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436B1 - 정보저장매체 - Google Patents

정보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436B1
KR100561436B1 KR1020040049039A KR20040049039A KR100561436B1 KR 100561436 B1 KR100561436 B1 KR 100561436B1 KR 1020040049039 A KR1020040049039 A KR 1020040049039A KR 20040049039 A KR20040049039 A KR 20040049039A KR 100561436 B1 KR100561436 B1 KR 100561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torage
opc
area
region
storag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2586A (ko
Inventor
이경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02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11B7/1267Power calib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3Layer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35Recording layers
    • G11B7/24038Multiple laminated recording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9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 G11B2007/001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for carriers having multiple discrete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복수개의 정보저장층을 갖는 정보 저장매체로서, 상기 각 정보저장층은 각각 최적의 기록조건을 얻기 위한 OPC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각 정보저장층에서 각 OPC 영역은, 광이 입사되는 방향으로부터 홀수 번째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과 이에 이웃하는 짝수 번째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이 접하지 않도록 엇갈려 배치되거나, 부분적으로 중첩되며 중첩된 부분의 사용을 제한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르면, 다층의 정보저장층을 갖는 정보저장매체에 있어서 각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이 서로 접하지 않도록 엇갈리게 배치됨으로써 각 OPC 영역에서 최적파워제어 수행시 다른 정보저장층에 OPC로 인한 영향이 미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정보저장매체{Information storage medium}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정보기록매체에 있어서 리드인 영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기록매체를 나타낸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정보기록매체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정보기록층에서의 기록방향이 동일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정보기록매체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정보기록층에서의 기록방향이 서로 다른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기록매체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보기록매체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정보기록매체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정보기록매체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정보기록매체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기록매체가 구현되는 광기록/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및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광기록/재생장치의 세부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기록가능한 정보저장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층의 정보저장층에 각각 구비되는 OPC(Optimal Power Control)에서의 최적파워제어 수행시 다른 정보저장층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저장매체는 비접촉식으로 정보를 기록/재생하는 광픽업장치의 정보기록매체로 널리 채용되며, 정보 저장매체의 한 종류인 광디스크는 정보기록용량에 따라 컴팩트 디스크(CD;compact disk),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digital versatile disk)로 구분된다. 그리고, 기록, 소거 및 재생이 가능한 광디스크로는 650MB CD-R, CD-RW, 4.7GB DVD+RW 등이 있다. 더 나아가 기록용량이 20GB 이상인 고밀도 DVD(HD-DVD)도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정보저장매체는 점점 기록 용량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다. 기록 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기록 광원의 파장을 단파장화하고, 대물렌즈의 개구수를 고개구수화하는 방법이 있다. 이밖에, 정보저장층을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하는 방법이 있다.
도 1a는 제1 정보저장층(L0)과 제2 정보저장층(L1)을 갖는 듀얼 레이어 정보저장매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각 정보저장층(L0, L1)에는 최적의 기록 파워를 구하기 위한 제1 및 제2 OPC 영역(111)(121)과 결함 관리를 위한 제1 및 제2 결함관리영역(DMA;Defect Management of Area)(115)(125)이 구비된다. 제1 및 제2 OPC 영역(111)(121)은 정보저장매체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즉, 내주 혹은 외주에 대하여 동일한 반경내에 위치한다.
상기 제1 및 제2 OPC 영역(111)(121)에서는 최적의 기록파워를 찾기 위해 여러가지 크기의 기록파워로 데이터를 기록한다. 따라서, 최적의 기록파워보다 높은 파워로 데이터가 기록될 수도 있다. 다음의 표 1은 제1 및 제2 정보저장층(L0, L1)의 OPC 영역(111)(121)에 기록파워를 달리하여 데이터를 기록할 때, 각 정보저장층(L0, L1)에서의 지터 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적정 기록파워 적정 기록파워보다 20% 높은 기록파워
LO 기록 미기록 후기록 기기록 후기록 기기록
L1 미기록 기록 기기록 후기록 기기록 후기록
지터 LO 5.9% 6.0% 5.8% 5.9%->6.4%
L1 6.3% 6.2% 6.3% 6.2%->6.3%
기록 파워 LO 6.4 6.3 6.3 7.5 6.4
L1 6.0 6.0 6.2 6.0 7.2
