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6824A -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6824A
KR20030086824A KR1020020025013A KR20020025013A KR20030086824A KR 20030086824 A KR20030086824 A KR 20030086824A KR 1020020025013 A KR1020020025013 A KR 1020020025013A KR 20020025013 A KR20020025013 A KR 20020025013A KR 20030086824 A KR20030086824 A KR 20030086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ing
aluminum
foaming furnace
furnace
molten alumin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순형
Original Assignee
화인알루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인알루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인알루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5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6824A/ko
Publication of KR20030086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82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1/00Casting non-ferrous metals or metallic compounds so far as their metallurgical properties are of importance for the casting procedure; Selection of compositions therefor
    • B22D21/002Castings of light metals
    • B22D21/007Castings of light metals with low melting point, e.g. Al 659 degrees C, Mg 650 degrees 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3/00Cast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2D1/00 - B22D21/0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2Making non-ferrous alloys by melting
    • C22C1/026Alloys based on alumin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미리 용융시킨 알루미늄 중에 증점제를 투입하여 증점시키는 단계; 상기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을 바닥부가 없는 발포로의 측벽과 하부 주형의 바닥부에 의해 구획 형성된 발포용 공간에 주입하는 단계; 상기 발포로의 개구부를 폐쇄한 다음,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을 가열 및 교반하면서 발포제를 투입하여 발포시키는 단계; 상기 발포로를 상승시켜 하부 주형 내부 공간에 용융 발포 알루미늄을 수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융 발포 알루미늄을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제조장치에 의하면, 증점시의 온도 제어가 가능하여 증점이 안정되고, 발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발포 알루미늄 용탕의 주입이 정확하고, 대기중 과다 노출에 의한 산화 문제를 해결하는 등 종래의 제조방법에 비해 생산성이나 회수율이 개선된다. 또한 발포로를 수직 및 수평 이동시켜 보수 및 세척이 용이하고, 하부 주형은 수평 이동만 하도록 하여 수평·수직이동의 잦은 이동에 따른 종래의 방법에 의한 제품의 불량률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foamed aluminum}
본 발명은 폐쇄형 발포 알루미늄(이하, "발포 알루미늄"이라 함)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별하게는 발포로를 챔버로부터 수직·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보수 및 세척이 용이하고, 하부의 주형은 수평 이동하도록 하여 주형의 잦은 이동에 따른 제품의 불량률을 개선할 수 있는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포 금속, 특히 발포 알루미늄은 알루미늄 기지 중에 무수히 많은 기포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외견상으로는 폴리우레탄 스폰지, 기포 유리나 기포 콘크리트와 유사한 형태의 일종이다. 통상적으로 발포 알루미늄은 90% 이상의 기공율을 가지며, 비중이 0.2∼1.0 범위로 상당히 가볍고, 기공 때문에 흡음성, 방음성, 충격흡수성 등이 우수한 재료로 흡차음용이나 전자파 차폐 등으로 사용이 가능한 주조용 재료이다.
더욱이 기지가 알루미늄이므로 내화내열성이 우수하며, 강성이 있고, 가공성도 우수하여 기능성 소재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우수한 성질을 갖고 있는 발포 알루미늄은 알루미늄이 갖고 있는 표면이 미려하다는 특징을 합하여 흡차음을 필요로 하는 소음방지용 건축 내장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차음성능을 이용한 방음재나, 경량성이나 강성을 이용하여 자동차, 선박 등의 수송기기용으로도 유망한 재료로 각광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발포 알루미늄이 위의 특성을 갖기 위해서는 기공의 형태나 크기가 일정하여야 하며, 제조 공정이 간편하여야만 할 것이다.
