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991B1 - 교량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방법 - Google Patents

교량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991B1
KR102003991B1 KR1020180094607A KR20180094607A KR102003991B1 KR 102003991 B1 KR102003991 B1 KR 102003991B1 KR 1020180094607 A KR1020180094607 A KR 1020180094607A KR 20180094607 A KR20180094607 A KR 20180094607A KR 102003991 B1 KR102003991 B1 KR 102003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block
rod
bridge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남
Original Assignee
윤형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형남 filed Critical 윤형남
Priority to KR1020180094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Abstract

본 발명은 교좌장치 보수용 교량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교량빔의 양측에서 교량빔을 관통하는 고장력봉의 양단에 각각 장착하여 교량을 인상하는 장치에 있어서, 아래로부터 베이스블럭체, 하나 이상의 미들블럭체, 탑블럭체를 적층하여 상기 고장력봉의 단부에 장착하는 인상블럭적층부; 상기 인상블럭적층부의 하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인상블럭적층부를 상승시키는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실린더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인상블럭적층부를 거치하여 지지하는 인상블럭트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교량을 인상하는 방법에 있어서, 교량빔 내부를 초음파로 탐상하고 코어홀을 천공하는 천공한 후 고장력봉을 상기 코어홀에 삽입하는 고장력봉 설치단계; 탑블럭체를 고장력봉의 양단에 장착하는 탑블럭체 장착단계; 유압실린더가 장착된 인상블럭트레이부를 상기 탑블럭체의 하측에 설치하는 인상블럭트레이부 설치단계;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전진하여 상기 탑블럭체를 상승시킴으로써 교량빔을 인상시키는 교량빔 인상단계; 상기 인상블럭트레이부에 탑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탑블럭체와 탑플레이트 사이에 받침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탑블럭체를 거치한 후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후진시키는 탑블럭체 거치단계; 상기 탑블럭체의 하부면에 어느 하나의 미들블럭체를 끼움 조립하는 미들블럭체 1단적층단계;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다시 전진하여 상기 미들블럭체를 상승시킴으로써 교량빔을 인상시키는 교량빔 인상단계; 상기 미들블럭체와 탑플레이트 사이에 받침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미들블럭체를 거치한 후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후진시키는 미들블럭체 거치단계; 상기 미들블럭체의 하부면에 베이스블럭체를 끼움 조립하는 베이스블럭체 설치단계;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전진하여 상기 베이스블럭체를 상승시킴으로써 교량빔을 인상시키는 교량빔 인상단계; 상기 인상블럭트레이부를 해체하는 인상블럭트레이부 해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방법{Bridge lifting apparatus for repairing bridge shoe and lifing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교량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의 피시빔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는 교좌장치를 유지, 보수 또는 교체를 위해 교량을 인상시킬 수 있는 교량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하천, 계곡, 강, 바다를 통과하기 위하여 만들어지는 각종 구조물을 총칭하는 것인데, 보통 수직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교각과, 교각들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교량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교량은 보통 상판과 상판 하부에 하나 이상 장착되는 교량빔으로 구성되며 교량빔과 교각 사이에는 교량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완충 및 내진 기능을 수행하는 교좌장치(shoe)가 구비된다.
이러한 교좌장치는 보통 금속재질 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오랜 기간 사용하면 과중하고 복잡한 하중이 집중되고 교량과 교각의 상대적인 운동으로 인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정기점검이나 체크를 통해 손상된 교좌장치를 보수하거나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때 교량을 상승시키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또 기존에 설치된 교량이 불어난 물로 인해 수위가 상승하면 교량이 떠내려갈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도 교량을 상승시키는 공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특정 지역에 교통량이 증가하여 교량을 통과하는 차량의 높이가 높아지면 교량의 높이를 높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교량의 높이를 상승시켜야 하는 다양한 상황들이 발생하므로 중량의 교량 전체를 일시에 인상시킬 수 있는 장치가 반드시 필요한데, 이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들이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아래에 공개된 기존 선행기술들은 대부분 유압잭을 사용하기는 하나, 교량의 인상 가능높이는 유압실린더의 스트로크 길이로 한정되므로 추가로 교량을 인상하려면 유압실린더의 스트로크가 더 긴 큰 용량의 유압실린더를 사용해야 하거나 별도의 장치와 작업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78382(2003.3.18) "기존 교좌장치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교량의 교좌장치를 포함한 교좌부 보수 및 교체를 위한 잭받침장치"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89626(2005.5.4) "교량빔 인상방법 및 인상장치"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02954(2003.10.10) "교량빔의 인상과 낙교방지를 위한 교좌장치 및 그 설치방법"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34368(2004.4.28) "교량의 상부구조물 상승용 잭받침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유압잭의 유압실린더 스트로크에 한정된 인상 높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블럭체를 적층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유압실린더의 로드 스트로크보다 더 높이 교량을 인상할 수 있는 교량 인상장치와 인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인상장치는, 교량빔의 양측에서 교량빔을 관통하는 고장력봉의 양단에 각각 장착하여 교량을 인상하는 장치에 있어서, 아래로부터 베이스블럭체, 하나 이상의 미들블럭체, 탑블럭체를 적층하여 상기 고장력봉의 단부에 장착하는 인상블럭적층부; 상기 인상블럭적층부의 하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인상블럭적층부를 상승시키는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실린더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인상블럭적층부를 거치하여 지지하는 