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4132A - 경찰업무 관련 서류 작성 관리 툴 - Google Patents

경찰업무 관련 서류 작성 관리 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4132A
KR20030094132A KR1020030065282A KR20030065282A KR20030094132A KR 20030094132 A KR20030094132 A KR 20030094132A KR 1020030065282 A KR1020030065282 A KR 1020030065282A KR 20030065282 A KR20030065282 A KR 20030065282A KR 20030094132 A KR20030094132 A KR 20030094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pa
information
data
control module
cre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6936B1 (ko
Inventor
이종한
Original Assignee
매직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직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매직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30094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9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RPA(Documents Relevant to the Police Affairs) 작성 관리 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임의의 정보처리장치 일부에 D/B 관리 프로그램 및 워드 프로그램의 개별적인 특성을 DRPA 작성업무 특성에 맞게 체계적으로 조합시킨 효율적인 전산환경, 예컨대, "실무 경찰관들에게 익숙한 워드 방식의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제공함과 아울러, 이 워드 방식의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통해 입력된 일련의 DRPA 데이터를 D/B 환경에 맞게 신속히 수취·처리할 수 있는 모듈환경", "입력·완료된 DRPA 데이터를 D/B 방식으로 저장함과 아울러, 이 D/B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사후 관리할 수 있는 일련의 모듈환경" 등을 긴밀하게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실무 경찰관들이 별도의 교육과정 없이 단지, 워드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간단한 지식만으로도, 종래와 같은 여러 가지 불편함 없이 자신이 원하는 DRPA를 좀더 손쉽게 작성·관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D/B 관리 프로그램 및 워드 프로그램의 개별적인 특성을 DRPA 작성업무 특성에 맞게 체계적으로 조합시킨 효율적인 전산환경 하에서, 실무 경찰관들의 DRPA 처리 편의성을 극대화시키고, 이를 통해, 일선 사건의 처리 시일 최소화를 유도함으로써, 불필요한 경찰력 낭비를 미리 차단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경찰업무 관련 서류 작성 관리 툴{Tool for controlling a drawing-up status of a documents relevant to the police affairs}
본 발명은 경찰업무 관련 서류(Documents Relevant to the Police Affairs; 이하, "DRPA"라 칭함)의 작성을 관리하는 전산 툴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임의의 정보처리장치 일부에 D/B 관리 프로그램 및 워드 프로그램의 개별적인 특성을 DRPA 작성업무 특성에 맞게 체계적으로 조합시킨 효율적인 전산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참조자료 활용 가이드 프로세스, 자가 작성 자료 활용 가이드 프로세스, DRPA 통계자료 활용 가이드 프로세스, 타인 작성 자료(또는 자가 작성 자료) 교환 가이드 프로세스 등이 실무 경찰관들의 간단한 전산작업에 의해, 선택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실무 경찰관들이 별도의 교육과정 없이 단지, 워드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간단한 지식만으로도, 종래와 같은 여러 가지 불편함 없이 자신이 원하는 DRPA를 좀더 손쉽게 작성·관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DRPA 작성 관리 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환경이 복잡해지면서, 다양한 종류의 범죄가 급증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민·형사 사건과 관련된 경찰의 업무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과중한 업무 체제 하에서, 통상, 사건을 직접 담당하는 실무 경찰관들은 범인체포 등의 실질적인 수사업무에 더하여, 예컨대, 수사 보고서, 조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DRPA 작성업무를 추가로 수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어려운 상황에서, 시중에 유통되는 각종 워드 프로그램들은 실무 경찰관의 DRPA 작성작업을 효율적으로 보조하는데 있어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실무 경찰관들에게 있어, 종래의 워드 프로그램은 단지, 자동 타자기 정도의 용도로만 인식·활용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종래의 체제 하에서,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각 실무 경찰관들은 예컨대, "보고서 작성이 필요한 매 시기마다, 인적사항 등의 중복 자료를 반복해서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 "보고서 작성이 필요한 매 시기마다 보고서 작성에 필요한 각종 자료(문서작성 예문, 법조문‥‥) 등을 여러 경로(다 경력 선배 경찰관에게 문의, 서적 조사)를 통해 일일이 확보하여야 하는 불편함", "자신이 기 처리한 유사사건 보고서를 신규 보고서 작성에 탄력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불편함", "정규 보고서 이외에, 통계를 위한 별도의 서류를 작성하여야하는 불편함", "자가 작성한 DRPA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없는 불편함", "상부 보고된 통계자료를 손쉽게 활용할 수 없는 불편함", "개별 타 경찰관들이 작성한 자료를 손쉽게 교환할 수 없는 불편함" 등을 어쩔 수 없이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기존의 워드 프로그램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데이터베이스(D/B: Data Base; 이하, "D/B"라 칭함) 관리 프로그램을 DRPA 처리업무에 도입하면, 실무 경찰관들이 겪고 있는 앞의 다양한 불편함들을 어느 정도 줄여줄 수 있겠지만, 통상, D/B 관리 프로그램의 자료입력 플랫폼은 워드 프로그램의 자료입력 플랫폼과 현저하게 다른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컴퓨터를 다루는데 익숙하지 않은 실무 경찰관들에게 D/B 관리 프로그램의 자료입력 플랫폼 사용방법을 일일이 숙지시키는 작업은 현실적으로, 결코 쉬운 일이 아니며, 결국, 종래 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실무 경찰관들의 여러 고충을 깊이 인식하면서도,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이러한 문제점에 기인하여, 실무 경찰관들의 DRPA 처리 효율이 일정 수준 이하로 저하되는 경우, 일선 사건처리 시일은 그만큼 더뎌질 수밖에 없으며, 결국, 이러한 여파는 불필요한 경찰력 낭비로 고스란히 이어질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임의의 정보처리장치 일부에 D/B 관리 프로그램 및 워드 프로그램의 개별적인 특성을 DRPA 작성업무 특성에 맞게 체계적으로 조합시킨 효율적인 전산환경, 예컨대, "실무 경찰관들에게 익숙한 워드 방식의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제공함과 아울러, 이 워드 방식의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통해 입력된 일련의 DRPA 데이터를 D/B 환경에 맞게 신속히 수취·처리할 수 있는 모듈환경", "입력·완료된 DRPA 데이터를 D/B 방식으로 저장함과 아울러, 이 D/B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사후 관리할 수 있는 일련의 모듈환경" 등을 긴밀하게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참조자료 활용 가이드 프로세스, 자가 작성 자료 활용 가이드 프로세스, DRPA 통계자료 활용 가이드 프로세스, 타인 작성 자료(또는 자가 작성 자료) 교환 가이드 프로세스 등이 실무 경찰관들의 간단한 전산작업에 의해, 선택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실무 경찰관들이 별도의 교육과정 없이 단지, 워드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정도의 지식만으로도, 종래와 같은 여러 가지 불편함 없이 자신이 원하는 DRPA를 좀더 손쉽게 작성·관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D/B 관리 프로그램 및 워드 프로그램의 개별적인 특성을 DRPA 작성업무 특성에 맞게 체계적으로 조합시킨 효율적인 전산환경 하에서, 실무 경찰관들의 DRPA 처리 편의성을 극대화시키고, 이를 통해, 일선 사건의 처리 시일 최소화를 유도함으로써, 불필요한 경찰력 낭비를 미리 차단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찰업무 관련 서류 작성 관리 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찰업무 관련 서류 작성 관리 툴의 정보 출력 관리모듈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찰업무 관련 서류 작성 관리 툴의 정보 교환 관리모듈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각 실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의 플랫폼 출력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운영체제를 탑재한 임의의 정보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운영체제를 매개로 전달되는 이용자측 전산 이벤트에 따라,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 및 DPRA 입력 플랫폼을 선택적으로 게시 및 갱신하고, 앞의 DRPA 입력 플랫폼을 통한 DRPA 데이터 입력 및 저장과정을 가이드하며, 기 저장되어 있던 참조문(Reference composition) 및 DRPA 데이터를 검색·선택하여, DRPA 입력 플랫폼에 연결 및 삽입하고, DRPA 데이터를 통계 처리하여, 앞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에 선택적으로 게시하는 DRPA 작성 제어모듈과, 위 DRPA 작성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DRPA 작성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탐색 프레임(Explorer flame) 및 뷰 프레임(View flame)을 분할·형상화하여, 완성된 형태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을 생성함과 아울러, DRPA 작성 제어모듈의 요청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던 특정 서류 폼을 수취하여, 완성된 형태의 DRPA 입력 플랫폼을 생성하는 플랫폼 관리모듈과, DRPA 작성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DRPA 작성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DRPA 입력 플랫폼을 토대로 진행되는 DRPA 데이터의 기록 및 편집과정을 선택적으로 가이드 하는 DRPA 편집 관리모듈과, DRPA 작성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DRPA 작성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DRPA 입력 플랫폼을 토대로 기록·편집된 DRPA 데이터를 D/B 형식으로 변환한 후, 변환 완료된 DRPA 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보 입/출력 관리모듈과, 정보 입/출력 관리모듈을 매개로 하여, DRPA 작성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정보 입/출력 관리모듈의 제어 하에, DRPA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DRPA 데이터 D/B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DRPA 작성 관리 툴을 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DRPA 작성 관리 툴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RPA 작성 관리 툴(100)은 크게, DRPA 작성 제어모듈(10) 및 이 DRPA 작성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플랫폼 관리모듈(13), DRPA 편집 관리모듈(11), 정보 입력 제어모듈(24)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본 발명의 DRPA 작성 관리 툴(100)은 예컨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이동 통신기, PDA, 등과 같은 임의의 정보처리장치(1)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 정보처리장치(1)의 운영체제(2)와 일련의 긴밀한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다.