일반적인 발포 알루미늄을 만드는 공정으로는, 미국 특허공보 제 4,713,277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용융된 상태의 알루미늄 금속에 칼슘을 첨가한 후에 일정 시간 교반하여 용융 알루미늄의 점도가 일정한 수준이 되면 발포제를 투입하고 고속으로 회전시켜 발포 알루미늄을 제조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최근까지 개발된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공정을 보면 발포제를 투입한 후 뚜껑을 덮어 용융 알루미늄과 기포 간에 일정 압력이 걸리게 하여 용융 알루미늄 내의 기공이 균질하게 분포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증점에 필요한 주형과 발포에 필요한 주형 및 응고하는데 필요한 주형 등으로 공정 간의 이동이 많아 각 공정별로 요구되는 온도를 관리한다는 것이 상당히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 국내에서 개발된 발포 알루미늄 제조공정(한국 특허공보 제 165,707호 참조)은 용융 발포 알루미늄을 응고시키기 위한 주형에 주입하기 위해서 낙하 주입을 하여야 하는 불편 때문에 기공의 형태나 크기가 일정한 발포 알루미늄을 제조하기 어렵고, 발포제가 투입된 용융 발포 알루미늄을 하부에 준비된 주형에 정확히 주입하기도 어려우며, 대기 중에 노출되는 관계로 내부 산화가 심해지는 등의 문제점 때문에 회수율이 저하되므로 제조 단가면에서도 불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발포 알루미늄을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점도를 높이기 위한 증점제로서 금속 칼슘을 첨가하고 있으나, 금속 칼슘은 고온에서 산화성이 강하여 용융 알루미늄 중에 투입할 때 용탕 중으로 장입되는 것보다 산화되어 대기 중으로 비산되는 것이 많으므로 실제 점성 증가에 작용하는 금속 칼슘량보다 더 많은 금속 칼슘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으며, 공정이 단속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생산 수율이 떨어져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며, 더욱이 온도의 관리가 어려운 관계로 발포된 알루미늄 괴의 중심에 불량이 생길 우려가 높다.
최근에는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제조공정으로, 먼저 증점을 위한 별도의 도가니에서 금속 칼슘을 모합금으로 하는 칼슘 합금을 용융 알루미늄 중에 투입하여 안정적으로 증점시킬 수 있고, 공정 상에서는 미리 증점된 용해된 알루미늄을 중심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의 상부 도가니와 밀착형으로 결합되는 하부 주형에 주입하여 교반하면서 발포제를 투입하고, 일정 시간이 흐른 후에 발포가 시작되면 하부 주형을 하강시키면서 냉각시켜 발포 알루미늄을 얻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알루미늄 용탕을 발포용 주형에 주입하기 전에 미리 증점함으로 증점시의 온도 제어가 가능하고, 온도 제어가 된 증점된 알루미늄 용탕을 발포용 주형에 주입함으로 발포시의 시간을 단축함으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포형 주형이 하부의 주형과 일체형으로 밀착되어 발포가 완료된 시점에서 발포가 진행되고 있는 알루미늄 용탕을 다른 곳으로 이동함이 없이 바로 주형으로 냉각이 가능하므로 분리되어 있는 주형에 주입하기 위하여 낙하하여야 한다든가 하는 이동이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발포 알루미늄 용탕의 주입시에 생길 수 있는 정확한 주입 문제, 또는 대기 중의 과다 노출에 의한 산화 등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어 생산성이나 회수율 면에서 상당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상부 도가니가 고정되어 있고, 하부 주형이 상하로 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상부 도가니의 보수 및 세척이 어려우며, 하부 도가니는 상하 이동 뿐 아니라 수평 이동도 하여야 하므로 하부 도가니의 잦은 이동에 따른 최종 제품의 불량을 야기할 우려가 높다.
