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8093A -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8093A
KR20030088093A KR1020020026013A KR20020026013A KR20030088093A KR 20030088093 A KR20030088093 A KR 20030088093A KR 1020020026013 A KR1020020026013 A KR 1020020026013A KR 20020026013 A KR20020026013 A KR 20020026013A KR 20030088093 A KR20030088093 A KR 20030088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lcium hypochlorite
main tank
cooling tower
ceramic 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0690B1 (ko
Inventor
최명종
Original Assignee
(주) 백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백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백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2-0026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690B1/ko
Publication of KR20030088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6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9/00Cleaning by flushing or washing, e.g. with chemical solv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레지오넬라균 및 세균에 대한 향상된 살균효과와 스케일 및 녹의 제거와 재생성방지가 가능하도록, 차아염소산칼슘이 물에 용해되어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으로 되는 보충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냉각수를 농도가 대략 0.5∼500ppm 정도의 범위에서 유지되는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으로 만들고, 주탱크의 출구쪽에 세라믹촉매를 설치하여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냉각수를 세라믹촉매와 반응시켜 차아염소산이온과 발생기산소 치환체를 함유하는 촉매산화수로 변환하여 열교환기쪽으로 순환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세라믹촉매는 철, 망간, 코발트, 티타늄, 알루미늄, 구리 등의 여러 금속산화물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1,600℃ 정도의 고온에서 소결시킨 세라믹 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방법 및 시스템 {System for Sterilization and Scale Removal of Cooling Tower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을 세라믹촉매와 반응시켜 발생기산소 치환체 및 촉매산화수가 생성되도록 하고 이에 의하여 냉각탑의 순환수를 살균하고 배관에 발생된 스케일의 제거를 행하는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이나 공장 등에서는 실내의 냉방을 위하여 냉각탑과 열교환기로 이루어지는 공조설비를 주로 사용하는 데, 냉각탑은 실내에 설치된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온도가 상승된 열교환매체의 냉각을 물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장치로 주로 건물의 옥상이나 실외에 설치된다.
상기한 냉각탑에는 항상 외부의 공기에 노출된 상태로 물(냉각수)이 일정부분 채워져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매우 높고, 운전 도중에는 냉각을 수행하는 물(냉각수)이 안개처럼 작은 알갱이로 공중에 비산되므로 이에 접촉되는 사람들의 위생을 크게 위협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레지오넬라균에 의한 열병, 오한, 호흡기장애, 설사 등의 급성폐렴 환자가 많이 발생하여 정부에서도 각종 법규를 통하여 냉각탑의 수질기준을 규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병원, 호텔 및 공공건물의 경우에는 2주 간격으로, 일반 건물의 경우에는 3주 간격으로 반복하여 소독을 실시하도록 각종 법규에 규정하고 있다. 상기에서 냉각탑의 물(냉각수)에 대한 소독은 일반적인 경우 냉각수에 잔류염소량이 4ppm 이상을 유지하도록 클로르칼키, 염소 등을 투입한 다음 대략 12시간 경과후 소독한 냉각수를 버리고 냉각탑내 이끼 및 오염물질 등을 완전히 제거하고, 다시 새로운 물(냉각수)을 잔류염소량이 0.4ppm 이상(레지오넬라균은 잔류염소량이 0.4ppm에서 15분 이내에 사멸하는 것으로 알려짐)을 유지하도록 채우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 냉각탑의 소독방법에 의해서는 냉각탑내 이끼 및 오염물질 등의 완전 제거가 곤란하고, 청소후에 세균에 의해 재오염이 발생하므로, 운전중에 지속적으로 소독처리하기 위하여 소독약품이 다량으로 소요되며 운전비 및 시설운영비가 과도하게 소요된다.