이때, 본 발명을 이용하는 임의의 이용자, 예컨대, 실무 경찰관이 예컨대,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4)를 구동시켜, 일련의 전산작업을 진행하고, 이 전산 이벤트가 운영체제를 매개로 전달되는 경우,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해당 이용자측 전산 이벤트에 따라, 예컨대,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 및 DPRA 입력 플랫폼을 선택적으로 게시 및 갱신하는 역할", "DRPA 입력 플랫폼을 통한 DRPA 데이터 입력 및 저장과정을 가이드 하는 역할", "기 저장되어 있던 참조문 및 DRPA 데이터를 검색·선택하여, DRPA 입력 플랫폼에 연결 및 삽입하는 역할", "DRPA 데이터를 통계 처리하여,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에 게시하는 역할" 등을 선택적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플랫폼 관리모듈(13)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플랫폼 소스 저장모듈(14)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탐색 프레임 및 뷰 프레임을 분할·형상화한 후, 이를 토대로, 완성된 형태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요청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던 특정 탐색메뉴, 서류 폼 등을 수취한 후, 이를 토대로, 완성된 형태의 DRPA 입력 플랫폼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플랫폼 관리모듈(13)과 교신하는 플랫폼 소스 저장모듈(14)은 예컨대, "플랫폼 생성루틴에 필요한 파라메타 소스, 플랫폼 생성루틴에 필요한 명령어 집합, 플랫폼 생성루틴에 필요한 이미지 소스, 플랫폼 생성루틴에 필요한 폰트 소스, 플랫폼 생성루틴에 필요한 패턴 소스‥‥" 등을 다양하게 구비하여, 플랫폼 관리모듈(13)에 의한 일련의 플랫폼 생성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 DRPA 입력 플랫폼 등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된 후, 운영체제(2)를 거쳐, 모니터 등과 같은 표시장치(3)에 선택적으로 갱신·출력되며, 이 상황에서, 임의의 이용자, 예컨대, 실무 경찰관은 이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 DRPA 입력 플랫폼 등을 활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일련의 DRPA 작성작업을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DRPA 작성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DRPA 편집 관리모듈(11)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DRPA 편집소스 저장모듈(12)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편집 가이드 루틴을 지속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이를 통해, DRPA 입력 플랫폼을 토대로 진행되는 DRPA 데이터의 기록 및 편집과정을 선택적으로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DRPA 편집 관리모듈(11)과 교신하는 DRPA 편집소스 저장모듈(12)은 예컨대, "DRPA 기록/편집 가이드에 필요한코드 소스, DRPA 기록/편집 가이드에 필요한 폰트 소스, DRPA 기록/편집 가이드에 필요한 필터 소스, DRPA 기록/편집 가이드체 필요한 스킨 소스, DRPA 기록/편집 가이드에 필요한 템플릿 소스‥‥" 등을 다양하게 구비하여, DRPA 편집 관리모듈(11)에 의한 일련의 DRPA 기록/편집 가이드 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와 함께, DRPA 작성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정보 입력 관리모듈(24)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DRPA 입력 플랫폼을 토대로 기록·편집된 DRPA 데이터를 D/B 형식으로 변환한 후, 변환 완료된 DRPA 데이터를 후술하는 DRPA 데이터 D/B(31)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앞서 언급한 각 구성요소들 이외에도, 서류 폼 관리모듈(18), 탐색메뉴 관리모듈(22), 참조문 관리모듈(20), 정보 연결모듈(15) 등과도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더 형성한다.
이때, 서류 폼 관리모듈(18)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서류 폼 생성소스 저장모듈(19)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서류 폼 생성루틴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 후, 이를 통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이 요청한 일련의 서류 폼, 예컨대, "‥‥현행범인체포서 폼, 체포영장신청서 폼, 구속영장신청서 폼, 심문신청서 폼‥‥" 등을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서류 폼을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서류 폼 관리모듈(18)과 교신하는 서류 폼 생성소스 저장모듈(19)은 예컨대, "서류 폼 생성루틴에 필요한 파라메타 소스, 서류 폼 생성루틴에 필요한 명령어 집합, 서류 폼 생성루틴에 필요한 이미지소스, 서류 폼 생성루틴에 필요한 폰트 소스, 서류 폼 생성루틴에 필요한 패턴 소스‥‥" 등을 다양하게 구비하여, 서류 폼 관리모듈(18)에 의한 일련의 서류 폼 생성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각종 서류 폼들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을 거쳐, 예컨대, 플랫폼 관리모듈(13)로 전달되며, 추후, 플랫폼 관리모듈(13)은 이러한 각종 서류 폼들을 토대로 하여, 앞서 언급한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 DRPA 입력 플랫폼 등을 원활하게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DRPA 작성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탐색메뉴 관리모듈(22)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메뉴소스 저장모듈(23)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탐색메뉴 생성루틴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 후, 이를 통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이 요청한 일련의 탐색메뉴 항목들을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탐색메뉴 항목들을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탐색메뉴 관리모듈(22)과 교신하는 메뉴소스 저장모듈(23)은 예컨대, "탐색메뉴 생성루틴에 필요한 파라메타 소스, 탐색메뉴 생성루틴에 필요한 명령어 집합, 탐색메뉴 생성루틴에 필요한 이미지 소스, 탐색메뉴 생성루틴에 필요한 폰트 소스, 탐색메뉴 생성루틴에 필요한 패턴 소스‥‥" 등을 다양하게 구비하여, 탐색메뉴 관리모듈(22)에 의한 일련의 탐색메뉴 생성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각종 탐색메뉴들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을 거쳐, 예컨대, 플랫폼 관리모듈(13)로 전달되며, 추후, 플랫폼 관리모듈(13)은 이러한 각종탐색메뉴들을 토대로 하여, 앞서 언급한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을 원활하게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DRPA 작성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참조문 관리모듈(20)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참조문 소스 저장모듈(21)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이 참조문 소스 저장모듈(21)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특정 참조문, 예컨대, "DRPA의 작성에 필요한 각종 예문, DRPA의 작성에 필요한 각종 법조문,수사에 필요한 요령문(예컨대, 십지지문분류 요령문), 각종 신체해부도‥‥" 등을 선택적으로 추출한 후, 추출이 완료된 참조문을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참조문 관리모듈(20)과 교신하는 참조문 소스 저장모듈(21)은 예컨대, "참조문 구성에 필요한 폰트 소스, 참조문 구성에 필요한 이미지 소스, 참조문 구성에 필요한 명령어 집합‥‥" 등을 다양하게 구비하여, 참조문 관리모듈(20)에 의한 일련의 참조문 생성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외에, DRPA 작성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정보 연결모듈(15)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예컨대, "상술한 참조문 관리모듈(20)에 의해 생성된 참조문 데이터", "후술하는 유사정보 검색엔진(25)에 의해 검색·추출된 유사 DRPA 데이터" 등을 수취한 후, 정보연결 소스 저장모듈(16)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정보연결 루틴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이 정보연결 루틴을 활용하여, 앞의 절차를 통해 수취 완료된 참조문 데이터, 유사 DRPA 데이터 등을 플랫폼 관리모듈(13)에 의해 생성된 DRPA 입력 플랫폼에 선택적으로연결·삽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정보 연결모듈(15)과 교신하는 정보연결 소스 저장모듈(16)은 "정보연결 루틴에 필요한 파라메타 소스, 정보연결 루틴에 필요한 수식열 소스, 정보연결 루틴에 필요한 명령어 집합, 정보연결 루틴에 필요한 패턴 소스‥‥" 등을 다양하게 구비하여, 정보 연결모듈(15)에 의한 일련의 정보연결 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앞서 언급한 각 구성요소들 이외에도, 유사정보 검색엔진(25), 유사정보 리스트 관리모듈(26), 누적정보 검색엔진(27), 통계정보 생성모듈(28), 통계 실행엔진(29) 등과도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더 형성한다.
이때, 유사정보 검색엔진(25)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후술하는 DRPA 데이터 D/B(31)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들 중, DRPA 작성 제어모듈(10)에 의해 요청된 특정 유사정보를 선택적으로 검색·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특정 유사정보를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유사정보 리스트 관리모듈(26)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앞의 유사정보 검색엔진(25)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유사정보 검색엔진(25)에 의해 검색·추출된 특정 유사정보와 관련된 일련의 유사정보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생성이 완료된 유사정보 리스트를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누적정보 검색엔진(27)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후술하는 DRPA 데이터 D/B(31)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들 중, DRPA 작성 제어모듈(10)에 의해 요청된 특정 누적정보를 선택적으로 검색·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특정 누적정보를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DRPA 작성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통계정보 생성모듈(28)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부터 일련의 DRPA 데이터들을 전달받은 후,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해당 DRPA 데이터를 통계 처리하여, 일련의 DRPA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DRPA 통계 데이터를 후술하는 DRPA 통계 데이터 D/B(32)에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통계 실행엔진(29)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후술하는 DRPA 통계 데이터 D/B(32)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들 중, DRPA 작성 제어모듈(10)에 의해 요청된 특정 DRPA 통계 정보를 선택적으로 검색·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특정 DRPA 통계 정보를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DRPA 작성 관리 툴(100)의 일부에는 상술한 정보 입/출력 관리모듈(24), 유사정보 검색엔진(25), 누적정보 검색엔진(27), 통계정보 생성모듈(28), 통계 실행엔진(29) 등을 매개로 하여, DRPA 작성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데이터 블록(30)이 더 구비되며, 이 데이터 블록(30)에는 앞서 언급한 DRPA 데이터 D/B(31) 및 DRPA 통계 데이터 D/B(32)가 배치된다.
