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834Y1 - 허리띠기능성 줄자 - Google Patents

허리띠기능성 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834Y1
KR200301834Y1 KR20-2002-0030309U KR20020030309U KR200301834Y1 KR 200301834 Y1 KR200301834 Y1 KR 200301834Y1 KR 20020030309 U KR20020030309 U KR 20020030309U KR 200301834 Y1 KR200301834 Y1 KR 2003018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measure
main body
body housing
pulle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나
Original Assignee
김유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나 filed Critical 김유나
Priority to KR20-2002-0030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8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8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8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41Measuring tapes characterised by casings

Abstract

본 고안은 탈착장치를 구비하여 측정 조작이 간편하고, 측정된 수치의 확인이 용이하며, 스파이럴 스프링을 장착하여 측정 후 되감는 수고를 줄여주는 허리띠기능성 줄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본체 하우징, 본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풀리, 일단이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풀리의 회전축에 고정된 스파이럴 스프링, 풀리에 감겨진 줄자, 본체 하우징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줄자의 측정수치를 표시하는 표시창, 및 본체 하우징의 일 측면에 설치된 착탈장치를 구비한 본체; 일단은 본체 하우징의 타 측면에 부착되고, 타단은 줄자의 일단과 결합되고, 줄자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구조를 가진 탄력성 밴드; 및 밴드의 타단과 줄자의 일단을 함께 고정결합하고, 본체의 착탈장치에 결합해체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허리띠기능성 줄자{BELTED MEASURING TAPE}
본 고안은 신체부위의 허리둘레 길이를 측정하는 허리띠기능성 줄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탈착장치를 구비하여 측정 조작이 간편하고, 측정된 수치의 확인이 용이하며, 스파이럴 스프링을 장착하여 측정 후 되감는 수고를 줄여주는 허리띠기능성 줄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허리측정용 줄자는 허리선과 같은 곡면의 둘레길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대부분 신축성과 강성이 최소화된 긴 테입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하여 측정자는 줄자를 피측정자의 허리에 두르고 조심스럽게 측정된 수치를 읽어야 했다. 따라서, 측정자는 두 손으로 줄자의 양끝을 잡은 상태에서 테입 위에 조밀하게 배치된 단위계의 눈금을 근접거리에서 읽어야 하고, 측정 후에는 풀어진 줄자를 되감는 불편을 감수하여야만 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허리측정용 줄자에 의하면, 측정자의 도움없이 피측정자 단독으로 자신의 허리둘레 길이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고안의 목적은 줄자의 말단에 탈착장치를 부착하여 측정이 완료될 때까지 측정자가 손을 사용해야만 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는 허리띠기능성 줄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측정자가 정밀한 수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된 수치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표시창을 포함하는 허리띠기능성 줄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허리둘레 길이를 측정한 후에 줄자를 되감는 수고를 줄일 수 있는 허리띠기능성 줄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허리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줄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허리띠기능성 줄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허리띠기능성 줄자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구성요소 중에서 표시창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허리띠기능성 줄자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구성요소 중에서 줄자의 b-b'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허리띠기능성 줄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본체 하우징
12 : 풀리 12a :풀리 회전축
13 : 스파이럴 스프링 13a : 스파이럴 스프링 고정편
14 : 줄자 15 : 표시창
15a : 기준선 16 : 착탈장치
16a : 착탈버튼 20 : 밴드
22 : 중공부 30 : 결합부재
40 : 훅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허리띠기능성 줄자는 본체 하우징, 본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풀리, 일단이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풀리의 회전축에 고정된 스파이럴 스프링, 풀리에 감겨진 줄자, 본체 하우징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줄자의 측정수치를 표시하는 표시창, 및 본체 하우징의 일 측면에 설치된 착탈장치를 구비한 본체; 일단은 본체 하우징의 타 측면에 부착되고, 타단은 줄자의 일단과 결합되고, 줄자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구조를 가진 탄력성 밴드; 및 밴드의 타단과 줄자의 일단을 함께 고정결합하고, 본체의 착탈장치에 결착해체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의하면, 본 고안에 의한 벨트기능성 줄자의 제1 실시예는 본체(10)와 그 일단이 본체(10)의 일 측면에 부착된 밴드(20)와 밴드(20)의 타단에 고정결합되어 본체(10)와 결합/해체되는 결합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 의하면, 본 고안에 의한 벨트기능성 줄자의 본체(10)는 본체 하우징(11), 본체 하우징(11) 내부에 설치된 풀리(12), 일단이 본체 하우징(11)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풀리(12)의 회전축(12a)에 고정된 스파이럴 스프링(13), 풀리(12)에 감겨진 줄자(14), 본체 하우징(11)의 전면부(11a)에 설치되어 줄자(14)의 측정수치를 표시하는 표시창(15), 및 본체 하우징(11)의 일 측면에 설치된 착탈장치(16)를 구비한다.