또 냉각탑 내부는 항상 냉각수가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공기중에 부유하는 각종 박테리아, 조류, 분진, 세균 등이 냉각탑 내부로 유입되면 냉각탑은 좋은 번식장소를 제공하는 것이 되며, 이들이 번식하면서 냉각탑 및 공조설비를 구성하는 배관 등의 금속핀 및 금속관 등에 부착하여 스케일(scale)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케일이 형성되면 이의 제거를 위하여 다량의 약품을 사용하여야 하고, 제거된 후에도 다시 재생성될 우려가 매우 높아 냉각효율의 저하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라믹촉매와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을 반응시켜 차아염소산이온과 발생기산소 치환체를 함유하는 촉매산화수를 생성하여 냉각수로 순환시키므로 향상된 살균효과와 스케일제거효과를 얻을 수 있는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주탱크의 출구쪽에 세라믹촉매를 설치하고 보충탱크의 내부에 차아염소산칼슘을 저장하여 냉각수 및 보충수가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으로 이루어져 세라믹촉매와 반응하면서 살균력 및 스케일제거효과가 강한 발생기산소 치환체를 생성시키는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냉각수 흐름도.
본 발명이 제안하는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방법은 차아염소산칼슘이 물에 용해되어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으로 되는 보충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냉각수를 농도가 대략 0.5∼500ppm 정도의 범위에서 유지되는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으로 만들고, 주탱크의 출구쪽에 세라믹촉매를 설치하여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냉각수를 세라믹촉매와 반응시켜 차아염소산이온과 발생기산소 치환체를 함유하는 촉매산화수로 변환하여 열교환기쪽으로 순환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세라믹촉매는 철, 망간, 코발트, 티타늄, 알루미늄, 구리 등의 여러 금속산화물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1,600℃ 정도의 고온에서 소결시킨 세라믹 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세라믹 볼은 지름이 대략 1.5∼2.5㎝ 정도의 크기로 형성한다.
상기한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은 다음의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아염소산칼슘(Ca(OCl)2)을 물(H2O)에 용해시키는 것에 의하여 수산화칼슘(Ca(OH)2)과 차아염소산(HOCl)으로 분해되어 존재하는 상태로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은 수산화칼슘(Ca(OH)2)의 영향에 의해 pH는 대략 9∼9.5에 이르게 된다.
또 상기와 같이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에 분해되어 존재하는차아염소산(HOCl)의 대부분은 수중에서의 분해반응에 의해 다음의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소이온(H+)과 차아염소산이온(OCl-)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며, 상기한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은 차아염소산(HOCl)과 차아염소산이온(OCl-)이 혼재된 상태로 존재한다. 이 때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은 pH가 9이고 온도가 대략 20℃인 경우에 차아염소산(HOCl)은 대략 5% 정도, 차아염소산이온(OCl-)은 대략 95% 정도의 비율로 존재한다.
상기와 같이 생성되어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 중에 존재하는 차아염소산이온(OCl-)은 상기한 세라믹촉매와 접촉하면서 세라믹촉매의 촉매작용으로 다음의 반응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떤 원소가 하나의 화합물로부터 유리되는 순간에 화학적으로 매우 큰 활성을 나타내는 상태인 발생기상태의 산소(이하 발생기산소라 한다)를 생성한다.
상기에서 O*는 발생기산소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생성되는 발생기산소(O*)는 물(H2O)과 반응하여 다음의 반응식4 및 반응식 5와 같이 다양한 발생기산소 치환체(O*, H2O* 2, O*H, H3O* 2)를 생성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세라믹촉매와 반응한 냉각수인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은 발생기산소 치환체(O*, H2O* 2, O*H, H3O* 2)가 풍부한 냉각수(이하 촉매산화수라 한다)로 변화된다.
상기한 촉매산화수는 일반적인 염소계 이온을 함유한 소독수보다 최고 300배 정도 높은 강력한 살균력을 가지므로 냉각탑 내에 기생하는 레지오넬라균 등의 세균에 대한 강한 살균작용을 수행한다.
특히 발생기산소 치환체(O*, H2O* 2, O*H, H3O* 2) 중에서 하이드록실 치환체(H3O* 2)는 살균, 표백, 탈취, 수질정화 등의 기능이 우수하다.
