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217B1 - 통화내역 분석 툴 - Google Patents

통화내역 분석 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217B1
KR100399217B1 KR10-2002-0083501A KR20020083501A KR100399217B1 KR 100399217 B1 KR100399217 B1 KR 100399217B1 KR 20020083501 A KR20020083501 A KR 20020083501A KR 100399217 B1 KR100399217 B1 KR 100399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ysis
cri
crp
call history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3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7456A (ko
Inventor
이종한
김형조
Original Assignee
매직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직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매직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3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9217B1/ko
Publication of KR20030017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2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내역 분석 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임의의 정보처리장치 일부에 "CRI(Calling Record of the Individual), CRP(Calling Record related to the Place of origin) 등을 안정적으로 저장·관리할 수 있는 모듈환경', "기 저장되어 있는 CRI, CRP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체크가 용이한 CRI 분석정보, CRP 분석정보 등을 선택적으로 생성·출력할 수 있는 모듈환경" 등을 긴밀하게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CRI 분석 리스트 제공 프로세스, CRP 분석 리스트 제공 프로세스 등이 실무 경찰관들의 간단한 전산작업에 의해, 선택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통화내역 조회·분석·확인작업에 따른 실무 경찰관들의 불필요한 업무량 증가를 미리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전산작업 만으로, CRI 분석 리스트, CRP 분석 리스트 등을 자동·제공받을 수 있는 효율적인 모듈환경 하에서, 실무 경찰관들의 업무처리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이를 통해, 일선 사건의 처리 시일 최소화를 유도함으로써, 불필요한 경찰력 낭비를 미리 차단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CRI 분석 리스트, CRP 분석 리스트 등을 자동·산출할 수 있는 모듈환경 하에서, 유력 단서가 정상적으로 체크되지 못한 체, 누락될 가능성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담당 경찰관의 실수에 따른 범인검거 실패확률 저하를 미리 차단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통화내역 분석 툴{Tool for analyzing a calling record}
본 발명은 통화내역, 예컨대, 범죄수사와 관련된 통화내역을 전산 분석하는 툴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임의의 정보처리장치 일부에 "개인통화내역(CRI:Calling Record of the Individual; 이하, "CRI"라 칭함), 발생지 통화내역(CRP:Calling Record related to the Place of origin; 이하, "CRP"라 칭함) 등을 안정적으로 저장·관리할 수 있는 모듈환경', "기 저장되어 있는 CRI, CRP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체크가 용이한 CRI 분석정보, CRP 분석정보 등을 선택적으로 생성·출력할 수 있는 모듈환경" 등을 긴밀하게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CRI 분석 리스트 제공 프로세스, CRP 분석 리스트 제공 프로세스 등이 실무 경찰관들의 간단한 전산작업에 의해, 선택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통화내역 조회·분석·확인작업에 따른 수사효율 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통화내역 분석 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환경이 복잡해지면서, 각종 범죄가 급증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범죄 급증추세에 맞추어, 다양한 종류의 체계적인 수사기법이 폭 넓게 개발·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각종 수사기법들 중, 근래에, "용의자의 CRI를 정밀하게 분석하여, 범인을 검거하는 방법", "특정 범죄의 범행시간과 동일한 시간대의 여러 CRP를 정밀하게 분석하여 범인을 검거하는 방법" 등과 같은 이른바, "통화내역조회 수사기법"이 범인을 추적·검거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처럼, 통화내역조회 수사기법이 각광 받을 수 있는 이유는 최근 유·무선 통신기의 폭 넓은 보급과 더불어, 이 유·무선 통신기를 범죄에 활용하는 범인들이 대폭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통화내역조회 수사 체제 하에서, 통상, 실무 경찰관들은 유·무선 통신 서비스를 관리하는 통신사, 전화국 등의 협조 하에, "용의자의 CRI가 담겨진 인쇄물", "특정 범죄의 범행시간과 동일한 시간대의 여러 CRP가 담겨진 인쇄물' 등을 실물·확보하고, 이를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조회·분석·확인함으로써, 범인을 추적·검거하기 위한 유력한 단서들을 취득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일련의 통화내역 조회·분석·확인작업이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 이를 처리하는 실무 경찰관들의 업무량은 조회대상 통화내역 인쇄물의 양에 비례하여, 어쩔 수 없이, 대폭 증가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해당 사건의 처리 시일은 그만큼 더뎌질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이러한 여파는 불필요한 경찰력 낭비로 고스란히 이어질 수밖에 없게 된다.
