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0750A -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 - Google Patents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0750A
KR20030080750A KR1020020019538A KR20020019538A KR20030080750A KR 20030080750 A KR20030080750 A KR 20030080750A KR 1020020019538 A KR1020020019538 A KR 1020020019538A KR 20020019538 A KR20020019538 A KR 20020019538A KR 20030080750 A KR20030080750 A KR 20030080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using
actuator
groov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6221B1 (ko
Inventor
우생윤
Original Assignee
우생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생윤 filed Critical 우생윤
Priority to KR10-2002-0019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221B1/ko
Publication of KR20030080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2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0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in which a torsion spring rotates a member around an axis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the pist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2Special devices controlling the circulation of the liquid, e.g. valve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08Function thereof for bra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84Torsion springs
    • E05Y2201/486Torsion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샤프트가 축방향을 따라 매입된 작동체와, 일측에 가동가로막을 구비하고 하단 외주에 플랜지부를 구비한 실링부를 포함하는 상태로 작동체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바디 중앙에 스냅 결합되는 댐퍼캡과, 작동체의 샤프트와 하우징 중 어느 하나가 문틀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가 도어에 고정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이에 대하여 반대방향의 복원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과, 댐퍼캡 상면에 밀착 배치되도록 하우징 상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작동체를 하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작동체 가압수단과, 샤프트 내부에 배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도어가 오픈될 경우 연결홈이 개방되어 제1 및 제2 유체통로가 상호 연통되어 유체가 제1 챔버로부터 제2 챔버로 이동하여 도어가 빠르게 열리게 되며, 상기 도어를 클로우즈 시킬 경우 연결홈이 폐쇄되고 고점성 유체가 제1 유체통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개방정도를 작게 설정된 제3 유체통로를 통해 제1 챔버로 유입되므로 도어가 서서히 클로우즈 되도록 도어의 속도조절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Auto Door Closer Unit}
본 발명은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일 차단부와오일 이동량 제어부를 작동체 내부로 통합 배치함과 동시에 고정가로막 및 가동가로막을 작동체에 중앙 내측으로 축소 배치하여 전체 부피를 콤팩트한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작동체 마모시 보정기능을 구비하여 제품의 기계적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다수의 조립부품을 유니트화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킨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클로우저(door closer)는 방화문과 같이 대형 철문 등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 후 놓으면 자동적으로 원래 위치로 서서히 복원시키는 자동 도어 폐쇄장치이다.
이러한 자동 도어 클러우저는 개방된 문에 복원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힘의 근원에 따라 피스톤을 사용한 직선운동형과 회전축에 인가되는 회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복원력을 이용하는 회전운동형으로 구별된다.
상기한 직선운동형 자동 도어 클로우저는 횡장형의 본체 케이스 내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 내에 피스톤이 리턴 스프링을 개재하여 내장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은 그의 일측변에 설치된 랙을 이와 결합된 피니온 축을 회전시켜 좌우로 이동된다.
이러한 도어 클로우저는 본체 케이스가 도어의 일측 상부면에 설치되고 피니온 축은 한쌍의 힌지 아암을 통하여 문틀에 힌지고정된다.
이 경우 도어를 오픈시키면 힌지 아암을 통하여 피니온 축이 회전하며 그 회전력이 랙을 통하여 피스톤을 이동시켜 실린더 내에 수용된 스프링이 압축되고, 그후 문을 놓으면 리턴 스프링의 복원력이 유체에 의해 제어되면서 피스톤이 설정된 속도로 리턴되어 그 결과 피니온 축도 완만하게 서서히 회동되어 도어가 완만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클로우즈된다.
이러한 도어 클러우저는 직선운동하는 유압 피스톤을 랙과 피니온에 의해 구동하므로 이를 내장하는 본체케이스의 전체적인 사이즈가 크게 되고, 한쌍의 긴 힌지 아암을 통하여 문틀에 지지되므로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고, 외관미가 크게 떨어지며 장시간 사용시에는 힌지 아암과 도어 클로우저 본체의 각종 연결부에서 소음이 발생하였다.