상기한 촉매산화수에는 발생기산소(O*), 하이드록실 치환체(H3O* 2), 차아염소산이온(OCl-), 차아염소산(HOCl), 염소이온(Cl-) 등이 혼재되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촉매산화수가 냉각수로서 열교환기와 냉각탑 사이를순환하면, 냉각핀이나 배관 등에 발생된 스케일의 결정구조를 변화시키므로 스케일을 연화시켜 제거되기 쉽게 만들고, 냉각수에 함유된 각종 세균 등이 살균되며, 조류 등의 광합성작용이 억제되는 수질정화와 스케일제거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제안하는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시스템은 순환되는 냉각수가 저장되고 출구쪽에는 세라믹촉매가 설치되는 주탱크와, 상기한 주탱크의 한쪽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차아염소산칼슘이 저장되며 상기한 주탱크쪽으로 보충수를 공급하는 보충탱크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방법 및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시스템의 일실시예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환되는 냉각수가 저장되고 출구(11)쪽에는 세라믹촉매(14)가 설치되는 주탱크(10)와, 상기한 주탱크(10)의 한쪽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차아염소산칼슘 정제(24)가 저장되며 상기한 주탱크(10)쪽으로 보충수를 공급하는 보충탱크(2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세라믹촉매(14)는 철, 망간, 코발트, 티타늄, 알루미늄, 구리 등의 여러 금속산화물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1,600℃ 정도의 고온에서 소결시킨 세라믹 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세라믹촉매(14)는 지름이 대략 1.5∼2.5㎝ 정도의 크기로 형성한다.
상기한 세라믹촉매(14)는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강 등으로 형성되는 금속망(16)에 넣어져 주탱크(10)의 출구(11)쪽에 설치된다.
상기에서는 세라믹촉매(14)를 금속망(16)에 넣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제조한 망에 세라믹촉매(14)를 넣어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보충탱크(20)로부터 주탱크(10)쪽으로 공급되는 보충수는 상기한 차아염소산칼슘 정제(24)가 물에 용해되어 차아염소산칼슘(Ca(OCl)2)의 농도가 대략 0.5∼500ppm 정도의 범위인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으로 이루어지고, 이 보충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냉각수도 농도가 대략 0.5∼500ppm 정도의 범위인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으로 만들어진다.
상기한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에는 차아염소산칼슘(Ca(OCl)2)이 물(H2O)에 용해되어 생성되는 수산화칼슘(Ca(OH)2)과 차아염소산(HOCl)이 분해되어 존재하고, 수산화칼슘(Ca(OH)2)의 영향에 의해 pH는 대략 9∼9.5에 이르게 된다.
상기한 차아염소산(HOCl)의 대부분은 수중에서의 분해반응에 의해 수소이온(H+)과 차아염소산이온(OCl-)의 형태로 존재하며, 상기한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은 차아염소산(HOCl)과 차아염소산이온(OCl-)이 혼재된 상태로 존재한다. 이 때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은 pH가 9이고 온도가 대략 20℃인 경우에 차아염소산(HOCl)은 대략 5% 정도, 차아염소산이온(OCl-)은 대략 95% 정도의 비율로 존재한다.
상기한 차아염소산이온(OCl-)은 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상기한세라믹촉매(14)와 접촉하면서 금속산화물인 세라믹촉매(14)의 촉매작용으로 발생기산소(O*)를 생성하고, 이 발생기산소(O*)는 물(H2O)과 반응하여 다양한 발생기산소 치환체(O*, H2O* 2, O*H, H3O* 2)를 생성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세라믹촉매(14)와 반응하여 주탱크(10)의 출구(11)로 배출되어 열교환기(2)로 공급되는 냉각수인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은 발생기산소 치환체(O*, H2O* 2, O*H, H3O* 2)가 풍부한 촉매산화수로 변화된다.
상기한 촉매산화수에는 발생기산소(O*), 하이드록실 치환체(H3O* 2), 차아염소산이온(OCl-), 차아염소산(HOCl), 염소이온(Cl-) 등이 혼재되어 존재한다.
상기한 발생기산소 치환체는 강력하고 지속적인 산화작용을 통해 우수한 산화력을 지니고 있으므로, 살균, 표백, 분해, 산화를 통하여 세균, 조류 및 스케일로 오염된 냉각탑의 냉각수에 대한 수질정화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촉매산화수에 의한 살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레지오넬라균에 대한 살균실험을 행하였다.
