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0345A -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의 말단부 구조 - Google Patents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의 말단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0345A
KR20030090345A KR1020020028615A KR20020028615A KR20030090345A KR 20030090345 A KR20030090345 A KR 20030090345A KR 1020020028615 A KR1020020028615 A KR 1020020028615A KR 20020028615 A KR20020028615 A KR 20020028615A KR 20030090345 A KR20030090345 A KR 20030090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ip
laser light
laser
otorhinolaryngology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6018B1 (ko
Inventor
이상조
Original Assignee
(주)메가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가메디칼 filed Critical (주)메가메디칼
Priority to KR10-2002-0028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6018B1/ko
Publication of KR20030090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0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4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05B2240/221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horizontal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공 원통형의 접촉팁의 하단부에 배치된 pn 접합형 레이저 반도체 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접합열을 방열시키는 히트싱크에 접촉하는 히트싱크 접촉돌기와 이 접촉돌기에서 전열된 열을 접촉팁에 전달하는 접촉팁 결합부와 전원선을 관통시키는 통로를 구비한 전열부를 pn 접합형 레이저 반도체 다이오드와 접촉팁 사이에 연결함으로써 히트싱크에서 방열되는 열을 이용하여 접촉팁을 가온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가열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접촉팁을 가온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촉팁이 환자의 이비인후에 접촉되었을 때 환자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치료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의 말단부 구조{TERMINAL STRUCTURE OF OTORHINOLARYNGOLOGY LASER BEAM IRRADIATOR}
본 발명은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의 말단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촉팁이 가온되도록 구성된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의 말단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저출력 에너지의 레이저광을 환자의 이비인후에 조사하여 이비인후 질환을 치료하는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는, 온/오프 스위치, 레이저광 강도 조절 버튼 및 시간표시부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가 구비된 본체와, 중공 원통형의 접촉팁의 하단부에 레이저 반도체 다이오드를 배치한 말단부와, 말단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본체와 레이저 반도체 다이오드를 연결하는 전원선이 내부를 관통하는 파지부로 구성되어 있다.
작동시, 말단부의 접촉팁을 환자의 이비인후에 접촉시킨 후 본체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전원선을 통해 레이저 반도체 다이오드에 소정의 전류를 인가하면, 저출력 에너지의 레이저광이 접촉팁의 중공 내부를 관통하여 환자의 이비인후에 조사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의 말단부는 그 접촉팁이 단열되어 차가운 상태로 있으며, 따라서 접촉팁이 차가운 상태로 환자의 이비인후에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환자의 이비인후에 차가운 상태의 접촉팁이 접촉하게 되면, 환자에게 거부감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중공 원통형의 접촉팁의 하단부에 배치된 pn 접합형 레이저 반도체 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접합열을 방열시키는 히트싱크에 접촉하는 히트싱크 접촉돌기와 이 접촉돌기에서 전열된 열을 접촉팁에 전달하는 접촉팁 결합부와 전원선을 관통시키는 통로를 구비한 전열부를 pn 접합형 레이저 반도체 다이오드와 접촉팁 사이에 연결함으로써 히트싱크에서 방열되는 열을 이용하여 접촉팁을 가온시키도록 구성된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의 말단부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에 