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4018A - 보강격벽을 갖는 이중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보강격벽을 갖는 이중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4018A
KR20030084018A KR1020020022492A KR20020022492A KR20030084018A KR 20030084018 A KR20030084018 A KR 20030084018A KR 1020020022492 A KR1020020022492 A KR 1020020022492A KR 20020022492 A KR20020022492 A KR 20020022492A KR 20030084018 A KR20030084018 A KR 20030084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melt
molding
wall
ex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2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9812B1 (ko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트롱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트롱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트롱케미칼
Priority to KR10-2002-0022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812B1/ko
Publication of KR20030084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8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액상의 물질을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큰 직경을 갖는 합성수지재의 하수관(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1)을 구성하는 압출도관(2)의 외피(4) 내측 중공부(6)로 적정 간격을 두면서 보강격벽(8)을 형성하는 하수관(1)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출장치(10), 성형다이스(30), 냉각장치(40) 및 권취장치(50)로 구성되는 하수관(1)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출장치(10)는 외피성형압출기(12)와 격벽성형압출기(16)로 구성하되, 상기 격벽성형압출기(16)는 온/오프제어장치(18)를 구비하여 상기 온/오프제어장치(18)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격벽용융액(17)을 성형다이스(30)에 주입되도록 하여 상기 성형다이스(30)를 통과하면서 내측으로는 적정 간격을 두면서 보강격벽(8)을 형성한 압출도관(2)을 제조함으로써 압출 성형하는 보강격벽을 갖는 이중벽 하수관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강격벽을 갖는 이중벽 하수관의 제조장치{APPARATUS FOR DUPLICATION WALL-DRAINPIPE USING REINFORCEMENT WALL}
본 발명은 각종 액상의 물질을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큰 직경을 갖는 합성수지재의 하수관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을 구성하는 압출도관의 외피 내측 중공부로 적정 간격을 두면서 보강격벽을 형성하는 하수관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출장치, 성형다이스, 냉각장치 및 권취장치로 구성되는 하수관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출장치는 외피성형압출기와 격벽성형압출기로 구성하되, 상기 격벽성형압출기는 온/오프제어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온/오프제어장치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격벽용융액을 성형다이스를 통하여 외피의 내측으로 적정 간격을 두면서 보강격벽을 형성한 보강격벽을 갖는 이중벽 하수관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100)은 그 직경이 매우 크며 지중에 매설되는 관계로 내압성과 수밀성이 좋아야 한다.
한편, 내압성과 수밀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하수관으로서는 도9와 같은 구조의 하수관(100)이 제안 사용되어 오고 있다.
즉, 그 단면이 이중벽 구조로서 관체(101)의 내부에 " □"형상의 중공부(1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체(101)는 성형기로부터 마치 가래떡과 같이 성형되어 인출된 후 소정의 직경(관체의 내경을 뜻함)으로 된 드럼형상의 맨드릴 외측에 마치 코일형상으로 감겨지고 이때 이들 접속부에 접착수지가 공급되므로서원통형상의 관체(101)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관체(101)는 내부에 중공부(102)가 형성된 이중벽 구조로 되어 있어 지중에 매설시 이중벽 구조가 아닌 관체(101)에 비해서는 내압성이 향상되는 잇점은 있으나 수밀성에 다소 문제가 따랐던 것이다.