더욱이, 일련의 통화내역 조회·분석·확인작업이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체제 하에서,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경우, 실무 경찰관의 실수로, 유력 단서가 정상적으로 체크되지 못한 체, 누락될 가능성은 매우 커질 수밖에 없게 되며, 그 결과, 경찰에서는 범인 검거를 위해 많은 경찰력을 투입하고서도, 범인을 손쉽게 체포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되고, 결국, 이러한 여파는 사회적인 불안요소로 고스란히 이어질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임의의 정보처리장치 일부에 "CRI, CRP 등을 안정적으로 저장·관리할 수 있는 모듈환경', "기 저장되어 있는 CRI, CRP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체크가 용이한 CRI 분석정보, CRP 분석정보 등을 선택적으로 생성·출력할 수 있는 모듈환경" 등을 긴밀하게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CRI 분석 리스트 제공 프로세스, CRP 분석 리스트 제공 프로세스 등이 실무 경찰관들의 간단한 전산작업에 의해, 선택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통화내역 조회·분석·확인작업에 따른 실무 경찰관들의 불필요한 업무량 증가를 미리 차단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전산작업 만으로, CRI 분석 리스트, CRP 분석 리스트 등을 자동·제공받을 수 있는 효율적인 모듈환경 하에서, 실무 경찰관들의 업무처리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이를 통해, 일선 사건의 처리 시일 최소화를 유도함으로써, 불필요한 경찰력 낭비를 미리 차단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CRI 분석 리스트, CRP 분석 리스트 등을 자동·산출할 수 있는 모듈환경 하에서, 유력 단서가 정상적으로 체크되지 못한 체, 누락될 가능성을 최소화시키고, 이를 통해, 담당 경찰관의 실수에 따른 범인검거 실패확률 저하를 미리 차단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역 분석 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의 플랫폼 출력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운영체제를 탑재한 임의의 정보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운영체제를 매개로 전달되는 이용자측 전산 이벤트에 따라,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선택적으로 게시 및 갱신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통한 CRI 및 CRP 입력/저장 과정을 가이드하며, 기 저장되어 있던 CRI 및 CRP를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통한 이용자의 분석요청 메뉴 선택에 따라 상세 분석하여, 일련의 CRI 분석 리스트 및 CRP 분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CRI 분석 리스트 및 CRP 분석 리스트를 인터페이스 플랫폼에 선택적으로 게시하는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과, 이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매개로 입력되는 CRI를 D/B 형식으로 변환한 후, 변환 완료된 CRI를 선택적으로 저장·관리하는 CRI 저장관리 모듈과, 앞의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매개로 입력되는 CRP를 D/B 형식으로 변환한 후, 변환 완료된 CRP를 선택적으로 저장·관리하는 CRP 저장관리 모듈과, 앞의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D/B 형식으로 변환·저장되어 있던 CRI를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통한 이용자의 분석요청 메뉴 선택에 따라 상세 분석하여, 일련의 CRI 분석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CRI 분석 데이터를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로 전달하는 CRI 분석엔진과,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D/B 형식으로 변환·저장되어 있던 CRP를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통한 이용자의 분석요청 메뉴 선택에 따라 상세 분석하여, 일련의 CRP 분석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CRP 분석 데이터를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로 전달하는 CRP 분석엔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통화내역 분석 툴을 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역 분석 툴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역 분석 툴(100)은 크게,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 및 이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플랫폼 관리모듈(20), CRI 저장 관리모듈(11), CRP 저장 관리모듈(12), CRI 저장모듈(13), CRP 저장모듈(14), CRI 분석엔진(15), CRP 분석엔진(16)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본 발명의 통화내역 분석 툴(100)은 예컨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이동 통신기, PDA, 등과 같은 임의의 정보처리장치(1)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 정보처리장치(1)의 운영체제(2)와 일련의 긴밀한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다.
이때, 본 발명을 이용하는 임의의 이용자, 예컨대, 실무 경찰관이 예컨대,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4)를 구동시켜, 일련의 전산작업을 진행하고, 이 전산 이벤트가 운영체제(2)를 매개로 전달되는 경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은 해당 이용자측 전산 이벤트에 따라, "일련의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선택적으로 게시 및 갱신하는 절차",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통한 이용자의 CRI 및 CRP 입력/저장 과정을 가이드 하는 절차", "기 저장되어 있던 CRI 및 CRP를 일련의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통한 이용자의 분석요청 메뉴 선택에 따라 상세 분석하여, 일련의 CRI 분석 리스트 및 CRP 분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CRI 분석 리스트 및 CRP 분석 리스트를 인터페이스 플랫폼에 선택적으로 게시하는 절차" 등을 연동·진행한다.
