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1169A - 교량빔 인상방법 및 그 인상장치 - Google Patents

교량빔 인상방법 및 그 인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1169A
KR20030091169A KR1020020029022A KR20020029022A KR20030091169A KR 20030091169 A KR20030091169 A KR 20030091169A KR 1020020029022 A KR1020020029022 A KR 1020020029022A KR 20020029022 A KR20020029022 A KR 20020029022A KR 20030091169 A KR20030091169 A KR 20030091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sides
beams
bridge beam
rear conn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9626B1 (ko
Inventor
이승영
나공열
Original Assignee
이승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영 filed Critical 이승영
Priority to KR10-2002-0029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9626B1/ko
Publication of KR20030091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1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6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교좌장치를 교체할 수 있도록 교량빔을 인상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교각의 양측에 올려진 교량빔을 동시에 인상하여 교좌장치를 교체 또는 수리 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빔 인상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양 측부에는 기중기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교각의 양측에 교좌장치를 통해 올려지는 교량빔을 인상함에 있어서, 교각의 양측에 마주보며 올려진 각 교량빔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기중기홀에 전,후방이 돌출되게 인상봉을 관통 장착하는 단계와, 양측 교량빔의 전,후방으로 돌출된 양쪽 인상봉의 사이를 전,후방 연결대를 통해 연결하는 단계와, 전,후방 연결대의 하부와 교각의 상면사이에 한쌍 이상의 잭을 장착하여 양측의 교량빔을 동시에 인상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양 측부에는 기중기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교각의 양측에 교좌장치를 통해 올려지는 교량빔에 있어서, 교각의 양측에 마주보며 올려진 각 교량빔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기중기홀에 전,후방이 돌출되게 관통 장착되는 인상봉과, 상기 양측 교량빔의 전,후방으로 돌출된 양측 인상봉의 사이를 연결하는 전,후방 연결대, 및 전,후방 연결대의 하부와 교각의 상면사이에 장착되어 양측 교량빔을 동시에 인상하는 한 쌍 이상의 잭으로 구성된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교량빔 인상방법 및 그 인상장치{Lifting method and apparatus of the bridge beam}
본 발명은 교량의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교좌장치를 교체할 수 있도록 교량빔을 인상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교각의 양측에 올려진 교량빔을 동시에 인상하여 교좌장치를 교체 또는 수리 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빔 인상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橋梁)이라 함은, 하천, 계곡, 움푹 꺼진 땅 등을 넘기 위하여 만들어지는 각종 구조물을 총칭하는 것이다.
이에 교량은, 수직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교각으로 이루어진 하부구조와, 상기 교각들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구조는, 상판과 그 하부에 하나 이상으로 장착되어 상기 교각들의 상단에 거치되는 교량빔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구조의 교각들 상단에는, 상부구조로부터 발생되는 하중을 하부구조로 전달하기 위하여 교량빔을 지지하는 교좌장치가 설치되는데, 이 교좌장치는, 상부구조에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온도변화에 따른 상부구조의 신축작용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대표적으로 금속재 또는 고무재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상기 교좌장치로 빗물 또는 오염물질이 침투되게 됨으로서, 금속재의 교좌장치는 부식을 일으키게 되고 고무재의 교좌장치는 손상을 입게 됨에 따라서, 교좌장치의 제 기능을 수행 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손상된 교좌장치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경우에는 상부구조의 인상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상부구조를 