먼저 비교를 위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을 최종 잔류염소농도가 각각 0ppm, 0.05ppm, 0.1ppm, 0.2ppm, 0.4ppm이 되도록 순수에 희석하고, 레지오넬라균(Legionella pneumophila 1형)을 10,000CFU/100ml로 되게 양을 조절하여 상기한 용액에 각각 첨가하여 천천히 교반하면서 1시간 실온(22∼25℃)에서 방치한 다음, 샘플을 채취하여 레지오넬라 전용배지인 WYO-a 한천배지에 도포하여 6일간 배양하여 레지오넬라균의 생균수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다음의 표 1에 나타낸다.
잔류염소농도(ppm) 0 0.05 0.1 0.2 0.4
균수(CFU/100ml) 19,000 18,000 9,000 10,000
상기한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잔류염소농도가 0.2ppm 이하에서는 레지오넬라균에 대한 살균효과가 별로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촉매산화수의 살균효과를 실험하기 위하여 잔류염소농도가 0.1ppm, 0.2ppm인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에 세라믹촉매(14)를 넣은 상태에서 시간대별로 샘플을 채취하여 생균수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다음의 표 2에 나타낸다. 그리고 o-tolidine법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잔류염소농도를 측정하여 다음의 표 3에 나타낸다.
잔류염소농도(PPM) 0 15분 30분 1시간 3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0.1 18,000 21,000 9,000 7,000 4,000 4,000 2,000 0 0
0.2 22,000 29,000 7,000 10,000 4,000 1,000 1,000 0 0
잔류염소농도(ppm) 0 30분 1시간
0.1 0.1 0.05 0.05>
0.2 0.2 0.05 0.05>
상기한 표 2로부터 잔류염소농도가 0.1∼0.2ppm인 경우에도 촉매산화수가 생성되는 환경에서는 레지오넬라균수가 서서히 감소하고, 24시간 이후에는 완전히 사멸하여 생균수가 검출되지 않아 촉매산화수의 살균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 표 2 및 표 3으로부터 잔류염소농도가 0.05ppm미만까지 감소하였지만 계속하여 레지오넬라균의 생균수의 감소가 지속됨을 알 수 있으며, 촉매산화수의 경우에는 잔류염소농도가 작은 경우에도 살균력을 보유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촉매산화수를 냉각수로서 열교환기(2)와 냉각탑(4) 사이를 순환시키면 배관 내부에 생성된 녹이 제거된다.
일반적으로 배관을 구성하는 철이 이온화되면서 빠져나온 전자가 물(H2O) 및 산소(O2)와 결합하여 수산화이온(4OH-)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수산화이온(4OH-)이 철이온(Fe++)과 결합하여 수산화제1철(Fe(OH)2)로 되고, 수산화제1철(Fe(OH)2)이 물(H2O)을 잃으면 붉은색의 녹인 수산화제2철(Fe2O3·nH2O)로 된다.
상기한 촉매산화수는 철원자의 에너지 상태를 바꾸어 철원자의 전하를 3+에서 2+로 바꾸어 수산화제2철(Fe2O3·nH2O) 대신 마그네타이트(Fe3O4)(magnetite)를 생성한다. 이 때 전하수가 변한 철(Fe3+)이 녹인 수산화제2철(Fe2O3·nH2O)로부터 분해되어 녹이 감소하며, 녹이 모두 떨어져 나가면서 배관 내벽이 검은색의 마그네타이트(Fe3O4)로 변한다. 안정적인 철인 마그네타이트(Fe3O4)가 생성되면 철은 더 이상 산화되지 않으며, 마그네타이트(Fe3O4)가 배관 내면에 생성되면 보호막 역활을 하여 더 이상의 녹 발생을 둔화시킨다.