표 1에 의하면, 적정 기록파워로 데이터를 기록한 경우에는 제1 또는 제2 정보저장층(L0)(L1)에 대해 지터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 반해, 적정 기록파워보다 20% 정도 높은 기록파워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먼저 기록이 되어 있는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에 영향을 미쳐 지터 특성이 악화된다. 또한, 20% 보다 더 높은 기록파워로 기록을 하는 경우에는 다른 정보저장층의 지터 특성이 더욱 나 빠질 것이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OPC 영역(111)(121)이 제1 및 제2 정보저장층(L0, L1)에서 동일 반경 범위에 위치하면, 제1 및 제2 OPC 영역(111)(121)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OPC 영역(111)(121) 중 어느 하나의 기록 상태에 따라 나머지 다른 OPC 영역에서의 기록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OPC 영역(111)의 일부(111a)에 데이터가 기록되고, 나머지 부분(111b)에는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았을 때, 제2 OPC 영역(121)에서의 기록 특성이 상기 기록이 된 부분(111a)에 마주 보는 부분과 기록이 안된 부분(111b)에 마주보는 부분에서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다시 말하면, 기록이 된 부분(111a)과 기록이 안된 부분(111b)의 레이저광의 투과율이 다르기 때문에 제2 OPC 영역(121) 에서의 기록 특성이 부분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OPC 영역이 정보저장매체의 동일 반경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각 OPC 영역의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층의 정보저장층에 각각 구비되는 OPC 영역에서 최적파워제어 수행시 다른 정보저장층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정보저장매체, 그 기록방법 및 광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저장매체는 복수 개의 정보저장층을 갖는 정보저장매체로서, 상기 각 정보저장층은 각각 최적의 기록조건을 얻기 위한 OPC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각 정보저장층에서 각 OPC 영역은, 이웃하는 정보저장층에 있는 OPC 영역이 서로 다른 반경 범위내에 위치하며, 상기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에 인접하여 보류영역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저장매체는 복수개의 정보저장층을 갖는 정보 저장매체로서, 상기 각 정보저장층은 각각 최적의 기록조건을 얻기 위한 OPC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각 정보저장층에서 각 OPC 영역은, 광이 입사되는 방향으로부터 홀수 번째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과 이에 이웃하는 짝수 번째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이 소정 부분 접하면서 엇갈려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저장매체는 복수개의 정보저장층을 갖는 정보저장매체로서, 상기 각 정보저장층은 각각 최적의 기록조건을 얻기 위한 OPC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각 정보저장층에서 각 OPC 영역은, 광이 입사되는 방향으로부터 홀수 번째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과 이에 이웃하는 짝수 번째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이 상기 정보저장매체에서 동일한 반경 범위에 위치하며, 상기 홀수 번째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과 이에 이웃하는 짝수 번째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의 사용순서가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저장매체의 기록방법은 정보저장매체에서 제1 정보저장층의 제1 OPC 영역과 제2 정보저장층의 제2 OPC 영역 간의 갑섭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a) 상기 제1 및 제2 OPC 영역이 상기 제1 및 제2 정보저장층에서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1 및 제2 OPC 영역에서 데이터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기록하여 간섭을 최소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재생장치는 정보저장매체에 대하여 데이터를 기록 및 독출하는 광 픽업; 및 상기 정보저장매체에 대하여 데이터를 기록 및 독출하도록 상기 광 픽업을 제어하고, 최적 기록 파워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제1 OPC 영역과 제1 제한 사용영역을 포함하는 제1 정보저장층; 및 제2 OPC 영역과 제2 제한 사용영역을 포함하는 제2 정보저장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OPC 영역은 상기 제2 OPC 영역 및 제2 제한 사용영역과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상기 제2 OPC 영역은 상기 제1 OPC 영역 및 제1 제한 사용영역과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OPC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의 사용되지 않는 부분에 대응하는 다른 한 영역의 일부에서 상기 광 픽업에 의해 기록 혹은 독출되는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최적 기록 파워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저장매체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저장매체는, 도 2를 참조하면 적어도 2층의 정보저장층을 가지며, 각 정보저장층은 최적의 파워를 구하기 위한 OPC 영역을 포함하며, 각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은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서로 다른 반경범위에 배치된다. 각 정보저장층은 OPC 영역 이외에 보류영역, 및 결함관리를 위한 DMA 영역을 더 포함하거나, OPC 영역의 인접한 위치에 맵영역(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정보저장매체는 제1 및 제2 정보저장층(L0)(L1)을 구비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제1 정보저장층(L0)은 제1 OPC영역(211), 제1 보류영역(213), 및 제1 DMA영역(215)을 포함하고, 제2 정보저장층(L1)은 제2 보류영역(221), 제2 OPC영역(223), 및 제2 DMA영역(225)을 포함한다.
각 정보저장층(L0)(L1)에서의 제1 OPC영역(211)과 제2 OPC영역(223)은 정보저장매체의 서로 다른 반경 범위에서 서로 접하지 않도록 엇갈려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정보저장층(L1)에서 제1 OPC영역(211)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제2 예비영역(221)이 구비되며, 제1 정보저장층(L0)에서 제2 OPC영역(223)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제1 예비영역(213)이 구비된다.
한편, 제1 정보저장층(L0)의 제1 DMA영역(215)과 제2 정보저장층(L1)의 제2 DMA영역(225)은 정보저장매체의 동일한 반경 범위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각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에서 사용된 영역에 대한 어드레스가 리드인 영역의 소정 위치에 기록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정보저장매체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정보기록층에서의 기록방향 즉, OPC 영역의 사용순서가 동일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정보저장매체의 트랙 나선(track spiral) 방향에 상관없이 제1 및 제2 정보저장층(L0)(L1)이 모두 내주에서 외주로의 기록방향을 가지는 예로서, 이 에 따라 각 정보저장층(L0)(L1)의 OPC 영역(211)(223)에서도 내주에서 외주로의 기록방향에 따라서 데이터를 기록한다.
한편, 도 3b는 정보저장매체의 트랙 나선방향에 상관없이 제1 및 제2 정보저장층(L0)(L1)이 모두 외주에서 내주로의 기록방향을 가지는 예로서, 이에 따라 각 정보저장층(L0)(L1)의 OPC 영역(211)(223)에서도 외주에서 내주로의 기록방향에 따라서 데이터를 기록한다.