한편, 시공 후 어느 한 곳의 중공부(102)내에 액체가 유입될 경우 이 액체는 중공부(102)를 따라 코일형상으로 회전하여 모든 중공부(102)내로 유입하게 되며, 이때 외체(103)의 어느 한부분에 미세한 구멍이라도 있을 경우 액체는 외체(103)에 뚫린 구멍을 통해 누수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누수는 내피(104)의 어느 일부분에 작은 구멍이라도 생겼을 경우 관체(101)내부를 흐르는 액체는 상기의 구멍을 통해 중공부(102)내로 유입되고 이어서 외체(103)에 뚫린 구멍 혹은 외체(103)의 취약부를 통해 누수가 발행하였던 것으로, 예로서 누수된 물질이 상수도와 같이 깨끗한 물이면 다소의 물의 손실이 있더라도 괜찮지만 오수이거나 혹은 유해물질인 경우 토양을 해치는 결과가 되어 결국 자연환경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중벽 구조 하수관의 취약점인 누수의 문제점을 최소화시키고 동시에 하수관의 강성도 향상시키므로서 수밀성과 내압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본 발명을 구성하는 온/오프제어장치에 의해 격벽용융액을 외체 또는 내체의 내부로 주기적으로 주입하여 중공부내에 발포수지와 같은 보강격벽이 형성된 하수관을 제조하는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벽 하수관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다이스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이중벽 다층하수관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성형다이스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성형된 압출도관의 일부 확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성형된 압출도관을 이용하여 생산된 하수관의 단면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해 성형된 압출도관의 일부 확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해 성형된 압출도관을 이용하여 생산된 다층하수관의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하수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a 하수관 2,2a 압출도관
4,4a 외피 5 내피
6,6a 중공부 8,8a 보강격벽
10,10a 압출장치 12,12a 외피성형압출기
13 외피용융액 14 내피성형압출기
15 내피용융액 16 격벽성형압출기
17 격벽용융액 18 온/오프제어장치
22 외피용융액유입로 24 내피용융액유입로
26 격벽용용액유입로 30,30a 성형다이스
32 외피용융액이송로 34 내피용융액이송로
36 격벽용융액이송로 40 냉각장치
50 권취장치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보강격벽을 갖는 이중벽 하수관의 제조장치를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벽 하수관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다이스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압출장치(10), 성형다이스(30), 냉각장치(40) 및 권취장치(50)로 구성되는 하수관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출장치(10)는 외피성형압출기(12)와 격벽성형압출기(16)로 구성하되, 상기 격벽성형압출기(16)는 온/오프제어장치(18)를 구비하여 상기 온/오프제어장치(18)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격벽용융액(19)을 성형다이스(30)에 주입되도록 하여 상기 성형다이스(30)를 통과하면서 외피(4)의 내측으로 적정 간격을 두면서 보강격벽(8)을 형성한 압출도관(2)을 압출 성형하는 보강격벽을 갖는 이중벽 하수관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출도관(2)의 외피(4)를 형성하는 외피용융액(13)을 압출 공급하는 외피성형압출기(12)와 상기 외피(4)의 내부로 형성되는 보강격벽(8)을 형성하는 격벽용융액(17)을 압출 공급하는 격벽성형압출기(16)로 구성되는 압출장치(10)를 구비하고, 일측으로성형다이스(30)가 위치한다.
또, 상기 격벽용융액(17)을 압출 공급하는 격벽성형압출기(16)와 성형다이스(30) 사이에는 온/오프제어장치(18)가 설치 형성된다.
한편, 성형다이스(30)에는 상기의 외피성형압출기(12)측의 외피용융액유입로(22)와 격벽성형압출기(16)측의 격벽용융액유입로(26)를 통하여 외피용융액(13)과 격벽용융액(17)이 각각 유입되는데 이때, 상기의 외피용융액(13)은 성형다이스(30)의 외피용융액이송로(32)를 따라서 계속적으로 진행을 하면서 나아가는 반면에 격벽용융액(17)은 성형다이스(30)의 격벽용융액이송로(36)를 따라 이송하게 되는데, 상기의 온/오프제어장치(18)에 의해 주기적으로 성형다이스(30)에 주입되어 상기의 외피용융액이송로(32)를 따라 계속적으로 진행을 하면서 나아가는 외피(4)의 내부로 주기적으로 보강격벽(8)이 형성되는 압출도관(2)이 성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압출 성형된 압출도관(2)은 냉각장치(40)에 의해 냉각이 되면서 권취장치(50)에 의해 권취되어 도 5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격벽(8)을 갖는 이중벽 하수관(1)의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의 압출도관(2)은 기존하는 구성과 같이 단면이 사각형상의 중공부(6)로 구성하여 외피(4)의 구조로 되며, 상기 중공부(6)내에 보강격벽(8)을 형성하여서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이중벽 다층 하수관(1a)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압출도관(2a)을 압출 성형함에 있어서, 성형다이스(30a)를 통과하는 압출도관(2a)을 외피(4a)와 내피(5)를 갖는 이중으로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내피(5)의 내부로 소정 간격으로 보강격벽(8a)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 구성으로는 압출장치(10a), 성형다이스(30a), 냉각장치(40) 및 권취장치(50)로 구성되는 하수관(1a) 제조장치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피성형압출기(12)와 내피성형압출기(14) 및 격벽성형압출기(16)로 구성되는 압출장치(10a), 성형다이스(30a), 냉각장치(40) 및 권취장치(50)로 구성된다.