이와 같이, 발포 금속을 제조하고자 하는 연구가 꾸준히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최근까지 나온 제조공정들은 제조 단가가 높다거나 제조 불량이 생기기 쉽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아직까지 확립된 제조 기술이 없는 실정에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상부 발포로를 수직·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보수 및 세척이 용이하고, 하부 주형은 수평 이동만 하도록 하여 주형의 잦은 이동에 따른 제품의 불량률을 개선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증점을 별도의 장치로부터 행하므로 증점시의 온도 제어가 가능하여 안정되게 증점시킬 수 있고, 발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발포 알루미늄 용탕의 주입이 정확하고, 대기 중의 과다 노출에 의한 산화 문제를 해결하는 등 생산성이나 회수율이 개선된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에 직접 사용되는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 알루미늄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발포로의 측벽과 하부 주형의 바닥부가 밀봉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 알루미늄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발포로가 상승하여 발포로의 측벽과 하부 주형의 바닥부의 밀방 결합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고형화된 발포 알루미늄의 조직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고형화된 발포 알루미늄의 조직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챔버, 2: 발포로, 3: 하부 주형,
4: 교반기, 11: 챔버 측벽, 12: 챔버 하부벽,
13: 측부 가열수단, 14: 챔버 상부벽, 15: 하부 가열수단,
16: 안착홈, 17: 개폐문, 21: 발포로 측벽,
31: 이동 부재, 41: 구동 모터, 42: 승강 수단,
43: 밀봉 부재, 51: 수직 고정봉, 52: 승강대,
53: 수직 지지봉, 54: 승강 제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은,
미리 용융시킨 알루미늄 중에 증점제를 투입하여 별도의 증점로에서 증점시키는 단계;
상기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을 바닥부가 없는 발포로의 측벽과 하부 주형의 바닥부에 의해 구획 형성된 발포용 공간에 주입하는 단계;
상기 발포로의 개구부를 밀봉 부재에 의해 폐쇄한 다음,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을 가열 및 교반하면서 발포제를 투입하여 발포시키는 단계;
상기 발포로를 상승시켜 하부 주형 내부 공간에 용융 발포 알루미늄을 수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융 발포 알루미늄을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증점시키는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증점제는 금속 칼슘을 모합금으로 하는 칼슘 합금으로, 바람직하게는 칼슘-10중량% 알루미늄에서 칼슘-30중량% 알루미늄까지이고, 700℃∼750℃ 범위의 용융 알루미늄에 투입하여 용융 알루미늄 내에 가스가 취입되어도 기포가 빠져 나가지 못할 정도의 점도로 증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포시키는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발포제는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 대비 1.0∼5.0중량% TiH2가 바람직하고, 기공율이 70∼90% 범위가 되도록 발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라 발포 알루미늄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 알루미늄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들로서, 발포로의 측벽(21)과 하부 주형(3)의 바닥부가 밀봉 결합 및 결합 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포 알루미늄 제조장치는 측벽(11)과 하부벽(12)의 소정 위치에 가열수단(13, 15)이 부착되어 있고, 양 측벽(11)에 하부 주형(3)이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개폐문(17)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벽(12)의 소정 위치에 하부 주형(3)의 이동 부재(31)가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는 안착홈(16)이 구비되어 있는 챔버(1);
연장된 날개부가 상기 챔버 상부벽(14) 위에 위치하고, 그 양 단부가 개방되어 있어 그 개구부를 통해 주입되는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을 발포시키기 위한 발포로(2);
상기 챔버 하부벽(12) 상의 안착홈(16)에 이동 부재(31)가 고정되고, 상기 발포로(2)의 일부를 수용하여 발포로의 측벽(21)과 발포용 공간을 구획 형성하며, 상기 발포로(2)의 상승시 용융 발포 알루미늄을 수용하는 하부 주형(3);
상기 발포로(2) 내부의 하방에 위치하여 주입되는 용융 알루미늄을 교반하는 교반기(4)와 구동 모터(41)를 포함하는 교반 수단;
별도의 증점로에서 증점시킨 용융 알루미늄을 주입하기 위한 상기 발포로(2)의 개구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교반 수단과 발포로(21)를 결착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결착시켜 일체로 하는 밀봉 부재(43);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을 주입하기 위해 상기 밀봉 부재(43)를 상승시키는 승강 수단(42); 및
상기 밀봉 부재(43)에 의해 결착되는 교반 수단 및 발포로(2)를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 모터(41)와 수직 결합되는 수직 고정봉(51), 승강 제어부(54)에 의해 미리 설정된 높이로 이동시키는 승강대(52) 및 상기 승강대(52)를 지지하고 회전이 가능한 수직 지지봉(53)을 포함하는 승강 수단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발포 알루미늄 제조장치에 의해 발포 알루미늄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시하지 않은 용해부에서 금속 알루미늄을 용해하고, 이 용해된 용융 알루미늄을 700∼750℃ 범위의 온도로 유지되는 증점로(도시하지 않음)로 이송시킨다. 이 증점로에서 용융 알루미늄의 증점을 위한 증점제로서 금속 칼슘을 모합금으로 하는 칼슘 합금을 용융 알루미늄 중에 투입하여 용융 알루미늄을 증점시킨다.따라서, 발포로(2)에 주입하기 전에 미리 알루미늄 용탕의 점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증점시의 온도 제어가 용이하며, 온도 제어되어 증점된 알루미늄 용탕을 발포로(2)에 주입함으로써 발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는, 용융 알루미늄의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칼슘-10중량% 알루미늄에서 칼슘-30중량% 알루미늄까지를 사용한다.
