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2435A - 코크스 오븐 연소실의 연소가스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코크스 오븐 연소실의 연소가스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2435A
KR20030092435A KR1020020030081A KR20020030081A KR20030092435A KR 20030092435 A KR20030092435 A KR 20030092435A KR 1020020030081 A KR1020020030081 A KR 1020020030081A KR 20020030081 A KR20020030081 A KR 20020030081A KR 20030092435 A KR20030092435 A KR 20030092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gas
combustion
coke oven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2162B1 (ko
Inventor
김부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30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162B1/ko
Publication of KR20030092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1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1/00Heating of coke ovens with combustible gases
    • C10B21/10Regulating and controlling the combus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7/00Arrangements for withdrawal of the distillation ga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 연소실의 연소가스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루(flue)를 통하여 코크스 오븐 연소실로 공급되는 연소공기 및 연료를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코크스 오븐 연소실의 연소가스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코크스 오븐 연소실(7)에 공기와 연료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노즐 피스(13)가 설치된 노즐 플레이트(10)의 단부에 연결되는 지지판(31)과, 그 지지판(31)의 상부에 소정간격 유지되게 설치되고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공(33)이 형성된 복수개의 분리판(32)으로 이루어진 연소가스 배출수단(30); 상기 연소가스 배출수단(30) 측으로 연소가스를 유도시킬 수 있도록 연소가스 배출수단(30)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저면에 바퀴(22)가 구비된 베이스(21)와, 상기 베이스(21)의 상면에 설치된 지지봉(23)을 매개로 고정된 복수개의 유도판(24)으로 이루어진 연소가스 유도수단(20)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코크스 오븐 연소실의 연소가스 유도장치{Fire gases induction apparatus of coke oven coking chamber}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 연소실의 연소가스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루(flue)를 통하여 코크스 오븐 연소실로 공급되는 연소공기 및 연료를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코크스 오븐 연소실의 연소가스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건류에 필요한 열원은 BFG와 COG의 혼합가스 또는 COG를 사용하고 있으며, 통상 혼합가스를 주로 공급하여 연소를 행하고 있고, 상기 혼합가스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 분배부(1)에서 오리피스 플레이트(Orifice Plate)(2), 가스분배박스(3), 안내인입박스(4), 솔플루(Sole Flue)(5), 노즐플레이트(Nozzle Plate)(10)를 통하여 축열실(7)로 공급되어지고, 연소실(8)에서 연소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코크스 오븐의 온도관리는 중앙 플루온도의 평균온도를 관리하게 되는 열간온도관리와, 1개 로의 전체 플루의 온도구배(Taper)를 관리하는 노내 온도관리로 나뉘어 관리되어진다.
한편, 혼합가스 도 3에 나타낸 노즐 플레이트(Nozzle Plate)(10)를 통하여 공급되는 것으로서, 상기 노즐 플레이트(10)에는 복수개의 노즐 피스(Piece)(13)가 형성되어 있고 그 노즐 플레이트(10)의 일 측에는 연결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연결부(11)에는 또 다른 노즐 플레이트(10)를 연결하기 위해서 연결핀(1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 피스(13)의 크기는 푸셔사이드측(Pusher Side)의 크기는 작게하여 연소가스의 공급량을 줄이고 코크사이드측(Coke Side)에 가까울수록 노즐 피스(13)의 크기를 크게하여 공급량을 늘려 코크스오븐의 테이퍼(Taper)에 맞게 적정 연소열량을 얻도록 구성되어있다.
그러나 종래의 플루는 연소설비의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연소가스가 공급되는 공급측에서 발생되는 급격히 확대된 공간으로 인하여 국부적인 정압강화 현상과 푸셔사이드측(P/S : Pusher Side)에서 -15mmH2O정도의 압력으로 폐가스를 배출함으로서 상대적으로 코크사이드측(C/S : Coke Side)에 가까울수록 가스공급이 줄어들게 되면서 플루의 끝단부에 설치된 #31, #32 플루의 하부측은 와류현상이 발생되면서 연소실(8)로 공급되는 혼합가스의 양이 줄어 연소열이 줄게되었다.
