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1132A -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 및 보수방법 - Google Patents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 및 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1132A
KR20030091132A KR1020020028574A KR20020028574A KR20030091132A KR 20030091132 A KR20030091132 A KR 20030091132A KR 1020020028574 A KR1020020028574 A KR 1020020028574A KR 20020028574 A KR20020028574 A KR 20020028574A KR 20030091132 A KR20030091132 A KR 20030091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er
block
main body
air induction
indu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0262B1 (ko
Inventor
문병실
Original Assignee
문병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병실 filed Critical 문병실
Priority to KR1020020028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262B1/ko
Publication of KR20030091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1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2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25Manif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37Heating or cooling means therefor
    • B29C45/2738Heating or cooling mean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manif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 및 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부집수장치를 보수하고자할 경우 종래의 스트레이너를 제거하고 상기 스트레이너슬리브에 체결되어서 공기 및 역세척수가 통과되며,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레스스틸(stainless steel)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본체부와, 슬리트와, 나사부로 이루어진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과;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의 상부에 유동됨이 없이 고착되어서 모래등의 여과재층을 지지하며 역세척수 및 공기가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다공판스트레이너와;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의 상부의 여과재층을 보다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의 슬리트를 통과한 역세척수 및 공기의 압력을 균등하게 콘트롤시키도록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블록의 사이에 형성된 압력콘트롤실로 이루어진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 및 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트레이너타입의 하부집수장치를 보수할 경우 기존의 스트레이너블록을 이용하여 최단시간으로 보수를 할 수 있고, 보수완료후에는 스트레이너블록의 상부에 압력콘트롤실이 형성되어 압력실의 역세척수 및 공기가 압력콘트롤실에 의해 일정한 압력으로 분포된 후 다공판스트레이너의 구멍을 통해 균등압력으로 여과재층을 역세시키므로서 역세효율이 향상되고 여과재의 정수시간을 연장하여 여과지의 운영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 및 보수방법{REFAIR STRUCTUR OF UNDERDRAIN SYSTEM AND METHOD THEROF}
본 발명은 정수장 혹은 하수처리장등과 같은 장소에서 안정된 수질을 생산하는 여과지에 있어서 집수 및 역세척수의 균등분배 등의 기능을 하는 하부집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부집수장치의 설비가 노후될 경우 기존의 스트레이너슬리브 및 스트레이너블록을 현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최소의 비용 및 최소 일정으로 노후설비를 보수함과 동시에 보수후에 여과 및 역세척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있는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 및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 혹은 하수처리장등과 같은 장소에서 안정된 수질을 생산하는 여과지에 있어서 집수 및 역세척수의 균등분배 등의 기능을 하는 하부집수장치는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여과지 바닥의 지주상부에 스트레이너를 삽입한 스트레이너블록을 병렬로 배열한 스트레이너타입(STRAINER TYPE)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 상기와 같은 스트레이너타입의 하부집수장치의 일예로서는 대한민국에서 실용신안등록된 실용신안등록 1989-0002202호의 여과지용 집수블록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1989-0002202호의 여과지용 집수블록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A)의 상측 주연에 형성된 절결단턱부(11A)에 의하여 상부몸체(10A')와 하부몸체(10A")로 구분되고, 여과지의 압력실에 설치되는 지주(15A)의 앵커보울트(16A)와 와셔(17A) 및 고정너트(18A)로 체결 고정되어 인접블록사이에 충전되는 시멘트 몰탈로 접합 설치되는 여과지용 집수블록에 있어서, 구형 상부몸체(10A')의 네모서리부를 소정폭으로 절결하여 상기 앵커보울트(16A)와 그에 체결되는 와셔(17A) 및 고정너트(18A)의 일부가 삽입되는 절결부(12A)를 형성하고, 그 상부몸체(10A')의 외측벽 둘레에는 인접블록 사이에 충전되는 시멘트 몰탈이 채워지는 유동방지홈(13A)과 수개의 수직요홈(14A)을 각기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1989-0002202호의 여과지용 집수블록은 각 블록 몸체의 상측 모서리부에 절결부를 형성하여 그 절결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요입부내에 지주의 상단에 돌출되는 앵커보울트와 그 앵커보울트에 체결되는 와셔 및 고정너트가 삽입 고정되게 하고 각 블록몸체의 외측벽에 형성된 유동방지홈과 수직요홈에 의하여 각 블록이 임의로 유동됨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므로, 여과지의 하부에 배열 설치되는 다수의 집수블록이 보다 견고하고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트레이너타입의 하부집수장치는, 지주의 상면의 평활도가 유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트레이너블록이 설치되는 것은 물론이고, 스트레이너블록상부 및 시멘트몰탈부위에 요철과 크랙이 발생되므로서 역세척시 국부적인 역세가 이루어지고, 국부적인 역세로 인해서 여재의 손실과 여과지의 운영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또 한편, 스트레이너타입의 하부집수장치에 있어서, 스트레이너블록에는 스트레인너가 설치되게 되며, 스트레이너도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스트레이너의 일예로서는 대한민국에서 실용신안등록된 실용신안등록 1990-0000119호가 제안되어 있다.
