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4803A -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 - Google Patents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4803A
KR20030084803A KR1020030061563A KR20030061563A KR20030084803A KR 20030084803 A KR20030084803 A KR 20030084803A KR 1020030061563 A KR1020030061563 A KR 1020030061563A KR 20030061563 A KR20030061563 A KR 20030061563A KR 20030084803 A KR20030084803 A KR 20030084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oins
withdrawal
depositing
depos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5779B1 (ko
Inventor
강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테크
Priority to KR1020030061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779B1/ko
Publication of KR20030084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7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6Software aspects at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6Coin bo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금자동 입출금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폐 및 수표의 자동 입출금과 아울러 주화도 무인 자동으로 입출금할 수 있는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지폐 및 수표를 입출금하기 위한 지폐 및 수표 입출금 장치와; 상기 지폐 및 수표 입출금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주화를 출금하기 위한 주화 출금장치와; 상기 주화 출금장치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주화를 입금하기 위한 주화 입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being capable of drawing and receipt of coin}
본 발명은 현금자동 입출금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폐 및 수표의 자동 입출금과 아울러 주화도 무인 자동으로 입출금할 수 있는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현금자동 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ATM)는 카드 또는 통장을 이용하여 지폐 및 수표의 입출금이 가능하도록 현금 및 수표 입출금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현금자동 입출금기는 카드 또는 통장을 이용하여 계좌이체, 잔액조회 및 지로수납 등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은행 등의 금융기관에 널리 설치되어 모든 창구업무가 무인 자동화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현금자동 입출금기에는 주화 또는 동전을 자동으로 입금하거나 출금할 수 있는 주화 입출금장치는 구비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동전이나 주화를 은행에 입금하거나 또는 예금을 주화나 동전으로 출금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창구직원을 통해 처리할 수 밖에 없었다. 특히, 많은 량의 주화를 한꺼번에 입금하거나 출금할 때는 동전 계수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은행창구업무의 효율이 크게 떨어지고 이용고객도 장시간 기다려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금자동 입출금기에 주화 입금장치 및 주화 출금장치를 더 설치하여 지폐 및 수표의 자동 입출금과 아울러 주화도 무인 자동으로 입출금할 수 있는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에 관련된다.
본 출원인은 주화를 자동으로 입출금할 수 있는 '주화 입출금 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373697호)에 대해 이미 특허받은 바 있다. 즉, 도1 내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이 개발한 종래의 주화 입출금 장치는 크게 소정 형상의 외측프레임(1) 내부에 위로부터 분류기(4), 감별기(5), 일시저장기(6), 입금/방출함(7)(7'), 출금부(3) 및 회수함(8) 등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주화를 입금하는 입금부(2)는 외측프레임(1)의 상부에 위치하고 주화가 출금되는 출금부(3)는 외측프레임(1)의 하부에 위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류기(4)의 하부에는 정상주화와 불량주화를 감별하기 위한 감별기(5)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일시저장기(6)의 하부에는 선별된 주화를 입금함과 동시에 출금하기 위한 입금/방출함(7)(7')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주화 입출금 장치는 상부에 주화를 입금하기 위한 주화 입금장치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 주화를 출금하기 위한 출금장치가 일체로 설치되기 때문에 주화를 입금하기 위한 입금부(2)가 너무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되는 반면에 주화를 출금하기 위한 출금부(3)는 너무 낮은 곳에 위치하게 된다. 즉, 입금된 주화와 출금될 주화가 보관되는 상기 입금/방출함(7)(7')의 크기를 고려할 때, 상기 입금부(2)는 사용자가 많은 양의 주화를 투입하는데 불편하고 상기 출금부(3)는 주화를 꺼내기 위해 사용자가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종래의 입금부(2)은 한번에 수납할 수 있는 주화의 양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양의 주화를 입금할 때는 조금씩 나누어 투입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아울러 종래 기술에 따른 주화 분류기(4)는 주화 이동통로상에 설치된 다수의 선별가이더를 통해 주화의 크기(지름)를 근거로 분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동일한 크기의 유사주화를 선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만곡가이더 하부와 주화 이동통로 사이에 불량주화 등이 끼는 고장(jam)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주화 입출금장치는 상기 분류기(4)에 의해 종류별로 분류된 주화에서 불량주화를 감별하여 제거하기 위한 감별기(5)가 주화의 종류별로 각각 설치되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지폐 및 수표의 입출금 뿐만 아니라 주화도 무인자동으로 입금하거나 출금할 수 있도록 주화 입금장치와 주화 출금장치가 구비된 현금자동 입출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다량의 주화를 편리하게 입출금할 수 있도록 현금자동 입출금기의 일측 상부에는 주화 출금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주화 출금장치의 하부에는 주화 입금장치를 설치하여 입금부의 위치를 낮추고 출금부의 위치는 높힘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량의 주화를 한꺼번에 연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입금부의 하부 및 후방에 입금된 주화를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별도의 컨베이어수단이 구비되어 자루에 담긴 다량의 주화도 한꺼번에 연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화 입출금 거래가 정상적으로 완료될 때까지 입출금된 주화를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일시 보관수단이 구비되어 잘못 계수된 주화가 착오로 입금되거나 출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투입된 주화에 의한 자장의 변화에 따라 주화의 크기, 재질 및 두께 등을 감지하는 전자감응센서와 이로부터 주화의 종류를 자동으로 판별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신호에 의해 주화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주화를 선택적으로 타격하여 이탈시키는 타격수단으로 이루어진 전자식 판별 및 분류수단을 채용함으로써 잼고장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다수의 감별기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는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주화 입출금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주화 입출금 장치를 보여주는 기능 블럭도,
도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주화 입출금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5 및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출금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측면도,
도7 및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자동 출금장치의 출금 보관통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주화 보관통의 배출통로 절환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출금 보관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보여주는 부분 배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출금장치의 출금 컨베이어수단을 보여주는 사사도,
도12 및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출금장치의 출금 임시보관수단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 사시도 및 작용 개념도,
도14, 도15 및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금장치의 사시도 및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17 및 도18은 본 발명에 따른 입금 컨베이어수단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19, 도20 및 도2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화 공급수단과 주화 판별/분류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22는 본 발명에 따른 주화 판별/분류장치의 제어수단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블럭도,
도23과 도24는 본 발명에 따른 주화 판별/분류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도25a 내지 도25c는 도23의 A-A선 B-B선 및 C-C선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26 및 도27은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금장치의 임시보관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도28은 본 발명에 따른 임시보관수단의 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29는 본 발명에 따른 입금 보관함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30은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자동 입금장치의 주화 반환컨베이어수단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현금자동 입출금기 16 : 출금부
