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4844A -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 및 그것을 위한 경보발생 억제 및레이저 차단 방법 - Google Patents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 및 그것을 위한 경보발생 억제 및레이저 차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4844A
KR20030094844A KR1020020032171A KR20020032171A KR20030094844A KR 20030094844 A KR20030094844 A KR 20030094844A KR 1020020032171 A KR1020020032171 A KR 1020020032171A KR 20020032171 A KR20020032171 A KR 20020032171A KR 20030094844 A KR20030094844 A KR 20030094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ignal
repeater
failure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7319B1 (ko
Inventor
전경규
김광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32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319B1/ko
Publication of KR20030094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3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7Straps; Buckles; Attachment of head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with the help of a macromolecular compound as a carrier or diluen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6Shades; shields; Obturators, e.g. with pinhole, with slo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02Head or parts thereof
    • A61F2007/0004Eyes or part of the face surrounding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97Plasters use eye pat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Zo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Botan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파장분할 다중화(WDM) 시스템 및 그것을 위한 경보발생 억제 및 레이저 차단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은, 광중계기의 장애 발생시 유지보수 신호를 이용하여 장애가 발생된 광중계기 상향에 위치한 광증폭기의 레이저를 차단한다. 그리고, 장애가 발생되지 않은 하향 광중계기 및 광단국장치 수신부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장애 경보들을 비활성화 시킨다.

Description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 및 그것을 위한 경보발생 억제 및 레이저 차단 방법{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and method for suppressing unwanted alarm and shutting down laser}
본 발명은 파장분할 다중화(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 WDM)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선로증폭기의 장애 발생시 하향 광링크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경보 발생을 억제하고, 광증폭기 레이저를 차단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역폭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보다 큰 대역폭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새로운 기술로서 광통신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광통신은 약 50 Tbps 정도의 큰 대역폭을 가지고 있으며, 신호의 감쇄나 변형도 매우 적은 특징을 가진다. 또한, 필요 전력도 매우 적으며, 적은 양의 자원과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적은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그러나, 광통신 시스템들은 광섬유(Optical Fiber)가 가지고 있는 거대한 대역폭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용할 수 있는 대역폭은 광소자나 전자소자에 의해 제약을 받게 된다. 이 때문에 전자적인 병목 현상(electronic bottleneck)이 발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들이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병목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서, 파장이 다른 다수의 채널을 단일 광섬유로 전송하는 파장분할 다중화(WDM)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WDM 시스템은 레이저(laser)와 같은 소자로 이루어진 송신기(transmitter)를 통해 전자적인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한다. 이 때, 광 신호는 특정 파장을 가지고 있는데, WDM 시스템은 하나의 파장을 통해 전자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최대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때, 복수 개의 파장을 사용하게 되면, 전자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최대 속도로 몇 배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WDM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파장으로 발생된 광 신호는 광 다중화기에 의해 하나의 광 신호로 합쳐지고, 광 역다중화기에 의해서 각각의 파장을 가지는 광 신호로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광 신호는 수신단(receiver)에 구비된 필터를 통해 원하는 파장이 선택되고, 선택된 파장에 실린 데이터가 전자 신호로 바뀌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WDM 시스템(100)의 블록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장애가 발생했을 때의 WDM 시스템(100)의 경보 발생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WDM 시스템(100)은, 광단국장치 송신부(110), 복수 개의 광중계기(130, 150), 및 광단국장치 수신부(170)로 구성된다. 광단국장치 송신부(110)는 광다중화기(111) 및 광후치증폭기(optical post-amplifier ; 112)를구비한다. 각각의 광중계기(130, 150)는 WDM 광선로 증폭기(131, 151)를 구비한다. 그리고, 광단국장치 수신부(170)는 광전치증폭기(optical pre-amplifier ; 171) 및 광 역다중화기(172)를 구비한다.