도 3a 및 도 3b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정보저장층(L0)(L1)에 각각 구비된 OPC 영역과 예비영역의 배치순서의 선후는 서로 바뀔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정보기록매체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정보기록층에서의 기록방향 즉, OPC 영역의 사용순서가 서로 다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정보저장매체의 트랙 나선방향에 상관없이 제1 정보저장층(L0)은 내주에서 외주, 제2 정보저장층(L1)은 외주에서 내주로의 기록방향을 가지는 예이다. 이에 따라 제1 정보저장층(L0)의 OPC 영역(211)은 내주에서 외주로의 기록방향에 따라서 데이터를 기록하고, 제2 정보저장층(L1)의 OPC 영역(223)은 외주에서 내주로의 기록방향에 따라서 데이터를 기록한다. 즉, 제1 및 제2 정보저장층(L0,L1)에서 서로 동일한 반경내에 존재하는 OPC 영역과 예비영역은 반대 방향으로 사용된다.
한편, 도 4b는 정보저장매체의 트랙 나선방향에 상관없이 제1 정보저장층(L0)은 외주에서 내주, 제2 정보저장층(L1)은 내주에서 외주로의 기록방향을 가지는 예이다. 이에 따라 제1 정보저장층(L0)의 OPC 영역(211)은 외주에서 내주로의 기록방향에 따라서 데이터를 기록하고, 제2 정보저장층(L1)의 OPC 영역(223)은 내주에서 외주로의 기록방향에 따라서 데이터를 기록한다. 즉, 제1 및 제2 정보저장층(L0,L1)에서 서로 동일한 반경내에 존재하는 OPC 영역과 예비영역은 반대 방향으로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도 4a 및 도 4b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정보저장층(L0)(L1)에 각각 구비된 OPC 영역과 예비영역의 배치순서의 선후는 서로 바뀔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저장매체를 나타낸 것으로서, 각 정보저장층에 있어서 OPC 영역이 서로 중첩되는 부분을 갖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사용할 가능성이 낮은 예비영역을 OPC 영역에 비하여 작게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PC 영역이 일부분 중첩되어 배치되는 경우에는 각 정보저장층(L0)(L1)에서 OPC 영역이 겹쳐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정보저장층(L0)(L1)에서 사용된 OPC 영역의 어드레스를 리드 인 영역 등에 기록하게 된다. 이때, 다양한 형식에 위해 OPC 영역의 어드레스를 기록할 수 있으며, 일예로는 비트맵 형식을 들 수 있다.
도 5a는 제1 정보저장층(L0)의 기록방향이 내주에서 외주, 제2 정보저장층(L1)의 기록방향이 외주에서 내주인 경우를 나타내며, 이때 제1 정보저장층(L0)은 제1 OPC영역(511), 제1 예비영역(513), 및 제1 DMA영역(515)을 포함하고, 제2 정보저장층(L1)은 제2 예비영역(521), 제2 OPC영역(523), 및 제2 DMA영역(525)을 포함한다.
각 정보저장층(L0)(L1)에서의 제1 OPC영역(511)과 제2 OPC영역(523)은 정보저장매체의 서로 다른 반경 범위에서 일부 중첩되는 부분을 가지도록 엇갈려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정보저장층(L1)에서 제1 OPC영역(511)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제2 예비영역(521)과 일부의 제2 OPC영역(523a)이 구비되며, 제1 정보저장층(L0)에서 제2 OPC영역(523)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일부의 제1 OPC영역(511a)과 제1 예비영역(513)이 구비된다.
도 5b는 제1 정보저장층(L0)의 기록방향이 외주에서 내주, 제2 정보저장층(L1)의 기록방향이 내주에서 외주인 경우를 나타내며, 이때 제1 정보저장층(L0)은 제1 예비영역(531), 제1 OPC영역(533), 및 제1 DMA영역(535)을 포함하고, 제2 정보저장층(L1)은 제2 OPC영역(541), 제2 예비영역(543), 및 제2 DMA영역(545)을 포함한다.
