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3718A - 다수의 구조로 가요성 케이블을 강성 장치에 결합하기위한 만능 전력 커넥터 - Google Patents

다수의 구조로 가요성 케이블을 강성 장치에 결합하기위한 만능 전력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3718A
KR20030083718A KR10-2003-7010926A KR20037010926A KR20030083718A KR 20030083718 A KR20030083718 A KR 20030083718A KR 20037010926 A KR20037010926 A KR 20037010926A KR 20030083718 A KR20030083718 A KR 20030083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dapter
conductive
inlet
b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0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5663B1 (ko
Inventor
마틴도날드알.
Original Assignee
지앤드더블유일렉트릭캄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앤드더블유일렉트릭캄퍼니 filed Critical 지앤드더블유일렉트릭캄퍼니
Publication of KR20030083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3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6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21Transformer bushing type or high voltage underground connecto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커넥터(20)는 세장형, 다중 챔버, 내부식성 절연 플라스틱 하우징(22)을 구비하며, 고정식 장치(94)와 연계된 장비에 가요성 전력 케이블(45)을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하우징의 일 단부(21)는 고정식 장치에 볼트 결합된다. 하우징의 대향 단부(26) 및 중앙 위치(24)는 가요성 전력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은 부싱을 수용하기 위한 입구를 가진다. 리세스와 어뎁터를 지지하는 장비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적 팽창 및 수축을 수용하기 위해 부유 어뎁터 부싱(48, 49)이 하우징과 리세스 사이에 위치된다. 하우징은 진공 인터럽터 또는 다른 적절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하우징이 함께 적층되어 특정 위치에서의 독특한 요구조건에 기초하여 선택된 부품과 케이블의 조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수의 구조로 가요성 케이블을 강성 장치에 결합하기 위한 만능 전력 커넥터{Universal power connector for joining flexible cable to rigid devices in any of many configurations}
전선 커넥터의 예로서, 미국 특허 3,961,127호를 참조한다. 이 유형의 커넥터는 매우 양호하게 기능하지만, 이는 고유한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만능 용도로 사용할 수 없다. 먼저, 모든 접속된 케이블들이 가요성이며, 그래서, 커넥터 조인트가 완전히 지지되지 않는다. 완전한 가요성은 누적 기계적 공차들에 의해 유발되는 파손에 관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공된다. 극단적인 경우에, 광범위한 온도 변화 동안 이들 누적 수축은 커넥터가 소켓 외측으로 플러그를 빼내게 할 수 있다.
두 번째 문제점은 종래 기술의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WYE", TEE" 또는 "H" 조인트라 지칭되는 특정 구조로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특정 구조"를 사용하는 이 요구조건은 본질적으로 선택사항들을 제한하며, 때때로, 어색한 접속부를 형성하는 경향을 갖는다.
완전 가요성 조인트를 사용하는 또 다른 문제점은 특정 유형의 스플라이스를 제조할 필요성이 있으며 및 특정 용도에 대해 보다 편리한 스플라이스(splice) 또는 클램프 대신에 특정 클램핑 장치를 사용하여야한다는 것이다.
종래 기술의 이들 모두 및 유사한 한계는 전기적 파손, 단선 또는 완전한 파괴를 초래할 수 있는 상황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강성적으로 장착된 장치에 가요성 전력 케이블을 결합시킬 수 있는 만능 커넥터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 커넥터는 스위치, 변압기, 퓨즈, 트랜스듀서 등 커넥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거의 모든 적합한 장치를 수용하여야 한다. 이는 서로 다른 구성에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전기 전력 분배 분야의 강성 접속부들에 가요성을 제공하기 위한 커넥터 수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의 다수의 서로 다른 콤포넌트를 사용하여, 소정의 다수의 서로 다른 구조로 이런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한 만능 수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분해도.
도 2는 도 1의 2-2 선을 따라 취한 저면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의 커넥터 중 두 개를 상호연결하기 위한 연계된 부분과, 버스 바아 형태의 만능 커넥터의 사시도.
도 4는 이웃하는 커넥터를 상호연결하기 위한 위치에 버스 바아가 있는 본 발명의 커넥터 중 3개의 사시도.
도 5는 진공 인터럽터와 연계하여 사용되는 하우징을 도시함으로써, 일 용도를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예시적인 일체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두 개의 본 발명의 커넥터가 단-대-단 결합되는 방식을 예시하는 도면.