인상블럭트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상블럭적층부는, 유압실린더 로드 상단에 거치되고, 상부면에 앵커홈에 형성된 베이스블럭체; 하부면에 상기 베이스블럭체의 앵커홈에 삽입되는 돌기 형상의 앵커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앵커홈이 형성되며, 하나 이상이 상기 베이스블럭체에 적층될 수 있는 미들블럭체; 하부면에 상기 미들블럭체의 앵커홈에 삽입되는 앵커가 형성되어 상기 미들블럭체에 안착되는 탑블럭체; 원형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탑블럭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장력봉이 삽입될 수 있는 봉삽입슬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들블럭체는, 상부면에 앵커홈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앵커가 형성되는 장방형의 수직미들블럭과, 상기 수직미들블럭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단면이 'ㄱ'형상의 거치앵글과,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미들블럭의 측면과 상기 거치앵글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휨보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블럭체는, 하부면에 앵커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상기 봉삽입슬리브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수직탑블럭과,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탑블럭의 양측면에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봉삽입슬리브를 지지하는 전단보강부재와, 상기 각 전단보강부재의 측면에 각각 결합되고 단면이 'ㄱ' 형상의 거치앵글과,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단보강부재의 측면과 상기 거치앵글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휨보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각 앵커에는 수평으로 관통하는 앵커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블럭체와 미들블럭체의 상부에는 각 앵커홈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앵커홀이 형성되어, 앵커핀이 상기 베이스블럭체와 미들블럭체의 앵커홀 및 상기 앵커의 앵커홀에 동시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블럭체와 미들블럭체의 하부에는 수평으로 관통하는 턴버클홀이 2개씩 형성되고, 상기 각 턴버클홀에는 4개의 베이스블럭체와 미들블럭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턴버클이 구비된 턴버클연결봉이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상블럭트레이부는, 중앙에 유압실린더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높이조절앵글; 상기 높이조절앵글들의 내측에 결합되고, 중앙에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통과할 수 있는 로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미들플레이트; 상기 높이조절앵글들의 내측에 결합되고, 중앙에 상기 마운트가 통과할 수 있는 마운트홀이 형성되며,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탑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미들플레이트를 관통하고 상기 탑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기둥;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미들블럭체의 양측을 거치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들플레이트와 탑플레이트는 조립이 가능하도록 각각 2개로 분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들플레이트와 탑플레이트의 하부면에는 각각 처짐방지보가 결합될 수 있다.
또 상기 탑플레이트의 하부면에는 상기 마운트홀의 주위를 둘러 마운트가이드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교량 인상방법은, 교량을 인상하는 방법에 있어서, 교량빔 내부를 초음파로 탐상하고 코어홀을 천공하는 천공한 후 고장력봉을 상기 코어홀에 삽입하는 고장력봉 설치단계; 탑블럭체를 고장력봉의 양단에 장착하는 탑블럭체 장착단계; 유압실린더가 장착된 인상블럭트레이부를 상기 탑블럭체의 하측에 설치하는 인상블럭트레이부 설치단계;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전진하여 상기 탑블럭체를 상승시킴으로써 교량빔을 인상시키는 교량빔 인상단계; 상기 인상블럭트레이부에 탑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탑블럭체와 탑플레이트 사이에 받침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탑블럭체를 거치한 후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후진시키는 탑블럭체 거치단계; 상기 탑블럭체의 하부면에 어느 하나의 미들블럭체를 끼움 조립하는 미들블럭체 1단적층단계;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다시 전진하여 상기 미들블럭체를 상승시킴으로써 교량빔을 인상시키는 교량빔 인상단계; 상기 미들블럭체와 탑플레이트 사이에 받침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미들블럭체를 거치한 후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후진시키는 미들블럭체 거치단계; 상기 미들블럭체의 하부면에 베이스블럭체를 끼움 조립하는 베이스블럭체 설치단계;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전진하여 상기 베이스블럭체를 상승시킴으로써 교량빔을 인상시키는 교량빔 인상단계; 상기 인상블럭트레이부를 해체하는 인상블럭트레이부 해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들블럭체 거치단계와 베이스블럭체 설치단계 사이에는, 상기 미들블럭체의 하부면에 다른 하나의 미들블럭체를 끼움 조립하는 미들블럭체 2단적층단계;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전진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미들블럭체를 상승시킴으로써 교량빔을 인상시키는 교량빔 인상단계; 상기 다른 하나의 미들블럭체와 탑플레이트 사이에 받침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미들블럭체를 거치한 후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후진시키는 미들블럭체 거치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상블럭트레이부 해체단계 다음에는, 서로 다른 상기 인상블럭적층부를 턴버클연결봉으로 상호 연결하는 턴버클연결봉 설치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한된 스트로크를 가지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하더라도 탑블럭체와 베이스블럭체 사이에 미들블럭체를 하나 이상 적층함으로써 교량의 인상높이를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상블럭트레이부를 이용하여 인상블럭적층부를 안정되고 견고하게 설치 가능하며,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교량 인상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인상블럭적층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인상블럭적층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인상블럭적층부의 미들블럭체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멸의 인상블럭적층부의 탑블럭체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인상블럭트레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인상블럭트레이부의 분해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교량 인상방법 중 고장력봉 설치단계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8b는 