각 정보저장층(L0)(L1)에서의 제1 OPC영역(533)과 제2 OPC영역(541)은 정보저장매체의 서로 다른 반경 범위에서 일부 중첩되는 부분을 가지도록 엇갈려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정보저장층(L1)에서 제1 OPC영역(533)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일부의 제2 OPC영역(541a)과 제2 예비영역(543)이 구비되며, 제1 정보저장층(L0)에서 제2 OPC영역(541)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제1 예비영역(531)과 일부의 제1 OPC영역(533a)이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각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에서 사용된 영역에 대한 어드레스가 리드인 영역의 소정 위치, 예를 들면 디스크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에 기록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정보저장매체의 각 정보저장층(L0)(L1)에서 실제 사용가능한 OPC 영역은 각 정보저장층의 사용빈도 및 각 OPC 영역에서 사용된 영역에 대한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서 가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보기록매체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 및 제2 정보저장층(L0)(L1)에서 OPC 영역에서 사용된 섹터의 어드레스를 기록하기 위한 맵영역이 OPC 영역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각 정보저장층에서 맵영역을 OPC 영역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하면, 각 정보저장층에서 OPC를 수행하기 전에 OPC 영역에서 사용가능한 영역을 보다 빨리 찾을 수 있으므로 OPC 수행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6에 있어서, 제1 정보저장층(L0)은 제1 OPC 영역(611), 제1 맵영역(612), 제1 예비영역(613) 및 제1 DMA영역(615)을 구비하고, 제2 정보저장층(L1)은 제2 예비영역(621), 제2 맵영역(622), 제2 OPC 영역(623), 및 제2 DMA영역(625)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맵영역(612)(622)와, 제1 및 제2 DMA영역(615)(625)는 정보저장매체의 동일한 반경 범위에 배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정보저장매체에 있어서도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정보저장층(L0)(L1)에서 OPC 영역의 기록방향을 동일하게 하거나,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정보저장층(L0)(L1)에서 OPC 영역의 기록방향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정보기록매체를 나타낸 것으로서, 각 정보저장층(L0)(L1)에서의 OPC영역(711)(723)이 정보저장매체의 동일한 반경 범위 에 배치되고, 각 정보저장층에서의 기록방향을 서로 다르게 설정한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각 정보저장층(L0)(L1)은 제1 및 제2 DMA 영역(715)(725)를 포함한다. 도 7에서는 제1 정보저장층(L0)에서의 기록방향이 내주에서 외주, 제2 정보저장층(L1)에서의 기록방향이 외주에서 내주인 예를 도시하였으나, 그 반대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때, 각 정보저장층(L0)(L1)의 OPC 영역이 정보저장매체에서 서로 동일한 반경 범위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각 정보저장층(L0)(L1)에서 OPC 영역이 겹쳐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정보저장층(L0)(L1)에서 사용된 OPC 영역의 어드레스를 리드 인 영역 등에 기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정보저장층(L0)(L1)에서 각 OPC영역이 정보저장매체의 동일한 반경 범위에 배치되더라도 기록방향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면, 각 OPC 영역에서의 데이터 기록시 마주치게 되는 어드레스 'a'까지는 각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을 일정 부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정보저장매체의 각 정보저장층(L0)(L1)에서 실제 사용가능한 OPC 영역은 각 정보저장층의 사용빈도 및 각 OPC 영역에서 사용된 영역에 대한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서 가변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작은 크기에 대용량의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모바일용 정보저장매체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정보기록매체를 나타낸 것으로서, 내주와 외주의 기록특성이 다를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데이터영역(820)의 양쪽에 위치하는 리드인 영역(810)과 리드아웃 영역(830)에 모두 OPC 영역을 배치한 것이다. 제1 및 제2 정보저장층(L0)(L1)에 있어서 리드인 영역(810)의 OPC 영역(811)(817)과 리드아웃 영역(830)의 OPC 영역(833)(835)을 배치하는 방법으로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구조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정보기록매체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저장매체의 서로 동일 반경 범위에 위치하면서 기록방향이 서로 반대인 OPC 영역을 리드인 영역(910)과 리드아웃 영역(930)에 모두 배치한 것이다. 리드인 영역(910)과 리드아웃 영역(930)은 데이터 영역(920)의 양측에 배치되며, 데이터 영역(920)은 제1 및 제2 정보저장층(L0)(L1)에 대하여 제1 및 제2 데이터영역(921)(923)을 포함한다.
도 10은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정보기록매체가 구현되는 광기록/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기록/독출부(1000) 및 제어부(10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록/독출부(1000)는 제어부(1000)로부터 제공되는 커맨드에 따라서 정보저장매체(130)의 기록 및 독출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정보저장매체(130)는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다수의 실시예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002)는 최적 기록 파워를 결정하고, 기록/독출부(1000)의 기록 및 독출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정보저장매체(130)에서 제1 정보저장층의 제1 OPC 영역과 제2 정보저장층의 제2 OPC 영역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록/독출부(1000)는 제어부(1002)의 제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저장매체인 디스크(13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데이터를 독출한다. 제어부(1002)는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를 소정 기록 단위 블럭으로 기록하도록 기록/독출부(1000)를 제어하거나 기록/독출부(1000)에 의해 독출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유효한 데이터를 얻어낸다. 재생은 읽어들인 데이터를 에러 정정하여 유효한 데이터를 얻어내는 것을 의미하며, 소정 단위로 수행된다. 재생이 수행되는 단위를 기록 단위 블럭에 대응하여 재생 단위 블럭이라고 한다. 재생 단위 블럭은 적어도 하나의 기록 단위 블럭에 대응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광기록/재생장치의 세부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정보저장매체(130)는 기록/독출부(1000)로 로드된다. 광기록/재생장치는 기록/독출부(1000)로서 광 픽업(1100)을 구비한다. 정보저장매체(130)는 픽업(1100)에 장착되어 있다. 제어부(1002)로서 PC I/F(1101), DSP(1102), RF AMP(1103), 서보(1104) 및 시스템 제어부(1105)를 구비한다.
