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8639A - 진공 청소기의 배기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의 배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8639A
KR20030088639A KR1020020026459A KR20020026459A KR20030088639A KR 20030088639 A KR20030088639 A KR 20030088639A KR 1020020026459 A KR1020020026459 A KR 1020020026459A KR 20020026459 A KR20020026459 A KR 20020026459A KR 20030088639 A KR20030088639 A KR 20030088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vacuum cleaner
filter
exhaust por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4900B1 (ko
Inventor
황만태
정회길
정원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6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900B1/ko
Publication of KR20030088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9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청소기 본체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시각적으로 쉽게 눈에 띄지 않도록 함으로써 청결하지 못한 부위의 노출로 인한 시각적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한 배기필터를 쉽게 청소 또는, 교체를 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그 장착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진공 청소기의 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실내의 각종 오염물이 흡입되어 집진되며, 그 양측면에는 한 쌍의 바퀴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어 진공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팬이 축결합된 구동모터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양측면 중 최소 어느 하나의 바퀴가 장착되는 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가 장착된 공간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와, 상기 배기구의 공기 토출측에 장착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 속의 미세 오염물을 집진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고정을 위해 상기 본체의 가이드부에 체결되는 덮개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배기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의 배기 장치{device for exhausting of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진공 청소기의 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흡입력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기로서, 일반 빗자루나 기타 청소 도구로는 청소가 곤란한 구석진 곳 및 기타 장소의 청소를 위해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진공 청소기는 도시한 도 1 및 도 2와 같이 크게 흡입된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봉투(11) 및 상기 이물질의 흡입을 위해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력 발생부를 갖는 청소기 본체(10)와,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연결되어 실내의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체(2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흡입력 발생부는 팬(13)과 모터(12)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구체(20)와 청소기 본체(10) 사이에는 흡입호스(31), 손잡이부(32), 연장관(33) 등이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후면에는 집진봉투(11)를 통과한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구(14)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구(14)에는 배기필터(15)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12)의 구동에 의한 팬(13)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흡입력이 발생되면 흡입구체(20)를 통해 외부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의 흡입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흡입된 외부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은 연장관(33), 손잡이부(32) 그리고, 흡입호스(31)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본체 내의 집진봉투(11)로 안내된다.
이와 함께, 상기 외부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이 집진봉투(1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각종 이물질은 집진봉투 내에 집진되고, 미세 먼지를 포함한 공기만이 흡입력 발생부가 구비된 공간으로 유입된다.
계속해서, 상기 공기는 배기구(14)를 통해 청소기 본체(10)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외부 공기가 배기구(1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 먼지는 상기 배기구에 구비된 배기필터(15)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진공 청소기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장소로의 이동을 수행하면서 청소의 진행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는 청소기 본체(10)의 양측면에 바퀴(16)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음에 따라 가능하다.
특히, 도시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퀴(16)의 내측면에후크(16a)가 형성되고, 청소기 본체(10)의 양 측부에는 상기 후크(16a)가 끼워질 수 있음과 함께 상기 후크(16a)가 끼워진 상태로써 바퀴(16)가 회동될 수 있도록 걸림부(10a)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퀴(16) 및 청소기 본체(10) 상호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진공 청소기는 하기하는 각종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최근의 추세가 진공 청소기의 디자인적인 면을 점차 개선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상기한 배기구(14)는 청소기 본체(10)의 후면에 노출된 상태임을 고려할 때 상기 배기구(14) 주변이 배출되는 공기로 인해 오염될 수 있기 때문에 시각적인 불쾌감을 유발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특히, 배기필터(15)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지 못한다면 상기 배기구(14) 주변의 오염 정도가 더욱 심화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청소기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된 문제점이 있다.
둘째, 청소기 본체(10)의 배기구(14)에 구비되는 배기필터(15)는 그 빈번한 사용 및 청결함의 유지를 위해 자주 청소를 해 주어야만 하지만, 상기 배기필터(15)의 청소를 위해서는 청소기 본체(10)를 분해하여야만 하였던 번거러움이 있다.
