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3066A -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3066A
KR20030093066A KR1020020033403A KR20020033403A KR20030093066A KR 20030093066 A KR20030093066 A KR 20030093066A KR 1020020033403 A KR1020020033403 A KR 1020020033403A KR 20020033403 A KR20020033403 A KR 20020033403A KR 20030093066 A KR20030093066 A KR 20030093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nformation storage
spare
spare area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근
박인식
윤두섭
심재성
황성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30093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06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2Arrangements of earthing wires suspended between masthead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2층 이상의 정보저장층을 가지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는, 2층 이상의 정보저장층을 구비한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층은 각각 재생 전용 영역과 재기록 가능한 영역을 가진 리드인 영역, 사용자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저장층마다 상기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함관리존이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결함영역을 대체할 스페어영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 있어서 결함영역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정보의 기록/재생이 실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Information storage medium having plural information storage layer}
본 발명은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층 이상의 정보저장층을 구비하고, 각 정보저장층에 결함관리존과 결함 영역을 대체할 수 있는 스페어 영역을 구비하며 각 층의 트랙 방향에 따라 스페어 영역의 용량이 가변되도록 한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 저장매체는 비접촉식으로 정보를 기록/재생하는 광픽업장치의 정보 기록매체로 널리 채용되며, 정보 저장매체의 한 종류인 광디스크는 정보기록용량에 따라 컴팩트 디스크(CD;compact disk),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digital versatile disk)로 구분된다. 그리고, 기록, 소거 및 재생이 가능한 광디스크로는 650MB CD-R, CD-RW, 4.7GB DVD+RW 등이 있다. 더 나아가 기록용량이 20GB 이상인 HD-DVD도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광디스크는 점점 기록 용량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다. 기록 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기록 광원의 파장을 단파장화 하고, 대물렌즈의 개구수를 고개구수화하는 방법이 있다. 이밖에, 기록층을 복수층으로 구성하는 방법이 있다. 복수층의 기록층을 가지는 DVD-ROM에 대해 미국 특허 US5,881,032호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 개시된 2층 기록층을 가지는 디스크의 섹터 어드레스 구조가 도 1a에 도시되어 있다. 이 디스크에는 제1기록층(L1)과 제2기록층(L2)이 구비되고, 각 기록층에는 리드인 영역(1a)(2a)과 리드아웃(1b)(2b)이 구비된다. 상기 제1기록층(L1)에서는 디스크 내주(Rin)에서 외주(Rout) 방향으로 가면서 섹터 어드레스(X)가 증가되고, 제2기록층(L2)에서는 디스크 외주(Rout)에서 디스크 내주(Rin)로 가면서 섹터 어드레스(X')가 증가된다.
한편, 2층 이상의 기록층을 가지는 다층 광디스크는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방향에 따라 OTP(Opposite Track Path)와 PTP(Parallel Track Path)로 나뉜다. OTP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록층(L1)의 내주(Rin)에서 외주(Rout) 방향으로 재생이 수행되고, 이어서 제2기록층(L2)의 외주(Rout)에서 내주(Rin) 방향으로 재생이 수행된다. 다시 말하면, 트랙 스파이럴 방향이 각 기록층마다 교대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유형을 말한다. 또한, 도 1c는 OTP의 경우에 제1 내지 제4 기록층(L1)(L2)(L3)(L4)을 가지는 다층 광디스크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 4기록층(L1)(L2)(L3)(L4)에는 디스크의 내주 영역과 외주 영역에 교대로 제1 내지 제4 리드인 영역(1a)(2a)(3a)(4a)과 제1 내지 제4 리드아웃 영역(1b)(2b)(3b)(4b)이 구비된다. 이러한 4층 광디스크의 재생 방향을 보면, 제1기록층(L1)의 내주(Rin)에서 외주(Rout)로, 이어서 제2기록층(L2)의 외주(Rout)에서 내주(Rin)로, 제3기록층(L3)의 내주(Rin)에서 외주(Rout)로, 제4기록층(L4)의 외주(Rout)에서 내주(Rin)로 재생된다.