인상할 경우에는, 교좌장치가 올려진 교량빔의 하면과 교각의 상면 사이에 잭을 설치하여 교량빔을 인상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교량빔을 인상함에 있어서, 교좌장치 또는 교각의 종류에 따라 교각 상면의 공간이 협소할 경우에는 잭의 설치가 곤란함으로서, 상부구조의 인상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잭을 통해 상부구조를 인상함에 있어서, 교각에 올려진 양측 교량빔 중 하나만을 인상함에 따라, 인상되는 단일 교량빔의 단부에는 과도한 집중하중이 걸리게 됨으로서 단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교각의 양측 올려진 교량빔에 형성되어 있는 통상의 기중기홀을 이용하여 양측의 교량빔을 동시에 인상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빔 인상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상봉과 연결대를 나선부와 너트를 통해 견고히 체결함으로서, 잭의 상승시 연결대가 흔들리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 측부에는 기중기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교각의 양측에 교좌장치를 통해 올려지는 교량빔을 인상함에 있어서, 교각의 양측에 마주보며 올려진 각 교량빔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기중기홀에 전,후방이 돌출되게 인상봉을 관통 장착하는 단계와, 양측 교량빔의 전,후방으로 돌출된 양쪽 인상봉의 사이를 전,후방 연결대를 통해 연결하는 단계와, 전,후방 연결대의 하부와 교각의 상면사이에 한쌍 이상의 잭을 장착하여 양측의 교량빔을 동시에 인상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양 측부에는 기중기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교각의 양측에 교좌장치를 통해 올려지는 교량빔에 있어서, 교각의 양측에 마주보며 올려진 각 교량빔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기중기홀에 전,후방이 돌출되게 관통 장착되는 인상봉과, 상기 양측 교량빔의 전,후방으로 돌출된 양측 인상봉의 사이를 연결하는 전,후방 연결대, 및 전,후방 연결대의 하부와 교각의 상면사이에 장착되어 양측 교량빔을 동시에 인상하는 한 쌍 이상의 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인상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인상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인상방법 중 교량빔의 인상 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인상방법 중 교량빔의 인상 후 상태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각
2 : 교좌장치
3 : 교량빔
31 : 기중기홀
4 : 인상봉
41 : 나선부
42 : 너트
5 : 연결대
51 : 밀착판
511 : 관통홀
52 : 하부판
6 : 잭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인상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먼저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교량빔 인상장치는 교각(1)의 올려지는 교량빔(3)을 동시에 인상하는 장치로서, 교량빔(3)의 양측에 형성된 기중기홀(1)에 본 발명의 인상장치를 장착하여 교각(1)의 양측에 올려진 교량빔(3)을 동시에 인상하는 장치이다.
이에 본 발명의 교량빔 인상장치는, 교각(1)의 양측에 마주보며 올려진 각 교량빔(3)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기중기홀(31)에 전,후방이 돌출되게 관통 장착되는 인상봉(4)과, 상기 양측 교량빔(3)의 전,후방으로 돌출된 양측 인상봉(4)의 사이를 연결하는 전,후방 연결대(5), 및 전,후방 연결대(5)의 하부와 교각의 상면사이에 장착되어 양측 교량빔(3)을 동시에 인상하는 한 쌍 이상의 잭(6)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상봉(4)의 전,후방에는 너트(42)가 체결되는 나선부(41)가 형성됨으로서, 인상봉(4)과 전,후방 연결대(5)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대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전,후방 연결대(5)는, 양측에 인상봉(4)이 관통되는 관통홀(511)이 형성되어 있고 교량빔(3)에 밀착되는 밀착판(51)과, 밀착판(51)에 돌출 구성되어 잭(6)의 상부가 밀착되는 하부판(5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판(51)의 외측면과 하부판(52)의 상측면의 사이에는 다수의 보강리브(53)가 구비됨으로서, 하부판(52)에 상승하중이 걸릴 경우에는 밀착판(51)과 하부판(52)의 연결부위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치를 통한 본 발명의 교량빔 인상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1)의 양측에 마주보며 올려진 각 교량빔(3)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기중기홀(31)에 전,후방이 돌출될 수 있도록 인상봉(3)을 관통 장착하는 단계(100;도2참조)를 진행한다.
다음 양측 교량빔(3)의 전,후방으로 돌출되게 장착되어 있는 양측의 인상봉(4) 사이를 전,후방 연결대(5)를 통해 연결하는 단계(200;도5참조)를 진행한다.