기록시, PC I/F(1101)는 호스트(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기록할 데이터와 함께 기록 명령을 받는다. 시스템 제어부(1105)는 기록에 필요한 초기화를 수행한다. DSP(1102)는 PC I/F(1101)로 받은 기록할 데이터를 에러 정정을 위해 패리티 등 부가 데이터를 첨가하고 ECC 인코딩을 수행하여, 에러 정정 블록인 ECC 블록을 생성한 다음 이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변조한다. 여기서, ECC 블록의 크기에 미달되는 양의 데이터를 기록하고자 할 경우에는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를 패딩하여 ECC 블록을 만든다. 픽업(1100)은 RF AMP(1103)로부터 출력된 RF 신호를 정보저장매체(130)에 기록한다. 서보(1104)는 시스템 제어부(1105)로부터 서보 제 어에 필요한 명령을 입력받아 픽업(1100)을 서보 제어한다.
재생시, PC I/F(1101)는 호스트(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재생 명령을 받는다. 시스템 제어부(1105)는 재생에 필요한 초기화를 수행한다. 픽업(1100)은 정보저장매체(130)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고 정보저장매체(13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여 얻어진 광 신호를 출력한다. RF AMP(1103)는 픽업(1100)으로부터 출력된 광 신호를 RF 신호로 바꾸고 RF 신호로부터 얻어진 변조된 데이터를 DSP(1102)로 제공하는 한편, RF 신호로부터 얻어진 제어를 위한 서보 신호를 서보(1104)로 제공한다. DSP(1102)는 변조된 데이터를 복조하고 ECC 에러 정정을 거쳐 얻어진 데이터를 출력한다. 일부에만 유효한 데이터가 기록된 ECC 블록의 경우 패딩 정보를 참조하여 유효한 데이터만을 재생한다.
한편, 서보(1104)는 RF AMP(1103)로부터 받은 서보 신호와 시스템 제어부(1105)로부터 받은 서보 제어에 필요한 명령을 받아 픽업(1100)에 대한 서보 제어를 수행한다. PC I/F(1101)는 DSP(1102)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호스트로 보낸다.
상기 예를 든 구조는 각 정보저장층에서의 트랙 나선방향이 내주에서 외주 또는 외주에서 내주로 향하는 모든 경우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다층의 정보저장층을 갖는 정보저장매체의 경우 재생이 먼저 되는 층이 픽업에서 가장 먼 경우 또는 픽업에서 가장 가까운 경우 모두에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CD-R, CD-RW, DVD+RW, HD-DVD, BD(Bluray), AOD(Advanced Optical Disc)와 같은 정보저장매체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2층의 정보저장층을 갖는 듀얼 레이어 정보저장매체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3층 이상의 정보저장층을 갖는 정보저장매체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층의 정보저장층을 갖는 정보저장매체에 있어서 각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이 서로 접하지 않도록 엇갈리게 배치됨으로써 각 OPC 영역에서 최적파워제어 수행시 다른 정보저장층에 OPC로 인한 영향이 미치지 않게 된다.
또한, 다층의 정보저장층을 갖는 정보저장매체에 있어서 각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이 일정 부분 중첩되면서 엇갈리게 배치되고, 각 정보저장층에서 OPC 영역의 사용순서를 서로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각 OPC 영역에서 최적파워제어 수행시 다른 정보저장층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다층의 정보저장층을 갖는 정보저장매체에 있어서 각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이 정보저장매체의 동일한 반경 범위에 배치되고, 각 정보저장층에서 OPC 영역의 사용순서를 서로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각 OPC 영역에서 최적파워제어 수행시 다른 정보저장층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45)

  1. 복수개의 정보저장층을 갖는 정보 저장매체로서,
    상기 각 정보저장층은 각각 최적의 기록조건을 얻기 위한 OPC 영역을 포함하 며, 홀수번째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과 이에 이웃하는 짝수번째 정보저장층에 있는 OPC 영역이 서로 다른 반경 범위내에 위치하며, 상기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에 인접하여 보류영역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정보저장매체에서 동일한 반경 범위에 위치하며, 상기 OPC 영역의 정보를 저장하는 맵영역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의 정보는 리드인 영역에서 디스크 관련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수 번째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과 이에 이웃하는 짝수 번째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의 사용순서가 서로 같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수 번째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과 이에 이웃하는 짝수 번째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의 사용순서가 서로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6. 제 4항 혹은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OPC 영역의 사용순서는 각 정보저장층의 트랙나선방향과 동일하거나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7. 제 4항 혹은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OPC 영역은 리드인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8. 복수개의 정보저장층을 갖는 정보 저장매체로서,
    상기 각 정보저장층은 각각 최적의 기록조건을 얻기 위한 OPC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각 정보저장층에서 각 OPC 영역은, 홀수 번째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과 이에 이웃하는 짝수 번째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이 소정 부분 접하면서 엇갈려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에 인접하여 보류영역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OPC 영역의 사이즈는 상기 보류영역의 사이즈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정보저장매체에서 동일한 반경 범위에 위치하며, 상기 OPC 영역의 정보를 저장하는 맵영역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의 정보는 리드인 영역에서 디스크 관련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홀수 번째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과 이에 이웃하는 짝수 번째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의 사용순서가 서로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14. 제 8항에 있어서, 각 정보저장층의 각 OPC 영역에서 사용가능한 영역의 사이즈는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OPC 영역은 리드인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16. 복수개의 정보저장층을 갖는 정보저장매체로서,
    상기 각 정보저장층은 각각 최적의 기록조건을 얻기 위한 OPC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각 정보저장층에서 각 OPC 영역은, 홀수 번째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과 이에 이웃하는 짝수 번째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이 상기 정보저장매체에서 동일한 반경 범위에 위치하며, 상기 홀수 번째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과 이에 이웃하는 짝 수 번째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의 사용순서가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17. 제 16항에 있어서, 각 정보저장층의 각 OPC 영역에서 사용가능한 영역의 사이즈는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의 정보는 리드인 영역에서 디스크 관련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OPC 영역은 리드인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20. 제1 OPC 영역과 상기 제1 OPC 영역에 인접한 제1 예비영역을 포함하는 제1 정보저장층; 및
    상기 제1 정보저장층에 인접하며, 제2 OPC 영역과 상기 제2 OPC 영역에 인접한 제2 예비영역을 포함하는 제2 정보저장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OPC 영역은 그 반경이 상기 제2 예비영역 및 제2 OPC 영역과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상기 제2 OPC 영역은 그 반경이 상기 제1 예비영역 및 제1 OPC 영역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저장매체.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OPC 영역의 사이즈는 상기 제1 및 제2 예비영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저장매체.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OPC 영역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저장매체.