이 경우, 만일 광선로증폭기(131) 바로 전단(즉, 참조번호 10의 위치)에서 광섬유가 절단될 경우, 해당 광선로증폭기(131)에는 LOS(loss of signal)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LOS 장애는 해당 광선로증폭기(131)에만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장애가 발생한 구간의 하향 구간에 위치한 모든 광선로증폭기(151)와, 광단국장치 수신부(170)의 모든 광채널(OCH1, OCH2, …, OCHN)에도 동시에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전에 발생된 장애로 인해서 장애가 발생한 구간 외의 모든 광링크 하향 구간에서 불필요한 장애가 활성화되고, 광증폭기 레이저가 불필요하게 작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전에 발생된 장애에 의해서 광링크 하향에서 불필요한 장애 경보를 발생시키지 않고, 레이저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WDM 시스템의 블록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DM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경보억제/레이저차단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DM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WDM 시스템의 장애 발생시 광중계기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LOS 경보 억제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WDM 시스템의 장애 발생시 광단국장치 송신부 또는 광중계기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차단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WDM 시스템의 장애 발생시 광단국장치 수신부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OS 경보 억제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WDM 시스템의 장애 발생시 광단국장치 수신부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CH-LOS 경보 억제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WDM 시스템210 : 광단국장치 송신부
211 : 광 다중화기 212 : 광후치증폭기
215 : 감시채널217 : 레이저차단부
230, 250 : 광중계기215, 235, 255, 275 : 감시채널
231, 251 : 광선로 증폭기237, 257 : 경보억제/레이저차단부
270 : 광단국장치 수신부 271 : 광전치증폭기
272 : 광 역다중화기277 : 경보억제부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은, 광신호 수신 채널 각각에 대한 장애 유무를 검출하는 장애 검출수단; 상기 광신호 수신 채널의 장애 검출시 하향 광링크 장치 및 상향 광링크 장치에게 유지보수신호를 삽입하는 유지보수신호 삽입수단; 상향 또는 하향 광링크 장치로부터 삽입된 상기유지보수신호를 검출하는 유지보수신호 검출수단; 검출된 상기 유지보수신호에 응답해서 장애가 발생된 광링크 장치의 하향에서 발생되는 장애 경보를 비활성화시키는 경보억제수단; 및 검출된 상기 유지보수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장애가 발생된 상기 광링크 장치 전단에 연결된 광증폭기의 레이저를 차단시키는 레이저 차단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은,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복수 개의 광신호를 혼합하여 하나의 다중화된 광신호를 발생하는 광단국장치 송신부; 상기 광단국장치 송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광신호의 손실을 보상하고, 광중계기의 장애 발생시 유지보수 신호를 이용하여 장애가 발생된 광중계기 상향에 위치한 광증폭기의 레이저를 차단하고, 하향에 위치한 광중계기 및 광단국장치 수신부에서 발생되는 장애 경보들을 비활성화시키는 복수 개의 광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들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광신호를 복수 개의 파장을 가지는 광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광신호를 복수 개의 광채널들로 출력하는 광단국장치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을 위한 경보발생 억제 방법은, (a) 광중계기에서 장애가 검출된 경우, 상향 광중계기로부터 PMI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의 판별 결과, 상향 광중계기로부터 PMI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상기 광중계기에서 발생되는 장애 경보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c) 상기 (a) 단계에서의 판별 결과, 상향 광중계기로부터 PMI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상기 광중계기에서 발생되는 장애경보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d) 상기 중계기의 하향에 연결된 광중계기 및 광단국장치 수신부에게 PMI 신호를 삽입하는 단계; 및 (e) 상기 중계기의 하향에 연결된 상기 광단국장치 수신부에게 FDI 신호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보발생 억제 방법은, (f) 상기 상향에 연결된 광중계기로부터 PMI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광단국장치 수신부에서 발생되는 경보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g) 상기 상향에 연결된 광중계기로부터 FDI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광단국장치 수신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광채널들에서 발생되는 채널 경보들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을 위한 레이저 차단 방법은, (a) 해당 광중계기에서 장애가 발생된 경우, 상기 중계기의 상향에 연결된 광중계기 또는 광단국장치 송신부에게 BDI 신호를 삽입하는 단계; 및 (b) 하향 광중계기 또는 광단국장치 수신부로부터 상기 BDI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광중계기 또는 상기 광단국장치 송신부에 구비된 광증폭기의 레이저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DM 시스템(2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WDM 시스템(200)은, 광단국장치 송신부(210), 복수 개의 광중계기(230, 250), 및 광단국장치 수신부(270)로 구성된다.
