 접촉하도록 소정의 삽입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5)는 단자유니트(11)를 지지하는 동시에, 인접하는 단자유니트(11) 사이의 파티션(partition)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케이블과 단자유니트(11) 사이에는 스위칭부(14)가 전기적으로 개재되어 선택적으로 단자유니트(11)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스위칭부(14)는 그 버튼부분이 하우징(10) 밖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플러그 삽입공(5) 및 단자유니트(11)가 복수개 구성될 경우, 상기 스위칭부(14)는 각각의 단자유니트(11)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단일하게 구성하여 전체 단자유니트(11)의 전원공급 상태를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스위칭부(14)의 버튼부분은 수용공간이 형성된 반투명체로 구성이 되고, 그 수용공간에는 상기 스위칭부(14)의 'ON' 상태에 연동하여 점등되는 발광소자(19)가 부가적으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스위칭부(14)의 개폐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발광소자(19)로는 전력소모가 적고 다양한 칼라의 발광이가능한 LED(Light Emitting Diode)가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여기서, 발광소자(19)의 점등이 스위칭부(14)에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계적 구성은 공지된 기술이 채용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는 상기와 같이 스위칭부(14)에 연동하여 발광소자(19)의 점등과 단자유니트(11)로의 전원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로구성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스위칭부(14)가 'ON'상태가 되면 단자유니트(11)에 교류전압 220V가 인가됨과 동시에 이 단자유니트(11)와 병렬연결된 트랜스(16)에 교류전압이 인가되어 그 2차코일 양단에는 소정의 저전압, 예컨대 12V의 저전압이 얻어진다. 계속해서 이 교류 저전압은 정류회로부(17)를 거치면서 직류전압으로 변환되고, 저항(18)을 거쳐서 발광소자(19)의 안정적 동작을 위한 전압으로 강하된 후 발광소자(19)의 양단에 인가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단자유니트(11)가 복수개가 구비될 경우에는 상기의 회로가 각각의 단자유니트(11)에 대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플러그 삽입공(5)에 대응하여 하우징(10) 외측면에는 전기제품명에 대한 문구나 문양이, 예컨대 인쇄나 스티커 부착방식 등으로 형성되는 식별부(13)가 구성된다. 이러한 문구나 문양은, 각각의 플러그 삽입공(5)과 인접한 지점의 하우징(10) 측면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면부(12)의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비디오', '휴대폰' 등의 문구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전기제품을 나타내는 문구나 문양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플러그 삽입공(5)이 하우징(10)의 상하면이나 측면부에 형성됨으로써 유효면적이 하우징 전면부(12)에 생기게 된다. 이 전면부(12)는 다양한 형태의 광고 문구나 광고 이미지가 게재되는 부분으로서, 예컨대 회사의 로고가 인쇄나 스티커 부착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 전면부(12)에는 실내 인테리어를 위한 이미지가 게재된다. 상기 전면부(12)에는 예컨대, 각종 캐릭터, 무늬, 풍경, 정물 등에 대한 그림이나 심벌 등이 형성되어 실내 장식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구성요소들은 광고가 게재되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구조체의 사용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 구조체가 벽면(W)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본 고안의 하우징 전면부(12)에는 광고가 게재되므로 사용자는 이를 통해 광고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양측면부에는 바람직하게 다중의 플러그 삽입공(5)이 형성되고, 이 플러그 삽입공(5)에 상응하여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단자유니트(11)가 설치된다. 아울러, 각각의 플러그 삽입공(5)에 대응하며 하우징(10)의 외측면에는 전기제품명을 식별하도록 문구나 문양이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전기제품의 플러그(P)를 해당 플러그 삽입공(5)에 꽂으면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외측면에는 바람직하게 각각의 플러그 삽입공(5)에 대응하며 스위칭부(14)가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이 스위칭부(14)를 조작하여 해당 플러그(P)로의 전원공급 및 차단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스위칭부(14)의 버튼 내부에는 상기 스위칭부(14)의 개폐상태에 연동하는 발광소자(19)가 설치되어 점등 혹은 소등됨으로써 해당 플러그 삽입공(5)에 대응하는 단자유니트(11)에 대한 전원공급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 구조체는 그 상면이나 하면, 측면부 등에 플러그 삽입공이 형성되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그 전면부의 유효면적을 광고영역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러그 삽입공에 대응하며 스위칭부가 형성되므로 각각의 플러그에 대한 전원공급 및 차단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면부의 유효면적에 각종 그림이나 심벌 등을 형성하여 실내 장식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벽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그 상면, 하면 혹은 측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 삽입공(5)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하우징(10); 및
    상기 플러그 삽입공(5)에 상응하며 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되고 외부 전원케이블과 접속되는 단자유니트(11);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이, 광고가 게재되는 전면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구조체.
  2. 벽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그 상면, 하면 혹은 측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 삽입공(5)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하우징(10); 및
    상기 플러그 삽입공(5)에 상응하며 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되고 외부 전원케이블과 접속되는 단자유니트(11);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이, 이미지가 게재되는 전면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구조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유니트(11)와 전원케이블 사이에 개재되어 선택적으로 단자유니트(11)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으로서, 그 버튼부분이 상기 하우징(10)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스위칭부(14);를 더 포함하는 콘센트 구조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14)의 버튼부분이 반투명하게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발광소자(19)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구조체.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플러그 삽입공(5)에 대응하여 전기제품명에 대한 문구 혹은 문양이 하우징(10)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구조체.
KR20-2002-0028680U 2002-09-25 2002-09-25 콘센트 구조체 KR2003028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680U KR200302898Y1 (ko) 2002-09-25 2002-09-25 콘센트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680U KR200302898Y1 (ko) 2002-09-25 2002-09-25 콘센트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898Y1 true KR200302898Y1 (ko) 2003-02-05

Family

ID=49330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680U KR200302898Y1 (ko) 2002-09-25 2002-09-25 콘센트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8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1513B2 (en) LED night light or cover light has multiple functions
US7036948B1 (en) Illuminated electrical outlet and light switch
US11892153B2 (en) Illuminable wall socket plates
US7402060B1 (en) Power supply devices with illuminated receptacles
US20080089075A1 (en) Illuminating ornament with multiple power supply mode switch
US7021968B1 (en) End socket applicable to christmas decoration low-voltage bulbs
US6341875B1 (en) Decorative lighting assembly
US7213932B1 (en) Electrical device with lamp module
US6962505B1 (en) Electrical switch with placard and remote use indicator
US6836402B1 (en) Transparent window structure for multiple socket
US6642452B2 (en) Lighted switch or outlet plate with labeling designation
KR101234349B1 (ko)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US6791041B1 (en) IA switch
KR200302898Y1 (ko) 콘센트 구조체
TWM400154U (en) Wall type emergency lighting and charging module
TWI600039B (zh) Press the switch structure
KR200235471Y1 (ko) 발광램프를 구비한 안전콘센트
GB2266811A (en) Switched socket outlet.
KR200324418Y1 (ko) 전원코드부 스위치
US20240219020A1 (en) Illuminable Wall Socket Plates
JP4104563B2 (ja) ワイヤレスマイク用の充電器
KR200354307Y1 (ko) 멀티탭
KR200404814Y1 (ko) 안정기내장형 램프
JP3275262B2 (ja) 表示装置
KR200353683Y1 (ko) 양선 연결 온·오프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