이로 인하여 코크스로온이 하락하게 되어, 건류불량이 발생되었으며 압출막힘 또는 압출시 환경공해를 유발하며 코크스 품질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플루 끝단부의 온도상승을 위해 혼합가스의 공급량을 증가 시키므로써 소비열량의 증가로 에너지원단위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며 국부 과열발생으로 인한 로체 연와의 형상을 변화시켜 로체수명을 단축시키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플루의 끝단부에 설치된 #31, #32 플루 하부측에 발생되는 정압강하와 와류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소가스 공급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연소가스 유도장치를 내장하여 연소열량을 증가시킴으로서 건류불량, 품질저하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코크스 오븐연소실의 연소가스 유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코크스 오븐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일반적인 코크스 오븐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연소가스 유도용 노즐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가스 유도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가스 유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가스 유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연소실10 : 노즐 플레이트
13 : 노즐 피스20 : 연소가스 유도수단
21 : 베이스22 : 바퀴
23 : 지지봉24 : 유도판
24a : 절곡편30 : 연소가스 배출수단
31 : 지지판32 : 분리판
33 : 배출공34 : 분리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코크스 오븐 연소실의 연소가스 유도장치는 코크스 오븐 연소실에 공기와 연료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노즐 피스가 설치된 노즐 플레이트의 단부에 연결되는 지지판과, 그 지지판의 상부에 소정간격 유지되게 설치되고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분리판으로 이루어진 연소가스 배출수단; 상기 연소가스 배출수단 측으로 연소가스를 유도시킬 수 있도록 연소가스 배출수단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저면에 바퀴가 구비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된 지지봉을 매개로 고정된 복수개의 유도판으로 이루어진 연소가스 유도수단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가스 유도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연소가스 배출수단(30)과 그 연소가스 배출수단(30)으로 연소가스를 유도하는 연소가스 유도수단(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연소가스 배출수단(30)에는 상기 노즐 플레이트(10)에 연결되는 지지판(31)이 설치되어 있고, 그 지지판(31)의 상부에는 소정간격 유지되게 분리판(32)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분리판(32)에는 연소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배출공(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판(32)의 상면에는 배출공(33)을 통하여 배출되는 연소가스가 상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분리벽(34)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31)의 저면에는 연소가스 배출수단(30)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휠(35)을 설치 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연소가스 유도수단(20)에는 베이스(21)의 저면에 바퀴(2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21)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지지봉(23)이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봉(23)에는 복수개의 유도판(24)이 소정간격 유지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도판(24)은 연소가스를 연소가스 배출수단(30)으로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유도판(24)의 일단은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부로 향할수록 점점 길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도판(24)의 타단부는 연소가스를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선단부가 상부로 향하는 절곡편(24a)이 만곡부를 갖으며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노즐 플레이트(10)의 끝단부에 연소가스 배출수단(30)을 연결하고 상기 노즐 플레이트(10)를 이동시키면 연소가스 배출수단(30)은 그 저면에 설치된 휠(35)이 회전되면서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연소가스 배출수단(30)을 플루의 끝단부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연소가스 배출수단(30)의 하부에 위치되게 연소가스유도수단(20)을 이동시키는 것이며, 상기 연소가스 유도수단(20)은 저면에 설치된 바퀴(22)가 회전되면서 이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소가스가 공급되면 그 연소가스는 연소가스 유도수단(20)에 설치된 복수개의 유도판(24)에 유도되어 일부는 상측으로 유도되고 나머지 연소가스는 노즐 플레이트(10)를 통하여 상부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유도판(24)은 소정거리 유지되게 복수매 설치되어 있고 그 유도판(24)의 타측 단부는 상부로 향하도록 만곡 형성된 절곡편(24a)을 따라서 연소가스 배출수단(30)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소가스 배출수단(30)으로 이동된 연소가스는 그 연소가스 배출수단(30)의 분리판(32)에 형성된 배출공(33)을 통하여 상부로 배출되는 것이며, 상기 배출공(33)을 통하여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분리판(32)의 상면에 설치된 분리벽(34)에 안내를 받으면서 상부로 이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플루의 끝단부로 연소가스 공급량이 증가되므로 플루 하부측에 정압강하와 와류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플루의 끝단부로 연소가스를 유도하여 공급량을 증가시키게 되므로 정압강하 및 와류현상이 해소됨에 따라 연소열량을 증가되어 건류불량 및 품질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코크스 오븐 연소실(7)에 공기와 연료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노즐 피스(13)가 설치된 노즐 플레이트(10)의 단부에 연결되는 지지판(31)과, 그 지지판(31)의 상부에 소정간격 유지되게 설치되고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공(33)이 형성된 복수개의 분리판(32)으로 이루어진 연소가스 배출수단(30);
    상기 연소가스 배출수단(30) 측으로 연소가스를 유도시킬 수 있도록 연소가스 배출수단(30)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저면에 바퀴(22)가 구비된 베이스(21)와, 상기 베이스(21)의 상면에 설치된 지지봉(23)을 매개로 고정된 복수개의 유도판(24)으로 이루어진 연소가스 유도수단(2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연소실의 연소가스 유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배출수단(30)의 상면에는 연소가스가 분산되게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분리벽(34)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연소실의 연소가스 유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유도수단(20)에 설치된 유도판(24)의 타단은 하부보다 상부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상부로 향하는 절곡편(24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연소실의 연소가스 유도장치.