여기서, 플랫폼 관리모듈(20)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플랫폼 소스 저장모듈(21)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플랫폼 생성루틴을 활성화시킨 후, 이 플랫폼 생성루틴을 통해, 이용자와 본 발명의 툴(100)을 매개하는 완성된 형태의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생성·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플랫폼 관리모듈(20)과 교신하는 플랫폼 소스 저장모듈(21)은 예컨대, "플랫폼 생성루틴에 필요한 파라메타 소스, 플랫폼 생성루틴에 필요한 명령어 집합, 플랫폼 생성루틴에 필요한 이미지 소스, 플랫폼 생성루틴에 필요한 폰트 소스, 플랫폼 생성루틴에 필요한 패턴 소스‥‥" 등을 다양하게 구비하여, 플랫폼 관리모듈(20)에 의한 일련의 플랫폼 생성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인터페이스 플랫폼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로 전달된 후, 운영체제(2)를 거쳐, 모니터 등과 같은 표시장치(3)에 선택적으로 갱신·출력되며, 이 상황에서, 임의의 이용자, 예컨대, 실무 경찰관은 이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통화내역 분석결과를 별다른 문제점 없이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CRI 저장관리 모듈(11)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앞의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매개로 입력되는 CRI를 D/B 형식으로 변환한 후, 변환 완료된 CRI를 선택적으로 저장·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CRP 저장관리 모듈(12)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앞의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매개로 입력되는 CRP를 D/B 형식으로 변환한 후, 변환 완료된 CRP를 선택적으로 저장·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앞의 CRI 저장관리 모듈(11)을 매개로 하여,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CRI 저장모듈(13)은 CRI 저장관리 모듈(11)의 제어 하에, D/B 형식으로 변환 처리된 CRI를 선택적으로 저장·운용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CRP 저장관리 모듈(12)을 매개로 하여,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CRP 저장모듈(14)은 CRP 저장관리 모듈(12)의 제어 하에, D/B 형식으로 변환 처리된 CRP를 선택적으로 저장·운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상황에서, CRI 저장모듈(13)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CRI 분석엔진(15)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CRI 분석소스 저장모듈(16)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CRI 분석루틴을 실행시킨 후, 이 CRI 분석루틴을 통해, 앞의 CRI 저장모듈(13)에 D/B 형식으로 변환·저장되어 있던 CRI를 예컨대,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통한 이용자의 분석요청 메뉴 선택에 따라 상세 분석하여, 일련의 CRI 분석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CRI 분석 데이터를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 경우, CRI 분석엔진(15)과 교신하는 CRI 분석소스 저장모듈(16)은 예컨대, "CRI 분석루틴에 필요한 파라메타 소스, CRI 분석루틴에 필요한 알고리즘 소스, CRI 분석루틴에 필요한 기준자료 소스, CRI 분석루틴에 필요한 수식열 소스, CRI 분석루틴에 필요한 명령어 집합,‥‥" 등을 다양하게 구비하여, CRI 분석엔진(15)에 의한 일련의 CRI 분석 데이터 생성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또한, CRP 저장모듈(14)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CRP 분석엔진(28)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CRP 분석소스 저장모듈(29)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CRP 분석루틴을 실행시킨 후, 이 CRP 분석루틴을 통해, 앞의 CRP 저장모듈(14)에 D/B 형식으로 변환·저장되어 있던 CRP를 예컨대,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통한 이용자의 분석요청 메뉴 선택에 따라 상세 분석하여, 일련의 CRP 분석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CRP 분석 데이터를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 경우, CRP 분석엔진(28)과 교신하는 CRP 분석소스 저장모듈(29)은 예컨대, "CRP 분석루틴에 필요한 파라메타 소스, CRP 분석루틴에 필요한 알고리즘 소스, CRP 분석루틴에 필요한 기준자료 소스, CRP 분석루틴에 필요한 수식열 소스, CRP 분석루틴에 필요한 명령어 집합,‥‥" 등을 다양하게 구비하여, CRP 분석엔진(28)에 의한 일련의 CRP 분석 데이터 생성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은 앞서 언급한 각 구성요소들 이외에도, CRI 분석 리스트 생성모듈(17), CRP 분석 리스트 생성모듈(26), 파일변환 관리모듈(24), 정보 연결모듈(22), 제어소스 저장모듈(19) 등과도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더 형성한다.
이때,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 및 CRI 분석엔진(15)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CRI 분석 리스트 생성모듈(17)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CRI 리스트 소스 저장모듈(18)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CRI 분석 리스트 생성루틴을 실행시킨 후, 이 CRI 분석 리스트 생성루틴을 통해, CRI 분석엔진(15)에 의해 생성된 CRI 분석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리스트 처리하여, 일련의 CRI 분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CRI 분석 리스트를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CRI 분석 리스트 생성모듈(17)과 교신하는 CRI 리스트 소스 저장모듈(18)은 예컨대, "CRI 분석 리스트 생성루틴에 필요한 파라메타 소스, CRI 분석 리스트 생성루틴에 필요한 알고리즘 소스, CRI 분석 리스트 생성루틴에 필요한 수식열 소스, CRI 분석 리스트 생성루틴에 필요한 명령어 집합, CRI 분석 리스트 생성루틴에 필요한 폰트 소스, CRI 분석 리스트 생성루틴에 필요한 스킨 소스‥‥" 등을 다양하게 구비하여, CRI 분석 리스트 생성모듈(17)에 의한 일련의 CRI 분석 리스트 생성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CRI 분석 리스트는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로 전달된후, 운영체제(2)를 거쳐, 플랫폼 관리모듈(20)에 의해 생성된 인터페이스 플랫폼에 선택적으로 갱신·출력되며, 결국, 임의의 이용자, 예컨대, 실무 경찰관은 자신이 원하는 CRI 분석 리스트를 별다른 문제점 없이 손쉽게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 및 CRP 분석엔진(28)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CRP 분석 리스트 생성모듈(26)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CRP 리스트 소스 저장모듈(27)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CRP 분석 리스트 생성루틴을 실행시킨 후, 이 CRP 분석 리스트 생성루틴을 통해, CRP 분석엔진(28)에 의해 생성된 CRP 분석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리스트 처리하여, 일련의 CRP 분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CRP 분석 리스트를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CRP 분석 리스트 생성모듈(26)과 교신하는 CRP 리스트 소스 저장모듈(27)은 예컨대, "CRP 분석 리스트 생성루틴에 필요한 파라메타 소스, CRP 분석 리스트 생성루틴에 필요한 알고리즘 소스, CRP 분석 리스트 생성루틴에 필요한 수식열 소스, CRP 분석 리스트 생성루틴에 필요한 명령어 집합, CRP 분석 리스트 생성루틴에 필요한 폰트 소스, CRP 분석 리스트 생성루틴에 필요한 스킨 소스‥‥" 등을 다양하게 구비하여, CRP 분석 리스트 생성모듈(26)에 의한 일련의 CRP 분석 리스트 생성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CRP 분석 리스트는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로 전달된 후, 운영체제(2)를 거쳐, 플랫폼 관리모듈(20)에 의해 생성된 인터페이스 플랫폼에 선택적으로 갱신·출력되며, 결국, 임의의 이용자, 예컨대, 실무 경찰관은 자신이원하는 CRP 분석 리스트를 별다른 문제점 없이 손쉽게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파일변환 관리모듈(24)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파일변환 소스 저장모듈(25)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파일변환 실행루틴을 활성화시킨 후, 이 파일변환 실행루틴을 통해, 소정의 원본파일을 이용자에 의해 변환이 요청된 새로운 타입의 파일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파일변환 관리모듈(24)과 교신하는 파일변환 소스 저장모듈(25)은 예컨대, "파일변환 실행루틴에 필요한 알고리즘 소스, 파일변환 실행루틴에 필요한 파라메타 소스, 파일변환 실행루틴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소스, 파일변환 실행루틴에 필요한 매핑 소스,‥‥" 등을 다양하게 구비하여, 파일변환 관리모듈(24)에 의한 일련의 파일변환 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와 같이 변환된 파일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 CRI 저장 관리모듈(11), CRP 저장 관리모듈(12) 등에 의한 선택적인 처리절차에 의해, CRI 저장모듈(13), CRP 저장모듈(14) 등에 안정적으로 저장·관리된다.
