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7852A - 얼음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얼음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7852A
KR20030087852A KR1020020025934A KR20020025934A KR20030087852A KR 20030087852 A KR20030087852 A KR 20030087852A KR 1020020025934 A KR1020020025934 A KR 1020020025934A KR 20020025934 A KR20020025934 A KR 20020025934A KR 20030087852 A KR20030087852 A KR 20030087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water
evaporator
generating devic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택
Original Assignee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5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7852A/ko
Publication of KR20030087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85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G09B1/1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the elements being rotatable
    • G09B1/2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the elements being rotatable and bearing the symbols on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ro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2Counting; Calcula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얼음 생성 장치에 있어서, 개구부가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냉동실 상측면에 설치된 얼음 형성 용기와, 상기 얼음 형성 용기를 접촉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부의 증발기와, 상기 얼음 형성 용기에 물을 분무하여 얼음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얼음 형성 용기의 개구부를 향하여 설치된 물분무장치와, 상기 얼음 형성 용기를 데우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얼음 생성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짧은 시간내에 얼음을 생성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얼음 생성 장치{ICE MAKER}
본 발명은 얼음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증발기에 물을 분사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얼음을 생성하기 위해 냉동고내에 얼음 그릇을 두고, 얼음 그릇에 물을 담은 상태에서, 냉기를 순환시켜 얼음을 생성하였다.
도 1은 종래의 냉동고의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고 본체(101)에 냉동실(104)이 구비되고, 상기 냉동실의 전면에 도어(102)가 설치되고, 상기 냉동실(104)의 후면에 증발기(103)가 설치된다. 또한 냉동실(104) 내부로 냉기를 순환하기 위해서 송풍팬(106)이 설치된다.
상기 냉동실(104)의 내부에는 얼음그릇(105)이 지지부재(106)에 의해 냉동실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얼음그릇(105)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07)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얼음을 생성하기 위해, 물이 급수관(107)을 통해 얼음그릇(105)에 채워지고, 증발기(103)에 의해 냉각되어 송풍팬(106)에 의해 냉동실(104) 내부로 순환되는 냉기에 의해 상기 얼음그릇(105)에 채워진 물이 동결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랭식 방법에 의한 얼음 생성 장치는 얼음을 생성시키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짧은 시간내에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 생성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냉동고의 측단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는 얼음 생성 장치의 종단 측면도
도 3은 얼음 생성부의 저면도
도 4는 얼음 생성부의 종단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얼음 생성부의 종단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얼음 생성 장치 본체10: 얼음 생성부
11: 얼음 형성 용기12: 칸막이
14: 히터15: 냉매유입구
17: 얼음센서20: 물분무수단
21: 노즐23: 가압펌프
25: 물공급탱크30: 회수부
31: 저장탱크32: 반환관
33: 반환밸브34: 수위센서
50: 냉각 장치부54: 냉매 분배기
62: 증발기71: 얼음 안내판
72: 얼음 보관용기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구부가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냉동실 상측면에 설치된 얼음 형성 용기와, 상기 얼음 형성 용기를 접촉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부의 증발기와, 상기 얼음 형성 용기에 물을 분무하여 얼음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얼음 형성 용기의 개구부를 향하여 설치된 물분무수단와, 상기 얼음 형성 용기를 데우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증발기와 상기 얼음 형성 용기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증발기와 상기 얼음 형성 용기는 분리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얼음 형성 용기는 수용공간이 칸막이에 의해 얼음 형상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얼음 형성 용기의 아래에 설치되며, 분리된 얼음을 한곳으로 모으기 위해 경사지게 형성된 얼음 안내판과, 분리된 얼음을 보관하기 위해, 상기 얼음 안내판 경사면의 아래측 끝단에 설치된 얼음 