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3622A - 이음매없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과 장치 및 이에 의해제조된 용기 - Google Patents

이음매없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과 장치 및 이에 의해제조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3622A
KR20030093622A KR1020020031249A KR20020031249A KR20030093622A KR 20030093622 A KR20030093622 A KR 20030093622A KR 1020020031249 A KR1020020031249 A KR 1020020031249A KR 20020031249 A KR20020031249 A KR 20020031249A KR 20030093622 A KR20030093622 A KR 20030093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mi
finished
swa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현
Original Assignee
최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현 filed Critical 최상현
Priority to KR1020020031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3622A/ko
Publication of KR20030093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62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8Accessories for handling work or tools
    • B21J13/10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7/00Hammers; Forging machines with hammers or die jaws acting by impact
    • B21J7/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 B21J7/18Forging machines working with die jaws, e.g. pivoted, movable laterally of the forging or pressing direction, e.g. for sw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 B21J9/06Swaging presses; Upsett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음매없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음매없는 용기 제조방법은, a. 성형하고자 하는 용기의 무게에 해당하는 금속 원소재를 준비하는 단계, b. 원소재를 임팩트 드로잉(impact drawing)하여, 동일한 직경의 막힌 부분(이하, "폐쇄부")과 열린 부분(이하, "개구부")을 갖는 "∪" 형상의 반제품 용기로 성형하는 단계, c. 상기 반제품 용기의 폐쇄부를 고정하는 단계, d. 상기 반제품 용기의 개구부를 감싸며 내경이 완제품의 개구부와 동일한 형상의 스웨이지(swage)를 이용하여 상기 개구부로부터 폐쇄부 방향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반제품 용기를 완제품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이음매없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과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용기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amless container and the container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이음매없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금속제 용기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가장 용이한 방법은 금속판을 둥글게 말아서 만나는 면을 용접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용기는 높은 압력의 물질을 저장하는 용기로서 사용하기는 곤란하다. 용기 내부에서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부위를 파괴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높은 압력의 물질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용기는 모든 부위의 살두께가 균일하며 이음매가 없을 것이 요구된다.
이음매없는 용기는 이와 같은 가스통이나 산업용 용기 뿐만 아니라 군수용 수류탄 등에도 사용된다. 수류탄은 내부 폭발시 외피에 부착된 파편이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살포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므로, 이음매가 있거나 외피 살두께가 불균일하다면 약한 부위가 먼저 파괴되어 파편이 불균일하게 살포될 것이다.
한편, 이렇게 높은 압력에 견뎌야 하는 용기 이외에도, 보온ㆍ단열용기나 가정용 용기 등에 있어서도 외관상 또는 구조상 이음매없는 용기의 필요성은 크다.
종래에는 이러한 이음매없는 용기를 제작하기 위하여 충격압출성형 방법을 응용한 후방압출성형, 딥드로잉스피닝(DDS: deep drawing & spinning), 딥드로잉아이어닝(DDI: deep drawing & ironing)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에 의하여도 이음매없는 용기는 실현가능하지만 동일한 가공조건하에서도 제조된 용기의 모든 부위의 살두께가 균일하게 성형되기가 매우 까다롭다. 따라서, 높은 압력의 물질을 저장할 때에는 압력에 취약한 부위가 여전히 존재하게 되며, 품질관리를 강화하기 위하여 폐기되는 불량품의 비율이 크므로 생산원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도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여 제조된 이음매없는 용기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1에서 보듯이 용기의 각 부위의 살두께가 9~18mm로 불균일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용기의 입구 부위는 밸브장치나 마개장치 등이 결합되어야 하므로 몸체 부위보다는 살두께가 두꺼워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입구 부위의 살을 다른 몸체 부위의 살보다 두껍게 가공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음매없는 용기의 제작방법에 관한 종래의 기술에 의해서는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 용기의 제조는 불가능하였다. 1) 주입구(개구부)의 살두께가 두껍고 몸체의 살두께는 균일해야 하는 이음매없는 용기, 2) 주입구의 살두께가 두꺼우면서 몸체의 원주둘레로 위치에 관계없이 줄, 띠, 기타 선형태가 형성되어 있는 이음매없는 용기, 3) 안전을 위하여 주입구와 바닥부분과 목 부위가 몸체보다 살이 두꺼워야 하는 밀폐형 고압형 이음매없는 용기, 4) 냉간성형으로 성형이 어려운 이음매없는 용기, 5) 가공경화가 현저히 상승되어 성형이 어려운 비철금속재 이음매없는 용기, 6) 대량생산이 곤란했던 이음매없는 모든 용기 등.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임팩트 및 스웨이지(impact and swaging) 방법에 의해서 모든 금속재의 이음매없는 용기를 독창적인 장치와 방법에 의해서 제조하는 기술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장치와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이음매없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이음매없는 용기의 단면도.
