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7525A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7525A
KR20030087525A KR1020030014687A KR20030014687A KR20030087525A KR 20030087525 A KR20030087525 A KR 20030087525A KR 1020030014687 A KR1020030014687 A KR 1020030014687A KR 20030014687 A KR20030014687 A KR 20030014687A KR 20030087525 A KR20030087525 A KR 20030087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interactive content
interactive
action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4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7663B1 (ko
Inventor
정두희
이동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엠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엠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엠텔
Priority to PCT/KR2003/00090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3096562A1/en
Priority to EP03723421A priority patent/EP1502363B1/en
Priority to DE60322375T priority patent/DE60322375D1/de
Priority to AT03723421T priority patent/ATE402525T1/de
Priority to CNB038104113A priority patent/CN100367679C/zh
Priority to AU2003230311A priority patent/AU2003230311A1/en
Priority to JP2004504406A priority patent/JP4074619B2/ja
Publication of KR20030087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525A/ko
Priority to US10/982,200 priority patent/US725150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6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 또는 통신서비스 업체에서 제공하는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제공받아 대기화면으로 지정하였을 때 단말기는 대기모드 상에서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기를 구동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대기모드 상에서 다양한 조작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는 특정의 URL로 바로 인터넷 브라우징이 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모드 상에서 인터랙티브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다른 영상을 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모드에서 재생되는 광고동영상을 보다가 사용자가 특정 키를 누르게 되면 바로 광고 동영상에 포함된 URL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광고산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양한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매에 더욱 효과적이고, 또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손쉽게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다운받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Method for playing interactive contents for standby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 또는 통신서비스 업체에서 제공하는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제공받아 대기화면으로 지정하였을 때 단말기는 대기모드 상에서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기를 구동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대기모드 상에서 다양한 조작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는 특정의 URL로 바로 인터넷 브라우징이 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종래기술에 따른 대기모드 동영상 서비스의 전체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시스템이 초기화되거나 사용자가 단말기 조작을 한동안 하지않은 경우에는 대기모드 상태로 진입(ST110)하게 되고, 이렇게 대기모드 상태로 들어가면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대기모드 화면으로서 동영상 컨텐츠가 지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ST115)하여, 동영상 컨텐츠가 지정되어 있으면 대기화면으로서 동영상 컨텐츠를 실행(ST120)하여 동영상 초기화면을 표현한다. 그리고 나서, 외부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지정된 화면을 계속 표시하는데, 동영상은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므로 외부이벤트가 발생(ST125)하면 그 발생한 외부이벤트가 "다음화면 업데이트"인지 여부를 판단(ST130)하여 그러한 경우 지정된 다음화면, 즉 다음 프레임으로 업데이트(ST130)한다. 전술한 "다음화면 업데이트" 이벤트는 통상적으로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타이머 이벤트로 구현될 것이다. 한편, 대기모드 화면으로서 동영상 컨텐츠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정지화면의 대기모드화면을 표시(ST135)하게 되고, 그리고 나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외부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대기(ST140)하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다음화면 업데이트" 이외의 외부이벤트 발생에 대해서는 순차적으로 숫자 키 입력(ST145), 전화수신(ST155), 그리고 SMS 수신(ST165) 인지 여부를 파악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각각의 경우에 대응하여 적합한 동작을 수행(ST150, ST160, ST170)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그 이후에는 시스템 프로세스의 처음으로 진행하여 특별한 이벤트가 없는 경우 대기모드 상태로 진입(ST110)한다.
그러나, 전술하였던 종래기술의 동영상 컨텐츠 재생동작에 의하면 하나의 다음화면 업데이트 이벤트 신호가 들어오면 다음화면으로 지정된 화면을 파악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표시하고 순차적으로 다음화면 업데이트 신호를 파악하여 업데이트 신호가 들어오면 지정되어 있는 화면을 표현하게 되므로 제한된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일정한 동영상만을 표현할 수 밖에 없고, 또한 외부이벤트가 다음화면 업데이트가 아니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각 태스크로 진행하게 되어 키 입력이 있으면 무조건 지정된 태스크를 실행하게 되어 대기모드 화면상에서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실행하기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 또는 통신서비스 업체에서 제공하는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제공받아 대기화면으로 지정하였을 때 단말기는 대기모드 상에서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기를 구동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대기모드 상에서 다양한 조작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는 특정의 URL로 바로 인터넷 브라우징이 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종래기술에 따른 대기모드 동영상 서비스의 전체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
도2는 본 발명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방법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3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방법에 따라서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구분재생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5는 본 발명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방법에 따라서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구분재생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6은 본 발명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방법에서 사용자의 키 입력을 제공받아 액션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해 발생되는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방법에서 액션수행을 위한 액션명령어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방법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재생기 내의 디코더 설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방법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재생기 내의 인터랙티브 서비스 동작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10은 본 발명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방법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방법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시계 및 알람제공 컨텐츠의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12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로서 도11의 시계 및 알람제공 컨텐츠의 재생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20 : 프레임
821 : 랜더링 데이터
822 : 액션정보
850 : 키 입력 큐
860 : 액션 풀
870 : 액션명령어 리스트
1000 :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
1010 : 캐시/리소스 매니저
1020 : 인터랙티브 매니저
1030 : 컨텐츠 파서
1040 : 벡터 그래픽 솔루션
1050 : 재생기 콘트롤러
1060 : 래스터 그래픽 솔루션
1070 : 네트워크 핸들러
1080 : 사운드 핸들러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모드 화면으로서 사용가능하고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해서 인터랙티브한 액션을 제공하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상기 인터랙티브 액션을 수행할 하나이상의 조작 키 입력과 상기 조작 키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정의하는 액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복수개의 재생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재생영역의 각각에는 하나이상의 대응 액션키 입력이 상기 액션정보 내에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제1 단계;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를 구동하는 제2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서 대기모드 화면으로 설정된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제1 재생영역을 재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상기 액션정보에 정의된 상기 조작 키 입력을 대기하여 제공받는 제4 단계; 및 상기 조작 키 입력이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정의된 상기 대응 액션키 입력인 경우에는 상기 대응 액션키 입력에 대응하는 재생영역을 재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조작 키 입력이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정의된 상기 대응 액션키 입력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액션정보로부터 상기 조작 키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의 정의를 획득하여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대기모드에서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모듈을 사용하여 재생하고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해서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액션정보에 따라 인터랙티브 액션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인터랙티브 오브젝트를 처리하는 인터랙티브 매니저;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내용을 해석하는 컨텐츠 파서; 상기 컨텐츠 파서에서 해석한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내용과 상기 인터랙티브 매니저가 처리한 상기 인터랙티브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이미지를 생성하는 그래픽 솔루션; 및 상기 인터랙티브 매니저와 상기 컨텐츠 파서와 상기 그래픽 솔루션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키 입력을 처리하는 재생기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인터랙티브 재생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는 도중에 상기 사용자 키 입력이 제공되면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모듈의 상기 재생기 콘트롤러로 상기 제공된 사용자 키 입력을 전달하고, 상기 재생기 콘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키 입력을 전달받아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상기 액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키 입력이 상기 인터랙티브 액션을 제공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 키 입력이 상기 인터랙티브 액션을 제공하여야 하는 키입력인 경우에는 상기 키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행하여야 하는 동작의 정의를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상기 액션정보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정의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방법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2A와 도2B는 대한민국의 저명한 캐릭터인 우비소년(woobiboy)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사용자에게 스트레스 해소용 "화풀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이고, 도2C와 도2D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DDR (Dance Dance Revolution)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인터랙티브 컨텐츠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모드용 화면이고, 이에 이러한 컨텐츠는 종래기술의 대기모드화면의 컨텐츠과 마찬가지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다운로드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모듈에 저장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먼저, 도2A와 도2B에 도시된 "화풀이 서비스"에 대해서 설명하면, 평상시의 대기모드에서는 도2A와 같은 통상의 동화상 혹은 정지화의 대기화면이 표시되는데, 도시된 우비소년 컨텐츠에 대해서 전술한 "화풀이 서비스"의 목적상 특별히 정의된 키를 사용자가 누르게 되면 도2B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의 표시내용이 변화하게 된다. 도2B에서는 "화풀이 서비스"의 일환으로서 우비소년 컨텐츠에 대해서 특별히 정의된 키가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여 소정의 도구가 작동하여 우비소년을 구타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2C와 도2D에 도시된 "DDR 서비스"에 대해서 설명하면, 평상시의 대기모드에서는 도2C와 같은 통상의 댄스 대기화면이 표시되는데, 도시된 인터랙티브 댄스 컨텐츠에 대해서 전술한 "DDR 서비스"의 목적상 특별히 정의된 키, 예컨대 4방향의 화살표 키를 사용자가 누르게 되면 도2D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의 댄서가 이에 대응하는 동작을 하면서 공지의 DDR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내용과 사용자의 키 패드 입력의 매칭성에 따라서 점수가 매겨지게 된다.
