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7703A - 내uv성 포장용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pet및pen으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성 외층을갖는 다층 투명 필름 - Google Patents

내uv성 포장용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pet및pen으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성 외층을갖는 다층 투명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7703A
KR20030097703A KR10-2003-0039853A KR20030039853A KR20030097703A KR 20030097703 A KR20030097703 A KR 20030097703A KR 20030039853 A KR20030039853 A KR 20030039853A KR 20030097703 A KR20030097703 A KR 20030097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eight
outer layer
layer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레쉬홀거
무르쉬알우르술라
호라프랜츠
크라스구엔더
페이퍼헤르버트
쿠만보도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엠비에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엠비에치 filed Critical 미쓰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엠비에치
Publication of KR20030097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70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36Next to polyes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7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Abstract

본 발명은 총 두께가 5∼200㎛이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외에 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 2∼20중량%의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를 함유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성 외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2층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UV성 포장용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PET및 PEN으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성 외층을 갖는 다층 투명 필름 {Multilayer, Transparent Film made from PET and PEN with at Least One Functional Outer Layer for Producing Composite Packaging with UV Resistance}
본 발명은 UV 조사에 투과성을 감소시킨 다층 투명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필름은 테레프탈산 유니트 및 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유니트를 함유하며,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성 외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저장기간을 연장시킨 포장용 복합체로서의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썩기 쉬운 상품의 포장용 필름의 적합성에 있어서, 산소차단성, 및 투명필름의 경우 UV(빛의 자외선 부분)에 대한 필름의 투과성이 중요한 매개변수가 된다. 두번째 항목은 상대적으로 높은 UV 방출을 갖는 램프에 의해 방사받기 쉬운 슈퍼마켓의 카운터에 위치하는 식품과 같은 경우에 특히 중요하다. 포장재의 UV 투과성이 너무 높으면, 비매력적인 변색 및 맛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포장 필름의 적합성에 대한 특히 중요한 세번째 기준은 가격이다. 왜냐하면,그 포장이 저장기간에 대한 높은 질적 요구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할지라도, 매우 적은 가격차이가 보다 호감이 가는(저렴한) 상품으로 구매결정을 바꾸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상점에서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를 기재로한 포장 필름은 Hostaphan?RNK(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사, 비스바덴)과 같은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기재로하는 필름이 거의 독점하고 있다. 이들 필름은 저가이고 일반적으로 다용도로 허용가능한 산소차단성을 가지고 있으나, 상기 산소차단성이 특히 투명하고 비금속화된 포장에서는 부적합하다. 또한 PET는 UV광에 비교적 높은 투과성을 갖고 있다.
PEN(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로 제조된 필름은 실질적으로 더 높은 산소차단성을 제공하며 또한 보다 낮은 UV 투과성을 가지나, PEN이 고가이기 때문에 비경제적이고, 따라서 공업용으로 사용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은 PET 기지에 하나 이상의 PEN층으로 구성된 다층 필름(예를 들면, DE-A-197 20 505호 또는 WO 01/96114호)을 사용하면 어느 정도까지는 감소될 수 있으나, 상기 다층 필름은 다른 폴리에스테르들로 제조된 층이 박리되는 문제점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제조하기가 어렵다. 게다가, PET 및 PEN이 분쇄공정 중에 혼합되어 발생하는 분쇄물을 동일가의 상품에 순차적으로 재사용할 수 없으며, 따라서 더이상 100중량% 또는 거의 100중량%의 PEN을 함유하는 고가의 층을 제조하는데는 사용될 수 없다. 상기 물질은 비교적 비용이 비싸지 않은 PET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들 필름은 PEN이 주로 함유된 필름보다 덜비싸지만, 표준 PET 포장 필름보다 더 비싼것으로 간주되며, 따라서 특정 요구조건을 갖는 틈새 시장에서만 사용된다.
PET 및 PEN의 혼합물로 제조된 필름도 또한 기재되어 있으나(예를 들면, GB-A-2 344 596호), 여기서는 개선된 UV 차단성 및 산소차단성을 가지며, 저장 기간이 연장된 투명 포장재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필름을 제조하는 데에 이들 혼합물이 어떻게 사용되는 지에 대해서는 어떠한 언급도 없다. 또한 우수한 산소차단성과 UV 차단성을 갖는 필름을 제조하는데 적합한 PET/PEN의 양적비율에 대해서도 어떠한 언급도 없다.
포장 복합체를 위한 필름의 안정성에 대한 또다른 중요한 기준은 기능성 표면의 존재여부이다. 공업용으로 주료 요구되는 필름은 시일성, 무광택이고 매끄러운 또는 광택이 있는 일면을 갖는 필름이다. 이들 면은 기능성 외층을 갖는 공압출된 필름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이들 필름에 대한 설명은 많이 있다. 그러나, 이들 필름이 UV 광으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보호하는 포장용 복합체를 제조하는 데에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 지에 대한 언급은 어디에도 없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UV투과성을 개선하는 또다른 방법으로는 Tinuvin?(Ciba Speciality Chemicals, 스위스)와 같은 UV안정화제/흡수제를 첨가하는 것이 매우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들 화합물의 사용은 비교적 고가로 행해지며, 사용되는 안정화제에 따라 식품과 직접 접촉하기 위한 적합성에 대한 문제점이 야기될 수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PET 필름과 비교할때 더 나은 산소차단성과 UV차단성을 갖고, 저가로 제조될 수 있으며 포장용으로 적합하고, PET 필름으로 구성된 포장재와 비교할 때, 비교적 높은 UV하에서도 포장된 상품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는 총 두께가 5∼200㎛, 바람직하게는 6∼50㎛, 특히 바람직하게는 8∼14㎛이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 2∼20중량%, 바람직하게는 4∼16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12중량%의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을 함유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성 외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2층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들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제조된 포장재를 제공한다. 여기서, 필름의 각 층을 가로지르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분포는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필름이 충분한 결정성 또는 배향성을 가지지 못할수 있기 때문에 각 층에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함량이 25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시일성 층으로 만들기 위해 PEN 함량을 25중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PET/PEN 외층을 갖는 하기에 기재된 시일성 변형체의 경우는 제외한다.
놀랍게도, PET 칩과 PEN 칩의 혼합물(블록 공중합체)로 제조된 필름의 경우나 또는 임의의 공중합체가 사용된 경우에, 본 발명의 낮은 PEN 함량이 -통상의 PET 필름으로 제조된 포장재로 된 것과 비교할때- 이들 필름을 사용하여 포장된 식품의 보존기간을 현저하게 연장시키는데 충분하다. 여기서는 PEN의 양과 필름의 두께에 따라 더 우수한 것을 얻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필름의 두께가 50∼200㎛인 경우, 수퍼마켓의 통상의 냉동 카운터에서 발생되는 UV 강도하에서 한달동안 저장할때, 포장된 고기 또는 다른 함유물의 변색을 막기 위한 PEN은 3∼8중량%로 사용하면 충분하다. PEN이 5∼16중량%인 경우에는 8∼24㎛의 필름에서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330nm에서는 25%미만, 바람직하게는 10%미만의 투과율을 가지며, 350nm에서는 25%미만, 바람직하게는 10%미만의 투과율을 갖는다.
