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4755A - 폐쇄형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폐쇄형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4755A
KR20020004755A KR1020000038963A KR20000038963A KR20020004755A KR 20020004755 A KR20020004755 A KR 20020004755A KR 1020000038963 A KR1020000038963 A KR 1020000038963A KR 20000038963 A KR20000038963 A KR 20000038963A KR 20020004755 A KR20020004755 A KR 20020004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ing
aluminum
furnace
molten aluminum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삼
조순형
우준하
박현구
Original Assignee
권영기
주식회사 듀어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기, 주식회사 듀어폼테크 filed Critical 권영기
Priority to KR1020000038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4755A/ko
Publication of KR20020004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75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7/00Compound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3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using additiv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the products, e.g.. binder bind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쇄형 발포 알루미늄을 저렴하게, 안정되게 그리고 회수율 높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먼저 용융 알루미늄을 증점시키기 위한 별도의 증점로에서 금속 Ca를 모합금으로 하는 안정화된 Ca 합금을 용융 알루미늄 중에 투입하여 용융 알루미늄을 증점시키고, 상기 증점로에서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을 바닥부가 없는 원통형의 상부 발포로의 측벽과 승강 위치에 있는 하부 냉각 주형의 바닥부에 의해 구획 형성된 발포용 공간에 주입하고, 이 상부 발포로를 제 1커버에 의해 폐쇄한 다음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을 가열 및 교반하면서 발포제를 투입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발포가 시작되어 발포 용융 알루미늄이 성장하기 시작하면 상기 하부 냉각 주형을 하강시켜 상기 발포로의 측벽과 하부 주형의 바닥부와의 밀봉 결합을 해제하여 구획 형성된 하부 냉각 주형 내부 공간에 용융 발포 알루미늄을 담고, 제 2 커버로 상기 하강된 하부 냉각 주형을 폐쇄시키고, 상기 하강 위치에 있는 하부 냉각 주형에서 상기 발포되어 성장된 용융 발포 알루미늄을 냉각시켜서 발포 알루미늄을 만든다.

Description

폐쇄형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 CLOSED-TYPE FOAMED ALUMINUM}
본 발명은 폐쇄형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포 알루미늄은 알루미늄의 기지 중에 무수히 많은 기포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외견상으로는 폴리우레탄 스폰지, 기포 유리, 기포 콘크리트와 유사하다. 발포 알루미늄은 보통 90% 이상의 기공률을 갖고 있기 때문에 비중이 0.2 내지 1.0 범위로 상당히 가볍고, 흡음성과 방음성 뿐만 아니라 충격 흡수성이 우수한 재료이다.
더욱이 발포 알루미늄은 기지가 알루미늄이므로 내화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며, 강성이 있으며, 가공성도 우수하여 기능성 소재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여러가지 우수한 성질을 갖고 있는 발포 알루미늄은 알루미늄이 갖고 있는 표면이 미려함과 우수한 흡차음성을 가지고서 소음 방지용 건축 내장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우수한 차음성을 가지고서 방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우수한 경량성과 강성을 가지고서 자동차, 선박 등의 차량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발포 알루미늄이 상기 장점을 갖기 위해서는 기공의 형태나 크기가 일정하여야 하며, 제조 공정이 간편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발포 알루미늄을 만드는 공정은, 미국 특허 공보 제 4,713,277 호(1987.12.15)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용융된 상태의 알루미늄 금속에 Ca를 첨가한 후에, 일정 시간 교반하여 용융 알루미늄을 증점시키고, 그 후, 발포제를 투입하여 고속으로 회전시켜 발포 알루미늄을 제조한다. 특히, 지금까지 공지된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공정은 발포제를 투입한 후 뚜껑을 덮어 용융 알루미늄과 기포 간에 일정 압력이 걸리게 하여 용융 알루미늄 내에 기공이 일정하게 분포하게 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방법에서, 발포 알루미늄을 제조하는 공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용융 알루미늄을 용융 알루미늄의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증점로, 용융 발포 알루미늄을 만들기 위한 발포로 및 용융 발포 알루미늄을 응고시키기 위한 냉각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각 공정별로 요구되는 온도를 관리하여야한다. 이러한 온도관리는 상당히 어렵다.