도 2는 PTP 유형의 2층 광디스크를 도시한 것으로, 제1기록층(L1)의 내주(Rin)에서 외주(Rout)쪽으로 정보가 재생되고, 이어서 제2기록층(L2)의 외주에서 내주쪽으로 정보가 재생된다. 다시 말하면, 트랙 스파이럴 방향이 각 기록층마다 동일하게 형성된 경우를 말한다. 여기서, 상기 제1기록층(L1)의 내주쪽에 제1리드인 영역(1a)이, 외주쪽에 제1리드아웃 영역(1b)이 구비되고, 상기 제2기록층(L2)의 내주쪽에 제2리드인 영역(2a)이, 외주쪽에 제2리드아웃 영역(2b)이 구비된다.
상기 리드인 영역(1a)(2a)(3a)(4a)과 리드아웃 영역(1b)(2b)(3b)(4b)에는 디스크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기록 가능한 디스크의 경우 기록에 관련된 여러 가지 조건들이 함께 기록된다. 따라서, 이들 리드인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에기록된 정보를 재생해야만 사용자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기록하거나 재생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DVD-ROM은 재생 전용 디스크로, 기록 가능한 디스크에서 필요로 되는 결함 관리를 위한 영역이나 디스크 테스트를 위한 영역 등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한편, 도 3에 종래의 기록 가능한 단층 광디스크의 개략적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 단층 광디스크는 리드인 영역(5), 사용자 데이터 영역(6) 및 리드아웃 영역(7)을 구비하고, 상기 리드인 영역(5)과 리드아웃 영역(7)에 각각 결함을 관리하기 위한 제1결함관리존(5a)과 제2결함관리존(7a)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 영역(6)에는 디스크 반경 방향에 대해 내주 및 외주쪽에 각각 제1스페어 영역(6a)과 제2 스페어 영역(6b)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 영역(6)에 결함 영역(8)이 발생되었을 때, 상기 결함 영역(8)을 상기 제1 및 제2 스페어 영역(6a)(6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대체하고, 이러한 정보를 상기 제1 결함관리존(5a) 또는 제2 결함관리존(7a)에 기록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스페어 영역(6a)(6b)의 일부 영역을 결함 영역을 대신하여 사용함으로써 결함 영역을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기록 가능한 다층의 광디스크와 관련해서는 각 기록층에서의 결함 관리를 위한 영역에 대해 개시된 바 없다. 따라서, 기록 가능한 다층의 광디스크에 있어서 각 기록층에서 발생된 결함 영역의 관리 및 처리에 대한 새로운 규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2층 이상의 정보저장층을 구비하고, 각 정보저장층의 소정 영역에 결함 관리존과 결함 영역을 대체할 수 있는 스페어 영역을 구비하여 신뢰성이 높고, 효율적인 결함 관리가 가능한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함 영역을 대체할 수 있는 스페어 영역을 가변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스페어 영역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는 종래의 DVD-ROM 2층 광디스크의 섹터 어드레스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종래의 DVD-ROM 2층 광디스크에서 OTP(Opposite Track Path)의 경우에 리드인 및 리드아웃 영역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c는 종래의 DVD-ROM 4층 광디스크에서 OTP(Opposite Track Path)의 경우에 리드인 및 리드아웃 영역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DVD-ROM 4층 광디스크에서 PTP(Parallel Track Path)의 경우에 리드인 및 리드아웃 영역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기록 가능한 단층 광디스크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 구비된 리드인 영역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제1실시예에 따른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서 결함 관리를 위한 영역의 배치 구조에 대한 여러 가지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2층 정보저장 매체에서PTP(Parallel Track Path)의 경우 스페어 영역의 가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2층 정보저장 매체에서 OTP(Opposite Track Path)의 경우 스페어 영역의 가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4층 정보저장 매체에서 PTP(Parallel Track Path)의 경우 스페어 영역의 가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4층 정보저장 매체에서 OTP(Opposite Track Path)의 경우 스페어 영역의 가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재생전용 데이터 존 20...커넥션 존
30...재기록 가능한 데이터 존 30c...디스크 컨트롤 데이터 존
30d,40,43,50,53...결함 관리존 44,54...버퍼
41,42,51,52,61,62,63,64,65,66,67,68...