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190Y1 -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 - Google Patents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190Y1
KR200302190Y1 KR20-2002-0030847U KR20020030847U KR200302190Y1 KR 200302190 Y1 KR200302190 Y1 KR 200302190Y1 KR 20020030847 U KR20020030847 U KR 20020030847U KR 200302190 Y1 KR200302190 Y1 KR 200302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ing valve
valve
faucet
piston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8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언
Original Assignee
이재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언 filed Critical 이재언
Priority to KR20-2002-00308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1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1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1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closing after a predetermined quantity of fluid has been deliv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정량밸브의 작동 버튼을 눌렀다놓을 때마다 정량토출이 이뤄지고 사용장소에 따른 가변토출량의 요구에도 적극적인 대처가 가능하며 상기 정량밸브를 눌러 개방시킨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지속적인 개방상태로 유지시켜 지속적인 토출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는 수도꼭지몸체(10)의 정량밸브설치공간(14)에 피스톤(31)과 작동로드(32)로 이루어진 정량밸브(30)가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정량밸브설치공간(14)에서 정량밸브(30)의 축 방향으로 삽입되었다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동안 토출되는 토출관(16)이 전방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냉-온수 혼합용 수도꼭지에 있어서, 상기 정량밸브(30)의 행정조절을 위한 조절수단이 마련되고 정량밸브의 개방시(물의 토출시) 피스톤(31)이 원위치로 복귀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tap of fixed amount and continuous discharge}
본 고안은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량밸브의 작동 버튼을 눌렀다놓을 때마다 정량토출이 이뤄지고 그 토출량을 가변시킬 수 있으며, 정량밸브의 개방상태를 유지시켜 지속적인 토출이 이뤄지는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수를 혼합하고 일정량만을 토출시키는 자폐형 수도꼭지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55256에는 노브 하단에 결합된 피스톤 실린더 하면에는 각각 온수 및 냉수배출로를 회전방향으로 대칭되게 깊이가 점차적으로 변화되도록 형성하여 노브의 회전방향에 따라 온수와 냉수와의 혼합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피스톤 실린더의 내부에는 피스톤이 설치되어지되 이 피스톤은 수압에 의해 상승되어 토출구를 막아 온/냉수의 토출을 막고, 노브를 누르면 노브 하단의 푸시스핀들이 하강하여 피스톤의 중앙에 설치된 피스톤밸브를 개방시켜 피스톤을 상부로 밀고 있던 작동수가 배출되면서 피스톤이 상승되어 토출구가 개방되어 혼합수가 배출 가능한 상태로 되고 피스톤에 형성된 오리피스를 통해 작동수가 피스톤 하부에 채워지면서 수압에 의해 피스톤이 점차적으로 상승하여 토출구를 막아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한 것이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등록실용신안공보의 자폐형 수도꼭지에 있어서는 노브를 눌렀다 놓을 때마다 일정량의 물(냉/온수 또는 혼합수)이 토출되는 것인바 절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할 것이나 욕조 등에 대량의 물을 받기 위해서는 계속하여 노브를 누르고 있어야 하므로 욕조에 물을 받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1-0035491호에는 수도꼭지 본체 내부의 밸브챔버에 밸브시트를 막는 피스톤밸브가 내장되고 외부의 조작에 의해 밸브챔버의 상부공간에 채워진 물이 빠지면서 피스톤밸브가 수직 이동되어 밸브시트가 개방되고 일정시간동안 물이 배출되면서 다시 피스톤밸브가 원위치로 하강하여 밸브시트를 폐쇄시키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밸브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도꼭지본체 측부에 설치된 플런저핸들의 조작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기동밸브와, 상기 기동밸브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도꼭지본체 상부에 설치된 푸시버튼의 조작에 의해 개방되는 