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622Y1 - 전동차의 출입문 내부광고 및 비상표시의 구조 - Google Patents

전동차의 출입문 내부광고 및 비상표시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622Y1
KR200302622Y1 KR20-2002-0032353U KR20020032353U KR200302622Y1 KR 200302622 Y1 KR200302622 Y1 KR 200302622Y1 KR 20020032353 U KR20020032353 U KR 20020032353U KR 200302622 Y1 KR200302622 Y1 KR 2003026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door
handle
display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3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훈
Original Assignee
유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훈 filed Critical 유영훈
Priority to KR20-2002-00323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6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6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6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5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supported by the wheels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차의 출입문 안쪽에 문을 열 수 있는 손잡이에 형광표시부 및 점자표시부를 형성하여 비상시 전동차의 실내가 소등되더라도 출입문의 손잡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시각장애인의 경우에는 점자로 확인하여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손잡이의 부근에 비상시문여는 방향 등의 비상표시부와 광고면부가 형성된 부착지를 부착하여, 평상시에는 광고물을 게재하여 광고효과를 꾀할 수 있으며, 비상시에는 비상표시부의 표출에 따라서 신속하게 전동차의 출입문을 열고 위험상황으로부터 신속히 탈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동차의 출입문 내부광고 및 비상표시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동차의 출입문 안쪽에 광고 및 비상표지를 형성함에 있어서, 출입문(200)의 손잡이(210)에 형광표시부(220)와 점자표시부(230)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10)의 부근에 광고면부(310)와 비상표시부(320)가 일체로 형성된 부착지(300)가 부착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기 비상표시부(320)는, 광고면부(310)의 아래에 형성되어 방향지시그림(321)과 비상시 안내문자(322)가 형성되고, 이 방향지시그림(321)과 비상시 안내문자(322)가 형광물질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전동차의 출입문 내부광고 및 비상표시의 구조{The structure of train door advertisement and emergency a mark}
본 고안은 수도권의 운송수단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전동차의 실내에서 비상시 쉽게 출입문의 열림방향을 직시할 수 있는 전동차의 출입문 내부광고 및 비상표시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차의 출입문 안쪽에 문을 열 수 있는 손잡이에 형광표시부 및 점자표시부를 형성하여 비상시 전동차의 실내가 소등되더라도 출입문의 손잡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시각장애인의 경우에는 점자로 확인하여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손잡이의 부근에 비상시문여는 방향 등의 비상표시부와 광고면부가 형성된 부착지를 부착하여, 평상시에는 광고물을 게재하여 광고효과를 꾀할 수 있으며, 비상시에는 비상표시부의 표출에 따라서 신속하게 전동차의 출입문을 열고 위험상황으로부터 신속히 탈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동차의 출입문 내부광고 및 비상표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차는 많은 승객들이 운송수단으로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받을 염려가 있어서 비상시 등의 대처상황에 신속히 대처하여야 한다.
전동차의 출입문은 비상시 탈출구로써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데, 출입문의 안쪽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을 뿐, 비상시의 출입문을 여는 방향 등이 구체적으로 표시되어 있지 않아 안전사고시의 무방비상태라 할 수 있다.
상기 안전사고 등의 비상에 대처하기 위하여 출입문 안쪽의 윗부분에 광고를겸한 화살표시 스티커를 붙여 출입문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출입문의 위치를 알 수 있을 뿐이지 출입문의 열림방향 등의 표시가 없어서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방지표시로써의 기능이 미약하다는 지적이 있고, 실제적인 안전표시장치의 기능은 상실된 채, 단순한 광고물을 게재하는 광고효과만 꾀하도록 하고 있다는 평이다.