도 7은 다른 예시적인 일체 구조를 수용하기 위해 두 개의 본 발명의 커넥터가 배면-대-배면 결합되는 방식을 예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강체인 성형된 플라스틱 하우징이 고전압 전류를 전달할 수 있는 중앙 도전체, 장치 등을 둘러싸서 수납한다. 하우징은 전력 케이블을 위한 억세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입구를 가진다. 각 입구는 비도전성 엘라스토머 개스킷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정합 콤포넌트를 가진다. 정합 콤포넌트가 적절한 클램핑력으로 결합될 때, 유해 환경에 대하여 하우징을 밀봉하면서 유전성 내성 기능을 제공하는 엘라스토머 개스킷의 제어된 압축이 형성된다. 특히 유용한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가동성 구동 로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진공 인터럽터를 포함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기의 명세서에 의해 본 발명을 양호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20)의 예시적인 분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커넥터는 빈 하우징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은 외부 본체(22)를 가지며, 이는 에폭시 수지 같은 소정의 적합한 내부식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은 두 개의 챔버들을 가진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기단 단부(21)는 개방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하우징으로의 두 개의 입구(24, 26)를 가지고 있으며, 하우징내의 챔버 각각으로의 입구가 있다. 각 하우징 입구는 두 개의 정합하는 평면형 콤포넌트(28, 30 및 32, 33)를 각각 가지며, 이들은 함께 볼트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은 조립된 이후에 부품의 조합위에 성형되거나, 먼저 성형되고, 그후, 내부에 부품이 삽입될 수 있다.
각 입구에서, 하나 이상의 엘라스토머 개스킷(36, 37, 38)이 평면(28, 30 및 32, 33) 사이에 각각 위치된다. 평면이 함께 볼트결합될 때, 연계된 엘라스토머 개스킷 또는 개스킷들(36-38)은 두 직면하는 면의 경계면에서 제어된 양의 압축을 받으며, 그래서, 입구(24, 26)를 밀봉하고, 습기, 먼지 등 같은 원하지 않은 환경적 물질의 침입을 방지한다. 또한, 개스킷은 접지 전위인 외면과 상승된 전위에 있는 중앙 도전체들(56, 82 등) 사이에 유전성 내성 용량을 제공한다.
본 예에서, 어뎁터 부싱 부재(40, 42)가 잭(44, 46)애로 플러그 결합하도록 설계된 적절한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커넥터(43)에 의해 전기 접속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우징 입구(24, 26)에 제공된다. 이들 커넥터는 엘보우와 케이블의 중앙 아래에 와이어(45)를 지지하는 파워 케이블의 단부상의 엘라스토머 엘보우(47)를 가진다. 엘보우는 어뎁터 부싱(40 또는 42) 위로 미끄러지며, 와이어(45)의 단부상의 플러그(49)는 부싱내의 개구(44 또는 46)내로 미끄러진다.
별개의 다중 접점 브리징 어뎁터(48, 49, 50)는 평면(28, 30 및 32, 33)을 가지는 도전성 금속 부품 및 스페이서(56)내에 51, 52, 53으로 도시된 리세스내로 미끄러져 들어가 끼워진다. 다중 접점 브리징 어뎁터는 온도 변화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팽창 및 수축을 수용하기 위해 리세스내에서 활주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얇은 핀형(finned) 구리 도전체(55)는 리세스(51-53)의 내부벽과 양호한 전기 접촉을 보증하도록 각 활주식 브리징 어뎁터(48-50) 위에 끼워진다. 컵형 스페이서(56)는 만능 커넥터(62)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브리징 어뎁터(48 미 c49) 사이에 개입된다. 나사형 조인트 스터드(54)는 부싱(40)내의 나사형 구멍(54a)내에 끼워지며, 브리징 어뎁터(48)내의 나사 구멍(54b)내로 끼워져서 이들을 단일 유니트로서 함께 유지한다. 스페이서(56)상의 나사형 스템(60)은 다중 접점 브리징 어뎁터(48)상의 나사형 개구(61)내로 끼워진다.
도전성 버스 바아(63)를 포함하는 만능 커넥터(62)를 경유하여 다수의 본 발명의 커넥터를 상호접속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도 3). 또한, 이 만능 커넥터(62)는 선 62-62(도 3)을 따라 취한 단면인 도 1에도 도시되어 있다. 특히, 커넥터(62)는 플라스틱(바람직하게는 에폭시) 커버링(64)내에 수납된 구리 버스 바아이다. 버스 바아의 대향 단부는 본 발명의 커넥터(22)에서 출현하는 전력에 대한 억세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하우징 입구(24)의 표면(28) 및 어뎁터 부싱(40)의 평면(30) 사이에 끼워지는 원형 와셔형 부재(66)내에 형성된다. 구리 와셔(66)는 스페이서 컵(56)상의 나사형 스템(60)을 통과 및 수용하도록 중앙 구멍(68)을 가진다. 양호한 전기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서, 버스 바아의 구리 와셔 형 단부(66)는 스템(60)상에 나사결합되는 다중 접점 브리징 어뎁터(49) 및 컵(56)의 저면부 사이에 포획되어 있다. 엘라스토머 개스킷(36, 37)은 어뎁터 부싱(40), 만능 커넥터(62) 및 하우징 입구(24)를 밀봉한다. 따라서, 예로서, 어뎁터 부싱(40)을경유하여 도입된 전력은 도전성 바아(63)를 경유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22) 중 둘 이상에 분포된다.