전술한 "화풀이 서비스"나 "DDR 서비스"를 즐기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대기모드 상에서 현재 동작중인 인터랙티브 콘텐츠에 대해서 특정된 하나이상의 키 패드를 이용하여 조작하여야 하는데, 통상적으로 대기모드 상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는 대부분 이에 대응하는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2C 및 도2D에 도시된 "DDR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4방향 화살표 키를 사용하여야 할 것인데, 대기모드에서 4방향의 화살표 키는 각각 "메세지 관리" 메뉴나 "전화번호부" 메뉴 등과 같이 대응하는 기능이 이미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대기모드 화면 상에서 특정의 인터랙티브 모드 활성화 키 입력, 예컨대 "취소" 버튼을 길게 누르는 키 입력이 발생하면 이에 대응하여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가 활성화 상태로 되고, 이렇게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술한 "화풀이 서비스"나 "DDR 서비스"를 즐길 수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가정한다. 다만, 본 발명은 대기모드 상태에서 사용하지 않는 키 입력에 전술한 "화풀이 서비스"나 "DDR 서비스"를 즐기도록 구현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멀티미디어 파일로서, 영상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고 오디오 데이터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는 도2를 참조하여 전술한 2가지 실시형태 외에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이 가능한데,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인터랙티브 컨텐츠 및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이용하여 동영상 광고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특정의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포함시킨 경우에는 현재 컴퓨터 상에서 이루어지는 배너 광고와 유사한 형태의 광고동작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모드용 화면 상에서 수행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인터랙티브 동영상을 보다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 키를 입력하면 동영상에 링크되어 있는 URL로 접속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방법을 이용하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사이트와 키 하나로 연결되는 인터랙티브 광고 컨텐츠를 의미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바람직하게는 무료로 다운로드받아 대기화면 컨텐츠로 지정하는데, 이러한 인터랙티브 컨텐츠에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하여 특정의 사이트로 바로 접속하도록 하는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대기화면으로 인터랙티브 컨텐츠가 재생되는 도중에 사용자가 특정의 키를 입력하면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의 콘트롤러 모듈은 키 입력과 사이트 접속 기능이 연결되었는가를확인하고, 이에 따라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를 종료하면서 후술하는 인터랙티브 매니저를 통해 해당 사이트 URL을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browser)로 전달하여 바로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해당 사이트에서 필요한 작업을 마치고 다시 대기 화면으로 돌아오면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가 다시 실행되면서 지정된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다시 보여주게 된다.
도3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시스템이 초기화되거나 사용자가 단말기 조작을 한동안 하지않으면 대기모드 상태로 진입(ST310)하고,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를 구동(ST315)한 후 대기화면 동영상 콘텐츠로서 설정된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ST320)하여 단말기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나서, 외부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지정된 화면을 계속 표시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복수개의 프레임을 포함하므로 외부이벤트가 발생(ST325)하면 그 발생한 외부이벤트가 "다음화면 업데이트"인지 여부를 판단(ST330)하여, 그러한 경우 다음 프레임으로 업데이트(ST320)한다.
한편, 발생한 외부이벤트가 "다음화면 업데이트"가 아닌 경우에는 현재 대기화면 동영상으로서 단말기 화면에 표시중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설정된 인터랙티브 컨텐츠 조작 키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ST335)하여, 그러한 경우에는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입력된 키에 대응하여 수행하도록 정의되어 있는 일련의 동작을수행(ST340)하고 다음의 이벤트를 대기한다. 한편, 발생한 외부이벤트가 인터랙티브 컨텐츠 조작 키 입력이 아닌 경우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순차적으로 숫자 키 입력(ST345), 전화수신(ST355), 그리고 SMS 수신(ST365)인지의 여부를 파악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각각의 경우에 대응하여 적합한 동작을 수행(ST350, ST360, ST370)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그 이후에는 처음으로 진행하여 특별한 이벤트가 없는 경우 대기모드로 진입(ST310)한다.
