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745B1 - 경찰업무 관련 서류 작성 관리 툴용 문서정보 관리모듈 - Google Patents

경찰업무 관련 서류 작성 관리 툴용 문서정보 관리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745B1
KR100562745B1 KR1020030069915A KR20030069915A KR100562745B1 KR 100562745 B1 KR100562745 B1 KR 100562745B1 KR 1020030069915 A KR1020030069915 A KR 1020030069915A KR 20030069915 A KR20030069915 A KR 20030069915A KR 100562745 B1 KR100562745 B1 KR 100562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drpa
creation
management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6958A (ko
Inventor
이종한
Original Assignee
매직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직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매직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9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745B1/ko
Publication of KR20030086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RPA(Documents Relevant to the Police Affairs) 작성 관리 툴용 문서정보 관리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임의의 정보처리장치에 설치된 DRPA 작성 관리 툴의 일부에 기존 문서작성 프로그램에 의해 작성된 각종 문서파일들을 정교하게 다룰 수 있는 전산 컴포넌트(Component)들, 예컨대, "기존 문서파일들을 DRPA 작성 관리 툴의 D/B 저장 체계에 맞게 등록 저장시킬 수 있는 전산 컴포넌트", "기존 문서파일들의 등록 레이아웃을 신규 설정하고, 해당 설정사항을 DRPA 작성 관리 툴의 운영에 탄력적으로 반영시킬 수 있는 전산 컴포넌트", "등록 저장되어 있는 기존 문서파일들을 일련의 플랫폼을 통해 로딩시켜, 해당 문서파일들의 자연스러운 편집을 유도하는 전산 컴포넌트", "편집 저장된 문서의 선택적 출력을 관리하는 전산 컴포넌트", "D/B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는 자료들을 문서파일 형태로 변환 생성할 수 있는 전산 컴포넌트" 등을 긴밀하게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DRPA 작성 관리 툴>을 사용하는 실무 경찰관들이 별도의 불편한 절차 없이, 기존 문서작성 프로그램에 의해 작성된 자료들을 DRPA 작성 관리 툴의 플랫폼 내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존 문서파일의 효용성이 최적화된 효율적인 전산환경 하에서, 실무 경찰관들의 DRPA 처리 편의성을 극대화시키고, 이를 통해, 일선 사건의 처리 시일 최소화를 유도함으로써, 불필요한 경찰력 낭비를 미리 차단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경찰업무 관련 서류 작성 관리 툴용 문서정보 관리모듈{Module for controlling a document file installed in a tool for controlling a drawing-up status of a documents relevant to the police affairs}
도 1은 본 발명이 채용된 경찰업무 관련 서류 작성 관리 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정보 관리모듈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각 실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의 플랫폼 출력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경찰업무 관련 서류(Documents Relevant to the Police Affairs; 이하, "DRPA"라 칭함)의 작성을 관리하는 툴에 설치되는 전산모듈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툴의 일부에 기존 문서작성 프로그램에 의해 작성된 각종 문서파일들을 정교하게 다룰 수 있는 전산 컴포넌트(Component)들, 예컨대, "기존 문서파일들을 DRPA 작성 관리 툴의 D/B 저장 체계에 맞게 등록 저장시킬 수 있는 전산 컴포넌트", "기존 문서파일들의 등록 레이아웃을 신규 설정하고, 해당 설정사항을 DRPA 작성 관리 툴의 운영에 탄력적으로 반영시킬 수 있는 전산 컴포넌트", "등록 저장되어 있는 기존 문서파일들을 일련의 플랫폼을 통해 로딩시켜, 해당 문서파일들의 자연스러운 편집을 유도하는 전산 컴포넌트", "편집 저장된 문서의 선택적 출력을 관리하는 전산 컴포넌트", "D/B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는 자료들을 문서파일 형태로 변환 생성할 수 있는 전산 컴포넌트" 등을 긴밀하게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DRPA 작성 관리 툴>을 사용하는 실무 경찰관들이 별도의 불편한 절차 없이, 기존 문서작성 프로그램에 의해 작성된 자료들을 DRPA 작성 관리 툴의 플랫폼 내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DRPA 작성 관리 툴용 문서정보 관리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환경이 복잡해지면서, 다양한 종류의 범죄가 급증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민·형사 사건과 관련된 경찰의 업무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과중한 업무 체제 하에서, 통상, 사건을 직접 담당하는 실무 경찰관들은 범인체포 등의 실질적인 수사업무에 더하여, 예컨대, 수사 보고서, 조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DRPA 작성업무를 추가로 수행하는 것이 필수적이었으며, 이러한 어려운 상황에서, 전통적으로, 시중에 유통되는 각종 문서작성 프로그램들(예컨대, 한글과 컴퓨터사에서 출시된 한글 프로그램,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출시된 워드 프로그램 등)은 실질적으로 실무 경찰관들의 DRPA 작성작업을 효율적으로 보조하는데 있어 많은 기여를 하여 왔다.
