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867Y1 - 열손실 방지용 축열조 - Google Patents

열손실 방지용 축열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867Y1
KR200302867Y1 KR20-2002-0033958U KR20020033958U KR200302867Y1 KR 200302867 Y1 KR200302867 Y1 KR 200302867Y1 KR 20020033958 U KR20020033958 U KR 20020033958U KR 200302867 Y1 KR200302867 Y1 KR 2003028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heat storage
heat
heat loss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39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헌수
조창주
이영우
임영택
강세구
최재진
박성규
Original Assignee
최재진
이영우
임영택
강세구
김헌수
조창주
박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진, 이영우, 임영택, 강세구, 김헌수, 조창주, 박성규 filed Critical 최재진
Priority to KR20-2002-00339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8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8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8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34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iquid heat storag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1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the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and the heat-exchanging means being enclosed in one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20/0065Details, e.g. particular heat storage tanks, auxiliary members within ta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압축열조나 저압축열조에서 발생하는 열손실을 방지하면서 발생되는 압력을 저감시키는 열손실 방지용 축열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내부에 액체를 충진하는 축열조와, 상기 축열조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축열조에 충진된 액체를 가열하는 히터부와, 상기 히터부에 의하여 가열된 액체로 인하여 상승되는 압력을 낮추기 위하여 상단이 하측으로 40도~50도 경사진 흡입구를 형성하여 상기 축열조의 천정에 고정되고 하단은 축열조 하측으로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오버플로우파이프로 구성하며, 또한 상기 오버플로우파이프는 고정력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축열조의 내벽에 밀착고정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축열조의 내부로 압력조절이 이루어지는 오버플로우파이프을 구비함으로써 손실되는 열을 다시 축열조로 회수가 가능하도록 열손실을 최대한 억재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손실 방지용 축열조{HEAT LOSS PREVENTION TANK}
본 고안은 열손실 방지용 축열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압축열조나 저압축열조에서 발생하는 열손실을 방지하면서 발생되는 압력을 저감시키는 열손실 방지용 축열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열조는 내부에 충진된 순환수를 가열하여 열교환기를 통하여 순환되면서 열을 전달할 수 있는 것으로, 도 1은 종래의 저압 축열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액체를 채운 저압 축열조(1)의 내부에는 액체(2)를 가열하는 히터부(3)를 구비하고, 상기 히터부(3)를 통하여 축열조(1)내부에 충진된 액체(2)가 기화되면서 발생하는 기체로 인하여 발생되는 압력을 배출하도록 상기 기체와 오버플로우되는 액체가 배출되는 에어밴트관(4)를 상측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에어밴트(4)에서 발생되는 기체가 기온이 하강으로 인하여 액화되면서 이를 다시 축열조(1)로 이송이 가능하도록 에어밴트관(4)의 외부 단부에는 액화되는 기체가 오버플로우되는 보조탱크(5)를 형성하고, 이 보조탱크(5)에서 축열조(1)로 액체(2)가 유입되어 액체를 순환시키도록 순환파이프(8)가 상기 보조탱크와 축열조(1)에 연결형성하였고, 형성된 축열조(1)의 열을 열교환기(7)를 통하여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저압 축열조(1)는 액체(2)가 기화되어 상기 상측으로 형성된 에어밴트관(4)을 통하여 폐열(6)이 배출됨으로써 열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공기 및 물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여 밀도가 높아지므로 상부의 온도가 하부보다 높아 상부로 배출되는 기체나 오버플로우되는 액체를 통하여 열손실이 발생됨은 물론 보조탱크(5)와 순환파이프(8)를 통하여도 열에너지의 손실이 막대하였다.
상기와 같은 축열조(1)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에어밴트관(4)이나 보조탱크(5) 및 순환파이프(8)를 형성하지 않으면 액체에 열이 가해지면 액체가 기체로변화면서 고압으로 되어 축열조(1)가 폭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열손실로 인하여 국가적으로는 에너지 각 분야에서 10%만 절감이 이루어져도 2조 6000억원 가량의 손실을 막을수 있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축열조 내부에 충진된 액체가 가열되면서 내부에 발생하는 압력을 저하시키며 압력저하될때에 배출되는 축열조의 열손실을 억제하도록 오버플로우파이프를 축열조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열손실을 극소화 할수 있는 열손실방지용 축열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액체를 충진하는 축열조와, 상기 축열조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축열조에 충진된 액체를 가열하는 히터부와, 상기 히터부에 의하여 가열된 액체로 인하여 상승되는 압력을 낮추기 위하여 상단이 하측으로 40도~50도 경사진 흡입구를 형성하여 상기 축열조의 천정에 고정되고 하단은 축열조 하측으로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오버플로우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손실 방지용 축열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오버플로우파이프는 고정력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축열조의 내벽에 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손실 방지용 축열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축열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열손실 방지용 축열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축열조 11 : 히터부
20 : 오버플로우파이프 21 : 흡입구
22 : 배출구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돔형으로 형성되는 축열조(10)와 이 축열조(10)의 하단에는 액체(2)를 가열하는 히터부(11)를 구비하고, 이 축열조(10)의 천정 중앙으로는 흡입구(21)와 상기 축열조(10)의 내벽에 밀착되어 고정되며 축열조(10)의 하단 일측으로 배출구(22)를 형성한 오버플로우파이프(20)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축열조(10)의 천정 중앙에 형성되는 흡입구(21)는 하측으로 하향경사지도록 형성하며, 상기 경사각은 40도~50도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버플로우파이프(20)는 합성수지등의 비열전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열손실을 최소화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축열조(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부(11)에서 발열되면 내부의 액체(2)는 가열이 이루어지며, 또한 승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축열조(10) 내부의 압력은 상승하게 되는데, 축열조(10)에 형성된 오버플로우파이프(20)의 하향 경사진 흡입구(21)로 압력이 유입되어 배출구(22)로 압력이 빠져나가게 되며, 상기 축열조(10)의 압력이 대기압과 동일하게 되면 압력배출이 중지된다.
또한 축열조(10)의 내부에서 발생한 기체는 축열조(10)와 접하면서 결로현상으로 인한 물방울이 다시 액체로 환원되며 온도가 높은 기체를 축열조(10)의 열은 내부의 액체와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또한 일부 오버플로우파이프(20)으로 배출되는 기체는 오버플로우파이프(20)가 축열조(10)의 내부로 형성되어 있어 축열조(10) 내부에 충진된 액체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형성하므로써 배출되기전에 충분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압력만 배출이 가능하도록 오버플로우파이프(20)를 축열조(10)의 내부에 형성하여 열손실은 최대한으로 억제가 가능하여 열손실을 방지하는 축열조(10)를 구비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축열조의 내부로 압력조절이 이루어지는 오버플로우파이프을 구비함으로써 손실되는 열을 다시 축열조로 회수가 가능하도록 열손실을 최대한 억재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내부에 액체를 충진하는 축열조와,
    상기 축열조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축열조에 충진된 액체를 가열하는 히터부와,
    상기 히터부에 의하여 가열된 액체로 인하여 상승되는 압력을 낮추기 위하여 상단이 하측으로 40도~50도 경사진 흡입구를 형성하여 상기 축열조의 천정에 고정되고 하단은 축열조 하측으로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오버플로우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손실 방지용 축열조.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파이프는 고정력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축열조의 내벽에 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손실 방지용 축열조.
KR20-2002-0033958U 2002-11-13 2002-11-13 열손실 방지용 축열조 KR2003028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958U KR200302867Y1 (ko) 2002-11-13 2002-11-13 열손실 방지용 축열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958U KR200302867Y1 (ko) 2002-11-13 2002-11-13 열손실 방지용 축열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511A Division KR20040042294A (ko) 2002-11-13 2002-11-13 열손실 방지용 축열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867Y1 true KR200302867Y1 (ko) 2003-02-05

