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191Y1 -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 - Google Patents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191Y1
KR200301191Y1 KR20-2002-0030777U KR20020030777U KR200301191Y1 KR 200301191 Y1 KR200301191 Y1 KR 200301191Y1 KR 20020030777 U KR20020030777 U KR 20020030777U KR 200301191 Y1 KR200301191 Y1 KR 2003011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t
sides
lumbar
human body
s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수
Original Assignee
(주)맞춤운동인터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맞춤운동인터헬스 filed Critical (주)맞춤운동인터헬스
Priority to KR20-2002-00307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1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1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3Back
    • A61H2201/1626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81Hanging
    • A61H2203/0487Hanging upr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체의 요추부를 중력과 반대인 상체 방향으로 견인시 견인용 조끼가 요추부에 밀착되어 미끌어지지 않으면서 척추를 효과적으로 견인할 수 있는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인체의 요추부 배면 및 측면을 체형을 따라서 감싸도록 양측으로 결합편(20) 및 결합 버클(30)과 연설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조임밴드(40)가 다수개 연결 설치되는 조끼 본체부(10)의 양측으로 조끼 측면부(50)가 분할 구성되어 길이 조정이 가능한 연결밴드(60)로서 사용자의 요추부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조끼 본체부(10)의 상부 양측에는 수직 견인벨트(70)가 각각 연설되어, 상기 수직 견인벨트(70)의 단부가 지지 프레임(80) 하단에 설치되는 회전축(90)에 결합되어 인체의 요추부를 중력과 반대인 상체방향으로 견인토록 설치되고, 상기 조끼 본체부(10)의 하부 양측에는 버클(110)이 각각 설치되고, 이와 결합토록 양측 조끼 측면부(50) 하측으로 허벅지 결합벨트(100)가 연설됨으로써, 그 단부의 클립(120)으로 상기 버클(110)과 결합되어 인체의 양측 허벅지에 밀착토록 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A Vest for Lumbar Vertical Traction}
본 고안은 보행 운동을 수행하는 운동자 인체의 요추부를 상체방향으로 견인한 상태에서 보행을 수행시, 중력과 반대인 상체방향으로 인체를 당겨주는 힘에 의해 운동자가 착용한 조끼가 인체의 요추부로부터 미끄러져서 올라가고, 이에 따라 상기 조끼가 흉곽을 압박하면서, 호흡 방해 및 통증을 유발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상기 보행 운동시 발열로 인한 체온상승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요통환자의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종래의 척추 견인용 조끼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견인 조끼를 착용한 상태로 누워서 하체 방향으로 견인되는 수평식 척추견인을 목적으로 만들어져서, 상기 견인용 조끼가 인체 요추부와 밀착되지 않아도 요추부보다 큰 골반이 있어서 하체 방향으로의 척추견인에서 문제가 없었다.
수평식 척추견인에서는 사용자가 바르게 누워서 하체 방향으로 수평견인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하체 방향으로 조끼를 당겨주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중이 착용한 조끼를 눌러주게 되어, 조끼와 요추부가 강하게 밀착됨으로써, 조끼의 요추부 밀착을 위하여 조임밴드를 강하게 매지 않아도 조끼가 미끄러지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평 견인식 조끼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조끼를 착용한 후, 이것을 수직으로 척추견인을 하게될 경우, 인체의 요추부와 조끼의 밀착이 극히 취약하게 되어, 조끼가 요추부로부터 쉽게 미끄러져 요추부 상측으로 올라가게 되며, 이와 같은 경우 조끼가 인체의 흉곽을 압박하게 되어 호흡곤란과 통증을 유발하게 됨은 물론, 인체의 요추부에 착용한 조끼가 겨드랑이까지 올라가게 되어 조끼 상단부가 팔까지 압박하게 되는 등 척추견인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수평용 견인조끼에 비해서 요추부와 조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조끼의 