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3142A - 기능성 젓가락 - Google Patents

기능성 젓가락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3142A
KR20030093142A KR1020030076035A KR20030076035A KR20030093142A KR 20030093142 A KR20030093142 A KR 20030093142A KR 1020030076035 A KR1020030076035 A KR 1020030076035A KR 20030076035 A KR20030076035 A KR 20030076035A KR 20030093142 A KR20030093142 A KR 20030093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fish
present
food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덕
Original Assignee
오승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덕 filed Critical 오승덕
Priority to KR1020030076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3142A/ko
Publication of KR20030093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14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6Combined or separable sets of table-service utensils; Oyster knives with openers; Fish servers with means for removing bon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벌(11)(12)로 이루어져 음식물 등을 집도록 한 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은 한 벌(11)(12)의 젓가락 상측에 일체 또는 결합되고, 복수개로 절개되어 포크날(15a)형태로 형성되는 발이구(15)를 구비하되, 상기 발이구(15)를 이용하여 생선으로부터 생선가시를 보다 쉽게 발라낼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통상의 젓가락에 부수적인 기능을 추가하여 젓가락의 활용도를 더욱 높이면서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상의 편리함과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젓가락{Functional Chopsticks}
본 발명은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젓가락에 부수적인 기능을 추가하여 젓가락의 활용도를 더욱 높이면서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상의 편리함과 효율성이 향상되는 기능성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젓가락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일반적으로 젓가락(1)은 한 벌(2, 3)로 이루어져 식사나 요리시 음식 등을 집어 식사할 때 사용하는 식사용구로서, 주로 한국, 일본, 중국 등 동북아시아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젓가락은 나무, 합성수지재, 금속재 등으로 제작되고 비교적 가늘며 사용자가 잡고 사용하기 쉬운길이로 형성되며 각 나라의 음식문화에 따라 그 길이나 두께가 다양하게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젓가락(1)은 젓가락질을 습득하기까지의 과정이 어렵고 까다롭다. 이처럼 젓가락질의 습득이 어려운 것은 일반적인 젓가락의 형상 및 파지법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젓가락의 파지법은 엄지, 검지 및 중지를 이용하여 11자 형태로 파지하여 젓가락의 하단부를 집게처럼 이용하여 음식을 집게되어 있다.
이처럼 젓가락질이 서툰 사용자가 음식, 특히 생선을 먹을 때 젓가락질하여 생선가시를 발라내어 생선을 먹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이에 다른 도구, 즉 양손으로 숟가락과 젓가락을 이용하거나, 손가락으로 생선가시를 발라내고 또는 그냥 생선을 집어들어 입으로 생선가시를 발라내어 먹는 등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외에도, 젓가락은 오직 음식을 집어먹는 데에만 사용할 뿐 다른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젓가락에 부수적인 기능을 추가하여 젓가락의 활용도를 더욱 높이면서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상의 편리함과 효율성이 향상되는 기능성 젓가락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젓가락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 12: 젓가락15a: 포크날
15: 발이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한 벌(11)(12)로 이루어져 음식물등을 집도록 한 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은 한 벌(11)(12)의 젓가락 상측에 일체 또는 결합되고, 복수개로 절개되어 포크날(15a)형태로 형성되는 발이구(15)를 구비하되, 상기 발이구(15)를 이용하여 생선으로부터 생선가시를 보다 쉽게 발라낼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한 벌(11)(12)로 이루어져 음식물 등을 집도록 한 젓가락에 관련되는 바, 통상의 젓가락에 보다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발이구(15)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이구(15)는 도 2처럼 복수개로 절개되어 포크날(15a)형태로 형성되어 한 벌(11)(12)의 젓가락 상측에 일체 또는 결합된다. 발이구(15)는 복수개로 절개된 포크날(15a)형태로 일체 또는 따로 형성하여 결합할 수도 있는 바, 이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젓가락의 소재로서 나무를 사용하는 경우 발이구(15)는 볼트를 이용한 나사결합하거나 젓가락과 발이구(15)에 각각 삽입요홈과 삽입구를 형성하여 억지끼움으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수지재 또는 금속재를 사용하는 경우 금형을 이용하여 일체로 생산하거나 직접 용접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발이구(15)는 한 벌(11)(12)의 젓가락을 이용하여 음식물, 특히 생선으로부터 생선가시를 발라낼 수 있도록 한다. 도 3처럼 한 벌(11)(12)의 젓가락 상측이 아래로 향하도록 즉, 발이구(15)를 하측으로 향하도록 한 다음 발이구(15)를 이용하여 생선으로부터 생선가시를 발라내어 먹을 수 있게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사용에 있어서, 도 3처럼 우선 한 벌(11)(12)의 젓가락에서 발이구(15)가 하측으로 향하도록 한다. 이는 양손을 이용하여 생선가시를 발라내는 방법으로, 일측의 젓가락(11)에 형성된 발이구(15)를 이용하여 복수로 절개된 포크날(15a)로 생선을 고정하고 타측의 젓가락(12)에 형성된 발이구(15)를 좌우로 움직여 포크날(15a)에 의해 생선에 있는 가시를 발라내 생선을 보다 쉽게 먹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젓가락질이 서툰 사용자가 생선을 보다 먹기 편하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젓가락질이 용이한 경우에는 한 손의 엄지, 검지 및 중지를 이용하여 한 벌(11)(12)의 젓가락을 11자 형태로 파지한 다음 젓가락질하여 발이구(15)의 포크날(15a)로 생선에 있는 가시를 발라내어 생선을 먹을 수 있다.
이외에도, 한 벌(11)(12)의 젓가락에 형성된 발이구(15)를 이용하여 젓가락질이 서툰 사용자는 다른 음식물을 집어먹는 데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포크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젓가락에 형성된 발이구(15)를 이용하여 무엇보다도 생선에 있는 가시를 쉽게 발라낼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과 효율성이 향상됨은 물론 젓가락질이 서툰 사용자는 발이구(15)의 포크날(15a)을 이용하여 보다 편리한 방법으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어 젓가락의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젓가락을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젓가락에 부수적인 기능을 추가하여 젓가락의 활용도를 더욱 높이면서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상의 편리함과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한 벌(11)(12)로 이루어져 음식물 등을 집도록 한 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은 한 벌(11)(12)의 젓가락 상측에 일체 또는 결합되고, 복수개로 절개되어 포크날(15a)형태로 형성되는 발이구(15)를 구비하되,
    상기 발이구(15)를 이용하여 생선으로부터 생선가시를 보다 쉽게 발라낼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젓가락.
KR1020030076035A 2003-10-29 2003-10-29 기능성 젓가락 KR20030093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035A KR20030093142A (ko) 2003-10-29 2003-10-29 기능성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035A KR20030093142A (ko) 2003-10-29 2003-10-29 기능성 젓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142A true KR20030093142A (ko) 2003-12-06