17 : 입금부 18 : 반환부
14 : 가이드레일 19 : 도어
20 : 주화 출금장치 21 : 출금 보관통
22 : 주화 배출기 23 : 출금장치 본체
24 : 출금 컨베이어수단 25 : 출금 임시보관수단
50 : 주화 입금장치 52 : 주화 판별/분류장치
53 : 입금 컨베이어수단 54 : 주화 공급수단
55 : 분류안내부재 56 : 임시보관수단
57 : 입금 보관통 58 : 주화 반환컨베이어수단
218 : 절환부재 219 : 지지판
231 : 고정축 252 : 수용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지폐 및 수표를 입출금하기 위한 지폐 및 수표 입출금 장치와; 상기 지폐 및 수표 입출금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주화를 출금하는 주화 출금장치와; 상기 주화 출금장치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주화를 입금하는 주화 입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는 다수의 공간을 구획하는 프레임과 이를 감싸는 다수의 측판으로 이루어진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지폐 및 수표를 입출금하는 지폐 및 수표 입출금 장치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어 주화를 출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주화 출금장치와; 상기 주화 출금장치의 하부에 설치되어 주화를 입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주화 입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주화 입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는 그 전면 일측 중간부분에는 주화를 출금하기 위한 출금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출금부의 아래에는 주화를 입금하기 위한 입금부가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입금부의 하부에는 입금되지 못한 주화를 사용자에게 반환하기 위한 반환부가 설치되고, 그 후면에는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는 도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출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화 출금장치와 주화 입금장치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면에 설치된 도어를 통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출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화 출금장치는 사용자에게 출금될 주화를 종류별로 저장하고 있는 다수의 출금 보관통과; 상기 출금 보관통의 하부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출금 보관통으로부터 공급된 주화를 하나씩 배출함과 아울러 계수하는 다수의 주화 배출수단과; 상기 주화 배출수단에서 배출된 주화를 출금부쪽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출금 컨베이어수단과; 상기 출금 컨베이어수단에 의해 배출된 주화를 일시 보관하였다가 출금처리가 완료된 후에 임시 보관된 주화를 출금부로 공급하는 출금 임시보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출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금 컨베이어수단은 상기 주화 배출수단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롤러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선단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센싱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출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금 임시보관수단은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송되어 온 주화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하면이 모두 개방되고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 사각형상의 임시 보관함과, 상기 임시 보관함의 저면 개방부를 밀폐함과 아울러 상기 임시 보관함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보관함의 후방 양측에 일체로 소정 길이 형성된 래크와 상기 래크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에 워엄 기어가 설치된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출금장치에 있어서, 주화 입금장치는 투입된 주화의 종류를 판별하고 계수하는 전자식 판별수단; 판별된 주화 중에서 불량주화나 유사주화를 제거하기 위한 불량주화 제거수단과; 판별된 정상주화를 종류별로 분류하기 위한 전자식 분류수단과; 종류별로 분류된 주화를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입금 임시보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주화 입금장치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입금부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금부를 통해 입금된 주화를 하나씩 공급하기 위한 주화 공급부와; 상기 주화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주화를 하방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주화의 종류 및 불량주화의 여부를 판별하고 입금된 금액을 계수하는 전자식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의 하류에 위치하며 상기 판별수단에서 판별된 불량주화 또는 유사주화를 제거하는 불량주화 제거수단과; 상기 불량주화 제거수단의 하류에 위치하고 상기 주화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주화를 중력에 의해 하류로 구름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판별수단에서 판별된 주화를 종류별로 분류하는 전자식 분류수단과; 상기 분류수단에서 분류된 주화를 종류별로 일시 보관하였다가 입금처리가 완료된 후에 임시 보관된 주화를 입금 보관통과 주화 반환수단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입금 임시보관수단과; 상기 입금 임시보관수단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거래가 완료된 주화를 저장하는 다수의 입금 보관통과; 상기 입금임시보관수단의 타측 하부에 설치되어 거래가 취소된 주화나 제거된 불량주화를 사용자에게 반환하는 주화 반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판별수단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주화 이동통로와, 상기 주화 이동통로의 상류에 설치되어 투입된 주화에 의한 자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전자감응센서와, 상기 전자감응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로부터 주화의 종류 및 불량주화의 여부를 판별하고 정상주화의 입금액을 계수함과 아울러 소정의 타격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자식 판별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자감응센서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구동신호 발생기와, 상기 전자감응센서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다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와, 상기 A/D변환기로부터 입력되는 주화의 재질, 크기, 두께 판별용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주화의 종류를 판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각종 주화의 재질, 크기, 두께 판별용 기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화 분류수단은 투입된 주화가 중력에 의해 하류로 굴러 내려갈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주화 이동통로와, 상기 주화 이동통로 상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어 주화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주화를 타격하여 이탈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다수의 타격수단과, 상기 타격수단의 상류쪽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해당하는 주화의 이동여부를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화 분류수단에 있어서, 상기 타격수단은 상기 주화 이동통로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주화 이동통로상의 주화를 쳐내는 다수의 솔레이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금 임시보관수단은 전후좌우 측벽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상의 지지틀과; 상기 지지틀의 내부에 지지틀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입금된 주화를 종류별로 보관할 수 있도록 다수의 격벽으로 구획된 일시 보관함과, 상기 일시 보관함의 개방된 저면을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소정 폭의 밀폐판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틀의 하부에서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판과; 상기 일시 보관함과 슬라이드판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틀, 슬라이더판 및 일시 보관함에 설치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금 임시보관수단에 있어서, 상기 일시 보관함 구동수단은 상기 지지틀의 폭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된 지지판에 고정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슬라이드판의 상면에 형성된 하부 래크와, 상기 하부 래크와 대응됨과 아울러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일시 보관함의 저면에 설치된 상부 래크와, 상기 일시 보관함과 상기 슬라이드판의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각각 그 양단에 설치된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현금자동 입출금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10)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5 내지 도13는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출금장치(20)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14 내지 도30은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금장치(50)를 보여주는 것이다.