본 발명의 탑블럭체 장착단계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8c는 본 발명의 인상블럭트레이부 설치단계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8d는 본 발명의 교량빔 인상단계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8e는 본 발명의 탑블럭체 거치단계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8f는 본 발명의 미들블럭체 1단적층단계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8g는 본 발명의 교량빔 인상단계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8h는 본 발명의 미들블럭체 거치단계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8i는 본 발명의 미들블럭체 2단적층단계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8j는 본 발명의 교량빔 인상단계 및 미들블럭체 거치단계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8k는 본 발명의 베이스블럭체 설치단계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8l은 본 발명의 교량빔 인상단계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8m은 본 발명의 인상블럭트레이부 해체단계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8n은 본 발명의 턴버클연결봉 설치단계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교량을 인상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교량 인상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교량을 요구되는 높이만큼 인상하고자 할 경우 유압실린더의 스트로크 이상으로 인상 높이를 연장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인상블럭을 적층시켜 인상높이를 연장시킬 수 있는 인상블럭적층부(100)와 상기 인상블럭적층부(100)의 적층시 각 인상블럭을 거치하여 지지할 수 있는 인상블럭트레이부(200) 및 상기 인상블럭트레이부(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교량빔(20)을 관통하여 설치한 고장력봉(30)의 양측에 장착하는 것인데, 고장력봉(30)은 긴 원형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교량빔(20)의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장력봉(30)의 길이는 교량빔(20)을 관통하되 양단이 일부 돌출될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왜냐하면, 상기 고장력봉(30)의 양단에 상기 인상블럭적층부(100)가 장착되기 때문이다.
또 상기 고장력봉(30)은 중량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가지는 재질과 물성치를 가진 것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상기 고장력봉(30)의 양단에는 체결너트(40)가 체결되도록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도 2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인상블럭적층부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인상블럭적층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인상블럭적층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인상블럭적층부의 미들블럭체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멸의 인상블럭적층부의 탑블럭체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인상블럭적층부(100)는 크게, 베이스블럭체(110), 미들블럭체(120), 탑블럭체(130) 및 봉삽입슬리브(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블럭체(110)는 최상측에 위치하는 탑블럭체(130)와 중간에 위치하는 미들블럭체(120)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며 상기 유압실린더(300)의 로드에 거치되어 상승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블럭체(110)는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지지판(111) 위에 베이스블럭(112)이 결합된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블럭체(110)의 상부면에는 앵커홈(112a)이 형성되어 상기 미들블럭체(120)의 하부면에 형성된 앵커(121b)가 삽입되어 서로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베이스블럭체(110)의 상부에는 수평으로 관통하고 상기 앵커홈(112a)도 관통하는 앵커홀(112c)이 형성된다.
또 상기 지지판(111)에는 후술하는 미들블럭체의 거치앵글에 형성된 전도방지연결핀홀과 동일한 전도방지연결핀홀(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들블럭체(120)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미들블럭(121), 거치앵글(122), 휨보강부재(123)가 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수직미들블럭(121)은 장방형을 이루고 상부면에 앵커홈(121a)이 형성되며 하부면에 돌기 형상의 앵커(121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미들블럭(121)의 앵커(121b)에는 수평으로 관통하는 앵커홀(121c)이 형성되고 상부에도 상기 수직미들블럭(121) 전체를 관통하면서 상기 앵커홈(121a)도 관통하는 앵커홀(121c)이 형성된다. 또 상기 수직미들블럭(121)의 하부에는 각각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수평 관통하는 턴버클홀(121d)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미들블럭(121)의 양측면에는 거치앵글(122)이 결합되는데, 상기 거치앵글(122)은 후술하는 빔 또는 각관 형상의 받침부재(260)가 삽입, 안착되도록 단면이 'ㄱ'형상일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거치앵글(122)에는 상하로 전도방지연결핀(430)을 삽입할 수 있는 전도방지연결핀홀(12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미들블럭(121)의 일측면과 거기에 결합되는 거치앵글(122) 상부면 사이에는 삼각 평판 형상의 휨보강부재(123)가 하나 이상 결합된다. 상기 휨보강부재(123)는 상기 수직미들블럭(121)이 하중에 의해 받는 굽힙응력과 전단응력을 견딜 수 있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미들블럭체(120)는 상기 베이스블럭체(110)와 탑블럭체(130) 사이에 하나 이상이 적층되어 실제 인상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탑블럭체(130)는 도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들블럭체(120)의 상부에 조립될 수 있는 것으로서, 수직탑블럭(131), 전단보강부재(134), 거치앵글(132), 휨보강부재(133)가 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수직탑블럭(131)은 장방형을 이루고 하부면에 돌기 형상의 앵커(131b)가 형성되어 상기 미들블럭체(120)의 앵커홈(121a)과 끼움 결합되어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탑블럭(131)의 상부면에 반원형의 안착홈(131c)이 형성되어 상기 봉삽입슬리브(140)가 맞춤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탑블럭(131)의 양측면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역사다리꼴 형상의 전단보강부재(134)가 결합되는데, 상기 전단보강부재(134)의 상단에도 상기 수직탑블럭(131)의 안착홈(131c)이 연장되는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봉삽입슬리브(140)가 결합되어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전단보강부재(134)는 상기 수직탑블럭(131)의 굽힘강도를 보강하는 동시에 상기 수직탑블럭(131)에 걸리는 하중으로 인한 전단 또는 좌굴을 방지한다.
