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578Y1 - 진료대 - Google Patents

진료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578Y1
KR200302578Y1 KR20-2002-0029626U KR20020029626U KR200302578Y1 KR 200302578 Y1 KR200302578 Y1 KR 200302578Y1 KR 20020029626 U KR20020029626 U KR 20020029626U KR 200302578 Y1 KR200302578 Y1 KR 2003025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planar heating
load
mat
load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6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경록
Original Assignee
영일메디라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일메디라인(주) filed Critical 영일메디라인(주)
Priority to KR20-2002-00296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5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5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5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0018Physician's examin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료대(1)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단에 다리(13)가 고정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10)과,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상단과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20)과, 상기 상부 프레임(20)에 설치되며 목판 부재(31) 및 쿠션 부재(33)가 인조 가죽 부재(35)로 둘러싸여져 형성되는 매트(30)를 포함하는 진료대에 있어서, 상기 매트(30)는 쿠션 부재(33) 및 인조 가죽 부재(35) 사이에 면상 발열체(37)가 설치되며 쿠션 부재(33) 및 면상 발열체(37) 사이에 절연 부재(39)가 설치되고 목판 부재(31)의 하단에 로드셀(41)이 설치되며, 상기 로드셀(41)의 입력 신호에 따라 면상 발열체(37)로의 전원 공급을 ON/OFF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 장치(43)를 포함하는 진료대(1)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로드셀(41)은 설정 하중 이상의 하중을 감지하는 경우에 면상 발열체(37)로의 전원 공급을 ON 상태로 전환시키는 입력 신호를 제어 장치(43)로 전달하며, 설정 하중 미만의 하중을 감지하는 경우에 면상 발열체(37)로의 전원 공급을 OFF 상태로 전환시키는 다른 입력 신호를 제어 장치(43)로 전달한다.

Description

진료대{MEDICAL TREATMENT UNIT}
본 고안은 의료용 진료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병원 등의 장소에서 진료 및 치료시에 환자들이 그것 상에 눕거나 엎드릴 수 있는 구조물로 사용되는 진료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료용 진료대는 하단에 다리가 고정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단과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매트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매트는 목판 부재 및 쿠션 부재가 인조 가죽 부재로 둘러싸여져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진료대에 있어서, 매트는 표면 온도가 사람의 체온 이하의 온도로 유지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환자들이 이러한 매트 상에서 진료 및 치료를 받기 위해 눕거나 또는 업드려야 하는 경우에 체온 이하의 매트와의 접촉에 의해 오한 등이 느끼게 된다.
환자들의 몸 상태는 일반적으로 면역성이 저하되기 쉽고 온도 변화에 더욱 민감하게 되므로, 종래의 진료대는 체온 이하의 매트와의 접촉에 의해 이를 사용하는 환자들에게 체감 온도의 변화를 유발시킴으로써,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환자들이 진료 및 치료를 받기 위해 진료대에 눕거나 또는 엎드리는 경우에 환자의 체중을 감지하여 환자와 접촉되는 진료대의 매트 부분을 체온 이상의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진료대를 제공하기 위한 과제를 기초로 한다.