도2a는 반제품 용기의 단면도.
도2b는 반제품 용기 제조설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성도.
도4a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이음매없는 용기의 단면도.
도4b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다른 형태의 이음매없는 용기의 단면도.
<도면부호의 설명>
반제품 용기(10); 하측코어(11); 상측코어(13); 원소재(15); 고정수단(20); 파지수단(201); 흡착수단(203); 회전수단(205); 성형수단(30); 스웨이지(301); 스웨이지 고정수단(303); 이동회전수단(305); 스핀들척(307); 탭수단(309); 가이드수단(40,40'); 롤러(401,401'); 유압이동롤러축(403,403'); 래커크레인(50); 모양부(60)
<제조방법의 구성과 작용>
본 발명에 따른 이음매없는 용기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a. 성형하고자 하는 용기의 무게에 해당하는 금속 원소재를 준비하는 단계,
b. 원소재를 임팩트드로잉(impact drawing)하여, 동일한 직경의 막힌 부분(이하, "폐쇄부")과 열린 부분(이하, "개구부")을 갖는 ∪자 형상의 반제품 용기으로 성형하는 단계,
c. 상기 반제품 용기의 폐쇄부를 흡착고정하는 단계,
d. 상기 반제품 용기의 개구부를 감싸며 내경이 완제품의 개구부와 동일한 형상의 스웨이지(swage)를 이용하여 상기 개구부로부터 폐쇄부 방향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반제품 용기를 완제품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a 단계에서 투입되는 원소재(5)는 완제품 용기의 무게만큼 임의 크기의 환봉이나 각봉을 잘라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반제품 용기의 형상은 도2a에 나타낸 것과 같다. 도2a에 나타낸 반제품 용기(10)의 형상은 하나의 예시로서, 원하는 형상의 완제품에 근거하여 반제품 용기를 성형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반제품 용기는 임팩트드로잉 방법에 의하여 성형된다. 반제품 용기는 도2b와 같은 장치에 의하여 성형될 수 있다. 도2b는 임팩트드로잉 방법의 전형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원하는 반제품 용기 형상으로 가공되어 있는 초경금형 하측코어(11)에 적량의 원소재(15)를 넣고, 초경금형 상측코어(13)를 고속하강시켜 도2a의 ∪자형 반제품 용기를 성형한다.
상기 c 단계에서는 반제품 용기의 폐쇄부를 고정시키는데, 진공흡착 방식에 의해 폐쇄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보다 더 효율적으로 완제품 용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반제품 용기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d 단계에서는 상기 스웨이지를 제1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웨이지는 완성품 용기의 개구부 형상을 성형하기 위하여 완성품 용기의 개구부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가공되어 있을 것이 요구된다. 도면을 참조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장치를 설명할 때 할 것이다.
한편,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스웨이지를 반제품 용기의 개구부로부터 폐쇄부로 밀어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상기 반제품 용기의 몸체 원주면을 롤러로 가이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제품 용기의 폐쇄부는 고정되어 있는 반면에 개구부가 폐쇄부쪽으로 밀려들어오므로 반제품 용기의 몸체가 측방향으로 부푸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롤러는 반제품 용기의 몸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는 적어도 두 곳을 가이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롤러의 중심축은 상기 반제품 용기의 몸체 원주면과 이루는 각도가 0~180°로 변화되어 다양한 형상의 몸체가 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롤러는 반제품 용기의 몸체 외주면 방향으로 직선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즉, 롤러가 반제품 용기의 몸체를 가이드하는 각도를 변경하고 롤러가 몸체와 접촉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몸체를 원하는대로 성형할 수 있다.