상기 수직탑블럭(131)이 지지하는 봉삽입슬리브(140)를 함께 지지하면서 상기 봉삽입슬리브(140)에 삽입되는 상기 고장력봉(30)에 걸리는 굽힘모멘트를 줄임으로써 고장력봉의 전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단보강부재(134)의 각 측면에는 거치앵글(132)이 결합된다.
상기 거치앵글(132)은 후술하는 빔 또는 각관 형상의 받침부재(260)가 삽입, 안착되도록 단면이 'ㄱ' 형상일 수 있다.
또 상기 전단보강부재(134)의 일측면과 거기에 결합되는 거치앵글(132) 상부면 사이에는 삼각 평판 형상의 휨보강부재(133)가 하나 이상 결합된다. 상기 휨보강부재(133)는 상기 수직탑블럭(131)과 전단보강부재(134)가 하중에 의해 받는 굽힙응력과 전단응력을 견딜 수 있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상기 베이스블럭(112), 수직미들블럭(121), 수직탑블럭(131)은 충분한 두께와 폭을 가져 교량의 중량을 지탱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각 구성들의 재질은 고강도 탄소강 또는 알루미늄 합금강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탑블럭체(130)의 상단에는 원형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고장력봉(30)이 삽입될 수 있는 봉삽입슬리브(14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봉삽입슬리브(140)의 내경은 상기 고장력봉(30)의 외경보다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상기 봉삽입슬리브(140)에 삽입된 고장력봉(30)의 단부에는 체결너트(40)가 체결되어 상기 수직탑블럭(131)이 고장력봉(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봉삽입슬리브(140)와 교량빔(20)의 측면 사이에는 장착보강판(150)이 더 개재되어 상기 수직탑블럭(131)이 안정적으로 장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장착보강판(150)은 평판 형상이고 중앙에 상기 고장력봉(30)이 통과하도록 홀이 형성되어 마치 와셔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봉삽입슬리브(140)와 교량빔(20) 측면 사이에 간격이 있는 경우 상기 봉삽입슬리브(140)와 장착보강판(150) 사이에 보조슬리브(160)가 더 삽입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7을 함께 참조하여 상기 인상블럭트레이부를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인상블럭트레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인상블럭트레이부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인상블럭트레이부(200)는 상기 인상블럭적층부(100)를 거치하여서 상기 인상블럭적층부(100)를 고장력봉(30)에 장착하는 동안 지지해 주는 것으로서, 크게 베이스플레이트(210), 높이조절앵글(220), 미들플레이트(230), 탑플레이트(240), 지지기둥(250), 받침부재(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는 맨 하측에 위치하는 평판으로서 교각의 상부면에 놓인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중앙에는 유압실린더(300)가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중앙에는 상기 유압실린더(300)의 위치를 고정하는 실린더고정대(2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고정대(211)의 외측으로는 상기 지지기둥(250)의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기둥고정대(212)가 형성된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하부면에는 면진패드(213)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가장자리에는 하나 이상의 높이조절앵글(220)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앵글(220)은 수직으로 절곡되어 단면이 'ㄱ' 형상을 이루고 각 판면에는 슬릿(2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슬릿(221)을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볼트(222)가 삽입된다. 즉, 상기 각 슬릿(221)을 통해 고정볼트(222)의 나사부는 삽입되지만 머리는 통과하지 못하게 되고, 나사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측면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앵글(220)이 설치된다.
후술하는 미들플레이트(230)도 상기 높이조절앵글(220)에 고정볼트(222)를 사용하여 체결되는데, 이때 상기 미들플레이트(23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상측에 일정 높이에 설치되는데, 현장에서 상황에 따라 상기 미들플레이트(230)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수평을 맞추어야 하는 경우 상기 미들플레이트(230)에 체결되는 고정볼트(222)를 각 슬릿(221)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적절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미들플레이트(23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상측에 상기 높이조절앵글(220)에 체결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는 평판이다.
상기 미들플레이트(230)는 중앙에 유압실린더(300)의 로드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로드홀(2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미들플레이트(230)의 로드홀(231)의 외측을 둘러 하나 이상의 기둥홀(232)이 형성된다. 상기 기둥홀(232)은 상기 지지기둥(250)의 상단이 관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미들플레이트(230)는 두 개로 분할되어 조립시 각각을 설치하여 서로 맞대어 하나의 미들플레이트(230)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미들플레이트(230)의 하부면에 처짐방지보(233)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처짐방지보(233)는 상기 미들플레이트(230)의 처짐을 보강하여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미들플레이트(230)가 분할되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반의 미들플레이트(230) 하부면에 'ㄴ' 형상의 처짐방지보(233)가 결합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들플레이트(230)의 상측에 일정 높이로 이격되어 탑플레이트(240)가 수평으로 설치된다. 상기 탑플레이트(240)도 상기 높이조절앵글(220)에 체결되는 평판이다.