요점은 적절한 부품 및 어뎁터들을 선택함으로써 다수의 서로 다른 구조를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커넥터 하우징(20)은 단일 편으로서 성형되거나 단일 방수 하우징을 제공하도록 시멘트 또는 가열 접합에 의해 소정의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된 세 부품(72, 74, 7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내부 부품은 그들이 성형 작업 동안 함께 접합되어 캡슐화되기 이전에 하우징 부품내로 삽입될 수 있다. 입구(26)에서, 단부 금속 접점편(78)은 다중 접점 브리징 어뎁터(50)가 그 내부로 미끄러지는 리세스(53)를 포함한다. 소정의 적절한 장치(금속 접점편 같은)가 접점편이 82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편(78)에 볼트 결합되는 하우징 부품(74)내의 챔버(80)내로 미끄러진다.
하우징의 중앙에는 스프링 품질을 가지는 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부재(84)의 형태의 튤립 잭(tulip jack)이 배치되어 있다. 다수의 세장형 수지부가 실린더(84)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슬릿(86)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6개의 이런 손가락이 존재하는 것이 적합하다. 원형 스프링(88)은 실린더(84)내의 수지부(fingers)를 둘러싼다. 함께, 수지부 및 원형 스프링(88)은 실린더(84)에 의해 형성된 튤립 잭의 중심 내로 미끄러지도록 플러그(미도시)상에 작용하는 양호한 접촉 압력을 보증하는 잭을 형성한다.
구성의 용이성 및 비용에 따라서, 다양한 부품(78-88)이 조립된 이후에, 하우징이 부품 위에 성형되거나, 하우징 부품(72-76)이 함께 접합된다.
또한, 하우징 부품(72)내의 챔버(83)도 본 발명의 커넥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다수의 적절한 장치 중 소정의 것을 수용하도록 적응된다. 특히, 개방 단부(21)를 폐쇄하는 단부판(90)내의 개구(89)는 특정 설치에 적절할 수 있는 무엇인가를 위한 입구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4개의 볼트(92로 도시됨)가 폐쇄판(90)(도2)을 하우징 부품(72)에 부착한다. 이들 볼트는 본 발명의 커넥터가 강체 표면(94)상에 장착될 수 있게 한다. 하우징 부품(72)상에 장착되어 챔버(93)를 폐쇄할 때, 단부 캡(90)의 중심설정 및 밀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원주상 단차부가 하우징 부품(72)의 입구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내측의 공간은 스위치, 변압기, 퓨즈, 트랜스듀서 등 같은 소정의 적절한 장치를 수용할 수 있다. 예로서, 도 5는 진공 인터럽터(95)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도시한다. 진공 인터럽터(95)는 과부하 상태 동안 퓨즈 또는 회로 차단기로서 작용할 수 있는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부품이다.
그 하부 단부에서, 진공 인터럽터는 전기 접점을 형성하기 위해 튤립 잭(84)내로 끼워지는 플러그(97)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챔버(80)내측의 장치는 도전성 금속 부품(8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특정 예에서, 진공 인터럽터(95)는 도전성 부재(78, 53, 50)를 통해 부싱(46)에 연결된 고정 접점(100)을 가진다. 가동 접점(102)은 잭(84) 및 부품(82, 52, 49, 56(도 1) 및 48)을 통해 부싱(40)에 연결된다. 적절한 구동 로드(104)가 개구(89)를 통해 저면판(90)내로 연장한다. 복원 스프링(106)은접점(100, 102)을 개방 또는 폐쇄하여 입구(24, 26) 사이의 회로를 완성 또는 중단시키기 위해 로드(104)가 소정의 적절한 수단(미도시)의 제어하에 원하는 위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예시적인 설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박스(108)는 소정의 적합한 고정 장치를 나타낸다. 이는 변압기일 수 있다. 세 개의 본 발명의 커넥터들(74, 110, 112)이 박스(108)에 부착된다. 가요성 전력 케이블(미도시)이 114에서 어뎁터 부싱(4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소정의 다른 적절한 위치에 전력을 분배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다른 가요성 케이블(미도시)이 다른 위치에 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어뎁터 부싱(40a, 40b)에 연결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만능 커넥터(62)의 버스 바아(63)는 다른 본 발명의 커넥터들(미도시)에 전력을 운반할 수 있다. 버스 바아(63)의 대향 단부는 또 다른 본 발명의 커넥터(미도시) 또는 다른 적절한 장치상의 다른 어뎁터 부싱에 유사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특이한 요구조건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만능 커넥터들이 적층될 수 있다. 예로서, 도 6은 엘라스토머 개스킷이 그들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입구(26a, 26b)에서 함께 볼트결합됨으로써 단-대-단 적층된 두 개의 커넥터(26a, 26b)를 도시한다. 도 7은 엘라스토머 개스킷(37)이 그 사이에 있는 상태로 입구(26c, 26d)에서 함께 볼트결합됨으로써 배면-대-배면 적층된 두 개의 커넥터를 도시한다.
