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9296A -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9296A
KR20030089296A KR1020020027456A KR20020027456A KR20030089296A KR 20030089296 A KR20030089296 A KR 20030089296A KR 1020020027456 A KR1020020027456 A KR 1020020027456A KR 20020027456 A KR20020027456 A KR 20020027456A KR 20030089296 A KR20030089296 A KR 20030089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iquid crystal
light
crystal display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7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9296A/ko
Publication of KR20030089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29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램프를 U자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램프의 숫자를 줄이고 리턴 와이어를 제거한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개시한다. 복수의 램프는 U자 형상을 갖고서 광을 발생시키고, 리플렉터는 램프의 구부러진 부위를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램프를 수납하며, 램프 홀더는 램프의 전극부를 고정한다. 이로써, 램프 및 인버터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리턴 와이어를 제거할 수 있어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고 리턴 와이어 처리에 따른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LAMP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램프를 U자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램프의 숫자를 줄이고 리턴 와이어를 제거한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기술개발의 결과로써 제품의 소형화, 경량화가 가속화되면서 지금까지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CRT(Cathode Ray Tube)를 대체할 새로운 수단이 개발되고 있다. CRT는 성능이나 가격적인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갖고 있지만, 현대 사회의 새로운 요구인 소형화, 경량화 및 휴대성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액정표시장치는 소형화, 경량화, 저전력 소비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현재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필요로 하는 거의 모든 정보 처리 기기에 장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의 특정한 분자배열에 전압을 인가하여 다른 분자배열로 변환시키고 이러한 분자 배열에 의해 발광하는 액정셀의 복굴절성, 선광성, 2색성 및 광산란 특성 등의 광학적 성질의 변화를 시각 변화로 변환하는 것으로, 액정셀에 의한 빛의 변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액정표시장치는 자체적으로 빛을 발하지 못하기 때문에, 내부에 구비된 백라이트를 이용하여 액정 패널을 조명하여 영상을 제공한다. 액정 패널의 광 투과율은 인가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조절되며, 이에 대응되어 정지된 화상이나 움직이는 화상이 액정 패널 상에 디스플레이 된다.
현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는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lamp)를 광원으로 사용한다. 냉음극형광램프는 발광 소재와 원리에 있어 일반적인 형광램프와 큰 차이가 없으면서 저전류 동작이 가능하고 발열량이 적으며 수명이 길다는 장점을 갖는다. 냉음극형광램프는 그 내벽에 형광체가 도포된 유리관과 상기 관의 양단에 부착된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유리관은 아르곤과 같은 희박 가스와 정량의 수은으로 봉입된다.
상기 전극들 간에 전압이 가해지면, 전자들이 방출되어 상기 유리관 내의 가스를 이온화시킨다. 이온과 전자의 이온화 및 재결합에 의해 253.7㎚의 방전이 개시되며, 이것은 수은을 여기시켜 254㎚의 자외선이 발생된다. 상기 자외선은 관벽에 도포된 형광체를 자극시켜 가시광선이 방출된다.
도 1은 종래의 램프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램프 어셈블리(100)는 램프(110), 램프 홀더(120), 제1 램프 와이어(130), 제2 램프 와이어(140) 및 리플렉터(미도시)로 이루어진다.
램프 어셈블리(100)는 하나의 램프(110)와 램프(110) 양측에 구비된 램프 전극(미도시)과 솔더링되어 연결되는 2개의 램프 와이어(130, 140) 그리고 램프(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인버터(미도시)가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나의 램프(110)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램프(110)의 전극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램프 와이어(130, 140)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인버터로부터 거리가 먼 전극부의 경우, 램프(110)의 전극부로부터 인버터까지의 길이에 해당하는 램프 와이어(140)가 구비되어야 한다.
즉, 램프 어셈블리(100)는 인버터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램프 전극부와 연결되는 짧은 제1 램프 와이어(130)와 인버터로부터 거리가 먼 램프 전극부와 연결되는 제2 램프 와이어(140)를 구비한다.
제2 램프 와이어(140)는 인버터와 연결되기 위하여, 인버터 방향으로 배선되어야 한다. 그러나, 램프(110)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제2 램프 와이어(140)가 차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2 램프 와이어(14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리플렉터의 뒷면을 따라 인버터와 연결된다.