도4는 본 발명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방법에 따라서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구분재생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종래기술의 대기모드용 동영상 데이터와는 상이하게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전체 동작을 n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모드로 진입하여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가 구동(ST410)되면 초기영역인 영역[0]를 재생한 후에 사용자의 키 입력을 대기한다. 사용자의 키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은 다양하게 구현가능한데, 영역[0]의 마지막 프레임에서 정지화로서 대기할 수도 있고, 혹은 소정의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소정의 시간동안 사용자 키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영역[0]을 재생하는 과정을 반복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는 인터랙티브 컨텐츠 별로 인터랙티브 컨텐츠 조작 키가 정의되어 있는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동작을 수행할 때에는 원칙적으로는 입력된 키가 상기 별도로 정의된 인터랙티브 컨텐츠 조작 키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사(ST420)하여 이렇게 별도로 정의된 키에 대해서만 서비스를 제공하고 나머지 키 입력은 무시한다. 다만, 이동통신 단말기의 속성상 중요하게 인식되는 제어 키, 예컨대 전원 온/오프, 볼륨 업/다운, 인터랙티브 모드 종료 등과 같은 중요한 단말기 제어 키 입력에 대해서는 항상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랙티브 컨텐츠 조작 키로서 정의된 키를 입력받은 경우에는 입력된 키 i를 파싱(ST425, ST435)하여 이에 대응하는 영역[i]을 재생(ST430, ST440, ST445)하는데, 그리고 나서 특별히 종단 키(terminal key)로서 정의된 키 이외의 키 입력에 대해서는 처음으로 진행하여 초기영역인 영역[0]을 재생하고 인터랙티브 컨텐츠 조작 키의 입력을 대기한다. 한편, 상기 종단 키로서 정의된 키 입력에 대해서는 마지막 영역, 즉 영역[n-1]을 재생(ST445)한 후에 사용자의 선택을 대기하고, 이 때 사용자가 END에 대응하는 키를 입력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동작을 종료하며, 반대로 사용자가 END가 아닌 쪽, 예컨대 REPLAY에 대응하는 키를 입력하면 처음으로 다시 진행하여 초기영역인 영역[0]을 재생(ST425)한 후 사용자의 인터랙티브 컨텐츠 조작 키 입력을 대기한다. 전술한 도2A 내지 도2D에 도시되었던 소위 "화풀이 서비스"와 "DDR 서비스"의 경우를 예로 들면, 도2A와 도2C에 도시된 동영상 혹은 정지화의 대기화면이 전술한 영역[0]에 대응되고, 인터랙티브 컨텐츠 조작 키 i가 입력되었을 때 표시되는 도2B와 도2D의 동영상 혹은 정지화의 대기화면이 전술한 영역[i]에 대응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END 혹은 REPLAY로 분기하는 동작은 본 발명에 있어서 선택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종단 키로서 정의된 키가 입력된 경우에 마지막 영역, 즉 영역[n-1]을 재생(ST445)하고 바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동작을 종료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재생영역에 대해서 인터랙티브 컨텐츠 조작 키가 하나씩 대응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나의 재생영역에 대해서 복수개의 인터랙티브 컨텐츠 조작 키가 대응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4를 참조하여 전술하였던 실시예에서는 "종단 키"가 하나인 것으로 기술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적인 사항은 아니고,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종단 키를 정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는 인터랙티브 컨텐츠 조작 키가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특정의 영역[i]를 재생하기 위한 것만 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 가정하는 인터랙티브 컨텐츠 조작 키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널리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가 소위 액션(action)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4의 실시예에서 영역[i]의 재생동작은 액션의 한가지 예일 뿐이다. 다만,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특정의 영역[i]를 재생하기 위한 인터랙티브 컨텐츠 키가 아닌 다른 인터랙티브 컨텐츠 조작 키에 대해서는 그에 대응하는 인터랙티브 액션을 수행하는데, 그 부분은 도4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5는 본 발명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방법에 따라서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구분재생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5의 실시예는 전술한 도4의 실시예와 전체적으로는 동일하며, 다만 소위 "연속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하나의 인터랙티브 컨텐츠 조작 키 i의 입력(ST525, 535)에 대해서 영역[i]를 재생(ST530, ST540)한 직후에 바로 인터랙티브 컨텐츠 조작 키가 입력되었는지를 검사(ST555)하여 인터랙티브 컨텐츠 조작 키 j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초기영역인 영역[0]를 재생하지 않고 바로 키 j를 파싱(ST525, ST535)하여 이에 대응하는 영역[j]를 재생하도록 동작하고, 반대로 바로 인터랙티브 컨텐츠 조작 키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도4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초기영역인 영역[0]을 재생하고 인터랙티브 컨텐츠 조작 키의 입력을 대기한다. 전술한 도2A 내지 도2D에 도시되었던 소위 "화풀이 서비스"와 "DDR 서비스"의 경우를 예로 들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연속적인 조작 키 입력에 대해서 도2A와 도2C에 도시된 초기영역, 즉 영역[0]의 내용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필요없이 연속적인 동작으로서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도6은 본 발명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방법에서 사용자의 키 입력을 제공받아 액션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해 발생되는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사용하여 전술한 인터랙티브 컨텐츠 조작 키를 입력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스템 프로그램은 키 입력을 확인하고 소정의 내부함수를 이용하여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로 키 입력을 통보하며, 이에 대해서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는 전달된 키입력에 대해서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해서 일단 키 입력을 키 입력 큐(key input queue)에 센드(send)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는 바람직하게는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하나의 프레임을 재생할 때마다 각 프레임에서 취하여야 하는 액션의 유무를 판단하는데, 이를 위해 먼저 키 입력 큐를 수신(queue_receive)함으로써 전달된 키 입력을 획득하고, 이러한 키 입력에 대해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현재 프레임에 대한 액션정보를 인터랙티브 컨텐츠로부터 획득하여 키 입력에 대응하는 액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대응하는 액션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대응하는 액션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프레임을 생성한 후,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스템 소프트웨어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를 갱신하도록 한다. 반면, 판단결과 대응하는 액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키 입력은 무시될 수 있으며, 이에 도6에서 "액션 수행", "프레임 생성",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 "디스플레이 갱신"은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도7은 본 발명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방법에서 액션수행을 위한 액션명령어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에 도시된 액션명령어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있어서 사용자의 인터랙티브 컨텐츠 조작 키에 대응하여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가 수행하여야 하는 액션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도6의 실시예에서 인터랙티브 컨텐츠가 제공하는 액션정보는 이러한 액션명령어를 이용하여 표현된다.
도7은 이러한 액션명령어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분기(branch) 명령어, 재생(play) 명령어, 사운드(sound) 명령어, 뷰(view) 명령어, 버튼(button) 명령어, 객체(object) 명령어, 종료(quit) 명령어, 진동(vibrate) 명령어로 구분되며, 이들은 각각 여러 종류의 액션을 나타낼 수 있다. 먼저, 분기 명령어의 경우, 특정한 프레임으로 이동하는 GOTO_FRAME 명령어; 및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서 소정의 루프카운트(loop count)만큼 반복수행하는 LOOP 명령어를 포함하고, 재생 명령어의 경우, 현재의 프레임부터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는 START_PLAY 명령어;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초기 프레임, 즉 프레임 0으로 이동하는 STOP_PLAY 명령어; 및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현재 프레임에서 대기하는 PAUSE_PLAY 명령어를 포함한다.
또한, 사운드 명령어의 경우, 현재 재생되는 모든 사운드를 뮤트(mute)시키는 OFF_SOUND 명령어; 현재 재생되는 모든 사운드를 뮤트 이전의 볼륨으로 되돌리는 ON_SOUND 명령어; 특정의 사운드에 대한 재생을 개시하는 START_SOUND 명령어; 및 특정의 사운드에 대한 재생을 중단하는 STOP_SOUND 명령어를 포함하고, 뷰 명령어의 경우, 카메라 뷰(camera view)의 위치를 이동하는 MOVE_CAMERA_POS 명령어; 및 카메라 뷰의 줌 팩터를 변화시키는 CHANGE_ZOOM 명령어를 포함한다. 또한, 버튼 명령어의 경우, 다음 버튼으로 포커스를 이동하는 GOTO_NEXT_BUTTON 명령어; 및 이전 버튼으로 포커스를 이동하는 GOTO_PREV_BUTTON 명령어를 포함하고, 객체 명령어의 경우, 특정의 객체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위치시키는 DISPLAY_OBJECT 명령어; 특정의 객체를 프레임에서 지우는 EXPUNGE_OBJECT 명령어; 및 특정의 객체에 칼라연산을 취하는 CHANGE_COLOR 명령어를 포함한다. 또한, 종료 명령어의 경우,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를 종료하는 QUIT 명령어; 및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를 종료하면서 특정의 URL을 리턴하는 STOP_AND_GOTO_URL 명령어를 포함하고, 진동 명령어의 경우, 특정의 시간동안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을 수행하는 VIBRATE 명령어를 포함한다.
