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090Y1 - 여과지 스트레이너블럭 노즐 - Google Patents

여과지 스트레이너블럭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090Y1
KR200225090Y1 KR2020000034732U KR20000034732U KR200225090Y1 KR 200225090 Y1 KR200225090 Y1 KR 200225090Y1 KR 2020000034732 U KR2020000034732 U KR 2020000034732U KR 20000034732 U KR20000034732 U KR 20000034732U KR 200225090 Y1 KR200225090 Y1 KR 2002250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aper
strainer block
nozzle
filter
str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7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0000347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0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0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090Y1/ko

Links

Landscapes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즐장치,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장이나 하수처리장의 고도처리용여과장치로 사용되는 여과지에 있어서, 여과지 역세척시 여과지의 하부에 설치되는스트레이너블럭의 노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의 여과지의 스트레이너블럭 노즐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지(2) 하단에스트레이너블럭(6)이 설치되며, 스트레이너블럭(6)의 상부에는 역세척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노즐(7)이 구비되며, 노즐(7)의 구성은 여재막힘방지막(7a)과 역세척수유출구(7b), 너트(7c)와 안이 통공되어 있는 보울트(7d)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지 스트레이너블럭 노즐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스트레이너블럭 노즐장치를 여과지에 설치하여 사용시, 여재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역세척시 균등하게 공기와 물을 분사시켜 기존 역세척의 단점으로 지적되어온 부분적인 여과층 폐색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여재층내의 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가 있어 항상 일정한 여과효율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여과지 스트레이너블럭 노즐{Strainer block nozzle for sand filters}
스트레이너블럭은 여과지의 지지자갈층 하부에 설치되는 설비로서 여재층을지지하고 여과수의 집수 및 역세척수의 균등배분 등의 기능을 가진다.
스트레이너블럭의 기능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역세척시 균등한 유량배분이다. 역세척시에 유량의 분배가 평면적으로 균일하지 않으면 역세척 수압이 불충분한 부분이 발생하여 여재층의 부분적 폐쇄가 서서히 발생한다. 부분적 폐쇄가 발생한 여과지에서는 여과속도가 균일하지 않게 되며, 여과속도가 매우 빠른 부분이 생겨서 여과수의 수질이 악화되고 여과지속 시간이 감소되게 된다. 그러므로 스트레이너블럭은 역세척수의 여재층내로의 분사과정에 있어서 단면을 충분히 유지함으로서 수두손실을 적게 하고 수압의 평면적인 균일화를 도모하여 균등한 물과 공기의 분배를 도모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스트레이너블럭은 작은 손실수두로서 균등분포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일수록 장치로서는 우수하지만 물의 유통에 의한 저항이 적으므로 반대로 하부집수부 등 유출측에서의 수위변동이 여과지내에 전달되어 여과지를 교란시키기가 쉽다.
그러므로 손실수두가 적은 스트레이너블럭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하부측에서수리적으로 연속되지 않도록 하부집수부 등 유출측 수위변동 등이 적은 구조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스트레이너블럭이 수리적조건 이외에는 필요한 조건으로는 내식 및 내구성이 큰 재질로 만들어져 저판에 견고히 고정될 필요가 있다. 즉 장치는 상시 수류에 노출되고 또 세척시에는 염소와 접촉되므로 내식성이 큰 것이라야 한다. 또 여재층의 중량에 견디어야 하고 세척시에는 급격한 수압에 견딜 수 있는 역학적 강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스트레이너블럭이 파손되면 역세척이 불균등하게 되어 모래가 압력실을 통과하여 하부집수부까지 유출하고 여러 가지 문제점 발생의 원인이 된다.
본 고안은 스트레이너 블록의 역세척 노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과지의 역세척단계에서 역세척수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여과지 하부에 설치하는 스트레이너블럭의 노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여과공정은 여과지내에 물을 채워넣고 급속식 여과나 완속식여과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이 두가지 공정은 여과속도면에서는 차이가 있으나 모두 일정기간 여과후 역세척을 하여야 한다는 특징이 있다.
여과층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역세척공정의 수행시에여과지 하부의 역세척수 공급관을 통해 역세척수와 공기가 펌프에 의해 여과지내로 뿜어지게 되며, 이러한 공정을 거쳐 여과층에 부착되어 있던 이물질 등은 탈리되어 역세척수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여과는 원수의 유입방향에 따라 상항류식과 하향류식으로 나뉘어지는데 하향류식의 경우 여과지 하부에 역세척을 할 수 있는 노즐장치가 필요하며, 통상의 경우 스트레이너블럭에 구멍을 뚫어 사용해왔다.
그러나 통상의 스트레이너블럭의 구멍사이에 여재가 막히어 역세척시 역세척펌프의 동력을 높여주어야 하는 등의 단점이 나타났으며 이에따라 역세척 효율이 감소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 언급한 종래의 여과지 하부에 설치되어 역세척수와 공기를 공급해주는 스트레이너블럭의 노즐장치를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역세척공기 유입구에 여재층이 막히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효율을 지니고 있는 정수처리나 하수처리용 여과지의 스트레이너블럭 노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스트레이너블럭 노즐 장치가 여과지 하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절개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레이너블럭 노즐 구성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트레이너블럭에 노즐장치를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 : 스트레이너블럭 7 : 노즐