그리고 스케일(scale)은 냉각수로 사용하는 물에 탄산칼슘, 황산칼슘, 수산화마그네슘 등이 용해되어 존재하므로 발생한다. 즉 칼슘이 가용성의 중탄산칼슘(Ca(HCO3)2)의 형태로 물에 용해되고, 이 물이 보일러나 열교환기에서 과열되어 중탄산칼슘(Ca(HCO3)2)에서 탄산가스(CO2)가 휘발되어 제거되면, 탄산칼슘(CaCO3)의 침전이 형성되고, 이 침전이 배관이나 냉각핀 등의 금속 표면에 부착 응고하여 생성되는 것이 스케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생성되는 탄산칼슘(CaCO3) 등의 침전을 금속 표면에 부착시키는 바인더(binder) 역할을 하는 조류인 청조나 세균이 상기한 촉매산화수의 발생기산소 치환체 등에 의해 사멸되므로 스케일이 쉽게 박리되어 제거되며, 다시 스케일이 생성되는 일이 방지된다.
상기한 냉각탑(4)에는 열교환기(2)로부터 유입되는 고온의 냉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접촉여재(6)가 설치되고, 상기한 접촉여재(6)의 아래쪽에는 강제로 공기를 송풍시켜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송풍기(8)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시스템에 있어서 냉각수의 순환과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냉각탑(4)의 주탱크(10)에 저장된 냉각수(저온)는 주탱크(10)의 출구(11)를 통하여 열교환기(2)로 공급되고, 열교환기(2)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고온으로 된 냉각수는 다시 냉각탑(4)으로 유입되어 접촉여재(6)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고, 송풍기(8)에 의한 강제송풍에 의하여 저온으로 냉각되어 다시 열교환기(2)로 공급되는 순환과정을 반복한다.
상기에서 주탱크(10)의 출구(11)를 통과하는 저온의 냉각수는 세라믹촉매(14)와 접촉하면서 반응하여 촉매산화수로 변환되어 열교환기(2)쪽으로 공급된다.
또 냉각수의 일부는 순환과정에서 자연감소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냉각수의 일부가 순환과정에서 자연감소되면, 상기한 보충탱크(20)로부터 보충수가 주탱크(10)로 공급되어 냉각수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상기한 보충탱크(20)로부터 공급되는 보충수는 보충탱크(20) 내에 설치된 차아염소산칼슘 정제(24)가 용해되어 생성되는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이다.
상기한 차아염소산칼슘 정제(24)는 월 1∼2회 정도 투입하여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 범위로 유지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방법 및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과 세라믹촉매의 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촉매산화수에는 발생기산소(O*), 하이드록실 치환체(H3O* 2), 차아염소산이온(OCl-), 차아염소산(HOCl), 염소이온(Cl-) 등이 혼재되어 있으므로, 레지오넬라균 및 각종 세균이 제균되어 수질이 정화된 냉각수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촉매산화수에 의하여 냉각탑 및 열교환기 등에 부착된 스케일의 결정구조가 변화되므로 스케일이 연화되어 제거되기 쉽게 되며 재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녹을 제거하고 녹방지가 가능한 마그네타이트로 내면을 도포하여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지속적으로 다량의 소독 약품을 소비할 필요가 없으며, 월 1∼2회 정도 보충탱크에 차아염소산칼슘 정제를 투입하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또 지속적으로 살균효과가 유지되고, 스케일 및 녹이 제거되어 재생성이 방지되므로, 잦은 청소나 정비가 불필요하여 경제적으로 운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5)

  1. 차아염소산칼슘이 물에 용해되어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으로 되는 보충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냉각수를 농도가 0.5∼500ppm의 범위에서 유지되는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으로 만들고,
    주탱크의 출구쪽에 세라믹촉매를 설치하여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냉각수를 세라믹촉매와 반응시켜 차아염소산이온과 발생기산소 치환체를 함유하는 촉매산화수로 변환하여 열교환기쪽으로 순환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세라믹촉매는 철, 망간, 코발트, 티타늄, 알루미늄, 구리를 포함하는 금속산화물을 혼합하여 1,600℃의 고온에서 소결시킨 1.5∼2.5㎝의 지름을 갖는 세라믹 볼로 이루어지는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방법.