이 원리를 확장함으로써, 다수의 서로 다른 배향으로 다수의 서로 다른 커넥터들을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로서, 세 개의 커넥터가 결합되어 단-대-단 및배면-대-배면 구조 양자 모두를 형성할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은 그 세장형 축이 서로 직각이 되는 상태로 부착될 수 있으며, 그래서, 케이블은 그들이 동서남북 또는 위, 아래 및 양 측면 어느 쪽으로 도입하더라도 결합될 수 있다. 많은 가능성들이 존재한다.
커넥터 하우징을 적층하는 다른 이유는 특정 위치에서 필요한 독특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다 부재 설비를 조합하는 것이다. 예로서, 챔버 또는 공간(80a)(도 6)은 진공 인터럽터를 수납할 수 있다. 챔버 또는 공간(83b)은 과부하상태에서 전력을 차단하는 재폐쇄 또는 열적 스위치를 수납할 수 있다. 재폐쇄 스위치는 스윙잉 쇼트(swinging short)가 존재할 때 회로를 개방하고, 두 개의 전력선이 순간적으로 서로 접촉하게 하며, 그들이 서로 멀어질 때 다시 회로를 닫는다. 챔버(83b)내의 열적 스위치는 모터가 회전을 정지하였을 때 같이 비정상적 열이 존재할 때 회로를 개방시키며, 이 경우에, 커넥터(22b)의 상부면(122)상에 수동 리셋 버튼 또는 다른 제어 장치(120)가 제공될 수 있다.
챔버 또는 공간(80b)은 무엇인가가 고쳐질때까지 전력이 복원되지 않는 것을 보증하는 연소식 퓨즈(burn-out fuse)를 수납할 수 있다. 이 예는 불이 열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경우에 꺼지는 팬일 수 있다. 불이 꺼지고, 열적 스위치가 다시 닫혀지면, 팬은 작동하고, 다시 불을 붙인다. 연소되는 퓨즈는 이런 재시동을 방지한다.
또한, 여분의 장비를 수납하는 커넥터의 가능한 용도는 거의 무한하다. 요점은 소정의 적합한 장비가 선택되고 특정 위치에서의 독특한 요구조건에 기초하여하우징에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전력 분배 기술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주내에서 다양한 변형들을 쉽게 인지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은 모든 등가 구조들을 포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Claims (22)

  1. 가요성 전력 케이블을 고정식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전력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며, 개방 단부와 상기 개방 단부로부터 이격된 하나 이상의 입구 및 절연된 하우징을 고정식 장치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개방 단부와 연계된 수단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입구에 존재하며, 내부에 리세스를 가지는 도전성 부품과,
    상기 도전성 부품과 외부 가요성 케이블 사이에 전기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입구에 부착되도록 적용되는 부싱과,
    상기 가요성 케이블을 상기 도전성 부품에 전기접속하기 위한 브리징 어뎁터와,
    상기 입구에 있는 상기 도전성 부품과 상기 고정식 장치와 연계된 다른 부품 사이에 전기 접속을 완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브리징 어뎁터는 상기 부싱이 상기 입구에 부착되었을 때, 온도 변화에 의해 유발되는 팽창 및 수축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리세스내로 활주 이동하도록 적용되는 전력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으로의 둘 이상의 입구가 존재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각 입구에 도전성 금속 부품과 상기 각 입구에 연결된부싱을 구비하는 전력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전력 커넥터 및 한쌍의 상기 커넥터를 상호접속하는 도전성 버스 바아를 포함하는 수단이 존재하고,
    상기 도전성 버스 바아는 상기 커넥터 쌍의 상기 금속 부품과 상기 부싱 사이에 연결되는 전력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입구와 상기 금속 부품이 존재하고,
    상기 금속 부품은 각 입구에 연계된 하나의 상기 금속 부품을 가지며,
    상기 입구 중 하나는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중앙 입구에 있는 상기 금속 부품은 그에 연결된 튤립 잭을 가지며,
    상기 잭은 상기 하우징내에 수납된 연계된 부품상의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수지부들(fingers)로 이루어진 실린더 형상인 전력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된 부품은 스위치, 변압기, 퓨즈 및 트랜스듀서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전력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핀(fin)을 가지는 얇은 장치가 브리징 접점이 상기 리세스내에서 미끄러질 때 상기 브리징 어뎁터와 상기 리세스 사이의 양호한 전기 접촉을 보증하도록 상기 브리징 어뎁터를 둘러싸는 전력 커넥터.