그러나, 실무 경찰관들에게 있어, 종래의 문서작성 프로그램은 단지, 자동 타자기 정도의 용도로만 인식·활용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종래의 체제 하에서,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각 실무 경찰관들은 예컨대, "보고서 작성이 필요한 매 시기마다, 인적사항 등의 중복 자료를 반복해서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 "보고서 작성이 필요한 매 시기마다 보고서 작성에 필요한 각종 자료(문서 작성 예문, 법조문‥‥) 등을 여러 경로(다 경력 선배 경찰관에게 문의, 서적 조사)를 통해 일일이 확보하여야 하는 불편함", "자신이 기 처리한 유사사건 보고서를 신규 보고서 작성에 탄력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불편함", "정규 보고서 이외에, 통계를 위한 별도의 서류를 작성하여야하는 불편함", "자가 작성한 DRPA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없는 불편함", "상부 보고된 통계자료를 손쉽게 활용할 수 없는 불편함", "개별 타 경찰관들이 작성한 자료를 손쉽게 교환할 수 없는 불편함" 등을 어쩔 수 없이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 출원인은 예컨대, 특허출원 제2003-65282호 "DRPA 작성 관리 툴"을 통해, <임의의 정보처리장치 일부에 D/B 관리 프로그램 및 문서작성 프로그램의 개별적인 특성을 DRPA 작성업무 특성에 맞게 체계적으로 조합시킨 효율적인 전산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참조자료 활용 가이드 프로세스, 자가 작성 자료 활용 가이드 프로세스, DRPA 통계자료 활용 가이드 프로세스, 타인 작성 자료(또는 자가 작성 자료) 교환 가이드 프로세스 등이 실무 경찰관들의 간단한 전산작업에 의해, 선택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실무 경찰관들이 별도의 교육과정 없이 단지, 워드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간단한 지식만으로도, 종래와 같은 여러 가지 불편함 없이 자신이 원하는 DRPA를 좀더 손쉽게 작성·관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효과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본 출원인에 의한 <DRPA 작성 관리 툴>의 개발 및 보급 노력에도 불구하고, 문서작성 프로그램에 대한 의존도가 워낙 컸던 일부 실무 경찰관들은 아직도, 한글 프로그램, 워드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DRPA 작성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며, 본 출원인이 개발 보급한 <경찰업무 관련 서류 작성 관리 툴>을 사용중인 실무 경찰관들 중의 일부는 아직까지도, 이전에 문서작성 프로그램을 통해 자가 작성한 자료, 예컨대, 한글파일, 워드파일, 엑셀파일 등을 다량으로 누적 보유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DRPA 작성 관리 툴>이 폭 넓게 보급되고 있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기존 전통적인 문서작성 프로그램에 의해 작성된 자료의 활용 가능성은 아직도, 무시할 수 없을 만큼 크다 할 것이다.
물론, 이러한 상황에서, <DRPA 작성 관리 툴>과 기존 <문서작성 프로그램에 의해 작성된 자료>를 긴밀하게 연계시키기 위한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으면, 각 실무 경찰관들은 <DRPA 작성 관리 툴에 배치된 각 전산 구성요소들>의 유기적인 연동 작용에도 불구하고, "DRPA 작성 관리 툴 및 기존 문서작성 프로그램을 별도로 운영하여야 하는 불편함", "DRPA 작성 관리 툴을 사용하는 경찰관과, 기존 문서작성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타 경찰관과의 업무 호환성이 대폭 떨어지는 불편함", "DRPA 작성 관리 툴을 사용함에 따라, 기존 문서작성 프로그램을 통해 자가 작성한 다량의 자료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자동 폐기되는) 불편함" 등을 별 대책 없이 겪을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DRPA 작성 업무에 있어 큰 어려움을 겪을 수밖 에 없게 된다.
물론, 이러한 문제점에 기인하여, 실무 경찰관들의 DRPA 처리 효율이 일정 수준 이하로 저하되는 경우, 일선 사건처리 시일은 그만큼 더뎌질 수밖에 없으며, 결국, 이러한 여파는 불필요한 경찰력 낭비로 고스란히 이어질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임의의 정보처리장치에 설치된 DRPA 작성 관리 툴의 일부에 기존 문서작성 프로그램에 의해 작성된 각종 문서파일들을 정교하게 다룰 수 있는 전산 컴포넌트(Component)들, 예컨대, "기존 문서파일들을 DRPA 작성 관리 툴의 D/B 저장 체계에 맞게 등록 저장시킬 수 있는 전산 컴포넌트", "기존 문서파일들의 등록 레이아웃을 신규 설정하고, 해당 설정사항을 DRPA 작성 관리 툴의 운영에 탄력적으로 반영시킬 수 있는 전산 컴포넌트", "등록 저장되어 있는 기존 문서파일들을 일련의 플랫폼을 통해 로딩시켜, 해당 문서파일들의 자연스러운 편집을 유도하는 전산 컴포넌트", "편집 저장된 문서의 선택적 출력을 관리하는 전산 컴포넌트", "D/B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는 자료들을 문서파일 형태로 변환 생성할 수 있는 전산 컴포넌트" 등을 긴밀하게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DRPA 작성 관리 툴>을 사용하는 실무 경찰관들이 별도의 불편한 절차 없이, 기존 문서작성 프로그램에 의해 작성된 자료들을 DRPA 작성 관리 툴의 플랫폼 내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문서파일의 효용성이 최적화된 효율적인 전산환경 하에서, 실무 경찰관들의 DRPA 처리 편의성을 극대화시키고, 이를 통해, 일선 사건의 처리 시일 최소화를 유도함으로써, 불필요한 경찰력 낭비를 미리 차단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운영체제를 탑재한 임의의 정보처리장치에 설치되면서, 일련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 및 DPRA 입력 플랫폼을 선택적으로 게시 및 갱신하고, 이 DRPA 입력 플랫폼을 통한 DRPA 데이터 입력 및 저장과정을 가이드 하는 DRPA 작성 관리 툴 내에 탑재되는 문서정보 관리모듈을 개시한다.
이때, 문서정보 관리모듈은 구체적으로, 일련의 이용자 전산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로딩된 문서파일을 수취하여, 해당 문서파일을 상기 DRPA 작성 관리 툴의 D/B 저장 체계에 맞게 등록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문서파일의 등록 레이아웃을 신규 설정하고, 해당 설정사항을 상기 DRPA 작성 관리 툴의 운영에 탄력적으로 반영하며, 상기 문서파일의 출력 및 편집을 선택적으로 가이드 하는 문서정보 관리부와, 상기 문서정보 관리부에 의해 전산 통제되며, 상기 문서정보 관리부의 제어 하에, 상기 문서파일을 그 상태에 따라, 원 문서 또는 편집문서로 구별 저장하는 문서입력 관리부와, 상기 문서정보 관리부에 의해 전산 통제되며, 상기 문서정보 관리부의 제어 하에, 상기 DRPA 작성 관리 툴의 D/B 등록 레이아웃을 체크하고, 해당 D/B 등록 레이아웃에 따라, 상기 문서파일의 등록 레이아웃을 신규 설정하여, 상기 문서파일의 등록체계를 상기 D/B 등록체계에 맞도록 조절하는 문서 등록 레이아웃 설정부와, 상기 문서정보 관리부에 의해 전산 통제되며, 상기 문서정보 관리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원 문서 또는 편집문서로 구별 저장되어 있던 문서파일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문서출력 관리부와, 상기 문서정보 관리부에 의해 전산 통제되며, 상기 문서입력 관리부에 의해 상기 문서파일이 저장되는 시점에서, 해당 문서파일에 기재된 일부 문서정보가 공통정보에 해당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해당 문서정보가 공통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별도로 분류 저장하고, 추후, 문서출력 관리부에 의한 다른 문서파일 추출시점에서, 상기 다른 문서파일에 해당 문서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다른 문서파일에 해당 문서정보가 자동 기재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공통정보 관리부와, 상기 문서정보 관리부에 의해 전산 통제되며, 상기 문서정보 관리부의 제어 하에, 기 저장되어 있던 DRPA 데이터를 전산 조작하여, 문서파일 형태로 변환하는 D/B 형식 변환엔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DRPA 작성 관리 툴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채용한 DRPA 작성 관리 툴(100)은 크게, DRPA 작성 제어모듈(10) 및 이 DRPA 작성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플랫폼 관리모듈(13), DRPA 편집 관리모듈(11), 정보 입력 관리모듈(24), 정보출력 관리모듈(25)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본 발명의 DRPA 작성 관리 툴(100)은 예컨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이동 통신기, PDA, 등과 같은 임의의 정보처리장치(1)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 정보처리장치(1)의 운영체제(2)와 일련의 긴밀한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다.
