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1242A - 셀룰라폰용 키패드의 압압키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셀룰라폰용 키패드의 압압키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1242A
KR20030091242A KR1020020029120A KR20020029120A KR20030091242A KR 20030091242 A KR20030091242 A KR 20030091242A KR 1020020029120 A KR1020020029120 A KR 1020020029120A KR 20020029120 A KR20020029120 A KR 20020029120A KR 20030091242 A KR20030091242 A KR 20030091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key
plating layer
charact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이토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토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9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1242A/ko
Publication of KR20030091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124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01H13/7057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pre-assembled groups of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2Telephone handset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룰라폰(Cellular Phone)의 키패드의 압압키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셀룰라폰용 키패드의 압압키 제조방법은, 일정 형상으로 성형된 투광성의 압압키본체의 표면에 비도금성의 잉크로 도형, 문자를 인쇄한 후 압압키본체의 표면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도금되지 않은 도형, 문자가 도금층 외부로 표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압압키본체의 표면은 도형, 문자가 형성되는 부분을 음각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셀룰라폰용 키패드의 압압키 제조방법{Manufacturing process of Pushing key for Cellular Phone key-pad}
본 발명은 셀룰라폰(Cellular Phone)의 키패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도형, 문자가 표현된 압압키의 성형을 극히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셀룰라폰용 키패드의 압압키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패드는 통신기기나 전자제품 등에서 여러 기능을 수행시키기 위한 작동 입력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키패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터치하여 원하는 기능을 입력할 수 있도록 표면으로 돌출된 압압키(K')를 구비하고 있고 이 압압키(K')를 통하여는 이용자가 용이하게 작동기능을 식별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문자나 도형(G)이 표현되어 있다.
상기 압압키(K')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필름(P')을 포밍성형하여 표면으로 돌출되게 하는 것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사출성형에 의해 별도로 성형한다.
문자나 도형이 표현된 압압키를 별도로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방법이 제공되어 있으나 그 중에는 표면이 금속성의 미감과 터치감을 발휘하도록 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제공되어 있다.
첫째, 도 3에 도시된 것은 표면에 문자, 도형(G)이 음각에 의해 표현되도록 별도로 사출성형한 압압키본체(11)의 표면에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니켈을 도금한 후 다시 그 위에 크롬 등의 금속제를 도금한 도금층(12)을 형성하여 압압키(10)를 제조한 것이다.
둘째, 도 4에 도시된 것은 별도로 사출성형한 압압키본체(21)의 표면에 인쇄부(22)를 형성하고 그 표면에 증착에 의해 금속증착층(23)을 형성한 후금속증착층(23)을 소정의 문자나 도형으로 레이져마킹에 의해 각인함으로서 인쇄부(22)가 금속증착층(23) 외부로 문자나 도형(G)으로 표현되도록 하여 압압키(20)를 제조한 것이다.
셋째, 도 5에 도시된 것은 사출성형에 의해 상부에 표현하고자 하는 도형, 문자(G)에 대응하는 천공부를 갖도록 캡 형상의 외측압압키본체부(31)를 성형한 후 이중사출에 의해 외측압압키본체부(31)의 내부에 상기 천공부를 충진하도록 비도금성 재질로 된 내측압압키본체부(32)를 성형하고 이후 외측압압키본체부(31)의 표면에 도금층(33)을 형성함으로서 도금되지 않은 상기 천공부의 도형, 문자(G)가 도금층(33) 외부로 표현되도록 하여 압압키(30)를 제조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제조방법 중 첫번째의 것은 도금층(12)에 의해 우수한 내마모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기는 하나 도형, 문자(G)를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도금층(12)을 백라이팅이 통과할 수 없으므로 어두운 상황에서 도형, 문자(G)를 식별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두번째의 것은 도형, 문자(G)를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고 도형, 문자(G)를 백라이팅에 의해 발광되게 할 수 있어 어두운 상황에서 도형, 문자(G)를 용이하게 식별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반복하여 터치함으로서 내마모성에 취약한 금속증착층(23)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세번째의 것은 도형, 문자(G)를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고 도형, 문자(G)를 백라이팅에 의해 발광되게 할 수 있어 어두운 상황에서 도형, 문자(G)를 용이하게 식별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복잡한 이중사출공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므로 생산코스트가 증가하는 것임은 물론이고 이중사출과정에서 정확하게 도형, 문자(G)가 표현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생산제품의 불량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을 고려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사출성형공정에 의해 압압키본체를 성형하고 그 표면에 내마모성이 우수한 도금층을 형성하되 도금층 외부로 다양한 색상의 도형, 문자를 표현할 수 있고 백라이팅에 의해 도형, 문자가 발광될 수 있게 하여 제품의 품질향상과 생산코스트 저하를 도모할 수 있는 셀룰라폰용 키패드의 압압키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a∼1c는 본 발명에 따른 압압키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종래 셀룰라폰용 키패드에 있어서 압압키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셀루라폰용 키패드의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압압키
2. 압압키본체 --- 2a. 음각부
3. 도형, 문자
4. 도금층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셀룰라폰용 키패드의 압압키 제조방법은, 일정 형상으로 성형된 투광성의 압압키본체의 표면에 비도금성의 잉크로 도형, 문자를 인쇄한 후 압압키본체의 표면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도금되지 않은 도형, 문자가 도금층 외부로 표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압압키본체의 표면은 도형, 문자가 형성되는 부분을 음각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압압키본체의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므로 우수한 내마모성을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성의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 또 도금층의 외부로 표현되는 도형, 문자를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백라이팅에 의해 도형, 문자를 발광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압키(1)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먼저 도 1a에서와 같이 사출성형에 의해 투광성 재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압압키본체(2)를 성형한다.
이후 도 1b에서와 같이 압압키본체(2)의 표면에 비도금성의 잉크를 이용하여 스크린인쇄 등의 방법으로 도형, 문자(3)를 인쇄한다. 여서서 도형, 문자(3)는 비도금성의 잉크로 된 것이므로 이후의 도금 과정에서 도형, 문자(3)가 형성된 부분은 도금되지 않는다.
도형, 문자(3)의 성형이 완료되면 도 1c에서와 같이 압압키본체(2)의 표면에 도금층(4)을 형성한다. 여기서 도금층(4)은 종래와 동일하게 도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먼저 니켈도금을 한 후 그 위에 크롬 등의 금속도금을 하는 것에 의해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압압키(1)는 압압키본체(2) 표면의 도금층(4)을 다양한 금속성의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금속성 터치감과 우수한 내마모성을 발휘한다. 또 도금층(4)에 의해 도금되지 않고 도금층(4) 외부로 도형,문자(3)가 표현되는 것이므로 도형, 문자(3)를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더욱이 도형, 문자(3)는 투광성의 압압키본체(2)를 통과하는 백라이팅에 의해발광되는 것이므로 어두운 상황에서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도 2에서와 같이 도형, 문자(3)를 형성할 압압키본체(2)의 표면에 음각부(2a)를 형성되게 하고 여기에 도형, 문자(3)를 형성함으로서 도형, 문자(3)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러한 변형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당연한 것이라 하겠다.
본 발명은 압압키본체의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므로 우수한 내마모성을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성의 다양한 색상과 터치감을 표현할 수 있다. 더욱이 도금층의 외부로 도형, 문자를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백라이팅에 의해 도형, 문자를 발광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므로 어두운 상황에서도 도형 문자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그 제조과정이 극히 간단한 것이므로 생산코스트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Claims (2)