이 경우, 데이터 블록(30)에 배치된 DRPA 데이터 D/B(31)는 앞서 언급한 정보 입력 관리모듈(24)을 매개로 하여, DRPA 작성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이 정보 입력 관리모듈(24)의 제어 하에, 일련의 DRPA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저장·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DRPA 통계 데이터 D/B(32)는통계정보 생성모듈(28)을 매개로 하여, DRPA 작성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이 통계정보 생성모듈(28)의 제어 하에, 일련의 DRPA 통계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저장·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상술한 각 구성요소들 이외에도, 운영소스 저장모듈(17), 인쇄 관리모듈(33) 등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더 형성하는 바, 이 경우, 운영소스 저장모듈(17)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예컨대, "DRPA 작성관리에 필요한 파라메타 소스, DRPA 작성관리에 필요한 제어 명령어 집합, DRPA 작성관리에 필요한 수식열 소스, DRPA 작성관리에 필요한 패턴 소스‥‥" 등을 다양하게 저장·관리하여, DRPA 작성 제어모듈(10)에 의한 일련의 DRPA 작성관리 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인쇄 관리모듈(33)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부터 인쇄가 필요한 일련의 인쇄필요 데이터를 전달받은 후, 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일련의 인쇄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인쇄 요청 메시지를 운영체제(2)로 전달함으로써, DRPA 작성 제어모듈(10)이 자신이 원하는 인쇄필요 데이터를 프린터(5)를 통해 신속하게 인쇄 받을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DRPA 작성 관리 툴(100)을 운영(사용)하면서,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실무 경찰관들은 매 사건 처리 시마다, 모든 DRPA(예를 들어, ‥‥현행범인체포서, 체포영장신청서, 구속영장신청서, 심문신청서‥‥)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정보, 예컨대, "피의자 인적사항, 범죄사실, 구속 사유, 체포 사유‥‥" 등을 각 개별 DRPA 마다 매번 기재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겪을 수밖에 없게 된다. 즉, 별도의 조치 없이, 본 발명이 운영되면, 실무 경찰관들은 "피의자 인적사항, 범죄사실, 구속 사유, 체포 사유‥‥" 등과 같은 공통정보를 현행범인체포서 작성 시에도 개별적으로 기록하여야 하고, 체포영장신청서 작성 시에도 개별적으로 기록하여야 하며, 구속영장신청서 작성 시에도 개별적으로 기록하여야 하고, 심문신청서 작성 시에도 개별적으로 기록하여야 하는 것이다. 물론, 이 경우, 각 실무 경찰관들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 전산 구성요소들의 유기적인 연동 작용에도 불구하고, DRPA 작성 업무에 있어, 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DRPA 작성 관리 툴(100)은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 이외에, 일련의 정보 출력 관리모듈(40)이 추가 배치된 구성을 취한다.
이 경우, 정보 출력 관리모듈(40)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로,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요청에 따라, DRPA 데이터 D/B(31)에 기 저장되어 있던 DRPA 데이터(예를 들어, ‥‥현행범인체포서, 체포영장신청서, 구속영장신청서, 심문신청서‥‥)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되, 만약, DRPA 데이터의 추출 시점에서, 모든 DRPA 데이터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일련의 공통 DRPA 정보(예를 들어, 피의자 인적사항, 범죄사실, 구속 사유, 체포 사유‥‥)가 자신의 데이터 저장 영역에 미리 설정·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추출되는 해당 DRPA 데이터에 앞의 공통 DRPA 정보를 삽입하는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최종 출력되는 DRPA 데이터에 공통 DRPA 정보가 자동 기재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역할을 수행한다.
이 상황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보 출력 관리모듈(40)은 크게, 정보 출력 관리부(41), D/B 호출부(45), 공통정보 저장부(44), 설정사항 저장부(43) 등이 연동 조합된 구성을 취한다.
이때, 정보 출력 관리부(41)는 인터페이스부(42)를 매개로 하여, DRPA 작성 제어모듈(10) 및 정보 입력 관리모듈(24)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정보 입력 관리모듈(24)에 의해 DRPA 데이터가 DRPA 데이터 D/B(31)에 저장되는 시점에서, 해당 DRPA 데이터가 공통 DRPA 정보(예를 들어, 피의자 인적사항, 범죄사실, 구속 사유, 체포 사유‥‥)에 해당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해당 DRPA 데이터가 공통 DRPA 정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DRPA 데이터를 공통 DRPA 정보로 분류 저장하고, 추후,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요청에 따른 DRPA 데이터(예를 들어, 현행범인체포서, 체포영장신청서, 구속영장신청서, 심문신청서‥‥)의 추출 시점에서, 해당 DRPA 데이터에 공통 DRPA 정보를 삽입하여, DRPA 데이터에 공통 DRPA 정보가 자동 기재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정보 출력 관리부의 역할 수행 하에서, 각 실무 경찰관들은 예컨대, 현행범인체포서 A 작성 시, 단지 한번만 공통 DRPA 정보(예컨대, 피의자 인적사항, 범죄사실, 구속 사유, 체포 사유‥‥)를 기록하기만 하면, 추후, 체포영장신청서 B, 구속영장신청서 C 등을 출력할 때, 이 체포영장신청서 B, 구속영장신청서 C 등에 "현행범인체포서 A에 기록한 공통 DRPA 정보(피의자 인적사항, 범죄사실, 구속 사유, 체포 사유‥‥)"가 동일하게 자동 기록되는 효과를 손쉽게 만끽할 수 있게된다.
물론, 이 경우, 각 실무 경찰관들은 공통 DRPA 정보의 반복 입력에 따른 불편함을 손쉽게 벗어나, "DRPA 작성 문구를 전체적으로 통일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수사의 정확성이 대폭 향상되는 이점" 등을 손쉽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정보 출력 관리부(41)의 전산 통제 하에 놓인 D/B 호출부(45)는 DRPA 데이터 D/B(31)와 신호 연결된 상태로, DRPA 작성 제어모듈(10)에 의해 DRPA 데이터의 출력이 요청되는 경우, 정보 출력 관리부(41)의 제어 하에, DRPA 데이터 D/B(31)를 호출하여, 출력이 요청된 DRPA 데이터(현행범인체포서, 체포영장신청서, 구속영장신청서, 심문신청서‥‥)를 DRPA 데이터 D/B(31)로부터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정보 출력 관리부(41)의 전산 통제 하에 놓인 공통 정보 저장부(44)는 정보 출력 관리부(41)의 제어 하에, 정보 입력 관리모듈(24)이 다루는(즉, 정보 입력 관리모듈이 DRPA 데이터 D/B로 입력하는) DRPA 데이터들 중, 공통 DRPA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피의자 인적사항, 범죄사실, 구속 사유, 체포 사유‥‥)를 선택적으로 전달받은 후, 해당 공통 DRPA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추후, DRPA 데이터의 추출 시점에서, 정보 출력 관리부(41)의 요청이 있는 경우, 기 저장 관리되던 공통 DRPA 정보를 정보 출력 관리부로 추출 전달하여, 추출된 DRPA 데이터에 자가 관리 중인 공통 DRPA 정보가 자동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정보 출력 관리부(41)의 전산 통제 하에 놓인 설정 사항 저장부(43)는 정보 출력 관리부(41)의 운용에 필요한 각종 설정 정보, 예컨대, "정보 입력 모듈(24)이 다루는 DRPA 데이터들 중, 어떠한 정보를 공통 DRPA 정보로 인식·수취할 것인가에 대한 정보", "DRPA 데이터 출력 시퀀스를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에 대한 정보", "공통 DRPA 정보의 저장 시퀀스를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에 대한 정보", "공통 DRPA 정보의 출력 시퀀스를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함으로써, 정보 출력 관리부(41)에 의한 일련의 정보 출력 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DRPA 작성 관리 툴(100)을 운영(사용)할 때, 실무 경찰관들은 하나의 사건(예컨대, 강력사건)을 다루면서, 해당 사건에 대한 하나의 DRPA 자료를 여러 명이 함께 작성할 수밖에 없는 경우를 흔히 겪게 된다. 예를 들어, 실무 경찰관들은 마장동 XX 살인사건을 다루면서, 해당 사건에 대한 피의자 구속영장신청서를 여러 실무 경찰관들이 함께 작성할 수밖에 없는 경우를 흔히 겪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 상황에서,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으면, 각 실무 경찰관들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 전산 구성요소들의 유기적인 연동 작용에도 불구하고, "타 실무 경찰관이 작성한 피의자 구속영장신청서를 인쇄하여, 실물 인쇄물을 확보하여야 하는 불편함", "실물 인쇄물에 기록된 내용을 참고로, 자신에게 배당된 내역을 일일이 전산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 "자신이 기록한 피의자 구속영장신청서를 인쇄하여, 실물 인쇄물을 확보하고, 이 실물 인쇄물을 다음 차례의 타 실무 경찰관에게 이관하여야 하는 불편함" 등을 별 대책 없이 겪을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DRPA 작성 업무에 있어, 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앞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DRPA 작성 관리 툴(100)은 정보 교환 관리모듈(50)이 추가 배치된 구성을 취한다.
이 경우, 정보 교환 관리모듈(50)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부터 일련의 교환정보 추출 요청이 있는 경우, DRPA 데이터 D/B(31)에 기 저장되어 있던 DRPA 데이터들 중, DRPA 작성 제어모듈(10)에 의해 지정된 특정 교환정보를 추출하여, 일련의 교환정보 D/B(60a)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교환정보 D/B(60a)를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여, 해당 교환정보 D/B(60a)가 다른 정보처리장치로 이식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함과 아울러,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부터 일련의 교환정보 입력요청이 있는 경우,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이식된 임의의 교환정보 D/B(60b)를 독취하여, 해당 교환정보 D/B(60b)를 DRPA 데이터 D/B(31)에 저장되기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이 완료된 해당 교환정보 D/B(60b)를 DRPA 데이터 D/B(31)에 이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상황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보 교환 관리모듈(50)은 크게, 정보 교환 관리부(51), D/B 호출 관리부(57), 교환 정보 D/B 생성엔진(53), 교환정보 D/B 독취부(54), D/B 변환엔진(55), D/B 입력 관리부(56) 등이 연동 조합된 구성을 취한다.