이들 액션명령어에 대해서는 지정된 액션이 수행되는 시점에 대해서 제한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예컨대 현재의 프레임이 시작될 때 수행되도록 하거나, 혹은 현재의 프레임이 종료될 때 수행되도록 하거나, 혹은 언제여도 무방하다고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전술한 GOTO_FRAME 명령어의 경우에는 현재의 프레임이 종료될 때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고, 반대로 START_PLAY 명령어의 경우에는 현재의 프레임이 시작될 때 수행되도록 하는 적이 적합하며, STOP_PLAY 명령어의 경우에는 언제 수행되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방법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재생기 내의 디코더 설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따른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일종의 동영상으로서, 이에 따라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프레임 별로 프레임 데이터(810, 820, 830, 840)가 존재한다. 하나의 프레임 데이터(820)는 랜더링 데이터(821)와 액션정보(8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는 랜더링 데이터(821)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화면에 프레임의 컨텐츠 내용을 표시하고, 또한 액션정보(822)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동작을 수행한다. 다만, 이와같은 사항은 본 발명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방법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사항은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데, 프레임 단위로 정보를 구분하지 않고 예컨대 도4와 도5를 참조하여 전술하였던 재생영역을 단위로 하여 랜더링 데이터(821)과 액션정보(822)가 포함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가 제공하는 키 입력은 바람직하게는 일단 키 입력 큐(850)로 센드되고, 이후에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가 키 입력을 처리하는 시기에 상기 키 입력 큐(850)의 수신동작을 통해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로 전달되어 서비스된다. 본 발명의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는 키 입력 k[i]에 대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액션 풀(860)을 검색한다. 여기에서, 액션 풀(860)은 현재 재생하고 있는 프레임 또는 영역에 대해서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하는 사용자 입력 이벤트의 리스트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로서는 일반적으로 키 입력과 버튼 선택을 생각할 수 있으며, 특정의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하여야 하는 사용자 입력 이벤트의 종류와 이에 대응하는 액션명령어 리스트(870)는 인터랙티브 컨텐츠 내에 액션정보(822) 등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액션명령어 리스트(870)는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대해서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가 수행하여야 하는 액션의 리스트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이상의 액션명령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액션명령어에 대해서는 도7의 내용을 참조한다.
전술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 중에서, "버튼 선택"이라 함은 재생중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버튼"으로서 특별히 정의된 이벤트를 의미하는데, 예를 들면 도2C와 도2D를 참조하여 전술한 소위 "DDR 서비스"의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화살표 등의 지시에 대응하여 사용자는 제한된 몇 가지 키 입력 중의 하나를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것을 "DDR 서비스"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버튼 선택"이라고 한다. 따라서, 이들 "버튼 선택"은 현재 재생중인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내용에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는 먼저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을 버튼 선택으로서 해석하고, 그리고 나서 버튼 선택에 대응하는 액션명령어 리스트(870)를 획득한 후에 상기 액션명령어 리스트(870)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이상의 액션명령어를 수행함으로써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제공한다.
반면, 전술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 중에서, "버튼 선택"이 아닌 "키 입력"이라 함은 현재 재생중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있어서 "버튼"으로서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키 입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오디오 뮤트(audio mute)나 환경설정(setup), 또는 도2A와 도2B를 참조하여 전술한 소위 "화풀이 서비스"의 경우에 화풀이 대상 캐릭터를 구타하기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등이 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들 "키 입력" 또한 현재 재생중인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내용에 밀접하게 연관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는 먼저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에 대응하는 액션명령어 리스트(870)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액션명령어 리스트(870)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이상의 액션명령어를 수행함으로써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술한 액션 풀(860)과 액션명령어 리스트(870)의 조합은 "글로벌 액션"과 "로컬 액션"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먼저 로컬 액션은 현재 재생중인 프레임 또는 영역에 한정적으로 적용되는 액션이고, 글로벌 액션은 현재 재생중인 프레임 또는 영역과는 무관하게 적용되는 액션이다. 예를 들면, 전술한 "DDR 서비스"에 있어서 화살표 지시에 대응되는 키 입력 및 이에 따른 액션명령어는 로컬 액션에 해당하고, 반대로 환경설정이나 오디오 뮤트 등과 같은 키 입력 및 이에 따른 액션명령어는 글로벌 액션에 해당한다. 로컬 액션에 대한 정보는 프레임 또는 영역(820)의 액션정보(822)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글로벌 액션에 대한 정보는 프레임 또는 영역 데이터와는 별도의 필드(도시되지 않음)에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9는 본 발명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방법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재생기 내의 인터랙티브 서비스 동작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는 도중에 외부로부터 키 입력이 제공되면 먼저 제공된 키 입력 k[i]을 페치(fetch : ST910)하고, 키 입력 k[i]가 전술한 "버튼 선택"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ST915)하여, "버튼 선택"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키 입력 k[i]을 이에 대응하는 버튼 선택으로 해석하고, "버튼 선택"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는 키 입력을 그대로 사용한다. 그리고 나서, "버튼 선택" 혹은 "키 입력"에 대해서 전술한 액션 풀(860)을 검색(ST925)하여 만일 매치(match)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에는 본 "버튼 선택" 혹은 "키 입력"은 무시하고, 만일 매치가 발견되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되는 액션명령어 리스트(870)를 획득(ST935)하여 상기 액션명령어 리스트(870)에 포함되는 하나이상의 액션명령어를 수행(ST940, ST945)함으로써 상기 외부 키 입력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나서, 처음으로 진행하여 키 입력을 대기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방법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1000)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1000)는 캐시/리소스 매니져(1010), 인터랙티브 매니저(1020), 컨텐츠 파서(1030), 벡터 그래픽 솔루션(1040), 재생기 컨트롤러(1050), 래스터 그래픽 솔루션(1060), 네트워크 핸들러(1070), 사운드 핸들러(1080), 및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레이어(10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1000)는 본 발명의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방법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상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의 하드웨어로서 구현이 가능하다.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레이어(1090)는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마다 상이하게 적용하는 하드웨어 및 응용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의 기능을 담당하는데,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추상적인 부분과 하드웨어에 종속적인 부분을 분리하여 다루는 것이 다양한 하드웨어 환경에 대해 원활하게 대응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소프트웨어를 효과적으로 이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운드 핸들러(sound handler : 1080)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내용에 따른 사운드 처리를 담당하고, 네트워크 핸들러(network handler : 1070)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내용에 따른 무선 데이터 통신을 담당한다. 또한, 래스터 그래픽 솔루션(raster graphic solution : 1060)은 BMP나 JPG 등과 같은 래스터 그래픽 포맷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그래픽 모듈이고, 벡터 그래픽 솔루션(vector graphic solution : 1040)은 벡터 그래픽 포맷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그래픽 모듈이다.