  1. 일정 형상으로 성형된 투광성의 압압키본체(2)의 표면에 비도금성의 잉크로 도형, 문자(3)를 인쇄한 후 압압키본체(2)의 표면에 도금층(4)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도금되지 않은 도형, 문자(3)가 도금층(4) 외부로 표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라폰용 키패드의 압압키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압압키본체(2)의 표면은 도형, 문자(3)가 형성되는 부분에 음각부(2a)를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라폰용 키패드의 압압키 제조방법.
KR1020020029120A 2002-05-25 2002-05-25 셀룰라폰용 키패드의 압압키 제조방법 KR200300912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120A KR20030091242A (ko) 2002-05-25 2002-05-25 셀룰라폰용 키패드의 압압키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120A KR20030091242A (ko) 2002-05-25 2002-05-25 셀룰라폰용 키패드의 압압키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242A true KR20030091242A (ko) 2003-12-03

Family

ID=32384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120A KR20030091242A (ko) 2002-05-25 2002-05-25 셀룰라폰용 키패드의 압압키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12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816B1 (ko) 보강판 부착 키 유닛
EP1604511B1 (en) Key for a mobile device
KR20080013381A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제조방법 및 그 키패드
CN101361149A (zh) 按键用部件及其制造方法
CN100534102C (zh) 移动台和改变移动台外观的方法
CN101364490B (zh) 双色成型按键及其制造方法
US20050274594A1 (en) Metallic keypad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030091242A (ko) 셀룰라폰용 키패드의 압압키 제조방법
JP4113784B2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11441Y1 (ko) 휴대폰용 키패드
KR20020080687A (ko) 셀룰라폰용 키패드의 제조 방법
KR20050118053A (ko) 메탈릭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588263B1 (ko) 입체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JP4123850B2 (ja) 照光式押釦スイッチ用キートップの製造方法
CN1079163C (zh) 硬质透光式按键的成型方法
KR200377204Y1 (ko) 일체형 아크릴 키패드
KR20060000264A (ko) 전자기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25934A (ko) 키탑패드의 제조방법 및 키탑패드
JP2000048665A (ja) シート状キートップおよびその製造法
KR100700741B1 (ko) 전자기기용 식별 유니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0331554A (ja) 照光式キーにおけるキートップの立体パタ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403152A (zh) 键盘及其键盘制造方法
KR100545532B1 (ko) 라이팅 구조를 갖는 키패드와 그 제조방법
JPH0855534A (ja) 押釦スイッチ用キーシート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190226A (ja) 押釦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