상기 과제는 하단에 다리가 고정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단과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며 목판 부재 및 쿠션 부재가 인조 가죽 부재로 둘러싸여져 형성되는 매트를 포함하는 진료대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쿠션 부재 및 인조 가죽 부재 사이에 면상 발열체가 설치되며 쿠션 부재 및 면상 발열체 사이에 절연 부재가 설치되고 목판 부재의 하단에 로드셀이 설치되며, 상기 로드셀의 입력 신호에 따라 면상 발열체로의 전원 공급을 ON/OFF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본 고안에 따른 진료대에 의해 해결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진료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진료대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진료대에 있어서, 도 1의 A 부분에 따른 매트의 층상 구조의 상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료대에 있어서, 매트의 동작 다이아그램.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진료대
10 ; 하부 프레임
11 ; X-바 구조물
13 ; 다리
20 ; 상부 프레임
30 ; 매트
31 ; 목판 부재
33 ; 쿠션 부재
35 ; 인조 가죽 부재
37 ; 면상 발열체
39 ; 절연 부재
41 ; 로드셀
43 ; 제어 장치
45 ; 전원 공급부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진료대(1)의 정면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진료대(1)에 있어서, 도 1의 A 부분에 따른 매트(30)의 층상 구조의 상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료대(1)는 하단에다리(13)가 고정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10)과,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상단과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20)과, 상기 상부 프레임(20)에 설치되며 목판 부재(31) 및 쿠션 부재(33)가 인조 가죽 부재(35)로 둘러싸여져 형성되는 매트(30)를 포함하는 진료대에 있어서, 상기 매트(30)는 쿠션 부재(33) 및 인조 가죽 부재(35) 사이에 면상 발열체(37)가 설치되며 쿠션 부재(33) 및 면상 발열체(37) 사이에 절연 부재(39)가 설치되고 목판 부재(31)의 하단에 로드셀(41)이 설치되며, 상기 로드셀(41)의 입력 신호에 따라 면상 발열체(37)로의 전원 공급을 ON/OFF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 장치(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진료대(1)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크게 하단에 다리(13)가 고정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10)과,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상단과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20)과, 상기 상부 프레임(20)에 설치되는 매트(3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10)은 상부측에는 X자 형상으로 중앙부가 힌지 연결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진료대(10)의 높이를 변경 또는 고정시킬 수 있는 X-바 구조물(11)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지면과 접촉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진료대(10)의 위치를 고정하는 다리(13)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상단에는 평판 형상의 상부 프레임(20)이 결합됨으로써 전체 프레임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체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20) 상에 설치되는 매트(30) 및 상기 매트(30) 상의 환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매트(30)는 목판 부재(31) 및 쿠션 부재(33)가 인조 가죽 부재(35)로둘러싸여져 형성되는 종래의 매트와는 달리, 상기 쿠션 부재(33) 및 인조 가죽 부재(35) 사이에 면상 발열체(37)가 설치되며 상기 쿠션 부재(33) 및 면상 발열체(37) 사이에 절연 부재(39)가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매트(30)는 로드셀(41)의 설치 부위인 A부분을 절단한 경우에,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로부터, 로드셀(41), 목판 부재(31), 쿠션 부재(33), 절연 부재(39), 면상 발열체(37), 인조 가죽 부재(35)의 순서로 차례로 적층된 층상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매트(30)의 층상 구조 중 최하단을 구성하는 목판 부재(31)는 상기 매트(30)가 왜곡됨없이 평판의 형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목판 부재(31)의 상부에 적층되는 쿠션 부재(33)는 매트(30)를 사용하는 환자들에게 편안함을 줌과 동시에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주로 스폰지 또는 솜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션 부재(33)의 상부에 적층되는 절연 부재(39)는 그것의 상부에 적층되는 면상 발열체(37)에서 발생되는 열이 그 하부의 쿠션 부재(33)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화재의 위험을 제거함과 동시에 면상 발열체(37)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부로만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절연 부재(39)는 절연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은박지와 같은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절연 부재(39)의 상부에 적층되는 면상 발열체(37)는 입력 전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면상 발열체(37) 통상적으로 발열체인 카본 열선(도시되지 않음)과,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도시되지 않음)와, 과열의 감지시에 전원 입력을 차단하는 바이메탈과 같은 온도 차단 장치9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면상 발열체(37)의 상부에 적측되는 인조 가죽 부재(35)는 하부로부터 차례로 적층되는 목판 부재(31), 쿠션 부재(33), 절연 부재(39), 면상 발열체(37)의 층상 구조를 둘러쌈으로써 층상 구조를 일체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조 가죽 부재(35)는 재료의 절감을 위하여 목판 부재(31)의 하부면 가장자리에서 그 단부면을 스테플러 또는 접착제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층상 구조의 하부면 만을 제외한, 환자와 접촉되는 상기 층상 구조의 상부면 및, 네 측면을 둘러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매트(30)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목판 부재(31)의 하부에 로드셀(41)이 설치되며, 상기 로드셀(41)의 입력 신호에 따라 면상 발열체(37)로의 전원 공급을 ON/OFF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 장치(43)를 포함한다.