이와 함께,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정보 연결모듈(22)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이용자가 입력을 원하는 완성된 형태의 CRI 파일, CRP 파일 등을 수취한 후, 정보연결 소스 저장모듈(23)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정보연결 루틴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이 정보연결 루틴을 활용하여, 앞의 절차를 통해 수취 완료된 CRI 파일, CRP 파일 등을 플랫폼 관리모듈(20)에 의해 생성된 인터페이스 플랫폼에 선택적으로 연결·삽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정보 연결모듈(22)과 교신하는 정보연결 소스 저장모듈(23)은 예컨대, "정보연결 루틴에 필요한 파라메타 소스, 정보연결 루틴에 필요한 수식열 소스, 정보연결 루틴에 필요한 명령어 집합, 정보연결 루틴에 필요한 패턴 소스‥‥" 등을 다양하게 구비하여, 정보 연결모듈(22)에 의한 일련의 정보연결 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외에,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제어소스 저장모듈(19)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예컨대, "통화내역 분석제어에 필요한 파라메타 소스, 통화내역 분석제어에 필요한 제어 명령어 집합, 통화내역 분석제어에 필요한 수식열 소스, 통화내역 분석제어에 필요한 설정 내역 소스‥‥" 등을 다양하게 저장·관리하여,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에 의한 각 구성요소들의 관리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통화내역 분석 툴(100)에 의한 구체적인 통화내역 분석 프로세스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을 향유하고자 하는 임의의 이용자, 예컨대, 실무 경찰관은 자신이 관리하는 정보처리장치(1)에 통화내역 분석 툴(100)을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기본적인 전산환경을 마련한다.
이 상황에서, 본 발명을 이용하는 임의의 실무 경찰관이 예컨대,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4)를 구동시켜, 일련의 전산작업을 진행하고, 이 전산 이벤트가 운영체제(2)를 매개로 전달되는 경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은 그 즉시,플랫폼 관리모듈(20)을 제어하여, 일련의 인터페이스 플랫폼 생성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플랫폼 관리모듈(20)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플랫폼 소스 저장모듈(21)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플랫폼 생성루틴을 활성화시킨 후, 이 플랫폼 생성루틴을 통해, 이용자와 본 발명의 툴(100)을 매개하는 완성된 형태의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생성·출력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가 모두 완료되고, 일련의 인터페이스 플랫폼이 생성·완료되면,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해당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운영체제(2)로 전달하게 되며, 결국,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3)에는 일련의 분석요청 메뉴, 예컨대, 개인통화내역 메뉴(202), 발생지(기지국) 통화내역 메뉴(203) 등이 갖추어진 일련의 인터페이스 플랫폼(201)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되고, 이 상황에서, 임의의 이용자, 예컨대, 실무 경찰관은 이 인터페이스 플랫폼(201)을 활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통화내역 분석작업을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플랫폼(201) 게시 상황에서, 실무 경찰관이 유·무선 통신 서비스를 관리하는 통신사, 전화국 등의 협조 하에 확보한 용의자의 CRI 정보, 예컨대, "발신내역, 역발신 내역" 등을 툴(100)측에 입력시키기 위하여, 인터페이스 플랫폼(201)의 발신내역입력 항목(204), 역발신내역입력 항목(206) 등을 선택하는 경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플랫폼 관리모듈(20)을 제어하여, 일련의 CRI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 생성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플랫폼 관리모듈(20)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제어 하에, 플랫폼 소스 저장모듈(21)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플랫폼 생성루틴을 활성화시킨 후, 이 플랫폼 생성루틴을 통해, 완성된 형태의 CRI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생성·출력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가 모두 완료되고, 일련의 CRI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이 생성·완료되면,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해당 CRI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운영체제(2)로 전달하게 되며, 결국,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3)에는 예컨대, 통화일자, 통화시간, 착신번호, 통화지역 등의 필드가 갖추어진 일련의 CRI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208)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되고, 이 상황에서, 임의의 이용자, 예컨대, 실무 경찰관은 이 CRI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208)을 활용하여, 자신이 입수한 CRI 정보를 별다른 문제점 없이 손쉽게 입력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CRI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208) 게시상황 하에서, 실무 경찰관은 CRI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208)의 각 필드에 CRI 정보를 직접 기재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CRI 정보 입력과정"을 진행할 수도 있으며, 파일불러오기 항목(209)을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 작성되어 있던 완성된 형태의 파일(211:예컨대, 한글파일, 워드파일, 엑셀파일 등)을 첨부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CRI 정보 입력과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때, 실무 경차관이 파일불러오기 항목(209)을 선택하는 경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정보연결모듈(22)을 활용하여, 실무 경찰관이 요청한 CRI 파일을 CRI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208)에 연결·삽입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정보 연결모듈(22)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실무 경찰관이 입력을 원하는 완성된 형태의 CRI 파일(211)을 수취한 후, 정보연결 소스 저장모듈(23)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정보연결 루틴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이 정보연결 루틴을 활용하여, 앞의 절차를 통해 수취 완료된 CRI 파일(211)을 플랫폼 관리모듈(20)에 의해 생성된 CRI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208)에 선택적으로 연결·삽입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가 모두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성된 형태의 CRI 파일(211)에 기록되어 있던 CRI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CRI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208)의 각 필드에 신속하게 연결·삽입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실무 경찰관은 CRI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2098)의 각 필드에 CRI 정보를 직접 기재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손쉽게 피할 수 있게 된다.