보관용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얼음 형성 용기에 얼음이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얼음센서와, 얼음이 생성된 경우, 상기 얼음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냉각 장치부의 작동을 중지하고, 상기 전기 히터를 가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증발기는 냉매유입구가 2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매유입구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을 조절하는 냉매 분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음센서로부터 얼음 생성정도의 신호를 받아, 상기 냉매 분배기가 얼음이 빨리 생성되는 부위에 공급되는 냉매의 양을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분무수단는 상기 얼음 형성 용기의 개구부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도록 설치된 1이상의 노즐과, 상기 노즐에 관으로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가압펌프와, 상기 가압펌프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즐에서 분무된 물중 상기 얼음 형성 용기에 고착되지 않고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노즐의 하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물공급탱크 상부에 설치된 저장탱크와, 일단이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물공급탱크에 연결된 반환관과, 상기 반환관의 중간에 연결되어, 개폐할 수 있는 반환밸브와, 상기 저장탱크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수위센서와, 상기 저장탱크의 수위가 고수위인 경우, 상기 수위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반환밸브를 개방하는 반환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는 얼음 생성 장치의 종단 측면도, 도 3은 얼음 생성부의 저면도, 도 4는 얼음 생성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얼음 생성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동실(2)이 구비된 얼음 생성 장치 본체(1)와, 상기 냉동실(2)의 상부에 장착되며, 개구부가 아래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며, 냉각 장치부(20)의 증발기(62)를 포함하는 얼음 생성부(10)와, 상기 얼음 생성부(10)에서 분리된 얼음이 일정한 곳에 모이도록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얼음 생성부(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수개의 통공(73)이 있는 얼음 안내판(71)과, 상기 얼음 안내판(71)의 경사면 하단에 설치된 얼음 보관용기(72)와, 얼음 안내판(71)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얼음 생성부(11)의 개구부를 마주보고 설치된 물분무수단(20)와, 상기 얼음 안내판(71)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물분무수단(20)에의해 분무된 물중 상기 얼음 생성부(10)에 고착되지 않고 아래로 떨어진 것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부(30)와, 상기 얼음 생성부(10)를 냉각하기 위해 설치된 냉각 장치부(50)와, 얼음 생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회수부(30)를 제어하는 반환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얼음 생성부(10)는 냉각 장치부(50)의 증발기(62)와, 상기 증발기(62)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개구부가 아래로 향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그 수용공간의 수개의 칸막이(12)가 상호 교차하도록 형성된 얼음 형성 용기(11)와, 상기 증발기(62)의 윗면에 설치된 히터(14)와, 상기 얼음 형성 용기(11)의 얼음의 생성정도를 측정하는 얼음센서(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물분무수단(20)는 상기 얼음 형성 용기(11)의 개구부를 향해 물을 분무할 수 있도록 위를 향해 설치된 수개의 노즐(21)과, 상기 노즐(21)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가압펌프(23)와, 상기 가압펌프(23)와 상기 노즐(21)을 연결하는 파이프(22)와, 상기 가압펌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가압펌프(23)의 하부에 설치된 물공급탱크(25)와, 상기 가압펌프(23)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물공급탱크(25)에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펌프 도수관(24)과, 상기 물공급탱크(25)에 탱크 공급관(27)을 통해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모터(27)와, 상기 물공급탱크(25)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물공급탱크 수위 측정센서(28)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수부(30)는 상기 얼음 안내판(71)의 하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물공급탱크(25)의 상부에 설치된 저장탱크(31)와, 일단이 상기 저장탱크(31)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물공급탱크(25)에 연결된 반환관(32)과, 상기 반환관(32)의 가운데 설치된 반환밸브(33)와 상기 저장탱크(31)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저장탱크 수위 측정센서(3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냉각장치부(50)는 상기 얼음 형성 용기(11)와 일체로 형성된 증발기(62)와, 상기 증발기(62)에 유출 파이프(56)로 연결된 압축기(51)와 상기 압축기(51)에 연결된 응축기(52)와 상기 응축기(52)에 연결된 건조기(53)와 상기 건조기에 연결된 냉매 분배기(54)와 상기 냉매 분배기(54)에 연결된 2가닥의 모세관(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세관(55)은 다시 상기 증발기(62)에 연결된다.
도 3은 얼음 생성부의 저면도이다.