상기 목판 부재(31)의 하단에 설치되는 로드셀(41)은 소정의 하중 즉, 매트(30) 상에 눕거나 또는 업드린 환자의 체중에 따른 하중을 감지함으로써, 매트(30) 상의 환자 유무를 식별하는 센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 프레임(20)과의 접촉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드셀(41)은 설정 하중 이상의 하중을 감지하는 경우에 면상 발열체(37)로의 전원 공급을 ON 상태로 전환시키는 입력 신호를 제어 장치(43)로 전달하며, 설정 하중 미만의 하중을 감지하는 경우에 면상 발열체(37)로의 전원 공급을 OFF 상태로 전환시키는 다른 입력 신호를 제어 장치(43)로 전달한다.
상기 로드셀(41)에서 발생되는 하중에 따른 입력 신호는 전선 및 잭과 같은 접속 수단에 의해 제어 장치(43)로 전달되는데, 이러한 제어 장치(43)의 일단부는 전원 공급부(45)와 연결되며, 타단부는 면상 발열체(37)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 장치(43)는 로드셀(41)의 입력 신호에 따라, 면상 발열체(37)로의 전원 공급을 ON/OFF 상태로 전환시키는 일종의 스위치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 장치(43)에는 면상 발열체(37)의 온도를 조절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료대(1)에 있어서, 매트(30)의 동작 다이아그램을 도시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진료대(1)의 전체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른 진료대(1)는 소정의 설치 위치에 다리(13)가 고정되며, X-바 구조물(11)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고정되고, 전원 공급부(45)가 전원에 연결된 상태에 있다. 또한 매트(30) 상에 환자는 없는 것을 보며, 제어 장치(43)는 면상 발열체(37)로의 전원 공급 여부에 대해 OFF 상태에 있다.
환자들이 진료 및 치료를 받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진료대(1)의 매트(30) 상에 눕거나 또는 엎드리게 되면, 환자의 체중에 의한 하중이 목판 부재(31)의 하단에 설치되는 로드셀(41)에서 감지된다. 상기 로드셀(41)에서 감지된 하중이 설정 하중 이상인 경우에, 상기 로드셀(41)은 전선 및 잭과 같은 접속 수단을 통해 제어 장치(43)로 소정의 입력 신호 a를 전달하게 되며, 로드셀(41)에 의해 전달된 입력 신호 a는 상기 제어 장치(43)로 하여금 면상 발열체(37)로의 전원 공급 여부에 대해 ON 상태로 전환시킴에 따라, 면상 발열체(37)로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입력 전원에 의해 면상 발열체(37)가 발열하게 된다. 환자가 사용중인 동안에 로드셀(41)에 의한 소정의 입력 신호 a가 상기 제어 장치(43)로 계속 전달되어 상기 제어 장치(43)는 면상 발열체(37)로의 전원 공급 여부에 대해 ON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환자가 본 고안에 따른 진료대(1)의 매트(30)에서 내려오게 되면, 상기 로드셀(41)에서 감지되는 하중이 설정 하중 미만으로 떨어지는 순간에, 상기 로드셀(41)은 전선 및 잭과 같은 접속 수단을 통해 제어 장치(43)로 소정의 다른 입력 신호 b를 전달하게 되며, 로드셀(41)에 의해 전달된 입력 신호 b는 상기 제어 장치(43)로 하여금 면상 발열체(37)로의 전원 공급 여부에 대해 OFF 상태로 전환시킴에 따라 면상 발열체(37)의 발열이 정지되게 한다.