즉,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10)는 다수의 공간을 구획하는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의 외부를 감싸는 다수의 측판(12)으로 이루어진 본체 케이스(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 케이스(13)의 내부 공간의 일측에는 지폐 및 수표를 입출금하기 위한 통상의 지폐 및 수표 입출금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타측 상부 공간에는 주화를 출금하기 위한 주화 출금장치(20)가 설치되며, 상기 주화 출금장치(20)의 하부에는 주화를 입금하기 위한 주화 입금장치(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 케이스(13)의 전면 일측에는 디스플레이부, 고객조작부, 카드처리부, 용지배출부, 지폐출금부 등이 종래의 현금자동 입출장치와 마찬가지로 설치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소정의 카세트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 케이스(13)의 전면 타측에는 상기한 주화 출금장치(20)로부터 주화가 배출되는 출금부(16)가 설치되어 있고, 그 아래에는 상기 주화 입금장치(50)에 주화를 입금하기 위한 입금부(17)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입금부(17)의 하부에는 상기 주화 입금장치(50)에서 반화되는 동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반환부(1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 케이스(13)의 후면에는 도어(19)가 여닫이식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소정의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주화 출금장치(20) 및 주화 입금장치(50)는 그 양측면에 소정의 슬라이드 레일(14)이 설치되어 상기 도어(19)를 통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10)는 지폐 및 수표의 입출금 뿐만 아니라 주화의 입금 및 출금이 하나의 장치에서 모두 가능하도록 소정의 현금자동 입출금기의 본체 케이스(13) 내에 주화 출금장치(20)와 주화 입금장치(50)를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10)는 주화를 출금하는 출금부(16)와 주화를 입금하는 입금부(17)가 모두 본체 케이스(13)의 중간부분에 위치하도록 주화 출금장치(20)를 상부에, 주화 입금장치(50)를 하부에 각각 배치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10)는 그 후면에 여닫이식 도어(19)를 설치하여 상기 주화 출금장치(20)와 주화 입금장치(50)를 후방에서 착탈가능하도록 하여 보안성과 사용성을 개선한 것이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10)에 적용되는 주화 출금장치(2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5 및 도6은 상기 주화 출금장치(20)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화 출금장치(20)는 종류별로 분류된 주화를 보관하는 다수의 출금 보관통(21)과, 상기 출금 보관통(21)의 개방된 저면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소정의 구동수단을 통해 주화를 하나씩 배출하는 다수의 주화 배출기(22)와, 다수의 주화 배출기(22)가 안치됨과 아울러 다수의 출금 보관통(21)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출금장치 본체(23)와, 상기 주화 배출기(22)에서 배출된 주화를 출금부(16)쪽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출금장치 본체(23)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출금 컨베이어수단(24)과, 상기 출금 컨베이어수단(28)에 의해 배출된 주화를 일시 보관하는 출금 임시보관수단(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화 출금장치(20)에 적용되는 출금 보관통(21)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7 및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많은 양의 주화를 보관할 수 있도록 대략 사각 박스 형상을 이루는 상단부(211)와 대략 호퍼 형상을 갖는 하단부(212)로 이루어지며 그 저면에는 주화가 배출되는 개방부(215)가 형성된 보관통 본체(213)와, 상기 보관통 본체(213)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도어(214)와, 상기 보관통 본체(213)의 하단부(212)의 내면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면(216)(217)과, 상기 출금 보관통 본체(213)의 개방부(128)의 일부를 개폐시켜 주화의 배출통로를 변경시키는 절환부재(218)와, 상기 출금 보관통 본체(213)의 하단 양측에 수직하게 설치된 지지판(219)의 일측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출금장치 본체(23)의 일측에 수평하게 설치된 고정축(231)이 관통되는 관통구멍(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어, 상기 절환부재(218)는 상기한 출금 보관통 본체(213)의 저면에 형성된 개방부(215)의 일부를 개폐시켜 주화가 배출되는 통로를 변경시키는 것으로서, 도8 및 도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 측벽(823)과 바닥면(824)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상기 출금 보관통 본체(213)의 지지판(219)에 형성된 힌지홈에 결합되는 힌지돌기(825)가 일체로 형성된 소정 길이의 채널부(822)와, 상기 채널부(822)의 타측 저면 양측에 수직하게 설치된 소정 길이의 보강편(826)와, 상기 보강편(826)의 외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219)의 전방 양측면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결합구멍(827)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돌부(828)가 외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탄성후크(8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절환부재(218)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술한 절환부재(218)은 출금 보관통에 수납되어 있는 주화를 배출시킬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출금 보관통에는 주화 배출통로를 변경시킬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지 않았으므로 출금 보관통를 비우고자 할 때 모든 주화를 상부로 꺼내야만 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출금 보관통(21)은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후크(829)를 안쪽으로 오므려서 걸림돌부(828)를 결합구멍(827)으로부터 해제시킴과 아울러 힌지돌기(825)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개방부(215)의 전방을 개방시키면 상기 채널부(822)가 출금 보관통(213)에 설치된 하부 경사면(217)와 일치 또는 평행을 이루게 됨으로써 출금 보관통(21) 내의 주화가 상기 채널부(822)를 통해 전방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절환부재(218)의 전방에는 배출되는 주화를 담기 위한 별도의 회수함이 놓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10은 상기 출금 보관통(21)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850)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출금 보관통(21)은 지지판(219)에 형성된 관통구멍(232)을 통해 고정축(231)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방으로 회동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출금 보관통(21)이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850)이 필요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850)은 출금장치 본체(23)의 후면에 형성된 힌지축(851)과, 상기 힌지축(8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에는 상기 출금 보관통(21)의 후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편(82)에 걸릴 수 있도록 소정의 후크(853)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일측으로 연장된 손잡이(854)가 형성된 걸림부재(855)와, 상기 후크부재(855)에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854) 반대편에 설치된 스프링(857)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857)은 출금장치 본체(23)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출금 보관통(21)을 전방으로 회동시키고자 할 때는 상기 걸림부재(85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후크(853)가 걸림편(852)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한편,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출금 보관통(21)으로 투입된 주화는 그 하부에 연통되게 설치된 주화 배출기(22)를 통해 하나씩 배출된다. 즉, 상기 배출기(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출금 보관통(21)의 개방부(215)를 통해 공급되는 주화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나팔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호퍼(221)와, 상기 호퍼(221)의 저면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주화가 삽입되는 다수의 안치홈(222)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 설치된 구동모터(223)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224)와, 상기 회전판(224)의 안치홈(222)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주화를 일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224)의 하부에 상하로 입출가능하게 형성된 돌출핀(225)과, 상기 돌출핀(225)에 의해 일측으로 가압된 주화가 외부로 배출되는 주화 배출로(226)로구성된다. 