제2 램프 와이어(140)의 길이가 길어지면, 제2 램프 와이어(140)에 전류의 누설이 발생할 수 있게 되고, 인버터의 트랜스 용량이 늘어나게 되어 소비전력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램프(110)의 수가 2개 이상인 경우에도, 각각의 램프(110)마다 인버터가 구비되어하고 인버터를 수납하는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므로 액정표시장치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종래의 직하방식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직하방식의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확산시트(210), 확산판(220), 램프(251), 리플렉터(260) 및 수납용기(270)로 이루어진다.
광은 램프(251)로부터 방사상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액정표시패널(미도시)로 광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램프(251)의 하측에 리플렉터(260)가 구비된다.
리플렉터(260)는 액정표시패널의 반대쪽으로 진행하는 광을 다시 액정표시패널(미도시) 방향으로 출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자형 램프(25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길이가 짧은 제1 램프 와이어(253)와 길이가 긴 제2 램프 와이어(254)가 구비되어야 하고, 제1 램프 와이어(253)와 제2 램프 와이어(254)는 인버터와 연결되기 위해 일정 방향으로 배선된다.
길이가 긴 제2 램프 와이어(254)는 램프(251)로부터 발생된 광을 차단하지 않도록 리플렉터(260)의 뒷면을 따라 인버터쪽으로 배선해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이에 따라 배선 작업에 따른 공수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2 램프 와이어(254)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누설 전류가 발생하여 인버터의 트랜스 용량이 늘어나게 되어 소비전력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직하방식의 백라이트 어셈블리(200)의 경우, 램프(251)가 다수 개이고 인버터의 수도 다수 개가 구비되므로 이에 따라 해당 인버터들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의 부족을 초래하고, 액정표시장치의 전체적인 크기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램프가 U자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램프의 숫자 및 인버터의 숫자를 줄여 제품의 원가를 절감하도록 하며, 제품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리턴 와이어를 제거함으로써 인버터의 트랜스 용량을 줄여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리턴 와이어의 처리에 따른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는 램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램프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램프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직하방식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지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램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고정 클립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하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램프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600 : 액정표시장치320, 620 :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
351, 671 : U자형 램프355, 680 : 리플렉터
356, 681 : 고정 클립380, 690 : 몰드 프레임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램프 어셈블리는, U자 형상을 가지고, 광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램프; 수납 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램프를 수납하며, 상기 램프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된 리플렉터; 및 상기 램프의 전극부를 고정하는 램프 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U자 형상을 갖고 광을 발생시키는 램프와, 상기 램프를 수납하며, 상기 램프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된 리플렉터와, 상기 램프의 전극부를 고정하는 램프 홀더를 갖는 램프 어셈블리; 측벽에 인접 배치되는 상기 램프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가이드하여 출사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된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 및 상기 도광판과 상기 램프 어셈블리를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U자 형상을 갖고 광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램프와, 상기 램프를 수납하며, 상기 램프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된 리플렉터와, 상기 램프의 전극부를 고정하는 램프 홀더를 갖는 램프 어셈블리; 상기 램프 어셈블리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램프에서 발생된 광을 확산시켜 출사하는 확산부재; 상기 확산부재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 및 상기 램프 어셈블리와 상기 확산부재을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에 의하면, U자형 램프를 사용함으로써 램프의 숫자와 인버터의 숫자를 반으로 줄일 수 있어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부품의 개수가 줄어들어 제품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고, 리턴 와이어를 제거함으로써 인버터의 트랜스 용량을 줄여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으며 리턴 와이어의 처리에 따른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램프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특히 에지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지방식의 액정표시장치(300)는 크게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320)와 백라이트 어셈블리(330)로 구성된다.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320)는 액정표시패널(323), 게이트 TCP(Tape carrier Package : 이하 'TCP'라 한다)(324), 게이트 인쇄회로기판(325), 데이터 TCP(326), 데이터 인쇄회로기판(327)으로 이루어져, 백라이트 어셈블리(330)로부터 제공되는 광에 응답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보다 상세히는, 액정표시패널(323)은 RGB의 색화소가 구비된 컬러필터 기판(321)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322) 및 이들의 사이에 봉입되는 액정(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게이트 TCP(324)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과 연결되어, 게이트 인쇄회로기판(325)으로부터 제공되어 박막 트랜지스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게이트 신호를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에 출력한다.