스페어영역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는, 2층 이상의 정보저장층을 구비한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층은 각각 재생 전용 영역과 재기록 가능한 영역을 가진 리드인 영역, 사용자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저장층마다 상기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함관리존이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결함영역을 대체할 스페어영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페어영역이 각 정보저장층마다 디스크 반경방향에 대해 내주 및 외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주 및 외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 스페어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의 스페어영역의 용량이 가변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정보저장층의 트랙 스파이럴 방향이 동일한 경우, 외주에 배치된 스페어영역의 용량이 가변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정보저장층의 트랙 스파이럴 방향이 각층마다 교대로 반대로 된 경우, 기록 방향에 대해 각 정보저장층의 뒤쪽에 배치된 스페어영역의 용량이 가변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 가능한 스페어영역은 기록방향에 대해 뒤쪽에서부터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층의 정보저장층 중 어느 한 층 이상의 내주 및 외주에 스페어영역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스페어영역의 용량이 양쪽 모두 가변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가능한 스페어영역은 레이저빔이 입사되는 방향에서 최상층의 정보저장층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는, 2층 이상의 정보저장층을 구비한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층은 각각 재생 전용 영역과 재기록 가능한 영역을 가진 리드인 영역, 사용자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저장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함관리존이 구비되고, 각 정보저장층마다 결함영역을 대체할 스페어영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는, 2층 이상의 정보저장층을 구비한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층은 각각 재생 전용 영역과 재기록 가능한 영역을 가진 리드인 영역, 사용자 데이터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저장층마다 상기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함관리존이 구비되고, 상기 정보저장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있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결함영역을 대체할 스페어영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는 기록 및/또는 재생이 가능한 2층 이상의 정보저장층을 포함하고, 각 정보저장층에는 리드인 영역, 사용자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구비된다.
도 4에는 리드인 영역의 개략적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리드인 영역은 디스크의 최내주쪽에 피트 형태 또는 고주파 그루브 워블 형태로 디스크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가 기록되는 재생전용 데이터 존(embossed data zone)(10)과, 커넥션 존(20)과, 재기록 가능한 데이터 존(30)을 포함한다.
상기 재생전용 데이터 존(10)에는 디스크의 크기, 버전(version) 번호, 기록 조건 등이 기록되는 디스크 정보 존(10a)이 구비된다. 상기 커넥션 존(20)에는 상기 재생전용 데이터 존(10)과 재기록 가능한 데이터 존(30) 사이를 연결해주는 트랜지션(transition) 존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넥션 존으로는 미러 존 이외에 워블 그루브 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기록 가능한 데이터 존(30)에는 디스크 테스트존(30a), 드라이브 테스트존(30b), 디스크 컨트롤 데이터 존(30c) 및 결함관리존(30d) 등이 구비될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컨트롤 데이터 존(30c)에는 디스크 컨트롤 관련 정보가 기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크 컨트롤 영역이 구비된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디스크 컨트롤 영역(30c-1)(30c-2)(30c-3)(30c-4)이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이밖에, 예정되지는 않았지만 이후에 다른 정보가 기록될 수 있는 여유 영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보류(reserved) 영역(30c-5)(30c-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리드아웃 영역은 상술한 리드인 영역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이후에 설명될 도 5a 내지 도 5d에는 편의상 결함관리존과 버퍼존만을 표시하였다.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서는 2층 이상의 정보저장층을 구비하고, 각 정보저장층에는 리드인 영역, 사용자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구비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함관리존을 구비한다.
여기서는, 제1 정보저장층(L0)과 제2 정보저장층(L1)을 포함한 2층 정보저장 매체를 예시하였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정보저장층(L0)(L1)은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에 각각 제1 내지 제4 결함관리존(40)(50)(43)(53)을 구비하고, 제1 및 제2 정보저장층(L0)에 있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내주쪽에 제1 및 제2 스페어영역(41)(51)을, 외주쪽에 제3 및 제4 스페어영역(42)(52)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각 정보저장층에 있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 중 어느 곳에 결함영역이발생된 경우, 이 결함영역은 상기 제1 내지 제4 스페어영역(41)(42)(51)(52)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으로 대체되고, 이와 같이 대체된 스페어영역에 관한 정보가 상기 제1 내지 제4 결함관리존(40)(43)(50)(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록되어 관리된다.