이때, 정보 교환 관리부(51)는 인터페이스부(52)를 매개로 DRPA 작성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요청에 따라, 교환정보 D/B(60a)의 생성/저장 절차, 교환정보 D/B(60b) 수취/이식 절차를 총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상황에서, 정보 교환 관리부(51)의 전산 통제 하에 놓인 D/B 호출 관리부(57)는 DRPA 작성 제어모듈(10)에 의해 특정 교환정보의 출력이 요청되는 경우, 정보 교환 관리부(51)의 제어 하에, DRPA 데이터 D/B(31)를 호출하여, DRPA 데이터 D/B(31)에 기 저장되어 있던 DRPA 데이터들(현행범인체포서, 체포영장신청서, 구속영장신청서, 심문신청서‥‥) 중, 특정 교환정보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정보 교환 관리부(51)의 전산 통제 하에 놓인 교환정보 D/B 생성엔진(53)은 정보 교환 관리부(51)의 제어 하에, 앞의 D/B 호출 관리부(57)에 의해 추출된 특정 교환정보를 전산 조작하여, "다른 정보처리장치로 이식 가능한 완성된 형태의 교환정보 D/B"를 신규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정보 교환 관리부(51)의 전산 통제 하에 놓인 교환정보 D/B 독취부(54)는 DRPA 작성 모듈(10)에 의해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이식된 교환정보 D/B"의 입력이 요청되는 경우, 정보 교환 관리부(51)의 제어 하에,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이식되어, 기록매체(예컨대, 플로피 디스켓, CD)를 통해 전달되는 타 사용자(실무 경찰관) 작성 교환정보 D/B(60b)를 예컨대, 기록매체 운영장치(6:예컨대, 플로피 디스크, CD 롬 등), 운영체제(2) 등을 매개로, 독취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정보 교환 관리부(51)의 전산 통제 하에 놓인 D/B 변환엔진(55)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에 의해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이식된 교환정보 D/B(60b)"의 입력이 요청되는 경우, 정보 교환 관리부(51)의 제어 하에, 교환정보 D/B 독취부(54)에 의해 독취된 교환정보 D/B(60b)를 수취한 후, 이를 전산 조작하여, 해당 교환정보D/B(60b)를 DRPA 데이터 D/B(31)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외에, 정보 교환 관리부(51)의 전산 통제 하에 놓인 D/B 입력 관리부(56)는 DRPA 작성 제어모듈(10)에 의해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이식된 교환정보 D/B(60b)"의 입력이 요청되는 경우, 정보 교환 관리부(51)의 제어 하에, DRPA 데이터 D/B(31)를 호출하여, D/B 변환엔진(55)에 의해 변환된 교환정보 D/B(60b)를 DRPA 데이터 D/B(31)에 이식 저장하여, 해당 교환정보 D/B(60b)를 DRPA 데이터 D/B(31)의 관리 체제 내에 편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정보 교환 관리부(51), D/B 호출 관리부(57), 교환정보 D/B 생성엔진(53), 교환정보 D/B 독취부(54), D/B 변환엔진(55), D/B 입력 관리부(56) 등의 체계적인 역할 수행 하에서, 임의의 실무 경찰관이 자신에 의해 작성된 특정 DRPA 데이터, 예컨대, 체포영장신청서 B를 타 경찰관에게 이관시키고자 하는 경우, 해당 실무 경찰관은 입력장치(4)를 통한 간단한 전산 조작을 통해, DRPA 작성 제어모듈(10) 측으로, "체포영장신청서 B의 교환을 요청한다"는 의사를 전달하게 되며, 이 경우,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정보 교환 관리모듈(50)의 정보 교환 관리부(51), D/B 호출 관리부(57), 교환정보 D/B 생성엔진(53) 등을 활용해 체포영장신청서 B의 내용이 반영된 교환정보 D/B(60a)를 생성한 후, 이 교환정보 D/B(60a)를 운영체제(2)를 통해 기록매체 운영장치(6:예컨대, 플로피 디스크, CD 롬 등)에 로딩된 기록매체(예컨대, 플로피 디스켓, CD)에 담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고, 결국, 해당 실무 경찰관은 교환정보 D/B(60a)가 담겨진 기록매체를 다음 차례의 타 실무 경찰관에게 전달하는 간단한 과정만으로도, 하나의 사건과 관련된 DRPA데이터를 다른 실무 경찰관과 손쉽게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황에서, 타 실무 경찰관에 의해 작성된 특정 DRPA 데이터, 예컨대, 심문신청서를 기록매체(예컨대, 플로피 디스켓, CD)를 통해 이관 받은 임의의 실무 경찰관은 해당 기록매체를 기록매체 운영장치(6)에 로딩시킨 후, 입력장치(4)를 통한 간단한 전산 조작을 통해, DRPA 작성 제어모듈(10) 측으로, 예컨대, "심문신청서의 수신을 요청한다"는 의사를 전달하게 되며, 이 경우,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정보 교환 관리모듈(50)의 정보 교환 관리부(51), 교환정보 D/B 독취부(54) 등을 활용해, 기록매체 운영장치(6:예컨대, 플로피 디스크, CD 롬 등)에 로딩된 기록매체(예컨대, 플로피 디스켓, CD)로부터 심문신청서를 독취한 후, D/B 변환엔진(55), D/B 입력 관리부(56) 등을 활용해, 해당 심문신청서를 DRPA 데이터 D/B(31)에 저장되기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절차, 변환이 완료된 해당 심문신청서 N을 DRPA 데이터 D/B(31)에 이식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고, 결국, 해당 실무 경찰관은 "타 실무 경찰관이 작성한 피의자 구속영장신청서를 인쇄하여, 실물 인쇄물을 확보하여야 하는 불편함", "실물 인쇄물에 기록된 내용을 참고로, 자신에게 배당된 내역을 일일이 전산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 없이, 단지, 간단한 전산 조작만으로도, 타 실무 경찰관으로부터 이관된 심문신청서 N을 마치 자신이 작성 중이던 자료처럼 손쉽게 보유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DRPA 작성 제어모듈(10)에 의한 구체적인 DRPA 작성관리 프로세스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을 향유하고자 하는 임의의 이용자, 예컨대, 실무 경찰관은 자신이 관리하는 정보처리장치(1)에 DRPA 작성 관리 툴(100)을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기본적인 전산환경을 마련한다.