그리고, 발광표시부와 광고문자표시부가 분리 결합되도록 하고 있으나, 화살표시와 광고문자가 함께 결합되어 표출되도록 되어 있어서 화살표시의 발광표시부의 표출이 발광물질에 의하여 발광된다 하여도 광고문자와 화살표시가 함께 표출되어 화살표시의 직시가 용이하지 않고, 또한 화살표시방향이 문을 여는 방향인지 등의 직시가 불명료한 문제로 오히려 혼동을 초래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전동차가 사고로 소등된 상태에서도 출입문의 위치와 또한 출입문의 손잡이의 위치 파악이 용이하도록 손잡이에 형광표시부와, 또한 시각장애인이 촉수에 의하여 출입문의 손잡이를 직시할 수 있는 점자표시부를 형성하여 위급상황에서도 용이하게 출입문의 손잡이를 찾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상기 출입문의 손잡이 부근에 출입문의 열림방향이 표시된 형광물질의 비상표시부와 함께 광고면부가 형성된 부착지를 부착하여, 광고면부에 의하여 광고효과를 꾀하는 동시에, 비상시에 문의 열림방향이 확실하게 표출되어 신속하게 출입문을 열고 전동차로부터 탈출하여 빠른 시간내에 위급상황을 벗어나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동차의 출입문 내부광고 및 비상표시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전동차의 출입문 안쪽에 광고 및 비상표지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의 손잡이에 형광표시부와 점자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부근에 광고면부와 비상표시부가 일체로 형성된 부착지가 부착되도록 됨을 기본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의 상기 비상표시부는 광고면부의 아래에 형성되어 방향지시그림과 비상시 안내문자가 형성되고, 이 방향지시그림과 비상시 안내문자가 형광물질로 형성되어 전동차내가 소등이 되더라도 출입문을 비상구로 하여 신속히 탈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동차의 출입문 내부광고 및 비상표시의 구조의 설치예의 사시도,
도 2a,b 는 본 고안의 전동차의 출입문 내부광고 및 비상표시의 구조를 전동차출입문에 형성한 예의 정면도,
도 3a,b 은 본 고안의 부착지의 정면도 및 부착지로부터 이형지를 분리하는 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동차 200 : 출입문
210 : 손잡이 220 : 형광표시부
230 : 점자표시부 300 : 부착지
310 : 광고면부 320 : 비상표시부
321 : 방향지시그림 322 : 비상 안내문자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차(100)에는 출입문(200)들이 양쪽으로 4개 설치되어 있으며, 이 출입문은 유압 및 공압 등의 제어수단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비상시에는 수동으로 출입문(200)들을 열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수동의 조작은, 전동차의 의자 안쪽에 수동전환레버를 조작하여 탈출자가 수동으로 출입문을 열 수 있도록 되고, 또한 운전자 및 조수가 출입문의 개폐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게끔 변환하여 탈출자가 수동으로 출입문을 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전동차(100)의 출입문(200)의 안쪽에 광고 및 비상표지를 형성함에 있어서의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입문(200)의 안쪽에 대체로 움푹파여 형성된 손잡이(210)를 형성하며, 이 손잡이(210)의 테두리 부분에 야광물질인 형광표시부(220)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형광표시부(220)는 손잡이(210)의 테두리부분에 띠형상으로 도포되어, 전동차(100)내에 전기가 끊겨서 어두운 상황에서도 손잡이(210)의 위치가 확실하게 표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210)의 바로 주위에는 시각장애인이 쉽게 알 수 있도록 점자표시부(230)가 형성되어, 장애인이 출입문의 손잡이(210)를 쉽게 알아내어 위급상황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도 2에서 상기 손잡이(210)의 부근에 광고면부(310)와 비상표시부(320)가 일체로 형성된 부착지(300)가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부착지(300)는 PE 및 PP 등의 필름지이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제가 뒷면에 형성되어 이형지(330)를 벗겨낸 후, 출입문(200)의 안쪽에 부착하면 된다.
부착지(300)는 필름지가 아닌 일정두께의 합성수지판으로 형성하여도 되며, 이 합성수지판의 두께는 상기 출입문(200)의 개폐에 지장을 주지 않는 한도의 두께로 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부착지(300)의 상기 비상표시부(320)는, 광고면부(310)의 아래에 형성되어 예를들어 손가락표시 또는 화상표시 방향지시그림(321)과 비상시 안내문자(3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향지시그림(321)은 도 3 과 같이 출입문(200)이 열리는 방향으로 촉수를 가리키고 있으며, 화살표시의 경우에는 역시 출입문(200)이 열리는 방향을 화살표시를 가리키도록 하여 하며, 또한 비상시 안내문자(322)는 '비상시 문여는 방향'등과 같이 출입문(200)의 열림방향을 직시할 수 있는 문구로 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부착지(300)의 방향지시그림(321)과 비상시 안내문자(322)가 형광물질로 형성되어 전동차내에 전기가 나가더라도 형광물질에 의하여 출입문(200)의 열림방향으로 열고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부착지(300)의 방향지시그림(321)과 비상시 안내문자(322)가 형광물질로 형성은 인쇄시에 형광물질이 전체면에 도포되도록 하여도 되고, 또는 방향지시그림(321)과 비상시 안내문자(322) 그 자체에만 형광물질이 도포되어 문구 및 그림이 표출되도록 하여도 된다.