상기 얼음 생성부(10)는 사각형 그릇모양의 증발기(62)와, 상기 증발기의 테두리와 상기 수용공간에 격자 모양으로 설치된 수개의 칸막이(12)와, 상기 증발기(62)의 뒷면에 설치된 히터(14)와, 상기 증발기(62)의 상단에 형성된 2개의 냉매유입구(15)와 하단에 형성된 2개의 냉매유출구(1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얼음 생성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62)와 얼음 형성 용기(11)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얼음 형성 용기(11)의 바닥면(19)에는 냉매(17)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면(19)의 상부 외측면에는 히터(14)가 설치되어 있다.
얼음이 형성되는 얼음형성공간(18)은 상기 증발기 테두리(13)와 칸막이(12)에의해 육면체 형상을 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례로서, 얼음 생성부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62)와 얼음 형성 용기(11)가 분리되어 있으며, 사각 그릇형상의 얼음 형성 용기(11)와, 상기 얼음 형성 용기(11)의 바닥면(19)의 외측면에 설치된 증발기(62)와, 상기 바닥면(19)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히터(14)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례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냉각장치부(50)의 냉각 사이클이 가동이 되면, 냉각된 냉매가 냉매유입구(15)로 유입되어 증발기(62)와 얼음 형성 용기(11)를 냉각시키고, 냉매유출구(16)를 통해 유출되어, 다시 냉각장치부(50)로 유입된다.
이때 가압펌프(23)가 작동되면, 노즐(21)을 통해서 냉각된 얼음 형성 용기(11)에 물이 분사되면, 상기 분사된 물방울은 상기 얼음 형성용기(11)에 고착이 되어, 상기 얼음 형성용기(11)에서 얼음이 조금씩 성장을 한다.
상기 얼음 형성용기(11)에서 얼음이 모두 성장을 하면, 상기 얼음센서(17)에서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냉각장치부(5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히터(14)를 동작시킨다.
상기 히터(14)의 동작에 의해 상기 얼음 형성용기(11)에 접촉된 면에 있는 얼음이 녹으면, 상기 얼음은 얼음 안내판(71)에 낙하하게 되고, 낙하된 얼음은 상기 얼음 안내판(71)의 경사를 따라 흘러내려 얼음 보관용기(72)에 담기게 된다.
얼음 생성중 어느 한편의 얼음의 성장이 느린 경우에는, 상기 얼음센서(17)가 제어부(미도시)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냉매 분배기(54)에 제어신호를 보내 얼음의 성장이 느린쪽의 냉매유입구(15)에 더 많은 냉매를 유입하도록 한다.
한편, 노즐(21)에서 분사된 물중 얼음 형성 용기(11)에 고착되지 아니하고, 아래로 떨어진 것은 상기 저장탱크(31)에 담기게 된다. 상기 저장탱크(31)의 수위가 높아지면, 수위센서(34)가 이를 감지하여 반환 제어부(미도시)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반환제어부(미도시)는 반환밸브(33)를 개방시키고, 이에따라, 저장탱크(31)에 채워진 물이 반환관(32)을 통해 물공급탱크(25)에 유입되어 다시 노즐(21)을 통해 분무된다.
제 2실시례는 증발기(62)와 얼음 형성 용기(11)가 일체형이 아니라는 점에서 제 1실시례와 차이가 있을 뿐 그 동작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냉각용기에 물을 분무하여 그 입자가 냉각용기에 부착되어 얼음이 형성되므로, 종래의 그릇에 물을 담아 냉각 공기로 냉각을 하는 방식에 비해 얼음의 형성이 빨리된다.