광단국장치 송신부(210)는 광다중화기(optical multiplexer ; 211), 광후치증폭기(212), 감시채널(215), 및 레이저차단부(217)를 구비한다. 광다중화기(211)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복수 개의 광신호를 혼합하여 하나의 다중화된 광신호로 만드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후치증폭기(212)는 광다중화기(211)에서 출력되는 다중화된 광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하나의 광섬유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후치증폭기(212)는 광전력 증폭기(optical booster amplifier)라고도 불리며, 송신 신호의 광출력을 높이기 위해 출력 효율이 높은 구조로 설계된다. 레이저차단부(217)는 하향의 광중계기에서 LOS 장애가 발생된 경우, 하향의 광중계기로부터 입력되는 유지보수 신호(예를 들면, BDI)에 응답해서 광단국장치 송신부(210)에 구비된 광증폭기(212)의 레이저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감시 채널(215)은 광단국장치 송신부(210) 하향에 구비된 광링크 장치들로/로부터 유지보수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 전달 기능을 수행한다.
복수 개의 광중계기(230, 250)에는 WDM 광선로 증폭기(231, 251), 감시채널(235, 255), 및 경보억제/레이저차단부(237, 257)가 각각 구비된다. 광선로 증폭기(optical line amplifier ; 231, 251)는, 전송 광링크의 중간단계에서 전송 매질인 광섬유의 손실을 보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경보억제/레이저차단부(237, 257)는 해당 광중계기 또는 타 광중계기에서 LOS 장애가 발생된 경우, LOS 장애가 발생된 광중계기를 제외한 하향의 광중계기 또는 광단국장치 수신부(270)에서 불필요한 LOS 및 OCH-LOS경보와 불필요한 레이저 작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장애가 발생된 광중계기 하향에서 장애 경보를 비활성화시키고,장애가 발생한 이전 구간의 광선로증폭기 레이저를 차단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감시 채널(235, 255)은 광중계기(230, 250)의 상향 또는 하향에 연결된 광링크 장치들로/로부터 유지보수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 전달 기능을 수행한다.
광단국장치 수신부(270)는 광전치증폭기(271), 광 역다중화기(optical demultiplxer ; 272), 감시채널(245), 및 경보억제부(277)를 구비한다. 광전치증폭기(271)는 광중계기(250)로부터 전송되는 다중화된 광신호를 증폭한다. 광전치증폭기(271)는 전향의 광중계기(250)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의 손실과, 광단국장치 수신부(270)에 구비된 광 역다중화기(272) 등의 손실을 보상하여, 수신 감도를 높여준다. 광 역다중화기(272)는 광전치증폭기(271)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를 각각의 파장을 가지는 광신호로 분리하고, 이를 복수 개의 광채널들(OCH1, OCH2, …, OCHN)로 출력한다. 경보억제부(277)는 상향 광중계기에서 LOS 장애가 발생된 경우, 이전 광중계기에서 발생한 장애로 인해 광단국장치 수신부(270)에서 불필요한 LOS 경보가 발생되지 않도록, 광전치증폭기(271)에서 발생되는 LOS 경보를 비활성화시키고, 복수 개의 광채널들(OCH1, OCH2, …, OCHN)로부터 발생되는 OCH-LOS 경보를 모두 비활성화시킨다. 감시 채널(275)은 상향에 연결된 광링크 장치들로/로부터 유지보수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 전달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경보억제/레이저차단부(237)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경보억제/레이저차단부(237)는 장애검출회로(2371), 유지보수신호 삽입부(2372), 레이저 차단회로(2376), 유지보수신호 검출부(2382), 및 경보발생 억제회로(2386)를 포함한다. 유지보수신호 삽입부(2372)는 PMI 신호 삽입회로(2373), FDI 신호 삽입회로(2374), 및 BDI 신호 삽입회로(2375)를 구비하고, 유지보수신호 검출부(2382)는 PMI 신호 검출회로(2383), FDI 신호 검출회로(2384), 및 BDI 신호 검출회로(2385)를 각각 구비한다.