본 발명의 범위보다 높은 PEN 농도는 결정성에 대한 경향을 감소시키고 최종적으로는 제거한다. 뒤이어, 이는 현저하게 낮은 산소차단성과 수증기차단성을 야기한다. 110{㎤/(㎡·d·bar)}·{필름두께[㎛]/12[㎛]}, 바람직하게는 100{㎤/(㎡·d·bar)}·{필름두께[㎛]/12[㎛]}, 보다 바람직하게는 95{㎤/(㎡·d·bar)}·{필름두께[㎛]/12[㎛]}미만의 적절한 산소차단성을 얻기 위해서는 시험 방법에 기재된 조건 하의 DSC(디지털주사열량계, Digital Scanning Calorimeter)로 230∼270℃, 바람직하게는 240∼265℃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융 피크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언급된 차단성을 얻기 위해서는 필름의 PEN 농도가 적어도 5중량%인 것이 또한 유용하다.
PEN에 대해 언급된 비율과 더불어, 본 발명의 필름은 또한 주성분으로서 PET, 즉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단량체로서 테레프탈산(TPA) 및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NDA)과 더불어 상기 필름은 0∼20중량%, 바람직하게는 0.5∼2.5중량%의 이소프탈산을 함유할 수도 있고, 본 명세서에서는 놀랍게도 0.5∼2.5중량%의 이소프탈산(IPA) 함량이 산소차단성을 2∼5% 추가로 증진시킨다는것이 발견되었다. 물론, 상기 산들 그 자체 뿐만 아니라, 언급된 디카르복시산의 디메틸 에스테르도 또한 적합한 단량체이다. 다른 디카르복시산 또는 디메틸 에스테르, 예를 들면 1,5-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의 비율은 6중량%, 바람직하게는 2중량%를 넘지않아야 한다.
디올 성분의 주요 단량체는 에틸렌 글리콜(EG)이다. IPA의 언급된 긍정적 효과와는 반대로, 디에틸렌 글리콜(DEG) 함량이 증가하면 산소차단성은 줄어든다. 따라서 DEG의 비율은 3중량%를 넘지않아야 하며 이론적으로는 0.5∼1.5중량%을 넘지않아야 한다. 다른 공단량체 디올, 예를 들면 시클로헥산디메탄올,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의 비율은 5중량%를 넘지않아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3중량% 미만이어야 한다. PEN 함량과 같은, 이들 모든 데이터는 필름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그 기능에 따라, 별개로 간주되는 상기 기능성 외층들은 다른 함량의 단량체들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필름의 다른 응용(즉, 다른 용도의 또다른 필름의 제조를 포함하는 필름의 제조)에서 얻어진 분쇄물(=제조 분쇄물로 제조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필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학 광택제를 첨가하는 것이 유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들 광학 광택제는 360∼380㎚의 파장 지역에서 UV 조사광을 흡수하고 뒤이어 장파의 형태인, 눈에 보이는 청보라색의 빛으로 방사한다. 적합한 광학 광택제로는 비스벤조옥사졸, 페닐-쿠마린 및 비스스티릴비페닐, 바람직하게는 페닐쿠마린, 특히 바람직하게는 트리아진 페닐쿠마린(Tinopal?, Ciba-Geigy, 바젤, 스위스)를 들 수 있다. 상기 광학 광택제 외에도, 경우에 따라 폴리에스테르-수용성 청색 염료도 첨가될 수 있다. 적합한 것으로 판명된 청색 염료로는 코발트 블루, 울트라마린 블루 및 안드라퀴논 염료, 바람직하게는 Sudan Blue 2(BASF, 루드빅스하펜, 독일)을 들 수 있다. 상기 광학 광택제의 사용량은 개질될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100∼50,000ppm, 바람직하게는 20∼30,000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50∼25,000ppm이다. 상기 청색 염료의 사용량은 개질될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10∼10,000ppm, 바람직하게는 20∼5,000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000ppm이다.
본 발명의 필름은 적어도 2층을 갖는다. 가장 단순한 경우, 본 발명은 기저층(B) 및 기능성 외층(A), 대기와 접촉하는 다층 필름의 최외층인 외층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또한, 기저층(B), 상기 기저층(B)의 각 면 위에 배치된 기능성 외층(A)로 된 필름도 바람직하다. 또한, 기저층(B), 기능성 외층(A) 및 상기 외층(A)와 마주한 기저층(B)의 면 위에 존재하는 또다른 외층(C)로 구성된 필름도 바람직하다. 상기 외층(들)의 두께는 다른 외층과는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특히 바람직하게는 0.3∼2㎛이며, 여기서 양면이 도포된 외층의 두께 및 조성은 동일하거나 혹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저층의 두께는 필름의 총두께와 도포된 외층 및 중간층(들) 두께의 차이를 취하여 계산되며, 따라서 필름의 총두께와 같이, 넓은 범위 내에서 다양할 수 있다. 상기 기저층은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층들 중에서 가장 두꺼운층이거나 가장 내부에 존재하는 층이다. 이 기저층은 기저층의 단면 혹은 양측면에 다른 외층(들)이 없는 경우에 만은 "외층"이 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능성 외층은 시일성 층이다.
공압출에 의해 상기 기저층B에 도포된 상기 시일성 외층A의 구조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는, 하기의 2 변수를 갖는 것도 바람직하다.
a: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으로 제조된 공중합폴리에스테르
b: 테레프탈산 및 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으로 제조된 공중합폴리에스테르
a 법:
시일성 외층은 실질적으로 이소프탈산 유니트, 테레프탈산 유니트 및 에틸렌 글리콜 유니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다. 나머지 단량체 유니트는 다른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디올이나, 상기 기저층에 또한 존재할 수도 있는 디카르복시산으로부터 유래된다. 바람직한 시일 특성을 갖는 보다 나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유니트와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유니트를 갖는 구조로 된 것이다. 상기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비율은 40∼95몰%이고, 이에 상응하는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의 비율은 60∼5㎛이다. 바람직한 공중합폴리에스테르는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비율이 50∼90몰%이고, 이에 상응하는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의 비율이 50∼10몰%이며, 보다 바람직한 것은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비율이 60∼85몰%이고, 이에 상응하는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의 비율이 40∼15몰%인 것이다.
b 법:
시일성 외층은 실질적으로 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유니트, 테레프탈산 유니트 및 에틸렌 글리콜 유니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다. 나머지 단량체 유니트는 다른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디올이나, 또는 상기 기저층에 존재할 수도 있는 디카르복시산으로부터 유래된다. 바람직한 시일 특성을 갖는 보다 나은 공중합폴리에스테르는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유니트 및 나프탈레이트 유니트를 갖는 구조인 것이다.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비율은 30∼75몰%이고, 이에 상응하는 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비율은 70∼25몰%이다. 바람직한 것은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비율이 40∼60몰%이고, 이에 상응하는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의 비율이 40∼60몰%인 공중합폴리에스테르이다.
