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846B1 - 하체 착용구가 구비된 척추 견인용 조끼 - Google Patents

하체 착용구가 구비된 척추 견인용 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5846B1
KR100595846B1 KR1020050001760A KR20050001760A KR100595846B1 KR 100595846 B1 KR100595846 B1 KR 100595846B1 KR 1020050001760 A KR1020050001760 A KR 1020050001760A KR 20050001760 A KR20050001760 A KR 20050001760A KR 100595846 B1 KR100595846 B1 KR 100595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t
fastening
lower body
belt
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인규
Original Assignee
노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인규 filed Critical 노인규
Priority to KR1020050001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8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2Orthopaedic corsets consisting of one or more sh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Neu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체 착용구가 구비된 척추 견인용 조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조끼본체(1)의 뒷판(2)에 형성되며, 바람이 통하도록 함과 아울러 손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한 통풍구(10); 상기 조끼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긴밀히 조이는 기능과 풀림방지 기능이 구비된 체결부(20); 및 상기 조끼본체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 구비되며, 조끼본체를 착용한 상태에서 신체가 밑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하체착용구(3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척추 견인용 조끼와 하체 착용구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상호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치료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조끼의 뒷판에 통풍구를 형성하여 등에 땀이 베이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물리치료사가 이 통풍구를 통해 손을 넣어 등뼈를 시술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조끼체결수단을 개량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풍구, 체결부, 하체 착용구, 척추 견인용 조끼.

Description

하체 착용구가 구비된 척추 견인용 조끼{JACKET TRACTION LUMBAR FOR HAVE ON LOWER PART OF THE BODY}
도 1 은 종래 척추 견인용 조끼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하체 착용구가 구비된 척추 견인용 조끼의
사시도이고,
(b)는 도 2(a)의 정면도이며,
(c)는 도 2(a)의 배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하체 착용구가 구비된 척추 견인용 조끼의 사용상
태도.
도 4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척추 견인용 조끼의 사시도이고,
(b)는 상기 도 4(a)의 정면도이며,
(c)는 상기 도 4(a)의 배면도이다.
도 5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체결부의 암·수체결벨트가 상호 결합된 상
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b)는 상기 암·수체결밸트를 상호 분리하기 전의 상태를 보인 단면
도이다.
도 6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하체 착용구의 정면 사시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하체 착용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조끼본체 10: 통풍구
20: 체결구 30: 하체착용구
본 발명은 하체 착용구가 구비된 척추 견인용 조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척추 견인용 조끼와 하체 착용구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상호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치료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조끼의 뒷판에 통풍구를 형성하여 등에 땀이 베이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물리치료사가 이 통풍구를 통해 손을 넣어 등뼈를 시술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조끼체결수단을 개량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2003-50765호(명칭: 척추 견인용 조끼)를 개량 발명한 것임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척추의 길이방향 양측을 각각 지지하도록 프레임(110)이 내장되는 뒷판(120)과 그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앞판(130)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복부와 요추에 밀착되도록 하는 조끼본체(100)에,
a)상기 조끼본체(100)의 상부에 연결되면서 사용자의 체중을 외부 지지체에 전달하도록 그 양단이 뒷판(120)과 앞판(130)에 연결되는 연결구(210)로서 이루어 지는 조끼지지수단(200)과, b)상기 조끼본체(100)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제1체결부(310)와 사용자의 복부를 압박하는 제2체결부(320)및 상기 제2체결부의 상하측에서 사용자의 흉부및 골반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제3체결부(330)로서 이루어 지는 조끼체결수단(300)이 일체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 앞판(130)의 외측부 상단에 팔을 지지하는 팔지지시트(150)가 연결 구비되며,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인체의 요추부를 견인시 조끼가 요추부에 밀착되어 미끌어지지 않으면서 척추를 효과적으로 견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뒷판(120)에 통풍 역활을 하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등에 땀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견인된 상태에서 물리치료사가 구멍을 통해 등뼈를 만져주면서 치료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체결부가 