7a : 여재막힘방지막 7b : 역세척수유출구
7c : 너트 7d : 보울트(가운데 통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통상의 여과지의 스트레이너블럭 노즐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지(2) 하단에 스트레이너블럭(6)이 설치되며, 스트레이너블럭(6)의 상부에는 역세척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노즐(7)이 구비되며, 노즐(7)의 구성은 여재막힘방지막(7a)과 역세척수유출구(7b), 너트(7c)와 가운데가 통공되어 있는 보울트(7d)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블럭 노즐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트레이너블럭 노즐장치는 도1의 상세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스트레이너 판부재에 다수 부착되어 있어서 역세척시 상기 판부재 하부로부터 상부로 공기나 물을 공급하여 여과층에 부착된 미생물과 이물질 등을 탈리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고안에 작동원리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여과지(2) 장치에 있어서 여과층(3, 4, 5)이 적치되어 있는 전체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처리과정은 상부 일측면에서 원수유입관(1)을 통해 유입된 원수는 여과층(3, 4, 5)를 거치면서 하부집수장치로 모이게 되고 이때 하부집수부 상부의 스트레이너블럭(6)을 통과하게 된다. 하부집수부에 모인 여과수는 최종적으로 처리수배출관(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여과가 진행되는 필연적으로 여과층(3, 4, 5)내에 이물질 등이 부착되게 되며 이를 탈리시키기 위한 일련의 공정을 역세척이라 한다. 역세척공정은 역세척수공급관(10)을 통해 공기와 물이 유입되게되며, 역세된 물은 역세척수배출관(9)을 통해 제거된다.
이때 역세척이 잘되게 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이너블럭 노즐(7) 부위의 폐색을방지하여야 하나, 기존 장치의 경우 폐색방지를 목적으로 스트레이너공의 크기에 맞는 자갈의 직경과 자갈층의 두께를 적정하게 유지시켜, 세립자의 유실을 방지하고 스트레이너노즐(7)의 폐색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스트레이너 노즐(7)을 통해 공급된 역세척수가 노즐부위에 적치된 자갈 등의 공극차이로 인해 균등한 수압의 분배가 어려워졌고, 이 때문에 역세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기존 스트레이너블럭의 노즐장치가 역세척시 균등압력을 여과지 전체에 분배할 수 있게끔 안출한 것으로 도 2와 3을 들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노즐(7)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노즐(7) 장치부에는 여재막힘방지막(7a), 역세척수 유출구(7b), 너트(7c), 보울트(7d)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역세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역세척수공급관(10)을통해 유입된 공기와 물은 여과층 하부에 설치된 스트레이너블럭(6)을 통과하게 되고, 이때 스트레이너블럭(6)의 상부에는 노즐장치(7)가 설치되게 된다.
노즐장치(7)의 고정은 노즐장치(6)의 하부가 보울트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스트레이너블럭 판부재에 간편히 돌려 삽입시키면 설치가 완료된다.
역세척을 위하여 공급된 역세척수는 가운데가 뚫려져 있는 통공된 보울트(7d)를 통해 상부로 이송되게 되며, 이후 역세척수유출구(7b)를 통해 여재층으로 이송된다. 이때 역세척수유출구(7b)의 외측면에는 여재층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여재막힘방지막(7a)을 설치하여 여재의 막힘으로 인한 손실수두를 방지하였으며, 이의 재질은 상부 여재층을 지지하고 내식성을 지닌 고강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졌다.
여재층의 포설은 노즐(7)의 상부까지 적치되게 되며, 이때 여재막힘 방지막(7a)의 주위로는 균등한 입자의 자갈을 포설해 주는 것이 좋다.
통상적인 여과지에서는 스트레이너공에 맞추어 자갈을 포설하였기 때문에 자갈층과의 마찰손실이 많아 동력비가 많이 소모되었으나, 본 고안의 경우 여재막힘방지막(7a)를 통과한 후 일정압력이 여과지(2)에 균등분배된 상태에서 역세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소요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이 스트레이너블럭(6) 판부재에 노즐(7) 장치가 부착되게 역세척이 수행되며, 노즐(7) 장치의 부착은 여과지(2)의 크기에 맞게 다수개를설치할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스트레이너블럭 노즐(7) 장치를 기존 여과장치에 설치하게 되면, 역세척 공정에서 본 고안에 의해 안출된 노즐장치(7)를 통해 여과지 하부에 균등한 공기압이 분배되기 때문에, 역세척 공기와 물을 일정한 압력으로 상부 여재층까지 공급할 수 있어 여재층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항상 일정한 여과효율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통상의 여과지의 스트레이너블럭 노즐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지(2) 하단에스트레이너블럭(6)이 설치되며; 스트레이너블럭(6)의 상부에는 역세척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노즐장치(7)가 구비되며; 노즐(7)의 구성은 여재막힘방지막(7a)과 역세척수유출구(7b), 너트(7c)와 가운데가 통공되어 있는 보울트(7d)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블럭 노즐
  2. 상기 1항에 있어서 노즐장치(7)의 고정은 스트레이너블럭 판부재에 간편히 돌려 삽입시킬 수 있도록 노즐장치(6)의 하부가 보울트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세척수유출구(7b)의 외측면에는 여재층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여재막힘방지막(7a)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지 스트레이너블럭 노즐
KR2020000034732U 2000-12-11 2000-12-11 여과지 스트레이너블럭 노즐 KR2002250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732U KR200225090Y1 (ko) 2000-12-11 2000-12-11 여과지 스트레이너블럭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732U KR200225090Y1 (ko) 2000-12-11 2000-12-11 여과지 스트레이너블럭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090Y1 true KR200225090Y1 (ko) 2001-05-15