장애검출회로(2371)는 광중계기의 각 광신호 수신 채널의 장애 유무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유지보수신호 삽입부(2372)는 장애검출회로(2371)에서 검출된 장애 검출 결과에 응답해서 PMI 신호 삽입회로(2373), FDI 신호 삽입회로(2374), 및 BDI 신호 삽입회로(2375)를 통해 유지보수 신호(PMI, FDI, 및/또는 BDI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유지보수 신호는 광중계기(230)에 구비된 감시채널(235)을 통해 상향 및 하향 광링크 장치들에게 전달된다.
PMI 신호는 "payload missing indication"의 약자로서, 선로 증폭기에서 발생되는 경보를 억제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광증폭기(231)에 입력되는 신호가 없는 경우(즉, 광증폭기(231) 앞단에 있는 광다중화기(211)의 출력신호가 LOS(Los of signal)상태이거나, 광증폭기(231)의 입력과 신호 연결이 끊어진 경우), PMI 신호 삽입회로(2373)는 PMI 신호를 하향 광중계기로 발생하여, 상기 LOS가 하향 광증폭기에서 발생된 것이 아님을 하향 광증폭기들에게 알려준다. 그 결과, 하향 광증폭기 또는 광단국장치 수신부(270)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LOS 경보가 억제될 수 있게 된다.
FDI 신호는 "forward defect indication"의 약자로서, 광단국장치 수신부(270)의 광채널(OCH1, OCH2, …, OCHN)에서 발생되는 OCH-LOS 경보를 억제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해당 광중계기에서 LOS 장애가 검출된 경우, FDI 신호 삽입회로(2374)는 FDI 신호를 하향 광중계기로 발생한다. FDI 신호를 받아들인 하향 광중계기는 이후의 하향 광중계기들을 통해 FDI 신호를 광단국장치 수신부(270)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은 FDI 신호의 이용에 의해서 광단국장치 수신부(270)의 광채널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OCH-LOS 경보들이 억제될 수 있게 된다.
BDI 신호는 "backward defect indication"의 약자로서, 불필요한 레이저 작동을 중지시키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해당 광중계기에서 LOS 장애가 검출된 경우, BDI 신호 삽입회로(2375)는 상향 광중계기 또는 광단국장치 송신부에게 BDI 신호를 발생하여, LOS 장애가 발생된 광링크의 바로 이전 단에서 레이저 작동을 중단시키는 데 사용된다.
유지보수신호 검출부(2382)는 PMI 신호 검출회로(2383) 및 FDI 신호 검출회로(2384)를 통해 상향 광중계기 또는 광단국장치 송신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유지보수 신호(PMI 또는 FDI 신호)를 검출하고, 하향 광중계기 또는 광단국장치 수신부(270)로부터 입력되는 유지보수 신호(BDI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유지보수 신호는 광중계기(230)에 구비된 감시채널(235)을 통해 상향 및 하향 광링크 장치들로부터 입력된다.
경보발생 억제회로(2386)는, 상향 광중계기 또는 광단국장치 송신부(210)로부터 PMI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향 광중계기에서 장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광증폭기의 LOS 경보를 억제한다. 그리고, 상기 경보발생 억제회로(2386)가 광중계기가 아닌 광단국장치 수신부(270)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경보발생 억제회로(2386)는 상향 광중계기로부터 PMI 신호가 입력될 때 해당 광증폭기의 LOS 경보를 억제하고, 상향 광중계기로부터 FDI 신호가 입력될 때 복수 개의 광채널들(OCH1, OCH2, …, OCHN)에서 발생되는 OCH-LOS 경보를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경보발생 억제회로(2386)는 복수 개의 광중계기 및 광단국장치 수신부(270)에 구비되며, 광단국장치 송신부(210)에는 구비되지 않는다.