정량개폐밸브로 이루어진 것이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개특허공보의 수도꼭지에 있어서는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의 문제점인 정량토출만이 가능하다는 것과는 달리 플런저핸들에 의해 기동되는 기동밸브를 개방시켜 놓음으로써 연속적인 토출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나 기동밸브를 플런저 핸들이 작동시키는 것이므로 구조적인 여건상 오작동의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냉수나 온수 등과 같이 물이 공급되는 관이 하나인 일반 수도꼭지에 적용된 것일 뿐 냉수와 온수가 동시에 사용되는 일반가정이나 공장 등에서의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와 샤워 겸용 수도꼭지에는 그 구조적인 여건상 제약이 많아 적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및 공개특허공보의 모든 수도꼭지들은 피스톤(피스톤밸브)의 행정조정을 위한 아무런 구성 내지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단순히 피스톤(피스톤밸브)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동안 생산공장에서 세팅된 일정량의 물이 토출되는 것이므로 사용장소(예를 들어, 공중화장실의 세면기는 대략 8초의 토출시간을 요하고, 공중목욕탕의 샤워기는 대략 25∼30초의 토출시간을 요한다)에 따라 물의 토출량을 가변시킴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인 대처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정량밸브의 작동버튼을 눌렀다놓을 때마다 정량토출이 이뤄지며상기 정량밸브를 눌러 개방시킨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지속적인 개방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지속적인 토출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한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정량밸브의 피스톤이 삽입되는 정도, 즉 정량밸브의 행정조절을 위한 행정조절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사용장소에 따라 각기 다른 토출량을 요구하여도 적극적인 대처가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사용장소의 확장은 물론이고 경쟁력의 제고를 꾀할 수 있도록 한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정량밸브의 작동과 관련된 부품, 작동 버튼이나 피스톤 등에 마련함으로써 냉수나 온수 등과 물이 공급되는 관이 하나인 일반 수도꼭지에의 적용은 물론 냉수와 온수가 동시에 사용되는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와 샤워 겸용 수도꼭지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고안의 일요부인 정량밸브 고정수단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a는 본 고안의 다른 요부인 정량밸브의 행정조절수단을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b는 도 7의 조립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정량밸브의 행정조절수단과 고정수단이 함께 마련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도꼭지몸체 13: 혼합밸브설치공간
14: 정량밸브설치공간 14a: 오리피스 홈
15: 토출챔버 16: 토출관
17a,17e,18e,19a: 수나사 17b: 고정돌기
17c,17d: 링형돌기 18: 캡
19: 링너트
20: 혼합밸브 21: 튜브하우징
22: 가동밸브부재 23: 고정밸브판
24: 디스크형 기부부재 30: 정량밸브
31: 피스톤 31b,35e,36: 스프링
31e,35a: 암나사 32: 작동로드
33: 부시 34: 제3패킹
35: 작동버튼 35b: 가동돌기
35c: 로크볼트 35d: 로크버튼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는 수도꼭지몸체의 밸브설치공간에 피스톤과 작동로드로 이루어진 정량밸브가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밸브설치공간에서 정량밸브의 축 방향으로 삽입되었다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동안 토출되는 토출관이 전방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냉-온수 혼합용 수도꼭지에 있어서, 상기 정량밸브의 개방시 피스톤이 원위치로 복귀되지 않도록 정량밸브의 닫힘을 방지하는 고정수단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작동버튼의 선단부분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버튼이 눌렸을 때 암나사와 체결될 수 있는 위치의 수도꼭지몸체 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며, 또 작동버튼의 선단부분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버튼이 눌렸을 때 걸림돌기와 걸릴 수 있는 위치의 수도꼭지몸체 외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작동버튼의 선단부분에 외측에서 그 중심을 향하여 관통 설치되고 끝단에 돌기가 형성되며 스프링이 탄력적으로 설치된 로크버튼과, 상기 작동버튼이 눌렸을 때 로크버튼의 돌기가 걸릴 수 있는 위치의 수도꼭지몸체 외면에 걸림턱을 갖는 링형돌기로 마련된다.