그 후 전,후방 연결대(5)의 하부와 교각의 상면사이에 한 쌍 이상의 잭(6)을 장착하여 양측의 교량빔(3)을 동시에 인상하는 단계(300;도6참조)의 진행을 통해 교각(1)의 양측에 올려진 교량빔(3)을 인상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양측 인상봉(4)을 연결하는 연결대(5)의 하면을 교량빔(3)의 하면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교량빔(3)의 하면과 교각(1) 사이의 거리가 좁더라도 상기 연결대(5)의 하부와 교각(1)의 상면 사이에 잭(6)을 장착할 수 있어 양측의 교량을 동시에 인상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 연결대 장착단계(200)에서는, 양측 교량빔(3)의 전,후방으로 돌출된 인상봉(4)에 전,후방 연결대(5)가 관통되게 장착된 후 너트(42)를 통해 체결 고정되는 것이다.
즉 양측 교량빔(3)의 전,후방으로 돌출된 인상봉(4)은 전,후방 연결대(5)를 구성하는 밀착판(51)의 양측에 형성된 관통홀(511)에 관통되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양측에 위치된 인상봉(4)의 전,후방 돌출부에는 나선부(41)가 형성되어 있음에따라 너트(42)의 체결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연결대(5)를 구성하는 밀착판(51)을 인상봉(4)에 너트를 통해 견고히 고정함으로서, 잭(6)의 상승시 연결대(5)가 흔들리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교량빔(3)의 인상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좌장치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도록 교각의 양측에 올려진 교량빔을 인상시킴에 있어 통상적으로 교량빔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기중기홀을 이용함으로서, 교각의 상면과 교량빔의 사이의 공간이 좁더라도 양측 교량빔을 용이하게 인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인상봉과 연결대를 나선부와 너트를 통해 견고히 체결함으로서 잭의 상승시 연결대가 흔들리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교량빔의 인상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6)

  1. 양 측부에는 기중기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교각의 양측에 교좌장치를 통해 올려지는 교량빔을 인상함에 있어서,
    교각의 양측에 마주보며 올려진 각 교량빔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기중기홀에 전,후방이 돌출되게 인상봉을 관통 장착하는 단계(100)와,
    양측 교량빔의 전,후방으로 돌출된 양쪽 인상봉의 사이를 전,후방 연결대를 통해 연결하는 단계(200)와,
    전,후방 연결대의 하부와 교각의 상면사이에 한쌍 이상의 잭을 장착하여 양측의 교량빔을 동시에 인상하는 단계(30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빔 인상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연결대 장착단계(200)에서는, 양측 교량빔의 전,후방으로 돌출된 인상봉에 전,후방 연결대가 관통되게 장착된 후 너트를 통해 체결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빔 인상방법.
  3. 양 측부에는 기중기홀(31)이 형성되어 있으며 교각(1)의 양측에 교좌장치(2)를 통해 올려지는 교량빔(3)에 있어서,
    교각의 양측에 마주보며 올려진 각 교량빔(3)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기중기홀(31)에 전,후방이 돌출되게 관통 장착되는 인상봉(4)과,
    상기 양측 교량빔(3)의 전,후방으로 돌출된 양측 인상봉(4)의 사이를 연결하는 전,후방 연결대(5), 및
    전,후방 연결대(5)의 하부와 교각의 상면사이에 장착되어 양측 교량빔(3)을 동시에 인상하는 한쌍 이상의 잭(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빔 인상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봉(4)의 전,후방에는 너트(42)가 체결되는 나선부(4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빔 인상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연결대(5)는, 양측에 인상봉(4)이 관통되는 관통홀(511)이 형성되어 있고 교량빔(3)에 밀착되는 밀착판(51)과, 밀착판(51)에 돌출 구성되어 잭(6)의 상부가 밀착되는 하부판(5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빔 인상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판(51)과 하부판(52)의 사이에는 다수의 보강리브(53)가 추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빔 인상장치.