밴드를 강하게 체결하면서, 매직 테이프 등으로 고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상기와 같은 수직 견인용 조끼에 있어서는 조끼의 배면부의 높이가 높게되어 있고 앞면에서만 조끼를 체결함으로써 측면부가 밀착되지 않아서, 상기 조끼를 착용하고 견인을 할 경우에는 상체가 앞으로 기울어지게 되며 상체방향으로 조끼가 미끄러져 올라가고, 상기 조끼가 인체의 상체부위를 모두 감싸고 있어서 운동시 발생되는 발열로 체온이 쉽게 상승하게 되고, 운동자로 하여금 쉽게 피로감을 유발하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견인조끼를 착용 후 이를 상체방향으로 20kg 이상의 힘으로 수직 견인할 경우, 견인용 조끼가 인체의 요추부에서 상체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인체의 요추부가 효과적으로 견인되도록 함은 물론, 이에 따라 척추의 간격이 좁아진 요통환자들의 척추 간격을 넓혀주고, 상기 운동자의 척추가 팽윤되어 신경을 압박하는 디스크를 정상으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수직 견인용 조끼를 착용 후 요추부를 상체 방향으로 견인 할 시에도, 착용한 조끼가 요추부에 밀착되어 장시간 견인을 하여 보행운동을 한 후에도 흉곽 상부로 미끄러져 올라가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운동시 호흡곤란이나 통증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는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의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의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의 착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조끼 본체부 20... 결합편
30... 결합 버클 40...조임밴드
50... 조끼 측면부 60...연결밴드
70...수직 견인벨트 80... 지지 프레임
90...회전축 100...허벅지 결합벨트
110...버클 120...클립
130...매직 테이프 140...쿠션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양측으로 결합편 및 결합 버클과 연설되는 조임밴드가 다수개 연결 설치되어, 인체의 요추부 배면 및 측면을 체형을 따라서 감싸도록 설치되는 조끼 본체부;
상기 조끼 본체부의 양측으로 길이 조정이 가능한 연결밴드를 개재하여 분할설치되는 조끼 측면부;
상기 조끼 본체부의 상부 양측으로 연설되고, 단부가 지지 프레임 하단에 설치되는 회전축에 결합되어 인체의 요추부를 중력과 반대인 상체방향으로 견인토록 설치되는 수직 견인벨트;
상기 조끼 본체부의 하부 양측으로 버클이 각각 설치되고, 양측 조끼 측면부하측으로 연설된후, 클립으로 상기 버클과 결합되어 인체의 양측 허벅지에 밀착토록 설치되는 허벅지 결합벨트; 및
상기 양측 조끼 측면부상에 착설되어 조끼 본체부와 일체로 인체의 요추부에 밀착 고정토록 설치되는 매직 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조끼 본체부와 그 양측으로 연결밴드를 개재하여 연설되는 조끼 측면부 내측에 쿠션재가 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2 및 도 3은 본 고안인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4 및 도 5는 본 고안인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의 저면도 및 착용상태도로서, 인체의 요추부 배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양측으로 결합편(20) 및 결합 버클(30)과 연설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조임밴드(40)가 다수개 연결 설치되는 조끼 본체부(10)의 양측으로 조끼 측면부(50)가 분할 구성되어, 길이 조정이 가능한 연결밴드(60)로서 사용자의 요추부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끼 본체부(10)의 상부 양측에는 수직 견인벨트(70)가 각각 연설되어, 상기 수직 견인벨트(70)의 단부가 지지 프레임(80) 하단에 설치되는 회전축(90)에 결합되어 인체의 요추부를 중력과 반대로 상체 방향으로 견인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조끼 본체부(10)의 하부 양측에는 버클(110)이 각각 설치되고, 이와 결합토록 양측 조끼 측면부(50) 하측으로 허벅지 결합벨트(100)가 연설됨으로써, 그 단부의 클립(120)으로 상기 버클(110)과 결합되어 인체의 양측 허벅지에 밀착토록 설치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양측 조끼 측면부(50)에는 상기 조끼 본체부(10)와 일체로 인체의 요추부에 밀착 고정토록 매직 테이프(130)가 착설되며, 상기 조끼 본체부(10)와 그 양측으로 연결밴드(60)를 개재하여 연설되는 조끼 측면부(50) 내측에는 쿠션재(140)가 착설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체의 요추부 배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수직 견인용 조끼를 착용할 경우, 상기 조끼 본체부(10)의 양측으로 각각 분할 구성되는 조끼 측면부(50)를 인체의 측부와 밀착되도록 조임밴드(40)로 조정한다.