레이저 차단회로(2376)는, 하향 광중계기 또는 광단국장치 수신부(270)로부터 BDI 신호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BDI 신호에 응답해서 고장난 광중계기의 이전 구간의 광중계기의 레이저를 차단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 같은 레이저 차단회로(2376)는 복수 개의 광중계기 및 광단국장치 송신부(210)에 구비되며, 광단국장치 수신부(270)에는 구비되지 않는다.
이 외에도,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았지만, 각 블록들의 송수신 종단에는 광 커플러가 구비되어 있어, 발진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DM 시스템(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에는 광중계기(230)(이하, 제 1 광중계기라 칭함) 바로 전단에서 LOS 장애가 발생한 경우(참조번호 10 참조)의 WDM 시스템(200)의 LOS 경보 억제 및 레이저 차단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제 1 광중계기(230)에 구비된 장애검출 회로(2371)는 LOS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검출 결과, 장애가 발생하였으면 LOS 경보를 발생하고, 하향에 위치하고 있는 광중계기에서 LOS 경보가 발생되는 것을방지하기 위해서, PMI 신호 및 FDI 신호를 유지보수신호 삽입부(2372)를 통해 하향 광중계기(이하 제 2 광중계기라 칭함)(25)에게 전송하고, BDI 신호를 광단국장치 송신부(210)의 BDI 신호 검출회로(2185)에게 각각 전송한다.
광단국장치 송신부(210)에 구비된 BDI 신호 검출회로(2185)는, 하향 광중계기로부터 입력되는 BDI 신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레이저차단회로(2176)는 BDI 신호 검출 결과에 응답해서 광증폭기(212)의 레이저를 차단한다. 그 결과, 불필요한 레이저 증폭 작용이 방지된다.
한편, 제 1 광중계기(230)의 유지보수신호 삽입부(2372)로부터 발생된 PMI 신호는, 제 2 광중계기의 PMI 신호 검출회로(2583)와, 광단국장치 수신부(270)의 PMI 신호 검출회로(2783)로 입력된다. 그리고, 유지보수신호 삽입부(2372)로부터 발생된 FDI 신호는 제 2 광중계기(250)를 통해 광단국장치 수신부(270)의 FDI 신호 검출회로(2784)로 입력된다.
제 2 광중계기(250)는 PMI 신호 검출회로(2583)로부터 PMI 신호가 검출되면, 상향에 위치한 광중계기에서 LOS 장애가 발생된 것으로 인식하고, 경보발생 억제회로(2586)를 통해 LOS 경보를 비활성화시킨다. 그 결과, 장애가 발생되지 않은 하향 광중계기(250)에서는 불필요한 LOS 경보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광단국장치 수신부(270)의 PMI 신호 검출회로(2783)로부터 PMI 신호가 검출되면, 광단국장치 수신부(270)는 상향에 위치한 광중계기에서 LOS 장애가 발생된 것으로 인식하고, 경보발생 억제회로(2786)를 통해 LOS 경보를 비활성화시킨다. 그리고, FDI 신호 검출회로(2784)로부터 FDI 신호가 검출되면, 광단국장치수신부(270)는 경보발생 억제회로(2796)를 통해 복수 개의 광채널들(OCH1, OCH2, …, OCHN)에서 발생되는 OCH-LOS 경보를 비활성화시킨다. 그 결과, 장애가 발생되지 않은 광단국장치 수신부(270)에서는 불필요한 LOS 경보 및 OCH-LOS 경보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5는 WDM 시스템의 장애 발생시 광중계기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LOS 경보 억제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해당 광중계기에서 LOS 장애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2301 단계).
2301 단계에서의 판별 결과 LOS 장애가 검출되었으면, 광중계기는 PMI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2302 단계).
2302 단계에서의 판별 결과 PMI 신호가 검출되었으면, 광중계기는 검출된 상기 LOS 장애가 해당 광중계기에서 발생한 것이 아니라 상향 광중계기에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광중계기의 LOS 경보를 비활성화시킨다(2307 단계).
그리고, 2302 단계에서의 판별 결과 PMI 신호가 검출되지 않았으면, 광중계기는 검출된 상기 LOS 장애가 자신에게서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광중계기의 LOS 경보를 활성화시킨다(2303 단계). 이어서, 하향 광중계기들과 광단국장치 수신부에서 LOS 경보 및 OCH-LOS 경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향 광중계기에게 PMI 신호와 FDI 신호를 각각 삽입한다(2304 및 2305 단계). 그리고, 불필요한 레이저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상향 광중계기 또는 광단국장치 송신부에게 BDI 신호를 삽입한다(2306 단계).