다시 말해, 본 고안에 따른 진료대(1)에서 상기 제어 장치(43)는 소정의 하중 입력에 따른 로드셀(41)의 입력 신호 a 또는 b에 따라 면상 발열체(37)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일종의 스위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진료대는 환자들이 진료 및 치료를 받기 위해 진료대에 눕거나 또는 엎드리는 경우에 환자의 체중을 감지하여 환자와 접촉되는 진료대의 매트 부분을 체온 이상의 온도로 유지시킴으로써, 환자들의 체감 온도 상의 변화를 방지하고 환자들에게 안락감을 주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하단에 다리(13)가 고정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10)과,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상단과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20)과, 상기 상부 프레임(20)에 설치되며 목판 부재(31) 및 쿠션 부재(33)가 인조 가죽 부재(35)로 둘러싸여져 형성되는 매트(30)를 포함하는 진료대에 있어서,
    상기 매트(30)는 쿠션 부재(33) 및 인조 가죽 부재(35) 사이에 면상 발열체(37)가 설치되며 쿠션 부재(33) 및 면상 발열체(37) 사이에 절연 부재(39)가 설치되고 목판 부재(31)의 하단에 로드셀(41)이 설치되며, 상기 로드셀(41)의 입력 신호에 의해 면상 발열체(37)로의 전원 공급을 ON/OFF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 장치(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41)은 설정 하중 이상의 하중을 감지하는 경우에 면상 발열체(37)로의 전원 공급을 ON 상태로 전환시키는 입력 신호를 제어 장치(43)로 전달하며, 설정 하중 미만의 하중을 감지하는 경우에 면상 발열체(37)로의 전원 공급을 OFF 상태로 전환시키는 다른 입력 신호를 제어 장치(43)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대.
KR20-2002-0029626U 2002-10-04 2002-10-04 진료대 KR2003025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626U KR200302578Y1 (ko) 2002-10-04 2002-10-04 진료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626U KR200302578Y1 (ko) 2002-10-04 2002-10-04 진료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578Y1 true KR200302578Y1 (ko) 2003-01-30

Family

ID=49399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626U KR200302578Y1 (ko) 2002-10-04 2002-10-04 진료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5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848A (ko) * 2020-01-09 2021-07-19 주식회사 후이솔루텍 체온유지기능이 구비된 구조용 들것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848A (ko) * 2020-01-09 2021-07-19 주식회사 후이솔루텍 체온유지기능이 구비된 구조용 들것
KR102359290B1 (ko) * 2020-01-09 2022-02-08 주식회사 후이솔루텍 체온유지기능이 구비된 구조용 들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8473B1 (en) Moisture detection system for use on a hospital bed
EP3458010B1 (en) Patient support pad
JP2001238924A (ja) 手術台用マットレス
KR200302578Y1 (ko) 진료대
US4455472A (en) Bed warmer
JP2003339805A (ja) マット状器具
DE50111005D1 (de) Kochfeld mit temperaturfühler
KR20120043484A (ko) 변좌용 발열패드
CN108175216A (zh) 电热床垫的节能控制方法
JPS6210334B2 (ko)
JPS6090515A (ja) 採暖器具
KR200310579Y1 (ko) 매트용 3단 발열 장치
KR200345508Y1 (ko) 원적외선 치료용 의자
CN211131930U (zh) 一种恒温手术床
KR20190102683A (ko) 욕창방지용 매트리스
KR200371421Y1 (ko) 온도조절 센서가 내장된 전기장판
CN208075068U (zh) 一种电烤火炉
KR200349780Y1 (ko) 상,하체 가열장치를 갖는 매트
KR20180010527A (ko) 감압센서를 사용한 절전형 전기장판
JP2005087234A (ja) 温熱治療器
JP2006000320A (ja) ベッド、ベッド用マットの加熱方法及びベッドの寝床板部構成部材
KR200289176Y1 (ko) 안마장치가 부설된 돌침대
KR200313749Y1 (ko) 온열치료기의 다목적 발 받침대
JPH09229378A (ja) 堀こたつ
KR200236587Y1 (ko) 척추치료보조기용 전기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