또한, 본 고안의 냉-온수 혼합형 수도꼭지에는 상기 정량밸브의 피스톤이 삽입되는 정도, 즉 정량밸브의 행정조절을 위한 행정조절수단이 마련되며, 이 정량밸브의 행정조절수단은 정량밸브의 작동로드 끝단에 장착된 작동버튼의 눌림이 제한되도록 작동버튼 위치의 수도꼭지몸체 외면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이 수나사에 체결되어 소정위치에서 고정되는 링너트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행정조절수단의 링너트 외면에 정량밸브가 닫힘을 방지하는 고정수단의 일부를 마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에서 언급한 고정수단의 수나사, 고정돌기, 링형돌기 등을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꼭지몸체(10)에는 양쪽의 냉수 및 온수연결구멍(11a,11b)으로부터 유입된 냉-온수를 혼합하는 혼합밸브(20)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혼합밸브(20)에서 냉-온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토출관(50)으로 배출하는 정량밸브(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정량밸브(30)는 그 작동 버튼(35)을 눌러 정량밸브(30)가 개방되어 물의 토출될 때 피스톤(31)이 원위치로 복귀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도꼭지몸체(10)는 양쪽의 냉수 및 온수유입구멍(11a,11b)과 연통된 냉-온수 챔버(12a,12b)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냉-온수 챔버(12a,12b)의 교차부분에 혼합밸브설치공간(13)과 정량밸브설치공간(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정량밸브설치공간(14)의 하부에는 정량밸브(30)를 통과한 혼합수가 토출챔버(15)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관(16)이 전방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혼합밸브설치공간(13)의 바닥에는 상기 냉-온수 챔버(12a,12b)와 연통되는 냉-온수유입구멍(13a,13b)이 형성되고 상기 정량밸브설치공간(14)과 연통되는 혼합수 유입구멍(13c)이 형성되고 혼합밸브(20)를 세팅시키는 세팅홈(13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량밸브설치공간(14)의 한쪽에는 정량밸브(30)의 밸브(31d)가 안착되는 밸브시트(14b)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밸브시트(14b)의 한쪽에는 토출관(16)과 연통된 토출챔버(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혼합밸브설치공간(13)에 설치된 혼합밸브(20)는 속이 빈 2단으로 된 튜브형 하우징(21)내에 가동밸브부재(22)가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고 이 가동밸브부재(22)의 회전에 따라 그 하면의 포트연결홈(22a)이 튜브형 하우징(21)하단에 장착된 고정밸브판(23) 및 디스크형 기부부재(24)의 냉, 온수포트(도시되지 않음)와 유출포트(23a)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혼합밸브(20)는 수도꼭지몸체(10)의 혼합밸브설치공간(13)에 안착 세팅되고 그 상단내면에 체결되는 조임너트(25)에 의해 혼합밸브(20)의 튜브형 하우징(21) 상단을 눌려져 고정된다.
상기 정량밸브(30)는 내면에 오리피스 홈(14a)을 갖는 정량밸브설치공간(14)에서 상승 하강되는 피스톤(31)과, 이 피스톤(31)을 하강시키는 작동로드(32)로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31)은 속이 빈 캡형 단면으로 형성하되 그 외면의 상/하부에 정량밸브설치공간(14) 내면과의 기밀유지를 위한 제1패킹(31a)이 설치되고 하단엔 스프링(31b)을 지지하는 캡(31c)이 체결되어지며 상단엔 정량밸브설치공간(14) 내의 밸브시트(14b)를 차단하는 밸브(31d)가 체결되어 있다.
