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501Y1 - 로타리 인젝션 탈황장치 - Google Patents

로타리 인젝션 탈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501Y1
KR200301501Y1 KR2019980012561U KR19980012561U KR200301501Y1 KR 200301501 Y1 KR200301501 Y1 KR 200301501Y1 KR 2019980012561 U KR2019980012561 U KR 2019980012561U KR 19980012561 U KR19980012561 U KR 19980012561U KR 200301501 Y1 KR200301501 Y1 KR 200301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ulfurization
refractory
molten iron
hol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5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643U (ko
Inventor
정기복
송근규
김범환
박윤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99800125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501Y1/ko
Publication of KR200000026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6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5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1/00Refining of pig-iron; Cast iron
    • C21C1/02Dephosphorising or desulfur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7/00Stirring devices for molten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6Introducing a fluid jet or current into the charge
    • F27D2003/166Introducing a fluid jet or current into the charge the fluid being a treatment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로타리 인젝션 탈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선 교반력을 증대시켜 탈황율을 향상하여 원단위를 낮추고 원활한 용선 수급으로 작업자의 부하를 경감시킬수 있도록 한 로타리 인젝션(rotary injection) 탈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탈황가스가 인입되는 퀵 커플러와, 상기 퀵 커플러의 하부에 설치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하부에서 수직랜스 몸체에 의하여 연결된 내화물을 클램프에 의하여 수직으로 고정하고, 상기 내화물을 용선의 내부에 침적하여 회전시키는 인젝션 탈황장치에서, 상기 내화물의 길이 방향으로 홀이 형성되되, 상기 홀의 하부에서 상기 홀과 연통된 나선형의 3공노즐을 가져 상기 수직랜스 몸체를 통하여 탈황가스가 인입됨에 따라 상기 수직랜스 몸체와 함께 상기 내화물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로타리 인젝션 탈황장치
본 발명은 로타리 인젝션 탈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선 교반력을 증대시켜 탈황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원단위를 낮추고 원활한 용선 수급으로 작업자의 부하를 경감시킬수 있도록 한 로타리 인젝션 탈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작업 대기상태인 인젝션 탈황장치의 조립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부원료가 추입되는 수직 탈황랜스의 분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탈황랜스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예비처리 취입설비는 내화물(4)이 시공된 수직랜스 몸체(3) 상부에 퀵(8)을 조립한 후, 도 10에 도시된 호이스팅 디바이스(10)에 부착된 크램프(11,12)를 조임새(15,16)로 단단히 체결한다. 이때 클램프(11) 상부에 부착된 플랜지 클램프(14)가 플랜지(2)를 고정하므로써 탈황랜스가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클램프(11,12) 체결작업이 완료되면 퀵 커플러(9)가 체결된 부원료 배관을 연결하게 된다.
내화물(4)의 하부에는 2공 노즐(5)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화물(4)의 상부에는 수직랜스 몸체(3)가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내화물(4)에는 길이 방향으로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홀에는 퀵 커플러(9)를 통하여 인입된 탈황가스가 유입된다. 이후, 상기 탈황가스가 2공 노즐(5)을 통하여 배출되면서 용선의 교반이 이루어진다.
도 5는 종래의 탈황 작업시 평면도이고, 도 6은 종래의 탈황 작업시 정단면도로서, 용선 예비처리에 TLC(torpedo ladle car: 도 12의 1)가 투입되면 호이스팅 다바이스(10)에 장착된 수직랜스는 호이스트(18)에 의해 개구(19)를 통하여 TLC(1) 용선내에 침적되며 동시에 2공 노즐(5)에서 탈황제를 블로잉(browing)하여 인젝션 탈황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이러한 종래 단순 2공 노즐(5)을 통한 인젝션 탈황작업은 탈황제가 양 방향으로만 블로잉 되므로 도 5의 "ㄱ" "ㄴ" 지점의 용선교반력이 미약하여 용선자체의 고른 탈황작업이 난이하며 이로인한 탈황 효율이 저조해짐으로 인해서 슬래그 및 용선이 비산된다.
따라서, 목표성분에 도달하지 못하므로 재 탈황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 작업시간이 장시간 소요되어 공정대기 등 후공정에 차질을 초래하게 되어 작업 부하가 가중됨은 물론 생선상을 저하 시키고 원가상승의 주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선 교반력을 증대시키고 탈황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원단위를 낮추고 원활한 용선 수급으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로타리 인젝션 탈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작업 대기상태인 인젝션 탈황장치의 조립도.
