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001Y1 - 골재 선별용 스크린 철망 - Google Patents

골재 선별용 스크린 철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001Y1
KR200302001Y1 KR20-2002-0029406U KR20020029406U KR200302001Y1 KR 200302001 Y1 KR200302001 Y1 KR 200302001Y1 KR 20020029406 U KR20020029406 U KR 20020029406U KR 200302001 Y1 KR200302001 Y1 KR 2003020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ggregate
steel wire
screen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두혁
Original Assignee
안두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두혁 filed Critical 안두혁
Priority to KR20-2002-0029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0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0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0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갈이나 쇄석(碎石) 등의 골재를 일정한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는 골재선별용 스크린 철망에 관한 것으로서, 내마모성의 향상과 함께 자갈이나 쇄석과 같은 골재의 선별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골재선별용 스크린 철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프레임의 내측에 물결형상의 압연 강선이 다수개가 밀접되게 배열되어 마름모 형상의 선별구멍을 형성하고, 각각의 강선 양쪽 끝부분은 프레임에 고정된다. 그리고 각각의 강선 일부분은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므로 골재의 하중으로 인해 강선들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압연 강선으로 인하여 내마모성이 증가되어 스크린 철망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강선들의 떨림에 의해 선별구멍을 통과하기 위한 골재의 모션이 많이 이루어지므로 골재의 선별효율을 증가된다. 더욱이, 기존의 제품보다 선별효과와 내마모성이 향상되는 반면, 생산원가는 저렴한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재 선별용 스크린 철망{Wire-screen for sorting aggregate}
본 고안은 자갈 등의 골재를 선별하는 스크린 철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갈이나 쇄석(碎石) 등의 골재를 일정한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는 골재 선별용 스크린 철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갈과 같은 골재는 아스팔트포장이나 건축물의 기초공사 등 건설 및 건축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자갈의 경우에는 무분별한 채취로 인해 희소해진 상태이며, 이를 대체하기 위하여 쇄석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쇄석은 파쇄장치에 의해 자갈과 같은 크기로 파쇄된 후, 스크린 망에 의해 용도에 맞는 크기별로 선별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크린 망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종래의 골재선별용 스크린 철망(10)은 프레임(도시생략)의 내측에 다수개의 환봉형상의 강선(21)이 바둑판과 같은 패턴으로 서로 교차되어 스크린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스크린 철망(10) 위를 지나가는 골재 중 선별구멍(22)보다 작은 크기의 골재만 선별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골재선별용 스크린 철망(10)은 와이어나 환봉에 의해 제작되므로 생산원가가 저렴하고 선별효율이 비교적 양호한 장점이 있으나, 반복되는 선별작업으로 인하여 쉽게 파손되고, 선별구멍(22)에 끼워진 골재로 인하여 선별구멍(22)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쇄석나 자갈과 같은 골재를 반복적으로 선별하게 되면, 스크린 철망(10)의 표면에 마모가 발생된다. 따라서, 단순히 와이어나 환봉을 사용하여 제작된 스크린 철망은 반복되는 선별작업으로 인하여 쉽게 마모되어 파손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골재선별용 스크린 철망(10)은 선별구멍(22)에 골재가 끼워지는 경우, 선별구멍(22)의 크기나 형상이 변형되나, 원래상태로 복원되기 위한 별도의 특성을 가지지 못하므로 일정한 크기의 골재를 선별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광석 바이브레이팅 스크린용 개량망(공개번호 실1998-025239)의 경우에는 합성수지나 고무재의 망판(30) 내부에 횡과 종으로 철선(31)이 내장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광석 바이브레이팅 스크린용 개량망(11)은 합성수지나 고무재를 사용하여 망판(30)을 성형하므로 망판(30)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으나, 망판의 제작에 많은 비용이 지출되어 생산원가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합성수지를 사용한 스크린용 개량망(11)은 일반 강선으로 제작되는 스크린 철망과 비교해 볼 때, 우수한 내마모성을 갖는다. 그러나, 높은 생산원가로 인하여 제품의 판매가격이 대략 8~10배정도 더 비싸게 책정되므로 현실적으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합성수지를 사용한 스크린용 개량망은 합성수지가 갖는 고유의 마찰저항과 낮은 탄발력으로 인하여 일반 강선으로 제작된 스크린용 철망보다 10~20% 정도 선별효율이 떨어지는 치명적인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마모성의 향상과 함께 스크린 철망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자갈이나 쇄석과 같은 골재의 선별효율을 월등히 높이며, 일정한 크기의 골재를 장기간 지속적으로 선별할 수 있는 골재선별용 스크린 철망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스크린 철망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다른 스크린 철망의 일부분 확대 사시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스크린 철망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5a는 도 3의 B부 확대 단면도,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철망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스크린 철망의 일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스크린 철망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일부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 철망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일부분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51 : 스크린 철망 60,61 : 프레임
70 : 강선 71 :수평강선
72 : 수직강선 75 : 수평결합홈
76 : 수직결합홈 80 : 접합부
90,91 : 선별구멍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골재선별용 스크린 철망은 자갈이나 쇄석 등의 골재를 선별하는 스크린 철망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다수개가 밀접되게 배열되며, 양쪽 끝부분이 프레임에 고정되는 물결형상의 강선과; 상기 강선들의 일부분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골재의 하중으로 인해 강선들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의 접합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골재선별용 스크린 철망은 자갈이나 쇄석 등의 골재를 선별하는 스크린 철망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양쪽 끝부분이 프레임에 고정되고, 저면에 다수개의 수평결합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수평강선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양쪽 끝부분이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수평결합홈에 결합되도록 윗면에 다수개의 수직결합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수직강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도 4, 도 5a, 그리고 도 5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본 고안의 골재선별용 스크린 철망(50)은 크게 프레임(60)과 다수개의 강선(70) 및 접합부(80)로 이루어진다.