사용되는 레이저 반도체 다이오드의 정면 사시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의 말단부 구조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의 말단부 구조는, 온/오프 스위치, 레이저광 강도 조절 버튼 및 시간표시부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가 구비된 본체와, 중공 원통형의 접촉팁의 하단부에 레이저 반도체 다이오드를 배치한 말단부와, 말단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본체와 레이저 반도체 다이오드를 연결하는 전원선이 내부를 관통하는 파지부로 구성된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1)에 배치되는 레이저 반도체 다이오드(10)는, 리드선(12)이 관통하여 외부에 대향되게 돌출된 환형의 베이스(11) 내에 원형의 히트싱크(13)를 끼워맞추고 상기 히트싱크(13) 상에 반도체 장착부(14) 및 pn 접합형 반도체 소자(15)를 부착하고, 이 반도체 소자(15)와 리드선(12)을 전선(16)으로 연결한 다음, 반도체 소자(15)의 상부에 플라스틱 렌즈(17)를 씌운 구조이고, 상기 말단부(1)의 접촉팁(20)의 하부에는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하부 중앙에 히트싱크 접촉돌기(3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양측부에 접촉팁 결합부(33)가 형성된 단면 U자형의 전열부(30)가 체결되고, 상기 히트싱크 접촉돌기(31)와 접촉팁 결합부(33) 사이에는 상기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의 본체에 연결된 전원선(34)을 관통시키는 통로(3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의 말단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에서는 레이저광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반도체 다이오드로서 액상 성장으로 만든 비소화갈륨(Ga-As) 등의 반도체 소자를 pn 접합한 pn 접합형 레이저 반도체 다이오드를 사용한다. 도 1에 도시된바와 같이, pn 접합형 레이저 반도체 다이오드(10)는, 리드선(12)이 관통하여 외부에 대향되게 돌출된 환형의 베이스(11) 내에 원형의 히트싱크(13)를 끼워맞추고, 이 히트싱크(13) 상에 반도체 장착부(14) 및 반도체 소자(15)를 부착하고, 이 반도체 소자(15)와 리드선(12)을 전선(16)으로 연결한 다음, 반도체 소자(15)의 상부에 플라스틱 렌즈(17)를 씌운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레이저 반도체 다이오드(10)의 리드선(12)에 2.5V, 300 ~ 350㎃의 전류를 인가하면 파장이 650㎚이고 출력이 5㎽인 저출력 에너지의 레이저광이 조사된다. 또한, 이러한 pn 접합형 반도체 소자(15)는 그 접합부에서 열이 발생되어 온도가 상승하는데, 이러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도체 소자(15)의 하면에 히트싱크(13)를 밀접하게 설치하여 열을 다이오드의 외부로 방출하고 있다. 본 발명은 히트싱크(13)에서 방출되는 열을 이용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의 말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의 말단부(1)는, 중공 원통형의 접촉팁(20)의 하단부에 레이저 반도체 다이오드(10)를 배치하되, 레이저 반도체 다이오드(10)의 하면의 히트싱크(13)와 접촉팁(20)의 하부를 연결하는 단면 U자형 전열부(30)를 히트싱크(13)와 접촉팁(20) 사이에 설치한 것이다.
전열부(30)는 알루미늄 등의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하부 중앙에 히트싱크 접촉돌기(3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양측부에 접촉팁 결합부(33)가 형성된 단면 U자 형상이다. 히트싱크 접촉돌기(31)와 접촉팁 결합부(33) 사이에는,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의 본체(미도시)에 연결된 전원선(34)을 관통시키는통로(35)가 형성되어 있다. 전원선(34)은 통로(35)를 관통한 후 레이저 반도체 다이오드(10)의 리드선(12)에 연결된다.
접촉팁 결합부(33)는 접촉팁(20)의 하부에 체결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팁(20)의 직경을 전열부(30)의 직경보다 작게 한 다음, 접촉팁 결합부(33)의 내주면에 암나사부(37)를 형성하고 접촉팁(20)의 하부 외주면에 수나사부(21)를 형성하여 접촉팁 결합부(33)의 수나사부(39)를 접촉팁(20)의 암나사부(21)에 체결하여 결합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접촉팁(20)의 직경을 전열부(30)의 직경보다 크게 한 다음, 접촉팁 결합부(33)의 외주면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접촉팁(20)의 하부 내주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접촉팁 결합부(33)의 수나사부를 접촉팁(20)의 암나사부에 체결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변경적으로, 접촉팁 결합부(33)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을 접촉팁(20)의 하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억지 끼워맞춤할 수 있다.
또한, 접촉팁(20)의 상단부에는 아크릴 소재로 만든 첨단부(23)가 설치될 수도 있다.