즉, 배기필터(15)가 청소기 본체(10) 내부에 장착되었기 때문에 상기 배기필터(15)의 청소나 교체를 위해서는 진공 청소기 전체의 분해를 수행하여야만 하였던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배기필터(15)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기 어려워 배기구(14)의 막힘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배기구(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청소기를 구성하는 바퀴(16)는 그 기능에 비하여 장착되는 면적이 상당히 넓기 때문에 여타의 기능 부가를 위한 구현 면적의 제한이 이루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본체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시각적으로 쉽게 눈에 띄지 않도록 함으로써 청결하지 못한 부위의 노출로 인한 시각적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배기필터를 쉽게 청소 또는, 교체를 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그 장착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종래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종래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의 본체와 바퀴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 는 도 3의 바퀴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장치가 적용된 진공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6 은 도 5의 진공 청소기를 평면에서 본 요부 단면도
도 7 은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8a 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8b 는 도 8a의 부위를 단면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청소기 본체101. 집진 공간
102. 흡입력 발생 공간 103. 장착부
110. 배기구111. 격벽
111a. 통공120. 필터부
121. 테두리122. 연결대
123. 중앙축124. 배기필터
130. 덮개부131. 제2걸림턱
132. 배출공133. 유동 안내편
140. 바퀴150. 가이드부
151. 제1걸림턱160. 포집필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실내의 각종 오염물이 흡입되어 집진되며, 그 양측면에는 한 쌍의 바퀴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 내에 구비되어 진공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팬이 축결합된 구동모터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의 양측면 중 최소 어느 하나의 바퀴가 장착되는 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가 장착된 공간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배기구와, 상기 배기구의 공기 토출측에 장착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 속의 미세 오염물을 집진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고정을 위해 상기 본체의 가이드부에 체결되는 덮개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배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 5 내지 도 8b를 참조로 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시한 도 5는 본 발명의 배기장치가 적용된 진공 청소기의 바퀴 장착 부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는 청소기 본체(100)의 양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된 배기구(110)와, 상기 배기구(110)의 공기 유출측에 장착되는 필터부(120)와, 상기 필터부(120)를 고정하는 덮개부(130)로 크게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청소기 본체(100)는 실내의 각종 오염물이 흡입되는 흡입구체(2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내부는 도시한 도 6과 같이 상기 오염물이 집진되는 집진 공간(101)과, 흡입력이 발생되는 흡입력 발생 공간(102)을 가진다.
상기 집진 공간(101)에는 오염물을 집진하도록 집진 봉투(11)가 구비되며, 상기 흡입력 발생 공간에는 흡입력의 발생을 위한 팬(13) 및 모터(12)가 구비된다.
이와 함께, 상기 흡입력 발생 공간(102)은 배기구(110)와 연통된다.
이 때, 상기 배기구(110)는 청소기 본체(100)의 양측면 중 바퀴(140)가 장착되는 부위에 대하여 대략 상기 바퀴(140)의 크기와 유사한 크기로 관통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120)는 배기구(110)의 공기 유출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구(110)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 속의 미세 오염물을 집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필터부(120)는 둘레면을 이루는 테두리(121)와, 상기 테두리(121)의 내측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연결대(122)와, 상기 각 연결대(122)에 의해 테두리(121)와 연결되는 중앙축(123)과, 상기 중앙축(123) 및 테두리(121) 사이에 구비된 배기필터(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배기필터(124)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산과 골이 반복되는 부채 형상으로 구성함을 제시한다.
물론, 상기 필터부(120)는 연결대(122) 및 중앙축(123)을 형성할 필요없이 테두리(121)와 배기필터(124)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130)는 상기 필터부(120)의 고정을 위해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가이드부(150)에 체결된다.