상기와 같은 결함 관리는 각 정보저장층에서 각각에 해당되는 층에 관련된 결함 정보만을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한 층의 결함관리존에서 두 층에 관련된 모든 결함 정보가 관리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정보저장층(L0)(L1)은 리드인 영역 리드아웃 영역에 각각 제1 내지 제4 결함관리존(40)(50)(43)(53)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보저장층(L0)에 있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내주쪽에 제1 스페어영역(41)을, 외주쪽에 제3 스페어영역(42)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또는 제3 스페어영역(41)(42)에 의해 상기 제1 정보저장층(L0)에서 발생된 결함 영역뿐만 아니라 상기 제2정보저장층(L1)에서 발생된 결함 영역이 함께 대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스페어영역이 상기 제1 정보저장층(L0)에 있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 대신에 상기 제2 정보저장층(L1)에 있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내주 또는 외주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정보저장층(L0)(L1)은 리드인 영역 리드아웃 영역에 각각 제1 내지 제4 결함관리존(40)(50)(43)(53)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보저장층(L0)에 있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내주 및 상기 제2 정보저장층(L1)에 있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외주에 각각 스페어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예에서는 디스크 오염등의 문제로 인해 리드인 영역 또는 리드아웃 영역을 읽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결함관리존이 각 층의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양쪽에 구비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결함영역과 관련된 정보가 상기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에 구비된 결함관리존에 중복되게 기록될 수 있다.
이밖에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함관리존(40)이 제1 정보저장층(L0)에 있는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다른 결함관리존(53)이 제2 정보저장층(L1)에 있는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스페어 영역이 각 정보 저장층에 적어도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44 및 54는 버퍼 영역을 나타낸다.
다음은, 상기 스페어영역들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의 각 정보저장층에 적용되어 스페어영역의 용량이 가변적으로 되는 여러 가지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는 트랙 스파이럴 방향이 PTP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A/V 에플리케이션(Audio/Video application), 즉 연속 기록/재생을 하는 경우를 고려한 구조로, 제2 정보저장층(L1)의 외주쪽에 구비된 스페어영역(64)의 용량을 가변 가능하게 구성하고, 제1 정보저장층(L0)의 내주 및 외주에 구비된 스페어 영역(61)(62)과 제2 정보저장층(L1)의 내주에 구비된 스페어 영역(63)의 용량을 고정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변 가능한 스페어 영역(63)은 0 이상의 용량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6b는 PC 에플리케이션 즉, 각 층을 별도의 볼륨으로 취급하는 경우의 구조로, 제1 정보저장층(L0)과 제2 정보저장층(L1)의 내주에 구비된 스페어 영역(61)(63)의 용량을 고정하고, 제1 정보저장층(L0)의 외주 및 제2 정보저장층(L1)의 외주에 구비된 스페어영역(62)(64)의 용량을 가변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된 스페어 영역(61)(63)은 그 용량이 서로 같거나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용량이 다르게 구성되는 경우에는 어느 한쪽의 스페어 영역의 용량이 다른 쪽의 스페어 영역의 용량의 정수배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변 가능한 스페어 영역(62)(64)은 그 용량의 크기가 같거나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용량이 다르게 구성되는 경우에는 어느 한쪽의 스페어 영역의 용량이 다른 쪽의 스페어 영역의 용량의 정수배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 가능한 스페어 영역(62)(64)은 0 이상의 용량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정보저장층(L0)(L1)의 내주 및 외주에 구비된 스페어영역(61)(62)(63)(64)을 모두 가변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정보저장층(L0)(L1) 중 어느 한 층의 내주 및 외주에 구비된 스페어영역을 가변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a 내지 도 7c는 트랙 스파이럴 방향이 OTP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A/V 에플리케이션(Audio/Video application), 즉 연속 기록/재생을 하는 경우를 고려한 구조로, 제2 정보저장층(L1)의 내주쪽에 구비된 스페어영역(63)의 용량을 가변가능하게 구성하고, 나머지 스페어영역(61)(62)(64)의 용량을 고정시켜 구성할 수 있다.
