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131Y1 - 교량 점검시설의 출입사다리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교량 점검시설의 출입사다리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131Y1
KR200302131Y1 KR20-2002-0030914U KR20020030914U KR200302131Y1 KR 200302131 Y1 KR200302131 Y1 KR 200302131Y1 KR 20020030914 U KR20020030914 U KR 20020030914U KR 200302131 Y1 KR200302131 Y1 KR 2003021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inspection facility
bridge
facility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9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구
정성윤
Original Assignee
이선구
정성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구, 정성윤 filed Critical 이선구
Priority to KR20-2002-00309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1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1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1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교량의 받침 또는 상부구조를 점검하기 위한 교량 점검시설로 통행하기 위한 출입시설에 있어서, 교량의 상부구조 방호벽의 외측벽에 고정되는 고정 사다리의 방향을 방호벽에 직각으로 설치하도록 개선하여 사다리를 이용하는 인원들의 편리를 도모하고 점검시설의 면적을 축소하여 경제성을 도모하도록 한 교량 점검 시설의 출입 사다리 설치구조이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교량의 교각이나 받침 또는 상부구조를 점검을 위해 점검시설로 출입하기 위한 사다리의 양측 골조와 발판을 모두 방호벽에 기대어 붙여서 설치하고 안전망은 교량의 측면으로 돌출시켜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점검자들이 사다리를 이용하여 점검시설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방호적 앞에 서서 안전망을 잡은 다음 뒤로 돌아서 사다리를 이용해야 하므로 사다리의 상단에서 방호벽을 넘으면서 돌아서는 과정에서 출입 인원들의 안전에 위협을 느낄 수 있고, 추락사고의 위험이 상존하였다. 또한 사다리의 하단이 고정되는 점검시설에서도 사용자들이 사다리의 옆으로 돌아서 점검시설로 들어가야 하므로 이를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하여 공사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사다리는 골조의 일면만 방호벽에 고정하고 발판 및 한쪽 골조는 방호벽에 직각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점검시설로 출입하는 인원들은 180도 뒤돌아 설 필요없이 90도만 회전하여 사다리를 이용하므로 사용자들의 안전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사다리의 하단이 고정되는 점검시설에서도사용자들이 사다리의 측면에 개방된 공간으로 옆걸음만 걸으면 점검시설로 들어갈 수 있으므로 종래의 기술보다 점검시설의 설치공간을 축소하여 공사비를 절감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교량 점검시설의 출입사다리 설치구조{Installation System of Ladder for Bridge Inspection Facilities}
종래의 기술에서는 교량의 교각이나 받침 또는 상부구조를 점검을 위해 점검시설로 출입하기 위한 사다리의 양측 골조와 발판을 모두 방호벽에 기대어 붙여서 설치하고 안전망은 교량의 측면으로 돌출시켜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렇게 사다리를 설치하면 점검자들이 사다리를 이용하여 점검시설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교량 상의 방호책 앞에 서서 출입시설의 안전망을 잡은 다음 뒤로 돌아서 사다라를 이용해야 하므로 사다리의 상단에서 방호벽을 넘으면서 돌아서는 과정이 불편하여 출입 인원들의 안전에 위협을 느낄 수 있고, 출입시설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추락할 위험이 상존하였다.
또한 사다리의 하단이 고정되는 점검시설에서도 사용자들이 사다리의 옆으로 돌아서 점검시설로 들어가야 하므로 사다리의 안전망 면적과 사용자들이 진출입하기 위한 공간이 이중으로 필요하여 점검시설의 면적이 늘어나 점검시설의 공사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사다리는 행동공학적인 측면에서 점검시설 사용자들의 동작을 최소화하고 점검시설의 설치면적을 축소할 수 있도록 한다.
사다리 골조의 한쪽만 방호벽에 고정하고 발판 및 한쪽 골조는 방호벽에 직각으로 설치하여, 점검시설로 출입하는 인원들이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180도 뒤돌아 서서 출입시설에 들어갈 필요없이 90도만 회전하여 한쪽 발과 다리만 사다리에 걸치고 안전망을 잡은 다음 사다리를 내려갈 수 있으므로 점검시설 사용자들의 안전을 대폭 개선하도록 한다.
