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7416A -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의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의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7416A
KR20030087416A KR1020020025485A KR20020025485A KR20030087416A KR 20030087416 A KR20030087416 A KR 20030087416A KR 1020020025485 A KR1020020025485 A KR 1020020025485A KR 20020025485 A KR20020025485 A KR 20020025485A KR 20030087416 A KR20030087416 A KR 20030087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gateway
media
management
resource
gat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9607B1 (ko
Inventor
박호진
이병선
전경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25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607B1/ko
Publication of KR20030087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6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4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14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cleaning by blowing-off,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8Nozzles with means adapted for blow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의 관리를 위하여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 기능과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부 기능으로 분리시키고 이들간의 적절한 상호 정합 체계를 정의함으로써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미디어 게이트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제어하는 복수의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를 관리하는 복수의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와, 자원 분할 관리부 및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 대행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관리하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부로 구성된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의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원 분할 관리부에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미디어 게이트웨이 내의 자원 구성에 대한 형상 정보, 상기 자원에 대한 분할 및 상기 자원 분할에 대한 변경을 요구하고 상기 각 요구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는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 대행부에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에 대한 관리기능의 수행을 요구하는 제2 단계;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 대행부는 상기 제2 단계의 수행요구를 수신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전달하고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수행요구에 대한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로 전달하는 제3 단계;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 대행부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내에서 발생된 이벤트 정보를 통보하는 제4 단계;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 대행부는 상기 제4 단계의 통보를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로 전달하는 제5 단계;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에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기능 수행을 요구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로 상기 제6 단계의 수행요구에 대한 처리 결과를 통보하고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기능 이벤트 정보를 통보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의 관리방법{A Management Method of Open Interworking Gateway}
본 발명은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의 관리를 위하여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 기능과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부 기능으로 분리시키고 이들간의 적절한 상호 정합 체계를 정의함으로써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망이 패킷 망을 기반으로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통합 수용하고 통신 시스템 구조가 개방화되는 추세에 따라, 망연동 게이트웨이의 구조도 내부적으로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와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독립적으로 분리되고, 1개의 시스템 내에서 다수의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와 미디어 게이트웨이가 상호 동작하는 구조 및 특성을 갖는 개방형 멀티서비스 수용 구조로 발전하고 있다.
종래의 망연동 게이트웨이 관리기능은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 기능과 미디어 게이트웨이가 밀접하게 결합된 폐쇄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의 관리를 위한 것으로서, 단일 기능 구조로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 기능과 미디어 게이트웨이 기능을 관리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관리 방식으로는 개방형 멀티서비스 구조를 갖는 망연동 게이트웨이의 효율적 관리가 불가능하였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4-7001418호에는 전기통신 시스템과 개방형 시스템에 있어서의 관리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통신망 관리를 위한 관리 요소간 인터페이스를 정의한 것으로서, 피관리 시스템은 포함되는 물리적 및 논리적 자원을 데이터 영상의 형태로 피관리 목적물을 관리하고 관리시스템은 피관리 시스템을 관리정보모델을 이용하여 관리하며, 관리네트워크는 피관리 시스템의 밖에 범용관리자 및 관리정보모델의 표현을 포함하고 작동중인 범용관리자의 운용은 상기 정보모델표현에 의해 결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미국 특허 US6,137,801호에는 효율적인 교환기 관리 기능 구성을 통하여 기능의 중복 관리를 방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교환기 관리 응용이 관리기능의 수행을 요청하는 경우 해당되는 관리 프로세서가 수행되고, 관리 프로그램, 공통 관리기능, 스위치 플랫폼 간의 통신은 게이트웨이 프로세스를 통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기능 프로세서의 관리상 효율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특허에서도 최근의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와 미디어 게이트웨이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개방형 멀리 서비스를 지원하는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관리부의 기능 구조를 관리 대상인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 구조에 적합하도록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와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부로 분리시키고 이들간의 적절한 상호 정합 체계를 정의함으로써 효율적인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의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와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부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와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부의 기능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1 :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부 202 : 자원 분할 관리부