이 상황에서, 본 발명을 이용하는 임의의 실무 경찰관이 예컨대,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4)를 구동시켜, 일련의 전산작업을 진행하고, 이 전산 이벤트가 운영체제(2)를 매개로 전달되는 경우,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서류폼 관리모듈(18), 탐색메뉴 관리모듈(22) 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일련의 초기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 생성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탐색메뉴 관리모듈(22)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메뉴소스 저장모듈(23)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탐색메뉴 생성루틴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 후, 이를 통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이 요청한 일련의 탐색메뉴 항목들을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탐색메뉴 항목들을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또한, 이러한 절차 내에서, 플랫폼 관리모듈(13)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을 통해, 앞의 탐색메뉴 관리모듈(22)에 의해 생성된 탐색메뉴를 전달받은 후,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플랫폼 소스 저장모듈(14)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탐색 프레임 및 뷰 프레임을 분할·형상화하고, 이를 토대로, 완성된 형태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을 생성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가 모두 완료되고, 일련의 초기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이 생성·완료되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해당 초기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을 운영체제(2)로 전달하게 되며, 결국,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등의표시장치(3)에는 탐색 프레임(EF) 및 뷰 프레임(VF)이 분할 형성되고, 소정의 탐색메뉴들(202a)이 갖추어진 일련의 초기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0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게 되고, 이 상황에서, 임의의 이용자, 예컨대, 실무 경찰관은 이 초기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01)을 활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일련의 DRPA 작성작업을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초기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01) 게시 상황에서, 실무 경찰관이 자신이 주목하는 특정 메뉴항목(202a)을 선택하는 경우,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서류 폼 관리모듈(18), 탐색메뉴 관리모듈(22), 플랫폼 관리모듈(13) 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기 게시되어 있던 초기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01)을 새롭게 갱신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서류폼 관리모듈(18)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서류 폼 생성소스 저장모듈(19)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서류 폼 생성루틴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 후, 이를 통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이 요청한 일련의 서류 폼, 예컨대, "‥‥현행범인체포서 폼, 체포영장신청서 폼, 구속영장신청서 폼, 심문신청서 폼‥‥" 등을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서류 폼을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또한, 탐색메뉴 관리모듈(22)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메뉴소스 저장모듈(23)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탐색메뉴 생성루틴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 후, 이를 통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이 요청한 일련의 탐색메뉴 항목들을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탐색메뉴 항목들을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와 더불어, 플랫폼 관리모듈(13)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을 통해, 앞의 탐색메뉴 관리모듈(22)에 의해 생성된 탐색메뉴, 서류 폼 관리모듈(18)에 의해 생성된 서류 폼 등을 전달받은 후,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플랫폼 소스 저장모듈(14)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탐색 프레임 및 뷰 프레임을 분할·형상화하고, 이를 토대로, 완성된 형태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을 생성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가 모두 완료되고, 일련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이 생성·완료되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해당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을 운영체제(2)로 전달하게 되며, 결국,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3)에는 탐색 프레임(EF) 및 뷰 프레임(VF)이 분할 형성되고, 소정의 탐색메뉴들(204a,204b) 및 프리뷰(Pre-view)서류 폼(205)이 갖추어진 일련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03)이 새롭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03) 게시 상황 하에서, 실무 경찰관이 뷰 프레임(VF)에 게시된 프리뷰 서류 폼(205)과 동일한 문서를 작성할 것을 본격적으로 결정하고, 예컨대, 탐색메뉴(204a)를 클릭하는 경우,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서류 폼 관리모듈(18), 플랫폼 관리모듈(13) 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기 게시되어 있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03)을 DRPA 입력 플랫폼으로 새롭게 갱신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서류폼 관리모듈(18)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하에, 서류 폼 생성소스 저장모듈(19)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서류 폼 생성루틴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 후, 이를 통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이 요청한 특정 서류 폼을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서류 폼을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또한, 플랫폼 관리모듈(13)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을 통해, 앞의 서류 폼 관리모듈(18)에 의해 생성된 서류 폼 등을 전달받은 후,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플랫폼 소스 저장모듈(14)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완성된 형태의 DRPA 입력 플랫폼을 생성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가 모두 완료되고, 일련의 DRPA 입력 플랫폼이 생성·완료되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해당 DRPA 입력 플랫폼을 운영체제(2)로 전달하게 되며, 결국,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3)에는 서류 폼(207)이 갖추어진 일련의 DRPA 입력 플랫폼(206)이 새롭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황에서, DRPA 편집 관리모듈(11)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DRPA 편집소스 저장모듈(12)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편집 가이드 루틴을 지속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이를 통해, DRPA 입력 플랫폼(206)을 토대로 진행되는 DRPA 데이터의 기록 및 편집과정을 선택적으로 가이드 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며, 결국, 실무 경찰관은 자신이 원하는 DRPA 내역을 마치, 일반 워드 프로그램을 사용하듯이 손쉽게 서류 폼(207) 내에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DRPA 입력 플랫폼(206) 게시 상황 하에서, 실무 경찰관이 예컨대, 참조자료(문서 작성 예문, 법조문‥‥)를 자신의 서류작성에 활용하기 위하여, 작성예 항목(208), 백과사전 항목(209) 등을 클릭하는 경우,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참조문 관리모듈(20), 탐색메뉴 관리모듈(22), 플랫폼 관리모듈(13) 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기 게시되어 있던 DRPA 입력 플랫폼(206)을 "실무 경찰관이 참조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으로 새롭게 갱신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참조문 관리모듈(20)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참조문 소스 저장모듈(21)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이 참조문 소스 저장모듈(21)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특정 참조문, 예컨대, "DRPA의 작성에 필요한 각종 예문, DRPA의 작성에 필요한 각종 법조문, 수사에 필요한 요령문(예컨대, 십지지문분류 요령문), 각종 신체해부도‥‥" 등을 선택적으로 추출한 후, 추출이 완료된 참조문을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또한, 탐색메뉴 관리모듈(22)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메뉴소스 저장모듈(23)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탐색메뉴 생성루틴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 후, 이를 통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이 요청한 일련의 탐색메뉴 항목들을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탐색메뉴 항목들을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와 더불어, 플랫폼 관리모듈(13)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을 통해, 앞의 탐색메뉴 관리모듈(22)에 의해 생성된 탐색메뉴, 참조문 관리모듈(20)에 의해 추출된 참조문 등을 전달받은 후,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플랫폼 소스저장모듈(14)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탐색 프레임(EF) 및 뷰 프레임(VF)을 분할·형상화하고, 이를 토대로, 완성된 형태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을 생성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가 모두 완료되고, 일련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이 생성·완료되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해당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을 운영체제(2)로 전달하게 되며, 결국,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3)에는 탐색 프레임(EF) 및 뷰 프레임(VF)이 분할 형성되고, 소정의 탐색메뉴들(212) 및 참조문(213)이 갖추어진 일련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11)이 새롭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DRPA 가이드 플랫폼(211) 게시 상황 하에서, 실무 경찰관이 예컨대, 참조문(213)을 자신이 작성 중이던 도 6의 서류 폼에 삽입하기 위하여, 보고서에 입력 항목(211a)을 클릭 하는 경우,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정보 연결모듈(15)을 제어하여, 도 7의 참조문(213)을 도 6의 서류 폼(207)에 연결·삽입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정보 연결모듈(15)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예컨대, "상술한 참조문 관리모듈(20)에 의해 생성된 참조문 데이터"를 수취한 후, 정보연결 소스 저장모듈(16)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정보연결 루틴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이 정보연결 루틴을 활용하여, 앞의 절차를 통해 수취 완료된 참조문 데이터를 플랫폼 관리모듈(13)에 의해 생성된 DRPA 입력 플랫폼(206)의 서류 폼(207)에 선택적으로 연결·삽입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가 모두 완료되고, 참조문 데이터가 삽입된 일련의 DRPA 입력 플랫폼(206)이 생성·완료되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해당 DRPA 입력 플랫폼(206)을 운영체제(2)로 전달하게 되며, 결국,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3)에는 참조문(213)이 삽입된 완성된 형태의 서류 폼(207)이 갖추어진 일련의 DRPA 입력 플랫폼(206)이 새롭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실무 경찰관은 "보고서 작성이 필요한 매 시기마다 보고서 작성에 필요한 각종 자료(문서 작성 예문, 법조문‥‥) 등을 여러 경로(다 경력 선배 경찰관에게 문의, 서적 조사)를 통해 일일이 확보하여야 하는 불편함" 없이도, 자신이 원하는 