다음, 외부에서 가열된 하부 주형(3)이 챔버(1)의 일측에 형성된 개폐문(17)을 통해 챔버(1) 내로 수평 이동된다. 이어서, 가열이 가능하고 양 측부에 복수의 개폐문(17)을 갖고 있는 챔버(1)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챔버(1) 내 원통형의 발포로의 측벽(21)과 챔버(1)내 이동된 하부 주형(3) 바닥면의 일부와 밀봉 결합되어 구획 형성된 발포용 공간에 상기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을 주입한다.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을 상기 발포로(2)에 주입할 때에는 상기 밀봉 부재 (43)와 교반 수단을 상기 승강 수단(42)에 의해 상승시켜 개구부를 개방하여 주입한 후, 주입이 완료되면 다시 하강시켜 개구부를 폐쇄시킨다. 이때, 밀봉 부재(43)에 의해 교반 수단과 발포로(2)가 결착되어 일체로 된다.
상기 발포용 공간에 주입된 상기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은 상기 발포용 공간이 폐쇄된 상태에서 챔버의 측벽(11)과 하부벽(12)에 설치된 가열수단(13, 15)에 의해 가열되고, 구동 모터(4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기(4)로 일정속도로 일정 시간 교반하면서 발포제를 투입하여 발포제가 충분히 분산되게 한다.
발포제를 투입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 발포가 시작되어 발포 용융 알루미늄이 성장하기 시작하면 상기 승강 수단에 의해 발포로(2)를 상승시켜 상기 발포로의측벽(21)과 하부 주형(3)의 바닥부와의 밀봉 결합을 해제한다. 밀봉 결합의 해제에 의해 하부 주형(3) 내부에 용융 발포 알루미늄이 수용된다. 즉, 상기 승강 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발포로의 측벽(21)과 상기 하부 주형(3)의 바닥면의 일부가 밀봉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 주형(3) 내에 형성된 공간은 발포에 의한 용융 알루미늄의 체적 확장을 수용하기 위해 발포로(2)의 발포용 공간보다 다소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하부 주형(3)은 원통형에서부터 사각형과 같은 각주 형태로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발포가 진행되고 있는 알루미늄 용탕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하부 주형(3)으로 직접 유입시키므로, 이동에 따른 부정확한 주입이나, 대기 중에 과다 노출되어 산화되는 등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어 생산성이나 회수율면에서 상당한 이점이 있다.
이후, 발포로(2)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챔버(1)의 타측에 형성된 개폐문(17)을 개방하여 하부 주형(3)을 챔버(1) 밖으로 수평 이동시킨 후, 냉각시킴으로써 발포 알루미늄을 최종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 알루미늄을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해, 승강 수단에 의해 상승된 교반 수단, 밀봉 부재(43)와 발포로(2)는 상승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이동하여 적당한 위치에서 필요에 따라 보수를 한 후에 가열수단이 부착된 별도의 챔버(도시하지 않음)에 넣고, 다음 작업을 위해 가열 상태에서 대기한다. 이때, 대기 중의 또 다른 교반 수단, 밀봉 부재와 발포로(모두 도시하지 않음)가 도 1의 위치로 이동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포 알루미늄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 알루미늄 제조장치는 상술한 발포 알루미늄 제조 뿐만 아니라 하부 주형(3)에 뚜껑을 씌워 일반 금속 용탕의 특정 형상 주조도 가능하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발포 알루미늄 제조방법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용융 알루미늄을 별도의 증점로에서 700∼750℃ 범위의 온도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칼슘-10중량% 알루미늄 합금을 용융 알루미늄 중량비로 0.5∼5.0% 범위가 되게 첨가하고, 용융 알루미늄의 점도가 내부에 공기를 취입하였을 때 용융 알루미늄 내에서 기포가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의 점도를 가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이렇게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을 700℃ 미만으로 조절된 챔버(1) 내의 발포로(2)에 주입하였다. 이때 하부 주형(3)의 바닥부와 발포로(2)의 하단부가 밀착된다. 주입된 증점 용융 알루미늄에 중량비 1.0∼5.0% TiH2를 투입한 후에 교반기(4)로 교반한 후, 발포로(2)를 상승시키면서 그와 동시에 챔버(1)의 타측 개폐문(17)을 개방시켜 하부 주형(3)이 챔버(1) 외부로 나오게 한 후에 냉간시켜 고형화된 발포 알루미늄을 얻었다.