착탈식의 후크와 밸트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체사이즈에 따라 벨트를 당기거나 풀어주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됨은 물론 조금씩 당기면서 긴밀히 체결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더하여 종래의 기술은 척추 치료기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척추 견인용 조끼만을 입고 운동을 하게 되면 신체가 밑으로 빠져나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척추 치료용 조끼를 느슨하게 매면 신체가 밑으로 빠져나가는 문제점이 있고, 그렇다고 꼭 조여지게 매면 답답해서 운동효과를 얻을 수가 없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척추 견인용 조끼와 하체 착용구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상호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치료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조끼의 뒷판에 통풍구를 형성하여 등에 땀이 베이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물리치료사가 이 통풍구를 통해 손을 넣어 등뼈를 시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조끼체결수단을 개량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하체 착용구가 구비된 견인용 조끼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인체의 요추부를 견인시 조끼가 요추부에 밀착되어 미끌어지지 않으면서 척추를 효과적으로 견인할 수 있도록 한 척추 견인용 조끼에 있어서, 조끼본체의 뒷판에 형성되며, 바람이 통하도록 함과 아울러 손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한 통풍구; 상기 조끼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긴밀히 조이는 기능과 풀림방지 기능이 구비된 체결부; 및 상기 조끼본체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 구비되며, 조끼본체를 착용한 상태에서 신체가 밑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하체착용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하는 하체 착용구가 구비된 척추 견인용 조끼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하체 착용구가 구비된 척추 견인용 조끼는 도 2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된 조끼본체(1)의 기술적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척추의 길이방향 양측을 각각 지지하도록 프레임(3)이 내장되는 뒷판(2)과 그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앞판(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끼본체(1)의 상부에 연결되면서 사용자의 체중을 외부 지지체에 전달하도록 그 양단이 뒷판(2)과 앞판(4)에 연결되는 연결구(6)로서 이루어 지는 조끼지지수단(5)과, 상기 조끼본체(1)의 양단을 상호 연 결하는 제1체결부와 사용자의 복부를 압박하는 제2체결부및 상기 제2체결부의 상하측에서 사용자의 흉부및 골반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제3체결부로서 이루어 지는 조끼체결수단이 일체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 앞판의 외측부 상단에 팔을 지지하는 팔지지시트가 연결 구비되는 것을 전술한 바와 같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의 핵심은 이하에서와 같다.
즉, 상기 조끼본체(1)의 뒷판(2)에는 바람이 통하도록 함과 아울러 손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한 통풍구(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조끼본체의 전면에는 긴밀히 조이는 기능과 풀림방지 기능이 구비된 체결부(20)가 구비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체결부(20)는, 조끼의 일단에 연결되는 동시에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수체결벨트(22); 및 조끼의 타단에 연결되는 암체결벨트(21); 상기 암체결벨트(21)에 고정 설치되며 제1,2플랜지(23a)(23b)가 돌출 구비된 브라켓트(23); 상기 제1플랜지(23a)의 제1힌지축(24a)을 중심으로 작동되는 제1레버(24) 및 이 제1레버(24)의 제2힌지축(25)을 중심으로 작동하는 제2레버(25a); 상기 제2플랜지(23b)의 제3힌지축(26a)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는 제3레버(26);로 구성된다.
더하여 본 발명은 도면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암·수체결벨트(21)(22)가 조끼몸체(1)의 둘레 전체를 감싸도록 일체로 연결 구비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끼본체(1)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조끼본체(1)를 착용한 상태에서 신체가 밑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하체착용구(30)가 구비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체착용구(30)는, 제1암·수벨크로테잎(35)(34)과 체결밸트(33)로 이루어지는 허리벨트(32)와, 상기 허리벨트(32)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 구비되는 엉덩이받침부(31) 및 이 엉덩이받침부(31)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2개의 조임띠(36)가 구비되되, 이 조임띠(36)에 구비된 제2수벨크로테잎(37)이 엉덩이받침부(31)에 구비된 제2암벨크로테잎(38)에 선택적으로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엉덩이받침부(31)는 몸에 꼭 붙도록 고탄력의 신축성 있는 스판덱스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체착용구(30)를 조끼본체(1)에서 따로 분리하여 구성한 후 각각 별도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하체 착용구가 구비된 척추 견인용 조끼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척추 견인용 조끼는 종래의 기술과 같이 조끼본체(1)를 착용 후 이를 수직방향으로 견인 할 경우 조끼가 인체의 요추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면서 인체의 요추부를 효과적으로 견인하고, 착용한 조끼가 요추부에 밀착되어 장시간의 견인상태로 운동을 하여도 호흡곤란이나 통증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고, 팔 등을 거치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최대한 편안한 상태에서 척추의 견인이 가능하도록 한 것은 이미 주지된 사실이나, 본 발명의 이와 더불어 척추 견인용 조끼(1)와 하체 