서류작업을 손쉽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DRPA 입력 플랫폼(206) 게시상황 하에서, 실무 경찰관이 자신이 처리한 유사사건을 DRPA 작성과정에 활용하기 위하여, "처리한 유사사건 복사 항목(210)"을 선택하는 경우,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유사정보 검색엔진(25), 유사정보 리스트 관리모듈(26), 플랫폼 관리모듈(13) 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기 게시되어 있던 DRPA 입력 플랫폼(207)을 "실무 경찰관이 자가 처리 유사사건을 활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으로 새롭게 갱신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유사정보 검색엔진(25)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DRPA 데이터 D/B(31)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들 중, DRPA 작성 제어모듈(10)에 의해 요청된 특정 유사정보를 선택적으로 검색·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특정 유사정보를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또한, 유사정보 리스트 관리모듈(26)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앞의 유사정보 검색엔진(25)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유사정보 검색엔진(25)에 의해 검색·추출된 특정 유사정보와 관련된 일련의 유사정보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생성이 완료된 유사정보 리스트를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와 더불어, 플랫폼 관리모듈(13)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을 통해, 앞의 유사정보 검색엔진(25)에 의해 검색·추출된 유사정보, 유사정보 리스트 관리모듈(26)에 의해 생성된 유사정보 리스트 등을 전달받은 후,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플랫폼 소스 저장모듈(14)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탐색 프레임 및 뷰 프레임을 분할·형상화하고, 이를 토대로, 완성된 형태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을 생성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가 모두 완료되고, 일련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이 생성·완료되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해당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을 운영체제(2)로 전달하게 되며, 결국,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3)에는 탐색 프레임(EF) 및 뷰 프레임(VF)이 분할 형성되고, 소정의 유사정보 리스트(215) 및 유사정보 서류 폼(216)이 갖추어진 일련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14)이 새롭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DRPA 가이드 플랫폼(214) 게시 상황 하에서, 실무 경찰관이 예컨대, 유사정보 서류 폼(216)을 자신이 작성 중이던 서류 폼에 삽입하기 위하여, "복사 후 닫기 항목(215a)을 클릭 하는 경우,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정보연결모듈(15)을 제어하여, 도 9의 유사정보를 실무 경찰관이 작성 중이던 서류 폼에 연결·삽입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정보 연결모듈(15)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예컨대, "상술한 유사정보 검색엔진(25)에 의해 검색·추출된 유사정보"를 수취한 후, 정보연결 소스 저장모듈(16)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정보연결 루틴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이 정보연결 루틴을 활용하여, 앞의 절차를 통해 수취 완료된 유사정보를 플랫폼 관리모듈(13)에 의해 생성된 DRPA 입력 플랫폼의 서류 폼에 선택적으로 연결·삽입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가 모두 완료되고, 유사정보가 삽입된 일련의 DRPA 입력 플랫폼이 생성·완료되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해당 DRPA 입력 플랫폼을 운영체제(2)로 전달하게 되며, 결국,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3)에는 유사정보가 삽입된 완성된 형태의 서류 폼(216b)이 갖추어진 일련의 DRPA 입력 플랫폼(216a)이 새롭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실무 경찰관은 자신이 기 처리한 유사사건 보고서를 신규 보고서 작성에 탄력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여러 과정을 통해, 실무 경찰관의 DRPA 데이터 작성 작업이 완료되고, 실무 경찰관이 "작성 완료된 DRPA 데이터 저장 항목(도시안됨)"을 선택하는 경우,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정보 입력 관리모듈(24)을 활용하여, 작성 완료된 DRPA 데이터를 D/B 형태로 저장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정보 입력 관리모듈(24)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제어 하에, DRPA 입력 플랫폼을 토대로 기록·편집된 DRPA 데이터를 D/B 형식으로 변환한 후, 변환 완료된 DRPA 데이터를 DRPA 데이터 D/B(31)에 저장하는 과정을 진행하게 되며, 결국, 실무 경찰관이 작성한 각종 DRPA 데이터는 DRPA 데이터 D/B(31) 내에서, 안정적으로 격납 관리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정보 입력 관리모듈(24)에 의해 DRPA 데이터가 DRPA 데이터 D/B(31)에 저장되는 시점에서, 정보 출력 관리모듈(40)의 정보 출력 관리부(41)는 해당 DRPA 데이터가 공통 DRPA 정보(예를 들어, 피의자 인적사항, 범죄사실, 구속 사유, 체포 사유‥‥)에 해당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해당 DRPA 데이터가 공통 DRPA 정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DRPA 데이터를 공통 DRPA 정보로 분류 저장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 상황에서, DRPA 작성 제어모듈(10) 측으로부터 실무 경찰관의 전산 작업에 따른, 일련의 DRPA 데이터 출력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정보 출력 관리부(41)는 DRPA 데이터 D/B(31)에 기 저장되어 있던 DRPA 데이터(예를 들어, ‥‥현행범인체포서, 체포영장신청서, 구속영장신청서, 심문신청서‥‥)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되, 만약, 이러한 DRPA 데이터의 추출 시점에서, 모든 DRPA 데이터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일련의 공통 DRPA 정보(예를 들어, 피의자 인적사항, 범죄사실, 구속 사유, 체포 사유‥‥)가 자신의 데이터 저장 영역에 미리 설정·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추출되는 해당 DRPA 데이터에 앞의 공통 DRPA 정보를 삽입하는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최종 출력되는 DRPA 데이터에 공통 DRPA 정보가 자동 기재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실무 경찰관들은 예컨대, 현행범인체포서 작성 시, 단지 한번만 공통 DRPA 정보(예컨대, 피의자 인적사항, 범죄사실, 구속 사유, 체포 사유‥‥)를 기록하기만 하면, 추후, 다른 서류, 예컨대, 체포영장신청서, 구속영장신청서 등을 출력할 때, 이 체포영장신청서, 구속영장신청서 등에 "현행범인체포서에 기록한 공통 DRPA 정보(피의자 인적사항, 범죄사실, 구속 사유, 체포 사유‥‥)"가 동일하게 자동 기록되는 효과를 손쉽게 만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03)이 게시된 상황 하에서, 실무 경찰관이 자신에 의해 작성된 특정 DRPA 데이터, 예컨대, 체포영장신청서를 타 경찰관에게 이관시키고자 교환정보 전달 항목(235)을 선택하는 경우, DRPA 작성 제어모듈은 그 즉시, 이러한 이벤트 발생상황을 정보 교환 관리 모듈 측으로 전달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정보 교환 관리모듈(50)은 DRPA 데이터 D/B(31)에 기 저장되어 있던 DRPA 데이터들 중, DRPA 작성 제어모듈(10)에 의해 지정된 특정 교환정보를 추출하여, 일련의 교환정보 D/B(60a)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교환정보 D/B(60a)를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과정이 완료되고, 해당 교환정보 D/B(60a)가 확보되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체포영장신청서의 내용이 반영된 교환정보 D/B(60a)를 운영체제(2)를 통해 기록매체 운영장치(6:예컨대, 플로피 디스크, CD 롬 등)에 로딩된 기록매체(예컨대, 플로피 디스켓, CD)에 담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고, 결국, 해당 실무 경찰관은 교환정보 D/B(60a)가 담겨진 기록매체를 다음 차례의 타 실무 경찰관에게 전달하는 간단한 과정만으로도, 하나의 사건과 관련된 DRPA 데이터를 다른 실무 경찰관과 손쉽게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언급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03)이 게시된 상황 하에서, 타 실무 경찰관에 의해 작성된 특정 DRPA 데이터, 예컨대, 심문신청서를 기록매체(예컨대, 플로피 디스켓, CD)를 통해 이관 받은 임의의 실무 경찰관이 해당 기록매체를 기록매체 운영장치(6)에 로딩시킨 후, "타 실무 경찰관에 의해 작성된 특정 DRPA 데이터, 예컨대, 체포영장신청서"를 자신이 직접 연계 활용하고자 교환정보 수신 항목(236)을 선택하는 경우, DRPA 작성 제어모듈은 그 즉시, 이러한 이벤트 발생상황을 정보 교환 관리 모듈 측으로 전달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정보 교환 관리모듈(50)은 기록매체(예컨대, 플로피 디스켓, CD)로부터 교환정보 D/B(60b)를 독취하여, 해당 교환정보 D/B(60b)를 DRPA 데이터 D/B(31)에 저장되기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이 완료된 해당 교환정보 D/B(60b)를 DRPA 데이터 D/B(31)에 이식하는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결국, 상술한 과정이 완료되면, 해당 실무 경찰관은 "타 실무 경찰관이 작성한 문서를 인쇄하여, 실물 인쇄물을 확보하여야 하는 불편함", "실물 인쇄물에 기록된 내용을 참고로, 자신에게 배당된 내역을 일일이 전산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 없이, 단지, 간단한 전산 조작만으로도, 타 실무 경찰관으로부터 이관된 문서, 예컨대, 체포영장서를 마치 자신이 작성 중이던 자료처럼 손쉽게 보유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DRPA 가이드 플랫폼(201) 게시 상황 하에서, 실무 경찰관이 자신이 기 분류한 누적서류의 개괄적인 상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예컨대, "내가 만드는 보고서 그룹 항목(202b)을 클릭하는 경우,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누적정보 검색엔진(27), 탐색메뉴 관리모듈(22), 플랫폼 관리모듈(13) 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기 게시되어 있던 초기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01)을 "실무 경찰관이 자주 발생하는 사건 수사서류를 일률적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문서그룹으로 묶어둔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으로 새롭게 갱신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누적정보 검색엔진(27)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DRPA 데이터 D/B(31)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들 중, DRPA 작성 제어모듈(10)에 의해 요청된 특정 누적정보를 선택적으로 검색·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특정 누적정보를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또한, 탐색메뉴 관리모듈(22)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메뉴소스 저장모듈(23)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탐색메뉴 생성루틴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 후, 이를 통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이 요청한 일련의 탐색메뉴 항목들을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탐색메뉴 항목들을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와 더불어, 플랫폼 관리모듈(13)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을 통해, 앞의 탐색메뉴 관리모듈(22)에 의해 생성된 탐색메뉴, 누적정보 검색엔진(27)에 의해 검색·추출된 누적정보 등을 전달받은 후,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플랫폼 소스 저장모듈(14)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탐색 프레임 및 뷰 프레임을 분할·형상화하고, 이를 토대로, 완성된 형태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을 생성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가 모두 완료되고, 일련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이 생성·완료되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해당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을 운영체제(2)로 전달하게 되며, 결국,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3)에는 탐색 프레임(EF) 및 뷰 프레임(VF)이 분할 형성되고, 소정의 탐색메뉴들(218) 및 누적정보 서류 폼(219)이 갖추어진 일련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17)이 새롭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된다. 물론,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17)에 게시된 탐색메뉴들(218)은 이용자, 예컨대, 실무 경찰관에 의해 직접 명명·작성된 메뉴들이다.