추후, 실무 경찰관이 일련의 CRI 정보 입력과정을 모두 완료하고, CRI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208)의 신규저장 항목(210)을 선택하는 경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CRI 저장관리 모듈(11)을 활용하여, 실무 경찰관이 선택한 CRI 정보를 CRI 저장모듈(13)에 안정적으로 저장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CRI 저장관리 모듈(11)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앞의 CRI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208)을 매개로 입력되는 CRI를 D/B 형식으로 변환한 후, 변환 완료된 CRI를 CRI 저장모듈(13)에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CRI 분석엔진(15)에 의한 일련의 CRI 분석 프로세스가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는 안정적인 기반환경을 제공한다.
이때, 실무 경찰관은 도 3에 도시된 CRI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208)에 구비된 수정저장 항목을 선택하여, 입력 완료된 원본 CRI 정보를 다양한 형식의 파일로 변환·저장할 수 있는 바, 이 상황에서, 만약, 실무 경찰관이 수정저장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파일변환 관리모듈(24), CRI 저장관리 모듈(11) 등을 활용하여, 원본 CRI 정보를 실무 경찰관이 요청한 새로운 형식의 파일로 변환·저장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파일변환 관리모듈(24)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파일변환 소스 저장모듈(25)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파일변환 실행루틴을 활성화시킨 후, 이 파일변환 실행루틴을 통해, 소정의 CRI 원본파일을 이용자에 의해 변환이 요청된 새로운 타입의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또한, CRI 저장관리 모듈(11)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파일변환 관리모듈(24)에 의해 변환된 CRI 파일을 수취한 후, 수취 완료된 CRI 파일을 D/B 형식으로 변환하고, 변환 완료된 CRI를 CRI 저장모듈(13)에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CRI 분석엔진(15)에 의한 일련의 CRI 분석 프로세스가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는 안정적인 기반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앞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 플랫폼(201) 게시 상황에서, 실무 경찰관이 기 입력되어 있던 CRI 정보를 분석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 플랫폼(201)에 게시된 일련의 분석요청 메뉴, 예컨대, 발신내역분석 항목(205), 역발신내역분석 항목(207) 등을 선택하는 경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CRI 분석엔진(15), CRI 분석 리스트 생성모듈(17), 플랫폼 관리모듈(20) 등을 활용하여, CRI 저장모듈(13)에 기 저장되어 있던 CRI를 이용자의 분석요청 메뉴 선택에 따라 상세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일련의 CRI 분석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생성 완료된 CRI 분석 리스트를 인터페이스 플랫폼에 선택적으로 게시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CRI 분석엔진(15)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CRI 분석소스 저장모듈(16)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CRI 분석루틴을 실행시킨 후, 이 CRI 분석루틴을 통해, 앞의 CRI 저장모듈(13)에 D/B 형식으로 변환·저장되어 있던 CRI를 예컨대, 이용자의 분석요청 메뉴 선택에 따라 상세 분석하여, 일련의 CRI 분석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CRI 분석 데이터를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또한, CRI 분석 리스트 생성모듈(17)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CRI 리스트 소스 저장모듈(18)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CRI 분석 리스트 생성루틴을 실행시킨 후, 이 CRI 분석 리스트 생성루틴을 통해, CRI 분석엔진(15)에 의해 생성된 CRI 분석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리스트 처리하여, 일련의 CRI 분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CRI 분석 리스트를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외에, 플랫폼 관리모듈(20)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CRI 분석 리스트를 수취한 후, 플랫폼 소스 저장모듈(21)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플랫폼 생성루틴을 활성화시키고, 이 플랫폼 생성루틴을 통해, CRI 분석 리스트 내역이 반영된 완성된 형태의 CRI 정보분석용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생성·출력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가 모두 완료되고, 일련의 CRI 정보분석용 인터페이스 플랫폼이 생성·완료되면,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해당 CRI 정보분석용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운영체제(2)로 전달하게 되며, 결국,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3)에는 예컨대, "특정 용의자 A의 통화시간, 횟수, 분, 수신자 번호, 역발신 통화일자, 역발신 통화시간, 역발신 전화번호, 역발신 통화지역‥‥" 등의 내용이 담겨진 일련의 CRI 정보분석용 인터페이스 플랫폼(212)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되고, 이 상황에서, 임의의 이용자, 예컨대, 실무 경찰관은 이 CRI 정보분석용 인터페이스 플랫폼(212)을 활용하여, 용의자의 CRI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통해, 범인 검거를 위한 유력한 단서를 손쉽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통화내역조회 수사 체제 하에서, 일련의 통화내역 조회·분석·확인작업은 모두 실무 경찰관의 수작업에 의존하여 이루어졌는 바, 이 경우, 실무 경찰관들의 업무량은 조회대상 통화내역 인쇄물의 양에 비례하여, 어쩔 수 없이, 대폭 증가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해당 사건의 처리 시일은 그만큼 더뎌질 수밖에 없었으며, 결국, 이러한 여파는 불필요한 경찰력 낭비로 고스란히 이어질 수밖에 없었다.