도 7b는 PC 에플리케이션 즉, 각 층을 별도의 볼륨으로 취급하는 경우의 구조로, 제1 정보저장층(L0)의 외주 및 제2 정보저장층(L1)의 내주에 구비된 스페어영역(62)(63)을 가변가능하게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가변 가능한 스페어 영역(62)(63)은 그 용량의 크기가 같거나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용량이 다르게 구성되는 경우에는 어느 한쪽의 스페어 영역의 용량이 다른 쪽의 스페어 영역의 용량의 정수배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변 가능한 스페어 영역(62)(63)은 0 이상의 용량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정보저장층(L0)(L1)의 내주 및 외주에 구비된 스페어영역(61)(62)(63)(64)을 모두 가변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정보저장층(L0)(L1) 중 어느 한 층의 내주 및 외주에 구비된 스페어영역을 가변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화살표는 가변가능함을 나타낸다. 가변 가능한 스페어영역에서는 기록 방향에 대해 뒤쪽에서부터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8a는 제1 내지 제4 정보저장층(L0)(L1)(L2)(L3)을 가지는 정보저장 매체를 도시한 것으로, 트랙 스파이럴 방향이 각 정보저장층마다 동일한 PTP를 채용한경우이다.
상기 제1 내지 제4 정보저장층(L0)(L1)(L2)(L3)의 내주 및 외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각각 스페어영역이 구비되고, 각 층에 구비된 스페어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변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4 정보저장층(L0)(L1)(L2)(L3)에 각각 구비된 스페어영역 중 디스크 외주쪽에 구비된 스페어영역이 가변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다층의 정보저장층 중 레이저빔의 입사방향에서 볼 때 최상층의 정보저장층의 내주 및 외주쪽에 구비된 스페어영역을 가변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8a를 참조하여 보면, 제4 정보저장층(L3)의 내주 및 외주에 있는 스페어영역(67)(68)을 가변가능하게 구성한다. 이밖에도, 각 정보저장층에 구비된 스페어영역을 다양한 방법으로 선택하여 가변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8b는 트랙 스파이럴 방향이 각 정보저장층마다 교대로 변하는 OTP를 채용한 4층 정보저장 매체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 내지 제4 정보저장층(L0)(L1)(L2)(L3)의 내주 및 외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각각 스페어영역이 구비되고, 각 층에 구비된 스페어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변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정보저장층마다 기록 방향에 대해 가장 뒤쪽에 위치하는 스페어영역을 가변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정보저장층(L0)에서는 디스크 외주에 있는 스페어영역(62)을, 제2정보저장층(L1)에서는 디스크 내주에 있는 스페어영역(63)을, 제3정보저장층(L2)에서는 디스크 외주에 있는 스페어영역(66)을,제4정보저장층(L3)에서는 디스크 내주에 있는 스페어영역(67)을 가변가능하게 구성한다.
또는, 다층의 정보저장층 중 레이저빔의 입사방향에서 볼 때 최상층의 정보저장층의 내주 및 외주쪽에 구비된 스페어영역을 가변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8b를 참조하여 보면, 제4 정보저장층(L3)의 내주 및 외주에 있는 스페어영역(67)(68)을 가변가능하게 구성한다. 이밖에도, 각 정보저장층에 구비된 스페어영역을 다양한 방법으로 선택하여 가변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상 설명한 구조에 있어서 결함 영역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반경 방향의 중심으로 나누어 고려할 때, 내주쪽 영역(A)에서 결함 영역이 발생된 경우에는 각 층에 대응되는 내주쪽에 있는 스페어 영역(61)(63)으로 결함영역을 대체하는 한편, 외주쪽 영역(B)에서 결함 영역이 발생된 경우에는 각 층에 대응되는 외주쪽에 있는 스페어 영역(62)(64)으로 결함영역을 대체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이 각 층에서 발생된 결함 영역을 각 층의 가까운 스페어 영역에서 처리함으로써 결함 영역 처리를 위한 억세스 타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는 각 층의 사용자 영역이 하나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의 사용자 영역이 다수개의 존(zone)으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각 정보저장층의 사용자 영역이 제1 내지 제3 존(C)(D)(E)으로 분할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며, 각 존의 내주쪽 외주쪽의 적어도 한 쪽에 스페어 영역(71)(72)(73)(74)(75)(76)(77)(78)(79)(80)
(81)(82)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용량이 가변적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제1정보저장층(L0)의 최외주쪽에 구비된 스페어 영역(76)과 제2정보저장층(L1)의 최내주쪽에 구비된 스페어 영역(77)의 용량이 가변적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 영역이 다수개의 존으로 분할되고, 각 존에 스페어 영역이 구비된 경우에, 각 존의 중심을 기준으로 디스크 내주쪽에서 결함 영역이 발생되면 내주쪽에 있는 스페어 영역에서, 디스크 외주쪽에서 결함 영역이 발생되면 외주쪽에 있는 스페어 영역에서 결함 영역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제1정보저장층(L0)의 제1존(C)의 중심선(h)을 기준으로 내주쪽에서 결함 영역(83)이 발생된 경우 내주쪽에 마련된 스페어 영역(71)에서 상기 결함 영역(83)을 처리한다.