이러한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 게시 상황 하에서, 실무 경찰관이 뷰 프레임(VF)에 게시된 누적정보 서류 폼(219)과 동일한 문서를 작성할 것을 본격적으로 결정하고, 예컨대, 탐색메뉴(218)를 더블 클릭하는 경우,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서류 폼 관리모듈(18), 플랫폼 관리모듈(13) 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기 게시되어 있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17)을 DRPA 입력 플랫폼으로 새롭게 갱신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서류폼 관리모듈(18)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서류 폼 생성소스 저장모듈(19)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서류 폼 생성루틴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 후, 이를 통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이 요청한 특정 서류 폼을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서류 폼을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또한, 플랫폼 관리모듈(13)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을 통해, 앞의 서류 폼 관리모듈(18)에 의해 생성된 서류 폼 등을 전달받은 후,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플랫폼 소스 저장모듈(13)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완성된 형태의 DRPA 입력 플랫폼을 생성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가 모두 완료되고, 일련의 DRPA 입력 플랫폼이 생성·완료되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해당 DRPA 입력 플랫폼을 운영체제(2)로 전달하게 되며, 결국,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3)에는 서류 폼(223)이 갖추어진 일련의 DRPA 입력 플랫폼(222)이 새롭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상황에서도, DRPA 편집 관리모듈(11)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DRPA 편집소스 저장모듈(12)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편집 가이드 루틴을 지속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이를 통해, DRPA 입력 플랫폼(222)을 토대로 진행되는 DRPA 데이터의 기록 및 편집과정을 선택적으로 가이드 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며, 결국, 실무 경찰관은 자신이 원하는 DRPA 내역을 마치, 일반 워드 프로그램을 사용하듯이 손쉽게 서류 폼(223) 내에 기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상, DRPA들은 예컨대, "체포영장신청-현행범인체포서-‥‥" 등과 같이 서로 연결된 체제를 갖추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 바, 이 상황 하에서, 만약, 실무 경찰관이 자신이 작성 중이던 서류와 연결된 서류들을 연속적으로 작성하기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17)의 연속작성 항목(220)을 선택하는 경우,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플랫폼 관리모듈(13)을 활용하여, 실무 경찰관의 서류 연속작업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일련의 가이드 메뉴"를 출력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플랫폼 관리모듈(13)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플랫폼 소스 저장모듈(14)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연속작성 가이드 메뉴를 생성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가 모두 완료되고, 일련의 연속작성 가이드 메뉴가 생성·완료되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해당 연속작성 가이드 메뉴를 운영체제(2)로 전달하게 되며, 결국,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110)에는 일련의 연속작성 가이드 메뉴(225)가 새롭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황에서, 실무 경찰관이 자신이 작성 중이던 서류와 연결된 서류들을 연속 작성하기로 결정하고, 예 항목(224)을 선택하는 경우,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서류 폼 관리모듈(18), 플랫폼 관리모듈(13) 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기 게시되어 있던 DRPA 입력 플랫폼을 새로운 DRPA 입력 플랫폼으로 새롭게 갱신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서류폼 관리모듈(18)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서류 폼 생성소스 저장모듈(19)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서류 폼 생성루틴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 후, 이를 통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이 요청한 연결 서류 폼을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연결 서류 폼을 DRPA 작성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또한, 플랫폼 관리모듈(13)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을 통해, 앞의 서류 폼 관리모듈에 의해 생성된 연결 서류 폼을 전달받은 후,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플랫폼 소스 저장모듈(14)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완성된 형태의 DRPA 입력 플랫폼을 생성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가 모두 완료되고, 일련의 DRPA 입력 플랫폼이 생성·완료되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해당 DRPA 입력 플랫폼을 운영체제(2)로 전달하게 되며, 결국,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3)에는 연결 서류 폼(227)이 갖추어진 일련의 DRPA 입력 플랫폼(226)이 새롭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상황에서도, DRPA 편집 관리모듈(11)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DRPA 편집소스 저장모듈(12)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편집 가이드 루틴을 지속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이를 통해, DRPA 입력 플랫폼(226)을 토대로 진행되는 DRPA 데이터의 기록 및 편집과정을 선택적으로 가이드 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며, 결국, 실무 경찰관은 자신이 원하는 DRPA 내역을 마치, 일반 워드 프로그램을 사용하듯이 손쉽게 서류 폼(227) 내에 기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절차를 통해 연속 작성된 연결 서류들은 당연히 연속 인쇄될 필요성을 갖고 있는 바, 이 상황 하에서, 만약, 실무 경찰관이 자신이 연속 작성한 일련의 연결 서류들을 연속적으로 인쇄하기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17)의 연속인쇄 항목(221)을 선택하는 경우, DRPA 작성제어모듈(10)은 플랫폼 관리모듈(13)을 활용하여, "실무 경찰관의 연속 인쇄작업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일련의 가이드 메뉴"를 출력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플랫폼 관리모듈(13)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플랫폼 소스 저장모듈(14)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연속인쇄 가이드 메뉴를 생성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가 모두 완료되고, 일련의 연속인쇄 가이드 메뉴가 생성·완료되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해당 연속인쇄 가이드 메뉴를 운영체제(2)로 전달하게 되며, 결국,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3)에는 일련의 연속인쇄 가이드 메뉴(228)가 새롭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황에서, 실무 경찰관이 자신이 작성한 연결 서류들을 연속적으로 인쇄하기 위하여, 인쇄항목(229)을 선택하는 경우,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인쇄 관리모듈(33)을 제어하여, 실무 경찰관이 작성한 연결 서류들을 연속적으로 인쇄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인쇄 관리모듈(33)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부터 인쇄가 필요한 일련의 인쇄필요 데이터를 전달받은 후, 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일련의 인쇄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인쇄 요청 메시지를 운영체제(2)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하게 되며, 결국, 이러한 인쇄과정이 모두 완료되면, 실무 경찰관은 운영체제(2)와 연결된 프린터(5)를 통해, 자신이 작성한 연결 서류들을 실물 인쇄물로 손쉽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DRPA 가이드 플랫폼(201)게시 상황 하에서, 실무 경찰관이 자신이 기 작성한 누적서류의 통계 상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서비스 기능 메뉴(202c)의 "통계관련 항목(도시안됨)"을 선택하는 경우,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통계 실행엔진(29), 탐색메뉴 관리모듈(22), 플랫폼 관리모듈(13) 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기 게시되어 있던 초기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01)을 "실무 경찰관이 자가 처리 누적사건의 통계상황을 개괄적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으로 새롭게 갱신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통계 실행엔진(29)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DRPA 통계 데이터 D/B(32)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들 중, DRPA 작성 제어모듈(10)에 의해 요청된 특정 DRPA 통계 정보를 선택적으로 검색·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특정 DRPA 통계 정보를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또한, 탐색메뉴 관리모듈(22)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메뉴소스 저장모듈(23)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탐색메뉴 생성루틴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 후, 이를 통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이 요청한 일련의 탐색메뉴 항목들을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탐색메뉴 항목들을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와 더불어, 플랫폼 관리모듈(13)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을 통해, 앞의 탐색메뉴 관리모듈(22)에 의해 생성된 탐색메뉴, 통계정보 검색엔진(29)에 의해 검색·추출된 통계정보 등을 전달받은 후,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플랫폼 소스 저장모듈(14)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완성된 형태의 DRPA 통계 플랫폼을 생성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가 모두 완료되고, 일련의 DRPA 통계 플랫폼이 생성·완료되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해당 DRPA 통계 플랫폼을 운영체제(2)로 전달하게 되며, 결국,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3)에는 메뉴항목, 통계 그래픽 요소(231), 통계 텍스트 요소(232) 등이 갖추어진 일련의 DRPA 통계 플랫폼(230)이 새롭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되고, 결국, 실무 경찰관은 이러한 통계 데이터를 자신의 업무에 탄력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경우, 해당 실무 경찰관은 "정규 보고서 이외에, 통계를 위한 별도의 서류를 작성하여야하는 불편함", "상부 보고된 통계자료를 손쉽게 활용할 수 없는 불편함" 등을 손쉽게 피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범죄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특정날짜(또는 특정지역)의 사건을 사전 예방 조치할 수 있는 효과", "범죄정책 수립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효과"까지도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DRPA 가이드 플랫폼(201) 게시 상황 하에서, 실무 경찰관이 자신이 기 작성한 누적서류의 개괄적인 상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예컨대, 서비스 기능 메뉴(202c)의 "개요보기 항목(도시안됨)"을 선택하는 경우,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누적정보 검색엔진(27), 탐색메뉴 관리모듈(22), 플랫폼 관리모듈(13) 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기 게시되어 있던 초기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01)을 "실무 경찰관이 자가 처리 유사사건을 개괄적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DRPA 개요 가이드 플랫폼"으로 새롭게 갱신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누적정보 검색엔진(27)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후술하는 DRPA 데이터 D/B(31)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들 중, DRPA 작성 제어모듈(10)에 의해 요청된 특정 누적정보를 선택적으로 검색·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특정 누적정보를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또한, 탐색메뉴 관리모듈(22)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메뉴소스 저장모듈(23)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탐색메뉴 생성루틴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 후, 이를 통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이 요청한 일련의 탐색메뉴 항목들을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탐색메뉴 항목들을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와 더불어, 플랫폼 관리모듈(13)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을 통해, 앞의 탐색메뉴 관리모듈(22)에 의해 생성된 탐색메뉴, 누적정보 검색엔진(27)에 의해 검색·추출된 누적정보 등을 전달받은 후,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플랫폼 소스 저장모듈(14)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완성된 형태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을 생성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가 모두 완료되고, 일련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이 생성·완료되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해당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을 운영체제(2)로 전달하게 되며, 결국,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3)에는 소정의 탐색메뉴들 및 개요정보 서류 폼(234)이 갖추어진 일련의DRPA 개요 가이드 플랫폼(233)이 새롭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되고, 결국, 실무 경찰관은 별도의 추가 절차 없이도, 자가 작성한 DRPA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임의의 정보처리장치 일부에 D/B 관리 프로그램 및 워드 프로그램의 개별적인 특성을 DRPA 작성업무 특성에 맞게 체계적으로 조합시킨 효율적인 전산환경, 예컨대, "실무 경찰관들에게 익숙한 워드 방식의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제공함과 아울러, 이 워드 방식의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통해 입력된 일련의 DRPA 데이터를 D/B 환경에 맞게 신속히 수취·처리할 수 있는 모듈환경", "입력·완료된 DRPA 데이터를 D/B 방식으로 저장함과 아울러, 이 D/B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사후 관리할 수 있는 일련의 모듈환경" 등을 긴밀하게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참조자료 활용 가이드 프로세스, 자가 작성 자료 활용 가이드 프로세스, DRPA 통계자료 활용 가이드 프로세스, 타인 작성 자료(또는 자가 작성 자료) 교환 가이드 프로세스 등이 실무 경찰관들의 간단한 전산작업에 의해, 선택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실무 경찰관들이 별도의 교육과정 없이 단지, 워드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간단한 지식만으로도, 종래와 같은 여러 가지 불편함 없이 자신이 원하는 DRPA를 좀더 손쉽게 작성·관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D/B 관리 프로그램 및 워드 프로그램의 개별적인 특성을 DRPA 작성업무 특성에 맞게 체계적으로 조합시킨 효율적인 전산환경 하에서, 실무 경찰관들의 DRPA 처리 편의성을 극대화시키고, 이를 통해, 일선 사건의 처리 시일 최소화를 유도함으로써, 불필요한 경찰력 낭비를 미리 차단시킬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운영체제를 탑재한 임의의 정보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운영체제를 매개로 전달되는 이용자측 전산 이벤트에 따라, DRPA(Documents Relevant to the Police Affairs) 작성 가이드 플랫폼 및 DPRA 입력 플랫폼을 선택적으로 게시 및 갱신하고, 상기 DRPA 입력 플랫폼을 통한 DRPA 데이터 입력 및 저장과정을 가이드하며, 기 저장되어 있던 참조문(Reference composition) 및 DRPA 데이터를 검색·선택하여, 상기 DRPA 입력 플랫폼에 연결 및 삽입하고, 상기 DRPA 데이터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에 선택적으로 게시하는 DRPA 작성 제어모듈과;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탐색 프레임(Explorer flame) 및 뷰 프레임(View flame)을 분할·형상화하여, 완성된 형태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을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의 요청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던 특정 서류 폼을 수취하여, 완성된 형태의 DRPA 입력 플랫폼을 생성하는 플랫폼 관리모듈과;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DRPA 입력 플랫폼을 토대로 진행되는 DRPA 데이터의 기록 및 편집과정을 선택적으로 가이드 하는 DRPA 편집 관리모듈과;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DRPA 입력 플랫폼을 토대로 기록·편집된 상기DRPA 데이터를 D/B 형식으로 변환한 후, 변환 완료된 DRPA 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보 입력 관리모듈과;