더욱이, 일련의 통화내역 조회·분석·확인작업이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체제 하에서,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경우, 실무 경찰관의 실수로, 유력 단서가 정상적으로 체크되지 못한 체, 누락될 가능성은 매우 커질 수밖에 없었으며, 그 결과, 경찰에서는 범인 검거를 위해 많은 경찰력을 투입하고서도, 범인을 손쉽게 체포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처리장치 일부에 "통화내역을 안정적으로 저장·관리할 수 있는 모듈환경', "기 저장되어 있는 통화내역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체크가 용이한 통화내역 분석정보를 선택적으로 생성·출력할 수 있는 모듈환경" 등을 긴밀하게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통화내역 분석 리스트 제공 프로세스가 실무 경찰관들의 간단한 전산작업에 의해, 선택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되는 경우, 실무 경찰관은 통화내역 조회·분석·확인작업에 따른 불필요한 업무량 증가를 미리 차단 받을 수 있게 되며, 결국, 해당 사건의 처리 시일은 대폭 줄어들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통화내역 분석 리스트가 자동·산출될 수 있는 모듈환경이 구현되는 경우, 유력 단서가 정상적으로 체크되지 못한 체, 누락될 가능성은 최소화될 수 있게 되며, 결국, 담당 경찰관의 실수에 따른 범인검거 실패확률 저하는 대폭 줄어들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언급한 인터페이스 플랫폼(201) 게시 상황에서, 실무 경찰관이 유·무선 통신 서비스를 관리하는 통신사, 전화국 등의 협조 하에 확보한 "특정 범죄의 범행시간과 동일한 시간대의 여러 CRP 내역"을 툴(100)측에 입력시키기 위하여, 인터페이스 플랫폼(201)의 통화내역입력 항목(214)을 선택하는 경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플랫폼 관리모듈(20)을 제어하여, 일련의 CRP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 생성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플랫폼 관리모듈(20)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플랫폼 소스 저장모듈(21)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플랫폼 생성루틴을 활성화시킨 후, 이 플랫폼 생성루틴을 통해, 완성된 형태의 CRP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생성·출력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가 모두 완료되고, 일련의 CRP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이 생성·완료되면,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해당 CRP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운영체제(2)로 전달하게 되며, 결국,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3)에는 예컨대, 통화일자, 통화시간, 발신번호, 착신번호, 발착신 구분, 통화지역 등의 필드가 갖추어진 일련의 CRP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216)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되고, 이 상황에서, 임의의 이용자, 예컨대, 실무 경찰관은 이 CRP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216)을 활용하여, 자신이 입수한 CRP 정보를 별다른 문제점 없이 손쉽게 입력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CRP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216) 게시상황 하에서, 실무 경찰관은 CRP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216)의 각 필드에 CRP 정보를 직접 기재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CRP 정보 입력과정"을 진행할 수도 있으며, 파일불러오기 항목(217)을 통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 작성되어 있던 완성된 형태의 파일(218:예컨대, 한글파일, 워드파일, 엑셀파일 등)을 첨부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CRP 정보 입력과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때, 실무 경차관이 파일불러오기 항목(217)을 선택하는 경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정보연결모듈(22)을 활용하여, 실무 경찰관이 요청한 CRP 파일(218)을 CRP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216)에 연결·삽입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정보 연결모듈(22)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실무 경찰관이 입력을 원하는 완성된 형태의 CRP 파일(218)을 수취한 후, 정보연결 소스 저장모듈(23)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정보연결 루틴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이 정보연결 루틴을 활용하여, 앞의 절차를 통해 수취 완료된 CRP 파일(218)을 플랫폼 관리모듈(20)에 의해 생성된 CRP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216)에 선택적으로 연결·삽입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가 모두 완료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성된 형태의 CRP 파일(218)에 기록되어 있던 CRP 내용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CRP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216)의 각 필드에 신속하게 연결·삽입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실무 경찰관은 CRP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216)의 각 필드에 CRP 정보를 직접 기재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손쉽게 피할 수 있게 된다.