따라서 도시되지 않는 제어수단을 통해서 다수의 주화 배출기(22)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해당 주화를 원하는 만큼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주화 배출기(22)를 통해 일측으로 배출된 주화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금장치 본체(23)의 일측 하부에 설치된 출금 컨베이어수단(24)을 통해 장치 전방으로 이송되게 된다. 즉, 상기 컨베이어수단(24)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롤러(241)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출금장치 본체(23)의 일측에 결합되는 프레임(242)과, 상기 프레임(242) 내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24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컨베이어벨트(243)와, 상기 컨베이어벨트(243)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44)와, 상기 컨베이어벨트(243)의 선단 하부에 설치되어 주화가 배출되고 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판(24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센싱판(245)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센싱판(245)과 접촉 가능하도록 소정의 접촉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벨트(243)를 따라 이송된 주화는 상기 센싱판(245)을 회동시키면서 떨어지기 때문에 주화의 배출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벨트(243)를 따라 이송된 주화는 곧바로 배출구(16)로 배출되지 않고 별도의 출금 임시보관수단(25)을 거쳐서 배출되게 된다. 즉, 상기 출금 임시보관수단(25)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벨트(243)에서 낙하된 주화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하부가 개방된 상자 형태의 임시 수납함(252)과, 상기 임시 수납함(252)의 저면에 형성된 개방부(253)를 폐쇄시키는 동시에 상기 수납함(252)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바닥 지지판(254)과, 상기 수납함(253)을 전후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258)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258)은 상기 수납함(253)의 후방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된 소정 길이의 래크(255)과, 상기 래크(255)과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256)와, 상기 바닥 지지판(254)에 고정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256)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에 워엄기어(259)가 설치된 구동모터(2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벨트(241)가 작동되어 주화가 배출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수납함(252)이 후방으로 후퇴하여 저면의 개방부(253)가 바닥 지지판(254)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였다가 출금처리가 정상적으로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수납함(252)이 전방으로 진출하여 그 저면에 형성된 개방부(253)가 개방됨으로써 그 하부에 놓여진 출금상자(260)로 주화를 배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출금 임시보관수단(25)은 배출되는 주화를 연속적으로 배출시키지 않고 일시 보관하였다가 정상적으로 처리된 경우에만 간헐적으로 배출시키기 때문에 잘못 처리된 주화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의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10)에 적용되는 바람직한 주화 입금장치(30)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14, 도15 및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금장치(50)의 외관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14은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금장치(50)의 우측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15는 상기 주화 입금장치(50)의 좌측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16는 상기 주화 입금장치(50)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주화 입금장치(50)는 상기한 본체 케이스(13)의 일측 공간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크게 상부와 하부 공간으로 구획된 사각 형상의 입금장치 본체(51)와, 상기 입금장치 본체(51)의 상부 공간내에 설치되고 투입된 주화의 종류 및 불량주화 등을 판별함과 아울러 종류별로 분류하는 주화 판별/분류수단(52)과, 상기 입금장치 본체(51)의 전방에 설치된 입금부(17)를 통해 수납된 동전을 주화 공급기로 이송하기 위한 입금 컨베이어수단(53)과, 상기 입금 컨베이어수단(53)을 통해 이송되어 동전을 상기 주화 판별/분류수단(52)에 하나씩 공급하기 위한 주화 공급기(54)와, 상기 주화 판별/분류수단(52)의 하부에 설치되어 종류별로 분류된 주화를 안내하는 주화 분류안내부재(55)와, 상기 분류안내부재(55)의 하부에 설치되어 입금된 주화는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입금 임시보관수단(56), 상기 입금 임시보관수단(56)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입금된 주화를 종류별로 저장하는 다수의 입금 보관통(57)과, 상기 입금 임시보관수단(56)의 타측 하부에 설치되어 불량주화나 거래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못한 주화를 반환시키는 반환 컨베이어수단(5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주화 입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금 컨베이어수단(53)은 도17 및 도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금부(17)로 투입된 주화를 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입금장치 본체(51)의 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하면이 개방된 사각형상의 입금호퍼(532)와, 상기 입금호퍼(532)의 하부와 상기 입금장치 본체(51)의 후방에 설치된 주화 공급기(54) 사이에 설치된 컨베이어벨트(533)와, 상기 컨베이어벨트(53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가 설치된 프레임(534)과, 상기 컨베이어벨트(533)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535)과, 상기 입금호퍼(532)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재(53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536)는 상기 입금호퍼(532)이 상부 개방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후방 양측으로 소정 길이의 슬라이드바(332)가 형성된 개폐판(331)과, 상기 슬라이드바(332)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그 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전방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그 저면에는 소정의 래크(334)가 형성된 이송바(333)와, 상기 이송바(333)의 래크(334)와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피니언 기어(335)와, 상기 피니언 기어(335)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에 워엄기어(336)가 형성된 구동모터(3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337)는 입금장치 본체(51) 전방 측판에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주화를 입금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금장치(50)를 작동시키면, 상기 구동모터(337)의 작용으로 상기 개폐판(331)이 후방으로 후퇴하여 입금호퍼(532)가 개방됨과 아울러 상기 컨베이어벨트 구동수단(535)이 작동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533)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입금부(17)에 투입된 주화는 입금호퍼(532)의 저면 개방부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벨트(533)를 타고 후방으로 연속적으로 이송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주화를 연속적으로 입금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벨트(533)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된 주화는 주화 공급기(54)의 수용함(541)에 수용되는데, 이때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벨트(533)의 후단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경사판(538)이 설치되어주화의 투입을 원활하게 한다.