도 6은 WDM 시스템의 장애 발생시 광단국장치 송신부 또는 광중계기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차단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하향의 광중계기 또는 광단국장치 수신부로부터 BDI 신호가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2101 단계).
2101 단계에서의 판별 결과 BDI 신호가 수신되었으면, 광단국장치 송신부 또는 광중계기는, 하향의 광중계기 또는 광단국장치 수신부에서 장애가 발생된 것으로 인식하고, 불필요한 레이저 작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광증폭기 레이저를 차단한다(2102 단계).
도 7은 WDM 시스템의 장애 발생시 광단국장치 수신부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OS 경보 억제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광단국장치 수신부에서 LOS 장애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2701 단계).
2701 단계에서의 판별 결과 LOS 장애가 검출되었으면, 광단국장치 수신부는 PMI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2702 단계).
2702 단계에서의 판별 결과 PMI 신호가 검출되었으면, 광단국장치 수신부는 검출된 LOS 장애가 해당 광단국장치 수신부에서 발생한 것이 아니라 상향 광중계기에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광단국장치 수신부의 LOS 경보를 비활성화시킨다(2703 단계).
그리고, 2702 단계에서의 판별 결과 PMI 신호가 검출되지 않았으면, 광단국장치 수신부는 검출된 LOS 장애가 자신에게서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광단국장치 수신부의 LOS 경보를 활성화시킨다(2704 단계).
도 8은 WDM 시스템의 장애 발생시 광단국장치 수신부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CH-LOS 경보 억제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광단국장치 수신부에서 OCH-LOS 장애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2711 단계).
2711 단계에서의 판별 결과 OCH-LOS 장애가 검출되었으면, 광단국장치 수신부는 FDI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2712 단계).
2712 단계에서의 판별 결과 FDI 신호가 검출되었으면, 광단국장치 수신부는 검출된 OCH-LOS 장애가 해당 광단국장치 수신부에서 발생한 것이 아니라 상향 광중계기에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광단국장치 수신부의 OCH-LOS 경보를 비활성화시킨다(2713 단계).
그리고, 2712 단계에서의 판별 결과 FDI 신호가 검출되지 않았으면, 광단국장치 수신부는 검출된 OCH-LOS 장애가 자신에게서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광단국장치 수신부의 OCH-LOS 경보를 활성화시킨다(2714 단계).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 및 그것을 위한 경보발생 억제 및 레이저 차단 방법에 의하면, WDM 시스템의 장애 발생시 불필요한 경보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불필요한 레이저 작동을 차단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광단국장치 송신부, 복수 개의 광중계기 및 광단국장치 수신부가 광 링크되어 있는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에 있어서:
    광신호 수신 채널 각각에 대한 장애 유무를 검출하는 장애 검출수단;
    상기 광신호 수신 채널의 장애 검출시 하향 광링크 장치 및 상향 광링크 장치에게 유지보수신호를 삽입하는 유지보수신호 삽입수단;
    상향 또는 하향 광링크 장치로부터 삽입된 상기 유지보수신호를 검출하는 유지보수신호 검출수단;
    검출된 상기 유지보수신호에 응답해서 장애가 발생된 광링크 장치의 하향에서 발생되는 장애 경보를 비활성화시키는 경보억제수단; 및
    검출된 상기 유지보수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장애가 발생된 상기 광링크 장치 전단에 연결된 광증폭기의 레이저를 차단시키는 레이저 차단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
  2.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복수 개의 광신호를 혼합하여 하나의 다중화된 광신호를 발생하는 광단국장치 송신부;
    상기 광단국장치 송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광신호의 손실을 보상하고, 광중계기의 장애 발생시 유지보수 신호를 이용하여 장애가 발생된 광중계기 상향에 위치한 광증폭기의 레이저를 차단하고, 하향에 위치한 광중계기 및 광단국장치 수신부에서 발생되는 장애 경보들을 비활성화시키는 복수 개의 광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들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광신호를 복수 개의 파장을 가지는 광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광신호를 복수 개의 광채널들로 출력하는 광단국장치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 신호는
    상기 하향 광중계기 및 상기 광단국장치 수신부로부터 발생되는 장애 경보들을 억제하기 위한 PMI(payload missing indication) 신호;