각 정보저장층의 사용자 영역이 다수개의 존으로 분할되고, 2층 이상의 정보저장층을 갖는 다층으로 구성된 경우에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결함 영역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각 정보저장층의 재생 방향이 각 층마다 교대로 바뀌는 OTP의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각 정보저장층의 재생 방향이 각 층마다 동일한 PTP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의 광정보 저장매체는 각 정보저장층에 결함관리존과, 사용자데이터 영역에서 발생된 결함영역을 대체할 수 있는 스페어영역을 구비하고, 이들 스페어영역의 용량을 가변가능하게 구성하여 결함영역을처리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기록/재생 성능을 확보하고,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Claims (30)

  1. 2층 이상의 정보저장층을 구비한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층은 각각 재생 전용 영역과 재기록 가능한 영역을 가진 리드인 영역, 사용자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저장층마다 상기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함관리존이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결함영역을 대체할 스페어영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어영역이 각 정보저장층마다 디스크 반경방향에 대해 내주 및 외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 및 외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 스페어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의 스페어영역이 0이상의 용량을 가지도록 가변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정보저장층의 트랙 스파이럴 방향이 동일한 경우, 외주에 배치된 스페어영역이 0 이상의 용량을 가지도록 가변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정보저장층의 트랙 스파이럴 방향이 각층마다 교대로 반대로 된 경우, 기록 방향에 대해 각 정보저장층의 뒤쪽에 배치된 스페어영역이 0 이상의 용량을 가지도록 가변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가능한 스페어영역은 기록방향에 대해 뒤쪽에서부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의 정보저장층 중 어느 한 층 이상의 내주 및 외주에 스페어영역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스페어영역의 용량이 양쪽 모두 가변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가능한 스페어영역은 레이저빔이 입사되는 방향에서 최상층의 정보저장층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9. 2층 이상의 정보저장층을 구비한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층은 각각 재생 전용 영역과 재기록 가능한 영역을 가진 리드인 영역, 사용자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저장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함관리존이 구비되고, 각 정보저장층마다 결함영역을 대체할 스페어영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관리존이 상기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어영역은 사용자데이터 영역의 내주 및 외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쪽 스페어영역과 외주쪽 스페어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용량이 가변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정보저장층의 트랙 스파이럴 방향이 동일한 경우, 외주에 배치된 스페어영역이 0 이상의 용량을 가지도록 가변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정보저장층의 트랙 스파이럴 방향이 각층마다 교대로 반대로 된 경우, 기록 방향에 대해 각 정보저장층의 뒤쪽에 배치된 스페어영역이 0 이상의 용량을 가지도록 가변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가능한 스페어영역은 기록방향에 대해 뒤쪽에서부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16.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의 정보저장층 중 어느 한 층 이상의 내주 및 외주에 스페어영역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스페어영역의 용량이 양쪽 모두 가변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가능한 스페어영역은 레이저빔이 입사되는 방향에서 최상층의 정보저장층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18. 2층 이상의 정보저장층을 구비한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층은 각각 재생 전용 영역과 재기록 가능한 영역을 가진 리드인 영역, 사용자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저장층마다 상기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함관리존이 구비되고, 상기 정보저장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있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결함영역을 대체할 스페어영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어영역은 사용자데이터 영역의 내주 및 외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쪽 스페어영역과 외주쪽 스페어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0 이상의 용량을 가지도록 가변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정보저장층의 트랙 스파이럴 방향이 동일한 경우, 외주에 배치된 스페어영역이 0 이상의 용량을 가지도록 가변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정보저장층의 트랙 스파이럴 방향이 각층마다 교대로 반대로 된 경우, 기록 방향에 대해 각 정보저장층의 뒤쪽에 배치된 스페어영역이 0 이상의 용량을 가지도록 가변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23. 