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1179A - Lhrh 동족체를 함유하는 서방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Lhrh 동족체를 함유하는 서방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1179A
KR20030081179A KR1020030023130A KR20030023130A KR20030081179A KR 20030081179 A KR20030081179 A KR 20030081179A KR 1020030023130 A KR1020030023130 A KR 1020030023130A KR 20030023130 A KR20030023130 A KR 20030023130A KR 20030081179 A KR20030081179 A KR 20030081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hrh
microspheres
tryptorelin
polymer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3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6573B1 (ko
Inventor
이희용
이혜숙
김정수
이지숙
김성규
장승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펩트론
주식회사 대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펩트론, 주식회사 대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펩트론
Publication of KR20030081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5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61K38/09Luteinising hormone-releasing hormone [LHRH], i.e.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Related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0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drug release technique; Application systems commanded by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41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 A61K9/146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with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HRH(luteiniz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동족체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서방성 미립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LHRH 동족체와 생분해성 고분자를 초산, 개미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용해시키는 공정; 이를 60 내지 90℃의 온도 및 300 내지 500 NI/h의 압축 공기량으로 분무 건조시키는 공정; 및 7 내지 10 mTorr의 감압하에 10 내지 12 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공정으로 LHRH 동족체 함유 서방성 미립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LHRH 동족체를 함유하는 서방성 미립구 제조방법에서는 물 및 독성 용매를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서, LHRH 동족체와 생분해성 고분자의 용액을 분무건조시킨 후 감압건조시키는 단순 공정을 통해 미립구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미립구는 종래의 제조 방법에서 나타났던 잔류 독성 용매 문제가 전혀 없으며, 미립구의 크기도 균일하며 주사하기에 용이한 적당한 크기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LHRH 동족체를 함유하는 미립구는 체내에 투여 되었을 때 일정기간 동안 LHRH 동족체를 유효농도로 지속적으로 방출함으로써, 전립선암,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등과 같은 질병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LHRH 동족체를 함유하는 서방성 미립구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sustained release microspheres containing LHRH analogue}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를 담체로 하여 생리 활성 물질인 LHRH 동족체를 봉입시킨 서방성 미립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미립구 제형은 피하또는 근육주사하여 체내에서 LHRH 동족체가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하고 지속적이고 균일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제재화된 서방출성 주사 제형이다.
생리학적으로 혈중 테스토스테론이나 에스트로겐 농도가 낮은 경우 시상하부방출호르몬(hypothalamic releasing hormone)의 반응으로 인해 시상하부(hypothalamus)에서 고나도트로핀 방출호르몬(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GnRH, LHRH)이 유리된다. 이는 시상하부-뇌하수체 문맥시스템 (hypothalamic-pituitary portal system)을 경유하여 뇌하수체(pituitary gland)로 이송되어 황체형성 호르몬(luteinizing hormone: LH)과 여포자극 호르몬(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의 합성 및 분비를 자극함으로써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로겐이 분비되게 한다. LHRH 아고니스트(agonist), LHRH 안타고니스트(antagonist)를 포함하는 LHRH 동족체(analogue)는 뇌하수체(pituitary gland)에 작용하여 LH의 분비를 억제(아고니스트의 경우에는 초기에는 분비를 촉진, 지속적으로 방출될 경우엔 억제)하여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로겐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호르몬 반응성으로 진행되는 전립선암,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등에서 치료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LHRH 동족체는 일반적인 펩타이드 약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위장관내 안정성이 매우 나쁘고 흡수도가 낮아 주사제로만 투여가 가능하며 이 경우도 생체이용률이 매우 낮아서 매일 주사가 필요하다. 또한 치료기간도 매우 길어서 환자의 순응도와 치료효율 및 처치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생분해성 고분자인 PLGA에 봉입하여 체내에 투여되었을 때 LHRH 동족체가 오랜 기간 지속적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미립구 제형으로 개발되어 왔다.
종래의 LHRH 동족체를 함유하는 서방성 미립구의 제조 방법에는 상분리법(phase separation)(USP 4,673,595, EP 52,510), 용융사출(melt extrusion) 후 저온분쇄법 (cryopulverization) (USPs 5,134,122, 5,192,741, 5,225,205, 5,431,348, 5,439,688, 5,445,832, 5,776,885), 이중 유화 증발법 (w/o/w, water/oil/water)(U.S. Patent Nos. 4,652,441, 4,711,782, 4,954,298, 5,061,492, 5,330,767, 5,476,663, 5,480,656, 5,611,971, 5,631,020, 5,631,021), 단일 유화 증발법(o/w, oil/water)(U.S. Patent Nos. 4,389,330, 5,945,126; Shameem M, Lee Hee Yong, DeLuca P.P., AAPS Pharmsci., 1 (3) article 7, 1999; Kostanski J.W., Pharm. Dev. Tech. 5, 585-596, 2000) 등이 알려져 있다.