상기에서 덮개부(130)와 가이드부(150) 간의 체결 구조는 도시한 도 6의 상세도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150)의 둘레면 끝단 및 덮개부(130)의 둘레면 끝단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턱(131,151)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가이드부(150)에 형성되는 걸림턱(이하, 제1걸림턱이라 한다)(151)은 상기 덮개부(130)가 결합되는 측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로써 외향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덮개부(130)에 형성되는 걸림턱(이하, 제2걸림턱이라한다)(131)은 상기 제1걸림턱(151)과 대응하도록 내향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가이드부(150)와 덮개부(130) 상호간의 결합 구조를 덮개부(130)의 회동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호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각각의 걸림턱(131,151)은 대략 그 길이를 길게 형성함으로써 상호간의 결합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걸림턱(151)의 내측 끝단은 폐쇄된 상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제2걸림턱(131)의 완전한 수용이 이루어졌을 경우 더 이상 상기 제2걸림턱(131)을 가지는 덮개부(130)가 회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청소 도중이나 원하지 않는 경우에의 덮개부(130) 이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가이드부(150)와 덮개부(130)간의 결합 구조는 반드시 상기한 형상으로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도시한 도 7과 같이 덮개부(130)에 형성되는 걸림턱(131)은 상기 가이드부(150)와 결합되는 측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로써 외향 절곡하고, 상기 가이드부(150)에 형성되는 걸림턱(151)은 상기 덮개부(130)의 걸림턱(131)에 대응하도록 내향 절곡 형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도시한 도 6과 같은 구조로 형성할 경우 덮개부(130)가 배기구(110)를 완전히 덮을 수 있음이 용이함으로써 디자인적인 측면에 더욱 유리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덮개부(130)는 전체적으로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그측면에 다수의 배출공(132)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배출공(132)은 배기필터(124)를 통과한 공기의 배출 방향이 바퀴(140)의 외측을 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출 공기로 인한 청소기 본체(100) 저면의 먼지등이 날리게 되는 문제점을 최대한 저감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각 배출공(132)의 형상을 장형 슬릿으로 형성하되, 상기 각각의 배출공(132)에는 공기의 유동 방향이 대략 상기 덮개부(130)의 중앙측을 향할 수 있도록 유동 안내편(133)을 각각 형성함을 제시한다.
즉, 각 배출공(132)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범위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소기 본체(100) 저면의 먼지 날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각종 구성에 추가하여 도시한 도 8a 및 8b와 같이 청소기 본체(100)의 내측면 각 부위 중 배기구(110)가 형성된 부위의 둘레를 따라 장착부(103)를 형성하고, 이 장착부(103)에는 상기 필터부(120)에 비해 입자가 큰 먼지의 포집을 수행하는 포집필터(160)를 장착한다.
이와 함께, 상기 배기구(110)에는 상기 포집필터(160)가 상기 배기구(110)의 외부로 탈거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111a)이 형성된 격벽(111)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통공(111a)의 형성은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격벽(111)을 격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통공(111a)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을 제시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의 구성은 각 바퀴(140) 중 어느 하나의 바퀴가 장착되는 부위에 구현하되, 배출되는 공기 내의 미세 먼지를 집진하는 배기필터(124)의 교체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그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종래 구성에 비해 유리하다.
특히, 상기한 구성으로 인해 청소기 본체의(110) 후면은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디자인으로의 구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진공 청소기의 동작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모터(12)의 구동에 의한 팬(13)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공기 흡입력이 발생되고, 상기 공기 흡입력에 의해 실내의 공기 및 먼지 등은 흡입구체(20), 연장관(33), 손잡이부(32), 흡입호스(31) 등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청소기 본체(100) 내에 구비된 집진봉투(11)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계속되는 흡입력에 의해 미세 먼지 만을 포함한 공기는 상기 집진봉투(11)가 구비된 집진 공간(101)을 통과하여 청소기 본체(100) 내의 흡입력 발생 공간(102)으로 유입된다.