  7. 복수의 부싱, 다중-챔버, 내부식성 전기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세장형 하우징 및 잭을 포함하고,
    상기 세장형 하우징의 일 단부는 상기 하우징을 고정된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세장형 하우징의 대향 단부 및 중앙부 각각은 상기 부싱 중 연계된 하나와 전기 접속을 이루기 위한 도전성 부품을 수납하는 입구를 가지고,
    상기 도전성 부품 각각은 상기 도전성 부품과 그 연계된 부싱 사이에 전기 접점을 형성하기 위한 브리징 어뎁터를 가지는 리세스를 구비하며,
    상기 브리징 어뎁터는 온도 변화에 의해 유발되는 팽창/수축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상기 부싱이 부착될 때 상기 리세스내에서 미끄러지도록 적용되며,
    상기 잭은 상기 입구 중 하나에서 상기 도전성 부품과 연계하여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내로 삽입된 물체의 플러그를 수용하도록 적용되는 고전압 전력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우징을 버스 바아에 의해 전기적으로 상호접속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각 하우징상의 상기 도전성 부품 중 연계된 하나와 그 연계된 부싱 사이에 연결되는 고전압 전력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스템을 가지는 컵형 스페이스 부재가 상기 버스 바아의 개구를 통해 연장하고,
    상기 브리징 어뎁터 중 하나는 상기 하나의 브리징 어뎁터와 상기 컵형 스페이서 부재 사이에 상기 버스 바아를 포획하도록 상기 스템과 결합되며,
    상기 하나의 브리징 어뎁터는 상기 도전성 부품 중 하나의 리세스내로 미끄러져 들어가고,
    제 2 브리징 어뎁터는 상기 연계된 부싱과 연계되어 상기 컵형 스페이서 부재의 상기 컵내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고전압 전력 커넥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복수의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중 하나상의 입구를 상기 하우징 중 다른 것 상의 입구에 부착함으로써 함께 결합되는 고전압 전력 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하우징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도입되는 와이어를 받아들이기 위해서 서로에 대해 서로 다른 각도로 결합되는 고전압 전력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챔버 중 적어도 일부에 스위치, 변압기, 퓨즈 및 트랜스듀서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장비를 포함하는 고전압 전력 커넥터.
  13. 온도 유발 팽창/수축이 존재하는 경우에 두 장치를 결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결합 스터드가 그에 부착되어 있는 제 1 도전 수단과, 상기 결합 스터드에 부착된 브리징 어뎁터와, 상기 브리징 커넥터가 내부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리세스를 구비하는 제 2 도전 수단과, 상기 리세스의 내벽과 상기 어뎁터 사이에 전기 접점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어뎁터 위에 제거가능하게 끼워지는 얇은 탄성 금속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브리징 어뎁터는 상기 제 1 도전 수단이 상기 제 2 도전 수단에 부착될 때, 팽창/수축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리세스내에서 활주하도록 적용되는 전기 커넥터.
  14. 온도 유발 팽창/수축이 존재하는 경우에 두 장치를 결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결합 스터드가 부착되어 있는 제 1 도전 수단과, 상기 결합 스터드에 부착된 다중 접점 브리징 어뎁터와, 상기 다중 접점 브리징 커넥터가 내부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리세스를 가지는 제 2 도전 수단과, 상기 리세스의 내벽과 상기 어뎁터 사이에 전기 접점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어뎁터 위에 끼워지는 얇은 탄성 금속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 수단은 스템을 가지는 컵형 부재이고,
    상기 리세스는 상기 컵형 부재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컵형 부재의 상기 스템에 제 2 다중 접점 어뎁터가 부착되고,
    상기 제 2 수단은 상기 제 2 다중 접점 어뎁터를 활주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내부에 가지며,
    상기 컵형 부재의 내벽과 상기 제 2 어뎁터 사이에 전기 접점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2 다중 접점 어뎁터 위에 얇은 탄성 금속 부품이 끼워지는 전기 커넥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 수단은 부싱이고, 상기 제 2 도전 부재는 커넥터 하우징으로의 입구에 있는 전기 도전 부품인 전기 커넥터.
  16. 온도 유발 팽창/수축이 존재하는 경우에 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결합 스터드가 부착되어 있는 제 1 도전 수단과, 상기 결합 스터드에 부착된 다중 접점 브리징 어뎁터와, 상기 다중 접점 브리징 커넥터가 내부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리세스를 가지는 제 2 도전 수단과, 상기 리세스의 내벽과 상기 어뎁터 사이에 전기 접점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어뎁터 위에 끼워지는 얇은 탄성 금속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전 수단은 부싱이고, 상기 제 2 도전 수단은 컵형 스페이서 및버스 바아이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부싱으로부터 전력을 취하기 위해 상기 버스 바아를 수용하기 위한 위치를 제공하는 전기 커넥터.