이때, 본 발명을 이용하는 임의의 이용자, 예컨대, 실무 경찰관이 예컨대,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4)를 구동시켜, 일련의 전산작업을 진행하고, 이 전산 이벤트가 운영체제를 매개로 전달되는 경우,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해당 이용자측 전산 이벤트에 따라, 예컨대,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 및 DPRA 입력 플랫폼을 선택적으로 게시 및 갱신하는 역할", "DRPA 입력 플랫폼을 통한 DRPA 데이터 입력 및 저장과정을 가이드 하는 역할" 등을 선택적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플랫폼 관리모듈(13)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플랫폼 소스 저장모듈(14)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탐색 프레임 및 뷰 프레임을 분 할·형상화한 후, 이를 토대로, 완성된 형태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요청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던 특정 탐색메뉴, 서류 폼 등을 수취한 후, 이를 토대로, 완성된 형태의 DRPA 입력 플랫폼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플랫폼 관리모듈(13)과 교신하는 플랫폼 소스 저장모듈(14)은 예컨대, "플랫폼 생성루틴에 필요한 파라메타 소스, 플랫폼 생성루틴에 필요한 명령어 집합, 플랫폼 생성루틴에 필요한 이미지 소스, 플랫폼 생성루틴에 필요한 폰트 소스, 플랫폼 생성루틴에 필요한 패턴 소스‥‥" 등을 다양하게 구비하여, 플랫폼 관리모듈(13)에 의한 일련의 플랫폼 생성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 DRPA 입력 플랫폼 등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된 후, 운영체제(2)를 거쳐, 모니터 등과 같은 표시장치(3)에 선택적으로 갱신·출력되며, 이 상황에서, 임의의 이용자, 예컨대, 실무 경찰관은 이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 DRPA 입력 플랫폼 등을 활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일련의 DRPA 작성작업을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DRPA 작성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DRPA 편집 관리모듈(11)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DRPA 편집소스 저장모듈(12)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편집 가이드 루틴을 지속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이를 통해, DRPA 입력 플랫폼을 토대로 진행되는 DRPA 데이터의 기록 및 편집과정을 선택적으로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DRPA 편집 관리모듈(11)과 교신하는 DRPA 편집소스 저장모듈(12)은 예컨대, "DRPA 기록/편집 가이드에 필요한 코드 소스, DRPA 기록/편집 가이드에 필요한 폰트 소스, DRPA 기록/편집 가이드에 필요한 필터 소스, DRPA 기록/편집 가이드체 필요한 스킨 소스, DRPA 기록/편집 가이드에 필요한 템플릿 소스‥‥" 등을 다양하게 구비하여, DRPA 편집 관리모듈(11)에 의한 일련의 DRPA 기록/편집 가이드 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와 함께, DRPA 작성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정보 입력 관리모듈(24)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DRPA 입력 플랫폼을 토대로 기록·편집된 DRPA 데이터를 D/B 형식으로 변환한 후, 변환 완료된 DRPA 데이터를 후술하는 DRPA 데이터 D/B(31)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DRPA 작성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정보 출력 관리모듈(25)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요청에 따라, DRPA 데이터 D/B(31)에 기 저장되어 있던 DRPA 데이터(예를 들어, ‥‥현행범인체포서, 체포영장신청서, 구속영장신청서, 심문신청서‥‥)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앞서 언급한 각 구성요소들 이외에도, 서류 폼 관리모듈(18), 탐색메뉴 관리모듈(22), 등록 레이아웃 체크모듈(26), 운영소스 저장모듈(17) 등과도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더 형성한다.