상기 탑플레이트(240)의 중앙에는 유압실린더(300)의 로드에 부착되는 마운트(31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마운트(310)와 대응되는 형상의 마운트홀(241)이 형성된다. 또 상기 마운트홀(241)은 상기 베이스블럭체(110)와 미들블럭체(120)도 통과할 수 있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볼트(222)를 상기 슬릿(221)의 상하로 움직여 적절한 높이에서 상기 탑플레이트(240)를 체결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마운트(310)는 평팡 형상이고 중앙에 앵커가 삽입될 수 있는 앵커홈(311)이 형성되어 마운트(310) 위에 올려지는 탑블럭체(130) 또는 미들블럭체(120)의 하부면에 형성된 앵커가 끼워져 맞춤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탑플레이트(240)도 두 개로 분할되어 조립시 각각을 서로 맞대어 하나의 탑플레이트(240)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탑플레이트(240)의 하부면에도 처짐방지보(242)가 결합될 수 있다.
또 상기 탑플레이트(240)의 하부면에는 상기 마운트홀(241)의 주위를 일부 둘러싸면서 마운트(310)의 승강을 안내하는 마운트가이드채널(243)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는 지지기둥(250)이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미들플레이트(230)를 관통하고 상기 탑플레이트(240)의 하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탑플레이트(240)를 지지한다.
이때, 상기 지지기둥(250)의 하단은 상기 기둥고정대(212)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지지기둥(250)은 스크류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지지기둥(250)의 높이가 조절되어 상기 탑플레이트(240)를 적절한 높이에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탑플레이트(240)의 상부면에는 빔 또는 각관 형상의 받침부재(260) 한 쌍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260)는 상술한 상기 탑블럭체(130) 또는 미들블럭체(120)의 거치앵글에 삽입하여 지지해주는 구성이다.
이하에서 도 8a 내지 도 8n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교량 인상장치를 사용하여 교량을 단계적으로 인상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9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교량을 인상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참고로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은 교량빔(20)의 일측면에 설치하는 것만 해당하나, 교량빔(20)의 타측면에 설치하는 방법도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인상장치를 이용하여 교량을 인상(lifting)하는 첫 번째 단계는 고장력봉 설치단계이다.
먼저, 교량빔(20)의 측면을 초음파로 탐상하여 코어홀(21)을 뚫을 위치를 탐상하고, 적절한 위치에 코어홀(21)을 천공한 후 고장력봉(30)을 상기 코어홀(21)에 관통, 삽입하여 설치한다. 이때,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력봉(30)의 양단이 교량빔(2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두 번째 단계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블럭체(130)를 고장력봉(30)에 장착하는 탑블럭체 장착단계이다.
상기 고장력봉(30)에 상기 장착보강판(150) 및 보조슬리브(160)를 끼우고 상기 탑블럭체(130)의 봉삽입슬리브(140)에 고장력봉(30)을 관통, 삽입한 후 고장력봉(30)의 단부를 체결너트(40)로 체결하여 상기 탑블럭체(130)를 교량빔(20)의 측면에 밀착, 고정시킨다.
세 번째 단계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300)가 장착된 인상블럭트레이부(200)를 상기 탑블럭체(130)의 하측에 설치하는 인상블럭트레이부 설치단계이다.
이때 인상블럭트레이부(200)에는 탑플레이트(240)가 조립되지 않은 상태이며, 상기 유압실린더(300)의 로드에 상기 마운트(310)를 부착하고 상기 마운트(310) 위에 상기 탑블럭체(130)가 맞춤 결합되도록 한다.
네 번째 단계는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빔 인상단계로서, 상기 유압실린더(300)를 작동하면 로드가 전진하고 로드의 전진으로 상기 탑블럭체(130)는 상승한다. 따라서, 교량빔(20)은 1차로 유압실린더(300)의 스트로크 길이만큼 인상된다. 이때, 상기 마운트(310)는 상승시 상기 마운트가이드채널(243)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승하여 상기 마운트홀(241)을 통과하게 된다.
다섯 번째 단계는 탑블럭체 거치단계로서,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상블럭트레이부(200)의 상측에 탑플레이트(240)를 설치하여 상기 지지기둥(250)이 상기 탑플레이트(240)를 지지하도록 높이 및 수평을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탑플레이트(240) 위에 받침부재(260)를 올려놓되, 상기 탑블럭체(130)의 양측에 결합된 거치앵글(122)에 삽입되도록 개재하여 상기 받침부재(260)에 의해 상기 탑블럭체(130)가 거치 및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300)의 로드를 후진시키면 마운트(310)는 상기 마운트홀(241)을 통해 하강하고 상기 탑블럭체(130)는 상기 탑플레이트(240)와 받침부재(260)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교량빔(20)은 1차 인상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섯 번째 단계는 어느 하나의 미들블럭체(120)를 적층하는 미들블럭체 1단적층단계이다.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플레이트(240)와 미들플레이트(230) 사이에 미들블럭체(120)를 배치하되, 상기 마운트(310) 위에 상기 미들블럭체(120)를 올려놓는다. 이때, 상기 마운트(310)의 앵커홈(311)에 상기 미들블럭체(120)의 앵커(121b)가 끼움 결합되도록 맞춤 조립한다.