203 :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 대행부
204 :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
205 : 장애 관리부 206 : 형상 관리부
207 : 성능 관리부 208 : 보안 관리부
209 : 과금 관리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제어하는 복수의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를 관리하는 복수의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와, 자원분할 관리부 및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 대행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관리하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부로 구성된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의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원 분할 관리부에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미디어 게이트웨이 내의 자원 구성에 대한 형상 정보, 상기 자원에 대한 분할 정보 및 상기 자원 분할에 대한 변경을 요구하고 상기 각 요구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는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 대행부에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에 대한 관리기능의 수행을 요구하는 제2 단계;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 대행부는 상기 제2 단계의 수행요구를 수신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전달하고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수행요구에 대한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로 전달하는 제3 단계;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 대행부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내에서 발생된 이벤트 정보를 통보하는 제4 단계;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 대행부는 상기 제4 단계의 통보를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로 전달하는 제5 단계;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에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기능 수행을 요구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로 상기 제6 단계의 수행요구에 대한 처리 결과를 통보하고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제어기 관리기능 이벤트 정보를 통보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에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는 기본적으로 제어 콤플렉스(101)와 미디어 정합 콤플렉스(103)와 관리 콤플렉스(105)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 콤플렉스(101)는 기존 망 서비스를 패킷 망에서 수용하기 위한 제반 신호 처리 및 호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 콤플렉스(101) 내에는 처리하는 서비스의 종류 및 서비스 관리 주체에 따라 복수의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102)가 존재한다. 상기 각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102))는 미디어 정합 콤플렉스(103)를 제어하여 미디어 변환 및 전달 경로의 설정/해제를 제어한다. 상기 미디어 정합 콤플렉스(103)는 기존 망과 패킷 망간에 미디어 전송을 위한 물리적인 경로 설정 및 미디어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미디어 정합 콤플렉스(103) 내에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복수의 미디어 게이트웨이(104)가 존재한다. 상기 관리 콤플렉스(105)는 개방형 망연동 미디어 게이트웨이 내의 구성 요소 및 자원을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106)와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부(107)로 구성된다.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106)의 인스턴스는 상기한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102)의 개수만큼 존재하며,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부(107)의 인스턴스 개수는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04)의 개수에 관계없이 1개만 존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 및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부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에서의 동일 장치에는 동일한 부호가 기재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부(107)는 자원 분할 관리부(202)와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 대행부(203)의 2개 블록으로 구성되며, 각 블록의 기능은 하기와 같다.
상기 자원 분할 관리부(202)는 상기한 미디어 정합 콤플렉스(103) 내의 미디어 게이트웨이 자원에 대한 분할을 통하여 단일 또는 다수의 미디어 게이트웨이 분할 자원으로 구성되는 가상 미디어 게이트웨이의 생성, 삭제 및 변경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 대행부(203)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106)로부터 상기 미디어 정합 콤플렉스(103) 내의 미디어 게이트웨이 자원에 대한 관리 기능 수행 요구를 수신시 이를 처리하여 결과를 회신하며, 상기 미디어 정합 콤플렉스(103) 내의 미디어 게이트웨이(104)에서 발생되는 각종 이벤트를 관련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106)로 통보한다.
한편,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106)는 장애관리부(205), 형상관리부(206), 성능관리부(207), 보안관리부(208), 과금관리부(209)등의 5개 기능블록으로 구성되며, 각 블록의 기능은 하기와 같다.
상기 장애관리부(205)는 각 가상 미디어 게이트웨이내의 자원, 예를 들어 영구 터미네이션, 미디어 코딩 변환기, 호 혼합기(Call Mixer) 등에 대한 상태를 관리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오류가 발생되는 자원에 대해서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를 통하여 해당 자원에 대한 진단 및 시험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형상관리부(206)는 각 가상 미디어 게이트웨이내의 영구 터미네이션 형상, 이를 기반으로 구축된 망 정합 형상(중계선, 루트 구성, 번호 체계 등), 공통선 신호 정합 형상 등을 관리한다.
상기 성능관리부(207)는 가상 미디어 게이트웨이 내에서 처리되는 호/연결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통계 정보 수집 및 분석, 모니터링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보안관리부(208)는 가상 미디어 게이트웨이별로 운용자 정보 관리 및 접속 인증을 담당한다.
그리고, 상기 과금관리부(209)는 망간 과금 정산을 위하여 가상 미디어 게이트웨이에서 제공된 호/연결 서비스에 대한 과금 정보 수집 및 저장, 외부 과금 정산소로 과금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에서의 관리 기능의 처리 흐름도이다. 도 3의 부호는 도 1 및 도 2의 부호와 비교하여 동일한 블럭에는 동일한 부호를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의 관리 기능의 처리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망연동 게이트웨이의 시스템이 초기 시동시 자원 분할관리부(202)는 미디어 게이트웨이(104) 내의 자원 구성에 대한 시스템 형상 정보를 미디어 게이트웨이(104)에 요구한다(S301). 이에 따라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06)는 상기 자원 분할관리부(202)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04) 내의 시스템의 자원 형상 정보를 통보한다(S302).