먼저, 프레임(60)은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직사각형외에 정사각형 등으로 변경 가능하고, 별도의 금속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한 강선(70)을 이용하여 프레임(60)을 형성하는 것이 생산측면에서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바람직하다.
강선(70)은 대략 파형(波形), 즉 물결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프레임(60)의 내측에 다수개가 밀접되게 배열되어 정사각형에 가까운 마름모 형상의 선별구멍(90)을 다수개 형성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강선(70) 양쪽 끝부분은 프레임(60)의 내측면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된다. 그리고 강선(70)은 내마모성을 갖도록 스테인레스 스틸의 환봉을 일정한 두께로 납작하게 압연한 강선(7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압연된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강선(70)은 대략 단면형상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윗면과 저면에 라운딩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강선(70)은 반복되는 골재선별작업에도 강한 내마모성을 갖으며, 라운딩부에 의해 골재(G)의 선별 및 이송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접합부(80)는 각각의 강선(70)이 용접 등에 의해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도 4 및 도 5a에서 보인 바와 같이 프레임(60)측과 스크린 철망(50)의 중앙 양측부분에 형성된다. 먼저, 프레임(60)측의 접합부(80)는 강선(70)이 프레임(60)측에 보다 견고하게 접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스크린 철망(50)의 중앙 양측부분에 형성되는 접합부(80)는 골재(G)에 의한 스크린 철망(50)의 처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대략 강선(70)의 횡으로 1/3지점과 2/3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종방향으로 각각의 인접한 강선(70)을 용접 등에 의해 서로 일체로 접합하므로서 전체적으로 라인형태로 보이게 되며, 각각의 라인형태는 세부적으로 3개의 라인형태로 보이게 된다.
한편, 라인형태의 접합부(80)는 본 고안에서는 두 군데 형성하였으나, 강선(70)의 길이, 또는 스크린 철망(50)의 크기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철망(50)은 자갈이나 파쇄된 쇄석과 같은 골재(G)를 선별할 때 골재(G)가 선별구멍(90)을 잘 통과하므로 선별효율을 높이게 된다.
상술하면, 스크린 철망(50) 위에 놓여진 골재(G)중 선별구멍(90)보다 작은 골재(G)는 선별구멍(90)을 통과하여 무난하게 선별되나, 선별구멍(90)보다 부분적으로 큰 골재(G)나 조금 큰 골재(G)는 일차적으로 선별구멍(90)에 끼워지게 된다.
그러나 강선(70)들은 선별작업중 발생되는 스크린 철망(50)의 떨림에 의해 도 5b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떨리게 된다. 그 이유는 강선(70)들이 접합부(80)를 제외하고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강선(70)들의 상하 떨림으로 인하여 선별구멍(90)도 신축적으로 떨리게되고, 이로 인하여 선별구멍(90)에 끼워진 골재(G)도 상하좌우로 떨리면서 선별구멍(90)을 통과하기 위한 모션이 많이 이루어지므로 자갈이나 파쇄된 쇄석과 같은 골재(G)의 선별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선별구멍(90)은 떨림에 의해 그 크기가 신축적으로 조금 변화되나 정사각형에 가까운 마름모 형상과 그 크기는 변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선별구멍(90)이 물결형상으로 이루어진 강선(70)의 밀접한 배열에 의해 형성되었기 때문이며, 이로 인하여 일정한 크기의 골재(G)를 장기간 지속적으로 선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스크린 철망(50)은 일반 철망으로 제작된 제품보다 대략 10~20%의 선별효과가 향상되며, 고가의 우레탄 제품보다는 대략 30~40% 정도 선별효과가 높다.