한편, 최근 한국 특허 제 165,707 호(1999.2.19)에 개시된 발포 알루미늄 제조공정은 용융 발포 알루미늄을 응고시키기 위한 주형에 주입하기 위해서 낙하주입을 하여야 하는 불편 때문에, 기공의 형태나 크기가 일정한 발포 알루미늄을 제조하기 어려우며, 더욱이 상기 발포 알루미늄 제조 공정은 낙하 주입방법이므로 발포제가 투입된 용융 발포 알루미늄을 하부에 준비된 주형에 정확히 주입하기도 어려우며, 대기 중에 노출되는 관계로 내부 산화에 대한 문제가 있는 등으로 인하여 회수율이 낮아 제조 단가면에서 불리하다.
또한, 발포 알루미늄을 제조하는 상기 종래의 방법에서는 용융 알루미늄의 증점을 위해 금속 Ca를 첨가하고 있으나, 금속 Ca는 고온에서 산화성이 강하여 용융 알루미늄 중에 투입할 때 용탕 중으로 장입되는 것보다 산화되어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것이 많으므로, 실제 증점에 작용하는 금속 Ca 량보다 많은 금속 Ca가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발포 알루미늄 제조 공정이 단속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생산 수율이 떨어져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며, 더욱이 온도관리가 어려운 관계로 발포된 알루미늄 괴의 중앙에 불량이 생길 우려가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융 알루미늄을 증점시킴에 있어서 Ca함금을 사용하여 도가니에서 배출되는 금속 Ca량을 감소시키고, 그리고 발포로와 냉각로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챔버속에 원통형의 상부 발포로와 그리고 이 상부 발포로와 밀착형으로 결합된 하부 주형을 형성시켜, 용융 발포 알루미늄을 상부 발포로에서하부 냉각 주형으로 낙하시킴 없이 용융 발포 알루미늄을 냉각시킬 수 있게 하여 공정의 연속성을 부가하여 생산 수율 높게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 알루미늄 제조 방법에 대한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 단면도로서, 상부 발포로의 측벽과 하부 냉각 주형의 바닥부가 밀봉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상부 발포로의 측벽과 상기 하부 냉각 주형의 바닥부가 밀봉 결합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단면도이며,
도 4는 종래의 발포 알루미늄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은, 먼저 용융 알루미늄을 증점시키기 위한 별도의 증점로에서 금속 Ca를 모합금으로 하는 안정화된 Ca 합금을 용융 알루미늄 중에 투입하여 용융 알루미늄을 증점시키는 단계, 상기 증점로에서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을 바닥부가 없는 원통형의 상부 발포로의 측벽과 승강 위치에 있는 하부 냉각 주형의 바닥부에 의해 구획 형성된 발포용 공간에 주입하는 단계, 이 상부 발포로를 제 1커버에 의해 폐쇄한 다음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을 가열 및 교반하면서 발포제를 투입하는 단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발포가 시작되어 발포 용융 알루미늄이 성장하기 시작하면 상기 하부 냉각 주형을 하강시켜 상기 발포로의 측벽과 하부 주형의 바닥부와의 밀봉 결합을 해제하여 구획 형성된 하부 냉각 주형 내부 공간에 용융 발포 알루미늄을 담는 단계, 제 2 커버로 상기 하강된 하부 냉각 주형을 폐쇄시키는 단계, 상기 하강 위치에 있는 하부 냉각 주형에서 상기 발포되어 성장된 용융 발포 알루미늄을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용융 알루미늄을 증점시키는 증점로를 별도로 가지고 있는 발포 알루미늄 제조 장치는, 상기 증점로와 별도로 설치되어, 상기 증점로에서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이 주입되어 가열 및 교반되면서 발포제와 혼합되고 이 