본체 하우징(11)은 장방향 또는 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일반적인 허리띠 버클과 비슷한 크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하우징(11) 내부에는 수직 방향의 회전축(12a)을 가진 풀리(12)가 설치된다.
스파이럴 스프링(13) 중심의 자유단 끝은 풀리 회전축(12a)에 고정되고, 외주의 고정단 끝은 스파이럴 스프링 고정편(13a)에 의하여 본체 하우징(11)에 고정된다. 또한, 스파이럴 스프링(13)의 동심축 상에 줄자(14)가 감겨져 있는 풀리(12)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풀리(12)에 감겨져 있는 줄자(14)는 신축성과 강성이 최소화된 테입 형태를 지니고, 눈금과 대응하는 수치가 도안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줄자(14)는 스파이럴 스프링(13)의 복원력에 대응하는 충분한 인장력을 가진 한 그 두께가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한정된 크기의 본체 하우징(11) 내에 인체 허리둘체를 측정하기에 충분한 길이의 줄자(14)를 수용하기 위함이다.
본체 하우징의 전면부(11a) 중앙에는 줄자의 눈금 및 즉정수치를 확인할 수있는 표시창(15)이 위치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창(15)의 중앙부에는 눈금측정의 정밀성을 높이기 위하여 기준선(15a)을 표시하고, 줄자(14)의 측정수치를 확대 표시하는 볼록렌즈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11)에서 줄자(14)가 인출되는 측의 반대측에는 후술되는 결합부재(30)를 결합/해체하기 위한 착탈장치(16)가 본체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미 상용화되고 있는 여러 형태의 원터치형 착탈장치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본 고안의 착탈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착탈장치(16)와 결합부재(30)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준다.
본체 하우징(11)의 줄자(14)가 인출되는 측에는 신축성이 우수한 밴드(20)가 부착된다. 도 6에 의하면 밴드(20)의 내부는 줄자(14)가 길이 방향으로 자유로이 유동 가능하도록 하는 중공부(22)를 갖는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밴드 부재(21)를 길이 방향으로 외곽에만 봉제함으로써 중공 구조를 구성한 것이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중공 구조를 갖는 모든 형태의 밴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체 하우징(11)에서 인출된 줄자(14)는 밴드(20)의 중공부(22)를 관통하여 밴드(20)의 본체 하우징(11)에 연결되지 않은 끝단과 결합된다.
결합부재(30)는 본 실시예에서 선택된 착탈장치(16)에 결합/해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미 상용화되고 있는 여러 형태의 원터치형 착탈장치들 중에서 선택된 착탈장치에 대응하는 결합부재가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30) 밴드의 본체 하우징(11)에 연결되지 않은 끝단과 줄자의 끝단을 함께 고정결합한다.
한편, 착탈장치(16)와 결합부재(30)가 결합된 상태에서 표시창(15)과 결합부재(30) 사이의 거리가 보정되어 줄자(14)의 눈금 및 측정수치를 도안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허리띠기능성 줄자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체(10)와 결합부재(30)를 잡아당겨서 밴드(20)를 적정 길이만큼 늘인다. 이때 밴드(20)의 중공부(22)에 내삽된 줄자(14)가 본체(10)로부터 밴드(20)의 인장된 길이만큼 인출된다. 그 후 밴드(20)를 피측정자의 허리에 두러고 결합부재(30)를 본체(10)의 착탈장치(16)에 결합하면, 밴드(20)의 탄성력과 스파이럴 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줄자(14)를 내삽한 밴드는 피측정자의 허리에 팽팽하게 결착된다. 이 때, 본체(10)의 전면부에 설치된 표시창(15)을 통하여 측정자 또는 피측정자는 피측정자의 허리 둘레를 측정할 수 있다.
허리둘레 측정 후, 착탈장치(16)의 착탈버튼(16a)을 눌러서 결합부재(30)를 해체하면, 밴드(20)는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고, 밴드(20)의 인장 길이만큼 인출되었던 줄자(14)는 스파이럴 스프링(13)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다시 풀리(12)에 감기게 되어 측정동작이 완료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전술한 제 1실시예의 본체 착탈장치(16)와 결합부재(30)가 훅 구조체(40)로 대체되는 구성을 지니고 있으며, 그 이외의 구성 및 작동은 제 1실시예의 구성 및 작동과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고안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본 고안의 실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져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실용신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띠기능성 줄자의 사용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허리띠기능을 지니고 있어 별도의 측정자가 없어도 손쉽게 정밀한 허리둘레의 측정이 가능해진다. 최근 들어 서구화된 식생활과 불규칙한 식습관으로 인하여 비만인구가 많아지고 있고 그로 인해 체중조절에 관심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인간은 자신의 신체측정치를 남에게 알려주기를 꺼려하는 심리가 있으므로, 타인의 도움없이 손쉽게 허리둘레를 측정할 수 있는 본 고안의 사용은 상기 심리상태에 따른 요구사항을 해결할 수 있게 한다.
둘째, 줄자의 사용 후 복원을 위한 별도의 시간과 노력이 불필요하므로 바쁜 현대인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셋째, 지속적 착용이 가능하므로 체중조절계획의 진행시 측정치의 변화량의 인식이 상시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Claims (3)