상기 시일성 층에서 PEN의 함량이 본 발명에서 중요한 필름의 총 PEN 량을 얻는데 충분하지 않으면, 균형에 맞도록 PEN 함량이 기저층 또는 존재하는 또다른 외층(C)에 첨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C 면이 의도하지 않은 시일성 갖는 것을 피하기 위해, 시일성 층에 마주하는 외층C는 2중량% 미만의 PEN을 함유하여야 한다.
a 법 및 b 법은 서로 다른 하나와 결합될 수도 있다. 이는 이소프탈산 및 PEN 각각의 최소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PET/PEN/IPA 시일성 외층에서는, 시일성 외층(C)의 PEN 함량이 적어도 15중량%이고, 이소프탈산의 함량이 적어도 5중량%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특히 바람직한 필름 특성 프로파일을 위해서, 상기 시일성 필름은 시일성 외층A 보다 더많은 입자(즉, 더높은 입자 농도)를 갖는 외층C를 갖는다. 제 2외층 C에서의 입자 농도는 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1∼0.8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0.6중량%이다. 반대로, 외층C 맞은편의 상기 다른 시일성 외층 A는 더 낮은 입자 충진수준을 갖는다. 상기 층 A의 입자 농도는 0.01∼0.2중량%, 바람직하게는 0.015∼0.15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0.1중량% 이다.
사용되는 입자의 예로는 카올린, 활석, SiO2, MgCO3, CaCO3, BaCO3, CaSO4, BaSO4, Li3PO4, Ca3(PO4)2, Mg3(PO4)2, TiO2, Al2O3, MgO, SiC, LiF 또는 상기 층의 폴리에스테르 용으로 사용되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의 칼슘염, 바륨염 또는 망간염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가교된 비용융 유기 중합체를 기재로 한 입자들을 첨가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기능성 외층 A는 무광택층이다. 상기 외층의 무광택은 원칙적으로 다양한 다른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층은 d50값이 1∼10㎛, 바람직하게는 2∼8㎛, 보다 바람직하게는 3∼6㎛인 입자를 그것의 중량을 기준으로 0.5∼10중량%(바람직하게는 2∼8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6중량%) 함유한다. 시일성 외층용으로 적합한 입자는 상기에 기재된 입자들이다. 이들 굵은 입자들 외에, 첨가될 수 있는 다른 입자로는 동일한 타입이나 d50값이 1㎛ 미만인 것이 있다. 상기 무광택 외층의 경우 PET 외에, 경우에 따라 PEN과 같은 다른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판명되었다. 여기서는 각각 1∼10중량%의 이소프탈산 및 1∼5중량%의 디에틸렌 글리콜, 또는 1∼6중량%의 부탄디올 또는 1∼6중량%의 프로판디올, 또는 이들 단량체 중 1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무광택 외층은 두 성분 (Ⅰ) 및 (Ⅱ)의 복합물 또는 혼합물 및, 바람직한 경우, 시일성 외층용으로 상기에 기재된 입자 형태인 첨가제를 함유한다.
혼합물 혹은 복합물의 성분(Ⅰ)은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일중합체 혹은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동종중합체 또는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의 혼합물이다.
혼합물 혹은 복합물의 성분(Ⅱ)은 폴리에스테르를 형성할수 있는 하기의 단량체 또는 그 유도체의 응축물로 구성된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이다.
65∼95몰%의 이소프탈산;
0∼30몰%의 식 H00C(CH2)nCOOH(n은 1∼11)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5∼15몰%의 디카르복시산의 방향족 부분에 알칼리금속 술폰산기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술포 단량체;
100몰%의 응축물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화학량인 2∼11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공중합가능한 지방족 또는 지환족 글리콜.
여기서, 각 백분율은 성분(Ⅱ)를 형성하는 단량체의 총 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성분(Ⅱ)의 좀 더 상세한 설명을 위해서, EP-A-0 144 878호의 명세서를 참고하였고, 이는 참고문헌으로서 명확히 기재하였다.
상기의 혼합물은 각각의 성분들로부터 제조되는 기계적 혼합물이다. 본 목적을 위해서 작은 부피의 압축 주형의 형태, 예를 들면 렌즈상 또는 비드상의 펠렛의 형태인 각각의 성분들을 적절한 교반기를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다른 하나와 화합 및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제조하는 또다른 방법은 상기 각각의 성분 (Ⅰ) 및 (Ⅱ)을 펠렛 형태로 각각 외층용 압출기에 공급하고, 용융물을 얻는 상기 압출기 또는 하류 시스템에서 혼합하는 것이다.
상기에 기재된 복합물은 본래의 성분으로 다시 분리할 수 없는 각각의 성분 (Ⅰ) 및 (Ⅱ)의 합금형 복합체(alloy-like composite)이다. 복합물은 동종 물질들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므로 적절한 매개변수를 통해 특징지워질 수 있다.
외층용 혼합물 혹은 상기 복합물에서 두 성분 (Ⅰ) 및 (Ⅱ)의 비율은(중량에 의한 비율) 다층 필름용으로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넓은 범위 내에서 다양할 수 있다. 상기 두 성분 (Ⅰ) 및 (Ⅱ)의 비율은 (Ⅰ):(Ⅱ)=10:90∼(Ⅰ):(Ⅱ)=95:5, 바람직하게는 (Ⅰ):(Ⅱ)=20:80∼(Ⅰ):(Ⅱ)=95:5, 보다 바람직하게는 (Ⅰ):(Ⅱ)=30:70∼(Ⅰ):(Ⅱ)=95:5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무광택 외층 A는 하기의 매개변수 세트에 의해 특징지워 진다.
- 무광택 외층 A의 조도(Ra)값은 200∼1,000nm, 바람직하게는 220∼950nm,보다 바람직하게는 250∼900nm이다. 200nm보다 작은 값은 상기 면의 무광택 정도에 악영향을 미치고, 반면 1,000nm보다 큰 값은 필름의 광학 특성을 손상시킨다.
- 표면 가스 유량 시간의 측정값(시험 방법 참조)은 0∼50초, 바람직하게는 1∼45초이다. 필름의 무광택 정도는 50초 이상의 값에서 악영향을 받는다.
또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기능성 외층 A는 광택을 가지며 낮은 Ra값을 갖는다.