혼합물이 체적 확장 및 냉각되는 발포 및 냉각 챔버를 포함하고 있으며,상기 발포 및 냉각 챔버는 가열수단이 부착되어 있는 측벽: 가열수단이 부착되어 있고 베이스 상에 위치되어 있는 바닥부; 상기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을 주입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벽; 상기 상벽에 고정되어 상기 상벽의 개구를 관통하여 뻗어 있고 양 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의 발포로; 상기 상벽의 개구를 덮는 제 1 커버; 상기 제 1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발포로내로 뻗어 있는 교반기; 상기 교반기와 상기 제 1 커버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제 1 승강수단; 상기 발포로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상기 바닥부 상에 위치된 하부 냉각 주형; 상기 하부 냉각 주형을 승강시켜 상기 발포로의 측벽과 상기 하부 냉각 주형의 바닥면의 일부와 밀봉 결합시키고 상기 하부 냉각 주형을 하강시켜 상기 발포로의 측벽과 상기 하부 냉각 주형의 바닥면의 일부와의 밀봉 결합을 해제하는 제 2 리프트 수단; 그리고 상기 하강된 하부 냉각 주형을 폐쇄시키는 제 2 커버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로 발포 알루미늄을 제조하였을 경우에, 알루미늄 용탕을 발포용 주형에 주입하기 전에 미리 점도 증가시킴으로써 증점시의 온도 제어가 용이하며, 온도제어되어 증점된 알루미늄 용탕을 발포용 주형에 주입함으로써 발포시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포를 위해 발포로의 측벽이 하부 냉각 주형의 바닥면 일부와 제 2 승강수단에 의해 밀봉 결합되었다가 냉각을 위해 발포로의 측벽이 하부 냉각 주형의 바닥면 일부와 제 2 승강수단에 의해 밀봉 결합 해제될 수 있어, 발포제 투입이 완료된 시점에서 발포가 진행되고 있는 알루미늄 용탕을 다른 곳으로 이동함 없이 바로 하부 냉각 주형으로 냉각이 가능하므로, 분리되어 있는 냉각 주형에 주입하기 위하여 발포 용융 알루미늄을 낙하시키거나 이동시키는 공정이 필요없게 되어, 발포 알루미늄 용탕의 주입시에 생길 수 있는 부정확한 주입이나, 대기 중의 과다 노출에 의한 산화 등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생산성이나 회수율면에서 상당한 잇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 알루미늄 제조 방법에 대한 공정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금속용해로, 재생용해로, 보온로, 래들, 래들프리히터, 대차 및 로버트 팔을 갖추고 있는 용해부에서 금속 알루미늄이 용해되고, 이 용해된 용융 알루미늄은 상기 로버트 팔에 의해 증점 및 교반을 위한 발포로에 주입된다. 이 발포로에서 먼저 용융 알루미늄의 증점을 위해 금속 Ca를 모합금으로 하는 안정화된 Ca 합금은 용융 알루미늄 중에 투입되어 용융 알루미늄을 증점시킨다.
그 다음 상기 용해되어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은 상기 발포로와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발포 및 냉각을 위한 챔버에 운반수단에 의해 주입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은 원통형의 상부 발포로의 측벽과 하부 주형 바닥면의 일부와 밀봉결합되어 구획형성된 발포용 공간에 주입된다.
상기 발포용 공간에 주입된 상기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은 상기 발포용 공간을 폐쇄한 상태에서 가열되고 교반기에 의해 교반되어 발포제와 혼합된다.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상기 발포제와 혼합된 용융 알루미늄에 발포가 상기 발포용 공간에서 개시되면, 상기 발포로의 측벽과 밀봉 결합되어 있는 상기 하부 냉각 주형이 하강되고, 상기 하부 냉각 주형내에 형성된 공간이 폐쇄된다.