본 발명은 짧은 시간내에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11)

  1. 개구부가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냉동실 상측면에 설치된 얼음 형성 용기와;
    상기 얼음 형성 용기를 접촉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부의 증발기와;
    상기 얼음 형성 용기에 물을 분무하여 얼음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얼음 형성 용기의 개구부를 향하여 설치된 물분무수단와;
    상기 얼음 형성 용기를 데우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생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와 상기 얼음 형성 용기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생성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와 상기 얼음 형성 용기는 분리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생성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형성 용기는 수용공간이 칸막이에 의해 얼음 형상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생성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형성 용기의 아래에 설치되며, 분리된 얼음을 한곳으로 모으기 위해 경사지게 형성된 얼음 안내판과;
    분리된 얼음을 보관하기 위해, 상기 얼음 안내판 경사면의 아래측 끝단에 설치된 얼음 보관용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생성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형성 용기에 얼음이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얼음센서와;
    얼음이 생성된 경우, 상기 얼음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냉각 장치부의 작동을 중지하고, 상기 전기 히터를 가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생성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냉매유입구가 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생성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유입구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을 조절하는 냉매 분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생성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음센서로부터 얼음 생성정도의 신호를 받아, 상기 냉매 분배기가 얼음이 빨리 생성되는 부위에 공급되는 냉매의 양을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생성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무수단는
    상기 얼음 형성 용기의 개구부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도록 설치된 1이상의 노즐과;
    상기 노즐에 관으로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가압펌프와;
    상기 가압펌프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생성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서 분무된 물중 상기 얼음 형성 용기에 고착되지 않고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노즐의 하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물공급탱크 상부에 설치된 저장탱크와;
    일단이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물공급탱크에 연결된 반환관과;
    상기 반환관의 중간에 연결되어, 개폐할 수 있는 반환밸브와;
    상기 저장탱크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수위센서와;
    상기 저장탱크의 수위가 고수위인 경우, 상기 수위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반환밸브를 개방하는 반환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생성 장치.
KR1020020025934A 2002-05-10 2002-05-10 얼음 생성 장치 KR20030087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934A KR20030087852A (ko) 2002-05-10 2002-05-10 얼음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934A KR20030087852A (ko) 2002-05-10 2002-05-10 얼음 생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852A true KR20030087852A (ko) 2003-11-15

Family

ID=32382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934A KR20030087852A (ko) 2002-05-10 2002-05-10 얼음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78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641B1 (ko) * 2007-06-14 2008-07-10 권영원 제빙용 증발기 및 이를 갖는 제빙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9072U (ko) * 1985-03-06 1986-09-13
JPH01212879A (ja) * 1988-02-22 1989-08-25 Daikin Ind Ltd 製氷機
JPH04278159A (ja) * 1991-03-05 1992-10-02 Sanyo Electric Co Ltd 製氷機の水皿装置
JPH07208774A (ja) * 1994-01-19 1995-08-11 Kawasaki Heavy Ind Ltd 氷蓄熱装置
JP2000329435A (ja) * 1999-05-21 2000-11-30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9072U (ko) * 1985-03-06 1986-09-13
JPH01212879A (ja) * 1988-02-22 1989-08-25 Daikin Ind Ltd 製氷機
JPH04278159A (ja) * 1991-03-05 1992-10-02 Sanyo Electric Co Ltd 製氷機の水皿装置
JPH07208774A (ja) * 1994-01-19 1995-08-11 Kawasaki Heavy Ind Ltd 氷蓄熱装置
JP2000329435A (ja) * 1999-05-21 2000-11-30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641B1 (ko) * 2007-06-14 2008-07-10 권영원 제빙용 증발기 및 이를 갖는 제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187B1 (ko) 제빙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0565622B1 (ko) 냉장고
KR100547341B1 (ko) 냉장고
KR100565621B1 (ko) 냉장고
CN101960241B (zh) 水漏斗和具有该水漏斗的冰箱用制冰器
CN113242951A (zh) 制冰机
CN106679269B (zh) 冰箱
KR100621235B1 (ko)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의 제빙용 냉기 유로 구조
KR100584272B1 (ko)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KR100584270B1 (ko)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KR20100027955A (ko) 냉장고
KR20030087852A (ko) 얼음 생성 장치
KR20050104129A (ko) 투명제빙장치
KR20050028656A (ko) 냉장고
JP2002162137A (ja) 自動製氷機
US3045443A (en) Ice making
KR101647648B1 (ko) 순간냉수 생성이 가능한 얼음 정수기
US7594412B1 (en) Refrigerating appliance
KR100333621B1 (ko) 냉장고의 쉬라우드
KR101700761B1 (ko) 냉장고
KR20040062787A (ko) 야채실 습도조절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US3020724A (en) Ice making
KR0164749B1 (ko) 급수조절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용 자동제빙기
JP2000329435A (ja) 自動製氷機
KR100700540B1 (ko) 냉장고의 급속 제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