또한, 컨텐츠 파서(1030)는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명령을 해석 및 처리하고, 재생기 컨트롤러(1050)는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1000)의 콘트롤러 모듈로서 특히 외부 키 입력 및 타이머 등의 이벤트 처리를 담당한다. 또한, 인터랙티브 매니저(1020)는 이동통신 단말기 종류에 따라 제공되는 인터랙티브 오프젝트(object), 예컨대 시간이나 배터리 상태 등의 정보를 처리하고, 캐시/리소스 매니저(1010)는 제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환경에서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1000)가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캐시와 메모리를 포함한 시스템 리소스의 관리를 담당한다. 캐시/리소스 매니저(1010)는 한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1000)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라고는 할 수 없다.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1000)에서 재생하는 이미지 포맷은 크게 래스터 그래픽과 벡터 그래픽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래스터 그래픽은 이미지를 구성하는 각 픽셀의 정보에 따라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그래픽 포맷이고, 벡터 그래픽은 선과 면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그래픽 포맷이다. 래스터 그래픽은 이미지를 구성하는 각 픽셀에 대한 그래픽 정보값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형성하므로 데이터 양이 많이 필요한 반면, 벡터 그래픽은 수학식을 이용해서 선과 면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므로 이미지의 데이터 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래스터 그래픽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경우, 사용자의 키패드 입력과 타이머 이벤트에 대응하여 재생기 컨트롤러(1050)가 디스플레이될 다음 이미지를 정하여 순차적으로 재생함으로써 인터랙티브 컨텐츠가 사용자의 조작에 반응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반면,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키패드 입력에 대응하여 표준 이미지에서 키 입력에 따른 일정한 변위 값을 판단하여 다음 이미지를 변형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1000)는 래스터 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 래스터 그래픽 솔루션(raster graphic solution : 1060)을 구비하는데, 이 래스터 그래픽 솔루션(1060)은 압축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래스터 그래픽 코덱(1063), 래스터 그래픽 내에서 오브젝트 이미지의 이동·확대·축소 등과 같은 여러가지 조작을 담당하는 오퍼레이터(1062), 그리고 소정의 래스터 그래픽 포맷에 따라 명령을 해석, 처리하는 래스터 그래픽 파서(106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1000)는 벡터 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 벡터 그래픽 솔루션(1040)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 벡터 그래픽 솔루션(1040)을 이용해서 변위 값을 해석하고 이미지를 처리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1000)는 특히 벡터 그래픽 만을 처리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래스터 그래픽 솔루션(1060)은 불필요하게 되고, 반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1000)는 특히 래스터 그래픽만을 처리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벡터 그래픽 솔루션(1040)은 반드시 구비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포함된 랜더링 데이터(821)를 처리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솔루션은 포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구성함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현하기에 적합한 동영상 데이터 포맷에 대해서는 본원 출원인이 대한민국 특허청에 2000년 12월 22일에 특허출원번호 제10-2000-0079982호로 특허출원하여 2001년 07월 07일자 특허공개번호 제2001-62602호로 특허공개된 발명 "무선통신을 이용한 동영상 송수신 시스템 및 전송방법"에서 제시한 바 있으며, 상기 특허출원에서 제시하였던 동영상 데이터 포맷은 소위 SIS3 (Simple Image Service 3)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방법은 상기 공개특허에 제시된 SIS3 데이터 포맷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포맷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1000)를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로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구성, 예컨대 프로세서 모듈, 메모리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키패드 모듈, 안테나 모듈, 배터리 모듈 등을 모두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대기화면으로서 재생하는 경우에는 대기모드 중에 사용자가 제공하는 키 입력을 처리해야 하는데, 이러한 키 입력이 통상의 전화사용, 즉 전화기내에 저장된 전화번호 검색이나 통화를 위한 번호 키의 입력 등에 대응하는 것인지 아니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 서비스를 위한 것인지를 이동통신 단말기로서는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분은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하며, 이하 그 중에서 사용가능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 한가지 처리방식은 대기모드용의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특정의 키를 지정하는 방식으로서,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경우에 4방향의 화살표 키 중에서 좌우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키를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 서비스에 사용하도록 하고, 그 이외의 키는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에 대응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처리방식은 특정의 키 입력을 모드절환 키 입력으로 설정하여 이를 통해 인터랙티브 재생모드와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모드를 스위칭하는 방식인데, 이러한 방식은 예컨대 메모리에 프래그(flag)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상기 모드절환 키를 누르는지 여부에 따라서 해당 프래그의 상태를 바꾸어 줌으로써 처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시한 두가지 처리방식은 간단한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이 가능하며, 제시된 방식 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방식인 특정의 키 입력을 모드절환 키 입력으로서 설정하여 이를 통해 인터랙티브 재생모드와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모드를 스위칭하는 방식에 대해서 전술한 도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모드로 진입하여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가 구동(ST410)되면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초기영역인 영역[0]를 재생한 후에 사용자의 키 입력을 대기하는데, 이 때 사용자가 전술한 모드절환 키 입력을 제공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인터랙티브 재생모드로 절환되고 바람직하게는 이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있어서 인터랙티브 모드개시영역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인터랙티브 모드개시영역은 전술한 바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영역 중에서 하나의 영역[i]과 동일할 수도 있고, 혹은 상기 복수개의 영역과는 별도인 전용의 재생영역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작하는 제작사에서 제작과정에서 미리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무선인터넷 등을 통하여 다운받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유선 인터넷 망과 연결되어 있는 PC를 통하여 PC에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다운을 받고 PC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신에 의하여 PC에서 이동통신단말기로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전송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개의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운받아 그 중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1은 본 발명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방법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시계 및 알람제공 컨텐츠의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A와 도11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대한민국의 저명한 캐릭터인 짱구(zzanggu)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 "시계 및 알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평상시의 대기모드에서는 도11A와 같은 통상의 동화상 혹은 정지화의 대기화면으로서 시계가 표시되는데, 도시된 짱구시계 컨텐츠에 대해서 "알람 서비스"의 목적상 특별히 정의된 키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한 경우에는, 알람이 설정된 시간이 된 경우에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알람용 동영상 혹은 정지화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고,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혹은 설정된 멜로디도 함께 재생된다.
도12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로서 도11의 시계 및 알람제공 컨텐츠의 재생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초기화 과정이 종료되고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가 해당 시계 및 알람제공 컨텐츠를 처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대기모드 화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인 아날로그시계를 선택(ST1210)하면,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를 구동(ST1215)한 후에, 먼저 전술한 컨텐츠 파서(1030)를 이용하여 해당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명령어을 파싱(ST1220)하여 그 내용을 파악한다.