Family

ID=49399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958U KR200302867Y1 (ko) 2002-11-13 2002-11-13 열손실 방지용 축열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8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2096B2 (ja) 加熱される液体のための自立型ポン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熱駆動式の液体閉ループ自動循環システム
JP2008229424A (ja) 減圧蒸留装置
US6820440B2 (en) Absorption-type air conditioner core structure
WO2023169116A1 (zh) 机箱、电子设备和机箱排气方法
JPH08100901A (ja) 気化熱伝達方法及びその装置
CN1153947C (zh) 改善热传递的方法和装置
KR200302867Y1 (ko) 열손실 방지용 축열조
CN211695411U (zh) 一种高效的导热油加热用油箱
KR20040042294A (ko) 열손실 방지용 축열조
JP2001228280A (ja) 原子炉
US4607688A (en) Autogenous solar water heater
CN209923309U (zh) 蒸馏酒冷却装置及蒸馏酒冷却系统
JP2007309555A (ja) 吸収式ヒートポンプ
KR100371666B1 (ko) 증기 온수보일러
CN209672051U (zh) 温水循环式气化器
CN208187188U (zh) 一种曲管多隔板式冷却塔
JP4187867B2 (ja) 熱交換器
EP0076842A1 (en) Jacketed tank hermetic drain-back solar water heating system
KR200426477Y1 (ko) 기화기
CN214840097U (zh) 一种液态天然气汽化器
JPH02290478A (ja) 直接接触型凝縮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熱サイクル装置
CN209802137U (zh) 蒸发冷却式回流装置
JP3007868U (ja) 蒸留水製造機
CN211198668U (zh) 一种废水蒸发器
KR200155620Y1 (ko) 태양열 보일러/온수기시스템의 열매체 팽창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