상분리법에 의한 제조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생분해성 고분자인 PLGA(1g)를 과량(50g)의 메칠렌클로라이드 용매에 용해시키고 소량의 물(0.3 ml)에 용해시킨 LHRH 동족체(30.4 mg)를 교반 하에서 첨가시킨 후 실리콘 오일(30 ml)을 일정속도로 넣어주어 배아 미립구를 만들고 이것을 트리클로로플로로메탄(2 l)과 같은 비용매를 이용하여 고형화시키고 여과한 후 감압 하에서 건조하여 미립구를 얻는 방법이다. 제조 과정에서 나타나듯이 메칠렌클로라이드와 같은 독성 용매가 과량으로 사용됨으로써 감압 건조과정만으로는 이를 완전히 제거될 수 없어 최종 미립구 제형에 상당량이 잔존하게 되어 인체에 투여되었을 때 치명적인 위해를 가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용융사출 후 저온분쇄법은 독성 용매의 사용을 제한할 수가 있다. 이 방법은 PLGA와 LHRH 동족체 (또는 그의 소수성 염)의 혼합물을 고온에서 사출기를 통하여 용융 사출한 후 이를 저온에서 분쇄하여 미립구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PLGA와 LHRH 동족체의 혼합물을 얻기 위해서, 메칠렌클로라이드 용매를 사용하여 교반기로 균일하게 섞은 후 회전 증발기와 진공 건조기로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고, PLGA와 LHRH 동족체 각각의 분말을 낮은 온도에서 제분한 후 체(sieve)에 걸러서 얻은 미세 분말 상태에서 둘을 섞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제조 과정 중에 독성 용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잔류 독성 용매의 문제점은 없게 된다. 하지만, 본 제조 방법에서는 미세입자를 얻기 위하여 분쇄 과정을 거치는데, 비록 저온에서이긴 하지만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LHRH 동족체가 변성될 가능성도 있으며 이렇게 얻어진 미세입자는 주사에 용이한 적당한 크기로 제조하기가 어렵다.
이중 유화 증발법(w/o/w)은 일반적으로 펩타이드나 단백질과 같은 수용성 약물의 봉입에 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써, LHRH 동족체를 용해한 수용액을 PLGA를 함유하는 유기용매에 분산시켜 1차 에멀젼을 형성(water in oil)한 다음, 이를 유화제가 함유된 수상에 분산시키는 방법이다. 또한 단일 유화 증발법(o/w)은 지용성 약물의 봉입에 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써, 적당한 유기 용매의 혼합물(이 경우엔 메탄올과 메칠렌클로라이드)에 LHRH 동족체와 PLGA를 함께 용해시킨 후, 이를 수상에 분산시키는 방법이다. 두 방법 모두 유기용매상의 고분자가 수상에 분산되는 과정에서 유기용매가 추출 또는 증발 등의 과정으로 제거됨으로써 고분자의 용해도가 감소함으로 인하여 고형화가 되고 결과적으로 미립구를 형성하게 된다. 이 두 방법에서 기술적으로 중요한 부분은 주로 펩타이드 약물의 봉입율이라 할 수 있다.
LHRH 동족체는 수용성 약물이기 때문에 수상에 분산시키는 과정에서 약물이 상당량 빠져 나가게 되어 봉입율이 낮아질 수 밖에 없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카다(Okada) 등은 이중 유화 증발법에 의한 미립구 제조 과정 중에 젤라틴과 같은 물질을 사용하여 1차 에멀젼의 점성을 증가시켜 2차 에멀젼에서의 LHRH 동족체의 확산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약물의 봉입율을 높인 바 있다 (Okada, H. and Toguchi, H., Crit. Rev. Ther. Drug Carrier Syst., 12, 1-99, 1995). 이와 비슷하게 단일 유화 증발법에서도 유기 용매 상에 용해된 PLGA의 농도를 적당히 증가시킴으로써 LHRH 동족체의 봉입율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중 유화 증발법에 의해 제조된 미립구는 단일 유화 증발법에 의해 제조된 미립구에 비해 다공성이 증가하여 표면적이 커지게 되며 약물의 초기방출 속도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LHRH 동족체 함유 PLGA 미립구의 제조 과정에서는 모두 독성 용매를 사용하며 미립구의 크기도 방법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주사에 용이한 적당히 작은 크기로 제조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며 공정도 아주 간단한 LHRH 동족체를 함유하는 PLGA 미립구의 제조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단순한 공정을 통해, 종래의 LHRH (luteiniz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동족체 함유 미립구 제형에서 나타나던 잔류 독성 용매 문제를 해결하고, 주사에 적당한 균일한 크기의 미립구를 제공하며, LHRH 동족체를 유효농도로 장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LHRH 동족체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서방성 미립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LHRH 동족체와 생분해성 고분자를 초산, 개미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용해시켜 60℃ 이상의 온도 및 300 내지 500 NI/h의 압축 공기량으로 분무 건조시킨 후 감압 건조시키는 단순 공정을 통해 상기한 바와 같은 LHRH 동족체 함유 미립구가 제조된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건으로 제조된 트립토렐린 함유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 (PLGA, RG503H) 미립구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1b는 제조비교실시예 5의 조건으로 제조된 트립토렐린 함유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 (PLGA, RG503H) 미립구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1c는 제조비교실시예 9의 조건으로 제조된 트립토렐린 함유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 (PLGA, RG503H) 미립구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실시예 1의 조건으로 제조된 트립토렐린 함유 PLGA 미립구를 시험실시예 3과 같이 수컷 S.D. 랫드(n=5)에 1회 피하주사한 후 혈청 중의 테스토스테론 농도를 나타낸 그림이다.