사다리의 하단이 고정되는 점검시설에서도 사용자들은 사다리의 측면에 점검시설 방향으로 개방된 공간으로 옆걸음만 걸으면 점검시설로 들어갈 수 있으므로 종래의 기술보다 점검시설의 설치공간을 축소하여 공사비를 절감하도록 하였다.
도 1은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로서 교량 점검시설의 출입용 사다리를 방호 벽에 직각으로 설치한 경우의 평면을 보인다.
도 2는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로서 회전식 교량 점검시설의 출입용 사다리를 방호벽에 직각으로 설치한 경우의 입면을 보인다.
도 2는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로서 회전식 교량 점검시설의 출입용 사다리를 방호벽에 직각으로 설치한 경우의 단면을 보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사다리 110 사다리 골조
120 사다리 발판 140 사다리 고정장치
200 점검시설 출입구의 안전골조 300 교량 점검시설
500 교량 방호벽 510 교량 상부구조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상세한 구성 및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로서 승강 사다리(100)를 설치한 교량 점검시설의 출입구 평면을 보인다.
사다리(100)는 사다리 골조(110)의 한 쪽만 교량의 상부구조(500)에 설치되는 방호벽(510)에 고정장치(140)를 이용하여 고정되며, 사다리(100)가 방호벽(510)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사다리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방호벽(510)에 옆으로 서서 발과 다리만 사다리 쪽으로 내밀어서 사다리의 발판(120)을 디뎌서 사다리(100)를 탈수 있고, 방호벽(510)의 길이방향을 보면서 사다리(100)를 오르내리도록 하였다.
사다리의 안전망(150)은 사다리의 후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하여 사다리 이용자들의 안전을 보호하도록 하였고, 사다리의 하부에서는 교량 쪽의 측면을 개방하여 사람들이 옆 걸음 쳐서 점검시설로 진출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다리(100)가 고정되는 점검시설(300)에서 사다리를 내려온 사람들은 사다리(100)의 하부에서 교량 쪽의 한쪽 측면으로 안전망(150)이 개방된 곳을 통하여 점검시설로 곧바로 점검시설로 진출입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종래의 기술보다 사다리 하부의 점검시설(300) 면적을 반으로 축소하였다.
도 2는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로서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를 설치한 교량의 상부구조(500)와 하부구조(400) 및 점검시설(300)을 포함한 교량의 단면을 보인다.
사다리(100)는 고정장치(140)에 의해 방호벽(510)에 직각으로 설치되며, 사다리의 골조(110)는 한쪽만 방호벽(510)에 고정되고 나머지 골조는 교량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사다리의 답판(120)은 교량의 직각으로 설치된다.
사다리(100)를 내려온 사람들은 사다리의 측면에서 교량 쪽으로 개방된 공간(190)을 통해 점검시설(300)로 진입하게 하여, 종래의 기술에서 사다리를 돌아서 점검시설로 들어가는 것을 개선하여 공간이용의 효율을 높이고 사용자들의 안전을 확보하였다.
도 3은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로서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를 설치한 교량의 상부구조(500)와 하부구조(400) 및 점검시설(300)을 포함한 교량의 입면을 보인다.
사다리(100)는 고정장치(140)에 의해 방호벽(510)에 직각으로 설치되고, 안전망(150)은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사다리가 입면도 상에서 정면으로 설치되어 사다리를 내려온 사람들이 사다리의 측면으로 돌아서 점검시설(300)으로 들어가야 하므로 사다리의 옆으로 사다리 폭만큼의 공간이 더 필요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을 적용하면 사람들이 사다리(100)를 내려오자마자 교량 쪽으로 개방된 공간(도2의 190)으로 옆걸음 쳐서 곧바로 점검시설로 진입하게 되므로 안전망(150) 폭만큼의 공간만 있으면 사다리(100)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점검시설(300)의 공간이용 효율을 높이고 사용자들의 안전을 확보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기준으로 본 고안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교량의 점검시설로 출입하기 위한 사다리는 사다리 골조의 한 쪽만 교량의 상부구조에 설치되는 방호벽에 고정장치로 고정하여, 사다리를 방호벽에 직각으로 설치하였고, 사다리의 하부가 고정되는 점검시설에서는 사다리 안전망을 교량 쪽의 측면을 개방하여 사람들이 옆 걸음 쳐서 점검시설로 진출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다리를 내려가려는 사람들은 방호벽에 옆으로 서서 발과 다리만 사다리 쪽으로 내밀어서 사다리의 발판을 디뎌서 사다리를 탈 수 있고, 올라올 때에도 사다리에 선 상태에서 다리만 교량의 방호책 쪽으로 내밀면 안전하게 교량 상으로 나올 수 있으므로 사다리 이용자들의 안전을 대폭 강화하였다.