상기 작동로드(32)는 상기 피스톤(31) 내의 스프링(31b)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하단엔 피스톤(31)과의 기밀유지를 위한 제2패킹(32a)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작동로드(32)는 상기 수도꼭지몸체(10)내부의 정량밸브설치공간(14)에 피스톤(31)이 안착 설치된 상태에서 부시(33)와 제3패킹(34)에 의해 누수가 방지되도록 수도꼭지몸체(10)를 관통하여 연장되어지며, 상기 작동로드(32) 상단에 작동버튼(35)이 장착되고 상기 부시(33)와 작동버튼(35) 사이에는 작동로드(32)를 원래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36)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정량밸브(30)의 고정수단은 작동버튼(35)의 선단부분에 암나사(35a)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버튼(35)이 눌렸을 때 암나사(35a)와 체결될 수 있는 위치의 수도꼭지몸체(10) 외면에 수나사(17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량밸브설치공간(14)내면에 오리피스 홈(14a)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정량밸브(30)의 피스톤(31)에 오리피스홀을 마련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8은 정량밸브설치공간(14)에 정량밸브(30)를 삽입 설치한 후 마무리하는 캡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는 먼저, 수도꼭지몸체(10)의 냉수 및 온수유입구멍(11a,11b)과 냉-온수 챔버(12a,12b)를 통해 혼합밸브(20)를 이루는 고정밸브판(23) 및 디스크형 기부부재(24)의 냉수포트 및 온수포트로부터 냉수와 온수가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동밸브부재(22)를 냉수 또는 온수 측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혼합밸브(20)의 가동밸브부재(22)를 냉수 또는 온수측으로 회전시킬수록 사용자가 원하는 바대로의 온도를 갖는 혼합수를 얻는 것이며, 이 혼합수는 정량밸브설치공간(14)내의 정량밸브(30)외면에 이르기까지 공급된 상태이다. 이때, 밸브시트(14b)에는 정량밸브설치공간(14) 내에 설치되어 있는 피스톤(31)상단의 밸브(31d)가 밀착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정량밸브(30)의 작동로드에 끝단에 체결된 작동버튼(35)을 누르면 피스톤(31)내의 스프링(31b)이 눌려진 후 피스톤(31)이 후퇴되기 시작하고 이렇게 피스톤(31)이 후퇴되면서 밸브시트(14b)로부터 피스톤(31)의 밸브(31d)가 이격되어 개방되므로 혼합밸브(20)를 통과하면서 혼합된 혼합수가 정량밸브설치공간(14)으로부터 밸브시트(14b)와 토출관(16)을 거쳐 배출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혼합수가 배출되는 상태에서 작동버튼(35)에 가했던 힘(외력)을 제거하면 피스톤(31)내부의 스프링(31c)과 작동버튼(28)한쪽의 스프링(36)이 갖는 탄성력으로 인하여 작동로드(32)를 밀어 원위치로 복귀시키려는 힘이 작용하나 정량밸브설치공간(14)내에 형성된 부압이 그 내면의 오리피스 홈(14a)을 통해 공기 또는 냉/온수가 유입되어 제거되는 만큼 서서히 원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이때, 작동로드(32)하단에 설치된 피스톤(31)또한 원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이렇게 작동로드(32)하단의 피스톤(31)이 복귀되는 동안 혼합수가 일정시간동안 배출되고 피스톤(31)이 완전히 원위치로 복귀되어 피스톤(31)의 밸브(31c)가 밸브시트(14b)를 차단하므로 혼합수의 토출을 차단한다.
상기 혼합수의 토출시간은 정량밸브설치공간(14)내면에 형성된 오리피스 홈(14a)의 크기는 물론 피스톤(31)내부의 스프링(31c) 및 작동로드(32)끝단부분에 설치된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다시 말해서, 오리피스 홈(14a)이 크거나 스프링(31b,36)의 탄성력이 크면 공기나 물의 공급이 용이하여 토출시간이 짧아지고 오리피스 홈(14a)이 작거나 스프링(31b,36)의 탄성력이 작으면 공기나 물의 공급이 더디므로 토출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공중화장실에서 간단하게 세면을 하는 경우는 약8초가 소요되고 숙박업소 등의 샤워실에서 세면과 샤워를 하는 경우에는 25-30초 가량이 소요되므로 혼합수의 토출시간은 이에 알맞게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정량토출이 아닌 연속적인 토출을 원하는 경우에는 정량밸브(30)의 작동버튼(35)을 최대한으로 누르면서 회전시키면 수도꼭지몸체(10) 외면의 수나사(17a)에 작동버튼(35)의 암나사(35a)가 체결된다. 