본 발명은 LHRH 동족체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서방성 미립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LHRH 동족체와 생분해성 고분자를 초산, 개미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용해시키는 공정; 이를 60 내지 90℃의 온도 및 300 내지 500 NI/h의 압축 공기량으로 분무 건조시키는 공정; 및 7 내지 10 mTorr의 감압하에 10 내지 12 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공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LHRH 동족체 함유 서방성 미립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락타이드(Polylactide, PLA), 폴리글라이콜라이드(Polyglycolide, PGA)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인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Polylactide-co-glycolide, PLGA) 등의폴리에스테르(Polyester) 뿐만 아니라 폴리오르토에스테르(Polyorthoester), 폴리안하이드라이드 (Polyanhydride), 폴리아미노산(Polyaminoacid), 폴리하이드록시부티르산 (Polyhydroxybutyr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알킬카보네이트(Polyalkylcarbonate) 등을 포함한다. 특히, PLA, PGA, PLGA 등의 폴리에스테르 계열은 체내에서 가수분해되어 인체에 무해한 젖산과 글리콜산으로 대사되어 생체 적합성과 안정성이 인정된 물질이고, 생체 분해 속도도 고분자의 분자량, 두 단량체의 비율, 수친화성 등에 따라 짧게는 1-2주에서 길게는 1-2년까지 다양하게 조절할 수도 있으며 이미 미국 FDA 등에서 허가되어 상용화되고 있는 고분자 물질로서,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LHRH 동족체(analogue)"는, 체내에 투여되었을 때 뇌하수체(pituitary gland)에 작용하여 LH의 분비를 억제(아고니스트의 경우에는 초기에는 분비를 촉진, 지속적으로 방출될 경우엔 억제)하여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로겐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호르몬 반응성으로 진행되는 전립선암,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등에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펩타이드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트립토렐린(triptorelin), 류프롤라이드(leuprolide), 고세렐린(goserelin), 나파렐린(nafarelin), 부세렐린(buserelin), 이들의 염 등을 포함한 LHRH 아고니스트 및 안타이드(antide), 알지타이드(argtide), 오른타이드(orntide), 세트로렐릭스(cetrorelix), 이들의 염 등을 포함한 LHRH 안타고니스트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한 LHRH 아고니스트 또는 LHRH 안타고니스트의 초산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LHRH 동족체 함유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 과정의 첫번째 단계는, LHRH 동족체와 생분해성 고분자를 1종 이상의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분무건조하기에 용이하도록 균일하게 용해시키는 단계이다. 생분해성 고분자인 PLGA 등은 메칠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에칠 아세테이트, 에칠 포메이트, 아세토나이트릴, 아세톤,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등과 같이 비교적 비극성인 용매에 잘 용해되며,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콜과 같은 극성 용매에는 전혀 용해되지 않는다. 이에 반하여 LHRH 동족체는 물, 메탄올과 같은 극성 용매에 잘 용해되는 수용성 펩타이드이다. 펩타이드를 용해시키기 위해 물을 사용하는 경우, 펩타이드 함량이 높아질수록 초기 방출량이 상당히 증가하며 이는 미립구 제조시에 펩타이드를 물에 녹여 혼합함으로써 건조시에 이에 의한 다공성 증가에 기인한 것이다(제조비교실시예 6 및 7). 펩타이드 함량이 낮은 경우에는, 초기 방출량은 크지 않았으나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와 같은 고분자는 생체내에서 분해되면서 락틱산과 글리콜산을 형성하므로 많은 양을 주사하게 되면 통증을 유발한다(제조비교실시예 5). 이에 생분해성 고분자 내에 많은 양의 펩타이드를 봉입시킴으로서 적은 양의 고분자를 주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은 널리 주지되어 있다.
미립구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생분해성 고분자와 LHRH 동족체에 대한 용매를 잘 선별하는 것이 최종 미립구 제형의 특성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이중 유화 증발법 또는 단일 유화 증발법과 같은 수중 용매 증발법의 경우 생분해성 고분자가 용해된 용액이 수상 중에서 에멀젼을 잘 형성하여야하므로 이러한 성질을 갖는 유기 용매, 즉, 메칠렌클로라이드, 에칠 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용매가 자주 사용된다. 또한 수상 중 용매 증발법에서는 펩타이드 약물의 봉입율을 높이기 위해서 생분해성 고분자 용액이 어느 정도의 점성을 갖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에 고분자 용액을 일정 농도 이상(예를 들어서 20 %(w/w) 이상)으로 하기 위해 보조 용매를 이용하며 LHRH 동족체를 생분해성 고분자 용액과 함께 용해시키기도 어렵고 최종 미립구의 크기를 조절하는 데에도 상당한 문제점을 갖게 된다. 한편, 분무건조법에 의하여 미립구를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 LHRH 동족체가 생분해성 고분자가 용해된 용액에 용해되지 않은 상태의 분말 상태로 분산되어 있을 경우엔 최종 미립구 제형으로부터 초기 방출량이 너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분무건조에 의한 미립구 제조 과정에서 가장 먼저 선결되어야 할 부분은 적당한 용매 또는 보조 용매를 사용하여 LHRH 동족체와 생분해성 고분자를 균일하게 단일상으로 용해 시키는 과정이다.
본 발명자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용해시키기 위하여 메칠렌클로라이드, 아세토나이트릴, 에칠 아세테이트, 에칠 포메이트, 초산, 개미산 등을 사용하고 보조 용매로는 상기의 용매와 잘 섞이면서도 LHRH 동족체를 용해 시킬 수 있는 메탄올을 사용하면서, LHRH 동족체와 생분해성 고분자를 단일상으로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 및 혼합 용매의 최적 조성 비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표 1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초산 또는 개미산의 경우 단일 용매로도 LHRH 동족체와 생분해성 고분자를 단일상으로 균일하게 용해시킬 수 있었으며 보조용매인 메탄올의 비율이 30 %(w/w)를 초과하면 생분해성 고분자가 석출됨을 확인하였다. 메칠렌클로라이드의 경우에는 보조용매인 메탄올의 비율이 적절하여야만 LHRH 동족체와 생분해성 고분자를 단일상으로 용해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메탄올의 비율이 10 %(w/w) 미만인 경우 LHRH 동족체가 용해되지 않고, 메탄올의 비율이 30 %(w/w)를 초과하면 생분해성 고분자가 석출됨을 확인하였다(시험실시예 2).