도 2는 종래의 부원료가 취입되는 수직 탈황랜스 부품 분해도.
도 3은 종래의 탈황랜스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부분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탈황 작업시 평면도.
도 6은 종래의 탈황 작업시 정단면도.
도 7은 작업 대기상태인 로타리 인젝션 탈황장치의 조립도.
도 8은 부원료가 취입되는 수직 탈황랜스 부품 해체도.
도 9는 로타리 인젝션 탈황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10는 로타리 인젝션 탈황랜스를 안착 고정하는 클램프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A"부분 단면도.
도 12는 용선의 교반력을 증대시켜 탈황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로타리 인젝션 탈황작업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수직랜스 본체 4: 내화물
5: 노즐 5a: 3공 노즐
6: 베어링 7: 스위블 조인트
8: 퀵 11,12: 클램프
13: 가이드 롤러 15,16: 조임새
17: 베어링 안착홈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탈황가스가 인입되는 퀵 커플러와, 상기 퀵 커플러의 하부에 설치되는 퀵과, 상기 퀵 하부에 설치되는 수직랜스 몸체에 의하여 연결된 내화물을 클램프를 통해 고정하고, 상기 내화물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홀과 연결된 노즐을 통해 상기 탈황가스를 배출시켜 용선을 교반하는 인젝션 탈황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의 하부에 나선형의 3공노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직랜스 몸체 상부에 베어링 및 스위블 조인트가 설치되어 상기 3공 노즐에서 탈황제가 블로잉되는 힘에 의해 수직랜스 몸체가 회전되면서 용선을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 인젝션 탈황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도 7은 작업 대기상태인 로타리 인젝션 탈황장치의 조립도이고, 도 8은 부원료가 취입되는 수직 탈황랜스 부품 해체도이고, 도 9는 로타리 인젝션 탈황장치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10은 로타리 인젝션 탈황랜스를 안착 고정하는 클램프 사시도이며, 도 11는 도 9의 "A"부분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로타리 인젝션 탈황장치는 수직랜스 몸체(3)의 플랜지(2) 상부에 베어링(6)이 부착되고, 수직랜스 몸체(3) 하부에는 내화물(4)이 시공되며 상기 수직랜스 몸체(3)과 퀵(8) 사이에는 스위블 조인트(7)가 볼팅(Bolting) 조립된 후, 사용대기하게 되며 수직 탈황랜스 교환 작업시 퀵 커플러(9) 및 조임새(15, 16)를 돌려서 클램프(11, 12)를 해체한다.
이후, 호이스트(18)를 이용하여 폐 랜스를 적치대로 이송하고 적치대에 사용 대기중인 새로운 랜스를 이송하여 호이스팅 디바이스에 부착된 클램프(11)의 베어링 안착홈(17)에 필로우 베어링 유닛(6-3)을 안착시킨다. 또한 클램프(11)를 조임새(15)로 단단히 조이게 되면 클램프(11)상부에 부착된 베어링 클램프(14-1)가 베어링(6) 상부에 거치되어 베어링(6)이 베어링 안착홈(17)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클램프(12)를 조임새(16)로 조이게 되면 내측에 장착된 클램프 가이드 롤러(13)는 수직랜스를 수직으로 단단히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클램프(11, 12) 체결 작업이 완료되면 퀵(8)에 퀵 커플러(9)를 체결하여 부원료 배관을 연결시킨다.
이후, 용선 예비처리 TLC(1)가 투입되면 호이스팅 다바이스(10)에 장착된 수직랜스는 호이스트(18)에 의해 개구부(19)를 통하여 TLC(1) 용선 내에 침적된다. 이때 탈황제가 블로잉되면 45° 회전각의 나선 형태를 갖는 3공 노즐(5a)에 의해 용선을 원형으로 교반시키며 수직랜스를 회전시키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도 12는 용선의 교반력을 증대시켜 탈황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로타리 인젝션 탈황작업 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필로우 베어링 유닛(6-3)과 수직랜스에 고정된 베어링 서포트(6-1)사이에 베어링 볼(6-2)이 있다. 클램프(12)내측에 안착된 클램프 가이드 롤러(13)와 배관을 연결하는 스위블 조인트(7)는 45° 회전각의 3공 노즐(5a)에서 탈황제가 일정한 압력으로 블로잉되는 힘에 의해 수직랜스 몸체(3)가 회전하게 된다.