상기 고광택을 갖는 실시예에서, 측정각 20°(DIN 67 530에 따라 측정(시험방법 참조))에서 기능성 외층 A의 고광택도는 〉180, 바람직하게는 〉19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이다. 또한, 상기 기능성 외층 A의 Ra값(시험방법 참조)은 〈 100nm, 바람직하게는 〈 60 nm, 보다 바람직하게는 〈 40nm이다. 이러한 광택값 및 조도값을 얻는 방법은 외층 A가 d50〉0.5㎛인 입자를 특히 낮은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3,000ppm 이하이다. 여기서, 외층 A내에 d50〉2㎛인 입자의 비율은 1,000ppm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 500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ppm이다. 필름의 특히 바람직한 특성 프로파일을 얻기 위해서, 상기 광택 필름은, 외층 A외에도, 외층 A보다 더 많은 입자(즉, 더 높은 입자 농도)를 함유하는 외층C를 갖는다. 상기 제2 외층 C에서의 입자 농도는 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12∼0.8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0.6중량%이다. 외층 C내에 d50〉2㎛인 입자의 비율은 250ppm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500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750ppm이다. 사용된 입자로는 시일성 외층용으로 상기에 언급된 입자들을 다시 들 수 있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기능성 외층 A는 상기 층이 40nm보다 큰 Ra값을 갖게하는 입자를 가지며, 이들 입자는 "항블록킹"이라 명명된다. 상기 외층A의 측면에서 필름의 표면 가스 유량 시간은 500초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400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 300초이다. 이를 얻는 방법은 외층 A가 0.05∼1.0중량%의 입자농도를 함유하는 것이다. 여기서, d50〉1㎛인 입자의 함량은 적어도 0.005중량%, 바람직하게는 0.05∼0.15중량%이다. 사용된 입자는 시일성 외층용으로 상기에 언급된 입자들을 다시 들 수 있다.
항블록킹 필름의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필름의 회분(ash)함량(확인용, 시험 방법 참조)는 〈 0.2중량%, 바람직하게는 〈 0.18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 0.15중량%이며, 그렇지 않으면 헤이즈가 부적절하게 높게 된다.
본 발명의 필름은 또한 적어도 한 면, 예를 들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또는 부착 프로모터에 코팅을 할 수 있다.
특히 높은 차단 조건을 갖는 용도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름에는 Al2Ox또는 SiOxr등과 같은 진공증착 금속(반금속) 산화층이 제공된다.
필요한 경우, 상기 기저층의 폴리에스테르도 또한 시일성 외층용으로 상기에 기재된 입자들를 함유할 수 있다.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0.005∼10.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5중량%의 농도로 사용된다. 평균 입자 크기는 0.001∼10㎛, 바람직하게는 0.005∼3㎛이다.
본 발명의 필름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아연염, 칼슘염, 리튬염 또는 망간염과 같은 통상의 촉매를 사용하하는 에스테르 교환공정 혹은 직접 에스테르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디클로로아세트산에서 DIN 53728에 따라 측정한 사용된 폴리에스테르의 표준점도 SV(DCA)는 400∼1,200, 바람직하게는 700∼900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PEN 함량 또는 PEN 함량의 일부를 다른 PEN응용으로부터 분쇄물을 공급함으로써 필름에 도입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PEN콘덴서 필름제조 시의 분쇄물이거나, 처음에 언급한 바와 같이 PET 기재 상에 하나 이상의 PEN층을 사용하는 경우에 분쇄물일 수도 있다. 이러한 분쇄물을 사용함에 따라, PET 및 PEN은 미리 혼합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주행신뢰성이 우수하고, 따라서 최적의 배향성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순수 PEN 분쇄물을 사용하면, 재사용 전이기는 하지만 통상의 경우와는 달리 고체상으로 응축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러한 외부 분쇄물 이외에, 본 필름은 다른 PET필름의 자가 분쇄물 또는 분쇄물을 65중량%까지 함유할 수 있고, 필름 공정의 안정성을 위해 자가 분쇄물의 적어도 20중량%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특히 우수한 PET/PEN 혼합물이 얻어지기 때문)
본 발명은 또한 공지된 압출 또는 공압출 공정에 의해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공정을 제공한다.
이 공정의 절차는 필름 각 층에 상응하는 용융물을 편평한 필름 다이를 통해 공압출하는 단계, 수득된 필름을 하나 이상의 경화로울 상에서 인출하는 단계, 필름을 이축 연신(배향)하는 단계, 및 이축 연신된 필름의 처리해야할 면에 열처리 및 경우에 따라, 코로나 또는 화염처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축 연신은 일반적으로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여기서, 길이방향 연신(기계방향=MD)이 이루어진 후, 횡방향 연신(기계 방향에 수직=TD)이 뒤이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폴리에스테르의 분자 사슬 배향을 야기한다. 상기 길이방향 배향은 바람직한 연신율에 상응하는 다른 속도로 돌아가는 두개의 로울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횡방향 연신을 위해서는, 적절한 텐더프레임을 이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상기 연신이 수행되는 온도는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에서 내에서 다양할 수 있고, 필름의 바람직한 특성에 의해 좌우된다. 상기 길이방향 연신은 일반적으로 80∼130℃, 바람직하게는 90∼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10℃에서 이루어 지며, 횡방향 연신은 90∼150℃, 바람직하게는 90∼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10℃에서 이루어진다. 길이방향 연신율은 일반적으로 2.5:1∼6:1, 바람직하게는 3:1∼5.5:1이고, 횡방향 연신율은 일반적으로 3.0:1∼5.0:1, 바람직하게는 3.5:1∼4.5:1이다.
상기 연신은 또한 동시 연신 프레임에서 이루어질수도 있으며(동시 연신), 여기서 연신 단계의 수와 그 순서(길이방향/횡방향)가 필름의 특성 프로파일에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은 아니다. 상기 연신율은 통상의 순차 공정과 같다.
다음의 열고정 단계에서는, 상기 필름을 150∼250℃, 바람직하게는 190∼240℃, 보다 바람직하게는 210∼230℃에서 0.1∼10초간 유지한다. 수득된 필름을 냉각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권취한다. 그러나, 권취하기 전에, 필름에 필름에 다른 원하는 특성을 주기 위해 화학 처리 또는 코로나 혹은 방염 처리를 할 수도 있다. 상기 처리의 강도는 상기 처리된 필름의 표면강도가 45mN/m 이상 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고정한다.
상기 필름은 또한 다른 특성들을 갖도록 코팅될 수도 있다. 전형적인 코팅으로는 흡착 증진, 정전기방지, 미끄러짐 개선 또는 방출작용을 갖는 코팅들이다. 명확하게, 이들 추가 층들은 공정중 코팅(in-line coating)을 통해, 수성 분산을 사용하여 길이방향 연신 후 횡방향 연신 전에 필름에 도포될 수 있다.