따라서, 본 발명의 LHRH 동족체 함유 서방성 미립자의 제조시에 LHRH 동족체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용해시키기 위해 초산, 개미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서 사용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서방성 미립자 제조에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LHRH 동족체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용해시키는데 사용되는 초산은 빙초산을 의미한다. 상기 초산, 개미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용매는 30 %(w/w) 이하의 메탄올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0 %(w/w) 이하의 메탄올을 추가로 포함하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는 LHRH 동족체와 생분해성 고분자의 혼합액의 분무건조시 고분자의 농도 및 LHRH 동족체와 생분해성 고분자를 용해하기 위해 사용되는 혼합용매의 조성과 비율이 분무건조시 미립자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분자의 농도가 20 %(w/w) 이상으로 너무 진한 경우에는 혼합액의 유속, 공기의 양과 온도의 조절만으로는 구형의 미립자 제형이 잘 형성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메칠렌클로라이드와 메탄올의 비율이 적절할 경우에는 LHRH 동족체와 생분해성 고분자가 단일상으로 균질하게 용해되기는 하지만 이 혼합액을 분무 건조할 경우 미립자가 잘 형성되지 않고 실 모양의 형태가 되었는데 이는 분무건조시에 메칠렌클로라이드가 먼저 증발된 상태에서 일시적인 순간 고분자에 대한 비용매인 메탄올의 비율이 증가하게 되어 고분자의 용해도가 감소된 상태로 계속 분무됨으로 인하여 구형의 미립자 모양을 형성하지 못한 채로 실 모양의 형태로 건조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와는 달리 초산 또는 개미산에 메탄올이 혼합된 경우에는 분무 건조에 의해 미립구가 잘 형성되었으며, LHRH 동족체의 함량이 25 %(w/w) 까지 높은 경우에도 PLGA 미립구가 잘 형성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단, LHRH 동족체의 함량이 25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초기 방출량이 지나치게 증가되었다(시험실시예 1).
따라서, 본 발명의 LHRH 동족체 함유 서방성 미립자의 제조시에 생분해성 고분자에 대해 LHRH 동족체를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 %(w/w)의 양으로 함유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LHRH 동족체를 2 내지 15 %(w/w)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LHRH 동족체 함유 서방성 미립자의 제조시 용해 공정 중의 용매에 대해 생분해성 고분자를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w/w)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3.5 내지 15 %(w/w)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LHRH 동족체 함유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 과정의 두번째 단계는, LHRH 동족체와 생분해성 고분자의 균질 용액을 60 내지 90℃의 온도 및 300 내지 500 NI/h의 압축 공기량으로 분무 건조시킨 후 감압하에서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특히, 분무 건조 온도는 60 내지 85℃가 바람직하다.
낮은 분무 온도, 예를 들어 50 ℃ 이하 및 높은 압축 공기량, 예를 들어 800NI/h 이상에서는 너무 작은 미립구가 형성됨으로써 제형 자체의 표면적이 증가하여 초기 방출양이 많으며 입자 크기로 인하여 생체 내에서 원하는 기간 보다 짧은 기간 내에 약물이 방출된다 (비교제조실시예 8). 또한, 통상의 압축 공기량, 예를 들어 450NI/h을 적용시키면서 낮은 분무 온도에서, 예를 들어 50 ℃에 분무건조시키는 경우에는, 분무건조시 낮은 건조 온도로 인하여 용매, 예를 들어 초산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음으로써 미립구의 엉김 현상이 일어나고 주사시 통증을 유발시킬 수 있는 낮은 pH를 나타내므로 장시간 동안 건조시켜야 하며 건조 시간을 짧게하기 위해 증류수로 세척하고 동결건조시켜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나(예: 24시간) 약물 봉입률이 65% 정도로 낮아진다.
이상, 본 발명의 LHRH 동족체 함유 서방성 미립자 제조방법은 단지 LHRH 동족체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용해시키고 분무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순 공정으로써, 이로부터 제조된 제형은 도 1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균일한 크기 분포를 보였으며, 독성 잔여 용매가 잔류하지 않고 적정 주사 pH를 나타내었고, 초기 방출량이 적어 장기간 동안, 예를 들어 49일 이상, 유효 적정 농도를 유지하는 뛰어난 서방성 제제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구성과 효과를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시험실시예 1> 생분해성 고분자의 각 용매에 대한 용해도 실험 및 분무건조시험
생분해성 고분자로 락타이드와 글라이콜라이드의 조성비가 50:50인 분자량 33,000의 PLGA(RG503H, Boehringer Ingelheim)를 이용하여 분무건조법을 이용하여 미립구를 제조하기 위하여 메칠렌클로라이드, 아세토나이트릴, 에칠 아세테이트, 에칠 포메이트, 초산, 개미산 등에 대한 용해도를 조사하였다.
모든 용매에서 생분해성 고분자는 20 %(w/w) 이상의 농도에서도 녹았으나, 20 %(w/w) 이상에서는 분무건조시 실 모양의 형태가 되어 미립구가 잘 형성되지 않았다.