착용구(30)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상호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치료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조끼의 뒷판에 통풍구(10)를 형성하여 등에 땀이 베이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물리치료사가 이 통풍구를 통해 손을 넣어 등뼈를 시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조끼 체결부(20)를 개량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우선, 사용자의 상체에는 조끼본체(1)를 착용하고, 하체에는 하체착용구(30)를 착용하여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 견인장치를 이용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체결부(20)를 이용하여 조끼본체(1)를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하는 것으로, 이때 조끼지지수단(5)은 어께에 걸치고 뒤판(2)은 등에 맞닿도록 하며, 팔지지시트(7)에는 팔을 올려놓게 된다. 그리고 하체착용구(30)를 사용자의 하체에 착용하는 것으로, 체결벨트(33)를 이용하여 허리를 조이고 조임띠(36)를 이용하여 허벅지를 감싸도록 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20)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수체결벨트(21)(22)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해 수체결벨트(22)를 브라켓트(23)에 삽입하는 것으로, 이때 돌기(22a)의 방향이 진행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됨으로 인해 제3레버(26)를 밀면서 브라켓트(23)의 안쪽으로 진행하게 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체결벨트(22)는 상기 제3레버(26)를 제3힌지(26a)를 중심으로 들어 올려야만 걸림작용이 해제되어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체결벨트(22)가 브라켓트(23)의 내부로 진행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조끼를 알맞게 조여주게 되는 것으로, 이 때에는 제1레버(24)를 제1힌지(24a)를 중심으로 해서 도면상 오른쪽으로 반복적으로 회전 작동시키면 제2레버(25a)의 끝단이 상기 돌기(22a)와 맞닿으면서 안쪽으로 밀게되므로 체별부(20)를 꼭 조여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동을 반복하게 되면 체결부(20)를 꼭 조여주게 된다. 그리고 반대로 체결부(20)의 조임을 해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제1레버(24)를 상기 동작의 반대로 작동시킨 후 제3레버(26)를 누른 후 수체결벨트(22)를 잡아당기면 암,수체결벨트(21)(22)를 상호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조끼본체(1)의 뒷판(2)에 통풍구(10)를 형성하여 등에 땀이 베이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물리치료사가 이 통풍구(10)를 통해 손을 넣어 등뼈를 시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하체착용구(30)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고탄력의 체결벨트(33)를 힘껏 당긴 상태에서 제1수벨크로테잎(34)을 제1암벨크로테잎(35)에 붙인다. 그러면 허리벨트(32)가 허리를 꼭 조여주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임띠(36)를 각각 허벅지를 감싼체로 돌려 제2수벨크로테잎(37)을 양 엉덩이부근의 제2암벨 크로테잎(38)에 붙인다. 그러면 엉덩이받침부(31)가 당겨지면서 전체적으로 배와 허리 그리고 엉덩이를 받쳐주게 되므로 사용자는 도 3 에서와 같이 척추 치료기를 이용하여 치료하는 과정에서 조끼본체(1)의 밑으로 빠지는 문제점을 치유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구(10)와 체결부(20)가 형성된 조끼본체(1)만을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조끼본체(1)만을 상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체착용구(30)를 따로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의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척추 견인용 조끼와 하체 착용구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상호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치료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조끼의 뒷판에 통풍구를 형성하여 등에 땀이 베이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물리치료사가 이 통풍구를 통해 손을 넣어 등뼈를 시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조끼체결수단을 개량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인체의 요추부를 견인시 조끼가 요추부에 밀착되어 미끌어지지 않으면서 척추를 효과적으로 견인할 수 있도록 한 척추 견인용 조끼에 있어서,
    조끼본체(1)의 뒷판(2)에 형성되며, 바람이 통하도록 함과 아울러 손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한 통풍구(10);
    상기 조끼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긴밀히 조이는 기능과 풀림방지 기능이 구비된 체결부(20); 및
    상기 조끼본체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 구비되며, 조끼본체를 착용한 상태에서 신체가 밑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하체착용구(3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하는 하체 착용구가 구비된 척추 견인용 조끼.
  2.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20)는, 조끼의 일단에 연결되는 동시에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수체결벨트(22); 및 조끼의 타단에 연결되는 암체결벨트(21); 상기 암체결벨트에 고정 설치되며 제1,2플랜지가 돌출 구비된 브라켓트(23); 상기 제1플랜지의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작동되는 제1레버(24) 및 이 제1레버의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작동하는 제2레버(25a); 상기 제2플랜지의 제3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는 제3레버(26);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착용구가 구비된 척추 견인용 조끼.
  3. 제 2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암·수체결벨트(21)(22)는 조끼몸체의 둘레 전체를 감싸도록 일체로 연결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착용구가 구비된 척추 견인용 조끼.