특히, 상기 부착지(300)는 출입문(200)의 손잡이(210)와 가까운 부근에 형성하여 손잡이(210)를 바로 잡고 열림방향으로 바로 전동차(100)를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손잡이(210)와 멀리 떨어져 있는 부근에 부착지(300)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비상시의 정황이 없는 상태에서 출입문(200)의 열림방향 등의 직시가 중요한 만큼 될 수 있으면 손잡이(210)와 가까운 부근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전동차가 사고로 소등된 상태에서도 출입문의 위치와 또한 출입문의 손잡이의 위치 파악이 용이하도록 손잡이에 형광표시부와, 또한시각장애인이 촉수에 의하여 출입문의 손잡이를 직시할 수 있는 점자표시부를 형성하여 위급상황에서도 용이하게 출입문의 손잡이를 찾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상기 출입문의 손잡이 부근에 출입문의 열림방향이 표시된 형광물질의 비상표시부와 함께 광고면부가 형성된 부착지를 부착하여, 광고면부에 의하여 광고효과를 꾀하는 동시에, 비상시에 문의 열림방향이 확실하게 표출되어 신속하게 출입문을 열고 전동차로부터 탈출하여 빠른 시간내에 위급상황을 벗어나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2)

  1. 전동차의 출입문 안쪽에 광고 및 비상표지를 형성함에 있어서,
    출입문(200)의 손잡이(210)에 형광표시부(220)와 점자표시부(230)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10)의 부근에 광고면부(310)와 비상표시부(320)가 일체로 형성된 부착지(300)가 부착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출입문 내부광고 및 비상표시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표시부(320)는, 광고면부(310)의 아래에 형성되어 방향지시그림(321)과 비상시 안내문자(322)가 형성되고, 이 방향지시그림(321)과 비상시 안내문자(322)가 형광물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출입문 내부광고 및 비상표시의 구조.
KR20-2002-0032353U 2002-10-30 2002-10-30 전동차의 출입문 내부광고 및 비상표시의 구조 KR2003026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353U KR200302622Y1 (ko) 2002-10-30 2002-10-30 전동차의 출입문 내부광고 및 비상표시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353U KR200302622Y1 (ko) 2002-10-30 2002-10-30 전동차의 출입문 내부광고 및 비상표시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622Y1 true KR200302622Y1 (ko) 2003-01-29

Family

ID=49399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353U KR200302622Y1 (ko) 2002-10-30 2002-10-30 전동차의 출입문 내부광고 및 비상표시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6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7512C (en) Improvements in aircraft doors
EP2799287A1 (en) Emergency lighting
KR101881358B1 (ko)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피난유도기구
US20130319171A1 (en) Steering wheel and traffic slogan display
KR200302622Y1 (ko) 전동차의 출입문 내부광고 및 비상표시의 구조
WO2001052224A1 (en) Emergency lighting
KR101189584B1 (ko) 도어 트림의 조명장치
JP2011081244A (ja) 車両用のledを用いた表示板
GB2140955A (en) Motor vehicle accessory
JP3047321U (ja) 緊急器具収納用ベスト
BR0101610A (pt) Dispositivo para indicar a posição de uma cabina deelevador no caso de evacuação de passageiros
KR20040041729A (ko) 전동차의 비상자동시스템
KR102195481B1 (ko) 긴급 탈출용 유리창 타격안내표지 및 그 타격수단
KR200315026Y1 (ko) 전동차의 도어수동개폐 표시판
WO1997043746A1 (en) Improvement in luminescent signs or other markings
KR200320423Y1 (ko) 안전유도 씰
JP2015202717A (ja) 透明体領域の情報表示装置
US20230311956A1 (en) Light strip device for a door leaf of a boarding system of a rail vehicle
GB2260214A (en) Emergency motoring aid
JP5284931B2 (ja) 透過照明型表示板
KR20050020886A (ko) 전동차의 비상자동시스템
KR20090001574U (ko) 리무버블 접착 스티커 광고매체를 이용한 광고방법
DE59408706D1 (de) Vorrichtung zu Be- bzw. Entlüften einer Steuerleitung
KR200332889Y1 (ko) 축광 안내 표지 시트
AU2001287626A1 (en) Parking indication sign for vehicles for disabled pers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