데이터 TCP(326)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오스단과 연결되어, 데이터 인쇄회로기판(327)으로부터 제공되어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신호를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오스단에 출력한다.
한편,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32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광을 필요로 하는데, 이를 위하여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320)의 하측에는 백라이트 어셈블리(330)가 구비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330)는 선광원을 면광원으로 바꾸어 출사시키는 도광판(360), 도광판(360)의 측면에 구비되어 광을 발생시키는 램프 어셈블리(350), 도광판(360)의 상측에 구비되어 도광판(360)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광학 시트(340), 도광판(360)의 하측에 구비되어 도광판(360)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액정표시패널(323)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370) 및 이들을 수납하는 몰드 프레임(380)을 포함한다.
여기서, 몰드 프레임(380)은 백라이트 어셈블리(330)를 수납하며,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320)를 고정시키는 탑 샤시(310)와 대향하여 결합한다.
도 4는 상기한 도 3에 도시된 램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한 도 4에 도시된 고정 클립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에지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램프 어셈블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램프 어셈블리(350)는 U자형 램프(351), 램프 홀더(352), 제1 램프 와이어(353), 제2 램프 와이어(354), 리플렉터(355) 및 고정 클립(356)으로 구성된다.
U자형 램프(351)는 램프 홀더(352)와 고정 클립(356)에 의해 지지된다. 즉, U자형 램프(351)의 양 전극부(미도시)는 램프 홀더(352)에 의해서 지지되고, U자형 램프(351)의 구부러진 부위는 리플렉터(355)의 바닥면에 구비된 고정 클립(356)에 의해서 지지된다.
도 4에서는 고정 클립(356)이 U자형 램프(351)의 구부러진 부위를 지지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U자형 램프(351)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U자형 램프(351)는 램프 홀더(352)와 리플렉터(355)의 바닥면에 구비된 고정 클립(356)에 의해 리플렉터(355)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구비된다.
U자형 램프(351)의 양 전극부는 U자형 램프(351)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및 제2 램프 와이어(353, 354)와 연결된다.
U자형 램프(351)는 램프 튜브(도면번호 미부여)가 구부러져 있으므로, U자형 램프(351)의 양 전극부는 인버터와 동일한 거리에 놓여지게 되며, 인버터와 연결되는 제1 램프 와이어(353) 및 제2 램프 와이어(354)는 동일한 길이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램프 어셈블리(350)에 있어서, U자형 램프(351)의 전극부가 인버터와 인접하여 위치하므로, 리플렉터(355)의 뒷면으로 돌아서 오는 리턴와이어가 제거된다.
리플렉터(355)는 대향하는 2개의 측벽과 바닥면을 구비하여 하나 이상의 U자형 램프(351)를 내부에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U자형 램프(351)에서 발생되는 광은 방사상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도광판(360)의 반대측으로 진행하는 광을 다시 도광판(360) 측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U자형 램프(351)는 일자형 램프에 비해, 구부러진 부위에서도 광이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광을 도 3에 도시된 도광판(360) 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U자형 램프(351)의 구부러진 부위에 인접하는 바닥면의 에지로부터 연장된 측벽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 클립(356)은 리플렉터(355)의 바닥면상에 U자형 램프(351)의 개수만큼 구비되며, U자형 램프(351)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의 홀(356a)이 형성되어 있으며, 홀(356a)의 일측은 U자형 램프(351)의 구부러진 부위에 끼워지도록 개구되어 있다.
고정 클립(356)은 U자형 램프(351)와 접하는 부위에서 발생되는 광을 차단하지 않고, 도 3에 도시된 도광판(360) 측으로 출사시킬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개구부(356b)의 폭이 U자형 램프(351)의 외경보다 작더라도, 개구부(356b)의 폭이 쉽게 벌어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일예로 고정 클립(356)은 투명한 실리콘이나 피.이.티(PolyEthylene Terephthalate : PET), PMMA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물론 고정 클립을 구성하는 투명 재질은 램프에 최근접하게 배치되므로 램프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둔감한 재질 또는 내열성을 갖어야 함은 자명하다.