이때, 서류 폼 관리모듈(18)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서류 폼 생성소스 저장모듈(19)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서류 폼 생성루틴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 후, 이를 통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이 요청한 일련의 서류 폼, 예컨대, "‥‥현행범인체포서 폼, 체포영장신청서 폼, 구속영장신청서 폼, 심문신청서 폼‥‥" 등을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서류 폼을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서류 폼 관리모듈(18)과 교신하는 서류 폼 생성소스 저장모듈(19)은 예컨대, "서류 폼 생성루틴에 필요한 파라메타 소스, 서류 폼 생성루틴에 필요한 명령어 집합, 서류 폼 생성루틴에 필요한 이미지 소스, 서류 폼 생성루틴에 필요한 폰트 소스, 서류 폼 생성루틴에 필요한 패턴 소스‥‥" 등을 다양하게 구비하여, 서류 폼 관리모듈(18)에 의한 일련의 서류 폼 생성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각종 서류 폼들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을 거쳐, 예컨대, 플랫폼 관리모듈(13)로 전달되며, 추후, 플랫폼 관리모듈(13)은 이러한 각종 서류 폼들을 토대로 하여, 앞서 언급한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 DRPA 입력 플랫폼 등을 원활하게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DRPA 작성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탐색메뉴 관리모듈(22)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메뉴소스 저장모듈(23)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탐색메뉴 생성루틴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 후, 이를 통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이 요청한 일련의 탐색메뉴 항목들을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탐색메뉴 항목들을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탐색메뉴 관리모듈(22)과 교신하는 메뉴소스 저장모듈(23)은 예컨대, "탐색메뉴 생성루틴에 필요한 파라메타 소스, 탐색메뉴 생성루틴에 필요한 명 령어 집합, 탐색메뉴 생성루틴에 필요한 이미지 소스, 탐색메뉴 생성루틴에 필요한 폰트 소스, 탐색메뉴 생성루틴에 필요한 패턴 소스‥‥" 등을 다양하게 구비하여, 탐색메뉴 관리모듈(22)에 의한 일련의 탐색메뉴 생성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각종 탐색메뉴들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을 거쳐, 예컨대, 플랫폼 관리모듈(13)로 전달되며, 추후, 플랫폼 관리모듈(13)은 이러한 각종 탐색메뉴들을 토대로 하여, 앞서 언급한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을 원활하게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DRPA 작성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등록 레이아웃 체크모듈(26)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DRPA 데이터 D/B(31)와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현재 DRPA 데이터 D/B(31)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DRPA 데이터의 저장 계층형태"를 체크하고, 그 결과를 DRPA 작성 제어모듈(10)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체크 결과는 DRPA 작성 제어모듈(10)을 거쳐, 예컨대, 플랫폼 관리모듈(13)로 전달되며, 추후, 플랫폼 관리모듈은 이러한 DRPA 데이터의 저장 계층형태를 토대로 하여, 앞서 언급한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을 원활하게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 DRPA 작성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운영소스 저장모듈(17)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예컨대, "DRPA 작성관리에 필요한 파라메타 소스, DRPA 작성관리에 필요한 제어 명령어 집합, DRPA 작성관리에 필요한 수식열 소스, DRPA 작성관리에 필요한 패턴 소스‥‥" 등을 다양하게 저장·관리하여, DRPA 작성 제어모듈(10)에 의한 일련의 DRPA 작성관리 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DRPA 작성 관리 툴(100)의 일부에는 상술한 정보 입력 관리모듈(24), 정보출력 관리모듈(25) 등을 매개로 하여, DRPA 작성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DRPA 데이터 D/B(31)가 배치된다. 이 경우, DRPA 데이터 D/B(31)는 앞서 언급한 정보 입력 관리모듈(24)을 매개로 하여, DRPA 작성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이 정보 입력 관리모듈(24)의 제어 하에, 일련의 DRPA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저장·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DRPA 작성 관리 툴(100)의 체제 하에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DRPA 작성 관리 툴>과 기존 <문서작성 프로그램에 의해 작성된 자료>를 긴밀하게 연계시키기 위한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으면, 각 실무 경찰관들은 <DRPA 작성 관리 툴에 배치된 각 전산 구성요소들>의 유기적인 연동 작용에도 불구하고, "DRPA 작성 관리 툴 및 기존 문서 작성기(6:문서작성 프로그램)를 별도로 운영하여야 하는 불편함", "DRPA 작성 관리 툴을 사용하는 경찰관과, 기존 문서 작성기를 사용하는 타 경찰관과의 업무 호환성이 대폭 떨어지는 불편함", "DRPA 작성 관리 툴을 사용함에 따라, 기존 문서 작성기(6) 통해 자가 작성한 다량의 자료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자동 폐기되는) 불편함" 등을 별 대책 없이 겪을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DRPA 작성 업무에 있어 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PA 작성 관리 툴(100)의 내부에 DRPA 작성 제어모듈(10)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면서, "기존 문서파일들을 DRPA 작성 관리 툴(100)의 D/B(31) 저장 체계에 맞게 등록 저장시킬 수 있는 전산 컴포넌트", "기존 문서파일들의 등록 레이아웃을 신규 설정하고, 해당 설정사항을 DRPA 작성 관리 툴(100)의 운영에 탄력적으로 반영시킬 수 있는 전산 컴포넌트", "등록 저장되어 있는 기존 문서파일들을 일련의 플랫폼을 통해 로딩시켜, 해당 문서파일들의 자연스러운 편집을 유도하는 전산 컴포넌트", "편집 저장된 문서의 선택적 출력을 관리하는 전산 컴포넌트", "D/B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는 자료들을 문서파일 형태로 변환 생성할 수 있는 전산 컴포넌트" 등을 두루 갖춘 본 발명 고유의 문서정보 관리모듈(150)을 추가 배치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정보 관리모듈(150)은 크게, 문서정보 관리부(151) 및 이 문서정보 관리부(151)와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는 문서정보 독취부(153), 문서입력 관리부(164), 문서 등록 레이아웃 설정부(156), 문서출력 관리부(165) 등이 조합된 구성을 취한다.
여기서, 문서정보 관리부(151)는 인터페이스부(152)를 매개로, DRPA 작성 제어모듈(10)과 신호 연결된 상태에서, 일련의 이용자 전산 이벤트에 따라, 정보처리장치(1)에 로딩된 문서파일(302:한글파일, 워드파일, 엑셀파일 등)을 수취하여, 해당 문서파일(302)을 DRPA 작성 관리 툴(100)의 D/B(31) 저장 체계에 맞게 등록 저장함과 아울러, 문서파일(302)의 등록 레이아웃을 신규 설정하고, 해당 설정사항을 DRPA 작성 관리 툴(100)의 운영에 탄력적으로 반영하며, 문서파일(302)의 출력 및 편집을 선택적으로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상황에서, 문서정보 관리부(151)에 의해 전산 통제되는 문서정보 독취부(153)는 문서입력 관리부(151)의 제어 하에, 정보처리장치(1)에 로딩된 문서파일(302:예를 들어, 정보처리장치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문서파일, 정보처리장치의 플로피디스크(씨디롬)에 저장된 파일)을 독취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문서정보 관리부(151)에 의해 전산 통제되는 문서입력 관리부(164)는 문서정보 관리부(151)의 제어 하에, 문서파일(132)을 그 상태에 따라, 원 문서 또는 편집문서로 구별하여, 원문서 저장 D/B(167), 편집문서 저장 D/B(168) 등에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문서정보 관리부(151)에 의해 전산 통제되는 문서 등록 레이아웃 설정부(156)는 문서정보 관리부(151)의 제어 하에, DRPA 작성 관리 툴(100)의 D/B 등록 레이아웃(DRPA 데이터의 저장 계층형태)을 체크하고, 해당 D/B 등록 레이아웃에 따라, 문서파일(302)의 등록 레이아웃(문서파일의 저장 계층형태)을 신규 설정하여, 문서파일의 등록체계를 D/B 등록체계에 맞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D/B 등록 레이아웃 수취부(158)는 앞서 언급한 등록 레이아웃 체크모듈(26)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DRPA 데이터 D/B(31)의 등록 레이아웃을 실시간 수취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D/B 등록 레이아웃 저장부(157)는 D/B 등록 레이아웃 수취부(158)에 의해 갱신되는 D/B 등록 레이아웃 정보를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문서 등록 레이아웃 설정정보는 문서정보 관리부(151)의 주도 하에, 문서 등록 레이아웃 저장부(163)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된다.