    상기 광단국장치 수신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광채널들에서 발생되는 채널 장애 경보들을 억제하기 위한 FDI(forward defect indication) 신호; 및
    장애가 발생된 상기 광중계기의 바로 이전 단에 구비된 광증폭기의 레이저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한 BDI(backward defect indication)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광중계기는
    상기 광신호의 손실을 보상하는 광증폭기;
    상기 광단국장치 송신부, 상기 상향 및 하향 광중계기들, 및 상기 광단국장치 수신부 사이에서 상기 유지보수신호를 전달하는 감시 채널;
    상기 광중계기에서 발생된 장애를 검출하는 장애검출회로;
    상기 광중계기의 장애 검출시, 상기 하향 광중계기들 및 상기 광단국장치 수신부에게 상기 PMI 신호 및 상기 FDI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상향 광중계기 또는 상기 광단국장치 송신부에게 상기 BDI 신호를 발생하는 유지보수신호 발생회로;
    상기 감시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PMI 신호, 상기 FDI 신호 및 상기 BDI 신호를 검출하는 유지보수신호 검출회로;
    상기 하향 광중계기 또는 상기 광단국장치 수신부로부터 상기 BDI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광증폭기의 레이저를 차단하는 레이저 차단회로; 및
    상기 상향 광중계기 또는 상기 광단국장치 송신부로부터 상기 PMI 신호가 입력된 경우, 해당 광중계기에서 상기 장애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광중계기에서 발생되는 상기 장애 경보를 비활성화시키는 경보발생 억제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단국장치 송신부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상기 복수 개의 광신호들을 하나의 다중화된 광신호로 혼합하는 광다중화기;
    상기 다중화된 광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상기 광신호를 광섬유로 전송하는 광증폭기;
    상기 광중계기의 장애 발생시, 상기 광중계기로부터 상기 BDI 신호를 받아들이는 감시 채널; 및
    상기 BDI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광단국장치 송신부에 구비된 상기 광증폭기의 레이저를 차단하는 레이저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단국장치 수신부는
    상기 광중계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다중화된 광신호를 증폭하는 광증폭기;
    상기 증폭된 광신호를 각각의 파장을 가지는 복수 개의 광신호들로 분리하여 복수 개의 광채널들로 출력하는 광 역다중화기;
    상기 광중계기의 장애 발생시, 상기 광중계기로부터 상기 PMI 신호 및 상기 FDI 신호를 받아들이는 감시 채널; 및
    상기 PMI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광단국장치 수신부에서 발생되는 상기 장애 경보 및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채널들에서 발생되는 상기 채널 장애 경보들을 비활성화시키는 경보억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억제부는
    상기 PMI 신호를 검출하는 제 1 신호 검출회로;
    상기 PMI 신호의 검출시, 상기 광단국장치 수신부의 장애 경보를 비활성화시키는 제 1 경보억제부;
    상기 FDI 신호를 검출하는 제 2 신호 검출회로; 및
    상기 FDI 신호의 검출시, 상기 복수 개의 광채널들의 채널 장애 경보들을 비활성화시키는 제 2 경보억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
  8. (a) 광중계기에서 장애가 검출된 경우, 상향 광중계기로부터 PMI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의 판별 결과, 상향 광중계기로부터 PMI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상기 광중계기에서 발생되는 장애 경보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c) 상기 (a) 단계에서의 판별 결과, 상향 광중계기로부터 PMI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상기 광중계기에서 발생되는 장애 경보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d) 상기 중계기의 하향에 연결된 광중계기 및 광단국장치 수신부에게 PMI 신호를 삽입하는 단계; 및
    (e) 상기 중계기의 하향에 연결된 상기 광단국장치 수신부에게 FDI 신호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을 위한 경보발생 억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발생 억제 방법은
    (f) 상기 상향에 연결된 광중계기로부터 PMI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광단국장치 수신부에서 발생되는 경보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g) 상기 상향에 연결된 광중계기로부터 FDI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광단국장치 수신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광채널들에서 발생되는 채널 경보들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을 위한 경보발생 억제 방법.