더욱이, 제1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스크린 철망(50)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환봉을 압연한 강선(70)이 사용되므로 골재(G)와의 반복되는 마찰에도 높은 내마모성을 갖는다. 따라서, 일반 철망으로 제작된 제품보다 대략 4~5배 정도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다.
도 6, 도 7, 그리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골재(G)선별용 스크린 철망(51)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크게 프레임(61)과 다수개의 수평강선(71)과 수직강선(72)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프레임(61)은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직사각형외에 정사각형 등으로 변경 가능하고, 별도의 금속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강선을 이용하여 프레임(61)을 형성하는 것이 제작측면에서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바람직하다.
수평강선(71)은 도 6 및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대략 긴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프레임(61)의 내측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양쪽 끝부분이 프레임(61)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저면에는 다수개의 수평결합홈(75)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수직강선(72)은 도 6 및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프레임(61)의 내측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양쪽 끝부분이 프레임(61)에 용접등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윗면에는 상기한 수평결합홈(75)에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수직결합홈(76)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수평강선(71)과 수직강선(72)의 결합으로 인하여 대략 정사각 형상의 선별구멍이 형성된다.
한편, 수평결합홈(75)은 수평강선(71) 높이의 1/3 깊이로 형성하고, 수직결합홈(76)은 수직강선(72) 높이의 2/3 깊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결합부분중 수평강선(71)이 골재(G)와 직접 마찰되어 마모되기 때문인데, 수직결합홈(76)의 깊이를 적게하여 마모에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스크린 철망(51)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수평강선(71)과 수직강선(72)은 제1실시예의 강선과 같이 스테인레스 스틸의 환봉을 납작하게 압연한 강선을 사용하므로 내마모성을 높이고, 윗면과 저면에 라운딩부를 형성하여 반복되는 골재(G)선별작업에도 골재(G)의 선별 및 이송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철망(51)은 제1실시예와 같이 자갈이나 파쇄된 쇄석과 같은 골재(G)를 선별할 때, 골재(G)가 선별구멍(91)에 걸리지 않으므로 선별효율을 높이게 된다.
상술하면, 스크린 철망(51) 위에 놓여진 골재(G)중 선별구멍(91)보다 작은 골재(G)는 선별구멍(91)을 통과하여 무난하게 선별되나, 선별구멍(91)보다 부분적으로 큰 골재(G)나 조금 큰 골재(G)는 선별구멍(90)에 끼워지거나 머물게 된다. 그러나 도 8에서 보인 바와 같이 선별과정중 발생되는 스크린 철망(51)의 떨림에 의해 수평강선(71)들과 수직강선(72)들은 개별적으로 떨리게 된다.
이러한 수평강선(71)들과 수직강선(72)들은 수평결합홈(75)과 수직결합홈(76)에 의해 결합된 상태이므로 골재(G)의 하중 등에 의해 떨리게 된다. 따라서, 수평강선(71)과 수직강선(72)의 전체적인 떨림과 개별적인 상하 떨림으로 인하여 선별구멍(90)에 끼워진 골재(G)도 상하좌우로 떨리게 되면서 선별구멍(91)을 통과하기 위한 모션이 많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자갈이나 파쇄된 쇄석과 같은 골재(G)의 선별효율이 향상되며, 일반 철망으로 제작된 제품보다 선별효과가 향상되고, 고가의 우레탄 제품보다는 더 높은 선별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스크린 철망(51)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환봉을 압연한 수평강선(71)과 수직강선(72)이 사용되므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골재(G)와의 반복되는 마찰에도 높은 내마모성을 갖는다. 따라서, 일반 철망으로 제작된 제품보다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다.