계속해서 상기 공기는 상기 흡입력 발생 공간(102)에 형성된 배기구(110)를 통해 청소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배기구(110)에 장착된 포집필터(160)를 통과하면서 일차적인 먼지의 제거가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배기구(110)의 외측에 구비된 필터부(120)의 배기필터(124)를 통과하면서 재차적인 미세 먼지의 제거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미세 먼지의 제거가 이루어진 깨끗한 공기는 덮개부(130)의 각 배출공(13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동 안내편(133)에 의한 그 유동 방향을 안내받아 대략 상기 덮개부(130)의 중앙측을 향하여 실내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진공 청소기를 이용한 실내의 청소가 소정횟수 혹은, 소정 시기동안 이루어져 배기필터(124)의 교체시기가 되면 사용자는 상기 배기필터(124)의 교체 혹은, 청소를 해 주어야만 하다.
이의 경우 사용자는 덮개부(130)를 시계방향(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덮개부(130)에 형성된 제2걸림턱(131)은 가이드부(150)에 형성된 제1걸림턱(151)으로부터 탈거되어 상기 덮개부(130) 및 가이드부(150) 상호간의 이탈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으로 인해 상기 가이드부(150) 및 덮개부(130) 사이에 구비되어 있던 필터부(120)의 원활한 교체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기장치는 아래와 같은 각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시각적인 불쾌감을 주었던 배기 위치를 노출된 부위가 아닌 바퀴에 의해 가려진 부위로 구성함으로써 시각적인 측면에서 더욱 유리한 효과가 있으며, 청소기 본체의 후면을 보다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둘째, 덮개부만을 탈거하면 배기필터의 탈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기필터의 청소 또는, 교체가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의 효과로 인해 배기필터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청소기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셋째, 덮개부의 체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청소도중의 탈거 혹은, 원하지 않는 탈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실내의 각종 오염물이 흡입되어 집진되며, 그 양측면에는 한 쌍의 바퀴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어 진공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팬이 축결합된 구동모터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양측면 중 최소 어느 하나의 바퀴가 장착되는 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가 장착된 공간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와,
    상기 배기구의 공기 토출측에 장착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 속의 미세 오염물을 집진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고정을 위해 상기 본체의 가이드부에 체결되는 덮개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배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부와 덮개부 간의 체결을 위해
    상기 가이드부의 둘레면 끝단에 상기 덮개부가 결합되는 측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로써 외향 절곡된 제1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덮개부의 둘레면 끝단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제1걸림턱과 대응하도록 내향 절곡된 제2걸림턱을 각각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배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부와 덮개부 간의 체결을 위해
    상기 덮개부의 둘레면 끝단에 상기 가이드부가 결합되는 측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로써 외향 절곡된 제1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둘레면 끝단에는 상기 덮개부의 제1걸림턱과 대응하도록 내향 절곡된 제2걸림턱을 각각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배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의 내측면 각 부위 중 배기구가 형성된 부위의 둘레를 따라 필터부에 비해 입자가 큰 먼지의 포집을 위한 포집필터가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기구에는 상기 포집필터가 상기 배기구의 외부로 탈거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격벽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배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필터부는
    둘레면을 이루는 테두리와, 상기 테두리로부터 연결대에 의해 방사상으로 연결된 중앙축과, 상기 중앙축과 테두리 사이에 구비되어 다수의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상인 부채형태의 배기필터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배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덮개부는
    전체적으로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그 측면에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배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덮개부에 형성되는 각 배출공은 장형 슬릿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배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각 배출공에는 공기의 유동 방향이 대략 덮개부의 중앙측을 향할 수 있도록 유동 안내편을 각각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배기 장치.