  10. (a) 해당 광중계기에서 장애가 발생된 경우, 상기 중계기의 상향에 연결된 광중계기 또는 광단국장치 송신부에게 BDI 신호를 삽입하는 단계; 및
    (b) 하향 광중계기 또는 광단국장치 수신부로부터 상기 BDI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광중계기 또는 상기 광단국장치 송신부에 구비된 광증폭기의 레이저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을 위한 레이저 차단 방법.
KR10-2002-0032171A 2002-06-08 2002-06-08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 및 그것을 위한 경보발생 억제 및레이저 차단 방법 KR100467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171A KR100467319B1 (ko) 2002-06-08 2002-06-08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 및 그것을 위한 경보발생 억제 및레이저 차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171A KR100467319B1 (ko) 2002-06-08 2002-06-08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 및 그것을 위한 경보발생 억제 및레이저 차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844A true KR20030094844A (ko) 2003-12-18
KR100467319B1 KR100467319B1 (ko) 2005-01-24

Family

ID=32386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171A KR100467319B1 (ko) 2002-06-08 2002-06-08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 및 그것을 위한 경보발생 억제 및레이저 차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3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59587B1 (en) * 2005-12-09 2019-03-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A optical fiber line failure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8394B2 (ja) * 1992-06-10 1999-10-25 ケイディディ株式会社 光中継システムの監視方法および折り返し回路並びに送受信回路
JPH10327108A (ja) * 1997-05-23 1998-12-08 Nec Corp Nb−wdmシステムおよびnb−wdmシステムの波長数設定方式
KR100247483B1 (ko) * 1997-11-28 2000-03-15 이계철 광전송 시스템망에서의 기능장애 자동 진단 방법
KR100312374B1 (ko) * 1998-08-12 2001-12-28 서평원 광전송장치의경보억제방법
KR100329106B1 (ko) * 1998-11-20 2002-10-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파장분할다중시스템의광다중구간계층,감시채널오버헤드및그운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59587B1 (en) * 2005-12-09 2019-03-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A optical fiber line failure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7319B1 (ko) 2005-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9708B1 (en) Optical transmission line automatic power reduction system
US6215565B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diagnosing optical system failures
JP3768110B2 (ja) 光増幅器
US6483616B1 (en) Safe repair of malfunction i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US742422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lacing line terminating equipment of optical communication systems in customer points of presence
US8554070B2 (en) Optic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optical attenuation amount control method
US20080095537A1 (en) Optical transmission device
US200402085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ptical signal power in optical transmission systems
JP2009212763A (ja) 光伝送システム、光伝送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光送受信装置、及び端末側送受信装置、並びに光伝送方法
JP2682517B2 (ja) 光出力遮断システム
US6654513B1 (en) Path monitoring i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s
US7430373B2 (en) Optical node processor, optical network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JP5899866B2 (ja) 光中継増幅装置及び方法
EP0751635A2 (en) Supervisory apparatus for wavelength-division-multiplexed optical data communications
US6229643B1 (en) Optical fiber amplifier surge protective apparatus
KR100467319B1 (ko)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 및 그것을 위한 경보발생 억제 및레이저 차단 방법
JPH09274206A (ja) 光増幅装置および線形中継光増幅伝送装置
JP5627489B2 (ja) 波長多重伝送装置
US20010022684A1 (en) Optical amplifier and wavelength multiplexing optical transmission system
JPH05292036A (ja) 光増幅中継装置
US8509615B2 (en) Optical amplifier
US8548321B2 (en) Optical transmission apparatus
JP3745767B2 (ja) Wdm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局装置及び監視制御方法
KR20010064429A (ko) 역방향 광링크 감시에 의한 자동광원차단 장치
JP2005094630A (ja) アナログ光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