제 21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가능한 스페어영역은 기록방향에 대해 뒤쪽에서부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24.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의 정보저장층 중 어느 한 층 이상의 내주 및 외주에 스페어영역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스페어영역의 용량이 양쪽 모두 가변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가능한 스페어영역은 레이저빔이 입사되는 방향에서 최상층의 정보저장층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26. 제 3항 내지 제 5항, 제 12항 내지 제 14항, 제 20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가능한 스페어 영역이 다수 개일 때, 서로 동일한 용량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27. 제 3항 내지 제 5항, 제 12항 내지 제 14항, 제 20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가능한 스페어 영역이 다수 개일 때, 서로 다른 용량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28. 제 1항, 제 9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반경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내주쪽에서 결함 영역이 발생된 경우에는 내주쪽에 있는 스페어 영역에서, 외주쪽에서 결함 영역이 발생된 경우에는 외주쪽에 있는 스페어 영역에서 각각 결함 영역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29. 제 1항, 제 9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 영역은 다수개의 존으로 분할되고, 각 존마다 외주쪽 및 외주쪽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스페어 영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존의 반경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내주쪽에서 결함 영역이 발생된 경우에는 내주쪽에 있는 스페어 영역에서, 외주쪽에서 결함 영역이 발생된 경우에는 외주쪽에 있는 스페어 영역에서 각각 결함 영역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KR1020020033403A 2002-05-30 2002-06-14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KR200300930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30300 2002-05-30
KR1020020030300 2002-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066A true KR20030093066A (ko) 2003-12-06

Family

ID=32464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403A KR20030093066A (ko) 2002-05-30 2002-06-14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306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2836A (ja) * 1998-02-12 1999-08-27 Toshiba Corp 多層情報層を有する情報記憶媒体及び多目的情報処理装置
JPH11297004A (ja) * 1998-04-07 1999-10-29 Sanyo Electric Co Ltd 情報処理装置
JP2001014808A (ja) * 1999-06-30 2001-01-19 Toshiba Corp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1118340A (ja) * 1999-10-20 2001-04-27 Sony Corp 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2836A (ja) * 1998-02-12 1999-08-27 Toshiba Corp 多層情報層を有する情報記憶媒体及び多目的情報処理装置
JPH11297004A (ja) * 1998-04-07 1999-10-29 Sanyo Electric Co Ltd 情報処理装置
JP2001014808A (ja) * 1999-06-30 2001-01-19 Toshiba Corp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1118340A (ja) * 1999-10-20 2001-04-27 Sony Corp 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9373B2 (ja) 情報記憶媒体
KR101121968B1 (ko) 다층 정보 기록 매체, 기록 방법, 및 재생 방법
KR100727922B1 (ko) 정보저장매체
KR100561436B1 (ko) 정보저장매체
US7518978B2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data on the same
JP4439521B2 (ja) 情報記録媒体
JP4991536B2 (ja) 情報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KR20050001976A (ko) 정보 저장 매체
JPWO2006004087A1 (ja) 情報記録媒体
KR20030093066A (ko)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KR100878526B1 (ko)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JP2005531872A (ja) 情報保存媒体及びその記録及び/または再生方法
KR20040110542A (ko) 정보 저장 매체 및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 방법
KR20050019650A (ko) 소형 광 디스크
JP2006031862A (ja) 光ディスク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
KR20040002371A (ko) 정보저장 매체 및 그 기록 및/또는 재생 방법
JP2007149331A (ja) 情報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