작동시, 레이저 반도체 다이오드(10)에 2.5V, 300 ~ 350㎃의 전류를 인가하면 파장이 650㎚이고 출력이 5㎽인 저출력 에너지의 레이저광이 조사된다. 이때, pn 접합형 반도체 소자(15)의 접합부에서 발생된 열은 반도체 소자(15) 하면에 부착된 히트싱크(13)로 방출되는데, 히트싱크(13)에는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 단면 U자형 전열부(30)의 히트싱크 접촉돌기(31)가 접촉되어 있으므로 히트싱크(13)의열이 히트싱크 접촉돌기(31)를 통해 양측부의 접촉팁 결합부(33)로 전달되고 접촉팁 결합부(33)로 전달된 열은 다시 접촉팁(20)의 하부로 전달되어 접촉팁(20)을 가온시키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의 말단부 구조에 의하면, 중공 원통형의 접촉팁의 단하부에 배치된 pn 접합형 레이저 반도체 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접합열을 이용하여 접촉팁을 가온시키므로 별도의 가열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접촉팁을 가온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촉팁이 환자의 이비인후에 접촉되었을 때 환자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치료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온/오프 스위치, 레이저광 강도 조절 버튼 및 시간표시부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가 구비된 본체와, 중공 원통형의 접촉팁의 하단부에 레이저 반도체 다이오드를 배치한 말단부와, 말단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본체와 레이저 반도체 다이오드를 연결하는 전원선이 내부를 관통하는 파지부로 구성된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1)에 배치되는 레이저 반도체 다이오드(10)는, 리드선(12)이 관통하여 외부에 대향되게 돌출된 환형의 베이스(11) 내에 원형의 히트싱크(13)를 끼워맞추고 상기 히트싱크(13) 상에 반도체 장착부(14) 및 pn 접합형 반도체 소자(15)를 부착하고, 이 반도체 소자(15)와 리드선(12)을 전선(16)으로 연결한 다음, 반도체 소자(15)의 상부에 플라스틱 렌즈(17)를 씌운 구조이고,
    상기 말단부(1)의 접촉팁(20)의 하부에는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하부 중앙에 히트싱크 접촉돌기(3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양측부에 접촉팁 결합부(33)가 형성된 단면 U자형의 전열부(30)가 체결되고,
    상기 히트싱크 접촉돌기(31)와 접촉팁 결합부(33) 사이에는 상기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의 본체에 연결된 전원선(34)을 관통시키는 통로(3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의 말단부 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30)를 만들기 위한 전도성 재료는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의 말단부 구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팁(20)의 직경은 상기 전열부(30)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접촉팁 결합부(33)의 내주면에 암나사부(37)를 형성하고, 상기 접촉팁(20)의 하부 외주면에 수나사부(21)를 형성하여 상기 접촉팁 결합부(33)의 수나사부(39)를 상기 접촉팁(20)의 암나사부(21)에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의 말단부 구조.
KR10-2002-0028615A 2002-05-23 2002-05-23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의 말단부 구조 KR100476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615A KR100476018B1 (ko) 2002-05-23 2002-05-23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의 말단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615A KR100476018B1 (ko) 2002-05-23 2002-05-23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의 말단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345A true KR20030090345A (ko) 2003-11-28
KR100476018B1 KR100476018B1 (ko) 2005-03-10

Family

ID=32384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615A KR100476018B1 (ko) 2002-05-23 2002-05-23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의 말단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60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185B1 (ko) * 2012-07-19 2013-10-04 (주)비겐의료기 광화학적 치료용 레이저 다이오드의 조립체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95580B2 (en) * 1986-06-30 1990-04-05 Medical Laser Research Co., Ltd. Semiconductor laser therapeutic apparatus
JPH0595958A (ja) * 1991-03-28 1993-04-20 Olympus Optical Co Ltd レーザプローブ
KR200232775Y1 (ko) * 2001-02-21 2001-10-06 안승만 휴대용 이비인후과질환 치료기
KR100457964B1 (ko) * 2001-06-22 2004-11-18 주식회사 메리디안 레이저빔 조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6018B1 (ko)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0817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delivering phototherapy to a patient
KR101198903B1 (ko) 의료용 엘이디 광 조사 장치
US10384075B2 (en) Light irradiation substrate
JP6919845B2 (ja) 光線療法用照明エンジン
US6857873B2 (en) Optical system for a dental handpiece for polymerization of photosetting compounds or resins
US4742235A (en) Optical treatment device
JP6466561B2 (ja) 光照射装置、及び光照射装置の製造方法
JP2011518599A (ja) レーザー脱毛症治療器
JP2010046518A (ja) ニキビ処置装置および方法
US10702702B2 (en) Light irradiation substrate and light irradiation device
US20040243114A1 (en) Laser beam irradiation device
CN108465159A (zh) 一种光美容装置
JP2012090950A (ja) 光治療装置
KR101954236B1 (ko) 휴대용 중이염 치료기
KR101367893B1 (ko) 온열 및 광마사지기
WO2023274359A1 (zh) 一种用于脱毛的led光源模组与led脱毛仪
AU681376B2 (en) Light emitting diode source for photodynamic therapy
KR100476018B1 (ko) 이비인후 치료용 레이저광 조사장치의 말단부 구조
JP2001252363A (ja) レーザ光照射プローブ
JP2002272762A (ja) 光硬化装置
DE68926221D1 (de) Medizinische anordnung zur anwendung von lokalisiertem licht und lokalisierter wärme hoher intensität, insbesondere zur vernichtung des endometriums
KR101429448B1 (ko) 정온발열히터를 구비한 진동 맛사지 겸용 피부미용 기구
KR102225675B1 (ko) 레이저 치료와 온열 시술이 가능한 신체 착용형 다파장 레이저 통증 치료기기
JPH04322668A (ja) 治療用レーザ装置
JP2013542819A (ja) 薬光熱灸治療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