이어서, 상기한 컨베이어벨트(533)를 따라 입금된 주화는 도19 및 도20에 도시되어 있는 주화 공급기(54)를 통해 상기 주화 판별/분류수단(52)으로 하나씩 공급된다. 상기 주화 공급기(54)는 크게 다수의 동전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함(541)과, 상기 수용함(541)의 내측에 설치되어 동전을 하나씩 상부로 들어 올리도록 회전하는 급송부재(54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용함(541)은 다량의 동전을 한꺼번에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용기로서 그 바닥면은 후방쪽으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상기 급송부재(542)는 소정의 구동모터(543;도1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원판(544)과, 상기 회전원판(544)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삼각형 형상의 다수의 돌출편(546)과, 상기 회전원판(544)의 안쪽에 설치된 만곡가이드부(547)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함(541)으로 투입된 주화는 경사진 하부로 모이게 되고, 상기 구동모터(543)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원판(544)의 돌출편(546)에 안착되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회전원판(544)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돌출편(546)에 안착된 주화는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이어 돌출편(546)에 안착되어 상부로 이동한 주화는 상부에 설치된 만곡가이드부(547)에 일측이 맞닿으면서 회전원판(544)과 함께 더욱 회전하면서 직선가이드부(548)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직선가이드부(548)에 위치한 주화는 직선가이드부(548)가 하향 경사진 상태이므로 하류로 굴러서 상기 주화 판별/분류수단(52)으로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직선가이드부(548)에 형성된 소정 구간의 경사부(549)는 주화 이동통로의 폭을 좁혀셔 하나의 주화만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어, 도20 및 도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화 판별/분류수단(52)는 상기 주화 공급기(54)을 통해 하나씩 투입된 주화가 중력에 의해 하부로 굴러 내려갈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주화 이동통로(521)와; 상기 주화 이동통로(521)상에 설치되어 주화의 종류를 판별함과 아울러 투입된 주화의 금액을 계수하는 판별수단(60)과, 상기 판별수단(60)에 의해 판별된 주화를 종류별로 분류하는 분류수단(7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판별수단(60)은 상기 주화 이동통로(521)의 상류에 설치되어 투입된 주화에 의한 자장의 변화로부터 주화의 크기, 재질 및 두께 등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는 전자감응센서(610)와, 상기 전자감응센서(610)의 신호에 따라 주화의 종류와 불량주화 및 유사주화를 판별함과 아울러 입금된 주화의 금액을 계수하는 제어수단(62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620)은 도22에 도시된 개략적인 블럭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자감응센서(61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구동신호 발생기(621)와, 상기 전자감응센서(6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622)와, 상기 A/D변환기(622)로부터 입력되는 주화의 재질, 크기, 두께 판별용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주화의 종류를 판단함과 아울러 입금액을 계수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623)와, 각종 주화의 재질, 크기, 두께 판별용 기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624) 및 상기 마이크로프세서(623)에서 제공하는 주화의 종류에 따라 다수의 타격수단()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타격수단 구동부(625)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류수단(70)은 상기 주화 이동통로(521)상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판별수단(60)의 제어수단(620)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주화 이동통로(521)를 따라 굴러 내려가는 주화를 선택적으로 쳐내서 주화 이동통로부터 이탈시키는 다수의 타격수단(71)과, 상기 주화통로(521)에 설치되어 주화의 통과여부를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센서(7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73)은 상기 타격수단(71)보다 상류쪽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타격수단 중에서 가장 상류쪽에 설치되어 있는 타격수단(71')은 불량주화 또는 유사주화를 선별하기 위한 불량주화 제거용 타격수단으로서, 그 상류에는 상기한 감지센서(73)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도23 및 도24에서 보는 바와같이, 상기 분류수단(70)은 플라스틱 등 절연소재로 이루어지고 수직방향에 대해서 후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된 안내판(522)과, 상기 안내판(522)의 전면 하단부에 설치되어 주화 이동통로(521)를 형성하는 단턱부(523)와, 상기 안내판(522)의 후면에 설치되어 다수의 타격수단(71)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소정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지지판(52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타격수단(71)은 전자석과 스프링을 포함하는 본체부(721)와 작동봉(723)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721)는 상기 절곡지지판(542)에 고정되고 상기 작동봉(723)은 상기 안내판(522)에 형성된 관통구멍(525)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작동봉(723)이 전진된 경우, 상기 작동봉(723)의 선단은 상기 안내판(522)의 전면(11)으로 돌출되고, 후퇴된 경우에는 상기 작동봉(723)의 선단은 상기 안내판(522)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73)는 상기 타격수단(71)의 상류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각각 설치되어 해당 주화의 통과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상기 안내판(522)에 소정 간격 이격 되게 설치된 관통홈(526)을 통해 마주보도록 설치된 발광소자(732)와 수광소자(733)와, 상기 발광소자(732)와 수광소자(733)를 고정시켜 상기 안내판(522)의 하단부에 고정키기 위한 고정플레이트(734)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2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자감응센서(610)와 안내판(522) 사이에는 주화 이동통로(521)를 따라 투입된 주화가 통과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소정의 자장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감응센서(610)는 주화가 상기 공간을 통과할 때 발생되는 자장의 변화로부터 주화의 크기, 재질 및 두께 등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감응센서(610)은 감지된 정보는 상술한 제어수단(620)으로 보내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수단(620)는 주화 이동통로(521)에 설치된 다수의 타격수단(71)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전자감응센서(610)를 통과한 주화는 상기 주화 이동통로(521)에 설치된 다수의 감지센서(73)에 의해 그 통과여부가 감지된다. 