실용신안등록 1990-0000119호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블록의 집수관(1B)에 연결되는 집수공(15B)을 가지는 본체(10B)와 다수개의 종공(21B)이 형성된 캡으로 이루어지는 여과지용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본체(10B)상단의 플랜지부(12B)에 형성된 나사부가 캡(20B)하단의 플랜지부(24B)에형성된 나사홈(23B)에 체결 결합되고, 상기 본체(10B)의 플랜지부(12B)와 그 중앙집수공(15B)의 상단 주연간에 걸쳐 외향 확장된 만곡 경사유도면(16B)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상부캡(20B)의 내부상면에는 상향경사유도면(25B)을 가지는 원추형돌조(26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역세수 상향식 스트레이너는 여과수의 집수 및 역세척수의 분배기능을 가는 스트레이너의 구성에 있어서, 상호 나사식 끼우기로 체결결합되는 본체와 캡 내부의 역세척수 분출 경로상에 소정 경사도를 가지는 상향 경사 유도면을 형성하여 스트레이너 캡의 중공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되는 역세척수가 가능한한 상측 방향으로 분출될 수 있게 구성되므로 여과지의 여과재층을 보다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트레이너는 합성수지(PP 혹은 PE)로 제조되기 때문에 빈번한 파손 및 탈락이 발생되고, 이 파손 및 탈락된 스트레이너의 구멍으로 여재가 통과되어서 여재가 압력실에 퇴적되므로 여과지의 운영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이고, 스트레이너의 파손으로 역세척시 국부적인 역세척이 발생되어서 여재가 역세시 상부로 유출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스트레이너타입의 하부집수장치는, 지주의 상면이 평활도가 유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트레이너블록이 설치되고 스트레이너블록의 시멘트몰탈부분이 파손 혹은 크랙이 발생되는 것은 물론이고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스트레이너의 파손으로 역세척시 국부적인 역세로 여과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스트레이너타입의 하부집수장치를 장시간 사용으로 보수할 경우 스트레이너블록을 전량 교체하여야 하므로서 과다한 공사기간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이고 과다한 경비가 소요된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레이너타입의 하부집수장치의 노후로 인해서 하부집수장치를 보수할 경우 기존의 스트레이너블록을 이용하여 최단시간에 최소의 비용으로 보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스트레이너블록의 상부에 압력콘트롤실을 형성시켜서 역세척수 및 공기를 여과지의 전반에 걸쳐 일정한 수두로 공급하여 여과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세척하여 세척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고 여과재의 정수시간을 연장시키므로서 단위 여과지당 정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 및 보수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예에 적용되는 등록실용신안 1989-0002202호의 여과지용 집수블록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등록실용신안 1989-0002202호의 여과지용 집수블록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종래예에 적용되는 등록실용신안 1990-0000119호의 여과지용 역세수 상향식 스트레이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등록실용신안 1990-0000119호의 여과지용 역세수 상향식 스트레이너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에 의해 구성된 여과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과 스트레이너블록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의 내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베이스면 11...지주
20...스트레이너블록 21...와셔
22...앙커보울트 30...압력실
40...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 41...본체부
42...슬리트 43.,.나사부
44...탑플레이트 45...하부체
46...장공홈 50...다공판스트레이너
60...압력콘트롤실 70...보강수단
71...고정보울트 72...와셔