도 3은 위의 방법으로 하여 얻은 발포 알루미늄의 조직 사진으로 기공도가 90%이었다.
실시예 2
증점용으로 사용하는 칼슘 합금을 칼슘-30중량% 알루미늄 합금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공도가 90%인 고형화된 발포 알루미늄을 얻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증점시의 온도 제어가 가능하여 안정되게 증점시킬 수 있고, 발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발포 알루미늄 용탕의 주입이 정확하고, 대기 중의 과다 노출에 의한 산화 문제를 해결하는 등 종래의 제조방법에 비해 생산성이나 회수율이 개선된다.
또한, 상부 발포로(2)를 수직·수평 이동시켜 보수 및 세척이 용이하고, 하부 주형(3)은 수평 이동만 하도록 하여 종래 수평·수직이동의 잦은 이동에 따른 제품의 불량률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6)

  1. 미리 용융시킨 알루미늄 중에 증점제를 투입하여 별도의 증점로에서 증점시키는 단계;
    상기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을 바닥부가 없는 발포로의 측벽과 하부 주형의 바닥부에 의해 구획 형성된 발포용 공간에 주입하는 단계;
    상기 발포로의 개구부를 밀봉 부재에 의해 폐쇄한 다음,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을 가열 및 교반하면서 발포제를 투입하여 발포시키는 단계;
    상기 발포로를 상승시켜 하부 주형 내부 공간에 용융 발포 알루미늄을 수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융 발포 알루미늄을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가 금속 칼슘을 모합금으로 하는 칼슘 합금이고, 700∼750℃ 범위의 용융 알루미늄에 투입하여 용융 알루미늄 내에 가스가 취입되어도 기포가 빠져 나가지 못할 정도의 점도로 증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가 칼슘-10중량% 알루미늄에서 칼슘-30중량% 알루미늄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가 용융 알루미늄 대비 1.0∼5.0중량% TiH2이고, 기공율이 70∼90% 범위가 되도록 발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5. 측벽(11)과 하부벽(12)의 소정 위치에 가열수단(13, 15)이 부착되어 있고, 양 측벽(11)에 하부 주형(3)이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개폐문(17)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벽(12)의 소정 위치에 하부 주형(3)의 이동 부재(31)가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는 안착홈(16)이 구비되어 있는 챔버(1);
    연장된 날개부가 상기 챔버(1)의 상부벽(14) 위에 위치하고, 그 양 단부가 개방되어 있어 그 개구부를 통해 주입되는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을 발포시키기 위한 발포로(2);
    상기 챔버 하부벽(12) 상의 안착홈(16)에 이동 부재(31)가 고정되고, 상기 발포로(2)의 일부를 수용하여 발포로의 측벽(21)과 발포용 공간을 구획 형성하며, 상기 발포로(2)의 상승시 용융 발포 알루미늄을 수용하는 하부 주형(3);
    상기 발포로(2) 내부의 하방에 위치하여 주입되는 용융 알루미늄을 교반하는 교반기(4)와 구동 모터(41)를 포함하는 교반 수단;
    별도의 증점로에서 증점시킨 용융 알루미늄을 주입하기 위한 상기 발포로(2)의 개구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교반 수단과 발포로(2)를 결착수단에 의해 결착시켜일체로 하는 밀봉 부재(43);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을 주입하기 위해 상기 밀봉 부재(43)를 상승시키는 승강 수단(42); 및
    상기 밀봉 부재(43)에 의해 결착되는 교반 수단 및 발포로(2)를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 모터(41)와 수직 결합되는 수직 고정봉(51), 승강 제어부(54)에 의해 미리 설정된 높이로 이동시키는 승강대(52) 및 상기 승강대(52)를 지지하고 회전이 가능한 수직 지지봉(53)를 포함하는 승강 수단으로 구성되는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주형(3)이 원통형 또는 각주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장치.