포장 목적으로 사용되는 필름 복합체는 사용 용도에 따라 본 발명의 필름(=필름Ⅰ) 외에도, PET로 제조된 필름 혹은 배향된 폴리아미드(oPA)로 제조된 필름등과 같은 다른 필름들(=필름Ⅱ), 또는 폴리에틸렌(PE) 시일성 필름 혹은 폴리프로필렌(PP) 시일성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름 또는 그 복합물은 시일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시일성층(예를 들면, PP 또는 PE)으로 코팅될 수도 있다. 각 필름을 조합하여 필름 복합물을 만드는 바람직한 방법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을 기재로 하는 적층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사용되는 포장은 그 자체(백 포장)에 시일한 복합체 또는 기재(트레이)에 "리드(lid)"로서 적용한 복합물로 구성된다. 두번째의 경우에 있어서, 트레이가 투명한 경우에 트레이는 본 발명의 필름을 적층하여 사용함으로써 저 UV투과성을 가져야 한다. 투명 적층물 또는 복합물은 DE-A-33 00 411호 및 DE-A-26 44 209호의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필름 Ⅰ 및 필름 Ⅱ로 구성된 본 발명의 복합체 필름의 총 두께는 광범위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며, 용도에 따라 좌우된다. 본 발명의 복합체 필름의 두께는 9∼1,200㎛, 바람직하게는 10∼1,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800㎛이다.
본 발명의 복합체 필름의 필름 Ⅱ는 열가소성 필름, 표준 열가소성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 및/또는 본 발명의 필름 Ⅰ일 수도 있다. 제2 필름은 추가 기능(SiOx코팅, 코로나처리, 방염처리, 부착촉진, 공중합에스테르, Al2Ox코팅, 및/또는 인쇄잉크)을 갖는 필름 Ⅰ의 면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기능성이 없는 필름의 면에 적용할 수도 있다.
필름 Ⅱ는 필름 Ⅰ과 같이, 하나 이상의 층일 수도 있고, 연신에 의해 배향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일성 층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필름은 접착제에 의해 또는 접착제 없이 본 발명의 필름 Ⅰ에 결합될 수도 있다.
필름 Ⅱ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4∼700㎛이다.
복합체 필름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사용된 필름 Ⅰ 및 Ⅱ를 접착제에 의해 또는 접착제 없이 서로 적층하고, 30∼90℃로 온도가 조절된 로올사이에서 압착함으로써 얻어진다.
그러나, 공정중 코팅(용융 압출)에 의해 미리 제조된 필름 Ⅰ에 필름 Ⅱ를 적용할 수도 있다.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공지의 방법으로 필름 Ⅰ 및/또는 필름 Ⅱ의 일면에 도포되며, 특히 물 또는 유기용매의 용액 또는 분산액으로 도포할 수 있다. 이용액은 필름 Ⅰ 및/또는 필름 Ⅱ에 접착제 1.0∼10.0g/㎡를 적용하기 위해서, 접착제의 농도를 5.0∼40.0중량%으로 한다.
접착제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및 셀룰로오스 에테르 등의 열가소성 수지, 알킬에스테르 및 알크릴 에스테르,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또는 에폭시 수지, 요소포름알데히드 수지,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 또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등의 열경화 수지, 또는 합성 고무로 구성되는 것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접착제용으로 적합한 용매로는 리그로인 및 톨루엔 등의 탄화수소,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 또는 아세톤 및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낮은 PEN 함량에도 불구하고, PET/PEN 공중합 박필름(예를 들어, 12㎛)과의 복합물인 경우에도 UV광 하에서의 얼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UV흡수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존기간을 100% 이상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살명한다.
이하의 표준 또는 방법을 사용하여 각 특성을 측정하였다.
시험방법
회분 함량(Ash content)
상기 필름 또는 PET의 회분 함량은 안료의 함량을 나타내며 또한 존재할 수 있는 어떤 무기 오염물의 함량을 나타낸다. PET 펠렛 및 PET 필름의 회분 측정은표준 DIN 53568(1974 및 1978) 및 DIN 3451(1991)에 따라 측정하였다.
PET 칩 또는 분쇄 필름 약 10g을 분석 저울(Sartorius(220g))에서 적열상태에서 일정한 중량으로 이미 가열된 자기 도가니에 ±0.5㎎의 정확성으로 측정하여 나누고 오산화 인을 덮어 보관하였다. 상기 도가니를 급속-회분화 장치(Gestigkeit SVD 95) 상에 배치하고 그 견본을 예비-회분화 하였다. 여기서의 셋팅 및 시간은 다음과 같다.
시간: 600℃에서 30∼40분, 뒤이어 700℃에서 30∼40분
그 후, 상기 도가니를 3시간 동안 적열상태로 또는 600℃의 머플 가마(Heraeus K 1252)에서 일정한 중량으로 가열하였다.
상기 도가니를 냉각하기 위해 오산화 인으로 충진된 데시케이터로 옮기고 실온에서 냉각시킨 후, 중량을 정밀측정 하였다.
각 시험을 반복하였고, 주요 문제점은 3번째 측정에서 발견되었다.
회분 함량 측정:
회분(%) = (최종 중량 ×100) / 초기 중량
표면 가스 유동 시간
측정 시험법의 원리는 필름의 일면과 매끈한 실리콘 웨이퍼판 사이의 공기 흐름을 기초로 한다. 상기 공기는 대기로부터 빈 공간으로 흐르고, 필름과 실리콘 웨이퍼 판 사이의 경계면은 유동 저항체로서 작용한다.
원형 필름 샘플을 수용체에 연결부분으로 작용하는 홀의 중간에 있는 실리콘웨이퍼 판 위에 배치하였다. 이 수용체 안의 압력을 0.1 mbar이하로 감압하였다. 대기가 56mbar의 수용체 범위 내에서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초단위로 측정하였다.
시험 조건:
시험 지역45.1 ㎠
적용 중량1,276g
공기 온도23℃
습도50% RH
총 가스 부피1.2㎤
압력 차56 mbar
광투과도
광투과도는 입사광의 총 량과 총 투과광과의 비이다.
이는 "HAZEGARD plus" 시험장비를 사용하여 ASTM D1003에 따라 측정하였다.
SV(표준점도: DCA), IV(고유점도: DCA)
표준점도 SV(DCA)는 25℃의 디클로로아세트산에서 DIN 53726에 따른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고유점도(IV)는 표준점도(SV)로부터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IV= [η]= 6.907·10-4SV(DCA) + 0.063096 [㎗/g]
황색지수
황색지수(YI)는 착색 상태로부터 "노랑"쪽으로 편차를 갖는 것으로 DIN 6167에 따라 측정하였다. 황색지수값(YI) < 5는 시각적으로 판별할 수 없는 것이다.
광택
광택은 측정각 20°에서 DIN 67530에 따라 측정하였다. 반사율은 필름 표면의 광학 특성 값으로서 측정되었다. 광빔은 고정된 입사각에서 평면 시험 표면을 치고, 상기 면에 의해 반사 및/또는 산란되었다. 광전 검출기에 부딪히는 광빔은 비례 전기 단위로 표시된다. 상기 측정값은 단위 없이 입사각과 함께 설명되어야 한다.
조도
필름의 조도(Ra)는 0.25mm의 컷오프로 DIN 4768에 따라 측정하였다.