상기 격벽성형압출기(16)와 성형다이스(30a) 사이에는 온/오프제어장치(18)가 설치 형성되며, 상기 성형다이스(30a)에는 상기의 외피성형압출기(12)측의 외피용융액유입로(22)와 내피성형압출기(14)측의 내피용융액유입로(24)로 외피용융액(13)과 내피용융액(15)이 유입됨과 동시에 격벽성형압출기(16)측의 격벽용융액유입로(26)를 통하여 격벽용융액(17)이 각각 유입되는데 이때, 상기의 외피용융액(13)과 내피용융액(15)은 성형다이스(30a)의 외피용융액이송로(32)와 내피용융액이송로(34)를 따라서 계속적으로 진행을 하면서 나아가는 반면에 격벽용융액(17)은 성형다이스(30a)의 격벽용융액이송로(36)를 따라 이송하게 되는데, 상기의 격벽용융액(17)은 온/오프제어장치(18)에 의해 주기적으로 성형다이스(30a)에 주입되어 상기의 내피(5)의 내부로 주기적으로 보강격벽(8a)이 형성되는 압출도관(2a)이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압출 성형된 압출도관(2a)은 냉각장치(40)에 의해 냉각이 되면서 권취장치(50)에 의해 권취되어 도 7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격벽(8a)을 갖는 이중벽 하수관(1a)의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의 압출도관(2a)은 기존하는 구성과 같이 단면이 사각형상의 중공부(6a)로 구성하여 외피(4a)와 내피(5)의 구조로 되며, 상기 중공부(6a)내에 보강격벽(8a)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 하수관(1)(1a)은 중공부(6)(6a)내에 비교적 중량이 가벼운 발포수지의 보강격벽(8)(8a)을 형성함으로써, 압출도관(2)(2a) 자체의 강성이 향상되고, 중공부(6)(6a)를 통해 발생되는 액체 누수현상이 최소화 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제조장치에 의하여 압출 성형되는 압출도관은 온/오프제어장치에 의해 격벽용융액을 외피 또는 내피의 내부로 주기적으로 주입하여 중공부내에 발포수지와 같은 보강격벽을 형성함으로써, 하수관으로서의 생명과도 같은 내압성과 수밀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것으로 간단한 구성이지만 실사용에 있어서는 큰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하수관을 제조하는 제조장치인 것이다.