    상기 정보 입력 관리모듈을 매개로 하여,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정보 입력 관리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DRPA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DRPA 데이터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PA 작성 관리 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특정 참조문을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로 전달하는 참조문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PA 작성 관리 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DRPA 데이터 D/B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들 중, DRPA 작성 제어모듈에 의해 요청된 특정 유사정보를 선택적으로 검색·추출하여,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로 전달하는 유사정보 검색엔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PA 작성 관리 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DRPA 데이터를 통계 처리하여,일련의 DRPA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DRPA 통계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통계정보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PA 작성 관리 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정보 생성모듈을 매개로 하여,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통계정보 생성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DRPA 통계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DRPA 통계 데이터 D/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PA 작성 관리 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DRPA 통계 데이터 D/B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들 중, DRPA 작성 제어모듈에 의해 요청된 특정 DRPA 통계 정보를 선택적으로 검색·추출하여,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로 전달하는 통계 실행엔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PA 작성 관리 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참조문 및 DRPA 데이터를 수취하여, 상기 DRPA 입력 플랫폼에 선택적으로 연결·삽입하는 정보 연결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PA 작성 관리 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의 요청에 따라, 상기 DRPA 데이터 D/B에 기 저장되어 있던 DRPA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되, 만약, DRPA 데이터의 추출 시점에서, 모든 DRPA 데이터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일련의 공통 DRPA 정보가 미리 설정·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추출되는 해당 DRPA 데이터에 상기 공통 DRPA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DRPA 데이터에 상기 공통 DRPA 정보가 자동 기재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해당 공통 DRPA 정보가 자동 기재된 DRPA 데이터를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로 선택 전달하는 정보 출력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PA 작성 관리 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관리모듈은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 및 정보 입력 관리모듈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정보 입력 관리모듈에 의해 상기 DRPA 데이터가 상기 DRPA 데이터 D/B에 저장되는 시점에서, 해당 DRPA 데이터가 상기 공통 DRPA 정보에 해당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해당 DRPA 데이터가 상기 공통 DRPA 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DRPA 데이터를 공통 DRPA 정보로 분류 저장하고, 추후,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의 요청에 따른 DRPA 데이터의 추출 시점에서, 해당 DRPA 데이터에 상기 공통 DRPA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DRPA 데이터에 상기 공통 DRPA 정보가 자동 기재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보 출력 관리부와;
    상기 DRPA 데이터 D/B와 신호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정보 출력 관리부에 의해전산 통제되며,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에 의해 상기 DRPA 데이터의 출력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정보 출력 관리부의 제어 하에, 상기 DRPA 데이터 D/B를 호출하여, 출력이 요청된 상기 DRPA 데이터를 상기 DRPA 데이터 D/B로부터 추출하는 D/B 호출부와;
    상기 정보 출력 관리부에 의해 전산 통제되며, 상기 정보 출력 관리부의 제어 하에, 상기 정보 입력 관리모듈이 다루는 DRPA 데이터 중, 공통 DRPA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전달받은 후, 해당 공통 DRPA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상기 DRPA 데이터의 추출 시점에서, 상기 정보 출력 관리부의 요청이 있는 경우, 기 저장 관리되던 공통 DRPA 정보를 상기 정보 출력 관리부로 추출 전달하여, 추출된 DRPA 데이터에 자가 관리 중인 상기 공통 DRPA 정보가 자동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공통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찰업무 관련 서류 작성 괸리 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로부터 일련의 교환정보 추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DRPA 데이터 D/B에 기 저장되어 있던 DRPA 데이터들 중,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에 의해 지정된 특정 교환정보를 추출하여, 일련의 교환정보 D/B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교환정보 D/B를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로 전달하여, 해당 교환정보 D/B가 다른 정보처리장치로 이식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함과 아울러,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로부터 일련의 교환정보 입력요청이 있는 경우,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이식된 임의의 교환정보 D/B를 독취하여, 해당 교환정보 D/B를 상기 DRPA 데이터 D/B에 저장되기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이 완료된 해당 교환정보 D/B를 상기 DRPA 데이터 D/B에 이식하는 정보 교환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PA 작성 관리 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교환 관리모듈은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의 요청에 따른 교환정보 D/B 생성절차, 교환정보 D/B 이식절차를 총괄 관리하는 정보 교환 관리부와;
    상기 DRPA 데이터 D/B와 신호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정보 교환 관리부에 의해 전산 통제되며,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에 의해 특정 교환정보의 출력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정보 교환 관리부의 제어 하에, 상기 DRPA 데이터 D/B를 호출하여, 상기 DRPA 데이터 D/B에 기 저장되어 있던 DRPA 데이터들 중, 상기 특정 교환정보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D/B 호출 관리부와;
    상기 정보 교환 관리부에 의해 전산 통제되며, 상기 정보 교환 관리부의 제어 하에, 상기 D/B 호출 관리부에 의해 추출된 특정 교환정보를 전산 조작하여, 다른 정보처리장치로 이식 가능한 완성된 형태의 교환정보 D/B를 신규 생성하는 교환정보 D/B 생성엔진과;
    상기 정보 교환 관리부에 의해 전산 통제되며,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에 의해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이식된 교환정보 D/B의 입력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정보 교환 관리부의 제어 하에, 상기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이식된 교환정보D/B를 전산 조작하여, 해당 교환정보 D/B를 상기 DRPA 데이터 D/B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D/B 변환엔진과;
    상기 DRPA 데이터 D/B와 신호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정보 교환 관리부에 의해 전산 통제되며, 상기 DRPA 작성 제어모듈에 의해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이식된 교환정보 D/B의 입력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정보 교환 관리부의 제어 하에, 상기 DRPA 데이터 D/B를 호출하여, 상기 D/B 변환엔진에 의해 변환된 교환정보 D/B를 상기 DRPA 데이터 D/B에 이식 저장하는 D/B 입력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PA 작성 관리 툴.
KR1020030065282A 2002-12-02 2003-09-19 경찰업무 관련 서류 작성 관리 시스템 KR1006669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991A KR20030014188A (ko) 2002-12-02 2002-12-02 경찰업무 관련 서류 작성 관리 툴
KR1020020075991 2002-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132A true KR20030094132A (ko) 2003-12-11
KR100666936B1 KR100666936B1 (ko) 2007-01-11

Family

ID=277296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991A KR20030014188A (ko) 2002-12-02 2002-12-02 경찰업무 관련 서류 작성 관리 툴
KR1020030065282A KR100666936B1 (ko) 2002-12-02 2003-09-19 경찰업무 관련 서류 작성 관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991A KR20030014188A (ko) 2002-12-02 2002-12-02 경찰업무 관련 서류 작성 관리 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20030014188A (ko)
AU (1) AU2003214687A1 (ko)
WO (1) WO20040514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151B1 (ko) * 2005-02-28 2007-03-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문서작성을 통한 업무 진행 상태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1162A (en) * 1989-12-06 1993-01-19 Eastman Kodak Company Document management and production system
US5483650A (en) * 1991-11-12 1996-01-09 Xerox Corporation Method of constant interaction-time clustering applied to document browsing
KR100414158B1 (ko) * 2000-07-29 2004-01-07 한문철 인터넷에 의한 교통사고 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151B1 (ko) * 2005-02-28 2007-03-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문서작성을 통한 업무 진행 상태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6936B1 (ko) 2007-01-11
AU2003214687A1 (en) 2004-06-23
KR20030014188A (ko) 2003-02-15
WO2004051467A1 (en) 200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ngelbart et al. Working together
Bourne et al. A history of online information services, 1963-1976
AU2002364933B2 (en) Automated system and method for patent drafting & technology assessment
AU758232B2 (en) Single-document active user interface,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ame
US5218539A (en) Forms processor with controlled remote revision
US7369701B2 (en) Automated docketing system
US20070245308A1 (en) Flexible XML tagging
US20070245227A1 (en) Business Transaction Documentation System and Method
WO1994022246A2 (en) Transcription system for manipulating real-time testimony
CN101361064A (zh) 文本编辑装置和方法
CA2488961C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mantic stenography
EP1151405A1 (en) Method and system for structured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
KR100666936B1 (ko) 경찰업무 관련 서류 작성 관리 시스템
Crovello Problems in the use of electronic data processing in biological collections
KR100562745B1 (ko) 경찰업무 관련 서류 작성 관리 툴용 문서정보 관리모듈
WO2005081637A2 (en) Interactive system for building, organising, and sharing one’s own databank of works of literature in one or more languages
JP7323138B2 (ja) 技術マップ出力装置、技術マップ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252902B2 (ja) 業務文書処理システム
KR100399217B1 (ko) 통화내역 분석 툴
JPH0883268A (ja) 文書処理装置
Stelzer et al. Project IMPACT Software Documentation: Overview of the Computer-Administered Instruction Subsystem.
Arthern Computer-Assisted Translation–A Translator’s Viewpoint
Maher et al. AFOSR/SDC PROCEEDINGS OF THE WORKSHOP ON WORKING WITH SEMI-AUTOMATIC DOCUMENTATION SYSTEMS, AIRLIE FOUNDATION-WARRENTON, VIRGINIA, MAY 2-5, 1965
Ward et al. Data management for a non-human primate research laboratory
King Data management in recent mammal colle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