Family

ID=73092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732U KR200225090Y1 (ko) 2000-12-11 2000-12-11 여과지 스트레이너블럭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0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303B1 (ko) * 2002-07-08 2008-10-27 주식회사 포스코 습식 집진기의 볼 세척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303B1 (ko) * 2002-07-08 2008-10-27 주식회사 포스코 습식 집진기의 볼 세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64390C (en) Cap for underdrains in gravity filters
US5690824A (en) Septic system screened pump vault
US5232592A (en) Cap for underdrains in gravity filters
CN204734994U (zh) 多层过滤分离清洗的污水过滤装置
WO2004014513A1 (ja) 濾過装置
EP1185348B1 (en) Filter underdrain
KR20060028396A (ko) 정지 상태의 직물 매체 여과
JPH03114502A (ja) ストレーナ組立体
KR200225090Y1 (ko) 여과지 스트레이너블럭 노즐
KR200225613Y1 (ko) 급속여과지용 스트레이너블럭
KR200418627Y1 (ko) 공기를 이용한 샤워폐수 여과장치
KR100949058B1 (ko) 여과장치
KR200227931Y1 (ko) 역세척 기능을 향상시킨 스트레이너블럭
KR101350537B1 (ko) 멀티 화이버층을 이용한 여과장치 및 그 역세방법
KR101441246B1 (ko) 다공성여재지지물과 연결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트레이너형 하부집수장치
KR200220279Y1 (ko) 폐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0884825B1 (ko) 수평 여과에 의한 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271089B1 (ko) 자동 역세 사여과기의 다공성 플레이트 장치
KR101168374B1 (ko) 여과와 역세척이 가능한 물 여과장치
JP4299396B2 (ja) 気水分配装置及びその気水分配装置を用いた水処理装置
JP4593086B2 (ja) 濾過装置
KR200273289Y1 (ko) 원통형 망목구조를 갖는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JP2002028406A (ja) 複数の浄水ユニットからなる浄水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並びに浄水ユニット
JPH08257312A (ja) 濾過設備
JP2002018497A (ja) 汚泥濾過濃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