이외에, 문서정보 관리부(151)에 의해 전산 통제되는 문서출력 관리부(165)는 문서정보 관리부(151)의 요청에 따라, 원문서 저장 D/B(167), 편집문서 저장 D/B(168) 등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각 D/B(167,168)에 원 문서 또는 편집문서로 구별 저장되어 있던 문서파일(302)들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문서정보 관리모듈(150)에는 앞서 언급한 각 전산 컴포넌트들 이외에도, 문서정보 관리부(151)와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는 D/B 호출 관리부(166), D/B 형식 변환엔진(159), 문서 보정/출력부(158), 문서 작성기 호출부(161), 공통정보 관리부(154) 등이 추가 배치된다.
이때, 문서정보 관리부(151)에 의해 전산 통제되는 D/B 호출 관리부(166)는 문서정보 관리부(151)에 의해 DRPA 데이터 D/B(31)에 기 저장되어 있던 DRPA 데이터의 출력이 요청되는 경우, DRPA 데이터 D/B(31)를 호출하여, 출력이 요청된 DRPA 데이터를 DRPA 데이터 D/B(31)로부터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문서정보 관리부(151)에 의해 전산 통제되는 D/B 형식 변환엔진(159)은 문서정보 관리부(151)의 제어 하에, 앞의 D/B 호출 관리부(166)에 의해 추출된 DRPA 데이터를 전산 조작하여, 해당 DRPA 데이터를 문서파일(301)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D/B 형식 변환엔진(159)과 교신하는 변환소스 저장모듈(160)은 문서정보 관리부(151)의 제어 하에, 예컨대, "DRPA 데이터를 문서파일로 변환하는데 필요한 파라메타 소스, DRPA 데이터를 문서파일로 변환하는데 필요한 로직소스, DRPA 데이터를 문서파일로 변환하는데 필요한 패턴 소스‥‥" 등을 다양하게 저장 ·관리하여, D/B 형식 변환엔진(159)에 의한 일련의 DRPA 데이터 변환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상황에서, 문서정보 관리부(151)에 의해 전산 통제되는 문서 보정/출력부(158)는 문서정보 관리부(151)의 제어 하에, D/B 형식 변환엔진(159)에 의해 문서파일로 변환된 DRPA 데이터를 전달받은 후, 해당 데이터를 보정하여, 최종의 문서파일(301)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문서정보 관리부(151)에 의해 전산 통제되는 문서 작성기 호출부(161)는 문서정보 관리부(151)의 요청에 따라, 정보처리장치(1)에 기 설치되어 있던 문서 작성기(6)를 선택 호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문서정보 관리부(151)에 의해 전산 통제되는 공통정보 관리부(154)는 앞서 언급한 문서입력 관리부(164)에 의해 문서파일(예를 들어, 현행범인체포서)이 저장되는 시점에서, 해당 문서파일(132)에 기재된 일부 문서정보가 공통정보(예를 들어, 피의자 인적사항, 범죄사실, 구속 사유, 체포 사유‥‥)에 해당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해당 문서정보가 공통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별도로 분류 저장하고, 추후, 문서출력 관리부에 의한 다른 문서파일(132), (예를 들어, ‥‥체포영장신청서, 구속영장신청서, 심문신청서‥‥) 추출시점에서, 다른 문서파일에 해당 문서정보(피의자 인적사항, 범죄사실, 구속 사유, 체포 사유‥‥)를 삽입하여, 다른 문서파일에 해당 문서정보가 자동 기재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공통정보 관리부(154)와 교신하는 공통정보 관리소스 저장부(155)는 문서정보 관리부(151)의 제어 하에, 예컨대, "공통문서로 필터링 하여야 할 문 구 열 정보, 공통문서로 필터링 하여야 할 수식 열 정보, 공통문서로 필터링 하여야 할 문구 패턴 정보‥‥" 등을 다양하게 저장·관리하여, 공통정보 관리부(154)에 의한 일련의 공통문구 관리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DRPA 작성 관리 툴(100)의 구체적인 활용 프로세스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을 향유하고자 하는 임의의 이용자, 예컨대, 실무 경찰관은 자신이 관리하는 정보처리장치(1)에 DRPA 작성 관리 툴(100)을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기본적인 전산환경을 마련한다.