<시험실시예 2> LHRH 동족체와 생분해성 고분자의 용해도 실험
분무건조시 미립구가 용이하게 생성되는 고분자 농도 20 %(w/w) 미만의 농도에서 LHRH 동족체인 트립토렐린의 용해도를 시험하였다. 이때 고분자의 농도는 15 %(w/w)와 5 %(w/w)로 고정하고 트립토렐린의 함량을 15 %(w/w)로 고정하여 시험하였으며, 보조용매로는 메탄올을 사용하였다. 고분자의 농도가 15 %(w/w)와 5 %(w/w)일 때 보조용매의 비율에 따른 트립토렐린과 고분자의 용해도를 표 1과 표 2에 정리하였다.
상기 표에서 보여지듯이, 초산 및 개미산의 경우에는 보조 용매인 메탄올이 없을 경우에도 트립토렐린과 5 % 또는 15 % 고분자가 모두 잘 용해되었으며, 메탄올의 농도가 30 % 이하일 때 트립토렐린과 5 % 또는 15 % 고분자 모두 잘 용해되었다.
<제조실시예 1> 트립토렐린 함유 RG503H 미립구
고분자 RG503H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2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초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이 용액을 2.5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0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65℃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2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초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2> 트립토렐린 함유 RG503H 미립구
고분자 RG503H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2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메탄올이 20 %(w/w) 함유된 초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2.5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5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65℃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4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초산 및 메탄올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3> 트립토렐린 함유 RG503 미립구
고분자 RG503 (50:50, 분자량 38,000)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2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초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3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8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65℃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7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초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4> 트립토렐린 함유 RG503H 미립구
고분자 RG503H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3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초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3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0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80℃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4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초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5> 트립토렐린 함유 RG502 미립구
고분자 RG502 (50:50, 분자량 14,500)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3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초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3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35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80℃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6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초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6> 트립토렐린 함유 RG504 미립구
고분자 RG504 (50:50, 분자량 55,000)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3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초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3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8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80℃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5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초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7> 트립토렐린 함유 R202H 미립구
고분자 R202H (PLA, 분자량 17,500)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3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초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3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5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80℃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3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초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8> 트립토렐린 함유 RG755 미립구
고분자 RG755 (75:25, 분자량 63,000)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3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초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3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5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80℃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7.0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초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9> 트립토렐린 함유 RG756 미립구
고분자 RG756 (75:25, 분자량 90,000)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3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초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3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50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80℃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7.2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초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10> 트립토렐린 함유 RG503H 미립구
고분자 RG503H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12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초산을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2.5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5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65℃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7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초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11> 트립토렐린 함유 RG503H 미립구
고분자 RG503H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1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초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3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0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60℃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6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초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12> 트립토렐린 함유 RG503H 미립구
고분자 RG503H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25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초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3.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3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8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60℃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3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초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13> 트립토렐린 함유 RG502H 미립구
고분자 RG502H (50:50, 분자량 8,000)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1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초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10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2.5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2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60℃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6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초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14> 트립토렐린 함유 RG502H 미립구
고분자 RG502H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1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초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1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2.5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0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60℃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7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초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15> 트립토렐린 함유 RG752 미립구
고분자 RG752 (75:25, 분자량 20,000)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1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초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2.5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0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60℃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1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초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16> 트립토렐린 함유 RG503H 미립구
고분자 RG503H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2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개미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2.5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35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70℃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5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개미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17> 트립토렐린 함유 RG503H 미립구
고분자 RG503H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2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메탄올이 20 %(w/w) 함유된 개미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2.5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0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70℃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5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개미산 및 메탄올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18> 트립토렐린 함유 RG503H 미립구
고분자 RG503H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10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개미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3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5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75℃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7.2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개미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19> 트립토렐린 함유 RG503H 미립구
고분자 RG503H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1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개미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2.5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8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70℃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8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개미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20> 트립토렐린 함유 RG502H 미립구
고분자 RG502H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2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개미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3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5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70℃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6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개미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21> 트립토렐린 함유 RG503 미립구
고분자 RG503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2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개미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이 용액을 2.5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35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75℃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5.9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개미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22> 트립토렐린 함유 RG504 미립구
고분자 RG504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10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개미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2.5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0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75℃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0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개미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23> 트립토렐린 함유 RG752 미립구
고분자 RG752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2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개미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2.5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5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70℃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3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개미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비교실시예 1> 트립토렐린 함유 RG503H 미립구
고분자 RG503H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12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초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20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2.5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0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65℃이었다.
실시예 10과는 달리 고분자 농도가 너무 진하여 미립구가 잘 형성되지 않았다.
<제조비교실시예 2> 트립토렐린 함유 RG503H 미립구
고분자 RG503H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1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메칠렌클로라이드를 가하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하고 메탄올을 메칠렌클로라이드의 10 %(w/w)가 되도록 가하여 고분자와 트립토렐린을 모두 녹인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2.5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5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70℃이었다.
그러나 분무건조시 미립구가 잘 형성되지 않으며 실 모양이 되었다. 이는 메칠렌클로라이드와 메탄올의 휘발 속도차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제조비교실시예 3> 트립토렐린 함유 RG503H 미립구
고분자 RG503H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1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아세토나이트릴을 가하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하고 메탄올을 아세토나이트릴의 60 %(w/w)가 되도록 가하여 고분자와 트립토렐린을 모두 녹인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2.5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0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70℃이었다.