상기 자원 형상 정보를 수신한 상기 자원 분할관리부(202)는 상기 자원에 대한 분할 요구를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04)에 전달하고(S303),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04)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자원 분할 처리 결과를 상기 자원 분할관리부(202)로 전달한다(S304). 여기서, 상기 단계(S303)에서의 자원 분할 요구는 상기 자원 분할 관리부(202)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04)로 미디어 게이트웨이 자원에 대한 분할 정보를 통보하는 단계로서, 상기 단계(S302)에서 수신된 상기 형상 정보를 기반으로 구성된 분할 정보가 포함하며, 상기 단계(S304)에서의 자원 분할 응답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04)가 상기 단계(S303)에서 통보 받은 정보에 대한 처리 결과를 상기 자원 분할 관리부(202)에게 보고하는 것이다.
이어, 상기 자원 분할 관리부(202)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04)로 시스템 운용 중에 발생되는 가상 미디어 게이트웨이의 추가 및 삭제, 수정 등을 위하여 미디어 게이트웨이내의 자원 분할에 대한 변경을 요구한다(S305). 이때, 상기 요구에는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04)가 반영해야 할 변경된 자원 분할 형상 정보가 포함된다. 계속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04)는 상기 단계(S305)에서 요구에 대한 처리 결과를 상기 자원 분할 관리부(202)에게 보고한다(S306).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106)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 대행부(203)에 가상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기능 수행을 요구한다(S307). 이는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106)가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 대행부(203)로 미디어 게이트웨이(104)에 대한 관리 기능의 수행을 요구하는 단계로서, 관리 대상 자원은 가상 도메인상의 식별자로 표시된다. 이어,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 대행부(203)는 상기 단계(S307)에서의 요구를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04)로 전달한다(S308). 이때, 상기 단계(S307)에 포함된 가상 도메인상의 관리 대상 자원 식별자는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04)의 자원 분할 정보를 참조하여 물리적 도메인상의 자원 식별자로 변환된다.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 대행부(203)는 상기 단계(S308)의 요구에 대한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기능 수행결과를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04)로부터 통보 받아(S309), 상기 단계(S307)에서의 요구에 대한 가상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기능 수행결과를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106)로 다시 통보한다(S310). 이때, 물리적 도메인상의 관리 대상 자원 식별자는 자원 분할 정보를 참조하여 가상 도메인상의 자원 식별자로 변환된다.
계속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04)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 대행부(203)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04) 내에서 발생된 이벤트 정보를 통보한다(S311).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 대행부(203)는 상기 단계(S311)에서의 통보를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106)로 통보한다(S312). 이때, 상기 단계(S311)에서 포함된 물리적 도메인상의 관리 대상 자원 식별자 및 관리 정보는 자원 분할 정보를 참조하여 가상 도메인상의 식별자 및 관리 정보로 변환된다.
이어,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106)는 관련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102)로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기능 수행을 요구하고(S313),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102)는 상기 단계(S313)에서의 수행 요구에 대한 처리 결과를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106)로 통보한다(S314). 이어,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102)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106)로 제어와 관련하여 발생된 이벤트 정보 즉,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기능 이벤트를 통보한다(S315).
상술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의 내용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술한 기능블럭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변경, 치환하여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세한 설명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만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시스템 구성이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와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1개의 시스템 내에서 다수의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와 미디어 게이트웨이가 상호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에 대한 효율적 관리가 가능하다.

Claims (4)

  1. 복수의 미디어 게이트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제어하는 복수의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를 관리하는 복수의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와, 자원 분할 관리부 및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 대행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관리하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부로 구성된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의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원 분할 관리부에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미디어 게이트웨이 내의 자원 구성에 대한 형상 정보, 상기 자원에 대한 분할 요구 및 상기 자원 분할에 대한 변경을 요구하고 상기 각 요구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는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 대행부에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에 대한 관리기능의 수행을 요구하는 제2 단계;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 대행부는 상기 제2 단계의 수행요구를 수신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전달하고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수행요구에 대한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로 전달하는 제3 단계;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 대행부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내에서 발생된 이벤트 정보를 통보하는 제4 단계;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 대행부는 상기 제4 단계의 통보를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로 전달하는 제5 단계;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에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관리기능 수행을 요구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로 상기 제6 단계의 수행요구에 대한 처리 결과를 통보하고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기능 이벤트 정보를 통보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의 관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의 상기 관리 대상이 되는 미디어 게이트웨이의 자원은 가상 도메인상의 식별자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의 관리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가 기능별로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의 관리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의 관리기능 수행 요구를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전달하는 경우에 관리 대상이 되는 미디어 게이트웨이의 자원은 물리적인 도메인상의 자원 식별자로 표시되고, 상기 수행요구에 대한 결과를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관리부로 전달하는 경우에 관리 대상이 되는 미디어 게이트웨이의 자원은 가상 도메인상의 자원 식별자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의 관리방법.