  4.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착용구(30)는, 제1암·수벨크로테잎과 체결밸트로 이루어지는 허리벨트(32)와, 상기 허리벨트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 구비되는 엉덩이받침부(31) 및 이 엉덩이받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2개의 조임띠(36)가 구비되되, 이 조임띠에 구비된 제2수벨크로테잎이 엉덩이받침부에 구비된 제2암벨크로테잎에 선택적으로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착용구가 구비된 척추 견인용 조끼.
  5.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착용구(30)를 조끼본체(1)에서 따로 분리하여 구성한 후 각각 별도로 사용함을 특징으로하는 하체 착용구가 구비된 척추 견인용 조끼.
KR1020050001760A 2005-01-07 2005-01-07 하체 착용구가 구비된 척추 견인용 조끼 KR100595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760A KR100595846B1 (ko) 2005-01-07 2005-01-07 하체 착용구가 구비된 척추 견인용 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760A KR100595846B1 (ko) 2005-01-07 2005-01-07 하체 착용구가 구비된 척추 견인용 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5846B1 true KR100595846B1 (ko) 2006-06-30

Family

ID=37183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760A KR100595846B1 (ko) 2005-01-07 2005-01-07 하체 착용구가 구비된 척추 견인용 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58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240Y1 (ko) 2008-02-15 2009-10-09 (주)키네스 척추 보호대가 착설된 척추 수직 견인용 에어조끼
KR20160125825A (ko) 2015-04-22 2016-11-01 김응주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KR102031496B1 (ko) * 2018-07-30 2019-10-11 김태민 척추 교정 치료용 수직 견인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5502A (en) 1979-11-08 1984-05-01 Swan Algernon G Safety restraint system and inertial reel therefor
US5121741A (en) 1990-08-24 1992-06-16 Bremer Medical Inc. Shaped halo vest
US5819747A (en) 1997-01-02 1998-10-13 Timms; M. Rick Immobilization vest
JP2000210318A (ja) 1999-01-25 2000-08-02 Tokyo Kaseihin Co Ltd 腰痛治療器具
KR200301191Y1 (ko) 2002-10-15 2003-01-15 (주)맞춤운동인터헬스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5502A (en) 1979-11-08 1984-05-01 Swan Algernon G Safety restraint system and inertial reel therefor
US5121741A (en) 1990-08-24 1992-06-16 Bremer Medical Inc. Shaped halo vest
US5819747A (en) 1997-01-02 1998-10-13 Timms; M. Rick Immobilization vest
JP2000210318A (ja) 1999-01-25 2000-08-02 Tokyo Kaseihin Co Ltd 腰痛治療器具
KR200301191Y1 (ko) 2002-10-15 2003-01-15 (주)맞춤운동인터헬스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240Y1 (ko) 2008-02-15 2009-10-09 (주)키네스 척추 보호대가 착설된 척추 수직 견인용 에어조끼
KR20160125825A (ko) 2015-04-22 2016-11-01 김응주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KR102031496B1 (ko) * 2018-07-30 2019-10-11 김태민 척추 교정 치료용 수직 견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0545B1 (en) Adjustable posterior spinal orthosis
US5551085A (en) Lower lumbar support
EP2693993B1 (en) Adjustable brace apparatus
US9216311B2 (en) Spinal therapy device
US7118543B2 (en) Orthosis closure system with mechanical advantage
US20050197607A1 (en) Posture improvement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110282256A1 (en) Orthopedic shoulder system and method
RU2463997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нешней фиксации грудопоясничного отдела позвоночника
KR100595846B1 (ko) 하체 착용구가 구비된 척추 견인용 조끼
WO2004043308A1 (ja) 鎖骨骨折固定帯
EP3485852A1 (en) Upper body support apparatus and upper body support method
US20160158099A1 (en) Elbow dual compression armband with interchangeable compression platform
US10869802B2 (en) Infant joint compression device and method
KR200383745Y1 (ko) 앉은 자세에서 요추를 교정하는 벨트
KR20210088129A (ko) 허리 지지 교정벨트
US9226844B2 (en) Apparatus for sacro-lumbar back support, reduction of load on vertebrae discs and stimulation of circulation and muscles through axial tensioning exercises
KR200476376Y1 (ko) 인체공학적 구조를 갖는 의료용 복대
JP2576473Y2 (ja) 腰痛帯
KR200301191Y1 (ko) 척추 수직 견인용 조끼
JP2003126295A (ja) 下半身エキスパンダー
US20190038450A1 (en) Shoulder compression harness
KR200463301Y1 (ko) 바디 슬림 벨트
US11738950B2 (en) Pelvic braces and methods for using same
CN211560574U (zh) 一种人体动态矫正穿戴外衣
JP6949308B2 (ja) 矯正用締め付け腰ベルト及びその締め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