그러나 분무건조시 미립구가 잘 형성되지 않았으며 실 모양이 되었다.
<제조비교실시예 4> 트립토렐린 함유 RG502H 미립구
고분자 RG502H에 트립토렐린의 함량이 1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메칠렌클로라이드를 가하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하고 메탄올을 메칠렌클로라이드의 10 %(w/w)가 되도록 가하여 고분자와 트립토렐린을 모두 녹인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2.5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50 NI/h으로 하여 트립토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60℃이었다.
그러나 분무건조시 미립구가 잘 형성되지 않았으며 실 모양이 되었다.
<제조비교실시예 5> 트립토렐린 함유 RG503H 미립구
0.06 g의 트립토렐린을 증류수 2.0 g에 녹인 후, 이 용액을 고분자 RG503H(IV=0.4dl/g) 1.94 g을 초산 40 g에 녹인 용액과 혼합한 다음, 분무건조기에 공급하여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때 건조 온도는 50℃ 이었고, 분무 공기양은 800 NI/h 이었다.
<제조비교실시예 6> 트립토렐린 함유 RG503H 미립구
제조비교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0.24 g의 트립토렐린과 1.76 g의 RG503H를 사용하여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제조비교실시예 7> 트립토렐린 함유 RG503H 미립구
제조비교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0.3 g의 트립토렐린과 1.7 g의 RG503H를 사용하여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제조비교실시예 8> 트립토렐린 함유 RG503H 미립구
0.3 g의 트립토렐린과 1.7 g의 RG 503H를 초산 40g에 녹인 후 분무건조기에 공급하여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때 건조 온도는 50℃ 이었고, 분무공기양은 800 NI/h 이었다.
<제조비교실시예 9> 트립토렐린 함유 RG503H 미립구
0.24 g의 트립토렐린과 1.76 g의 RG503H를 초산 40g에 녹인 후 분무건조기에 공급하여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때 건조 온도는 50℃ 이었고, 분무공기양은 450 NI/h 이었다.
<시험실시예 3> 트립토렐린 함유 제형의 전자현미경 관찰
제조실시예 1, 제조비교실시예 5 및 제조비교실시예 9에 따라 제조된 미립구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도 1a, 도 1b 및 도 1c에 각각 나타내었다.
제조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제형은 균일한 크기 분포를 보였으나 제조비교실시예 5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제형은 입자의 크기가 다양하였으며, 분무시 너무 많은 압축 공기의 양으로 인하여 작은 미립구가 많이 형성되었다. 비교예 9의 제형은 입자가 충분히 건조되지 못하여 서로 엉기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시험실시예 4> 트립토렐린 함유 제형의 잔여 초산의 양과 약물 봉입률
제조실시예 4, 10 및 11, 및 제조비교실시예 5 내지 9에 따라 제조된 미립구의 분무 건조후 잔여 초산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 이차 건조(동일 시간 감압 건조시)를 실시 한 후 제형의 1% 수성액 현탁액을 만들어 용액의 pH를 측정하였다. 또한, 제형 중 약물의 함량을 측정하여 그 봉입률을 표 3에 나타내었다.
약물의 봉입률은 제형 일정량을 디메칠설폭시드(DMSO)에 녹여 이동상으로 희석한 후 그 중 약물을 정량하여 구하였다. 정량 조건은 C18(100mm x mm i.d., 3㎛)컬럼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26% 아세토니트릴(ACN), 0.1%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TFA) 수용액이며, UV 220nm에서 검출하였다.
제형 감압건조시간(h) 1% 수성현탁액의 pH 이론적 펩타이드 함량(%) 실제 펩타이드 함량(%) 봉입률(%)
실시예 4 12 6.9 3 2.94 98
실시예 10 12 6.7 12 11.89 99.1
실시예 11 12 6.8 15 14.54 96.9
비교예 5 12 6.3 3 2.79 93
비교예 6 12 5.8 12 11.52 96
비교예 7 12 6.3 15 14.7 98
비교예 8 12 6.1 15 13.95 93
비교예 9 12 4.5 12 11.16 93
상기한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비교예 9의 경우 주사시 통증을 유발시킬 수 있는 낮은 pH를 나타내었다. 적정 주사 pH인 6.0 내지 7.5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서는 48시간 이상의 건조시간이 필요하였다. 건조 시간을 짧게 하기 위하여 증류수로 세척 후 동결건조하여 건조시간을 24시간으로 줄일 수 있었으나 약물 봉입률이 65 %로 낮아졌다.
<시험실시예 5> 트립토렐린 함유 제형의 초기 방출량 정량
제조실시예 4, 10 및 11, 및 제조비교실시예 5 내지 9에 따라 제조된 미립구를 pH 7.4의 인산염 완충액에 각각 10 mg/ml의 농도로 현탁하여 37℃를 유지하면서 24시간 동안 완충액으로 방출되는 트립토렐린의 양을 정량하였다. 각 제형의 특성과 펩타이드 함량, 24시간 동안 방출량을 표 4에 정리하였다.
정량 조건은 C18(100mm xmm i.d., 3㎛) 컬럼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26% 아세토니트릴(ACN), 0.1%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TFA) 수용액이며, UV 220nm에서 검출하였다.