이때, 상기 조끼 본체부(10)의 양측으로 연설되는 다수의 조임밴드(40)는, 그 길이를 인체 체형에 알맞게 조정한 후, 결합 버클(30)에 결합편(20)을 체결시키는 동작에 의해 인체의 요추부 및 측면을 감싸도록 착설되며, 상기 조끼 본체부(10)의 양측으로 분할 구성되는 조끼 측면부(56)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연결밴드(60)로서 체형에 따라서 길이조정을 하여 사용자의 요추부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조끼 본체부(10)의 상부 양측에는 수직 견인벨트(70)가 각각 연설되어, 그 단부가 지지 프레임(80) 하단에 설치되는 회전축(90)에 결합토록 됨으로써, 인체의 요추부를 중력과 반대인 상체방향으로 견인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끼 본체부(10)의 조임밴드(40)를 이용하여 조였을 경우, 상기 조임밴드(40)의 조여주는 느낌이 요추부의 근육 및 골격부위에 직접 압박되어 고통을 주지 않으면서 조끼 본체부(10) 및 조끼 측면부(50)가 요추부 전체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상기 조끼 본체부(10)와 그 양측으로 연결밴드(60)를 개재하여 연설되는 조끼 측면부(50) 내측에 쿠션재(140)가 착설된다.
또한, 상기 조임밴드(40)의 위치를 인체의 요추부에 촘촘히 배치시킴으로써,체형에 따라서 조임밴드(40)의 부위를 달리하며 12번째 갈비뼈 밑에서 골반뼈 사이를 견고하게 조여주게 되어, 효과적인 요추부 밀착과 견인이 이루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임밴드(40)를 통한 흉곽을 조임으로 나타나는 호흡곤란을 방지하면서 조끼 본체부(10) 및 조끼 측면부(40)를 요추부에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견인용 조끼의 폭이 35cm를 넘지 않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 양측 조끼 측면부(50)의 하부 양측에는 허벅지결합벨트(100)가 연설됨으로써, 인체의 허벅지에 상기 허벅지 결합벨트(100)를 착용 후, 그 단부의 클립(120)을 조끼 본체부(10) 하측의 버클(110)에 길이를 조정하여 체결시켜 주는 동작에 의해, 인체의 양측 허벅지에 밀착된다.
한편, 상기 양측 조끼 측면부(50)에는, 상기 조끼 본체부(10)와 일체로 인체의 요추부에 밀착 고정토록 매직 테이프(130)가 착설토록 됨으로써, 조임밴드(40)로 체결된 견인용 조끼를 재차 견고하게 채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에 의하면, 수직 견인조끼를 착용 후 이를 견인할 경우, 수직 견인용 조끼가 인체의 요추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인체의 요추부가 효과적으로 견인될 수 있게 됨은 물론, 이에 따라 척추의 간격이 좁아진 요통환자들의 척추 간격을 넓혀주고, 상기 척추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팽윤되어 신경을 압박하는 디스크를 정상으로 복원시킬 수 있게되며, 상기 수직 견인용 조끼를 착용 후 요추부를 중력과 반대인 상체방향으로 견인기에 견인할 시, 착용한 조끼가 요추부에 밀착되어 장시간 견인에도 흉곽 상부로 미끄러져 올라가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수직 견인용 조끼를 착용하고 보행운동을 할 시 호흡곤란이나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양측으로 결합편(20) 및 결합 버클(30)과 연설되는 조임밴드(40)가 다수개 연결 설치되어, 인체의 요추부 배면 및 측면을 체형을 따라서 감싸도록 설치되는 조끼 본체부(10);
    상기 조끼 본체부(10)의 양측으로 길이 조정이 가능한 연결밴드(60)를 개재하여 분할 설치되는 조끼 측면부(50);
    상기 조끼 본체부(10)의 상부 양측으로 연설되고, 단부가 지지 프레임(80) 하단에 설치되는 회전축(90)에 결합되어 인체의 요추부를 중력과 반대인 상체 방향으로 견인토록 설치되는 수직 견인벨트(70);
    상기 조끼 본체부(10)의 하부 양측으로 버클(110)이 각각 설치되고, 양측 조끼 측면부(50) 하측으로 연설된 후, 클립(120)으로 상기 버클(110)과 결합되어 인체의 양측 허벅지에 밀착토록 설치되는 허벅지 결합벨트(100); 및
    상기 양측 조끼 측면부(50)상에 착설되어 조끼 본체부(10)와 일체로 인체의 요추부에 밀착 고정토록 설치되는 매직 테이프(1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끼 본체부(10)와 그 양측으로 연결밴드(60)를 개재하여 연설되는 조끼 측면부(50) 내측에는 쿠션재(140)가 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