73...너트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는, 정수장 혹은 하수처리장등과 같은 장소에서 안정된 수질을 생산하는 여과지(濾過池)의 베이스면과, 상기 베이스면으로부터 다수개 돌출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와셔를 매개로 앙커보울트에 의해 견고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스트레이너슬리브가 매설된 스트레이너블록과, 상기 스트레이너블록과 상기 베이스면에 의해 형성된 압력실로 이루어진 하부집수장치를 보수하는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에 있어서; 하부집수장치를 보수하고자할 경우 종래의 스트레이너를 제거하고 상기 스트레이너슬리브에 체결되어서 공기 및 역세척수가 통과되며,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레스스틸(stainless steel)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통공되어서 상기 스트레이너블록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 공기 및 역세척수가 통과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슬리트와, 상기 슬리트가 형성된 상기 본체부가 상기 스트레이너블록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스트레이너슬리브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부로 이루어진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과;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의 상부에 유동됨이 없이 고착되어서 모래등의 여과재층을 지지하며 역세척수 및 공기가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다공판스트레이너와;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의 상부의 여과재층을 보다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의 슬리트를 통과한 역세척수 및 공기의 압력을 균등하게 콘트롤시키도록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블록의 사이에 형성된 압력콘트롤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부집수장치의 보수방법은, 정수장 혹은 하수처리장등과 같은 장소에서 안정된 수질을 생산하는 여과지(濾過池)의 베이스면과, 상기 베이스면으로부터 다수개 돌출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와셔를 매개로 앙커보울트에 의해 견고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스트레이너슬리브가 매설된 스트레이너블록과, 상기 스트레이너블록과 상기 베이스면에 의해 형성된 압력실로 이루어진 하부집수장치를 보수하는 하부집수장치의 보수방법에 있어서; 기존의 하부집수장치를 보수하고자할 경우 상기 스트레이너블록의 스트레이너슬리브에 결합된 종래의 스트레이너를 상기 스트레이너블록으로부터 탈거시키는 탈거스텝과; 상기 탈거스텝에서 상기 스트레이너블록으로부터 종래의 스트레이너를 탈거시킨 후,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을 상기 스트레이너블록의 스트레이너슬리브에 나사결합시키는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결합스텝과;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결합스텝에서 상기 스트레이너블록의 스트레이너슬리브에 나사결합된 다수의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을 탑플레이트의 상면 모두가 수평이 되도록 본체부를 회전시켜서 레벨을 조정하는 레벨조정스텝과; 상기 레벨조정스텝에서 수평을 이룬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의 탑플레이트의 상부에 다공판스트레이너가 수평이 유지되도록 재치시키는 다공판스트레이너재치스텝과;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재치스텝에 의해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를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에 재치시킨 후,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의 탑플레이트와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를 일체로 고착시켜서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블록의 사이에 압력콘트롤실을 형성시키는 압력콘트롤실생성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 및 보수방법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에 의해 구성된 여과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과 스트레이너블록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의 내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있어서, 10은 정수장 혹은 하수처리장등과 같은 장소에서 안정된 수질을 생산하는 여과지(濾過池)의 베이스면으로서, 그 상부에는 다수의 지주(11)가 돌설되어 있다.
또, 상기 지주(11)의 상부에는 스트레이너블록(20)이 와셔(21)를 매개로 앙커보울트(22)에 의해 견고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면(10)과 상기 스트레이너블록(20)의 사이에는 역세척시 역세척수 및 공기가 공급되는 압력실(30)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스트레이너블록(20)에는 종래의 스트레이너가 체결되는 스트레이너슬리브(23)가 매설되어 있다.