상기 하부 냉각 주형내에 형성된 공간은 발포로 인한 용융 알루미늄의 체적 확장을 수용하며, 상기 하부 냉각 주형은 상기 발포되어 체적 확장된 용융 알루미늄을 냉각하여 작업 다이에서 발포 알루미늄 괴를 만들어 낸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을 따른 발포 알루미늄 제조 장치는, 금속 Ca를 모합금으로 하는 안정화된 Ca 합금을 용융 알루미늄 중에 투입하여 용융 알루미늄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증점로(도시않됨), 그리고 상기 증점로와 별도로 설치되어, 상기 증점로에서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이 주입되어 가열 및 교반되면서 발포제와 혼합되고 이 혼합물이 체적 확장 및 냉각되는 발포 및 냉각 챔버(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발포 및 냉각 챔버(1)는 가열수단(G)이 부착되어 있는 측벽(4), 가열수단(G)이 부착되어 있고 베이스(E) 상에 위치되어 상기 측벽과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는 바닥부(7), 그리고 상기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을 주입하기 위한 개구(10)가 형성되어 있는 상벽(1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벽(11)에는 원통형 발포로(C)가 고정되어 상기 상벽(11)의 개구(10)를 관통하여 아래로 뻗어 있다. 그리고 이 원통형 발포로(C)는 양 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상기 발포로(C)는 상기 상벽의 개구를 덮는 제 1 커버(12)와 그리고 상기 제1 커버(12)를 관통하여 상기 발포로(C)내로 뻗어 있는 교반기(1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교반기(13)와 상기 제 1 커버(12)는 승강 및 하강시키는 제 1 승강수단(14)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다. 따라서,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을 상기 발포로(C)에 주입할 때에는 상기 제 1 커버(12)와 상기 교반기(13)는 상기 제 1 승강수단(14)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개구(10)를 개방하고, 상기 발포로(C)에 대한 상기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의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제 1 커버(12)와 상기 교반기(13)는 상기 제 1 승강수단(14)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개구(10)를 폐쇄한다.
상기 발포로(C) 밑에는 하부 냉각 주형(6)이 챔버 베이스(E)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하부 냉각 주형은 상기 발포로(C)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챔버 베이스(E) 밑에는 제 2 리프트 수단(24)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냉각 주형(6)은 상기 제 2 리프트 수단(24)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다.
상기 제 2 리프트 수단(24)은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에 발포제를 혼합할 경우에 상기 하부 냉각 주형(6)을 승강시켜, 상기 발포로(C)의 측벽(3)과 상기 하부 냉각 주형(6)의 바닥면의 일부를 밀봉 결합시켜 발포용 공간을 구획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리프트 수단(24)은 상기 혼합물을 발포 및 냉각시킬 경우에 상기 하부 냉각 주형(6)을 하강시켜, 상기 발포로(C)의 측벽(3)과 상기 하부 냉각 주형(6)의 바닥면의 일부를 밀봉 결합 해제 하여, 상기 발포제와 혼합된 발포 용융 알루미늄을 상기 발포용 공간보다 큰 상기 하부 냉각 주형에 유입되게 한다. 상기 하부 냉각 주형(6)에 상기 발포 용융 알루미늄이 유입되는 것은 발포로 인한 상기 발포 용융 알루미늄의 체적확장을 수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제 2 리프트 수단(24)이 승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2와 제 2 리프트 수단(24)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구성이 보다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부 냉각 주형(6)이 하강하게 되면, 상기 하부 냉각 주형(6)은 상기 하부 냉각 주형(6)의 내부 공간을 폐쇄하는 제 2 커버(도시되지않음)를 갖고 있다. 이 제 2 커버는 상기 하부 냉각 주형(6)내에 발포 용융 알루미늄의 체적확장으로 인한 압력증가를 유발하여 발포 용융 알루미늄 내에 일정한 기공이 형성되게 한다.