제형 고분자 펩타이드함량(%) 물/초산(%) 분무건조온도(℃) 분무공기유량(NI/h) 방출량(24h,%)
실시예 4 503H 3 0 80 400 0.62
실시예 10 503H 12 0 65 450 10
실시예 11 503H 15 0 60 400 9.98
비교예 5 503H 3 4.8 50 800 1.53
비교예 6 503H 12 4.8 50 800 32
비교예 7 503H 15 4.8 50 800 40
비교예 8 503H 15 0 50 800 35
비교예 9 503H 12 0 50 450 42
상기한 표로부터 알 수 있듯이, 펩타이드를 용해시키기 위해 물을 사용한 제조비교실시예 5 내지 7의 경우, 펩타이드 함량이 높아질수록 초기 방출량이 상당히 증가하였다. 펩타이드를 용해시키기 위해 물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제조실시예 8의 경우, 낮은 분무 온도(50℃) 및 높은 분무 유량(800NI/h) 하에서 너무 작은 미립구가 형성됨으로써 제형 자체의 표면적이 증가하여 역시 초기 방출량이 많았다. 또한, 펩타이드를 용해시키기 위해 물을 사용하지 않았으나 낮은 분무 온도(50℃) 및 유량(450NI/h) 하에서 미립구를 제조하는 제조비교실시예 9의 경우에도 초기 방출량이 많았다.
<제조실시예 24> 류프롤라이드 함유 RG503H 미립구
고분자 RG503H에 류프롤라이드의 함량이 1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초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2.5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80 NI/h으로 하여 류프롤라이드를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60℃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5.8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초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25> 류프롤라이드 함유 RG503 미립구
고분자 RG503에 류프롤라이드의 함량이 1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초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2.5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350 NI/h으로 하여 류프롤라이드를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80℃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3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초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26> 류프롤라이드 함유 RG502H 미립구
고분자 RG502H에 류프롤라이드의 함량이 1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초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2.5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50 NI/h으로 하여 류프롤라이드를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65℃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5.9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초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27> 류프롤라이드 함유 RG752 미립구
고분자 RG752에 류프롤라이드의 함량이 1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초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2.5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00 NI/h으로 하여 류프롤라이드를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70℃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2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초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28> 류프롤라이드 함유 RG503H 미립구
고분자 RG503H에 류프롤라이드의 함량이 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개미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3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50 NI/h으로 하여 류프롤라이드를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70℃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7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개미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29> 고세렐린 함유 RG503H 미립구
고분자 RG503H에 고세렐린의 함량이 1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초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2.5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80 NI/h으로 하여 고세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60℃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7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초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30> 고세렐린 함유 RG503H 미립구
고분자 RG503H에 고세렐린의 함량이 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초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2.5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50 NI/h으로 하여 고세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60℃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2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초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31> 고세렐린 함유 RG502H 미립구
고분자 RG502H에 고세렐린의 함량이 1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초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10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2.5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00 NI/h으로 하여 고세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85℃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3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초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32> 고세렐린 함유 RG752 미립구
고분자 RG752에 고세렐린의 함량이 10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초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2.5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50 NI/h으로 하여 고세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70℃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8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초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제조실시예 33> 고세렐린 함유 RG503H 미립구
고분자 RG503H에 고세렐린의 함량이 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개미산을 가하여 균질하게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5 %(w/w)가 되도록 최종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2.5 ml/분의 유량으로 분무건조기 (Buchi-191)에 공급하고 분무 공기량을 400 NI/h으로 하여 고세렐린을 함유하는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는 70℃이고 얻어진 미립구의 평균 직경은 6.2 ㎛이었다. 얻어진 미립구에 잔류하는 개미산은 7 내지 10 mTorr의 압력하에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시험실시예 6>
실시예 1의 조건으로 제조된 트립토렐린 함유 PLGA 미립구를 현탁액(0.5 % CMC, 0.1 % Tween20, 0.9 % NaCl)에 현탁시킨 후, 수컷 S.D. 랫드 (n=5, 250±20 g)에 에테르 마취하에 3 mg/kg(트립토렐린 아세테이트)의 용량으로 1회 피하주사하였다. 혈액을 미정맥에서 약물 투여전, 투여후 6시간, 1일, 4일, 그 후로는 3-4일 간격으로 하여 48일까지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을 혈청 분리관에 담아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다음 4℃, 3,6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혈청을 취하여 -70℃에 보관하였다. 혈청 중 테스토스테론 농도를 효소-면역검정 킷트(Enzyme Immunoassay Kit: EIA Kit, DSL-10-4000, Diagnostic Systems Laboratories, Inc., Webster, Texas, USA)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가 도 2에 나타나 있다. 트립토렐린 약물이 48일 후에도 지속적으로방출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LHRH 동족체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는 종래의 제조 방법에서 나타나던 잔류 독성 용매 문제가 전혀 없으며, 미립구의 크기도 균일하며 주사하기에 용이한 적당한 크기로 제조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미립구는 체내에 투여되었을 때 일정기간 동안 LHRH 동족체를 유효농도로 지속적으로 방출함으로써, 전립선암,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등과 같은 질병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9)