  3. 순환되는 냉각수가 저장되고 출구쪽에는 세라믹촉매가 설치되는 주탱크와,
    상기한 주탱크의 한쪽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차아염소산칼슘 정제가 저장되며 상기한 주탱크쪽으로 보충수를 공급하는 보충탱크로 이루어지는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세라믹촉매는 철, 망간, 코발트, 티타늄, 알루미늄, 구리를 포함하는 금속산화물을 혼합하여 1,600℃의 고온에서 소결시킨 1.5∼2.5㎝의 지름을 갖는 세라믹 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세라믹촉매는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되는 금속망에 넣어져 주탱크의 출구쪽에 설치되는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보충탱크로부터 주탱크쪽으로 공급되는 보충수는 상기한 차아염소산칼슘 정제가 물에 용해되어 차아염소산칼슘의 농도가 0.5∼500ppm의 범위인 차아염소산칼슘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시스템.
KR10-2002-0026013A 2002-05-11 2002-05-11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시스템 KR100470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013A KR100470690B1 (ko) 2002-05-11 2002-05-11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013A KR100470690B1 (ko) 2002-05-11 2002-05-11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093A true KR20030088093A (ko) 2003-11-17
KR100470690B1 KR100470690B1 (ko) 2005-02-21

Family

ID=32382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013A KR100470690B1 (ko) 2002-05-11 2002-05-11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06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174B1 (ko) * 2009-10-30 2012-03-16 주식회사 경인기계 향류형 냉각탑
KR102116079B1 (ko) * 2018-11-19 2020-05-27 주식회사 에이시티 촉매필터를 이용한 중성 차아염소산 탈취 살균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611B1 (ko) 2018-05-08 2019-08-28 플러스파운틴(주) 이온 살균장치
KR20210153864A (ko) 2020-06-11 2021-12-20 주식회사 라올바이오 냉각탑 및 열교환기의 살균 및 스케일 제거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8489A (ja) * 1990-07-19 1992-03-12 Seisui:Kk セラミックス触媒による脱臭および殺菌方法
JPH04256419A (ja) * 1991-02-08 1992-09-11 Seisui:Kk セラミックス触媒による脱臭方法
JP3074266B2 (ja) * 1998-08-20 2000-08-07 株式会社セイスイ 機能セラミックを用いた脱臭浄化及び水触媒処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174B1 (ko) * 2009-10-30 2012-03-16 주식회사 경인기계 향류형 냉각탑
KR102116079B1 (ko) * 2018-11-19 2020-05-27 주식회사 에이시티 촉매필터를 이용한 중성 차아염소산 탈취 살균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0690B1 (ko) 2005-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2600B2 (en) Apparatus for treating water
EP06517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icroorganisms
Gagnon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chlorine dioxide, free chlorine and chloramines on bacterial water quality in model distribution systems
CN106376595A (zh) 一种安全环保的污水消毒粉
CN210122508U (zh) 一种包括电化学杀菌除垢装置和电渗析装置的电厂循环水处理系统
KR101498990B1 (ko) 유수식 멸균수 어류 양식방법
KR100470690B1 (ko) 냉각탑의 살균 및 스케일제거 시스템
JP5496441B2 (ja) 殺菌方法
US20040048762A1 (en) Method of purifying or cleansing a body of liquid
JP2004132592A (ja) 電気化学的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システム
JPH07100466A (ja) 廃水の処理方法
KR20120138265A (ko) 활어수조의 살균처리장치
KR20070092931A (ko) 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2021169071A (ja) スーパーオキサイドイオン発生用水質改良器とそれを用いた水質改良法。
JPH11197675A (ja) 機能セラミックス水触媒装置及び機能セラミックス並びにそれらを利用した水処理システム及び触媒水使用方法
JPH0677735B2 (ja) 循環冷却水系のレジオネラ属細菌発生防止法
JPH07155770A (ja) 感染防止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これを利用した殺菌済み飲用水及び殺菌済み空調用冷却水の製造方法
CN105819611A (zh) 一种循环冷却水处理方法
JP2003190936A (ja) 浄水装置
CN111170529A (zh) 一种循环水杀菌阻垢方法
WO2023058249A1 (ja) スーパーオキサイドイオン発生用水質改良器とそれを用いた水質改良法
JP2010173994A (ja) 多機能型水処理剤
CN214218277U (zh) 用于燃气-蒸汽联合循环机组循环冷却水的电化学处理系统
US11866357B1 (en) Corrosion and bacteria control method
Nason Chemical methods in slime and algae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