한편, 그림에서 부호 40은 하부집수장치를 보수하고자할 경우 종래의 스트레이너를 제거하고 상기 스트레이너슬리브(23)에 체결되어서 공기 및 역세척수가 통과되는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으로서, 12%이상의 Cr성분이 첨가되어서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레스스틸(stainless steel)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통공되어서 상기 스트레이너블록(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본체부(41)와, 상기 본체부(41)로 공기 및 역세척수가 통과되도록 상기 본체부(41)에 형성된 슬리트(42)와, 상기 슬리트(42)가 형성된 상기 본체부(41)가 상기 스트레이너블록(2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스트레이너슬리브(23)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본체부(41)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부(43)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40)의 상단에는 다수의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40)의 상단이 보다 효율적으로 평행상태로 교정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의 재질로 이루어진 탑플레이트(44)가 상기 본체부(4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40)의 나사부(43)의 하부에는 상기 스트레이너블록(20)의 하면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압력실(30)에 위치되는 장공홈(46)이 형성된 하부체(45)가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하부체(45)는 상기 본체부(4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본체부(41)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그림에서 부호 50은,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40)의 상부에 유동됨이 없이 고착되어서 모래등의 여과재층을 지지하며 역세척수 및 공기가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다공판스트레이너로서,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50)에 천공되는 구멍은 여과지의 물에 함유된 이물질이 필터링되도록 함과 동시에 역세척시 역세척수 및 공기가 국부적으로 분포됨이 없이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천공되며, 2-4mm의 직경으로 m2당1500-2000개의 구멍이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50)와 상기 스트레이너블록(20)의 사이에는,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50)의 상부의 여과재층을 보다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40)의 슬리트(42)를 통과한 역세척수 및 공기의압력을 균등하게 콘트롤시키는 압력콘트롤실(60)이 형성되어 있다.
또 한편, 그림에서 부호 70은,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50)가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40)의 상부에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50)의 지지를 보강하는 보강수단으로서, 상기 앙커보울트(22)의 상측과 결합되는 고정보울트(71)와, 상기 고정보울트(71)의 머리부와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50)의 사이에 위치된 와셔(72)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보강수단(70)은 상기 고정보울트(71)와 와셔(72)로 이루어져 상기 앙커보울트(22)의 상부에 위치되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앙커보울트(22)의 머리부에 너트(73)를 용접시킨 후 상기 고정보울트(71)를 나사결합시켜서 상기 보강수단(7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50)와 상기 스트레이너블록(20)사이의 상기 보강수단(70)의 외측에는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50)를 보다 더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무수축몰타르(M)를 충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하부집수장치의 보강구조의 보강방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기존의 하부집수장치를 보수하고자할 경우 상기 스트레이너블록(20)의 스트레이너슬리브(23)에 결합된 종래의 스트레이너를 상기 스트레이너블록(20)으로부터 탈거시킨다.
이때, 상기 스트레이너블록(20)의 상부에 요철이 생기거나 크랙이 발생된 부분이 있을 경우 무수축몰타르를 이용하여서 요철부위 및 크랙부위를 보완해주는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스트레이너블록(20)으로부터 종래의 스트레이너를 탈거시킨 후에는,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40)을 상기 스트레이너블록(20)의 스트레이너슬리브(23)에 나사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40)을 상기 스트레이너블록(20)의 스트레이너슬리브(23)에 나사결합시킨 후에는, 다수의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40)의 탑플레이트(44)가 모두 수평이 되도록 상기 본체부(41)를 회전시켜서 레벨을 조정한다.
또, 상기 본체부(41)를 회전시켜서 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40)의 탑플레이트(44)를 모두 수평을 유지시킨 후에는,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50)를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40)의 상부에 재치시켜서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50)의 수평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50)를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40)에 재치시킨 후에는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40)의 탑플레이트(44)와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50)를 저항용접 혹은 전기압점등에 의해서 일체로 고착시켜서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50)와 상기 스트레이너블록(20)의 사이에 압력콘트롤실(60)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50)를 보다 견고하게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4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보강수단(70)을 상기 앙커보울트(22)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강수단(70)의 외측에는 무수축몰타르(M)를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서 하부집수장치를 보수할 경우, 기존의 스트레이너블록을 철거함이 없이 하부집수장치를 보수하므로서 최단시간에 최소의 비용으로 하부집수장치를 보수할 수 있게 된다.