용융피크
유리전이온도(Tg)는 DSC(시차주사열량법,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에 의해 필름 견본으로부터 측정하였다.(DIN 73 765) DuPont DSC 1090을 사용하였다. 가열속도는 20K/분 이었고, 사용된 견본의 중량은 12㎎이었다. 용융 피크는 제1 가열공정에서 결정하였다. 180∼280℃에서 최대 흡열 피크의 최대값을 용융피크로 계산하였다.
산소차단성
산소차단성은 DIN 53380, Part 3에 따라 Mocon Modern Controls(USA) OX-TRAN 2/2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보존기간
직경 10cm, 두께 2.5mm의 얇은 조각으로 삶은 햄 200g을 본 발명의 필름을 사용한 복합 포장재에 놓고 포장을 밀봉하였다. 같은 형태이나, 같은 두께의 종래의 상용 PET필름(RNK, Mitsubishi Polyester Film Europe GmbH)을 사용한 제2복합 포장재를 동일한 방법으로 포장하였다. 이후 본 발명의 UV방지 복합체의 3개의 팩과 종래의 상용 PET필름을 사용한 3개의 팩을 온도가 +3℃인 개방체스트 냉장고에 넣었다. 팩(상부가 본 발명의 필름 면)의 1m 위에 상용의 네온관(Philips TL 20W/05) 5개를 두었다. 팩의 변색여부를 매일 (시각)검사하였다. 변색이 나타난 시각을 기록하였고, 상용의 PET필름으로 제조된 팩의 평균(시간)을 100%로 설정하였다. 변색이 나타난 평균(시간)을 상용의 PET필름으로 제조된 팩의 평균으로 나누는 방식으로, 그 값으로부터 백분율의 차이를 본 발명의 팩에 대해 계산하고, 그 결과값에 100을 곱하였다. 100을 그 결과값에서 뺐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여러 두께의 단층 투명필름을 사용하였다.
필름의 제조
기저층 B의 열가소성 칩을 실시예에서 주어진 비율로 혼합하고, 유동층 건조기에서 155℃로 1분 동안 예비결정화한 후, 탑건조기에서 150℃로 3시간 동안 건조하고, 290℃의 단일나사 압출기에서 용융하였다. 각각, 외층 A 및 C의 열가소성칩을 실시예에서 주어진 비율로 혼합하고, 290℃의 이중나사 압출기에서 압출하였다. 상기 용융 중합체 압출물을 공합출 다이에서 혼합하고 인출 로울을 통해 인출하였다. 상기 필름을 116℃에서 기계방향으로 4.0으로 연신하고, 110℃의 프레임에서 3.9로 횡방향 연신하였다. 이후 필름을 225℃에서 열고정하고, 200∼180℃의 온도에서 2%정도 횡방향으로 이완시켰다.
복합체의 제조
실시예의 각 필름으로부터, 3개의 다른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보존기간을 측정하기 위해서, 복합체를 기재인 상용의 APET트레이(UV광에 직면하지 않는 면)에 밀봉하였다.
복합체 A
PE를 사용한 복합체 필름
실시예의 필름에 형성된 접착층의 중량이 0.5g/㎡으로 되도록 접착제(Adcote?700A+C, Rohm&Haas, 독일)를 도포하였다. 이후, 저밀도의 폴리에틸렌(Buklin?40㎛, B&K, 독일)으로 제조된 두께 40㎛의 필름을 접착제(정착제)가 도포된 실시예의 필름 위에 적층하였다.
복합체 B
PP를 사용한 복합체 필름
실시예의 필름에 형성된 접착층의 중량이 0.5g/㎡으로 되도록 접착제(Adcote?700A+C, Rohm&Haas, 독일)를 도포하였다. 이후, 폴리프로필렌(GND 30, Trespaphan, 독일)으로 제조된 두께 30㎛의 시일성 필름을 접착제(정착제)가 도포된 실시예의 필름 위에 적층하였다.
복합체 C
PET를 사용한 복합체 필름
실시예의 필름에 형성된 접착층의 중량이 0.5g/㎡으로 되도록 접착제(Adcote?700A+C, Rohm&Haas, 독일)를 도포하였다. 이후, PET(Hostaphan?RHS 20,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비스바덴, 독일)으로 제조된 두께 20㎛의 시일성 필름을 접착제(정착제)가 도포된 실시예의 필름 위에 적층하였다.
(실시예)
보존기간의 개선을 비교하기 위해서,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독일)사의 상용의 포장필름들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A 두께 23㎛의 투명 단면-시일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기저층의 두께는 19mm이었고 외층A 및 C의 두께는 각각 2㎛이었다.
기저층 B용 혼합물:
R1: SV = 800인 RT 49 PET(KoSa, Offenbach 독일) 50중량%
R2: SV = 700이고, IPA 함량 = 4중량%이며, PEN 함량이 10%인 PET/PEN 필름 분쇄물 50중량%
외층 A용 혼합물:
R3: SV = 800인 Sylysia?320(Fuji, Japan; d50=2.4㎛) 5,000ppm 및 Aerosil TT600(Daegusa, Germany) 7,000ppm을 함유하는 PET 1중량%
R4: SV = 800인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70몰% 및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30몰%인 PET 69중량%
R5: SV = 650인 100%의 PEN 10중량%
R2: 상기 참조, 20중량%
외층 C용 혼합물:
R1: 상기 참조, 85중량%
R3: 상기 참조, 15중량%
산소차단성 = 49{㎤/(㎡·d·bar)}·{23㎛/12㎛}
RHS 23 필름(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비스바덴, 독일)을 사용한 유사 복합체와 비교할때 보존기간의 상승(%)
복합체 A: 53%
복합체 B: 60%
복합체 C: 30%
(실시예 2)
두께 12㎛의 투명 필름을 제조하였다.
기저층의 두께는 9㎛이었고, 외층 A 및 C 각각의 두께는 1.5㎛이었다.
기저층 B용 혼합물:
R1: SV = 800인 RT 49 PET(KoSa, 오펜바흐, 독일) 42중량%
R6: SV = 700이고, 회분 = 0.1중량%이며, PEN 함량이 10%인 PET/PEN 필름 분쇄물 50중량%
R5: 상기 참조, 8중량%
무광택 외층 A용 혼합물:
R3: 상기 참조, 2중량%
R7: SV = 800이고, d50= 7㎛이며,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95몰%,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5몰%, 및 Sylobloc CP4-8191 50,000ppm인 PET 98중량%
외층 C용 혼합물:
R1: 상기 참조, 95중량%
R3: 상기 참조, 5중량%
산소차단성 = 93 {㎤/(㎡·d·bar)}·{12㎛/12㎛}
MP 12 필름(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비스바덴, 독일)을 사용한 유사 복합체와 비교할때 보존기간의 상승(%)
복합체 A: 95%
복합체 B: 95%
복합체 C: 55%
A면 조도: Ra= 400nm
C면 조도: Ra= 60nm
A면의 가스 유동 시간: 35초
(실시예 3)
고광택 일면을 갖는 두께가 12㎛인 투명필름을 제조하였다.