시계를 나타내는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경우 시스템으로부터 시간정보를 획득하여야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인터랙티브 매니저(1020)가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유하는 시간정보를 획득(ST1225)하고, 이에 대해 벡터 그래픽 솔루션(1040)은 사용자가 선택한 아날로그 시계 컨텐츠와 상기 획득된 시간정보를 이용해서 현재시간이 표시되는 아날로그 시계 이미지를 형성한다. 시계의 배경이미지를 래스터 그래픽으로써 형성한 경우에는 래스터 그래픽 솔루션(1060)을 이용하여 시계의 배경이미지를 처리하고, 시계바늘은 바람직하게는 벡터 그래픽 솔루션(1040)에서 벡터 그래픽으로서 처리한다.
벡터 그래픽 솔루션(1040)에서 형성한 시계 이미지는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레이어(1090)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ST1230)되도록 하고, 재생기 컨트롤러(1050)는 다음화면 업데이트를 위하여 일정시간 후에 타이머 이벤트가 발생하도록 설정(ST1235)한다.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타이머 이벤트가 발생(ST1240)하면 재생기 컨트롤러(1050)는 컨텐츠 파서(1030)를 이용하여 다시 현재 선택된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명령어를 해석하는 작업을 수행(ST1220)하도록 하며, 이어서 상기에 설명된 시간정보를 획득하고 시계 이미지를 표시(ST1230)하는 과정이 동일하게 반복된다.
상기의 일련의 과정은 종료 키 또는 전화번호 키 입력 등과 같은 대기모드탈출 이벤트가 발생(ST1245)하면 대기모드 상태에서 탈출하고, 또한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1000)의 동작을 종료(ST1250)한다. 이어서, 상기 발생한 대기모드 탈출 이벤트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수행하고, 소정의 시간동안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 대기모드로 진입하게 될 것이며, 그 경우 다시 전술한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따른 시계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별도의 키 입력 없이 실행되도록 하며 특히 대기모드 상에서 인터랙티브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하여 대기모드 상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다른 영상을 볼 수 있는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모드에서 재생되는 광고 동영상을 보다가 사용자가 특정 키를 누르게 되면 바로 광고 동영상에 포함된 URL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광고산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양한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매에 더욱 효과적이며, 또한 네트워크를통하여 손쉽게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21)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모드 화면으로서 사용가능하고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해서 인터랙티브한 액션을 제공하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상기 인터랙티브 액션을 수행할 하나이상의 조작 키 입력과 상기 조작 키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정의하는 액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복수개의 재생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재생영역의 각각에는 하나이상의 대응 액션키 입력이 상기 액션정보 내에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제1 단계;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를 구동하는 제2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서 대기모드 화면으로 설정된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제1 재생영역을 재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상기 액션정보에 정의된 상기 조작 키 입력을 대기하여 제공받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공된 조작 키 입력이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정의된 상기 대응 액션키 입력인 경우에는 상기 대응 액션키 입력에 대응하는 재생영역을 재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제공된 조작 키 입력이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정의된 상기 대응 액션키 입력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액션정보로부터 상기 조작 키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의 정의를 획득하여 상기 정의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은 상기 제3 단계와 상기 제4 단계 사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가 상기 인터랙티브 액션을 수행하는 인터랙티브 재생모드로 진입하도록 정의된 인터랙티브 모드절환 키 입력을 대기하여 제공받는 제a 단계; 및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인터랙티브 모드개시영역을 재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제b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상기 인터랙티브 모드개시영역은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상기 복수개의 재생영역 중의 하나의 재생영역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상기 인터랙티브 모드개시영역은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상기 복수개의 재생영역과는 별도로 상기 제1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전용으로 제공되는 재생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이상의 대응 액션키 입력은 하나이상의 보통대응 액션키 입력과 하나이상의 종단대응 액션키 입력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제공된 조작 키 입력이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정의된 상기 보통대응 액션키 입력인 경우에 상기 대응 액션키 입력에 대응하는 재생영역을 재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 후 상기 제3 단계로 진행하는 제5a 단계; 상기 제공된 조작 키 입력이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정의된 상기 종단대응 액션키 입력인 경우에 상기 대응 액션키 입력에 대응하는 재생영역을 재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 후, 사용자의 선택 키 입력을 대기하여 제공받아 상기 선택 키 입력이 제1 값인 경우에는 상기 제3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선택 키 입력이 제2 값인 경우에는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을 종료하는 제5b 단계; 및 상기 제공된 조작 키 입력이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정의된 상기 대응 액션키 입력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액션정보로부터 상기 조작 키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의 정의를 획득하여 상기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제3 단계로 진행하는 제5c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이상의 대응 액션키 입력은 하나이상의 보통대응 액션키 입력과 하나이상의 종단대응 액션키 입력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제공된 조작 키 입력을 분류하는 제5a 단계; 상기 제공된 조작 키 입력이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정의된 상기 보통대응 액션키 입력인 경우에 상기 대응 액션키 입력에 대응하는 재생영역을 재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 후,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상기 액션정보에 정의된 상기 조작 키 입력을 대기하여 상기 조작 키 입력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제5a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조작 키 입력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 단계로 진행하는 제5b 단계; 상기 제공된 조작 키 입력이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정의된 상기 종단대응 액션키 입력인 경우에 상기 대응 액션키 입력에 대응하는 재생영역을 재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 후, 사용자의 선택 키 입력을 대기하여 제공받아 상기 선택 키 입력이 제1 값인 경우에는 상기 제3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선택 키 입력이 제2 값인 경우에는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을 종료하는 제5c 단계; 및 상기 제공된 조작 키 입력이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정의된 상기 대응 액션키 입력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액션정보로부터 상기 조작 키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의 정의를 획득하여 상기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제3 단계로 진행하는 제5d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션정보는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가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인터랙티브 액션을 수행할 하나이상의 조작 키 입력과, 상기 조작 키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가 수행하여야 할 동작을 소정의 액션명령어 세트를 이용하여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
  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모드 화면으로서 사용가능하고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해서 인터랙티브한 액션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될 내용을 각 프레임 별로 기술하는 랜더링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한 상기 인터랙티브 액션을 기술하는 액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액션정보는 상기 인터랙티브 액션을 수행할 하나이상의 조작 키 입력과 상기 조작 키 입력에 대응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행하는 동작을 정의하며,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제1 단계;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를 구동하는 제2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서 대기모드 화면으로 설정된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제1 재생영역을 재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제3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가 상기 인터랙티브 액션을 수행하는 인터랙티브 재생모드로 진입하도록 정의된 인터랙티브 모드절환 키 입력을 대기하여 제공받는 제4 단계;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인터랙티브 모드개시영역을 재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제5 단계;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상기 액션정보에 정의된 상기 조작 키 입력을 대기하여 제공받는 제6 단계; 및 상기 제공된 조작 키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의 정의를 상기 액션정보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정의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공하는 상기 키 입력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스템 프로그램에 의해 소정의 키 입력 큐로 센드되고,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는 상기 키 입력 큐에 대해서 수신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키 입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별로 