또, 여과재층을 지지하는 다공판스트레이너의 수평도가 유지되고 다공판스트레이너와 스트레이너블록의 사이에 압력콘트롤실이 형성되므로서 역세척시 공기와 물이 상기 압력콘트롤실에서 고르게 분포된 후 일정한 압력으로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의 구멍을 통해 역세되므로서 역과재층을 보다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고, 이로 인해서 여과재의 정수시간을 연장시키므로서 단위 여과지당 정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 및 보수방법에 의하면, 스트레이너타입의 하부집수장치를 보수할 경우 기존의 스트레이너블록을 이용하여 최단시간으로 보수를 할 수 있고, 보수완료후에는 스트레이너블록의 상부에 압력콘트롤실이 형성되어 압력실의 역세척수 및 공기가 압력콘트롤실에 의해 일정한 압력으로 분포된 후 다공판스트레이너의 구멍을 통해 균등압력으로 여과재층을 역세시키므로서 역세효율이 향상되고 여과재의 정수시간을 연장하여 여과지의 운영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정수장 혹은 하수처리장등과 같은 장소에서 안정된 수질을 생산하는 여과지(濾過池)의 베이스면(10)과, 상기 베이스면(10)으로부터 다수개 돌출된 지주(11)와, 상기 지주(11)의 상부에 와셔(21)를 매개로 앙커보울트(22)에 의해 견고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스트레이너슬리브(23)가 매설된 스트레이너블록(20)과, 상기 스트레이너블록(20)과 상기 베이스면(10)에 의해 형성된 압력실(30)로 이루어진 하부집수장치를 보수하는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에 있어서;
    하부집수장치를 보수하고자할 경우 종래의 스트레이너를 제거하고 상기 스트레이너슬리브(23)에 체결되어서 공기 및 역세척수가 통과되며,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레스스틸(stainless steel)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통공되어서 상기 스트레이너블록(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본체부(41)와, 상기 본체부(41)로 공기 및 역세척수가 통과되도록 상기 본체부(41)에 형성된 슬리트(42)와, 상기 슬리트(42)가 형성된 상기 본체부(41)가 상기 스트레이너블록(2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스트레이너슬리브(23)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본체부(41)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부(43)로 이루어진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40)과;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40)의 상부에 유동됨이 없이 고착되어서 모래등의 여과재층을 지지하며 역세척수 및 공기가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다공판스트레이너(50)와;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50)의 상부의 여과재층을 보다 효율적으로 세척할수 있도록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40)의 슬리트(42)를 통과한 역세척수 및 공기의 압력을 균등하게 콘트롤시키도록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50)와 상기 스트레이너블록(20)의 사이에 형성된 압력콘트롤실(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40)의 상단에는 다수의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40)의 상단이 보다 효율적으로 평행상태로 교정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의 재질로 이루어진 탑플레이트(44)가 상기 본체부(4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앙커보울트(22)의 상부에는,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50)가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40)의 상부에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50)의 지지를 보강하는 보강수단(70)이 설치되고,
    상기 보강수단(70)은, 상기 앙커보울트(22)의 상측과 결합되는 고정보울트(71)와, 상기 고정보울트(71)의 머리부와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50)의사이에 위치된 와셔(7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
  4. 정수장 혹은 하수처리장등과 같은 장소에서 안정된 수질을 생산하는 여과지(濾過池)의 베이스면(10)과, 상기 베이스면(10)으로부터 다수개 돌출된 지주(11)와, 상기 지주(11)의 상부에 와셔(21)를 매개로 앙커보울트(22)에 의해 견고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스트레이너슬리브(23)가 매설된 스트레이너블록(20)과, 상기 스트레이너블록(20)과 상기 베이스면(10)에 의해 형성된 압력실(30)로 이루어진 하부집수장치를 보수하는 하부집수장치의 보수방법에 있어서;
    기존의 하부집수장치를 보수하고자할 경우 상기 스트레이너블록(20)의 스트레이너슬리브(23)에 결합된 종래의 스트레이너를 상기 스트레이너블록(20)으로부터 탈거시키는 탈거스텝과;
    상기 탈거스텝에서 상기 스트레이너블록(20)으로부터 종래의 스트레이너를 탈거시킨 후,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40)을 상기 스트레이너블록(20)의 스트레이너슬리브(23)에 나사결합시키는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결합스텝과;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결합스텝에서 상기 스트레이너블록(20)의 스트레이너슬리브(23)에 나사결합된 다수의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40)을 탑플레이트(44)의 상면 모두가 수평이 되도록 본체부(41)를 회전시켜서 레벨을 조정하는 레벨조정스텝과;
    상기 레벨조정스텝에서 수평을 이룬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40)의 탑플레이트(44)의 상부에 다공판스트레이너(50)의 수평이 유지되도록 재치시키는 다공판재치스텝과;
    상기 다공판재치스텝에 의해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50)를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40)에 재치시킨 후, 상기 레벨교정용물공기유도관(40)의 탑플레이트(44)와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50)를 일체로 고착시켜서 상기 다공판스트레이너(50)와 상기 스트레이너블록(20)의 사이에 압력콘트롤실(60)을 형성시키는 압력콘트롤실생성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집수장치의 보수방법.