  1. LHRH 동족체와 생분해성 고분자를 초산, 개미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용해시키는 공정;
    이를 60 내지 90℃의 온도 및 300 내지 500 NI/h의 압축 공기량으로 분무 건조시키는 공정;
    및 7 내지 10 mTorr의 감압하에 10 내지 12 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공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LHRH 동족체 함유 서방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고분자가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라이콜라이드,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 폴리오르토에스테르,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아미노산, 폴리하이드록시부티르산, 폴리카프로락톤 및 폴리알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HRH 동족체 함유 서방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초산, 개미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30 %(w/w) 이하의 메탄올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HRH 동족체 함유 서방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고분자에 대한 LHRH 동족체의 함량이 0.1 내지 25% (w/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HRH 동족체 함유 서방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용해 공정 중 용매에 생분해성 고분자를 0.5 내지 20 %(w/w)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HRH 동족체 함유 서방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LHRH 동족체가 LHRH 아고니스트 및 LHRH 안타고니스트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LHRH 동족체 함유 서방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LHRH 아고니스트가 트립토렐린, 류프롤라이드, 고세렐린, 나파렐린, 부세렐린 및 그들의 염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LHRH 동족체 함유 서방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LHRH 안타고니스트가 안타이드, 알지타이드, 오른타이드, 세트로렐릭스 및 그들의 염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LHRH 동족체 함유 서방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LHRH 아고니스트 또는 LHRH 안타고니스트가 초산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HRH 동족체 함유 서방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KR1020030023130A 2002-04-13 2003-04-11 Lhrh 동족체를 함유하는 서방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KR1005665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20224 2002-04-13
KR1020020020224 2002-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179A true KR20030081179A (ko) 2003-10-17
KR100566573B1 KR100566573B1 (ko) 2006-03-31

Family

ID=32378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3130A KR100566573B1 (ko) 2002-04-13 2003-04-11 Lhrh 동족체를 함유하는 서방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5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3020A1 (en) * 2006-05-11 2007-11-22 Peptron Co., Ltd. A process of preparing microspheres for sustained release having improved dispersibility and syringeability
WO2008130158A1 (en) * 2007-04-19 2008-10-30 Dong-A Pharmaceutical. Co., Ltd A biodegradable microsphere composition suitable for the controlled release of glucose controlling peptide and formulation thereof
US9155702B2 (en) 2007-03-27 2015-10-13 Peptron Co., Ltd Composition and microsphere for controlled-release of exendin, and method prepa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6001607A (es) 2013-08-06 2016-06-06 Dong Kook Pharm Co Ltd Microesferas de entecavir y composicion farmaceutica para administracion parenteral que contiene las mismas.
KR102223812B1 (ko) 2018-10-29 2021-03-05 주식회사 넥스트바이오메디컬 난용성 약물 서방출용 미립구의 제조방법
KR20200127964A (ko) 2020-11-05 2020-11-11 재단법인 유타 인하 디디에스 및 신의료기술개발 공동연구소 난용성 약물 서방출용 미립구의 제조방법
KR102377283B1 (ko) 2021-08-26 2022-03-22 정민욱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를 위한 병렬식 막유화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사제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3020A1 (en) * 2006-05-11 2007-11-22 Peptron Co., Ltd. A process of preparing microspheres for sustained release having improved dispersibility and syringeability
CN101528206B (zh) * 2006-05-11 2012-02-15 株式会社Peptron 制备用于缓释的、具有改善的可分散性和可注射性的微球的方法
US9877922B2 (en) 2006-05-11 2018-01-30 Peptron Co., Ltd. Process of preparing microspheres for sustained release having improved dispersibility and syringeability
US9155702B2 (en) 2007-03-27 2015-10-13 Peptron Co., Ltd Composition and microsphere for controlled-release of exendin, and method preparing the same
WO2008130158A1 (en) * 2007-04-19 2008-10-30 Dong-A Pharmaceutical. Co., Ltd A biodegradable microsphere composition suitable for the controlled release of glucose controlling peptide and formulation thereof
AU2008241699B2 (en) * 2007-04-19 2011-02-03 Dong-A Pharmaceutical. Co., Ltd A biodegradable microsphere composition suitable for the controlled release of glucose controlling peptide and formulation thereof
US8282990B2 (en) 2007-04-19 2012-10-09 Dong-A Pharmaceutical, Co., Ltd. Method for preparing a biodegradable polymer microsphere containing a glucose-regulating pept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6573B1 (ko) 200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3017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икросфер с длительным высвобождением, имеющих улучшенную дисперсность и проходимость через иглу шприца
EP0781548B1 (en) Production of sustained-release preparation for injection
KR100466637B1 (ko) 서방성 미립구의 혼합 제형을 연속한 단일 공정으로제조하는 방법
EP0839525B1 (en) Sustained-release preparation
KR100293882B1 (ko) 카르복시말단폴리에스테르와펩티드와의염
US5538739A (en) Sustained release formulations of water soluble peptides
US20180177785A1 (en) Method of Making Sustained Release Microparticles
US2011020067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ustained release microsphere by solvent flow evaporation method
RU2297240C2 (ru) Композиция пролонгированного действия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указанной композиции
JP2008518881A (ja) 高分子組成物中の高分子の分子量低下、不純物形成およびゲル化の防止
JP2008525436A (ja) 放出制御組成物
MXPA01005540A (es) Microesferas de liberacion prolongada para encapsular analogos de la hormona liberadora de la hormona luteinizante y metodo para prepararlas.
CN106794147A (zh) 包含亮丙瑞林并同时具有立即释放和持续释放特性的药物组合物
JP3765338B2 (ja) 注射用徐放性製剤の製造法
KR100566573B1 (ko) Lhrh 동족체를 함유하는 서방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JPH10273447A (ja) 徐放性マイクロスフィア、その製造法および用途
Woo et al. In vitro characterization and in vivo testosterone suppression of 6-month release poly (D, L-lactide) leuprolide microspheres
KR101039237B1 (ko) 새로운 용출률이 개선된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JP2015086136A (ja) 生理活性ペプチド徐放性微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