제공되는 상기 랜더링 데이터는 공지기술인 SIS3 (Simple Image Service 3) 데이터 포맷에 따라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션정보가 정의하는 상기 조작 키 입력은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버튼선택으로서 정의된 조작 키 입력인 버튼선택 키 입력과 상기 버튼선택으로서 정의되지 않은 조작 키 입력인 비버튼선택 키 입력으로 구성되고, 상기 액션정보가 정의하는 상기 동작은 상기 버튼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행하는 동작인 버튼선택 동작과 상기 비버튼선택 키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행하는 동작인 비버튼선택 동작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제공된 조작 키 입력을 분류하는 제7a 단계; 상기 제공된 조작 키 입력이 상기 버튼선택 키 입력인 경우에, 상기 조작 키 입력에 대응하는 버튼선택을 획득하고, 상기 버튼선택에 대응되는 상기 버튼선택 동작의 정의를 획득하여 상기 정의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7b 단계; 상기 제공된 조작 키 입력이 상기 비버튼선택 키 입력인 경우에, 상기 조작 키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비버튼선택 동작의 정의를 획득하여 상기 정의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7c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7b 단계와 상기 제7c 단계는 서로 순서에 상관없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션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한 상기 인터랙티브 액션을 상기 프레임 별로 기술하는 로컬 액션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한 상기 인터랙티브 액션을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기술하는 글로벌 액션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로컬 액션정보는 상기 프레임 별로 상기 인터랙티브 액션을 수행할 하나이상의 로컬 조작 키 입력과 상기 로컬 조작 키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행하는 로컬 동작을 정의하고, 상기 글로벌 액션정보는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상기 인터랙티브 액션을 수행할 하나이상의 글로벌 조작 키 입력과 상기 글로벌 조작 키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행하는 글로벌 동작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액션정보가 정의하는 상기 로컬 조작 키 입력은 상기 로컬 액션정보에 대응되는 프레임에 대해서 버튼선택으로서 정의된 조작 키 입력인 로컬 버튼선택 키 입력과 상기 버튼선택으로서 정의되지 않은 조작 키 입력인 로컬 비버튼선택 키 입력으로 구성되고, 상기 로컬 액션정보가 정의하는 상기 로컬 동작은 상기 버튼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행하는 동작인 로컬 버튼선택 동작과 상기 로컬 비버튼선택 키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행하는 동작인 로컬 비버튼선택 동작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제공된 조작 키 입력을 분류하는 제7a 단계; 상기 제공된 조작 키 입력이 상기 조작 키 입력이 제공된 프레임에 대응되는 상기 로컬 액션정보에 정의된 상기 로컬 버튼선택 키 입력인 경우에, 상기 조작 키 입력에 대응하는 버튼선택을 획득하고,상기 버튼선택에 대응되는 상기 로컬 버튼선택 동작의 정의를 획득하여 상기 정의된 로컬 동작을 수행하는 제7b 단계; 상기 제공된 조작 키 입력이 상기 조작 키 입력이 제공된 프레임에 대응되는 상기 로컬 액션정보에 정의된 로컬 비버튼선택 키 입력인 경우에, 상기 조작 키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로컬 비버튼선택 동작의 정의를 획득하여 상기 정의된 로컬 동작을 수행하는 제7c 단계; 및 상기 제공된 조작 키 입력이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상기 글로벌 액션정보에 정의된 글로벌 조작 키 입력인 경우에, 상기 조작 키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글로벌 동작의 정의를 획득하여 상기 정의된 글로벌 동작을 수행하는 제7d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7b 단계와 상기 제7c 단계와 상기 제7d 단계는 서로 순서에 상관없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
  14.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 내의 상기 액션정보는 특정 인터넷 사이트로의 인터넷 접속동작에 대응되는 인터넷 조작 키 입력과 상기 인터넷 조작 키 입력에 대응하여 접속할 상기 특정 인터넷 사이트의 URL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기모드에서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는 도중에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터넷 조작 키 입력이 제공되면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상기 URL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인터넷 사이트로의 접속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
  15. 대기모드에서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모듈을 사용하여 재생하고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해서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액션정보에 따라 인터랙티브 액션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인터랙티브 오브젝트를 처리하는 인터랙티브 매니저;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내용을 해석하는 컨텐츠 파서; 상기 컨텐츠 파서에서 해석한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내용과 상기 인터랙티브 매니저가 처리한 상기 인터랙티브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이미지를 생성하는 그래픽 솔루션; 및 상기 인터랙티브 매니저와 상기 컨텐츠 파서와 상기 그래픽 솔루션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키 입력을 처리하는 재생기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인터랙티브 재생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는 도중에 상기 사용자 키 입력이 제공되면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모듈의 상기 재생기 콘트롤러로 상기 제공된 사용자 키 입력을 전달하고, 상기 재생기 콘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키 입력을 전달받아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상기 액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키 입력이 상기 인터랙티브 액션을 제공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 키 입력이 상기 인터랙티브 액션을 제공하여야 하는 키 입력인 경우에는 상기 키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행하여야 하는 동작의 정의를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상기 액션정보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정의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모듈에 탑재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세서 모듈에서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모듈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모듈은 상기 컨텐츠 파서에서 해석한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내용에 따른 사운드 처리를 담당하는 사운드 핸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모듈은 상기 컨텐츠 파서에서 해석한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내용에 따른 무선 데이터 통신을 담당하는 네트워크 핸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솔루션은 벡터 그래픽 포맷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벡터 그래픽 솔루션; 및 래스터 그래픽 포맷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래스터 그래픽 솔루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모드 화면으로서 사용가능하고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해서 인터랙티브한 액션을 제공하는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정보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상기 인터랙티브 액션을 수행할 하나이상의 조작 키 입력과 상기 조작 키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정의하는 액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복수개의 재생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재생영역의 각각에는 하나이상의 대응 액션키 입력이 상기 액션정보 내에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제1 단계;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를 구동하는 제2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서 대기모드 화면으로 설정된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제1 재생영역을 재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상기 액션정보에 정의된 상기 조작 키 입력을 대기하여 제공받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공된 조작 키 입력이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정의된 상기 대응 액션키 입력인 경우에는상기 대응 액션키 입력에 대응하는 재생영역을 재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제공된 조작 키 입력이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정의된 상기 대응 액션키 입력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액션정보로부터 상기 조작 키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의 정의를 획득하여 상기 정의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정보기록매체.
  2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모드 화면으로서 사용가능하고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해서 인터랙티브한 액션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정보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될 내용을 각 프레임 별로 기술하는 랜더링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한 상기 인터랙티브 액션을 기술하는 액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액션정보는 상기 인터랙티브 액션을 수행할 하나이상의 조작 키 입력과 상기 조작 키 입력에 대응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행하는 동작을 정의하며,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제1 단계; 상기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기를 구동하는 제2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서 대기모드 화면으로 설정된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제1 재생영역을 재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제3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가 상기 인터랙티브 액션을 수행하는 인터랙티브 재생모드로 진입하도록 정의된 인터랙티브 모드절환 키 입력을 대기하여 제공받는 제4 단계;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인터랙티브 모드개시영역을 재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제5 단계;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해서 상기 액션정보에 정의된 상기 조작 키 입력을 대기하여 제공받는 제6 단계; 및 상기 제공된 조작 키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의 정의를 상기 액션정보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정의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정보기록매체.