더욱이, 선별구멍(91)은 수평강선(71)과 수직강선(72)의 떨림에 의해 그 크기가 신축적으로 조금 변화되나 정사각 형상과 그 크기는 변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선별구멍(90)이 수평결합홈(75)과 수직결합홈(76)에 의해 수평강선(71)과 수직강선(72)가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일정한 크기의 골재(G)를 장기간 지속적으로 선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외에 보다 내마모성을 갖는 재질을 압연하여 제작 가능한 것이고, 선별구멍의 크기는 골재의 크기에 따라서 3mm, 8mm, 13mm, 19mm, 25mm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환봉을 압연한 강선이 사용되므로 장기간 골재 선별작업이 진행되더라도 마모가 적게 발생되어 스크린 철망의 수명이 장기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강선의 떨림에 의해 골재의 움직임을 증가시키므로 선별구멍을 통과하기 위한 골재의 모션이 많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골재의 선별효율을 크게 증대시켜 스크린 철망의 경쟁력을 높이고,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선별구멍이 변하지 않으므로 일정한 크기의 골재를 지속적으로 선별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은 일반 철재나 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제품망보다 선별효과가 뛰어나고, 내마모성은 일반 철재로 제작된 제품 보다 높은 반면,제조 원가는 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로 제작한 제품보다 저렴하다. 따라서, 제품수요자에게 저렴한 가격과 높은 선별효율의 스크린 철망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자갈이나 쇄석 등의 골재를 선별하는 스크린 철망에 있어서,
    프레임(60)과;
    상기 프레임(60)의 내측에 다수개가 접하게 배열되어 다수개의 선별구멍(90)을 형성하며, 양쪽 끝부분이 프레임(60)에 고정되는 물결형상의 강선(70)과;
    상기 강선(70)들의 일부분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골재(G)의 하중으로 인해 강선(70)들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의 접합부(8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선별용 스크린 철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80)는 강선(70)들의 일부분을 가로질러 라인형태로 인접한 강선(70)들을 서로 접합되도록 하여 강선(70)들의 중앙부분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선별용 철망.
  3. 자갈이나 쇄석 등의 골재를 선별하는 스크린 철망에 있어서,
    프레임(61)과;
    상기 프레임(61)의 내측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양쪽 끝부분이 프레임(61)에 고정되고, 저면에 다수개의 수평결합홈(75)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수평강선(71)과;
    상기 프레임(61)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상기 수평강선(71)을 가로질러 다수개가 배열되어 선별구멍(91)을 형성하며, 양쪽 끝부분이 프레임(61)에 고정되고, 상기 수평결합홈(75)에 결합되도록 윗면에 다수개의 수직결합홈(76)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수직강선(7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선별용 스크린 철망.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강선의 수평결합홈(75)은 수평강선(71) 높이의 1/3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강선의 수직결합홈(76)은 수직강선(72) 높이의 2/3 깊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선별용 스크린 철망.
  5. 제 1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70)과 수평강선(71) 및 수직강선(72)은 압연된 환봉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선별용 스크린 철망.
KR20-2002-0029406U 2002-10-01 2002-10-01 골재 선별용 스크린 철망 KR2003020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406U KR200302001Y1 (ko) 2002-10-01 2002-10-01 골재 선별용 스크린 철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406U KR200302001Y1 (ko) 2002-10-01 2002-10-01 골재 선별용 스크린 철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944A Division KR100497499B1 (ko) 2002-10-01 2002-10-01 골재 선별용 스크린 철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001Y1 true KR200302001Y1 (ko) 2003-01-24

Family

ID=49330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406U KR200302001Y1 (ko) 2002-10-01 2002-10-01 골재 선별용 스크린 철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0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362B1 (ko) * 2014-10-08 2015-02-04 금광개발 주식회사 5mm 이하의 부순 모래를 효율적으로 선별하기 위한 체 거름망(sieve) 및 그 이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362B1 (ko) * 2014-10-08 2015-02-04 금광개발 주식회사 5mm 이하의 부순 모래를 효율적으로 선별하기 위한 체 거름망(sieve) 및 그 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7499B1 (ko) 골재 선별용 스크린 철망
EP1002588B1 (en) Panel for a screen
US7264125B2 (en) Undulating molded plastic vibratory screen
CN101702887A (zh) 震动筛网
US3970550A (en) Moulded elastomeric screen mat for sieving devices
EP0062675B1 (en) Sieve screen
US8919568B2 (en) Screening for classifying a material
KR200302001Y1 (ko) 골재 선별용 스크린 철망
CA2590643C (en) Rider bar for screening element or wear-resistant lining
JP2004532119A (ja) 振動式フィーダのバースクリーンモジュール
CA2623992C (en) Screen panels
KR200312568Y1 (ko) 골재 선별용 스크린 철망
KR20140142042A (ko) 판형 스크린망
US3217881A (en) Resiliently suspended screen vibrated by impact
CN103203322B (zh) 具有带孔的陶瓷部件的筛子中膜元件
US6685028B1 (en) Screening equipment
WO2012064384A1 (en) Screening panel
CN206868617U (zh) 一种建筑废弃物筛分机的自清洁振动筛网
RU2655861C2 (ru) Просеивающая поверхность
JPH0632878Y2 (ja) 振動篩機用網
CN2544838Y (zh) 自清理筛网
RU2119833C1 (ru) Сито грохота
CN2222573Y (zh) 一种振动筛用筛子
CN215313862U (zh) 波浪型开口防堵筛板
KR200395460Y1 (ko) 선별장치용 선별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