Claims (1)

  1. 압출장치(10), 성형다이스(30), 냉각장치(40) 및 권취장치(50)로 구성되는 하수관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출장치(10)는 외피성형압출기(12)와 격벽성형압출기(16)로 구성하되, 상기 격벽성형압출기(16)는 온/오프제어장치(18)를 구비하여 상기 온/오프제어장치(18)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격벽용융액(19)을 성형다이스(30)에 주입되도록 하여 상기 성형다이스(30)를 통과하면서 내측으로 적정 간격을 두면서 보강격벽(8)을 형성한 압출도관(2)을 압출 성형하는 보강격벽을 갖는 이중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KR10-2002-0022492A 2002-04-24 2002-04-24 보강격벽을 갖는 이중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KR100469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2492A KR100469812B1 (ko) 2002-04-24 2002-04-24 보강격벽을 갖는 이중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2492A KR100469812B1 (ko) 2002-04-24 2002-04-24 보강격벽을 갖는 이중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018A true KR20030084018A (ko) 2003-11-01
KR100469812B1 KR100469812B1 (ko) 2005-02-02

Family

ID=32380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492A KR100469812B1 (ko) 2002-04-24 2002-04-24 보강격벽을 갖는 이중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8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330B1 (ko) 2008-06-03 2010-12-14 주식회사 진우인더스 보강용 격막이 형성된 하수관 제조장치
KR101788781B1 (ko) * 2017-03-13 2017-10-20 동원철강 주식회사 부력용 수지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51039B1 (ko) 2017-10-10 2019-12-17 주식회사 퍼팩트 블록 삽입형 합성수지 이중벽관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194B1 (ko) * 1984-12-21 1991-09-19 캐터필라 인크. 고압용 호스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US4712993A (en) * 1986-03-25 1987-12-15 Lupke Manfred Arno Alfred Extrusion die for externally ribbed plastic tubing
JPS6398413A (ja) * 1986-10-15 1988-04-28 Smc Corp 二重管およびその連続製造法
KR100239114B1 (ko) * 1996-06-20 2000-01-15 이준세 고속증착용 스퍼터링 시스템
KR100237112B1 (ko) * 1997-02-22 2000-01-15 안덕노 2중 벽체관
KR19990080374A (ko) * 1998-04-16 1999-11-05 박기종 합성 수지관 및 그 제조 장치
KR20020020369A (ko) * 2000-09-08 2002-03-15 유영식 이중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9812B1 (ko) 200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77676A (en) Apparatus for forming plastic tubing having a smooth inner wall and a corrugated outer wall
KR100509971B1 (ko) 복층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KR102003699B1 (ko) 폐플라스틱과 발포제를 이용한 충진관 제조장치
DE69603595T2 (de) Behandlungsverfahren für extrudierte kunststoffrohre und extrusionsanlage dafür
KR100469812B1 (ko) 보강격벽을 갖는 이중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KR100458608B1 (ko) 이중벽 하수관의 구조
IT1284066B1 (it) Procedimento e impianto per la produzione di tubi in resine termoplastiche di riciclo
KR200307453Y1 (ko) 보강격벽을 갖는 이중벽 하수관의 구조
KR102062628B1 (ko) 3중구조 중공 충진벽관 제조방법 및 이로써 제조된 3중구조 중공 충진벽관
KR102003701B1 (ko)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하여 제조된 충진관
KR20000030506A (ko) 보강 소재를 이용한 이중벽 하수관
KR20080017158A (ko) 합성수지관의 이중 삼각형 보강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2062629B1 (ko) 3중구조 중공 충진벽관 제조장치
KR100694001B1 (ko) 차수막이 구비된 고강도 허니콤 하수관 및 그 제조장치
JP2992508B2 (ja) 複合管の製造方法
KR102030003B1 (ko) 폐플라스틱과 발포제를 이용한 충진관 제조방법
KR100564154B1 (ko) 나선관 성형용 압출도관의 접합장치 및 그 방법
KR100278578B1 (ko) 초강성 평활 다층관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
KR200323558Y1 (ko) 나선관 성형용 압출도관의 접합장치
KR200341473Y1 (ko) 삼중관
KR20040091458A (ko) 합성수지관을 이용한 정화조
KR200339776Y1 (ko) 내/외압 강도를 향상시키는 합성수지관
KR100597231B1 (ko) 프로파일의 처짐방지 및 강도를 향상시키는 합성수지관의압출성형장치
KR100897598B1 (ko) 물막이벽을 갖는 하수관의 제조장치
ATE278905T1 (de) Biegsame rohrleitung mit einer aufgewickelten, thermisch isolierenden bahn und wickelmaschine zur deren herstell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