추후, 실무 경찰관이 일련의 CRP 정보 입력과정을 모두 완료하고, CRP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216)의 신규저장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은 CRP 저장관리 모듈(12)을 활용하여, 실무 경찰관이 선택한 CRP 정보를 CRP 저장모듈(14)에 안정적으로 저장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CRP 저장관리 모듈(12)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앞의 CRP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216)을 매개로 입력되는CRP를 D/B 형식으로 변환한 후, 변환 완료된 CRP를 CRP 저장모듈(14)에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CRP 분석엔진(28)에 의한 일련의 CRP 분석 프로세스가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는 안정적인 기반환경을 제공한다.
이때, 실무 경찰관은 앞서 언급한 CRI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7에 도시된 CRP 정보입력용 인터페이스 플랫폼(216)에 구비된 수정저장 항목을 선택하여, 입력 완료된 원본 CRP 정보를 다양한 형식의 파일로 변환·저장할 수 있는 바, 이 상황에서, 만약, 실무 경찰관이 수정저장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파일변환 관리모듈(24), CRP 저장관리 모듈(12) 등을 활용하여, 원본 CRP 정보를 실무 경찰관이 요청한 새로운 형식의 파일로 변환·저장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파일변환 관리모듈(24)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파일변환 소스 저장모듈(25)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파일변환 실행루틴을 활성화시킨 후, 이 파일변환 실행루틴을 통해, 소정의 CRP 원본파일을 이용자에 의해 변환이 요청된 새로운 타입의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또한, CRP 저장관리 모듈(12)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파일변환 관리모듈(24)에 의해 변환된 CRP 파일을 수취한 후, 수취 완료된 CRP 파일을 D/B 형식으로 변환하고, 변환 완료된 CRP를 CRP 저장모듈(14)에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CRP 분석엔진(28)에 의한 일련의 CRP 분석 프로세스가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는 안정적인 기반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앞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 플랫폼(201) 게시 상황에서, 실무 경찰관이 기 입력되어 있던 CRP 정보를 분석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 플랫폼(201)에 게시된 분석요청 메뉴, 예컨대, 통화내역분석 항목(215)을 선택하는 경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CRP 분석엔진(28), CRP 분석 리스트 생성모듈(26), 플랫폼 관리모듈(20) 등을 활용하여, CRP 저장모듈(14)에 기 저장되어 있던 CRP를 이용자의 분석요청 메뉴 선택에 따라 상세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일련의 CRP 분석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생성 완료된 CRP 분석 리스트를 인터페이스 플랫폼(201)에 선택적으로 게시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CRP 분석엔진(28)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CRP 분석소스 저장모듈(29)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CRP 분석루틴을 실행시킨 후, 이 CRP 분석루틴을 통해, 앞의 CRP 저장모듈(14)에 D/B 형식으로 변환·저장되어 있던 CRP를 예컨대, 이용자의 분석요청 메뉴 선택에 따라 상세 분석하여, 일련의 CRP 분석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CRP 분석 데이터를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또한, CRP 분석 리스트 생성모듈(26)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CRP 리스트 소스 저장모듈(27)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CRP 분석 리스트 생성루틴을 실행시킨 후, 이 CRP 분석 리스트 생성루틴을 통해, CRP 분석엔진(28)에 의해 생성된 CRP 분석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리스트 처리하여, 일련의 CRP 분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CRP 분석 리스트를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외에, 플랫폼 관리모듈(20)은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CRP 분석 리스트를 수취한 후, 플랫폼 소스 저장모듈(21)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플랫폼 생성루틴을 활성화시키고, 이 플랫폼 생성루틴을 통해, CRP 분석 리스트 내역이 반영된 완성된 형태의 CRP 정보분석용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생성·출력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가 모두 완료되고, 일련의 CRP 정보분석용 인터페이스 플랫폼이 생성·완료되면,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은 그 즉시, 해당 CRP 정보분석용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운영체제(2)로 전달하게 되며, 결국,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3)에는 예컨대, "발신번호-발신한 발생지", "착신번호-발신한 발생지", "발신번호-착신한 발생지", "착신번호-착신한 발생지", "발신번호-착신번호-발신한 발생지", "발신번호-착신번호-착신한 발생지" 등의 내용이 담겨진 일련의 CRP 정보분석용 인터페이스 플랫폼(219~224)이 이용자의 분석요청 메뉴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되고, 이 상황에서, 임의의 이용자, 예컨대, 실무 경찰관은 이 CRP 정보분석용 인터페이스 플랫폼(219~224)을 활용하여, 특정 범죄의 범행시간과 동일한 시간대의 여러 CRP, 예컨대, "범행시간대인 09:00~14:00 대의 도봉구지역, 영등포지역, 마포지역, 강남지역‥‥의 통화내역 정보"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통해, 범인 검거를 위한 유력한 단서를 손쉽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임의의 정보처리장치 일부에 "CRI, CRP 등을 안정적으로 저장·관리할 수 있는 모듈환경', "기 저장되어있는 CRI, CRP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체크가 용이한 CRI 분석정보, CRP 분석정보 등을 선택적으로 생성·출력할 수 있는 모듈환경" 등을 긴밀하게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CRI 분석 리스트 제공 프로세스, CRP 분석 리스트 제공 프로세스 등이 실무 경찰관들의 간단한 전산작업에 의해, 선택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통화내역 조회·분석·확인작업에 따른 실무 경찰관들의 불필요한 업무량 증가를 미리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전산작업 만으로, CRI 분석 리스트, CRP 분석 리스트 등을 자동·제공받을 수 있는 효율적인 모듈환경 하에서, 실무 경찰관들의 업무처리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이를 통해, 일선 사건의 처리 시일 최소화를 유도함으로써, 불필요한 경찰력 낭비를 미리 차단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CRI 분석 리스트, CRP 분석 리스트 등을 자동·산출할 수 있는 모듈환경 하에서, 유력 단서가 정상적으로 체크되지 못한 체, 누락될 가능성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담당 경찰관의 실수에 따른 범인검거 실패확률 저하를 미리 차단시킬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운영체제를 탑재한 임의의 정보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운영체제를 매개로 전달되는 이용자측 전산 이벤트에 따라,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선택적으로 게시 및 갱신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통한 CRI(Calling Record of the Individual) 및 CRP(Calling Record related to the Place of origin) 입력/저장 과정을 가이드하며, 기 저장되어 있던 CRI 및 CRP를 상기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통한 이용자의 분석요청 메뉴 선택에 따라 상세 분석하여, 일련의 CRI 분석 리스트 및 CRP 분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CRI 분석 리스트 및 CRP 분석 리스트를 상기 인터페이스 플랫폼에 선택적으로 게시하는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과;