이 상황에서, 본 발명을 이용하는 임의의 실무 경찰관이 예컨대,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4)를 구동시켜, 일련의 전산작업을 진행하고, 이 전산 이벤트가 운영체제(2)를 매개로 전달되는 경우,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서류폼 관리모듈(18), 탐색메뉴 관리모듈(22) 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일련의 초기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 생성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탐색메뉴 관리모듈(22)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메뉴소스 저장모듈(23)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탐색메뉴 생성루틴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 후, 이를 통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이 요청한 일련의 탐색메뉴 항목들을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탐색메뉴 항목들을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또한, 이러한 절차 내에서, 등록 레이아웃 체크모듈(26)은 DRPA 작성 제어모 듈(10)의 제어 하에, DRPA 데이터 D/B(31)와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현재 DRPA 데이터 D/B(31)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DRPA 데이터의 저장 계층형태"를 체크하고, 그 결과를 DRPA 작성 제어모듈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절차 내에서, 플랫폼 관리모듈(13)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을 통해, 앞의 탐색메뉴 관리모듈(22)에 의해 생성된 탐색메뉴, 앞의 등록 레이아웃 체크모듈(156)을 통해 체크된 각종 DRPA 데이터의 저장 계층형태 등을 전달받은 후,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플랫폼 소스 저장모듈(14)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탐색 프레임 및 뷰 프레임을 분할·형상화함과 아울러, 예컨대, "보고서, 조서, 영장, 현행범, 수사지휘‥‥" 등의 탐색메뉴 항목을 계층별로 형상화하고, 이를 토대로, 완성된 형태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을 생성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가 모두 완료되고, 일련의 초기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이 생성·완료되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해당 초기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을 운영체제(2)로 전달하게 되며, 결국,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3)에는 탐색 프레임(EF) 및 뷰 프레임(VF)이 분할 형성되고, 소정의 탐색메뉴들(202a)이 계층별로 갖추어진 일련의 초기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01)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되고, 이 상황에서, 임의의 이용자, 예컨대, 실무 경찰관은 이 초기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01)을 활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일련의 DRPA 작성작업을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초기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01) 게시 상황에서, 실무 경찰관이 자신이 주목하는 특정 메뉴항목(202a)을 선택하는 경우,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서류 폼 관리모듈(18), 탐색메뉴 관리모듈(22), 플랫폼 관리모듈(13) 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기 게시되어 있던 초기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01)을 새롭게 갱신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서류폼 관리모듈(18)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서류 폼 생성소스 저장모듈(19)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서류 폼 생성루틴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 후, 이를 통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이 요청한 일련의 서류 폼, 예컨대, "‥‥현행범인체포서 폼, 체포영장신청서 폼, 구속영장신청서 폼, 심문신청서 폼‥‥" 등을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서류 폼을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또한, 탐색메뉴 관리모듈(22)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메뉴소스 저장모듈(23)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탐색메뉴 생성루틴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 후, 이를 통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이 요청한 일련의 탐색메뉴 항목들을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탐색메뉴 항목들을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와 더불어, 플랫폼 관리모듈(13)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을 통해, 앞의 탐색메뉴 관리모듈(22)에 의해 생성된 탐색메뉴, 서류 폼 관리모듈(18)에 의해 생성된 서류 폼 등을 전달받은 후,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플랫폼 소스 저장모듈(14)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탐색 프레임 및 뷰 프레임을 분할·형상화하고, 이를 토대로, 완성된 형태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을 생성하는 과정 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가 모두 완료되고, 일련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이 생성·완료되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해당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을 운영체제(2)로 전달하게 되며, 결국,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3)에는 탐색 프레임(EF) 및 뷰 프레임(VF)이 분할 형성되고, 소정의 탐색메뉴들(202a) 및 프리뷰(Pre-view)서류 폼(205)이 갖추어진 일련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03)이 새롭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03) 게시 상황 하에서, 실무 경찰관이 뷰 프레임(VF)에 게시된 프리뷰 서류 폼(205)과 동일한 문서를 작성할 것을 본격적으로 결정하고, 예컨대, 탐색메뉴(202a)를 클릭하는 경우,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서류 폼 관리모듈(18), 플랫폼 관리모듈(13) 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기 게시되어 있던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03)을 DRPA 입력 플랫폼으로 새롭게 갱신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서류폼 관리모듈(18)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서류 폼 생성소스 저장모듈(19)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서류 폼 생성루틴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 후, 이를 통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이 요청한 특정 서류 폼을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서류 폼을 DRPA 작성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또한, 플랫폼 관리모듈(13)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을 통해, 앞의 서류 폼 관리모듈(18)에 의해 생성된 서류 폼 등을 전달받은 후,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플랫폼 소스 저장모듈(14)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완성된 형태의 DRPA 입력 플랫폼을 생성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가 모두 완료되고, 일련의 