  1. 본체 하우징, 본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풀리, 일단이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풀리의 회전축에 고정된 스파이럴 스프링, 풀리에 감겨진 줄자, 본체 하우징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줄자의 측정수치를 표시하는 표시창, 및 본체 하우징의 일 측면에 설치된 착탈장치를 구비한 본체;
    일단은 본체 하우징의 타 측면에 부착되고, 타단은 줄자의 일단과 결합되고, 줄자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구조를 가진 탄력성 밴드; 및
    밴드의 타단과 줄자의 일단을 함께 고정결합하고, 본체의 착탈장치에 결합해체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띠기능성 줄자.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의 착탈장치와 밴드 타단의 결합부재는
    훅 구조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띠기능성 줄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표시창은
    줄자의 측정수치를 확대 표시하는 볼록렌즈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띠기능성 줄자.
KR20-2002-0030309U 2002-10-10 2002-10-10 허리띠기능성 줄자 KR2003018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309U KR200301834Y1 (ko) 2002-10-10 2002-10-10 허리띠기능성 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309U KR200301834Y1 (ko) 2002-10-10 2002-10-10 허리띠기능성 줄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834Y1 true KR200301834Y1 (ko) 2003-01-24

Family

ID=4932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309U KR200301834Y1 (ko) 2002-10-10 2002-10-10 허리띠기능성 줄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83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847B1 (ko) * 2014-02-17 2015-05-15 김수환 나무 생장량 측정장치를 이용한 나무 생장 관리시스템
KR101523582B1 (ko) * 2013-11-20 2015-05-28 김수환 나무 생장량 측정장치
WO2022250198A1 (ko) * 2021-05-27 2022-12-01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길이측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582B1 (ko) * 2013-11-20 2015-05-28 김수환 나무 생장량 측정장치
KR101520847B1 (ko) * 2014-02-17 2015-05-15 김수환 나무 생장량 측정장치를 이용한 나무 생장 관리시스템
WO2022250198A1 (ko) * 2021-05-27 2022-12-01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길이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4025B1 (en) Blood pressure monitor
US6547741B2 (en) Wrist sphygmomanometer
EP1549384B1 (en) An apparatus for and a method of adjusting the length of an infusion tube
US4354503A (en) Blood pressure cuff
JPH0237169B2 (ko)
KR102265174B1 (ko) 신생아용 맥박 계측기
KR20210150361A (ko) 물체, 특히 신체 부위의 둘레를 측정하는 장치
KR200301834Y1 (ko) 허리띠기능성 줄자
CN109069012B (zh) 脉搏波检测装置以及生物体信息测量装置
KR101089494B1 (ko) 혈압계용 커프 및 그것을 구비한 혈압계
CN210204710U (zh) 指套式血压血氧心率测量装置
JP5061848B2 (ja) センサ装着用バンド及び生体情報機器
WO2018231858A1 (en) System and method to monitor breathing utilizing posture and diaphragm sensor signals
JP2013034511A (ja) センサ機器装着ベルト
CN105919580B (zh) 一种血压计用腕带
US20080119744A1 (en) Cuff structure for sphygmomanometers
CN219700149U (zh) 一种带测量尺的提示标识腕带
CN218356202U (zh) 一种血压计袖带
JPH09166432A (ja) 巻 尺
CN217525112U (zh) 一种呼吸监测仪
DK0594618T3 (da) Indretning til måling af en persons respiration
CN212465067U (zh) 一种服装设计用测量尺
US20100269363A1 (en) Waist belt with size ruler indicia
JPH1060719A (ja) メジャー付きのベルト
CN210922868U (zh) 一种温度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