사다리의 하부가 고정되는 점검시설에서 사다리를 내려온 사람들은 사다리의 하부에서 교량 쪽의 한쪽 측면으로 안전망이 개방된 곳을 통하여 점검시설로 곧바로 점검시설로 진출입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종래와 같이 사다리를 돌아서 점검시설로 들어가는 번거로움을 제거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였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사다리를 내려온 사람들이 사다리의 측면으로 돌아서 들어가야 하므로 사다리의 옆으로 사다리 폭만큼의 공간이 더 필요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을 적용하면 사람들이 사다리를 내려오자마자 교량 쪽으로 개방된 공간으로 옆걸음 쳐서 곧바로 점검시설로 진입하게 되므로 안전망 폭만큼의 공간만 있으면사다리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기술보다 사다리 설치면적을 반으로 축소하여 점검시설의 공간이용 효율을 높였다.

Claims (2)

  1. 교량의 점검시설로 통행하기 위한 출입구의 사다리에 있어서, 출입용 사다리를 교량의 방호책에 사다리 골조의 한 쪽만 고정하고 한쪽은 교량의 측면으로 돌출시켜 사다리의 평면을 교량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시설의 출입사다리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사다리의 하부인 점검시설 위치에서 사다리의 안전망을 교량 쪽으로 개방하여 점검시설의 단면적을 대폭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시설의 출입사다리 설치구조
KR20-2002-0030914U 2002-10-14 2002-10-14 교량 점검시설의 출입사다리 설치구조 KR2003021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914U KR200302131Y1 (ko) 2002-10-14 2002-10-14 교량 점검시설의 출입사다리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914U KR200302131Y1 (ko) 2002-10-14 2002-10-14 교량 점검시설의 출입사다리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131Y1 true KR200302131Y1 (ko) 2003-01-24

Family

ID=49399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914U KR200302131Y1 (ko) 2002-10-14 2002-10-14 교량 점검시설의 출입사다리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13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192819T1 (de) Zerlegbares fassadengerüst
US20070094942A1 (en) Safety barrier for multi-storey buildings
KR101182207B1 (ko) 안전구조의 교량점검용 출입사다리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100927317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0302131Y1 (ko) 교량 점검시설의 출입사다리 설치구조
CN211006343U (zh) 一种拼装式钢结构梯笼
KR100828576B1 (ko) 이동식 틀비계용 난간대
KR200303835Y1 (ko) 안전체험 교육 구조물
CN212053862U (zh) 电梯安装用可调节洞口防护装置
US20040020713A1 (en) Building-mountable construction safety platform apparatus and method
KR101995334B1 (ko) 선체블록작업용 가설발판 설치대
AU2016208324A1 (en) Scaffolding System
CN218843819U (zh) 一种施工用的临边防护结构
KR100732973B1 (ko) 지하구조물 출입구의 발판
CN220621743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检修爬梯
JP3137257B2 (ja) 足場装置および足場構築工法
KR200167414Y1 (ko) 교량의 안전점검통로 출입 사다리
JP3046767U (ja) 仮設用ベランダステップ
CN211056565U (zh) 塔吊防攀爬的装置
CN215107217U (zh) 一种具有安全防护网的脚手架
KR102642670B1 (ko)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
KR100284172B1 (ko) 발코니 난간의 아동추락방지용 보호장치
CN210598243U (zh) 一种基坑临边高低跨扶梯装置
JP2002242570A (ja) 昇降タ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