  23.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OPC 영역에서 기록되는 부분에 대한 제1 어드레스와 상기 제2 OPC 영역에서 기록되는 부분에 대한 제2 어드레스는 상기 정보저장매체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저장매체.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OPC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부분은 최적파워기록 제어 과정동안 기록되지 않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저장매체.
  25.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어드레스는 상기 정보저장매체의 리드 인 영역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저장매체.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어드레스는 비트맵 형식으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저장매체.
  27.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어드레스는 상기 정보저장매체의 리드 아웃 영역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저장매체.
  28.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저장층에 제1 DMA 영역, 상기 제2 정보저장층에 제2 DMA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DMA 영역은 상기 정보저장매체에서 동일한 반경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DMA 영역은 상기 제2 OPC 영역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저장매체.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OPC 영역에서 데이터가 기록되는 섹터의 어드레스를 저장하며, 상기 제1 정보저장층에서 상기 제1 OPC 영역과 제1 예비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맵영역; 및
    상기 제2 OPC 영역에서 데이터가 기록되는 섹터의 어드레스를 저장하며, 상기 제2 정보저장층에서 상기 제2 OPC 영역과 제2 예비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맵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맵영역은 동일 반경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저장매체.
  30.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저장층에 위치하는 제3 OPC 영역과 상기 제3 OPC 영역과 인접한 제3 예비영역; 및
    상기 제2 정보저장층에 위치하는 제4 OPC 영역과 상기 제4 OPC 영역과 인접한 제4 예비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OPC 영역은 상기 제4 OPC 영역 및 제4 예비영역과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상기 제4 OPC 영역은 상기 제3 OPC 영역 및 제3 예비영역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저장매체.
  31.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OPC 영역과 제1 및 제2 예비영역은 상기 정보저장매체의 리드 인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및 제4 OPC 영역과 제3 및 제4 예비영역은 상기 정보저장매체의 리드 아웃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저장매체.
  32.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OPC 영역은 상기 제2 및 제4 OPC 영역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저장매체.
  33. 제1 OPC 영역과 상기 제1 OPC 영역에 인접한 제1 DMA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정보저장층; 및
    상기 제1 정보저장층에 인접하며, 제2 OPC 영역과 상기 제2 OPC 영역에 인접한 제2 DMA 영역을 포함하는 제2 정보저장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OPC 영역은 동일 반경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DMA 영역은 동일 반경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OPC 영역에서 상기 제2 OPC 영역의 사용되지 않는 부분에 대응하는 제1 영역이 사용가능하며, 상기 제2 OPC 영역에서 상기 제1 OPC 영역의 사용되지 않는 부분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이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저장매체.
  34.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OPC 영역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저장매체.
  35. 제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OPC 영역의 제1 어드레스와 상기 제2 OPC 영역의 제2 어드레스에 상응하는 가변지점은 상기 제1 영역의 끝 부분과 상기 제2 영역의 끝 부분을 나타내고, 상기 제1 및 제2 어드레스는 상기 정보저장매체의 반경 방향을 따라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저장매체.
  36. 제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의 사이즈는 상기 제1 및 제2 정보저장층의 사용빈도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저장매체.
  37.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저장층에 위치하는 제3 OPC 영역; 및
    상기 제3 OPC 영역과 동일 반경내에 위치하는 제4 OPC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OPC 영역에서 상기 제4 OPC 영역의 사용되지 않는 부분에 대응하는 제1 영역이 사용가능하며, 상기 제4 OPC 영역에서 상기 제3 OPC 영역의 사용되지 않는 부분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이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저장매 체.
  38. 정보저장매체에서 제1 정보저장층의 제1 OPC 영역과 제2 정보저장층의 제2 OPC 영역 간의 갑섭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a) 상기 제1 및 제2 OPC 영역이 상기 제1 및 제2 정보저장층에서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1 및 제2 OPC 영역에서 데이터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기록하여 간섭을 최소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의 기록방법.
  39. 제3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제1 OPC 영역에서 상기 제2 OPC 영역의 사용되지 않는 부분에 대응하는 제1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및
    (b2) 상기 제2 OPC 영역에서 상기 제1 OPC 영역의 사용되지 않는 부분에 대응하는 제2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의 기록방법.