즉, TLC(1) 용선 내의 3공 노즐(5a)에서 탈황제가 일정한 압력으로 블로잉되면 수직랜스 몸체(3)에 부착된 스위블 조인트(7)와 베어링 안착홈(17)에 안착된 베어링(6) 및 가이드 롤러(13)가 블로잉되는 힘에 의해 수직랜스 몸체(3)가 회전하여 용선을 원형으로 회전시켜 용선 전체를 신속하게 교반시키게 된다.
따라서 용선의 교반력이 대폭 증가되고 수직랜스 몸체(3) 자체가 회전하므로 인하여 탈황체가 양사방으로 블로잉되므로 도 5의 "ㄱ" "ㄴ" 과 같은 사각지대가 없어지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여 탈황 반응효율이 극대화되므로 재 탈황율이 감소됨은 물론, 원단위를 낮추고 원활한 용선 수급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슬래그(slag) 및 용선의 비산이 방지되고 작업자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탈황가스가 인입되는 퀵 커플러와, 상기 퀵 커플러의 하부에 설치되는 퀵과, 상기 퀵 하부에 설치되는 수직랜스 몸체에 의하여 연결된 내화물을 클램프를 통해 고정하고, 상기 내화물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홀과 연결된 노즐을 통해 상기 탈황가스를 배출시켜 용선을 교반하는 인젝션 탈황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의 하부에 나선형의 3공 노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직랜스 몸체 상부에 베어링 및 스위블 조인트가 설치되어 상기 3공 노즐에서 탈황제가 블로잉되는 힘에 의해 상기 수직랜스 몸체가 회전되면서 용선을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인젝션 탈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랜스 몸체에 장착되어 상기 수직랜스 및 내화물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하는 가이드 롤러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 인젝션 탈황장치.
KR2019980012561U 1998-07-09 1998-07-09 로타리 인젝션 탈황장치 KR200301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561U KR200301501Y1 (ko) 1998-07-09 1998-07-09 로타리 인젝션 탈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561U KR200301501Y1 (ko) 1998-07-09 1998-07-09 로타리 인젝션 탈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643U KR20000002643U (ko) 2000-02-07
KR200301501Y1 true KR200301501Y1 (ko) 2003-05-17

Family

ID=49329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561U KR200301501Y1 (ko) 1998-07-09 1998-07-09 로타리 인젝션 탈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5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334B1 (ko) 2012-12-21 2014-10-06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탈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334B1 (ko) 2012-12-21 2014-10-06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탈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643U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176383B (en) Nozzle for introducing gases
US5630713A (en) Rotary burner
KR200301501Y1 (ko) 로타리 인젝션 탈황장치
US4449701A (en) Tuyere for the injection of gases into a metallurgical vessel
JPH11293318A (ja) 回転力伝達部における連結装置
KR101167122B1 (ko) 출선구 중심 관리장치
CN217536048U (zh) 一种挡渣板机构及开口机
KR102298007B1 (ko) 레이들 교반장치용 키결합구조
JPH057227Y2 (ko)
JP2940636B2 (ja) 溶融金属容器のガス吹込みノズルの交換方法
US6010658A (en) Apparatus for desulfurization of iron utilizing two spaced apart lances
CN210676940U (zh) 一种下水口固定模框安装装置
JP2847774B2 (ja) 溶融金属の精錬方法
CN218362062U (zh) 一种金属材料熔炼铸造装置
KR100751700B1 (ko) 전로 내화물용 코팅보조기구 및 이를 사용한 코팅방법
JPH0714352Y2 (ja) 傾動式溶融金属炉
JPS6236055Y2 (ko)
JPH0459908A (ja) 溶銑の脱硫方法
KR100408669B1 (ko) 레이들의 불활성 가스 공급장치
CA1128306A (en) Metallurgical vessels
US3841617A (en) Adjustable tuyere for metallurgical vessels
JPH06287624A (ja) 電気炉における酸素吹精方法及び装置
JPS62146208A (ja) 混銑車用スラグストツパ−
JPH086025Y2 (ja) 溶融金属炉の炉底部締結構造
SU1301846A1 (ru) Фурма дл глубинной подачи газопорошковых реагентов в метал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