Family

ID=32389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035A KR20030093142A (ko) 2003-10-29 2003-10-29 기능성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31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3887A1 (en) * 2006-01-23 2007-07-26 Hae In Juang Fork combination chopstick having fork function
KR20180100469A (ko) 2017-03-01 2018-09-11 이대현 멀티센싱 및 데이터 송수신에 의한 다기능 구현 젓가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4105Y1 (ko) * 1986-01-17 1988-11-18 이희성 씨앗 파종기
KR200250115Y1 (ko) * 2001-06-04 2001-11-16 이상영 젓가락포크
KR200274737Y1 (ko) * 2002-01-08 2002-05-09 김명각 다용도 숟가락
JP2003199663A (ja) * 2001-12-28 2003-07-15 Fumio Hanzawa フォーク付き割り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4105Y1 (ko) * 1986-01-17 1988-11-18 이희성 씨앗 파종기
KR200250115Y1 (ko) * 2001-06-04 2001-11-16 이상영 젓가락포크
JP2003199663A (ja) * 2001-12-28 2003-07-15 Fumio Hanzawa フォーク付き割り箸
KR200274737Y1 (ko) * 2002-01-08 2002-05-09 김명각 다용도 숟가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3887A1 (en) * 2006-01-23 2007-07-26 Hae In Juang Fork combination chopstick having fork function
KR20180100469A (ko) 2017-03-01 2018-09-11 이대현 멀티센싱 및 데이터 송수신에 의한 다기능 구현 젓가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9500B2 (ja) 食具
US9061429B2 (en) Pumpkin carving spoon with nested knife
US5056173A (en) Combination fork and chopsticks
US20110003273A1 (en) teaching aid for correct use of cutlery by children
KR20030093142A (ko) 기능성 젓가락
WO2007083887A1 (en) Fork combination chopstick having fork function
CN201022581Y (zh) 组合功能食蟹工具
CN106426312A (zh) 一种多功能斧头
CN205438635U (zh) 一种多功能雕花刀挖球勺
CN208957863U (zh) 一种多功能锅铲
CN2156775Y (zh) 多功能取餐器
CN212698451U (zh) 一种新型羊角叉筷子及组合型筷子
JPH0545272Y2 (ko)
KR20050080144A (ko) 포크가 결합된 숟가락
CN213405662U (zh) 勺子
CN201108278Y (zh) 带牙签的筷子
KR200339135Y1 (ko) 식칼
CN216992010U (zh) 一种乌卢刀
CN1114172A (zh) 餐用竹木刀叉及其制作方法
JP3089366U (ja) 挟む」「摘む」「刺す」「切る」「掬う」の5機能を併せ持ったユニバーサル食事用機器
CN202397132U (zh) 环保餐具
CN201542311U (zh) 多功能筷子
CN2609447Y (zh) 组合式餐叉
CN201243881Y (zh) 中西两用餐具
CN208371456U (zh) 竖直漂浮的筷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