따라서 U자형 램프(351)가 끼워진 후, 고정 클립(356)의 개구부(356b)는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여 U자형 램프(351)를 지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특히 직하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한 도 6의 램프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하방식의 액정표시장치(600)는 크게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620)와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640)로 구성된다.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620)는 컬러필터 기판(621)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622)과 이들 사이에 봉입된 액정(미도시)으로 이루어진 액정표시패널(623)과, 액정표시패널(623)을 구동시키는 게이트 인쇄회로기판(625), 데이터 인쇄회로기판(627), 게이트 TCP(624) 및 데이터 TCP(626)로 이루어진다.
백라이트 어셈블리(640)는 광을 액정표시패널(623)에 제공하는 램프 어셈블리(660), 상기 광을 확산시켜 액정표시패널(623) 측으로 출사시키는 확산판(650) 및 확산판(650)과 램프 어셈블리(660)를 수납하기 위한 몰드 프레임(69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면상에서는 확산부재로서 확산판(650)만을 도시하였으나, 확산부재는 확산판(650)의 상부에 확산시트나, 로우(low) 프리즘 시트, 어퍼(upper) 프리즘 시트, 보호 시트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확산판(650)은 상기한 각종 광학 시트들을 지지하기 위해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램프 어셈블리(660)는 U자 형상을 갖고 광을 발생시키는램프(671), U자형 램프(671)의 전극부를 감싸는 램프 홀더(672), U자형 램프(671)의 전극부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램프 와이어(673, 674), 리플렉터(680) 및 리플렉터(680)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고정 클립(681)으로 이루어진다.
램프(671)는 U자 형상을 가지도록 구부려져 있으며, 하나의 U자형 램프(671)를 사용함으로써 일자형 램프 2개를 사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직하방식의 액정표시장치(600)는 일반적으로 다수개의 램프를 구비하므로, U자형 램프(671)를 사용함으로써, 램프의 수를 줄일 수 있고, 각각의 램프에 연결된 인버터의 수도 줄일 수 있다.
U자형 램프(671)의 양 전극부는 램프 홀더(672)에 의해서 지지되고, U자형 램프(671)의 구부러진 부위는 리플렉터(680)의 바닥면에 구비된 고정 클립(681)에 의해서 지지된다.
따라서 U자형 램프(671)의 양 전극부는 램프 홀더(672)에 의해서 리플렉터(68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구비되고, U자형 램프(671)의 구부러진 부분은 고정 클립(681)에 의해서 리플렉터(68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구비된다.
U자형 램프(671)의 양 전극부(미도시)는 U자형 램프(671)의 구동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및 제2 램프 와이어(673, 674)와 연결된다. U자형 램프(671)의 양 전극부는 인버터와 동일한 거리에 놓여지게 되어 제1 램프 와이어(673)와 제2 램프 와이어(674)는 동일한 길이를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은 램프 어셈블리(660)에 있어서, U자형 램프(671)의 전극부가 인버터와 인접하여 구비되어 리플렉터(680)의 뒷면으로 돌아서 오는 리턴 와이어가 제거된다. 따라서 리플렉터(680)는 리턴 와이어를 수납하기 위하여 리플렉터의 바닥면이 돌출된 형상을 가질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리플렉터(680)는 대향하는 2개의 측벽과 바닥면을 구비하여 하나 이상의 U자형 램프(671)를 내부에 수납하며, U자형 램프(671)로부터 발생되어 액정표시패널(623)의 반대측으로 진행하는 광을 다시 액정표시패널(623) 측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일자형 램프는 비발광영역이 양 전극부에 존재하나, U자형 램프(671)의 경우 양 전극부가 일측에 구비되므로 비발광영역이 일측에만 존재한다.
즉, U자형 램프(671)의 경우 구부러진 부위에서도 광이 발생하기 때문에,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구부러진 부위에 인접한 리플렉터(680)의 바닥면의 에지로부터 연장된 측벽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 클립(681)은 리플렉터(680)의 바닥면상에 U자형 램프(671)의 개수만큼 구비되며, U자형 램프(671)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의 홀(681a)이 형성되고 홀(681a)의 일측이 개구되어 있어 U자형 램프(671)의 구부러진 부위와 결합하여 지지한다.
고정 클립(681)은 U자형 램프(671)의 구부러진 부위에서 발생된 광을 차단하지 않고, 상기 광을 액정표시패널(623) 측으로 출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개구부(681b)의 폭이 U자형 램프(671)의 외경보다 작더라도 개구부(681b)의 폭이 쉽게 벌려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판(650)의 상측에는 미들 샤시(630)가 구비된다. 미들 샤시(630)는 확산판(650)과 접하여 확산판(650)을 몰드 프레임(690) 측으로 가압한다.