상기 하부 냉각 주형(6)은 제품 형상에 따라 원형, 사각형, 타원형, 사다리꼴형, 장방형, 반원형, 마름모형, 삼각형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위해 2개의 예가 예시로서 설명된다.
(실시예 1)
용융 알루미늄을 별도의 증점로에서 700℃ 내지 750℃ 범위의 온도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Ca-10wt% Al 합금을 용융 알루미늄 중량비로 0.5% 내지 5.0% 범위 되게 첨가하고, 용융 알루미늄의 점도가 내부에 공기를 취입하였을 때 용융 알루미늄 내에서 기포가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의 점도를 가질 때까지 교반한다. 이렇게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은 온도가 700℃ 미만으로 조절된 챔버(1)내의 발포로(C)에 주입된다. 이 때, 하부 냉각 주형(6)의 바닥면의 일부는 상기 발포로(C)의 측벽(3)과 밀봉결합되어 있다. 점도 증가되어 주입된 용융 알루미늄에 중량비 1.0% 내지 5.0% TiH2를 투입한 후에 교반기(1)로 교반하여 기공도가 체적비로 70% 내지 90% 범위가 되도록 조절하여 이 범위가 되었을 경우에 하부 냉각 주형(6)을 하강시켜 하부 냉각 주형(6)을 발포로(C)로 부터 분리하여 냉간 한 후에 고형화된 발포 알루미늄을 얻었다.
(실시예 2)
점도 증가용으로 사용하는 Ca 합금을 Ca-30wt% Al 합금으로 하고 나머지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험하였다. 이 경우에도 실시예 1과 동일한 기공도가 90%인 조직을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로 발포 알루미늄을 제조하였을 경우에, 알루미늄 용탕을 발포용 주형에 주입하기 전에 미리 점도 증가시킴으로써 증점시의 온도 제어가 용이하며, 온도제어되어 증점된 알루미늄 용탕을 발포용 주형에 주입함으로써 발포시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포를 위해 발포로의 측벽이 하부 냉각 주형의 바닥면 일부와 제 2 승강수단에 의해 밀봉 결합되었다가 냉각을 위해 발포로의 측벽이 하부 냉각 주형의 바닥면 일부와 제 2 승강수단에 의해 밀봉 결합 해제될 수 있어, 발포제 투입이 완료된 시점에서 발포가 진행되고 있는 알루미늄 용탕을 다른 곳으로 이동함 없이 바로 하부 냉각 주형으로 냉각이 가능하므로, 분리되어 있는 냉가 주형에 주입하기 위하여 발포 용융 알루미늄을 낙하시키거나 이동시키는 공정이 필요없게 되어, 발포 알루미늄 용탕의 주입시에 생길 수 있는 부정확한 주입이나, 대기 중의 과다 노출에 의한 산화 등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생산성이나 회수율면에서 상당한 잇점이 있다.

Claims (5)

  1. 알루미늄 용융 금속에 증점제와 발포제를 가하여 발포 알루미늄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먼저 용융 알루미늄을 증점시키기 위한 별도의 증점로에서 금속 Ca를 모합금으로 하는 안정화된 Ca 합금을 용융 알루미늄 중에 투입하여 용융 알루미늄을 증점시키는 단계,
    상기 증점로에서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을 바닥부가 없는 원통형의 상부 발포로의 측벽과 승강 위치에 있는 하부 냉각 주형의 바닥부에 의해 구획 형성된 발포용 공간에 주입하는 단계,
    이 상부 발포로를 제 1커버에 의해 폐쇄한 다음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을 가열 및 교반하면서 발포제를 투입하는 단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발포가 시작되어 발포 용융 알루미늄이 성장하기 시작하면 상기 하부 냉각 주형을 하강시켜 상기 발포로의 측벽과 하부 주형의 바닥부와의 밀봉 결합을 해제하여 구획 형성된 하부 냉각 주형 내부 공간에 용융 발포 알루미늄을 담는 단계,
    제 2 커버로 상기 하강된 하부 냉각 주형을 폐쇄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하강 위치에 있는 하부 냉각 주형에서 상기 발포되어 성장된 용융 발포 알루미늄을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발포 알루미늄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알루미늄을 증점시키는 단계는 Ca-10∼30wt%Al 합금을 700℃∼750℃ 범위의 용융 알루미늄에 투입하여, 용융 알루미늄내에 가스가 취입되어도 기포가 빠져 나가지 못할 정도의 점도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발포 알룹미늄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를 투입하는 단계는 상기 용해되어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에 중량비 1.0∼5.0% TiH2를 투입한 후에 교반기로 교반하여 기공도가 체적비로 70∼90% 범위가 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발포 알루미늄 제조 방법.