일곱 번째 단계는 교량빔 인상단계로서, 도 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300)의 로드를 다시 전진시키면 상기 미들블럭체(120)와 탑블럭체(130)는 상승하게 되고, 따라서 교량빔(20)도 2차로 일정 높이만큼 더 인상된다. 여기서, 상기 미들블럭체(120)는 상기 탑플레이트(240)의 마운트홀(241)을 통과하여 상부로 완전히 상승한 상태가 된다. 물론, 받침부재(260)는 제거하게 된다.
여덟 번째 단계는 미들블럭체 거치단계로서, 도 8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들블럭체(120)의 거치앵글(122)과 탑플레이트(240) 사이에 받침부재(260)를 다시 개재하여 상기 미들블럭체(120)와 탑블럭체(130)를 거치 및 지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유압실린더(300)의 로드를 후진시키면 상기 마운트(310)가 하강하더라도 상기 탑블럭체(130)와 미들블럭체(120)는 상기 받침부재(260)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교량빔(20)은 2차 인상된 상태를 유지한다.
아홉 번째 단계는 다른 하나의 미들블럭체(120)를 더 적층하는 미들블럭체 2단적층단계이다. 도 8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플레이트(240)와 미들플레이트(230) 사이에 또 하나의 미들블럭체(120)를 설치하되, 상기 마운트(310) 위에 끼움 조립한다.
열 번째 단계는 교량빔 인상단계 및 미들블럭체 거치단계로서, 도 8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300)를 다시 작동시키면 상기 탑블럭체(130)와 두 미들블럭체(120)는 상승하게 되며, 따라서 교량빔(20)도 3차로 일정 높이만큼 또 인상된다. 여기서, 두 미들블럭체(120) 모두 상기 탑플레이트(240)의 상부로 완전히 상승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하측의 미들블럭체(120)의 거치앵글(122)과 탑플레이트(240) 사이에 받침부재(260)를 개재하여 상기 탑블럭체(130) 및 두 미들블럭체(120)를 거치 및 지지하도록 한다.
열한 번째 단계는 베이스블럭체 설치단계이다. 도 8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플레이트(240)와 미들플레이트(230) 사이에 상기 베이스블럭체(110)를 설치하되, 상기 베이스블럭체(1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앵커(111b)가 상기 마운트(310)의 앵커홈(311)에 삽입되도록 맞춤 결합시킨다.
열두 번째 단계는 교량빔 인상단계이다. 도 8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300)를 다시 작동시켜 상기 탑블럭체(130), 두 개의 미들블럭체(120), 베이스블럭체(110)를 모두 상승시키면, 교량빔(20)도 4차로 인상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블럭체(110)는 상기 탑플레이트(240)의 상부로 완전히 상승한 상태가 되는데, 상기 유압실린더(300)가 상기 인상블럭적층부(100)를 온전히 지탱하고 있게 된다.
열세 번째 단계는 인상블럭트레이부 해체단계이다. 이때, 도 8m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유압실린더(300)는 그대로 남겨진 상태이다.
열네 번째 단계는 턴버클연결봉 설치단계로서, 도 8n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들블럭체(120)와 베이스블럭체(110)를 다른 미들블럭체(120) 및 베이스블럭체(110)와 턴버클연결봉(400)으로 상호 연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교량빔(20)의 양측면에서 고장력봉(30)의 양단을 각각 인상하도록 설치될 뿐 아니라 다른 하나의 인접하는 교량빔(20)의 양측면에도 각각 설치되어 총 4개를 턴버클연결봉(400)으로 상호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4개의 본 발명을 턴버클연결봉(400)으로 연결하면 교량 인상 중에 통행하는 차량에 의한 진동 또는 예기치 못한 지진과 같은 요인에 의해 어느 하나의 장치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좌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미들블럭체(120)와 베이스블럭체(110)에 형성된 턴버클홀(112b,121d)을 통해 상기 턴버클연결봉(400)을 각각 삽입하고 턴버클너트(420)로 체결한 후 상기 턴버클(410)을 조여 각 턴버클연결봉(400)이 인장되게 함으로서 4개의 장치 연결이 완료된다.