<제조장치의 구성과 작용>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완제품 용기의 무게에 해당하는 금속 원소재를 임팩트 드로잉(impact drawing)하여 성형된, 동일한 직경의 막힌 부분(이하, "폐쇄부")과 열린 부분(이하, "개구부")을 갖는 ∪자 형상의 반제품 용기(10)으로부터 이음매없는 용기를 제작하는 장치로서, 상기 반제품 용기의 폐쇄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20)과, 상기 반제품 용기의 개구부를 감싸며 내경이 완제품의 개구부와 동일한 형상의 스웨이지(swage)(301)를 상기 개구부로부터 폐쇄부 방향으로 밀어 압력을 가함으로써 완제품을 제조하는 성형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매없는 용기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고정수단(20)은 반제품 용기(10)를 잡는 파지수단(201)과, 반제품 용기(10)의 폐쇄부를 진공흡착하는 수단(203)과, 고정 및 흡착된 반제품 용기(10)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단(205)을 포함하고 있다. 파지수단(201)은 반제품 용기(10)를 처킹하여(물어서) 붙잡기 위한 척지그몰드를 포함하는 콜릿죠척(collet jaw chuck)으로 구현된다. 콜릿죠척 및 척지그몰드에 의한 피가공물의 고정방식은 선반 등의 공작기계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기계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요소이다. 흡착수단(203)으로는 진공흡착밸브를 이용하여 공압에 의해 반제품 용기를 흡착할 수 있다. 회전수단(205)으로는 모터와 회전축 메카니즘을 이용할 수 있다. 회전은 정역회전 모두 가능하며 회전속도는 약 60~3200rpm으로 조절가능하다. 도면부호 207은 다양한 반제품 용기별로 콜릿죠척을 교환하기 위한 스핀들척을 나타낸다.
상기 성형수단(30)은 상기 스웨이지(301)를 고정하는 수단(303)과, 스웨이지(301)를 상기 회전수단(205)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제2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폐쇄부쪽으로 이동시키는 이동회전수단(305)으로 구성된다. 스웨이지(301) 고정수단(303)은 스웨이지(301)를 처킹하기 위한 스웨이지척으로 구현되며, 이동회전수단(305)은 상기 회전수단(205)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하며 전후진으로 직선이동하는 유압이동회전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부호 307은 유압이동회전축의 스핀들척을 나타낸다.
한편, 위의 구성에 추가하여, 도3에는 반제품 용기(10)로부터 완제품 성형이 완료된 후에 개구부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탭수단(309)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탭수단(309)은 용기의 포밍이 완료된 후 개구부(주입구)에 밸브장치나 마개장치를 결합하기 위하여 나사산 작업을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리머, 드릴, 탭척 등에 의해 구현가능하다.
또한, 도3에는, 상기 반제품 용기(10)의 몸체 측면에 인접하여 상기 고정수단(20)과 상기 성형수단(3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반제품 용기(10)의 몸체 원주면과 접촉하여 몸체가 외부쪽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40, 40')이 추가로 포함된다.
가이드수단(40,40')은 도3에는 2개인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제품 용기(10)의 몸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개수로 설치되면 된다. 각 가이드수단(40,40')은 도3과 같이 반제품 용기(10) 몸체의 원주면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롤러(401,401')와 롤러(401,401')를 회전되도록 고정하며 몸체 방향으로 전후진하는 유압이동롤러축(403,403')으로 구현된다. 각 롤러(401,401')는 반제품 용기(10)의 원주면에 접촉되거나 인접하여 성형수단(30)에 의해 완제품이 성형될 때 몸체의 측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수단(40,40')은 또한, 롤러(401,401')의 중심축이 상기 반제품 용기의 몸체 원주면과 이루는 각도(A,A')를 0~180°로 변화시키는 수단(도시 안됨)을 추가로 포함한다.