기저층의 두께는 19㎛이고, 외층 A 및 C의 각각의 두께는 1.5㎛이었다.
기저층 B용 혼합물:
R1: SV = 800인 RT 49 PET 41중량%
R6: SV = 700이고, 회분 함량은 0.1중량%이며, PEN 함량이 10중량%인 PET/PEN 필름 50중량%
R5: 상기 참조, 9중량%
광택 외층 A용 혼합물:
R3: 상기 참조, 0.4중량%
R1: 상기 참조, 99.6중량%
외층 C용 혼합물:
R1: 상기 참조, 93중량%
R3: 상기 참조, 7중량%
산소차단성 = 92 {㎤/(㎡·d·bar)}·{12㎛/12㎛}
MP 12 필름(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비스바덴, 독일)을 사용한 유사 복합체와 비교할 때 보존기간의 상승(%)
복합체 A: 95%
복합체 B: 95%
복합체 C: 55%
A면 광택: 210
A면 조도: Ra= 37nm
C면 조도: Ra= 65nm
(실시예 4)
양면에 미끄럼 방지 특성을 갖는 두께가 12㎛의 투명 필름을 제조하였다.
기저층의 두께는 9㎛이었고, 외층 A 및 C 각각의 두께는 1.5㎛이었다.
기저층 B용 혼합물:
R1: SV = 800인 RT 49, 41중량%
R6: SV = 700이고, 회분함량은 0.1중량%이며, PEN 함량이 10%인 PET/PEN 필름 분쇄물 50중량%
R5: 상기 참조, 9중량%
외층 A용 혼합물:
R3: 상기 참조, 7중량%
R1: 상기 참조, 93중량%
외층 C용 혼합물:
R1: 상기 참조, 93중량%
R3: 상기 참조, 7중량%
산소차단성 = 93 {㎤/(㎡·d·bar)}·{12㎛/12㎛}
MP 12 필름(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비스바덴, 독일)을 사용한 유사 복합체와 비교할때 보존기간의 상승(%)
복합체 A: 85%
복합체 B: 75%
복합체 C: 50%
A면 광택: 210
A 및 C면 조도: Ra= 67 ±5nm
A 및 C면 가스 유동 시간: 210 ±70초
본 발명의 필름은 단일 PET 필름과 비교할때 더 나은 산소차단성과 UV차단성을 갖고, 저가로 제조될 수 있으며 포장용으로 적합하고, PET 필름으로 구성된 포장재와 비교할 때, 비교적 높은 UV하에서도 포장된 상품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외에, 필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20중량%의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를 함유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성 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가 5∼200㎛인 적어도 2층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각 층의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함량은 25중량%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30∼270℃에서 용융 피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농도는 필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2.5중량%의 이소프탈산(IP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가 함유된 기저층(B) 및 기능성 외층(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가 함유된 기저층(B) 및 두 기능성 외층(A) 및 (A), 또는 (A) 및 (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가 함유된 기저층(B), 기능성 외층(A), 및 (A)층의 맞은편 기저층 상의 또다른 외층(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외층(들)은 시일성, 무광택성, 광택성 또는 항블록킹성 중에 선택된 부가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필름의 각 층에 상응하는 용융물을 편평한 필름 다이를 통해 공압출 하고, 수득된 예비필름을 하나 이상의 로울 상에서 경화 인출한 후, 상기 예비필름을 이축 연신하고, 이축 연신된 필름을 열고정, 및 필요한 경우, 코로나 또는 방염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필름의 제조방법.
  11. 제1항의 필름 및 또다른 필름으로 제조된 포장용 복합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복합체.
  13. 포장용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제1항의 필름의 용도.
  14. UV 흡수제로서 포장용 복합체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용도.
    ¸
KR10-2003-0039853A 2002-06-20 2003-06-19 내uv성 포장용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pet및pen으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성 외층을갖는 다층 투명 필름 KR200300977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27440.1 2002-06-20
DE2002127440 DE10227440A1 (de) 2002-06-20 2002-06-20 Mehrschichtige, transparente, Folie aus PET und PEN mit mindestens einer funktionellen Außenschicht zur Herstellung von Verbundverpackungen mit UV-Schutz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703A true KR20030097703A (ko) 2003-12-31

Family

ID=29716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853A KR20030097703A (ko) 2002-06-20 2003-06-19 내uv성 포장용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pet및pen으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성 외층을갖는 다층 투명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29696B2 (ko)
EP (1) EP1375570B1 (ko)
JP (1) JP2004025875A (ko)
KR (1) KR20030097703A (ko)
DE (2) DE102274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415B1 (ko) * 2008-11-18 2011-04-26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웨이퍼 팩킹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27439A1 (de) * 2002-06-20 2004-01-08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Transparente Folie aus PET und PEN mit UV-Schutz,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in Verpackungen mit verlängerter Lebensdauer
DE10227442A1 (de) * 2002-06-20 2004-01-08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Mehrschichtige, transparente, Folie aus Polyethylenterephthalat (PET) und Polyethylennaphthalat PEN) zur Herstellung von Verbundverpackungen mit UV-Schutz
DE102007054132A1 (de) * 2007-11-14 2009-05-20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Antimikrobiell ausgerüstet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CN102029754B (zh) * 2010-09-21 2013-08-28 昆山加浦包装材料有限公司 高阻隔共挤出拉伸薄膜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24193A (de) 1970-06-13 1972-06-15 E M Melyepitesi Tervezo Vall Impulsbreitenmodulierte Regelvorrichtung für mehrere Messstellen zur Regelung mehrerer unterschiedlicher Parameter technologischer Vorgänge
JPS4959175A (ko) 1972-10-09 1974-06-08
US4604257A (en) * 1982-09-07 1986-08-05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ulti-layer polyisophthalate and polyterephthalate articles and process therefor
FR2608507B1 (fr) * 1986-12-23 1989-03-31 Rhone Poulenc Films Films polyester composites a adherence amelioree et leur procede d'obtention
FR2608506B1 (fr) * 1986-12-23 1989-03-31 Rhone Poulenc Films Procede d'obtention de films polyester composites epais a adherence amelioree et nouveaux films composites
FR2628359B1 (fr) * 1988-03-09 1990-09-07 Rhone Poulenc Films Films polyester composites a adherence amelioree et leur procede d'obtention
GB2228940A (en) * 1989-03-08 1990-09-12 Ici Plc Polyesters
US5292471A (en) * 1990-12-13 1994-03-08 Toray Industries, Inc. Process for forming a polyester film
US5215825A (en) * 1990-12-21 1993-06-01 Toray Industries, Inc. Polyester film and photosensitive material
CA2068395A1 (en) 1992-05-11 1993-11-12 Gerald Sydney Simons Load sensor and pallet truck incorporating the same
WO1993023725A1 (en) 1992-05-14 1993-11-25 Denove Thomas F Lcd bargraph motion picture light meter
DE69317852T2 (de) 1992-05-15 1998-08-20 Ishida Scale Mfg Co Ltd Teilmengenwaagen mit Taraberücksichtigungen einer verpackten Ware.