즉, 도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센서(73)는 주화 이동통로(521)를 사이에 두고 발광소자(732)와 수광소자(733)가 설치되므로 주화가 통과될 때 투사광이 차단되기 때문에 해당 주화의 통과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하는 주화가 해당 감지센서(73)를 통과하였을 경우 해당하는 타격수단(71)이 작동되어 작동봉(723)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된다. 그러면 도2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화 이동통로(521)를 따라 굴러 내려오던 주화가 상기 작동봉(723)에 의해 타격되어 상기 주화 이동통로(521)에서이탈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격수단(71)은 대응하는 감지센서(73)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되기 때문에 작동봉(723)의 작동 타이밍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한편, 상기 불량주화 제거용 타격수단(71')은 상기 전자감응센서(610)의 바로 아래에 설치되기 때문에 작동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감지센서가 필요없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주화 판별/분류수단(52)의 하부에는 타격수단(71)의 타격에 의해 전방으로 튕겨져 나온 주화를 종류별로 분류하기 위한 분류안내부재(5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류안내부재(55)는 도20 및 도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격벽(552)에 의해 다수의 안내통로가 구획된 것으로서, 상하면이 모두 개방되어 있고, 다수의 안내통로를 구획하는 격벽(522)은 비스듬하게 설치되어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주화 이동통로(521)에서 이탈된 주화는 상기 분류안내부재(55)를 통해 하부에 설치된 입금 임시보관수단(56)으로 안내된다.
즉, 상기한 분류수단(70)에 의해 분류된 주화는 곧바로 입금 보관통(57)으로 수납되지 않고 그 상기 분류안내부재(55)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입금 임시보관수단(56)에 공급된다. 상기 임시보관수단(56)은 도26 및 도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후좌우 측벽(562)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상의 지지틀(561)과, 상기 지지틀(561) 내부에 상기 지지틀(561)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분류안내부재(55)로부터 투입된 주화를 종류별로 보관할 수 있도록 다수의 격벽(572)으로 분할되고 상하면이 모두 개방된 호퍼 형상의 일시 보관함(571)과, 상기 일시 보관함(571)의 저면의 개방부에 대응하는 밀폐판(582)이 형성되고 상기 일시 보관함(571)의 저면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틀(561)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판(581)과, 상기 일시 보관함(571)과 상기 슬라이드 판(581)을 지지틀(561)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슬라이드 구동수단(59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구동수단(591)은 상기 지지틀(591)의 가운데에 폭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된 수직지지판(592)과, 상기 수직지지판(592)의 가운데에 설치되며 회전축에 피니언 기어(594)가 구비된 구동모터(593)와, 상기 피니언 기어(594)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밀폐판(582)의 상면에 설치된 하부 래크(595)와 상기 일시 보관함(571)의 저면에 설치된 상부 래크(596)와, 상기 일시 보관함(571)과 상기 슬라이드 판(581)의 양측에 설치된 소정의 가이드 레일(574)(58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일시 보관함(571)의 양측면에는 상기 지지틀(581)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565)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 편(57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틀(581)의 가이드 홈(565) 상부에는 상기 일시 보관함(571)의 이동상황을 탐지하기 위한 소정의 센서(566)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분류수단(70)과 분류안내부재(55)를 통해 분류된 주화는 상기 임시보관수단(56)의 일시 보관함(571)에 종류별로 보관되었다가 주화 입금처리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그 하부에 설치된 입금 보관통(57)이나 주화 반환컨베이어수단(58)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입금 임시보관수단(56)은 판별수단(60)이나 분류수단(70)의 고장으로 의해 잘못 분류된 동전이 곧바로 입금보관통(57)으로 수납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주화 입금자가 주화 입금 중에 자유롭게 취소할 수 있으며 주화 입금 중에도 입금 보관통(57)을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시보관수단(56)에 주화를 일시 보관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시 보관함(571)과 슬라이더 판(581)이 지지틀(561)의 가운데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일시 보관함(571)의 저면에 형성된 개구부는 상기 슬러이더 판(581)에 형성된 밀폐판(582)에 의해 밀폐되어 주화를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주화의 입금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어 보관 중인 주화를 입금 보관통(57)으로 공급하고자 할 때는 상기 구동수단(591)를 구동시켜 상기 피니언 기어(594)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일시 보관함(571)은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슬라이드 판(581)은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좌측을 충분히 개방시켜 그 하부에 설치된 입금 보관통(57)으로 주화를 공급한다. 반면에 상기 일시 보관함(571)에 불량주화가 투입되었거나 또는 입금액의 계수에 착오가 생긴 경우에는 상기한 구동수단(591)를 구동시켜 상기 피니언 기어(59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일시 보관함(571)은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슬라이드 판(581)은 좌측으로 이동시켜 우측을 충분히 개방시킴으로써 그 하부에 설치된 반환 컨베이어수단(58)으로 주화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임시보관수단(56)의 일측 하부에는 다수의 입금 보관통(57)이 종류별로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입금 보관통(57)은 도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소정 크기의 상자로서, 전면에는 다수의 투시구멍(711)과 입금 보관통을 전방으로 잡아당길 때 사용하는 손잡이 홈(712)이 형성되어 있고, 개방된 상면에는 입금 보관통을 들어올려 운반할 때 사용하는 손잡이 봉(71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의 후방은 소정의 경사면(7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다수의 입금 보관통(57)은 도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화 입금장치 본체(50)의 바닥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서랍(561) 위에 안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561)은 두 개의 입금 보관통(57)을 동시에 안치되는 안치부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레일(652)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561)의 후방에는 입금 보관통(57)의 후면과 접촉되어 입금 보관통의 장착여부를 탐지하기 위한 다수의 접촉센서(654)가 설치되어 있다.