KR20-2002-0030777U 2002-10-15 2002-10-15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 KR2003011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777U KR200301191Y1 (ko) 2002-10-15 2002-10-15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777U KR200301191Y1 (ko) 2002-10-15 2002-10-15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191Y1 true KR200301191Y1 (ko) 2003-01-15

Family

ID=49398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777U KR200301191Y1 (ko) 2002-10-15 2002-10-15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19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846B1 (ko) 2005-01-07 2006-06-30 노인규 하체 착용구가 구비된 척추 견인용 조끼
KR100830182B1 (ko) 2007-05-10 2008-05-20 강욱 의료용보호대
KR200446240Y1 (ko) 2008-02-15 2009-10-09 (주)키네스 척추 보호대가 착설된 척추 수직 견인용 에어조끼
KR20160125825A (ko) 2015-04-22 2016-11-01 김응주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KR102031496B1 (ko) 2018-07-30 2019-10-11 김태민 척추 교정 치료용 수직 견인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846B1 (ko) 2005-01-07 2006-06-30 노인규 하체 착용구가 구비된 척추 견인용 조끼
KR100830182B1 (ko) 2007-05-10 2008-05-20 강욱 의료용보호대
KR200446240Y1 (ko) 2008-02-15 2009-10-09 (주)키네스 척추 보호대가 착설된 척추 수직 견인용 에어조끼
KR20160125825A (ko) 2015-04-22 2016-11-01 김응주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KR102031496B1 (ko) 2018-07-30 2019-10-11 김태민 척추 교정 치료용 수직 견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8543B2 (en) Orthosis closure system with mechanical advantage
US5135470A (en) Shoulder and back support brace
US5551085A (en) Lower lumbar support
EP2200545B1 (en) Adjustable posterior spinal orthosis
US60661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sacroiliac joint injuries
US7819830B2 (en) Knee brace with mechanical advantage closure system
US7927297B2 (en) Therapeutic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US5207627A (en) Device for decompressing the spine and method
US4709692A (en) Thigh mounted lower back support belt
US7037284B2 (en) Specific pelvic compression belt
US4930499A (en) Sacral brace
US4583533A (en) Orthopedic lumbar apparatus
KR101801868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KR200301191Y1 (ko)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
KR101695276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KR101097106B1 (ko)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
KR102376666B1 (ko) 허리 지지 교정벨트
US9226844B2 (en) Apparatus for sacro-lumbar back support, reduction of load on vertebrae discs and stimulation of circulation and muscles through axial tensioning exercises
KR200446240Y1 (ko) 척추 보호대가 착설된 척추 수직 견인용 에어조끼
KR200472601Y1 (ko) 산욕용 골반교정 벨트
JP3200538B2 (ja) 骨盤安定サポータ及び骨盤安定パンツ
JP2576473Y2 (ja) 腰痛帯
CN209899689U (zh) 一种脊柱侧弯矫正装置
JP2001224613A (ja) 姿勢矯正装置
KR20100015101A (ko) 자세 교정 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