KR10-2002-0026459A 2002-05-14 2002-05-14 진공 청소기의 배기 장치 KR100474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459A KR100474900B1 (ko) 2002-05-14 2002-05-14 진공 청소기의 배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459A KR100474900B1 (ko) 2002-05-14 2002-05-14 진공 청소기의 배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639A true KR20030088639A (ko) 2003-11-20
KR100474900B1 KR100474900B1 (ko) 2005-03-08

Family

ID=32382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459A KR100474900B1 (ko) 2002-05-14 2002-05-14 진공 청소기의 배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900B1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5579A1 (en) * 2009-10-15 2011-04-21 Dyson Technology Limite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CN102038459A (zh) * 2009-10-15 2011-05-04 戴森技术有限公司 表面处理器具
US8429791B2 (en) 2009-10-15 2013-04-30 Dyson Technology Limited Surface treating appliance
US8438699B2 (en) 2009-10-15 2013-05-14 Dyson Technology Limited Surface treating appliance
KR101460371B1 (ko) * 2008-08-08 2014-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US8935826B2 (en) 2009-10-15 2015-01-20 Dyson Technology Limited Surface treating appliance
US9009913B2 (en) 2009-10-15 2015-04-21 Dyson Technology Limited Surface treating appliance
US9044129B2 (en) 2009-10-15 2015-06-02 Dyson Technology Limited Surface treating appliance
AU2014200522B2 (en) * 2009-10-15 2015-08-20 Dyson Technology Limite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US9326653B2 (en) 2009-10-15 2016-05-03 Dyson Technology Limited Surface treating appliance
WO2017171501A1 (ko) * 2016-03-31 201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20190127652A (ko) * 2019-11-07 2019-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20190128137A (ko) * 2019-11-07 2019-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AU2017244263B2 (en) * 2016-03-31 2019-11-28 Lg Electronics Inc. Cleaning apparatus
US10561287B2 (en) 2016-03-31 2020-02-18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0582821B2 (en) 2016-03-31 2020-03-10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0646082B2 (en) 2016-03-31 2020-05-12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166608B2 (en) 2016-03-31 2021-11-09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229337B2 (en) 2016-03-31 2022-01-25 Lg Electronics Inc. Cleaner
TWI759293B (zh) * 2016-03-31 2022-04-01 南韓商Lg電子股份有限公司 吸塵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102B1 (ko) 2005-12-27 2013-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9561A (ja) * 1991-08-22 1993-03-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掃除機
JPH05137674A (ja) * 1991-11-18 1993-06-01 Hitachi Ltd 電気掃除機
JP3186015B2 (ja) * 1995-03-15 2001-07-1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960033381A (ko) * 1995-03-31 1996-10-22 배순훈 진공청소기의 바퀴 결합구조
KR0148965B1 (ko) * 1995-12-15 1998-10-15 배순훈 진공청소기의 바퀴구조
KR20010087693A (ko) * 2000-03-08 2001-09-21 구자홍 진공 청소기의 배기장치
KR20010029549A (ko) * 1999-09-16 2001-04-06 구자홍 진공 청소기의 배기장치
JP2001275903A (ja) * 2001-03-12 2001-10-09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Cited B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371B1 (ko) * 2008-08-08 2014-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WO2011045579A1 (en) * 2009-10-15 2011-04-21 Dyson Technology Limite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JP2011083613A (ja) * 2009-10-15 2011-04-28 Dyson Technology Ltd 表面処理電気器具
CN102038459A (zh) * 2009-10-15 2011-05-04 戴森技术有限公司 表面处理器具
CN102038458A (zh) * 2009-10-15 2011-05-04 戴森技术有限公司 表面处理器具
JP2012157787A (ja) * 2009-10-15 2012-08-23 Dyson Technology Ltd 表面処理電気器具
CN102657498A (zh) * 2009-10-15 2012-09-12 戴森技术有限公司 表面处理器具
CN102657497A (zh) * 2009-10-15 2012-09-12 戴森技术有限公司 表面处理器具
JP2012183370A (ja) * 2009-10-15 2012-09-27 Dyson Technology Ltd 表面処理電気器具
US8429791B2 (en) 2009-10-15 2013-04-30 Dyson Technology Limited Surface treating appliance
US8438699B2 (en) 2009-10-15 2013-05-14 Dyson Technology Limited Surface treating appliance
US8935826B2 (en) 2009-10-15 2015-01-20 Dyson Technology Limited Surface treating appliance
US9009913B2 (en) 2009-10-15 2015-04-21 Dyson Technology Limited Surface treating appliance
US9044129B2 (en) 2009-10-15 2015-06-02 Dyson Technology Limited Surface treating appliance
AU2014200522B2 (en) * 2009-10-15 2015-08-20 Dyson Technology Limite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US9247853B2 (en) 2009-10-15 2016-02-02 Dyson Technology Limited Surface treating appliance
US9326653B2 (en) 2009-10-15 2016-05-03 Dyson Technology Limited Surface treating appliance