DRPA 입력 플랫폼이 생성·완료되면,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해당 DRPA 입력 플랫폼을 운영체제(2)로 전달하게 되며, 결국,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3)에는 서류 폼(207)이 갖추어진 일련의 DRPA 입력 플랫폼(206)이 새롭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황에서, DRPA 편집 관리모듈(11)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DRPA 편집소스 저장모듈(12)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편집 가이드 루틴을 지속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이를 통해, DRPA 입력 플랫폼(206)을 토대로 진행되는 DRPA 데이터의 기록 및 편집과정을 선택적으로 가이드 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며, 결국, 실무 경찰관은 자신이 원하는 DRPA 내역을 마치, 일반 워드 프로그램을 사용하듯이 손쉽게 서류 폼(207) 내에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실무 경찰관의 DRPA 데이터 작성 작업이 완료되고, 실무 경찰관이 "작성 완료된 DRPA 데이터 저장 항목(도시안됨)"을 선택하는 경우, DRPA 작성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정보 입력 관리모듈(24)을 활용하여, 작성 완료된 DRPA 데이터를 D/B 형태로 저장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정보 입력 관리모듈(24)은 DRPA 작성 제어모듈(10)의 제어 하에, DRPA 입력 플랫폼(206)을 토대로 기록·편집된 DRPA 데이터를 D/B 형식으로 변환한 후, 변환 완료된 DRPA 데이터를 DRPA 데이터 D/B(31)에 저장하는 과정 을 진행하게 되며, 결국, 실무 경찰관이 작성한 각종 DRPA 데이터는 DRPA 데이터 D/B(31) 내에서, 안정적으로 격납 관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03)이 게시된 상황 하에서, 실무 경찰관이 임의의 문서 작성기(6:한글 프로그램, 워드 프로그램)에 의해 작성된 문서파일(302)을 툴(100) 내에 등록시키기 위해, 문서파일 항목(202b)을 클릭하여, 팝-업 메뉴(202d)를 펼친 후, 해당 팝-업 메뉴(202d)의 문서등록 항목(202e)을 클릭하는 경우, 문서정보 관리부(151)는 그 즉시, 문서정보 독취부(153), 문서입력 관리부(164), 문서 등록 레이아웃 설정부(163) 등을 활용하여, 해당 문서파일(132)을 툴 내에 등록 저장시키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문서정보 독취부(153)는 문서정보 관리부(151)의 제어 하에, 정보처리장치(1)에 로딩(또는 저장)된 문서파일(302:예를 들어, 정보처리장치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문서파일, 정보처리장치의 플로피디스크(씨디롬)에 저장된 파일)을 독취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또한, 문서입력 관리부(164)는 문서정보 관리부(151)의 제어 하에, 문서파일(302)을 그 상태에 따라, 원 문서 또는 편집문서로 구별하여, 원문서 저장 D/B(167), 편집문서 저장 D/B(168) 등에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와 함께, 문서 등록 레이아웃 설정부(156)는 문서정보 관리부(151)의 제어 하에, DRPA 작성 관리 툴(100)의 D/B 등록 레이아웃(DRPA 데이터의 저장 계층형태)을 체크하고, 해당 D/B 등록 레이아웃에 따라, 문서파일(302)의 등록 레이아웃(문서파일의 저장 계층형태)을 신규 설정하여, 문서파일의 등록체계를 D/B 등록체계에 맞도록 조절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가 모두 완료되어, 문서파일(302)의 저장이 모두 완료되고, 문서파일의 저장 계층형태가 확보되면, 문서정보 관리부(151)는 이 데이터들을 DRPA 작성 제어모듈(10) 측으로 전달하여, 플랫폼(203) 운영에 반영하게 되며, 결국,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색 프레임(EF) 내에는 신규 등록된(혹은 과거에 등록되어 있는) 문서파일 명단이 탐색항목들과 유사하게, 계층별로 갖추어진 일련의 항목(202h)들이 추가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문서입력 관리부(164)에 의해 문서파일(302)이 원 문서 저장 D/B(167), 편집문서 저장 D/B(168) 등에 저장되는 시점에서, 공통정보 관리부(154)는 해당 문서파일(302)에 기록된 문서정보가 공통정보(예를 들어, 피의자 인적사항, 범죄사실, 구속 사유, 체포 사유‥‥)에 해당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해당 문서정보가 공통정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문서정보 관리부(151)와의 연계 하에, 그 문서정보를 공통정보 저장부(162)에 별도로 분류 저장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 상황에서, 실무 경찰관이 도 4에 도시된 팝-업 메뉴(202d)의 문서열기 항목(202f)을 클릭하고(또는 항목(202h)을 직접 클릭하고), 이에 따라, 문서정보 관리부(151) 측으로부터 일련의 문서출력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공통정보 관리부(154)는 문서출력 관리부(165)에 의해 출력되는 문서파일을 체크하여, 만약, 이러한 문서파일 출력시점에서, 공통정보 저장부(162)에 공통의 문서정보(예를 들어, 피의자 인적사항, 범죄사실, 구속 사유, 체포 사유‥‥)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추출되는 해당 문서파일에 앞의 공통의 문서정보를 삽입하는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최종 출력되는 문서파일에 공통 문서정보가 자동 기재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 하에서, 각 실무 경찰관들은 예컨대, 하나의 문서파일 작성 시, 단지 한번만 공통정보(예컨대, 피의자 인적사항, 범죄사실, 구속 사유, 체포 사유‥‥)를 기록하기만 하면, 추후, 다른 문서파일을 출력(로딩)할 때, 해당 문서파일에 공통 문서정보가 동일하게 자동 기록되는 효과를 손쉽게 만끽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경우, 각 실무 경찰관들은 문서정보의 반복 입력에 따른 불편함을 손쉽게 벗어나, "작성 문구를 전체적으로 통일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수사의 정확성이 대폭 향상되는 이점" 등을 손쉽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앞의 절차를 통해, 공통 문서정보가 자동 기록된 문서파일(302)이 확보되면, 문서정보 관리부(151)는 그 즉시, 문서 작성기 호출부(161)를 활용하여, 문서 작성기(6)를 호출한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문서 작성기(6)의 편집화면을 뷰 프레임 내에서 실행시킴으로써, 실무 경찰관이 자신이 원하는 문서파일을 메뉴바(208a), 툴바(208b)를 갖춘 문서 작성기(6:자신에게 익숙한 문서 작성기)를 통해, 손쉽게 편집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추후, 실무 경찰관이 해당 문서파일의 저장을 위한 일련의 전산작업을 진행하면, 문서정보 관리부(151)는 DRPA 작성 제어모듈(10)과의 연계 하에, 문서입력 관리부(164)를 제어하여, 해당 문서파일을 예컨대, 편집문서 저장 D/B(168)에 안정적으로 저장하게 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DRPA 작성 가이드 플랫폼(203)이 게시된 상황 하에서, 실무 경찰관이 DRPA 데이터 D/B(31)에 기 저장되어 있던 DRPA 데이터를 문서파일로 변환하기 위해 팝-업 메뉴(202d)의 D/B 변환 항목(202g)을 클릭하는 경우, 문서정보 관리부(151)는 그 즉시, D/B 호출 관리부(166), D/B 형식 변환엔진(159), 문서 보정/출력부(158) 등을 연동 제어하여, DRPA 데이터 D/B(31)에 기 저장되어 있던 DRPA 데이터를 문서파일(301)로 변환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D/B 호출 관리부(166)는 DRPA 데이터 D/B(31)를 호출하여, 출력이 요청된 DRPA 데이터를 DRPA 데이터 D/B(31)로부터 추출하는 과정을 진행하며, D/B 형식 변환엔진(159)은 문서정보 관리부(151)의 제어 하에, 앞의 D/B 호출 관리부(166)에 의해 추출된 DRPA 데이터를 전산 조작하여, 해당 DRPA 데이터를 문서파일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을 진행하며, 문서 보정/출력부(158)는 D/B 형식 변환엔진에 의해 문서파일로 변환된 DRPA 데이터를 전달받은 후, 해당 데이터를 보정하여, 최종의 문서파일(301)을 생성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결국,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 하에서, DRPA 작성 관리 툴(100)을 사용하는 실무 경찰관은 DRPA 작성 관리 툴(100)을 동일 사용하는 실무 경찰관은 물론, 기존 문서 작성기의 사용을 고수하는 다른 실무 경찰관과도 원활한 업무 협조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임의의 정보처리장치에 설치된 DRPA 작성 관리 툴의 일부에 기존 문서작성 프로그램에 의해 작성된 각종 문서파일들을 정교하게 다룰 수 있는 전산 컴포넌트(Component)들, 예컨대, "기존 문서파일들을 DRPA 작성 