한편, 도3에서 도면부호 50이 나타내는 요소는 래커크레인(racker crane)으로서, 성형수단(30)으로부터 스웨이지(301)를 자동으로 탈부착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래커크레인(50)이 있음으로 해서 스웨이지(301)에 의한 용기성형 작업과 탭수단(309)에 의한 개구부 태핑 작업이 자동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음매없는 용기 제조장치는 수치제어(NC)에 의해 제어할 수 있고, 각 원소재의 재질과 특성, 가공경화에 따라 적절한 회전수와 속도 전후좌우 이동거리 등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용을 살펴본다. 우선,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임팩트드로잉에 의하여 반제품 용기(10)를 준비한다. 준비제작된반제품 용기(10)를 고정수단(20)의 파지수단(201)에 물리고 흡착수단(203)로 폐쇄부를 흡착하여 고정시키고, 회전수단(205)에 의해 회전시킨다. 회전속도는 원소재의 재질과 특성, 가공경도 등에 따라 프로그래밍되어 수치제어기에 의해 자동제어가 가능하다.
더불어, 가이드수단(40,40')을 세팅하여 롤러(401,401')가 반제품 용기(10)의 몸체에 접하도록 설정해놓는다. 가이드수단(40,40')과 몸체 원주면과의 각도는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수단(40,40')은 프로그래밍에 의해 반제품 용기(10)의 몸체에 인접하여 수시로 회전하면서 각도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각도의 변화와 몸체와의 접촉정도는 원소재의 재질과 특성, 가공경도 등에 따라 당업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성형수단(30)에는 원하는 용기의 형상을 갖는 스웨이지(301)를 고정수단(303)에 고정시키고 반제품 용기(10)의 개구부쪽에 압력을 가하면서 이동회전수단(305)을 이용하여 폐쇄부쪽으로 스웨이지(301)를 이동시켜서 완제품 용기를 성형한다. 스웨이지(301)의 이동거리 및 회전속도 등도 마찬가지로 수치제어기에 의해 프로그래밍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완제품 용기가 성형되면, 래커크레인(50)에 의해 자동으로 스웨이지(301)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분리되고, 탭수단(309)에 의해서 완제품 용기의 개구부를 설계사양대로 가공한다. 래커크레인(50)에 의하지 않고서 수동으로 스웨이지(301)를 분리하고 탭수단(309)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이음매없는 용기의 특징>
도4a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이음매없는 용기는 모든 곳에 있어서 균일한 살두께 t를 유지할 수 있으며, 설계자가 임의로 살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는 부분(도4a의 저부)에는 내압의 분산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두꺼운 살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4a에 나타낸 저부의 살두께는 임팩트드로잉에 의한 반제품 용기 제조시에 하측 코어(11)와 상측 코어(13) 사이의 간격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이음매없는 용기에 따르면, 고압용기가 아닌 일반용기의 주입구(즉, 밸브조립부) 부위만 두껍고 몸체 부위에서는 균일한 두께가 유지되는 이음매없는 용기의 성형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재료비의 절감, 경량화 실현, 대량생산이 용이해진다.
도4b는 다른 형태의 이음매없는 용기 단면도를 나타낸다. 몸체의 일부에 원주둘레를 따라 띠, 줄, 선형태로 돌출되거나 함몰되는 모양부(60)를 갖는 이음매없는 용기를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용기는 종래기술에 의해서는 제작이 불가능한 것이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반제품 용기를 회전시키면서 완제품을 성형하는 공정중에 가이드수단을 이용하여 모양부(60)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특히, 이러한 작업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어수단인 수치제어기와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의해서 달성가능하고 응용이 무궁무진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음매없는 용기의 성형에 있어서, 균일한 살두께를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두꺼워야 하는 부분의 가공을 설계사양대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생산성이 우수하며 불량률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압용기가 아닌 일반용기의 주입구(즉, 밸브조립부) 부위만 두껍고 몸체 부위에서는 균일한 두께가 유지되는 이음매없는 용기의 성형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재료비의 절감, 경량화 실현, 대량생산이 용이하다.