  4. 제 1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용융 알루미늄을 증점시키는 증점로를 별도로 가지고 있는 발포 알루미늄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점로와 별도로 설치되어, 상기 증점로에서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이 주입되어 가열 및 교반되면서 발포제와 혼합되고 이 혼합물이 체적 확장 및 냉각되는 발포 및 냉각 챔버(1)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발포 및 냉각 챔버(1)는 가열수단(G)이 부착되어 있는 측벽(4):
    가열수단(G)이 부착되어 있고 베이스(E) 상에 위치되어 있는 바닥부(7);
    상기 증점된 용융 알루미늄을 주입하기 위한 개구(10)가 형성되어 있는 상벽(11);
    상기 상벽(11)에 고정되어 상기 상벽(11)의 개구(10)를 관통하여 뻗어 있고 양 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의 발포로(C);
    상기 상벽(11)의 개구(10)를 덮는 제 1 커버(12);
    상기 제 1 커버(12)를 관통하여 상기 발포로(C)내로 뻗어 있는 교반기(13);
    상기 교반기(13)와 상기 제 1 커버(12)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제 1 승강수단(14);
    상기 발포로(C)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상기 바닥부(7) 상에 위치된 하부 냉각 주형(6);
    상기 하부 냉각 주형(6)을 승강시켜 상기 발포로(C)의 측벽(3)과 상기 하부 냉각 주형(6)의 바닥면의 일부와 밀봉 결합시키고 상기 하부 냉각 주형(6)을 하강시켜 상기 발포로(C)의 측벽(3)과 상기 하부 냉각 주형(6)의 바닥면의 일부와의 밀봉 결합을 해제하는 제 2 리프트 수단(24); 그리고
    상기 하강된 하부 냉각 주형(6)을 폐쇄시키는 제 2 커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알루미늄 제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냉각 주형(6)은 원형, 사각형, 타원형, 사다리꼴형, 장방형, 반원형, 마름모형, 삼각형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알루미늄 제조 장치.
KR1020000038963A 2000-07-07 2000-07-07 폐쇄형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200047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963A KR20020004755A (ko) 2000-07-07 2000-07-07 폐쇄형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963A KR20020004755A (ko) 2000-07-07 2000-07-07 폐쇄형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755A true KR20020004755A (ko) 2002-01-16

Family

ID=19676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963A KR20020004755A (ko) 2000-07-07 2000-07-07 폐쇄형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475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824A (ko) * 2002-05-07 2003-11-12 화인알루테크 주식회사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581189B1 (ko) * 2004-06-22 2006-05-17 한국기계연구원 연속 발포판재 제조방법
KR100592533B1 (ko) * 2002-01-07 2006-06-23 조순형 연속식 발포금속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874323B1 (ko) 2008-06-30 2008-12-18 이동식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CN115627377A (zh) * 2022-10-24 2023-01-20 菏泽学院 一种异形泡沫金属制备装置及其实现方法
CN116495023A (zh) * 2023-04-14 2023-07-28 西南交通大学 一种泡沫金属填充仿竹夹芯圆管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8559A (ja) * 1987-03-31 1988-10-14 Aichi Steel Works Ltd 発泡金属の製造方法
JPH03170630A (ja) * 1989-11-29 1991-07-24 Mitsubishi Heavy Ind Ltd 発泡金属の製造方法