EP0735952B1 (en) 1993-12-21 2000-03-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ltilayered optical film
US5695710A (en) 1995-05-09 1997-12-09 Hoechst Celanese Corp. Transesterified pet/pen via melt extrusion
US5552512A (en) * 1995-10-06 1996-09-03 Eastman Chemical Company Thermoplastic copolyesters having improved gas barrier properties
US5972445A (en) * 1996-01-17 1999-10-26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Multilayer polyester sheet
US5912307A (en) * 1996-05-03 1999-06-15 Bp Amoco Corporation Polyester compositions
MY127653A (en) * 1996-05-16 2006-12-29 Toray Industries Biaxially stretched polyester film for forming contain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film
DE19653750A1 (de) * 1996-12-20 1998-06-25 Hoechst Diafoil Gmbh Siegelfähig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9720505A1 (de) 1997-05-15 1998-11-19 Hoechst Diafoil Gmbh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mit hoher Sauerstoffbarrier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19720506A1 (de) * 1997-05-15 1998-11-19 Hoechst Diafoil Gmbh Transparente Polyesterfolie mit hoher Sauerstoffbarrier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9741877A1 (de) * 1997-09-23 1999-03-25 Hoechst Diafoil Gmbh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9741878A1 (de) * 1997-09-23 1999-03-25 Hoechst Diafoil Gmbh Mehrschichtig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3825165B2 (ja) 1998-02-09 2006-09-20 株式会社資生堂 紫外線防御フィルム及びシュリンクフィルム
DE19813267A1 (de) * 1998-03-25 1999-09-30 Hoechst Diafoil Gmbh Transparente Polyesterfolie mit hoher Sauerstoffbarriere und zusätzlicher Funktionalität,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9813271A1 (de) * 1998-03-25 1999-09-30 Hoechst Diafoil Gmbh Transparente Polyesterfolie mit hoher Sauerstoffbarrier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9813266A1 (de) * 1998-03-25 1999-09-30 Hoechst Diafoil Gmbh Polyesterfolie mit hoher Sauerstoffbarrier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9813264A1 (de) * 1998-03-25 1999-09-30 Hoechst Diafoil Gmbh Polyesterfolie mit an den Anwendungszweck angepaßter Oberflächentopograph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9813269A1 (de) * 1998-03-25 1999-09-30 Hoechst Diafoil Gmbh Siegelfähige Polyesterfolie mit hoher Sauerstoffbarrier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6503549B1 (en) * 1998-09-30 2003-01-07 Cryovac, Inc. Polyester tray package with lidding film having glycol-modified copolyester sealant layer
US6475608B2 (en) 1998-11-16 2002-11-05 Engelhard Corporation Multi-layer iridescent films
GB2344596A (en) 1998-12-09 2000-06-14 Du Pont Flame retarded and UV light stabilised polyester film
WO2001096114A1 (en) * 2000-06-13 2001-12-20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en-pet-pen polymeric film
DE10039367A1 (de) * 2000-08-11 2002-02-21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mit hoher Sauerstoffbarrier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039380A1 (de) 2000-08-11 2002-02-21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Transparente Polyesterfolie mit hoher Sauerstoffbarrier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039366A1 (de) * 2000-08-11 2002-02-21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Mindestens dreischichtige transparente Polyester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210502A1 (de) * 2002-03-11 2003-09-25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Biaxial orientierte Folie mit verbesserter Oberflächenqualität auf Basis von kristallisierbaren Polyester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Folie
DE10227439A1 (de) * 2002-06-20 2004-01-08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Transparente Folie aus PET und PEN mit UV-Schutz,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in Verpackungen mit verlängerter Lebensdauer
DE10227442A1 (de) * 2002-06-20 2004-01-08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Mehrschichtige, transparente, Folie aus Polyethylenterephthalat (PET) und Polyethylennaphthalat PEN) zur Herstellung von Verbundverpackungen mit UV-Schutz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415B1 (ko) * 2008-11-18 2011-04-26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웨이퍼 팩킹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235703A1 (en) 2003-12-25
JP2004025875A (ja) 2004-01-29
US7229696B2 (en) 2007-06-12
EP1375570A1 (de) 2004-01-02
DE10227440A1 (de) 2004-01-08
EP1375570B1 (de) 2007-12-12
DE50308760D1 (de) 200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4063B1 (ko) 산소차단성이높은이축연신된폴리에스테르필름,이의제조방법,이로부터제조된절연재및당해필름을사용한포장방법
US6936350B2 (en) White, biaxially oriented, flame-retardant and UV-resistant polyester film with cycloolefin copolymer, its us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6627695B2 (en) White, biaxially oriented and UV-resistant polyester film with cycloolefin copolymer (COC), its us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KR100528557B1 (ko) 산소차단성이높은이축배향폴리에스테르필름,이의용도및제조방법
US6383585B2 (en) Sealable polyester film with high oxygen barrier, its us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6635340B2 (en) White, biaxially oriented, flame-retardant polyester film with cycloolefin copolymer, its us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6149995A (en) Transparent polyester film with high oxygen barrier, its us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KR100576528B1 (ko) 산소차단성이큰투명한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이의제조방법
KR20030016296A (ko) 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백색 시일성 열성형성이축배향 공압출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그용도
US20030054129A1 (en) Unilaterally mat, sealable, uv-stabilized, flame-resistant, co-extrude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method for the production and the use thereof
JP2004504459A (ja) シクロオレフィン共重合体を含有し、良好な接着性を有する不透明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使用
US7238417B2 (en) Transparent film made from PET and PEN with UV protection, process for producing the film, and use of the film in packaging with extended shelf life
KR20030097663A (ko) Uv 방지성 포장용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로 제조된 다층 투명 필름
US6200511B1 (en) Polyester film having a high oxygen barrier and improved adhesion to metal layers its us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6787219B2 (en) Transparent polyester film having at least three layers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KR19990078207A (ko) 기체/냄새-차단 필름으로서의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용도
US20060286349A1 (en) Multilayer, transparent polyester film with high oxygen barrier
JP2000344272A (ja) 多重包装体
KR20030097703A (ko) 내uv성 포장용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pet및pen으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성 외층을갖는 다층 투명 필름
US10618260B2 (en) Thermoformable transparent packing made of polyester with a lower foil and an upper foil,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US6787218B2 (en) Transparent polyester film having a high oxygen barrier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KR20030008160A (ko) 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coc)를 함유하는 백색 시일성이축배향 공압출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그용도
US11136175B2 (en) Pack made of polyester with a thermoformable lower film and a sealable and peelable upper film, use thereof,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20060204747A1 (en) Multilayer, transparent polyester film with high oxygen barrier
US11041056B2 (en) Transparent, thermoformable,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