이어, 상기 임시보관수단(56)의 타측 하부에 설치된 반환 컨베이어수단(58)은 도3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임시보관수단(56)에서 공급된 주화를 전방의 반환부(18)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임시보관수단(56)의 일측 하부에 설치된 컨베이어벨트(731)와, 상기 컨베이어벨트(73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가 설치된 프레임(735)과, 상기 프레임(735)의 일측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임시보관수단(56)에서 떨어지는 주화를 상기 컨베이어벨트(731)로 안내하는 안내 경사면(736)과, 상기 컨베이어벨트(731)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737)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입금 처리가 제대로 완료 되지 않는 주화와 불량주화 또는 유사주화는 상기 반환 컨베이어수단(58)을 통해 상기 반환부(18)로 배출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는 장치의 전면에 설치된 고객조작부 및 카드처리부를 조작하여 주화를 입금하거가 출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금액의 주화를 출금하고자 할 때는 카드 또는 통장을 넣은 다음 원하는 출금액을 입력하면, 상기한 주화 출금장치가 작동되어 소정의 주화가 출금되게 된다. 반대로 주화를 입금시키는 경우에 고객조작부를 작동시켜 입금부를 개방시킨 후 주화를 수납하면 주화 공급기가 주화를 하나씩 상기 주화 판별/분류장치로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주화 판별/분류장치는 전자식 판별수단에 의해 주화의 종류를 판별함과 아울러 입금액을 계수하고, 다수의 타격수단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주화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보관하게 된다. 만약 주화 입금중에 잘못처리된 경우에는 상기기 임시보관수단과 반환 컨베이어수단를 통해 반환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는 통상의 지폐 및 수표의 입출금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일측 상부에 설치된 주화 출금장치에 위해 주화의 출금이 가능하고 그 하부에 설치된 주화 입력장치에 의해 주화의 입력이 가능하므로 주화의 입출금 업무를 무인 자동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는 주화 출금장치를 상부에 설치하고 그 하부에 주화 입금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주화를 입금하기 위한 입금부의 위치를 낮추고 주화를 출금하기 위한 출금부의 위치는 높힘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다량의 주화를 한꺼번에 투입할 수 있도록 입금부와 주화 수용함 사이에 입금된 주화를 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주화 입금 컨베이어수단이 구비되어 자루에 담긴 다량의 주화도 한꺼번에 연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래가 정상적으로 완료될 때까지 입금된 주화나 출금된 주화를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임시보관수단이 구비되어 잘못 계수된 주화 또는 불량주화 등이 입금되거나 출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투입된 주화에 의한 자장의 변화에 따라 주화의 크기, 재질 및 두께 등을 근거로 주화의 종류를 판단하는 전자식 판별기를 채용하여 잼고장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뿐만 아니라 주화를 종류별로 선별하기 전에 불량주화 또는 유사주화를 제거함으로써 별도로 감별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단순한 구조를 갖는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는 상기 주화 출금장치와 주화 입금장치를 본체 케이스의 후방으로 빼낼 수 있기 때문에 보안성과 작업성이 우수하다.

Claims (17)

  1. 다수의 공간을 구획하는 프레임과 이를 감싸는 다수의 측판으로 이루어진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폐 및 수표를 입출금하는 지폐 및 수표 입출금 장치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주화를 출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주화 출금장치와;
    상기 주화 출금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주화를 입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주화 입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 상부에는 주화를 출금할 수 있는 주화 출금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주화 출금장치의 하부에는 주화를 입금할 수 있는 주화 입금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는 그 전면 일측 중간부분에는 주화를 출금하기 위한 출금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출금부의 아래에는 주화를 입금하기 위한 입금부가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입금부의 하부에는 입금 처리되지 못한 주화를 사용자에게 반환하기 위한 반환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면에는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는 도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 출금장치와 주화 입금장치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면에 설치된 도어를 통해 상기 본체 케이스 내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 출금장치는 사용자에게 출금될 주화를 종류별로 저장하고 있는 다수의 출금 보관통과; 상기 출금 보관통의 하부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출금 보관통으로부터 공급된 주화를 하나씩 배출하는 다수의 주화 배출수단과; 상기 주화 배출수단에서 배출된 주화를 출금부쪽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출금 컨베이어수단과; 상기 출금 컨베이어수단에 의해 배출된 주화를 일시 보관하였다가 출금처리가 완료된 후에 임시 보관된 주화를 출금부로 공급하는 출금 임시보관수단을 포함하여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 컨베이어수단은 상기 주화 배출수단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롤러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선단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센싱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 임시보관수단은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송되어 온 주화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하면이 모두 개방되고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 사각형상의 임시 보관함과, 상기 임시 보관함의 저면 개방부를 밀폐함과 아울러 상기 임시 보관함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보관함의 후방 양측에 일체로 소정 길이 형성된 래크와 상기 래크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에 워엄 기어가 설치된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 입금장치는 투입된 주화의 종류를 판별하고 계수하는 전자식 판별수단; 판별된 주화 중에서 불량주화나 유사주화를 제거하기 위한 불량주화 제거수단과; 판별된 정상주화를 종류별로 분류하기 위한 전자식 분류수단과; 종류별로 분류된 주화를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입금 임시보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 입금장치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입금부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금부를 통해 입금된 주화를 하나씩 공급하기 위한 주화 공급부와; 상기 주화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주화를 하방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주화의 종류 및 불량주화의 여부를 판별하고 입금된 금액을 계수하는 전자식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의 하류에 위치하며 상기 판별수단에서 판별된 불량주화 또는 유사주화를 제거하는 불량주화 제거수단과; 상기 불량주화 제거수단의 하류에 위치하고 상기 주화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주화를 중력에 의해 하류로 구름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판별수단에서 판별된 주화를 종류별로 분류하는 전자식 주화 분류수단과; 상기 분류수단에서 분류된 주화를 종류별로 일시 보관하였다가 입금처리가 완료된 후에 임시 보관된 주화를 입금 보관통과 주화 반환수단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입금 