여기서 백라이트 어셈블리(640)를 수납하는 몰드 프레임(690)은 액정표시패널(623)의 상측에 구비되는 탑 샤시(610)와 대향하여 결합한다.
상기 직하방식의 액정표시장치(600)에 있어서 고정 클립(681)은 U자형 램프(671)의 구부러진 부위를 고정시키는데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U자형 램프(671)의 일측을 지지하면 된다.
이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램프 및 인버터의 숫자를 줄일 수 있어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부품의 개수가 줄어들어 부품의 수납공간을 줄여 제품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리턴 와이어가 제거됨으로써, 램프 와이어의 길이가 줄어들고 그 결과 인버터의 트랜스 용량이 감소되어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으며 리턴 와이어의 처리에 따른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다.

Claims (6)

  1. U자 형상을 가지고, 광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램프;
    수납 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램프를 수납하며, 상기 램프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된 리플렉터; 및
    상기 램프의 전극부를 고정하는 램프 홀더를 포함하는 램프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램프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의 홀을 구비하고, 상기 홀의 일측이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램프에서 발생하는 광을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램프의 구부러진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어셈블리.
  5. U자 형상을 갖고 광을 발생시키는 램프와, 상기 램프를 수납하며, 상기 램프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된 리플렉터와, 상기 램프의 전극부를 고정하는 램프 홀더를 갖는 램프 어셈블리;
    측벽에 인접 배치되는 상기 램프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가이드하여 출사하는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된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 및
    상기 도광판과 상기 램프 어셈블리를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6. U자 형상을 갖고 광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램프와, 상기 램프의 하면에 위치하며, 상기 램프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된 리플렉터와, 상기 램프의 전극부를 고정하는 램프 홀더를 갖는 램프 어셈블리;
    상기 램프 어셈블리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램프에서 발생된 광을 확산시켜 출사하는 확산수단;
    상기 확산수단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 및
    상기 램프 어셈블리와 상기 확산수단을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20027456A 2002-05-17 2002-05-17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300892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456A KR20030089296A (ko) 2002-05-17 2002-05-17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456A KR20030089296A (ko) 2002-05-17 2002-05-17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296A true KR20030089296A (ko) 2003-11-21

Family

ID=32383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456A KR20030089296A (ko) 2002-05-17 2002-05-17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9296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3564A (ja) * 1991-10-22 1993-05-07 Sony Corp 液晶バツクライトユニツト
JPH0764083A (ja) * 1993-08-31 1995-03-10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照明装置,バックライト,液晶表示装置および表示用照明装置
JPH0845327A (ja) * 1994-07-29 1996-02-16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バックライ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H08271896A (ja) * 1995-03-30 1996-10-18 Harrison Denki Kk 照明装置
JP2000123604A (ja) * 1998-10-09 2000-04-28 Seiko Epson Corp 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3564A (ja) * 1991-10-22 1993-05-07 Sony Corp 液晶バツクライトユニツト
JPH0764083A (ja) * 1993-08-31 1995-03-10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照明装置,バックライト,液晶表示装置および表示用照明装置
JPH0845327A (ja) * 1994-07-29 1996-02-16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バックライ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H08271896A (ja) * 1995-03-30 1996-10-18 Harrison Denki Kk 照明装置
JP2000123604A (ja) * 1998-10-09 2000-04-28 Seiko Epson Corp 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848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JP5240746B2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KR20060131248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70039698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2004145295A5 (ko)
KR20060131242A (ko) 냉음극 형광램프, 이의 제조 방법, 이를 갖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액정표시장치
KR20070023271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30083177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7771072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070055049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060005610A (ko) 평판 형광 램프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US7503682B2 (en) Backlight unit
KR20080017551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06008575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액정표시장치
US20060138964A1 (en) Discharge gas,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JP2005085689A (ja) 面状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KR20070052390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30089296A (ko)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150196B1 (ko) 액정표시장치용 형광램프
KR20070072662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100091458A (ko) 발광 램프,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KR20050055099A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60132230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60040865A (ko) 램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6001651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