WO2017171501A1 (ko) * 2016-03-31 201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AU2017244263B2 (en) * 2016-03-31 2019-11-28 Lg Electronics Inc. Cleaning apparatus
US10561287B2 (en) 2016-03-31 2020-02-18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0568476B2 (en) 2016-03-31 2020-02-25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0568475B2 (en) 2016-03-31 2020-02-25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0568474B2 (en) 2016-03-31 2020-02-25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0575689B2 (en) 2016-03-31 2020-03-03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0582821B2 (en) 2016-03-31 2020-03-10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0617269B2 (en) 2016-03-31 2020-04-14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0617270B2 (en) 2016-03-31 2020-04-14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0631698B2 (en) 2016-03-31 2020-04-28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0638903B2 (en) 2016-03-31 2020-05-05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0646082B2 (en) 2016-03-31 2020-05-12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0750917B2 (en) 2016-03-31 2020-08-25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0912432B2 (en) 2016-03-31 2021-02-09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0939789B2 (en) 2016-03-31 2021-03-09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0945573B2 (en) 2016-03-31 2021-03-16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0980380B2 (en) 2016-03-31 2021-04-20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116368B2 (en) 2016-03-31 2021-09-14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147422B2 (en) 2016-03-31 2021-10-19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166608B2 (en) 2016-03-31 2021-11-09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166607B2 (en) 2016-03-31 2021-11-09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172798B2 (en) 2016-03-31 2021-11-16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179015B2 (en) 2016-03-31 2021-11-23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229337B2 (en) 2016-03-31 2022-01-25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241130B2 (en) 2016-03-31 2022-02-08 Lg Electronics Inc. Cleaner
TWI759293B (zh) * 2016-03-31 2022-04-01 南韓商Lg電子股份有限公司 吸塵器
TWI760214B (zh) * 2016-03-31 2022-04-01 南韓商Lg電子股份有限公司 吸塵器
US11426039B2 (en) 2016-03-31 2022-08-30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844486B2 (en) 2016-03-31 2023-12-19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871890B2 (en) 2016-03-31 2024-01-16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937758B2 (en) 2016-03-31 2024-03-26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963654B2 (en) 2016-03-31 2024-04-23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992169B2 (en) 2016-03-31 2024-05-28 Lg Electronics Inc. Cleaner
KR20190127652A (ko) * 2019-11-07 2019-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20190128137A (ko) * 2019-11-07 2019-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4900B1 (ko) 2005-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4900B1 (ko) 진공 청소기의 배기 장치
KR100437106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485715B1 (ko) 사이클론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KR100585692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EP1629761B1 (en)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RU2266034C2 (ru) Узел фильтра для пылесбор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циклонного типа в пылесосе
KR100433414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398687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그릴 조립체
JPH03208558A (ja) 表面研磨装置における集塵システム
RU2002116413A (ru) Циклонный пылесборник пылесоса
KR20030028999A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그릴 조립체
JP2003339582A (ja) 真空掃除機用サイクロン集塵装置及びこれを具備する真空掃除機
RU2262287C1 (ru) Фильтровый узел для пылесоса (варианты) и пылесборник с фильтровым узлом
US7076831B1 (en) Device for exhausting in vacuum cleaner
WO2004079270A1 (ja) エアフィルタの自動清掃機能付き室内ユニット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03038398A (ja) サイクロン式電気掃除機
KR100883197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그릴 조립체
KR100351843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KR100585690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KR200357501Y1 (ko) 이중의 걸름망 구조를 가지는 청소기
JP3222876U (ja) 付着物除去装置
KR20050036477A (ko) 진공 청소기
KR20010087693A (ko) 진공 청소기의 배기장치
KR20010029549A (ko) 진공 청소기의 배기장치
KR950000853Y1 (ko) 공기 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