KR10-2002-0029022A 2002-05-24 2002-05-24 교량빔 인상방법 및 그 인상장치 KR100489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022A KR100489626B1 (ko) 2002-05-24 2002-05-24 교량빔 인상방법 및 그 인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022A KR100489626B1 (ko) 2002-05-24 2002-05-24 교량빔 인상방법 및 그 인상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994U Division KR200286097Y1 (ko) 2002-05-24 2002-05-24 교량빔 인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169A true KR20030091169A (ko) 2003-12-03
KR100489626B1 KR100489626B1 (ko) 2005-05-17

Family

ID=32384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022A KR100489626B1 (ko) 2002-05-24 2002-05-24 교량빔 인상방법 및 그 인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96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007B1 (ko) * 2007-10-31 2010-02-24 우혜민 교량 교좌장치 교체보수용 피시빔 인상장치 및 방법
KR102003990B1 (ko) * 2018-08-13 2019-07-25 윤형남 교좌장치 보수용 교량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199B1 (ko) 2010-04-26 2011-05-23 우경건설 주식회사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받침 교체공법
KR101035330B1 (ko) 2011-01-26 2011-05-20 테라이엔씨(주) 교량 안전진단용 승하강 지지장치
KR101824633B1 (ko) 2017-09-01 2018-02-01 윤풍식 편심 하중에 의한 교량 손상 방지를 위한 교량 인상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 방법
KR102003991B1 (ko) 2018-08-13 2019-07-25 윤형남 교량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382B1 (ko) * 2000-12-01 2003-03-31 코벡주식회사 기존 교좌장치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교량의 교좌장치를포함한 교좌부 보수 및 교체를 하기 위한 잭 받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007B1 (ko) * 2007-10-31 2010-02-24 우혜민 교량 교좌장치 교체보수용 피시빔 인상장치 및 방법
KR102003990B1 (ko) * 2018-08-13 2019-07-25 윤형남 교좌장치 보수용 교량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9626B1 (ko)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7312B1 (ko) 안전강화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의 인상 및 보수방법
KR20080017240A (ko) 교각 코핑상면에 블럭아웃을 실시하여 매립한 중공형 철제파이프와 일체로 형성하여 지지력을 갖는 고장력 강봉과조립식 철제 브라켓을 이용한 교량 슬라브 인상공법
KR100489626B1 (ko) 교량빔 인상방법 및 그 인상장치
KR20210148028A (ko) 교량받침 교체용 가설장치
JP4475536B2 (ja) 構造物の不等沈下修正可能支承構造及び不等沈下修正工法
KR200286097Y1 (ko) 교량빔 인상장치
KR100944007B1 (ko) 교량 교좌장치 교체보수용 피시빔 인상장치 및 방법
KR20070115837A (ko) 유지보수용 받침
KR19990001958A (ko)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용 잭 받침장치 및 그를 이용한 교량 보수방법
KR100450863B1 (ko)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및 그 장치
KR200263287Y1 (ko) 교량빔 인상 장치
KR200274808Y1 (ko) 교량빔 인상 장치
KR100526995B1 (ko) 강판을 이용한 단위 내측 및 외측 브라켓으로 이루어진교량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보수보강 시공방법
KR100348632B1 (ko) 역방향 가설 브래키트를 이용한 교량빔의 인상장치 및 그방법
KR20040034368A (ko) 교량의 상부구조물 상승용 잭 받침장치
KR20040076348A (ko) 아이형강빔의 인상과 낙교방지를 위한 교좌장치 및 그설치방법
KR100440826B1 (ko) 교량받침 교체를 위한 상판 리프팅 장치 및 상판 리프팅 공법
KR100402146B1 (ko) 상승·하강을 이용한 연속 프리플렉스 합성형교의 시공법
KR100478702B1 (ko) 교량 상부구조물의 순차적 교체 방법
KR200341114Y1 (ko) 교량 인상시스템
KR100544334B1 (ko) 교량의 상부구조물 상승용 잭 받침장치
KR102619855B1 (ko) 단일 받침을 이용한 psc 연속교 시공 방법
KR100958883B1 (ko) 변형된 형태의 상부플레이트를 가진 오일레스 베어링
CN217896285U (zh) 一种用于特大缆索桥梁的索塔处顶升梁结构组件
KR200230089Y1 (ko) 가지점에서 상승·하강시키는 연속 프리플렉스합성형교의 상승·하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