    상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매개로 입력되는 CRI를 D/B 형식으로 변환한 후, 변환 완료된 CRI를 선택적으로 저장·관리하는 CRI 저장관리 모듈과;
    상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매개로 입력되는 CRP를 D/B 형식으로 변환한 후, 변환 완료된 CRP를 선택적으로 저장·관리하는 CRP 저장관리 모듈과;
    상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D/B 형식으로 변환·저장되어 있던 CRI를 상기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통한 이용자의 분석요청 메뉴 선택에 따라 상세 분석하여, 일련의 CRI 분석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CRI 분석 데이터를 상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로 전달하는 CRI 분석엔진과;
    상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D/B 형식으로 변환·저장되어 있던 CRP를 상기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통한 이용자의 분석요청 메뉴 선택에 따라 상세 분석하여, 일련의 CRP 분석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CRP 분석 데이터를 상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로 전달하는 CRP 분석엔진과;
    상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 및 CRI 분석엔진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CRI 분석엔진에 의해 생성된 CRI 분석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리스트 처리하여, 일련의 CRI 분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CRI 분석 리스트를 상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로 전달하는 CRI 분석 리스트 생성모듈과;
    상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 및 CRP 분석엔진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CRP 분석 엔진에 의해 생성된 CRP 분석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리스트 처리하여, 일련의 CRP 분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CRP 분석 리스트를 상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로 전달하는 CRP 분석 리스트 생성모듈과;
    상기 CRI 저장관리 모듈을 매개로 하여, 상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CRI 저장관리 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D/B 형식으로 변환 처리된 CRI를 선택적으로 저장·운용하는 CRI 저장모듈과;
    상기 CRP 저장관리 모듈을 매개로 하여, 상기 통화내역 분석 제어모듈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CRP 저장관리 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D/B 형식으로 변환 처리된 CRP를 선택적으로 저장·운용하는 CRP 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내역 분석 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2-0083501A 2002-12-24 2002-12-24 통화내역 분석 툴 KR100399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501A KR100399217B1 (ko) 2002-12-24 2002-12-24 통화내역 분석 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501A KR100399217B1 (ko) 2002-12-24 2002-12-24 통화내역 분석 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456A KR20030017456A (ko) 2003-03-03
KR100399217B1 true KR100399217B1 (ko) 2003-09-26

Family

ID=27729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3501A KR100399217B1 (ko) 2002-12-24 2002-12-24 통화내역 분석 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92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456A (ko) 200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1842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rrecting Transcribed Audio Files
US11087266B2 (en) Asset data updating
US10244111B1 (en) System for providing data to an interactive response system
US7606712B1 (en) Speech recognition interface for voice actuation of legacy systems
CN1658687B (zh) 利用移动消息接收机和服务器的基于命令的分组sms
US6738784B1 (en) Document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7216266B2 (en) Change request form annotation
CN101676869B (zh) 用于将环境添加到人工制品的创建和修改的系统和方法
US20070143398A1 (en) Central work-product management system for coordinated collaboration with remote users
US20070245308A1 (en) Flexible XML tagging
US200502347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based transcription
WO2006023085A2 (en) Method for creating and using phrase history for accelerating instant messaging input on mobile devices
WO2002102044A1 (en) Automatic normal report system
CN109522526A (zh) 一种利用软件系统远程自动生成标准化作业指导书的方法
CN109783802A (zh) 一种业务规则处理方法、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460017A (zh) 文档数据导入方法、文档数据导出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09815434A (zh) 页面编辑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8153902A (zh) 多轮会话交互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0399217B1 (ko) 통화내역 분석 툴
US50581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errors in a system
US20040051737A1 (en) Method and system of interface editing and online real-time accessing for a personal mobile device
CN110716914A (zh) 数据库配置方法、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终端设备
CN109891410B (zh) 用于新的会话对话系统的数据收集
CN110348680A (zh) 基于统一模板的征信报告智能解析方法以及装置
KR100666936B1 (ko) 경찰업무 관련 서류 작성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