  17. 가요성 전력 케이블을 고정식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전력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고, 개구 단부 및 상기 개구 단부로부터 이격된 하나 이상의 입구 및 상기 절연 하우징을 고정식 장치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개구 단부와 연계된 수단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입구에 위치되어 내부에 리세스를 가지는 도전성 부품과,
    상기 도전성 부품과 가요성 케이블 사이의 전기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입구에 부착되도록 적용되는 부싱과,
    상기 도전성 부품을 상기 부싱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브리징 어뎁터와,
    상기 부싱과 상기 하우징의 입구 사이에 배치된 엘라스토머 개스킷과,
    상기 도전성 부품과 상기 고정식 장치 사이의 전기 접속을 완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브리징 어뎁터는 상기 부싱이 상기 입구에 부착될 때, 온도 변화에 의해 유발되는 팽창 및 수축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리세스내에서 활주이동하도록 적용되는 전력 커넥터.
  18. 가요성 전력 케이블을 고정식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전력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고, 개구 단부 및 상기 개구 단부로부터 이격된 하나 이상의 입구 및 상기 절연 하우징을 고정식 장치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개구 단부와 연계된 수단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입구에 위치되어 내부에 리세스를 가지는 도전성 부품과,
    상기 도전성 부품과 외부 가요성 케이블 사이의 전기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입구에 부착되도록 적용되는 부싱과,
    상기 부싱과 상기 하우징의 입구 사이에 배치된 엘라스토머 개스킷과,
    상기 도전성 부품에 상기 부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브리징 어뎁터와,
    상기 도전성 부품과 상기 고정식 장치 사이의 전기 접속을 완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전력 커넥터.
  19. 가요성 케이블을 고정식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전력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고, 개구 단부 및 상기 개구 단부로부터 이격된 하나 이상의 입구 및 상기 절연 하우징을 고정식 장치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개구 단부와 연계된 수단 및 다른 장치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챔버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입구에 위치되어 내부에 리세스를 가지는 도전성 부품과,
    상기 도전성 부품과 외부 가요성 케이블 사이의 전기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입구에 부착되도록 적용되는 부싱과,
    상기 도전성 부품에 상기 부싱을 전기 접속하기 위한 브리징 어뎁터와,
    상기 도전성 부품과 상기 고정식 장치 사이에 전기 접속을 완성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나 이상의 챔버내에 배치되고, 스위치, 변압기, 퓨즈 및 트랜스듀서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장비를 포함하는 전력 커넥터.
  20. 가요성 케이블을 고정식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전력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고, 개구 단부 및 상기 개구 단부로부터 이격된 하나 이상의 입구 및 상기 절연 하우징을 고정식 장치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개구 단부와 연계된 수단 및 다른 장치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챔버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입구에 위치되어 내부에 리세스를 가지는 도전성 부품과,
    상기 도전성 부품과 외부 가요성 케이블 사이의 전기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입구에 부착되도록 적용되는 부싱과,
    상기 도전성 부품에 상기 부싱을 전기 접속하기 위한 브리징 어뎁터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입구와 상기 부싱 사이에 배치된 엘라스토머 개스킷과,
    상기 도전성 부품과 작동가능하게 연계되며, 상기 하우징내로 삽입된 물품의 플러그를 수용하도록 적용되는 잭을 포함하고,
    상기 브리징 어뎁터는 상기 부싱이 상기 입구에 부착될 때, 온도 변화에 의해 유발되는 팽창 및 수축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리세스내에서 활주 이동하도록 적용되는 전력 커넥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품과 상기 어뎁터 사이에 전기 접점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브리징 어뎁터 위에 제거가능하게 끼워지는 얇은 탄성 금속 부품을 추가로 포함하는 전력 커넥터.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챔버내에 배치되는 장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장비는 스위치, 변압기, 퓨즈 및 트랜스듀서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전력 커넥터.