관리 툴의 D/B 저장 체계에 맞게 등록 저장시킬 수 있는 전산 컴포넌트", "기존 문서파일들의 등록 레이아웃을 신규 설정하고, 해당 설정사항을 DRPA 작성 관리 툴의 운영에 탄력적으로 반영시킬 수 있는 전산 컴포넌트", "등록 저장되어 있는 기존 문서파일들을 일련의 플랫폼을 통해 로딩시켜, 해당 문서파일들의 자연스러운 편집을 유도하는 전산 컴포넌트", "편집 저장된 문서의 선택적 출력을 관리하는 전산 컴포넌트", "D/B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는 자료들을 문서파일 형태로 변환 생성할 수 있는 전산 컴포넌트" 등을 긴밀하게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DRPA 작성 관리 툴>을 사용하는 실무 경찰관들이 별도의 불편한 절차 없이, 기존 문서작성 프로그램에 의해 작성된 자료들을 DRPA 작성 관리 툴의 플랫폼 내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존 문서파일의 효용성이 최적화된 효율적인 전산환경 하에서, 실무 경찰관들의 DRPA 처리 편의성을 극대화시키고, 이를 통해, 일선 사건의 처리 시일 최소화를 유도함으로써, 불필요한 경찰력 낭비를 미리 차단시킬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운영체제를 탑재한 임의의 정보처리장치에 설치되면서, 일련의 DRPA(Documents Relevant to the Police Affairs) 작성 가이드 플랫폼 및 DPRA 입력 플랫폼을 선택적으로 게시 및 갱신하고, 상기 DRPA 입력 플랫폼을 통한 DRPA 데이터 입력 및 저장과정을 가이드 하는 DRPA 작성 관리 툴 내에 탑재되며,
    일련의 이용자 전산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로딩된 문서파일을 수취하여, 해당 문서파일을 상기 DRPA 작성 관리 툴의 D/B 저장 체계에 맞게 등록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문서파일의 등록 레이아웃을 신규 설정하고, 해당 설정사항을 상기 DRPA 작성 관리 툴의 운영에 탄력적으로 반영하며, 상기 문서파일의 출력 및 편집을 선택적으로 가이드 하는 문서정보 관리부와;
    상기 문서정보 관리부에 의해 전산 통제되며, 상기 문서정보 관리부의 제어 하에, 상기 문서파일을 그 상태에 따라, 원 문서 또는 편집문서로 구별 저장하는 문서입력 관리부와;
    상기 문서정보 관리부에 의해 전산 통제되며, 상기 문서정보 관리부의 제어 하에, 상기 DRPA 작성 관리 툴의 D/B 등록 레이아웃을 체크하고, 해당 D/B 등록 레이아웃에 따라, 상기 문서파일의 등록 레이아웃을 신규 설정하여, 상기 문서파일의 등록체계를 상기 D/B 등록체계에 맞도록 조절하는 문서 등록 레이아웃 설정부와;
    상기 문서정보 관리부에 의해 전산 통제되며, 상기 문서정보 관리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원 문서 또는 편집문서로 구별 저장되어 있던 문서파일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문서출력 관리부와;
    상기 문서정보 관리부에 의해 전산 통제되며, 상기 문서입력 관리부에 의해 상기 문서파일이 저장되는 시점에서, 해당 문서파일에 기재된 일부 문서정보가 공통정보에 해당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해당 문서정보가 공통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별도로 분류 저장하고, 추후, 문서출력 관리부에 의한 다른 문서파일 추출시점에서, 상기 다른 문서파일에 해당 문서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다른 문서파일에 해당 문서정보가 자동 기재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공통정보 관리부와;
    상기 문서정보 관리부에 의해 전산 통제되며, 상기 문서정보 관리부의 제어 하에, 기 저장되어 있던 DRPA 데이터를 전산 조작하여, 문서파일 형태로 변환하는 D/B 형식 변환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PA 작성 관리 툴용 문서정보 관리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입력 관리부 및 문서출력 관리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문서정보 관리부와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문서정보 관리부의 제어 하에, 원문서 및 편집문서를 개별 저장하는 원문서 저장 D/B 및 편집문서 저장 D/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PA 작성 관리 툴용 문서정보 관리모듈.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정보 관리부에 의해 전산 통제되며, 상기 문서정보 관리부에 의해 DRPA 데이터의 출력이 요청되는 경우, 일련의 DRPA 데이터 D/B 를 호출하여, 출력이 요청된 DRPA 데이터를 상기 DRPA 데이터 D/B로부터 추출하는 D/B 호출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PA 작성 관리 툴용 문서정보 관리모듈.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정보 관리부에 의해 전산 통제되며, 상기 문서정보 관리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기 설치되어 있던 문서 작성기를 선택 호출하는 문서 작성기 호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PA 작성 관리 툴용 문서정보 관리모듈.
KR1020030069915A 2003-10-08 2003-10-08 경찰업무 관련 서류 작성 관리 툴용 문서정보 관리모듈 KR100562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915A KR100562745B1 (ko) 2003-10-08 2003-10-08 경찰업무 관련 서류 작성 관리 툴용 문서정보 관리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915A KR100562745B1 (ko) 2003-10-08 2003-10-08 경찰업무 관련 서류 작성 관리 툴용 문서정보 관리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958A KR20030086958A (ko) 2003-11-12
KR100562745B1 true KR100562745B1 (ko) 2006-03-21

Family

ID=32388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915A KR100562745B1 (ko) 2003-10-08 2003-10-08 경찰업무 관련 서류 작성 관리 툴용 문서정보 관리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7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958A (ko) 2003-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64517B (zh) 用于文本表示转换的墨水
AU2003204379B2 (en) Providing contextually sensitive tools and help content in computer-generated documents
US7392469B1 (en) Non-intrusive commentary capture for document authors
US5063600A (en) Hybri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andwriting and text
US87450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ding context to the creation and revision of artifacts
CN1858786B (zh) 一种电子文档格式化批注系统与方法
US6789060B1 (en) Network based speech transcription that maintains dynamic templates
US20140047327A1 (en) Document creation and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20070245227A1 (en) Business Transaction Documentation System and Method
US20070245308A1 (en) Flexible XML tagging
CN102460372A (zh) 集成数字图书以及变焦界面显示
JPWO2008152823A1 (ja) 文書管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60218185A1 (en) Construction document management system
JP2004151899A (ja) 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
US200701570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user interfaces for integration
KR100562745B1 (ko) 경찰업무 관련 서류 작성 관리 툴용 문서정보 관리모듈
US917898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1596883B (zh) 一种支持语音识别和体感操作遥控的数据可视化系统
KR100666936B1 (ko) 경찰업무 관련 서류 작성 관리 시스템
JP2001101162A (ja) 文書処理装置、及び文書処理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記憶媒体
JP4279496B2 (ja) 電子納品支援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149083A (ja) 電子カルテ入力支援装置
Noh Ralph Ellison’s Computer Memory
JPH0822470A (ja) 資料作成支援システム
KR100399217B1 (ko) 통화내역 분석 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