KR1020020030081A 2002-05-29 2002-05-29 코크스 오븐 연소실의 연소가스 유도장치 KR100812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081A KR100812162B1 (ko) 2002-05-29 2002-05-29 코크스 오븐 연소실의 연소가스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081A KR100812162B1 (ko) 2002-05-29 2002-05-29 코크스 오븐 연소실의 연소가스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435A true KR20030092435A (ko) 2003-12-06
KR100812162B1 KR100812162B1 (ko) 2008-03-12

Family

ID=32385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081A KR100812162B1 (ko) 2002-05-29 2002-05-29 코크스 오븐 연소실의 연소가스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216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6430A (ja) * 1984-03-30 1985-10-18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クス炉排ガスの脱硝方法
PL171012B1 (pl) * 1993-07-08 1997-02-28 Waclaw Borszynski Uklad do mokrego oczyszczania spalin z procesów spalania, korzystnie wegla, koksu,oleju opalowego PL
JPH07126646A (ja) * 1993-10-28 1995-05-16 Nippon Steel Corp コークス炉ガイド側の集塵装置
KR200282918Y1 (ko) * 1998-07-23 2002-11-18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오븐 탄화실의 가스 유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2162B1 (ko) 200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TO970785A1 (it) Dispositivo pe regolare l'alimentazione di un gas e per regolare una pressione di lavoro ad un dispositivo di cottura a gas con bru-
FI92522C (fi) Voimalaitos, jossa polttoaine poltetaan leijupedissä
US8505471B2 (en) Burning equipment
KR100812162B1 (ko) 코크스 오븐 연소실의 연소가스 유도장치
RU2286512C2 (ru) Печь для котла-утилизатора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одачи вторичного воздуха
FI125314B (fi) Menetelmä typenoksidipäästöjen ja korroosion vähentämiseksi kerrosleijukattilassa ja kerrosleijukattila
KR20120107469A (ko) 용해로용의 연소 장치 및 용해로
CN110026133B (zh) 转化炉
CN111433546B (zh) 柱状结构物的干燥装置和柱状结构物的制造方法
US8845997B2 (en) Steam reforming process with improved flue gas flow
KR20100131113A (ko) 연소 효율이 우수한 보일러
JPH07331245A (ja)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の吸引帯柱部の補修方法及び吸引帯開口部の上部構造
KR102171087B1 (ko) 건조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82195A (ko) 화목보일러의 버너부 구조
JP2001227702A (ja) 倒立型ボイラ装置
CN205878244U (zh) 集气结构及燃烧炉
CN218723064U (zh) 步进式加热炉
KR100494822B1 (ko) 코크스로 및 그 조업 방법
JP2006070124A (ja) コークス炉及びコークス炉炭化室上部の温度制御方法
WO2013111929A1 (ko) 펠릿 보일러용 건 타입 버너
DK3222911T3 (en) A FLUID BED HEAT EXCHANGE AND A SIMILAR COMBUSTOR
CN213747865U (zh) 一种具有余热利用功能的梭式窑
CN111981680B (zh) 燃生物质水锅炉
JP4448476B2 (ja) コークス炉装炭口周辺の付着カーボン焼却装置
CN219730842U (zh) 一种用于降低干熄焦锅炉入口压力的流量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