별도의 구동축을 하나의 수치제어 디지털 제어기에 의해 중앙집중 제어방식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시켜, 용기의 성형 및 태핑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래커크레인을 채용하여 스웨이지 및 콜릿죠척 등을 교환하고 이동시키는 것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3)

  1. a. 성형하고자 하는 용기의 무게에 해당하는 금속 원소재를 준비하는 단계,
    b. 원소재를 임팩트 드로잉(impact drawing)하여, 동일한 직경의 막힌 부분(이하, "폐쇄부")과 열린 부분(이하, "개구부")을 갖는 "∪" 형상의 반제품 용기로 성형하는 단계,
    c. 상기 반제품 용기의 폐쇄부를 고정하는 단계,
    d. 상기 반제품 용기의 개구부를 감싸며 내경이 완제품의 개구부와 동일한 형상의 스웨이지(swage)를 이용하여 상기 개구부로부터 폐쇄부 방향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반제품 용기를 완제품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음매없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반제품 용기를 흡착고정하여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스웨이지를 제1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매없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스웨이지를 반제품 용기의 개구부로부터 폐쇄부로 밀어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상기 반제품 용기의 몸체 원주면이 외부쪽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가이드하는 단계가 추가로 포함되는, 이음매없는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단계에서는 반제품 용기의 몸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적어도 두 곳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매없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반제품 용기 몸체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롤러로서, 롤러의 중심축이 상기 반제품 용기의 몸체 원주면과 이루는 각도는 0~180°로 변화하고, 롤러는 반제품 용기의 몸체 외주면 방향으로 직선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매없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6. 완제품 용기의 무게에 해당하는 금속 원소재를 임팩트 드로잉(impact drawing)하여 성형된, 동일한 직경의 막힌 부분(이하, "폐쇄부")과 열린 부분(이하, "개구부")을 갖는 ∪자 형상의 반제품 용기으로부터 이음매없는 용기를 제작하는 장치로서,
    상기 반제품 용기의 폐쇄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반제품 용기의 개구부를 감싸며 내경이 완제품의 개구부와 동일한 형상의 스웨이지(swage)를 상기 개구부로부터 폐쇄부 방향으로 밀어 압력을 가함으로써 완제품을 제조하는 성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음매없는 용기를 제조하는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반제품 용기의 폐쇄부를 진공흡착하여 고정하는 수단과, 흡착고정된 반제품 용기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성형수단은 상기 스웨이지를 고정하는 수단과, 스웨이지를 제1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폐쇄부쪽으로 이동시키는 이동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매없는 용기를 제조하는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완제품 성형이 완료된 후에 개구부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탭수단이 추가로 포함되는, 이음매없는 용기를 제조하는 장치.
  9. 청구항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 용기의 몸체 측면에 인접하여 상기 고정수단과 상기 성형수단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반제품 용기의 몸체 원주면과 접촉하여 몸체가 외부쪽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이 추가로 포함되는, 이음매없는 용기를 제조하는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반제품 용기의 몸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적어도 두 곳을 가이드하도록 설치된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매없는 용기를 제조하는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롤러의 중심축이 상기 반제품 용기의 몸체 원주면과 이루는 각도를 0~180°로 변화시키는 수단과, 롤러를 반제품 용기의 몸체 외주면 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매없는 용기를 제조하는 장치.
  12. 청구항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성형수단으로부터 스웨이지를 자동으로 탈부착하는 래커크레인이 추가로 포함되는, 이음매없는 용기를 제조하는 장치.
  13. 성형하고자 하는 용기의 무게에 해당하는 금속 원소재를 준비하여, 이 원소재를 임팩트 드로잉(impact drawing)하여, 동일한 직경의 막힌 부분(이하, "폐쇄부")과 열린 부분(이하, "개구부")을 갖는 "∪" 형상의 반제품 용기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반제품 용기의 폐쇄부를 흡착고정하여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반제품 용기의 개구부를 감싸며 내경이 완제품의 개구부와 동일한 형상의 스웨이지(swage)를 이용하여, 상기 스웨이지를 제1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개구부로부터 폐쇄부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반제품 용기를 완제품 용기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스웨이지를 반제품 용기의 개구부로부터 폐쇄부로 밀어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상기 반제품 용기의 몸체 원주면이 외부쪽으로 팽창하지 못하도록 가이드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이음매없는 용기.