KR1020037010926A 2001-02-20 2002-01-03 다수의 구조로 가요성 케이블을 강성 장치에 결합하기위한 만능 전력 커넥터 KR100695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788,877 2001-02-20
US09/788,877 US6364216B1 (en) 2001-02-20 2001-02-20 Universal power connector for joining flexible cables to rigid devices in any of many configurations
PCT/US2002/001200 WO2002067385A1 (en) 2001-02-20 2002-01-03 Universal power connector for joining flexible cable to rigid devices in any of many configur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718A true KR20030083718A (ko) 2003-10-30
KR100695663B1 KR100695663B1 (ko) 2007-03-19

Family

ID=2514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0926A KR100695663B1 (ko) 2001-02-20 2002-01-03 다수의 구조로 가요성 케이블을 강성 장치에 결합하기위한 만능 전력 커넥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364216B1 (ko)
EP (1) EP1362392A4 (ko)
JP (1) JP4209683B2 (ko)
KR (1) KR100695663B1 (ko)
CN (1) CN1307751C (ko)
BR (1) BR0207380A (ko)
CA (1) CA2432221C (ko)
MX (1) MXPA03007475A (ko)
WO (1) WO200206738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048B1 (ko) * 2007-01-12 2009-02-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대용량 커넥터
US8462203B2 (en) 2009-12-10 2013-06-11 Emhart Glass S.A.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glass container forming proces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8889B2 (en) * 2002-12-23 2007-10-09 Cooper Technology Company Switchgear using modular push-on deadfront bus bar system
US20050136733A1 (en) * 2003-12-22 2005-06-23 Gorrell Brian E. Remote high voltage splitter block
US20050260886A1 (en) * 2004-05-20 2005-11-24 Leonard Persits Fuse block cover
US7384287B2 (en) * 2005-08-08 2008-06-10 Cooper Technologies Company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deadfront visible loadbreak
US7572133B2 (en) * 2005-11-14 2009-08-11 Cooper Technologies Company Separable loadbreak connector and system
US20080192409A1 (en) * 2007-02-13 2008-08-14 Paul Michael Roscizewski Livebreak fuse removal assembly for deadfront electrical apparatus
US20090100675A1 (en) * 2007-02-20 2009-04-23 Cooper Technologies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a shield housing for a separable connector
US7854620B2 (en) * 2007-02-20 2010-12-21 Cooper Technologies Company Shield housing for a separable connector
US7494355B2 (en) * 2007-02-20 2009-02-24 Cooper Technologies Company Thermoplastic interface and shield assembly for separable insulated connector system
US7950939B2 (en) * 2007-02-22 2011-05-31 Cooper Technologies Company Medium voltage separable insulated energized break connector
US7666012B2 (en) 2007-03-20 2010-02-23 Cooper Technologies Company Separable loadbreak connector for making or breaking an energized connection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US7633741B2 (en) * 2007-04-23 2009-12-15 Cooper Technologies Company Switchgear bus support system and method
US7568927B2 (en) * 2007-04-23 2009-08-04 Cooper Technologies Company Separable insulated connector system
US7661979B2 (en) 2007-06-01 2010-02-16 Cooper Technologies Company Jacket sleeve with grippable tabs for a cable connector
US7695291B2 (en) * 2007-10-31 2010-04-13 Cooper Technologies Company Fully insulated fuse test and ground device
FR2923953B1 (fr) 2007-11-20 2010-02-26 Schneider Electric Ind Sas Barre de connexion a interface plane.
US7950940B2 (en) * 2008-02-25 2011-05-31 Cooper Technologies Company Separable connector with reduced surface contact
US7670162B2 (en) 2008-02-25 2010-03-02 Cooper Technologies Company Separable connector with interface undercut
US8056226B2 (en) 2008-02-25 2011-11-15 Cooper Technologies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a dual interface separable insulated connector with overmolded faraday cage
US7905735B2 (en) * 2008-02-25 2011-03-15 Cooper Technologies Company Push-then-pull operation of a separable connector system
US8109776B2 (en) * 2008-02-27 2012-02-07 Cooper Technologies Company Two-material separable insulated connector
US7811113B2 (en) * 2008-03-12 2010-10-12 Cooper Technologies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with fault closure lockout
US7878849B2 (en) * 2008-04-11 2011-02-01 Cooper Technologies Company Extender for a separable insulated connector
US7958631B2 (en) * 2008-04-11 2011-06-14 Cooper Technologies Company Method of using an extender for a separable insulated connector
KR101017093B1 (ko) * 2009-07-28 2011-02-25 주식회사 평일 엘보접속재 활선 개폐장치
US8282410B2 (en) * 2009-10-20 2012-10-09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Adaptor assembly for electrical connector
US20110151696A1 (en) * 2009-12-17 2011-06-23 Cooper Technologies Company Lockable Cable For Securing Fuse In A Loadbreak Elbow
US8408925B2 (en) * 2010-02-03 2013-04-02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Visible open for switchgear assembly
EP2461338B2 (en) * 2010-12-03 2017-03-01 ABB Schweiz AG Circuit breaker arrangement for medium voltage to high voltage applications