더불어 상기 미들블럭체(120)와 베이스블럭체(110)를 상하로 관통하는 전도방지연결핀홀(111a, 122a)에는 전도방지연결핀(430)을 삽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의 유압실린더를 사용하더라도 필요한 높이만큼 교량을 충분히 인상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교각
20 : 교량빔 21 : 코어홀
30 : 고장력봉 40 : 체결너트
100 : 인상블럭적층부 110 : 베이스블럭체
111 : 지지판 111a : 전도방지연결핀홀
112 : 베이스블럭 112a : 앵커홈
112b : 턴버클홀 112c : 앵커홀
120 : 미들블럭체
121 : 수직미들블럭 121a : 앵커홈
121b : 앵커 121c : 앵커홀
121d : 턴버클홀 122 : 거치앵글
122a : 전도방지연결핀홀 123 : 휨보강부재
130 : 탑블럭체 131 : 수직탑블럭
131b : 앵커 131c : 안착홈
132 : 거치앵글 133 : 휨보강부재
134 : 전단보강부재 140 : 봉삽입슬리브
150 : 장착보강판 160 : 보조슬리브
200 : 인상블럭트레이부 210 : 베이스플레이트
211 : 실린더고정대 212 : 기둥고정대
213 : 면진패드 220 : 높이조절앵글
221 : 슬릿 222 : 고정볼트
230 : 미들플레이트 231 : 로드홀
232 : 기둥홀 233 : 처짐방지보
240 : 탑플레이트 241 : 마운트홀
242 : 처짐방지보 243 : 마운트가이드채널
250 : 지지기둥 260 : 받침부재
300 : 유압실린더
310 : 마운트 311 : 앵커홈
400 : 턴버클연결봉 410 : 턴버클
420 : 턴버클너트 430 : 전도방지연결핀
440 : 앵커핀

Claims (13)

  1. 교량빔의 양측에서 교량빔을 관통하는 고장력봉의 양단에 각각 장착하여 교량을 인상하는 장치에 있어서,
    유압실린더 로드 상단에 거치되고 상부면에 앵커홈이 형성된 베이스블럭체와, 하부면에 상기 베이스블럭체의 앵커홈에 삽입되는 돌기 형상의 앵커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앵커홈이 형성되며 하나 이상이 상기 베이스블럭체에 적층될 수 있는 미들블럭체와, 하부면에 상기 미들블럭체의 앵커홈에 삽입되는 앵커가 형성되어 상기 미들블럭체에 안착되는 탑블럭체 및 원형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탑블럭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장력봉이 삽입될 수 있는 봉삽입슬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아래로부터 베이스블럭체, 하나 이상의 미들블럭체, 탑블럭체를 적층하여 상기 고장력봉의 단부에 장착하는 인상블럭적층부;
    상기 인상블럭적층부의 하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인상블럭적층부를 상승시키는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실린더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인상블럭적층부를 거치하여 지지하는 인상블럭트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인상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블럭체는,
    상부면에 앵커홈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앵커가 형성되는 장방형의 수직미들블럭과, 상기 수직미들블럭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단면이 'ㄱ'형상의 거치앵글과,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미들블럭의 측면과 상기 거치앵글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휨보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인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블럭체는,
    하부면에 앵커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상기 봉삽입슬리브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수직탑블럭과,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탑블럭의 양측면에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봉삽입슬리브를 지지하는 전단보강부재와, 상기 각 전단보강부재의 측면에 각각 결합되고 단면이 'ㄱ' 형상의 거치앵글과,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단보강부재의 측면과 상기 거치앵글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휨보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인상장치.
  5.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앵커에는 수평으로 관통하는 앵커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블럭체와 미들블럭체의 상부에는 각 앵커홈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앵커홀이 형성되어,
    앵커핀이 상기 베이스블럭체와 미들블럭체의 앵커홀 및 상기 앵커의 앵커홀에 동시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인상장치.
  6.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블럭체와 미들블럭체의 하부에는 수평으로 관통하는 턴버클홀이 2개씩 형성되고,
    상기 각 턴버클홀에는 4개의 베이스블럭체와 미들블럭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턴버클이 구비된 턴버클연결봉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인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블럭트레이부는,
    중앙에 유압실린더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높이조절앵글;
    상기 높이조절앵글들의 내측에 결합되고, 중앙에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통과할 수 있는 로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미들플레이트;
    상기 높이조절앵글들의 내측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부착되는 마운트가 통과할 수 있는 마운트홀이 형성되며,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탑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미들플레이트를 관통하고 상기 탑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기둥;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미들블럭체의 양측을 거치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인상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플레이트와 탑플레이트는 조립이 가능하도록 각각 2개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인상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플레이트와 탑플레이트의 하부면에는 각각 처짐방지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인상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탑플레이트의 하부면에는 상기 마운트홀의 주위를 둘러 마운트가이드채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인상장치.
  11. 교량을 인상하는 방법에 있어서,
    교량빔 내부를 초음파로 탐상하고 코어홀을 천공하는 천공한 후 고장력봉을 상기 코어홀에 삽입하는 고장력봉 설치단계;
    탑블럭체를 고장력봉의 양단에 장착하는 탑블럭체 장착단계;
    유압실린더가 장착된 인상블럭트레이부를 상기 탑블럭체의 하측에 설치하는 인상블럭트레이부 설치단계;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전진하여 상기 탑블럭체를 상승시킴으로써 교량빔을 인상시키는 교량빔 인상단계;
    상기 인상블럭트레이부에 탑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탑블럭체와 탑플레이트 사이에 받침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탑블럭체를 거치한 후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후진시키는 탑블럭체 거치단계;
    상기 탑블럭체의 하부면에 어느 하나의 미들블럭체를 끼움 조립하는 미들블럭체 1단적층단계;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다시 전진하여 상기 미들블럭체를 상승시킴으로써 교량빔을 인상시키는 교량빔 인상단계;
    상기 미들블럭체와 탑플레이트 사이에 받침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미들블럭체를 거치한 후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후진시키는 미들블럭체 거치단계;
    상기 미들블럭체의 하부면에 베이스블럭체를 끼움 조립하는 베이스블럭체 설치단계;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전진하여 상기 베이스블럭체를 상승시킴으로써 교량빔을 인상시키는 교량빔 인상단계;
    상기 인상블럭트레이부를 해체하는 인상블럭트레이부 해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빔 인상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블럭체 거치단계와 베이스블럭체 설치단계 사이에는,
    상기 미들블럭체의 하부면에 다른 하나의 미들블럭체를 끼움 조립하는 미들블럭체 2단적층단계;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전진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미들블럭체를 상승시킴으로써 교량빔을 인상시키는 교량빔 인상단계;
    상기 다른 하나의 미들블럭체와 탑플레이트 사이에 받침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미들블럭체를 거치한 후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후진시키는 미들블럭체 거치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빔 인상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블럭트레이부 해체단계 다음에는,
    서로 다른 상기 미들블럭체 또는 베이스블럭체를 턴버클연결봉으로 상호 연결하는 턴버클연결봉 설치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빔 인상방법.