KR10-2002-0025485A 2002-05-09 2002-05-09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의 관리방법 KR100419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485A KR100419607B1 (ko) 2002-05-09 2002-05-09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의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485A KR100419607B1 (ko) 2002-05-09 2002-05-09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의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416A true KR20030087416A (ko) 2003-11-14
KR100419607B1 KR100419607B1 (ko) 2004-02-25

Family

ID=32382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485A KR100419607B1 (ko) 2002-05-09 2002-05-09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의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6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673B1 (ko) * 2005-04-15 2008-05-2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미디어 게이트웨이들에 의해 사건들을 감시하고 보고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4579B1 (ko) * 1999-06-03 2001-10-29 구자홍 이종망에서 상호운용이 가능한 게이트웨이 장치
US6754180B1 (en) * 1999-12-15 2004-06-22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upport of bearer path services in a distributed control network
KR20000058768A (ko) * 2000-06-28 2000-10-05 한미숙 범용스위치제어 기술을 적용한 개방형 통신 시스템
CA2352137A1 (en) * 2000-10-31 2002-04-30 Nortel Networks Limited Backhauling of call signaling for multiple protocols
KR20030028095A (ko) * 2001-09-27 2003-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간의메가코 버전 관리 방법
KR20030034392A (ko) * 2001-10-23 200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어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상태 정보 제공 방법
KR100418397B1 (ko) * 2002-02-28 2004-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프로토콜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소프트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673B1 (ko) * 2005-04-15 2008-05-2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미디어 게이트웨이들에 의해 사건들을 감시하고 보고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9607B1 (ko) 200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02257B2 (ja)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
US6420968B1 (e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handling alarms using a management network that has a number of management levels
US201503500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olicy-based control in a distributed network
JPH07264287A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ネットワークと通信管理ネットワークを統合した通信システム
CN100479380C (zh) 网络设备管理方法、网络设备和网络设备管理系统
KR100419607B1 (ko)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의 관리방법
WO1997048234A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gital communications switching equipment
KR100270680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엠.엠.에스의 엠.씨블록과 연동된 티.엠.엔대행부의 메시지 처리방법
KR100407690B1 (ko) 개방형 교환 시스템의 관리 방법
CN115002803B (zh) 终端管理的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KR100640329B1 (ko) 관리대상 시스템과의 의존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티-엠-엔에이젼트 설계 장치
KR100434260B1 (ko) 데이터서비스용무선관리시스템및그방법
US6744855B1 (en) Service control platform
KR100438898B1 (ko) 에스엔엠피 망 관리 에이전트 기능의 인터페이스 방법 및이를 위한 메시지 구조
KR100443915B1 (ko) 네트워크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아이피씨 구조
KR20020051615A (ko) 초고속 정보통신 통합망 관리 체계에서 프레임릴레이망의관리 정보 불일치 감지 및 보정 방법
KR0168939B1 (ko) 고도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에서 서비스 상호작용 관리부와 감지점 처리부간의 인터페이스 방법
KR100553804B1 (ko) 관리대상 망 범위 설정에 의한 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238449B1 (ko) 비동기전송방식 근거리 통신망 시스템에서 통합지역관리접속 규격을 이용한 망관리시스템 구현 방법
KR100257561B1 (ko) X.25 통신 회선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010054211A (ko) 망의 성능 향상을 위한 에스엔엠피 기반의 망 관리 트래픽제어 방법
KR101050926B1 (ko) 소프트스위치에서의 과금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000028319A (ko) 망 관리 시스템에서의 연결관리 시뮬레이션 방법
CN1307770A (zh) 业务提供者在电信系统内对运行和维护信息的接入
JP2502557B2 (ja) 情報通信ネツトワ−クの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