임시보관수단과; 상기 입금 임시보관수단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거래가 완료된 주화를 저장하는 다수의 입금 보관통과; 상기 입금 임시보관수단의 타측 하부에 설치되어 거래가 취소된 주화나 제거된 불량주화를 사용자에게 반환하는 주화 반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판별수단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주화 이동통로와, 상기 주화 이동통로의 상류에 설치되어 투입된 주화에 의한 자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전자감응센서와, 상기 전자감응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로부터 주화의 종류 및 불량주화의 여부를 판별하고 정상주화의 입금액을 계수함과 아울러 소정의 타격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주화 분류수단은 투입된 주화가 중력에 의해 하류로 굴러 내려갈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주화 이동통로와, 상기 주화 이동통로 상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어 주화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주화를 타격하여 이탈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다수의 타격수단과, 상기 타격수단의 상류쪽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해당하는 주화의 이동여부를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수단은 상기 주화 이동통로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주화 이동통로상의 주화를 쳐내는 다수의 솔레이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금 임시보관수단은 전후좌우 측벽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상의 지지틀과; 상기 지지틀의 내부에 지지틀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입금된 주화를 종류별로 보관할 수 있도록 다수의 격벽으로 구획된 일시 보관함과, 상기 일시 보관함의 개방된 저면을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소정 폭의 밀폐판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틀의 하부에서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판과; 상기 일시 보관함과 슬라이드판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틀, 슬라이더판 및 일시 보관함에 설치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보관함 구동수단은 상기 지지틀의 폭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된 지지판에 고정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슬라이드판의 상면에 형성된 하부 래크와, 상기 하부 래크와 대응됨과 아울러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일시 보관함의 저면에 설치된 상부 래크와, 상기 일시 보관함과 상기 슬라이드판의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각각그 양단에 설치된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 입금장치의 전방으로 돌설되게 형성되고 상하면이 개방된 사각형상의 입금호퍼와, 상기 주화 입금장치의 내부 후방에 설치되어 주화를 하나씩 공급하는 주화 공급부와, 상기 입금호퍼의 하부와 상기 주화 공급기 사이에 설치된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가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입금호퍼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입금호퍼를 통해 입금된 주화를 후방에 설치된 주화 공급부로 연속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입금 컨베이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급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입금호퍼의 상부 개방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후방 양측으로 소정 길이의 슬라이드바가 형성된 개폐판과, 상기 슬라이드바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그 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전방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그 저면에는 소정의 래크가 형성된 이송바와, 상기 이송바의 래크와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에 워엄기어가 형성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급기.
KR1020030061563A 2003-09-03 2003-09-03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 KR100545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563A KR100545779B1 (ko) 2003-09-03 2003-09-03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563A KR100545779B1 (ko) 2003-09-03 2003-09-03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803A true KR20030084803A (ko) 2003-11-01
KR100545779B1 KR100545779B1 (ko) 2006-01-24

Family

ID=32388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563A KR100545779B1 (ko) 2003-09-03 2003-09-03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7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090B1 (ko) * 2003-05-23 2005-12-08 주식회사 키트론 동전 및 지폐 입금 단말기의 입금 방법
KR100563630B1 (ko) * 2003-12-19 2006-03-22 주식회사 국민은행 지폐/동전 입출금 장치
KR100768840B1 (ko) * 2006-03-31 2007-10-19 주식회사 이티엠 주화 자동 선별기 및 그 작동 방법
CN104573750A (zh) * 2014-12-24 2015-04-29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同时发放多种介质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229B1 (ko) * 2009-03-02 2009-10-12 금동락 무인 동전입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090B1 (ko) * 2003-05-23 2005-12-08 주식회사 키트론 동전 및 지폐 입금 단말기의 입금 방법
KR100563630B1 (ko) * 2003-12-19 2006-03-22 주식회사 국민은행 지폐/동전 입출금 장치
KR100768840B1 (ko) * 2006-03-31 2007-10-19 주식회사 이티엠 주화 자동 선별기 및 그 작동 방법
CN104573750A (zh) * 2014-12-24 2015-04-29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同时发放多种介质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5779B1 (ko) 2006-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893B1 (ko) 지폐 입출금기
EP2062230B1 (en) A coin dispensing apparatus and a coin deposit and dispensing apparatus
KR101458450B1 (ko) 지폐 입출금기
KR101034851B1 (ko) 지폐 입출금 기구 및 현금 자동 거래 장치
KR100796217B1 (ko) 지폐수납기구
JP2002083340A (ja) 紙幣入出金装置
JP5500190B2 (ja) 媒体取引装置
JP5553134B2 (ja) 媒体取引装置
KR100545779B1 (ko)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
KR100593755B1 (ko) 주화 자동 입금장치
KR20060129614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20100077436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취출장치 및 방법
JP4838998B2 (ja) 紙幣入出金機
JP2018097634A (ja) 媒体収納庫及び媒体取引装置
JP3604603B2 (ja) 紙幣入出金装置
KR200155928Y1 (ko) 현금 및 수표 자동지급기용 인출잔액 회수장치
KR100557303B1 (ko) 주화 자동 출금장치
KR100545782B1 (ko) 주화 입금장치용 주화 임시보관장치
KR100625208B1 (ko) 주화 입금장치용 입금 컨베이어장치
KR100555953B1 (ko) 지폐 및 동전 입출금 단말기
JP2889998B2 (ja) 硬貨入出金機
JP2580584Y2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
KR100545783B1 (ko) 주화 출금장치용 주화 임시보관장치
JP3844697B2 (ja) 紙幣入出金機
KR20150125227A (ko)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