따라서, 작동버튼(35)은 물론 정량밸브(30)인 피스톤(31)과 작동로드(32)는 원위치로 복귀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이므로 피스톤(31)이 밸브시트(14b)로부터 피스톤(31)의 밸브(31d)가 이격되어 개방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 혼합밸브(20)에서 혼합된 혼합수가 지속적으로 토출관(16)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동버튼(35)을 고정시킬 때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수도꼭지몸체(10) 외면의 수나사(17a)에 체결된 작동버튼(35)의 암나사(35a)가 해제되면서 작동로드(32)하단의 피스톤(31)이 복귀되는 동안 혼합수가 일정시간동안 배출되고 난 후 차단되는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정량밸브(30)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다른 실시 예로서, 작동버튼(35)의 선단부분에 가동돌기(35b)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버튼(35)이 눌렸을 때 가동돌기(35b)와 걸릴 수 있는 위치의 수도꼭지몸체(10) 외면에 고정돌기(17b)가 형성된 것으로 작동버튼(35)을 최대로 눌러 삽입한 후 작동버튼(35)을 회전시키면 고정돌기(35b)에 가동돌기(17b)가 걸리는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요부인 정량밸브의 행정조절수단을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으로서, 수도꼭지몸체(10)의 정량밸브설치공간(14)에서 정량밸브(30)의 작동로드(32)가 관통된 수도꼭지몸체(10)의 외측에 상기 정량밸브(30)의 피스톤(31)이 삽입되는 정도, 즉 정량밸브(30)의 행정조절이 가능하도록 수나사(17e)를 형성하고 이 수나사(17e)에 체결되어 소정위치에서 고정되는 링너트(19)가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정량밸브(30)의 작동로드(32)끝단에 장착된 작동버튼(35)을 누르면 링너트(19)의 끝단에 작동버튼(35) 내면이 닿음으로써 작동버튼(35)의 유동이 제한되게 되고 결국 정량밸브(30)의 피스톤(31)이 정량밸브설치공간(14)으로 삽입되는 정도가 정해지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수도꼭지몸체(10)의 수나사(17e)에 링너트(19)를 체결 고정하되 링너트(19)가 어느 정도의 깊이로 체결되었느냐에 따라 작동버튼(35)과 링너트(19)간의 유동간격(행정)이 정해지게 되고 이 유동간격만큼 정량밸브(30)의 피스톤(31)이 정량밸브설치공간(14)으로 삽입되는 정도가 정해지는 것이므로 정량밸브(30)의 피스톤(31)이 정량밸브설치공간(14)으로 삽입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피스톤(31)이 정량밸브설치공간(14)으로 많이 삽입될수록 원위치로 복귀되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물의 토출량이 많아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수도꼭지에서 정량밸브의 행정조절수단 및 고정수단이 함께 마련한 것을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으로서, 수도꼭지몸체(10)의 정량밸브설치공간(14)에서 정량밸브의 작동로드(32)가 관통된 수도꼭지몸체(10) 외측의 수나사(17e)에 소정위치에서 체결 고정되는 링너트(19)가 마련되며 이 링너트(19)의 외면엔 작동버튼(35)의 암나사(35a)와 체결되는 수나사(19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너트(19)는 수도꼭지몸체(10)의 수나사(17e)에 체결된 상태에서 잘 풀리지 않는 자립조건을 갖아야 한다. 그 이유는 작동버튼(35)의 암나사(35a)가 링너트(19)외면의 수나사(19a)와 체결되고 해제될 때 수도꼭지몸체(10)에서 링너트(19)가 유동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구성된 다른 실시예의 수도꼭지는 수도꼭지몸체(10)의 수나사(17e)에 체결된 링너트(19)를 회전시켜 작동버튼(35)의 유동간격을 제한함으로써 정량밸브(30)의 행정을 조절하고 물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 아울러 상기 작동버튼(35)을 최대로 누른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링너트(19)의 수나사(19a)에 작동버튼(35)의 암나사(35a)가 체결되므로 정량밸브(30)의 개방상태가 유지되고 이로 인하여 물은 지속적으로 토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링너트(19)는 그 외면에 수나사(19a)를 형성시킨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작동버튼(35)에 형성되는 고정수단과 상응하여 결합 내지 고정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구조라도 무방하며, 예를 들어, 정량밸브(30)의 고정수단으로 언급된 바와 같이 작동버튼(35)에 가동돌기(35b)가 형성된 경우의 링너트(19)엔 고정돌기를, 작동버튼(35)에 로크볼트(35c)나 로크버튼(35d)이 설치된 경우의 링너트(19)엔 링형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는 정량밸브의 작동 버튼을 눌렀다놓을 때마다 정량토출이 이뤄지고 상기 정량밸브를 눌러 개방시킨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지속적인 개방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에 의해 지속적인 토출이 이뤄지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정량밸브의 피스톤이 삽입되는 정도, 즉 정량밸브의 행정조절이 이뤄지는 행정조절수단의 조작으로 인하여 사용장소에 따라 각기 다른 토출량을 요구하여도 적극적인 대처가 가능하고 결국 사용장소의 확장은 물론이고 경쟁력의 제고를 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정량밸브의 