KR1020020028574A 2002-05-23 2002-05-23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 및 보수방법 KR100540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574A KR100540262B1 (ko) 2002-05-23 2002-05-23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 및 보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574A KR100540262B1 (ko) 2002-05-23 2002-05-23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 및 보수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818U Division KR200289122Y1 (ko) 2002-05-23 2002-05-23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132A true KR20030091132A (ko) 2003-12-03
KR100540262B1 KR100540262B1 (ko) 2006-01-16

Family

ID=32384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574A KR100540262B1 (ko) 2002-05-23 2002-05-23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 및 보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26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103B1 (ko) * 2009-06-25 2012-02-22 문정석 급속 여과지의 하부 집수장치용 집수관
KR101441246B1 (ko) * 2013-06-26 2014-09-17 추지화 다공성여재지지물과 연결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트레이너형 하부집수장치
WO2016178520A1 (ko) * 2015-05-04 2016-11-10 주식회사 부강테크 생물여과장치용 스트레이너 블럭
KR101720236B1 (ko) * 2015-11-12 2017-04-03 주식회사 지승개발 균등간격으로 매립된 스트레이너를 갖는 하부집수장치
CN112939117A (zh) * 2021-03-12 2021-06-11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液体自动加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8322A (en) * 1989-07-11 1991-07-02 The Graver Company Low profile underdrain strainer assembly with improved distribution/fastening means
KR200156598Y1 (ko) * 1997-09-30 1999-09-01 염병호 급속여과지의 하부집수장치
KR200242554Y1 (ko) * 1999-05-12 2001-09-25 김현택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KR100367097B1 (ko) * 2000-01-10 2003-01-14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103B1 (ko) * 2009-06-25 2012-02-22 문정석 급속 여과지의 하부 집수장치용 집수관
KR101441246B1 (ko) * 2013-06-26 2014-09-17 추지화 다공성여재지지물과 연결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트레이너형 하부집수장치
WO2016178520A1 (ko) * 2015-05-04 2016-11-10 주식회사 부강테크 생물여과장치용 스트레이너 블럭
KR101720236B1 (ko) * 2015-11-12 2017-04-03 주식회사 지승개발 균등간격으로 매립된 스트레이너를 갖는 하부집수장치
CN112939117A (zh) * 2021-03-12 2021-06-11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液体自动加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0262B1 (ko) 2006-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8056B2 (en) Filter underdrain system for backwash flow and method for measuring same
JPH04326905A (ja) ろ過装置の暗きょ分配器のためのキャップおよびろ過装置のための暗きょ装置
KR100540262B1 (ko)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 및 보수방법
US5976370A (en) Underdrain structure for media filters
KR100916327B1 (ko) 세척력 증강기능을 갖는 반 침전 회전 디스크 필터형 여과장치
US7410578B2 (en) Underdrai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0289122Y1 (ko)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법
KR100997116B1 (ko)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100756820B1 (ko) 물과 공기에 의해 역세척이 가능한 하부집수장치
WO1999047232A1 (en) Method for using a gravity filter
KR101441246B1 (ko) 다공성여재지지물과 연결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트레이너형 하부집수장치
KR200156598Y1 (ko) 급속여과지의 하부집수장치
KR200417138Y1 (ko) 하부집수장치의 w형유공블록
KR200190730Y1 (ko) 여과기공기 역세척 산기장치
KR100575848B1 (ko) 하부집수장치용 유공블럭 지지장치 및 유공블럭 시공방법
KR200225090Y1 (ko) 여과지 스트레이너블럭 노즐
KR200225613Y1 (ko) 급속여과지용 스트레이너블럭
KR100655166B1 (ko) 하부집수장치의 w형유공블록
KR100659401B1 (ko) 급속 여과지의 집수장치
RU2664527C2 (ru) Дренажно-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с водовоздушной промывкой
KR100737840B1 (ko) 복합 일체형 하부집수장치 시공방법 및 그 하부집수장치
JP2968688B2 (ja) 集配水装置
KR200273289Y1 (ko) 원통형 망목구조를 갖는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KR100510879B1 (ko) 호기성 생물 여과장치의 하부지지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100530613B1 (ko) 여과지 하부 집수실의 공기균등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