  40. 정보저장매체에 대하여 데이터를 기록 및 독출하는 광 픽업; 및
    상기 정보저장매체에 대하여 데이터를 기록 및 독출하도록 상기 광 픽업을 제어하고, 최적 기록 파워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제1 OPC 영역과 제1 제한 사용영역을 포함하는 제1 정보저장층; 및
    제2 OPC 영역과 제2 제한 사용영역을 포함하는 제2 정보저장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OPC 영역은 상기 제2 OPC 영역 및 제2 제한 사용영역과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상기 제2 OPC 영역은 상기 제1 OPC 영역 및 제1 제한 사용영역과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OPC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의 사용되지 않는 부분에 대응하는 다른 한 영역의 일부에서 상기 광 픽업에 의해 기록 혹은 독출되는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최적 기록 파워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재생장치.
  41. 제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OPC 영역에서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재생장치.
  42. 정보저장매체에 대하여 데이터를 기록 및 독출하는 광 픽업; 및
    상기 정보저장매체에 대하여 데이터를 기록 및 독출하도록 상기 광 픽업을 제어하고, 최적 기록 파워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저장매체에서 각 정보저장층은 각각 최적의 기록조건을 얻기 위한 OPC 영역을 포함하며, 홀수번째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과 이에 이웃하는 짝수번째 정보저장층에 있는 OPC 영역이 서로 다른 반경 범위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혹은 제2 OPC 영역에서 상기 광 픽업에 의해 기록 혹은 독출되는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최적 기록 파워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재생장치.
  43. 제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OPC 영역에서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재생장치.
  44. 제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OPC 영역에서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재생장치.
  45. 정보저장매체에 대하여 데이터를 기록 및 독출하는 광 픽업; 및
    상기 정보저장매체에 대하여 데이터를 기록 및 독출하도록 상기 광 픽업을 제어하고, 최적 기록 파워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저장매체에서 각 정보저장층은 각각 최적의 기록조건을 얻기 위한 OPC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각 정보저장층에서 각 OPC 영역은, 홀수 번째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과 이에 이웃하는 짝수 번째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이 상기 정보저장매체에서 동일한 반경 범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수 번째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과 이에 이웃하는 짝수 번째 정보저장층의 OPC 영역에서 데이터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기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재생장치.
KR1020040049039A 2003-06-28 2004-06-28 정보저장매체 KR100561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996 2003-06-28
KR20030042996 2003-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586A KR20050002586A (ko) 2005-01-07
KR100561436B1 true KR100561436B1 (ko) 2006-03-17

Family

ID=36140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039A KR100561436B1 (ko) 2003-06-28 2004-06-28 정보저장매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2) US7327650B2 (ko)
EP (1) EP1639586A4 (ko)
JP (1) JP4942478B2 (ko)
KR (1) KR100561436B1 (ko)
CN (5) CN101030417B (ko)
HK (5) HK1108202A1 (ko)
MY (2) MY141026A (ko)
TW (1) TWI273573B (ko)
WO (1) WO20050018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1666B2 (ja) 2002-01-22 2008-06-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
KR100677108B1 (ko) 2003-06-12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저장매체
TWI273573B (en) * 2003-06-28 2007-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storage medium,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izing interference
US7286454B2 (en) * 2003-06-30 2007-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storage medium
JP4395477B2 (ja) * 2003-10-03 2010-01-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並びに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
US7385891B2 (en) * 2004-03-03 2008-06-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 medium, and an apparatus to record/reproduce data on/from a portion of the medium through which a test beam is passed while determining an optimum power
CN101188122B (zh) * 2004-04-09 2011-08-24 日本胜利株式会社 信息记录介质及信息记录介质的记录方法
KR100677114B1 (ko) * 2004-04-27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저장 매체, 이 정보 저장 매체의 데이터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KR100755422B1 (ko) * 2004-07-05 2007-09-04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JP2006040377A (ja) * 2004-07-26 2006-02-09 Toshiba Corp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記録方法
KR101053616B1 (ko) * 2004-09-13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 기록매체의 기록방법과 기록장치
US7535807B2 (en) * 2004-09-24 2009-05-19 Qisda Corporation Method for implementing optimal recording power for multi-session recordable optical media in an optical disc drive
ATE448543T1 (de) * 2004-09-28 2009-11-15 Panasonic Corp Optische platte und optische plattenvorrichtung
KR100667766B1 (ko) * 2004-10-23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KR20060082513A (ko) * 2005-01-12 2006-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의 기록방법과 기록장치
TWI358063B (en) * 2005-01-14 2012-02-11 Pioneer Corp Recording medium,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
US8738707B2 (en) * 2005-01-21 2014-05-27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Limited-life electronic mail accounts