작동과 관련된 부품, 작동 버튼이나 피스톤 등에 마련함으로써 냉수나 온수 등과 물이 공급되는 관이 하나인 일반 수도꼭지에의 적용은 물론 냉수와 온수가 동시에 사용되는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와 샤워 겸용 수도꼭지에도 적용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수도꼭지몸체(10)의 정량밸브설치공간(14)에 피스톤(31)과 작동로드(32)로 이루어진 정량밸브(30)가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정량밸브설치공간(14)에서 정량밸브(30)의 축 방향으로 삽입되었다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동안 토출되는 토출관(16)이 전방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냉-온수 혼합용 수도꼭지에 있어서,
    상기 정량밸브(30)의 피스톤(30)이 삽입되는 정도, 즉 정량밸브(30)의 행정조절을 위한 행정조절수단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밸브(30)의 행정조절수단은 정량밸브(30)의 작동로드(32) 끝단에 장착된 작동버튼(35)의 눌림이 제한되도록 작동버튼(35) 위치의 수도꼭지몸체(10) 외면에 수나사(17e)를 형성하고 이 수나사(17e)에 체결되어 소정위치에서 고정되는 링너트(19)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버튼(35)의 선단부분에 암나사(35a)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버튼(35)이 눌렸을 때 암나사(35a)와 체결될 수 있는 위치의 링너트(19)의 외면에 수나사(19a)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버튼(35)의 선단부분에 가동돌기(35b)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버튼(35)이 눌렸을 때 가동돌기(35b)와 걸릴 수 있는 위치의 링너트(19) 외면에 고정돌기(17b)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
KR20-2002-0030847U 2002-10-16 2002-10-16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 KR200302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847U KR200302190Y1 (ko) 2002-10-16 2002-10-16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847U KR200302190Y1 (ko) 2002-10-16 2002-10-16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830A Division KR20040031399A (ko) 2002-10-05 2002-10-05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190Y1 true KR200302190Y1 (ko) 2003-01-30

Family

ID=49399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847U KR200302190Y1 (ko) 2002-10-16 2002-10-16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1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2190Y1 (ko)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
KR20040031399A (ko)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
KR200302189Y1 (ko)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
KR200307823Y1 (ko) 자폐식 절수형 샤워기
KR200299799Y1 (ko)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
JP2003144983A (ja) 吐水ノズル
JP4657502B2 (ja) 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
KR100522189B1 (ko) 자폐식 절수형 샤워기
JP3008341U (ja) 蛇口給水装置
KR200297732Y1 (ko) 자폐식 냉-온수혼합 수도꼭지
KR20040026982A (ko)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
WO1999058775A1 (en) Pressure responsive flow regulator
KR100670934B1 (ko) 자폐 수도 밸브
KR20040015647A (ko) 자폐식 냉-온수혼합 수도꼭지
JP3688486B2 (ja) 止水機能付シャワーヘッド
KR200297731Y1 (ko) 자폐식 냉-온수혼합 수도꼭지
KR200165958Y1 (ko) 압력조절밸브가 내장된 냉온수배출장치
KR102360862B1 (ko) 밸브 장치
KR20010028189A (ko) 자동온도조절이 가능한 풋 밸브형 절수식 샤워기
KR200268313Y1 (ko) 절수형 샤워기
KR200303570Y1 (ko) 수도꼭지용 냉온수 혼합밸브
KR200460406Y1 (ko) 샤워기 부착형 급수밸브
KR200375463Y1 (ko) 하나의 핸들로 수온조절과 자폐 및 즉시지수가 가능한욕실·주방용 샤워기
KR100341351B1 (ko) 절수형 세면기
KR20040015646A (ko) 자폐식 냉-온수혼합 수도꼭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