KR1020020031249A 2002-06-04 2002-06-04 이음매없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과 장치 및 이에 의해제조된 용기 KR200300936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249A KR20030093622A (ko) 2002-06-04 2002-06-04 이음매없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과 장치 및 이에 의해제조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249A KR20030093622A (ko) 2002-06-04 2002-06-04 이음매없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과 장치 및 이에 의해제조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622A true KR20030093622A (ko) 2003-12-11

Family

ID=32385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249A KR20030093622A (ko) 2002-06-04 2002-06-04 이음매없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과 장치 및 이에 의해제조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36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3139A (zh) * 2020-06-06 2020-09-08 王映祥 一种封头管道生产高效压弧装置
KR20230165430A (ko) 2022-05-27 2023-12-05 주식회사 일광테크 유동성형의 공구충돌 방지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2947A (ja) * 1984-08-24 1986-03-15 Mitsubishi Heavy Ind Ltd 圧力容器の加工方法
KR940011083A (ko) * 1992-11-16 1994-06-20 최상징 용접 이음매가 없는 액화석유가스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액화 석유가스 용기
JPH11104762A (ja) * 1997-08-04 1999-04-20 Samtec Kk ガスボンベ用ライナ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94681A (ko) * 2000-04-01 2001-11-01 박윤소 딥 드로잉 아이어닝 방식에 의한 고압가스 용기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2947A (ja) * 1984-08-24 1986-03-15 Mitsubishi Heavy Ind Ltd 圧力容器の加工方法
KR940011083A (ko) * 1992-11-16 1994-06-20 최상징 용접 이음매가 없는 액화석유가스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액화 석유가스 용기
JPH11104762A (ja) * 1997-08-04 1999-04-20 Samtec Kk ガスボンベ用ライナ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94681A (ko) * 2000-04-01 2001-11-01 박윤소 딥 드로잉 아이어닝 방식에 의한 고압가스 용기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3139A (zh) * 2020-06-06 2020-09-08 王映祥 一种封头管道生产高效压弧装置
KR20230165430A (ko) 2022-05-27 2023-12-05 주식회사 일광테크 유동성형의 공구충돌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08596A (en) Method of forming cylinder ends
RU244518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лого тела из обрабатываемой детали в виде круглой заготовки
KR101837090B1 (ko) 파이프부를 성형하기 위한 방법
US4109542A (en) Spun V-grooved sheet metal pulley with thick hub wall integral with thin side wall
JP2005059101A (ja) 摩擦攪拌形成工具で所望の非平面の構成に形成する方法、ならびに工作物を所望の非平面の構成に形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2197718A (ja) 中空エンジンバルブの製造方法
JP2957153B2 (ja) 管端の成形方法とその装置
US4041746A (en) Method of making V-grooved sheet metal pulleys
US2284210A (en) Method of closing the ends of tubular bodies
JP7274402B2 (ja) ドラム型ギア部品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成形システム
CN108406010A (zh) 一种用于齿轮磨削的数控磨床气动夹具
CN108568645A (zh) 一种薄壁管壳类淬硬件的加工方法
KR20030093622A (ko) 이음매없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과 장치 및 이에 의해제조된 용기
CN109108198B (zh) 一种大直径薄壁管的旋转径向锻造方法
CN109622785B (zh) 多工位弯头管件成型机
JP3779997B2 (ja) 円筒状の中空体に、頸部の付けられた、縁曲げされた区分を形成する方法及び該方法を実施する装置
CN109926507A (zh) 一种钢瓶瓶头成型装置及其工艺
KR100935575B1 (ko) 용접이음매가 없는 액화석유가스 용기 및 그것의 제조장치
US2610304A (en) Thin-walled tubing for use as electrode structures of electron discharge devices
WO2006107091A1 (ja) クロージング加工方法及びクロージング加工機
CN108787770B (zh) 一种镁合金管分段变径的方法
JP2011236970A (ja) 溶接継ぎ目がない液化石油ガス容器、そ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18008308A (ja) フォージングロール装置
US1383747A (en) Method of making flexible sleeve-valves
KR100672864B1 (ko) 볼트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공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