KR1020180094607A 2018-08-13 2018-08-13 교량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방법 KR102003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607A KR102003991B1 (ko) 2018-08-13 2018-08-13 교량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607A KR102003991B1 (ko) 2018-08-13 2018-08-13 교량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991B1 true KR102003991B1 (ko) 2019-07-25

Family

ID=67468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607A KR102003991B1 (ko) 2018-08-13 2018-08-13 교량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99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382B1 (ko) 2000-12-01 2003-03-31 코벡주식회사 기존 교좌장치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교량의 교좌장치를포함한 교좌부 보수 및 교체를 하기 위한 잭 받침장치
KR100402954B1 (en) 2002-08-12 2003-10-30 Anpoong Construction Co Ltd Bridge seat system for pulling and preventing fall of bridge beam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20040034368A (ko) 2003-08-22 2004-04-28 김해영 교량의 상부구조물 상승용 잭 받침장치
KR100489626B1 (ko) 2002-05-24 2005-05-17 이승영 교량빔 인상방법 및 그 인상장치
KR100977061B1 (ko) * 2010-02-12 2010-08-24 우혜민 교량의 교좌장치 교체보수용 인상장치가 부설된 피시빔 주형 복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인상 및 인장보수보강공법
KR20160000252A (ko) * 2014-06-24 2016-01-04 구수본 고중량물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382B1 (ko) 2000-12-01 2003-03-31 코벡주식회사 기존 교좌장치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교량의 교좌장치를포함한 교좌부 보수 및 교체를 하기 위한 잭 받침장치
KR100489626B1 (ko) 2002-05-24 2005-05-17 이승영 교량빔 인상방법 및 그 인상장치
KR100402954B1 (en) 2002-08-12 2003-10-30 Anpoong Construction Co Ltd Bridge seat system for pulling and preventing fall of bridge beam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20040034368A (ko) 2003-08-22 2004-04-28 김해영 교량의 상부구조물 상승용 잭 받침장치
KR100977061B1 (ko) * 2010-02-12 2010-08-24 우혜민 교량의 교좌장치 교체보수용 인상장치가 부설된 피시빔 주형 복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인상 및 인장보수보강공법
KR20160000252A (ko) * 2014-06-24 2016-01-04 구수본 고중량물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8379B2 (en) Three axis adjustable mounting system
KR100661375B1 (ko) 교량의 교좌장치 유지보수용 브라켓 구조
KR100948359B1 (ko) 교량받침 기능을 하는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CN102433935B (zh) 隔震支座安装定位架
KR101300073B1 (ko) 거더 인상장치
KR101026012B1 (ko) 교각과 일체화시킨 인양잭을 이용한 교량상판 해체공법
JP6057059B2 (ja) 建物嵩上げ方法、及び、建物構造
KR101971274B1 (ko) 교량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빔 인상방법
KR102368433B1 (ko) 교량받침 교체용 가설장치
KR102003991B1 (ko) 교량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방법
JP6412342B2 (ja) 面状物品用支持架台の構築方法
KR101130166B1 (ko)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 및 방법
KR100944007B1 (ko) 교량 교좌장치 교체보수용 피시빔 인상장치 및 방법
KR101282333B1 (ko) 십자형 지지대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의 인상 지지구조 및 인상 지지구조의 시공방법
KR102045025B1 (ko) 해양구조물용 대형 원통 구조물의 진원도 유지 장치 및 그 제작방법
KR102003990B1 (ko) 교좌장치 보수용 교량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방법
KR100648046B1 (ko) 외적 포스트텐션 방법을 이용한 보 및 거더 보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 및 거더의 보강방법
KR101586376B1 (ko) 인상잭이 설치된 강관을 이용한 구조물 인상공법
CN108166379B (zh) 适用于斜拉桥、悬索桥的可更换式横向抗风结构及方法
KR100452495B1 (ko) 교량상부구조물 보수보강용 지지인상브라켓 및 이를이용한 지지인상방법
KR20210041813A (ko) 거더 조인트
KR101214531B1 (ko) 교량 상판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판 인상 방법
KR200337552Y1 (ko) 교량상부구조물 보수보강용 지지인상브라켓
KR200406524Y1 (ko) 가시설 시스템
US7934887B2 (en) Complementary locking system for locking legs to the deck of an offshore drilling platform and methods for installing one such loc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