JP2006268889A (ja) * 2005-03-22 2006-10-05 Victor Co Of Japan Ltd 光情報記録装置
JP3895354B2 (ja) * 2005-05-26 2007-03-22 株式会社リコー 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KR20070003511A (ko) * 2005-06-30 2007-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JP2008016073A (ja) * 2006-06-30 2008-01-24 Toshiba Corp 追記型情報記録媒体及びディスク装置
US20080117754A1 (en) * 2006-11-20 2008-05-22 Chih-Ching Yu Calibration method for Optimum Power Control (OPC) of laser write strategy in an optical storage device
JP2008146765A (ja) * 2006-12-12 2008-06-26 Funai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US8117478B2 (en) * 2006-12-29 2012-02-14 Intel Corporation Optimizing power usage by processor cores based on architectural events
JP2019164871A (ja) * 2018-03-20 2019-09-26 株式会社東芝 磁気ディスク装置及び磁気ディスク装置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6153B1 (en) * 1991-10-11 2007-10-23 Hitachi, Ltd. Three-dimensio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3249031B2 (ja) * 1995-06-01 2002-01-21 株式会社リコー 光情報記録再生方法
DE69938855D1 (de) 1998-10-21 2008-07-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sches Informationsaufzeichnungsmedium, Verfahren und Gerät zur Aufzeichnung und Wiedergabe
BR9906801A (pt) 1998-11-09 2000-10-1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Processo e aparelho gravador para gravar informações opticamente graváveis
JP2000195054A (ja) 1998-12-24 2000-07-14 Ricoh Co Ltd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3856980B2 (ja) * 1999-03-31 2006-12-13 株式会社東芝 情報記録再生装置
JP3486165B2 (ja) * 2000-10-24 2004-01-13 株式会社東芝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CA2658113C (en) * 2000-09-13 2011-06-14 Panasonic Corporatio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US20020136122A1 (en) * 2001-03-21 2002-09-26 Kazuhiko Nakano Optical information record medium, method of recording information on optical information record medium,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US6845071B2 (en) * 2001-03-28 2005-01-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apparatus and recording power determining method thereof
JP3869743B2 (ja) * 2001-03-28 2007-01-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記録パワー決定方法及び記録パワー決定装置
KR100923654B1 (ko) * 2001-04-17 2009-10-28 파나소닉 주식회사 광 디스크 및 그것을 사용한 정보 기록/재생 장치
KR101121968B1 (ko) * 2002-01-22 2012-03-13 파나소닉 주식회사 다층 정보 기록 매체, 기록 방법, 및 재생 방법
JP4101666B2 (ja) * 2002-01-22 2008-06-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
JP4322105B2 (ja) * 2002-12-20 2009-08-26 三菱化学メディア株式会社 光記録媒体の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KR100677108B1 (ko) * 2003-06-12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저장매체
TWI273573B (en) 2003-06-28 2007-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storage medium,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izing interference
US7286454B2 (en) 2003-06-30 2007-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storage medium
JP4395477B2 (ja) * 2003-10-03 2010-01-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並びに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
JP2005174527A (ja) * 2003-11-21 2005-06-30 Ricoh Co Ltd 記録方法、記録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05285254A (ja) * 2004-03-30 2005-10-13 Mitsubishi Electric Corp 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55943B2 (en) 2008-04-08
US20080013422A1 (en) 2008-01-17
US7440368B2 (en) 2008-10-21
HK1086934A1 (en) 2006-09-29
US7408864B2 (en) 2008-08-05
HK1108202A1 (en) 2008-05-02
CN100454397C (zh) 2009-01-21
US7257064B2 (en) 2007-08-14
CN101030407A (zh) 2007-09-05
US20080181069A1 (en) 2008-07-31
CN100481215C (zh) 2009-04-22
US20060203652A1 (en) 2006-09-14
US7466641B2 (en) 2008-12-16
EP1639586A4 (en) 2008-08-06
WO2005001825A1 (en) 2005-01-06
US20060203653A1 (en) 2006-09-14
US7492681B2 (en) 2009-02-17
JP4942478B2 (ja) 2012-05-30
HK1108204A1 (en) 2008-05-02
MY141026A (en) 2010-02-25
CN101030398A (zh) 2007-09-05
HK1108201A1 (en) 2008-05-02
US7257065B2 (en) 2007-08-14
JP2007521607A (ja) 2007-08-02
CN101030417A (zh) 2007-09-05
US20050270935A1 (en) 2005-12-08
CN100511446C (zh) 2009-07-08
MY142139A (en) 2010-09-30
US20050013223A1 (en) 2005-01-20
US7426162B2 (en) 2008-09-16
US7496013B2 (en) 2009-02-24
US7327650B2 (en) 2008-02-05
CN101030418A (zh) 2007-09-05
HK1108203A1 (en) 2008-05-02
US7522500B2 (en) 2009-04-21
TWI273573B (en) 2007-02-11
US20080181068A1 (en) 2008-07-31
US20070263508A1 (en) 2007-11-15
US7327652B2 (en) 2008-02-05
EP1639586A1 (en) 2006-03-29
CN1745419A (zh) 2006-03-08
US20080094973A1 (en) 2008-04-24
US20080013421A1 (en) 2008-01-17
US20070258342A1 (en) 2007-11-08
TW200509093A (en) 2005-03-01
KR20050002586A (ko) 2005-01-07
CN101030417B (zh) 2010-05-19
US20060203654A1 (en) 2006-09-14
CN101030418B (zh) 201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7922B1 (ko) 정보저장매체
KR100561436B1 (ko) 정보저장매체
US7518962B2 (en) Method of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with respect to a multi-layer information storage medium having optimal power control are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