KR1020020025013A 2002-05-07 2002-05-07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300868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013A KR20030086824A (ko) 2002-05-07 2002-05-07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013A KR20030086824A (ko) 2002-05-07 2002-05-07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824A true KR20030086824A (ko) 2003-11-12

Family

ID=32381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013A KR20030086824A (ko) 2002-05-07 2002-05-07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682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323B1 (ko) * 2008-06-30 2008-12-18 이동식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WO2011136444A1 (ko) * 2010-04-30 2011-11-0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포 금속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50128118A (ko) * 2014-05-08 2015-11-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다공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0630A (ja) * 1989-11-29 1991-07-24 Mitsubishi Heavy Ind Ltd 発泡金属の製造方法
JPH06220846A (ja) * 1993-01-25 1994-08-09 Ask Kenkyusho:Kk 土砂と固結用液状物との混合物のリサイクル方法
JPH08209266A (ja) * 1995-02-06 1996-08-13 Hitachi Cable Ltd 多孔質金属線の製造方法
KR100279082B1 (ko) * 1998-11-27 2001-01-15 이운형 연속주조식 발포 알루미늄금속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04755A (ko) * 2000-07-07 2002-01-16 권영기 폐쇄형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0630A (ja) * 1989-11-29 1991-07-24 Mitsubishi Heavy Ind Ltd 発泡金属の製造方法
JPH06220846A (ja) * 1993-01-25 1994-08-09 Ask Kenkyusho:Kk 土砂と固結用液状物との混合物のリサイクル方法
JPH08209266A (ja) * 1995-02-06 1996-08-13 Hitachi Cable Ltd 多孔質金属線の製造方法
KR100279082B1 (ko) * 1998-11-27 2001-01-15 이운형 연속주조식 발포 알루미늄금속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04755A (ko) * 2000-07-07 2002-01-16 권영기 폐쇄형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323B1 (ko) * 2008-06-30 2008-12-18 이동식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WO2011136444A1 (ko) * 2010-04-30 2011-11-0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포 금속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50128118A (ko) * 2014-05-08 2015-11-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다공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4628B1 (ko) 용융유리의정제방법및장치
RU2002125516A (ru) Способ и средство изготовления формованных вспененных изделий
JPH0342991B2 (ko)
KR20030086824A (ko)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170129568A (ko) 반응고 슬러리 생성장치 및 고압다이캐스팅 방법
CN110976814A (zh) 一种复杂结构铝合金汽车架的半连续反重力浇注方法
US3677332A (en) Vacuum casting process
CN108907150A (zh) 一种循环式泡沫铝连续生产工艺及生产线
KR20020004755A (ko) 폐쇄형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장치
GB1588592A (en) Casting apparatus
US2045716A (en) Apparatus for casting large glass articles
CN113996777B (zh) 一种合金铸造成型装置及其方法
KR0165707B1 (ko) 발포 알루미늄 금속 고형체의 제조방법
CN110343893B (zh) 泡沫金属制备装置、泡沫金属制备方法以及泡沫金属
CN211542076U (zh) 一种医用点滴支架成型模具
US21439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cellular glass
KR20120119122A (ko) 발포알루미늄 제조용 증점확산교반로
CN112976278A (zh) 一种加气混凝土砖块的加工生产方法
JPH09156932A (ja) 減圧脱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KR20170019599A (ko) 액압을 이용한 유리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굴곡진 유리의 제조방법
CN214687556U (zh) 一种用于制备发泡材料的加热急冷装置
JPH0788623A (ja) 射出成形用簡易型の精密鋳造方法
US4807688A (en) Submerged casting
CN111266562A (zh) 保温浇包自动转盖及倾倒装置
JP3314015B2 (ja) バケット状注型ポリアミド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