US8449310B2 (en) 2011-02-04 2013-05-28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Triple cam-operated link
US9450291B2 (en) 2011-07-25 2016-09-20 Pulse Finland Oy Multiband slot loop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CN102761007A (zh) * 2012-07-27 2012-10-31 无锡市凯立电器有限公司 固体绝缘柔性双通连接头
US9276355B2 (en) * 2013-06-13 2016-03-01 Michel Pierre LAURENT High voltage plug in and unplugged type gas immersed cable termination with locking system
USD734269S1 (en) 2013-11-21 2015-07-14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Double junction
US9385493B2 (en) * 2014-04-10 2016-07-05 S&C Electric Company Adjustable bus bar for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CA2895724C (en) 2014-06-26 2017-12-12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Elbow with internal assembly system
GB2533168B (en) * 2014-12-12 2017-05-24 Thermo Fisher Scient (Bremen) Gmbh An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US10460886B2 (en) * 2018-01-26 2019-10-29 Robert K. Jones Single phase underground fused tap
US20230209790A1 (en) * 2021-12-28 2023-06-29 Ubicquia, Inc. Multi-chambered shield enclosure for vertically stacked module arrangement and electronic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4386A (en) * 1964-02-10 1969-10-21 Edwin A Link Electrical connector
US3555487A (en) * 1969-04-17 1971-01-12 Norman F Jones High voltage connector
US3768065A (en) * 1971-09-09 1973-10-23 Kearny Nat Inc Electric connector and method of forming a connection
US3876280A (en) * 1973-10-02 1975-04-08 Coatings Inc Electric terminator comprising one-piece bimetallic connector and method for making such connector
US4059326A (en) * 1974-04-08 1977-11-22 General Electric Company Dry-type instrument transformer with potential tap and connector therefor
US4068913A (en) * 1975-09-03 1978-01-17 Amerace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US4203641A (en) * 1978-12-18 1980-05-20 Amerace Corporation Double bushing insert
GB2154382B (en) * 1983-12-14 1988-04-07 Raychem Ltd High voltage connector
US4773872A (en) * 1987-05-11 1988-09-27 Amerace Corporation Static contact member for a high-voltage bushing insert
US4799895A (en) * 1987-06-22 1989-01-24 Amerace Corporation 600-Amp hot stick operable screw-assembled connector system
US4867687A (en) * 1988-06-29 1989-09-19 Houston Industries Incorporated Electrical elbow connection
US4857021A (en) * 1988-10-17 1989-08-15 Cooper Power Systems,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connecting the same
US4955823A (en) * 1989-10-10 1990-09-11 Amerace Corporation 600-Amp hot stick-operable screw and pin-and-socket assembled connector system
JP3156957B2 (ja) * 1995-08-29 2001-04-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5857862A (en) * 1997-03-04 1999-01-12 Cooper Industries, Inc. Loadbreak separable connector
US6004172A (en) * 1998-04-01 1999-12-21 Tri-Star Electronics International, Inc. Two piece pin/socket contac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048B1 (ko) * 2007-01-12 2009-02-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대용량 커넥터
US8462203B2 (en) 2009-12-10 2013-06-11 Emhart Glass S.A.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glass container forming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09683B2 (ja) 2009-01-14
EP1362392A4 (en) 2007-11-14
CN1307751C (zh) 2007-03-28
BR0207380A (pt) 2004-06-15
KR100695663B1 (ko) 2007-03-19
CA2432221C (en) 2008-04-01
US6364216B1 (en) 2002-04-02
CA2432221A1 (en) 2002-08-29
JP2004519979A (ja) 2004-07-02
EP1362392A1 (en) 2003-11-19
CN1493096A (zh) 2004-04-28
MXPA03007475A (es) 2004-10-15
WO2002067385A1 (en) 200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5663B1 (ko) 다수의 구조로 가요성 케이블을 강성 장치에 결합하기위한 만능 전력 커넥터
US6227908B1 (en) Electric connection
JP2539326B2 (ja) 端子ブロック
US3812314A (en) High power electrical bushing having a vacuum switch encapsulated therein
AU691977B2 (en) Cable termination
US3770878A (en) Hermetically sealed electrical terminal
EP1829167A2 (en) Visible power connection
US7972155B1 (en) Hotstick operable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l bushing well
WO1999017412A1 (fr) Appareil de commutation
EP2654133B1 (en) Connection device between high-voltage electrical apparatuses
US4096352A (en) Electrical feedthrough
EP0181955B1 (en) Electric connector
JPH04334911A (ja) モジュール電気機器
EP1887660B1 (en) Seal for electrical connector block
CN111602220B (zh) 电气开关装置
US4764123A (en) Electrical connectors
KR20220154197A (ko)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
AU617325B2 (en) Electrical connector
CN218333651U (zh) 一种断路器
SU1387051A1 (ru) Герметичный ввод
KR20230117051A (ko) 커넥터 어댑터 및 커넥터 어셈블리
US6356460B1 (en) Elevated neutral base for switches
CN111819736A (zh) 用于电导体的电连接的电缆连接器
JPH0759243A (ja) ケーブル分岐接続部
TH50327B (th) ชุดประกอบในการต่อประสานสำหรับเซลล์สวิตช์เกียร์ไฟฟ้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