JPH08209266A (ja) * 1995-02-06 1996-08-13 Hitachi Cable Ltd 多孔質金属線の製造方法
KR0165707B1 (ko) * 1995-10-28 1999-01-15 이승배 발포 알루미늄 금속 고형체의 제조방법
KR100279082B1 (ko) * 1998-11-27 2001-01-15 이운형 연속주조식 발포 알루미늄금속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8559A (ja) * 1987-03-31 1988-10-14 Aichi Steel Works Ltd 発泡金属の製造方法
JPH03170630A (ja) * 1989-11-29 1991-07-24 Mitsubishi Heavy Ind Ltd 発泡金属の製造方法
JPH08209266A (ja) * 1995-02-06 1996-08-13 Hitachi Cable Ltd 多孔質金属線の製造方法
KR0165707B1 (ko) * 1995-10-28 1999-01-15 이승배 발포 알루미늄 금속 고형체의 제조방법
KR100279082B1 (ko) * 1998-11-27 2001-01-15 이운형 연속주조식 발포 알루미늄금속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533B1 (ko) * 2002-01-07 2006-06-23 조순형 연속식 발포금속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30086824A (ko) * 2002-05-07 2003-11-12 화인알루테크 주식회사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581189B1 (ko) * 2004-06-22 2006-05-17 한국기계연구원 연속 발포판재 제조방법
KR100874323B1 (ko) 2008-06-30 2008-12-18 이동식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CN115627377A (zh) * 2022-10-24 2023-01-20 菏泽学院 一种异形泡沫金属制备装置及其实现方法
CN115627377B (zh) * 2022-10-24 2023-07-07 菏泽学院 一种异形泡沫金属制备装置及其实现方法
CN116495023A (zh) * 2023-04-14 2023-07-28 西南交通大学 一种泡沫金属填充仿竹夹芯圆管及其制备方法
CN116495023B (zh) * 2023-04-14 2024-03-08 西南交通大学 一种泡沫金属填充仿竹夹芯圆管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2533B1 (ko) 연속식 발포금속 제조방법 및 장치
EP0483184B1 (en) A process of manufacturing particle reinforced metal foam and product thereof
CN102586643B (zh) 一种闭孔泡沫铝的半连续生产线
JP4176975B2 (ja) 発泡金属の製造方法
KR20020004755A (ko) 폐쇄형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장치
CN101607308A (zh) 用于熔融金属的钢包
DE60024666D1 (de) Herstellungsverfahren für poröse metallgegenstände
JPH0366446A (ja) 溶融鉄の鋳造法及び溶融鉄用フイルター
CN102836971B (zh) 电磁搅拌水冷模及浇注钢锭的方法
JPH1177281A (ja) 金属溶融体を指向性凝固する方法および装置
RU96116154A (ru) Управление процессом производства чугуна с компактным графитом при разливке в печи
CN101450377B (zh) 一种制造多孔材料的设备
KR0165707B1 (ko) 발포 알루미늄 금속 고형체의 제조방법
US4337816A (en) Process for producing spherical graphite castings
CN1298777A (zh) 复合铸型、提拉浇注制造泡沫金属的方法和装置
KR20030086824A (ko)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장치
CN106636870A (zh) 一种消失模球墨铸铁纯镁球化工艺
KR101038140B1 (ko) 준정형 가공방식을 이용한 발포 알루미늄 제품의 제조방법
KR100874323B1 (ko)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JP2001510096A (ja) ガス混入を伴う連続的鋳造で「軽鋼」を生産する方法及び設備
KR960002483B1 (ko) 주철용탕의 구상화처리방법
JP2007297684A (ja) 発泡体およびその連続的製造方法
JP2007061865A (ja) 金属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59077A (ja) 発泡セラミック成形板
KR100952746B1 (ko) 개선된 대기 조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