KR10-2003-0014687A 2002-05-08 2003-03-1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57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3/000908 WO2003096562A1 (en) 2002-05-08 2003-05-07 Method for playing interactive contents for standby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same
EP03723421A EP1502363B1 (en) 2002-05-08 2003-05-07 Method for playing interactive contents for standby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same
DE60322375T DE60322375D1 (de) 2002-05-08 2003-05-07 Verfahren zum abspielen von interaktiven inhalten für den standby-modus in einem mobilkommunikationsendgerät und mobilkommunikationsendgerät damit
AT03723421T ATE402525T1 (de) 2002-05-08 2003-05-07 Verfahren zum abspielen von interaktiven inhalten für den standby-modus in einem mobilkommunikationsendgerät und mobilkommunikationsendgerät damit
CNB038104113A CN100367679C (zh) 2002-05-08 2003-05-07 在移动通信终端中播放待机模式交互内容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移动通信终端
AU2003230311A AU2003230311A1 (en) 2002-05-08 2003-05-07 Method for playing interactive contents for standby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same
JP2004504406A JP4074619B2 (ja) 2002-05-08 2003-05-07 移動通信端末機における待機モード用インタラクティブコンテンツの再生方法及びこれを用いる移動通信端末機
US10/982,200 US7251504B2 (en) 2002-05-08 2004-11-05 Method for playing interactive contents for standby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25171 2002-05-08
KR1020020025171 2002-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525A true KR20030087525A (ko) 2003-11-14
KR100457663B1 KR100457663B1 (ko) 2004-11-17

Family

ID=32381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4687A KR100457663B1 (ko) 2002-05-08 2003-03-1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57663B1 (ko)
AT (1) ATE402525T1 (ko)
DE (1) DE60322375D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52076A1 (en) * 2004-11-10 2006-05-18 Neomte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multimedia content
KR100619803B1 (ko) * 2003-06-17 2006-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대기화면 설정방법
WO2006104307A1 (en) * 2005-04-01 2006-10-05 Intromobile Co., Ltd. Method of changing idle screen template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is recorde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unction thereof
WO2006112557A1 (en) * 2005-02-17 2006-10-26 Intromobile Co., Ltd. System of providing contents information on idle-mode screen of mobile terminal using personal computer of functioning as server,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on which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is recorded
WO2006121238A1 (en) * 2005-05-10 2006-11-16 Intromobile Co., Ltd. Method of displaying atypical template type on idle-mode scree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is recorde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function thereof
KR100664127B1 (ko) * 2004-06-22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기화면 이미지 구성장치
KR100678723B1 (ko) * 2004-07-30 2007-0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어플리케이션을 위한 키 입력신호 처리 방법
KR100720116B1 (ko) * 2005-04-06 2007-05-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미니 홈페이지의 미니룸을 이동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786951B1 (ko) * 2006-08-11 2007-12-17 석윤찬 동영상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홈 쇼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02852B1 (ko) * 2008-11-21 2012-01-05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오입력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화면에 디스플레이 광고를 게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8521228B2 (en) 2006-12-01 2013-08-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standby screen thereof
US8612897B2 (en) 2006-12-01 2013-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dle screen arrangement structure and idle screen display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101493085B1 (ko) * 2008-04-23 2015-02-12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사용 방법 및 인터랙티브 컨텐츠재사용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150084522A (ko) * 2014-01-14 2015-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퀵 컨트롤 메뉴를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803B1 (ko) * 2003-06-17 2006-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대기화면 설정방법
KR100664127B1 (ko) * 2004-06-22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기화면 이미지 구성장치
KR100678723B1 (ko) * 2004-07-30 2007-0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어플리케이션을 위한 키 입력신호 처리 방법
WO2006052076A1 (en) * 2004-11-10 2006-05-18 Neomte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multimedia content
WO2006112557A1 (en) * 2005-02-17 2006-10-26 Intromobile Co., Ltd. System of providing contents information on idle-mode screen of mobile terminal using personal computer of functioning as server,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on which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is recorded
WO2006104307A1 (en) * 2005-04-01 2006-10-05 Intromobile Co., Ltd. Method of changing idle screen template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is recorde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unction thereof
KR100720116B1 (ko) * 2005-04-06 2007-05-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미니 홈페이지의 미니룸을 이동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1069358B (zh) * 2005-05-10 2011-07-20 因特罗移动有限公司 在移动通信终端的待机模式画面上显示非典型模板类型的方法、记录用于执行该方法的程序的计算机可读记录介质以及具有其功能的移动通信终端
WO2006121238A1 (en) * 2005-05-10 2006-11-16 Intromobile Co., Ltd. Method of displaying atypical template type on idle-mode scree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is recorde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function thereof
KR100786951B1 (ko) * 2006-08-11 2007-12-17 석윤찬 동영상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홈 쇼핑 시스템 및 그 방법
US8521228B2 (en) 2006-12-01 2013-08-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standby screen thereof
US8612897B2 (en) 2006-12-01 2013-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dle screen arrangement structure and idle screen display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101493085B1 (ko) * 2008-04-23 2015-02-12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사용 방법 및 인터랙티브 컨텐츠재사용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1102852B1 (ko) * 2008-11-21 2012-01-05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오입력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화면에 디스플레이 광고를 게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50084522A (ko) * 2014-01-14 2015-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퀵 컨트롤 메뉴를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5108223A1 (en) * 2014-01-14 2015-07-23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device providing quick control menu
US10209873B2 (en) 2014-01-14 2019-02-1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device providing quick control men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7663B1 (ko) 2004-11-17
ATE402525T1 (de) 2008-08-15
DE60322375D1 (de) 200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4619B2 (ja) 移動通信端末機における待機モード用インタラクティブコンテンツの再生方法及びこれを用いる移動通信端末機
KR10045766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EP1694071A1 (en) Interactive video applications
CN112492371B (zh) 一种显示设备
KR100609251B1 (ko) 장치 동작시 도움을 얻기 위한 시스템
US20070011706A1 (en) Video browsing system and method
CN111479145A (zh) 显示设备及电视节目的推送方法
CN104468980A (zh) 一种对终端开机动画和铃声的播放控制方法及装置
WO2021184575A1 (zh) 显示设备和显示方法
KR20090124240A (ko) 자막 편집 장치 및 그 방법
CN113490064A (zh) 一种视频播放方法和设备及服务器
KR100660515B1 (ko) 노래방 서비스 장치 및 제공 방법
CN111953838B (zh) 一种通话拨号方法、显示设备以及移动终端
CN112055238B (zh) 视频播放的控制方法、设备及系统
KR102139331B1 (ko) 영상 콘텐츠 재생을 위한 장치, 서버 및 방법
JPWO2004102374A1 (ja) 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装置及び移動通信端末装置
JP2906888B2 (ja) レーダー表示機能を有するゲーム装置とその表示方法
CN114385109B (zh) 音频播放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873335B (zh) 一种节目时移定位播放方法及显示设备
KR20080093567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동영상 목록 표시 방법
CN116233526A (zh) 一种显示设备及信号源列表显示方法
JP6274140B2 (ja)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プログラム、サーバ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EP3739874A1 (en) Video playback method and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3347496A (zh) 显示设备及广告异常处理方法
KR100817926B1 (ko) 외부 표시 장치를 이용한 멀티 스크린 기능 휴대 전자기기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