더욱이 상기 도어 클로우저는 피니온 축에 스러스트 하중이 인가되므로 피니온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조기 마모와 절곡 하중에 의한 피스톤과 실린더의 편마모가 쉽게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한 회전운동형 자동 도어 클로우저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202260호에 개재되어 있다.
상기한 회전운동형 도우 클로우저는 각각 금속재로 이루어진 하우징 내측에 회전체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데 이때,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축방향을 따라 고정가로막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가로막에 대응하는 가동가로막이 형성되어 하우징 내측은 2챔버로 구획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 하부의 스프링 수용홈에는 도어에 복원력을 부여하기 위한 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2챔버와 스프링 수용홈 내에는 고점성의 오일이 충진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가로막 상단에는 오일의 이동량을 제어하기 위한 이동량제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가로막에는 오일을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체크밸브부가 각각 별도로 형성되어 있었으며, 상기 오일 이동량 제어부를 하우징의 고정가로막에 형성함에 따라 그 가공방법이 어려울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회전체의 하단부는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된 축지지요홈에 상호 접촉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도어 클로우저는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큰 궤적을 그리는 상기 가동가로막에 의해 전체적인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아울러, 상기 이동량 제어부를 하우징의 고정가로막 상단에 형성함에 따라 하우징의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이에 따라 그 가공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일이 충진되는 부분은 상기 2개의 챔버와 스프링 수용홈 즉, 총 3개의 챔버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도어 클로우저에 오일을 주입하는 방법은 도어 클로우저를 완전 조립한 상태에서 하우징을 관통하여 각각 제2 챔버에 각각 오일을 주입시킨 뒤 다시 오일 주입용 관통부를 메꾸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운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시간 사용시 상기 회전체의 하단이 축지지홈 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을 반복함에 따라 회전축 및 하우징의 바닥면이 상호 마모되며 이에 따라 상기 2챔버에 충진된 오일이 상기 마모된 틈을 따라 스프링 수용홈으로 유입되고 결구 2챔버의 오일압력이 분산되어 도어가 닫힐 때 복귀되는 복원력이 저하되어 도어가 완전히 클로우즈 되지 않고 도어 클로우저와 지지아암 사이의 결합력이 저하된다.
결국 챔버의 오일압력이 분산되어 초기 조립시 도어 제어능력이 도어의 장기반복사용에 따라 점차적으로 저하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일 차단부와 오일 이동량 제어부를 작동체 내부로 통합 배치함과 동시에 고정가로막 및 가동가로막을 작동체에 중앙 내측으로 축소 배치하여 전체 부피를 콤팩트한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도어 클로우저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동체 마모시 보정기능을 구비하여 제품의 기계적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다수의 조립부품을 유니트화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킨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는 도 2에서 표시한 "A-A"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표시한 "B"부분의 확대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가 설치된 도어가 클로우즈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가 설치된 도어가 오픈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가 설치된 도어가 클로우즈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의 실링부에 형성된 가속홈에 의해 도어의 선회 구간별 클로우즈 속도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를 도어에 부착하고 문틀 지지체를 굴절링크를 통하여 문틀과 연결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를 문틀에 설치하고 도어지지체를 안내하는 가이드 프레임을 도어에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를 힌지로 사용하여 도어 지지체와 문틀 지지체에 의해 도어와 문틀에 연결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2a는 도 11에 나타낸 자동 도어 클로우저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2b는 도 11에 나타낸 도어의 상부에 위치한 클로우저 유니트에 대응하는 하부 힌지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를 경첩타입으로 적용 설치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면 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하우징10a: 연장부
11: 수용부13: 제1 고정홈
14: 제2 고정홈15: 스냅링 결합요홈
16: 단턱부17: 제1 스프링 지지홈
18a,18b: 고정돌기19a,19b,190a,190b: 고정돌기
20: 작동체21: 바디
21a: 제1 시일링 결합홈21b: 제2 시일링 결합홈
21c: 스냅결합돌기23: 실링부
23a: 플랜지23b: 가동가로막
23c,23d: 가속홈25: 샤프트
25a: 다각부25b,25c: 나사 가공부
25d: 결합구멍25e: 연장홈
26: 콘트롤 밸브27: 압축스프링
28: 체크볼30: 댐퍼캡
31: 스냅결합요홈33: 고정가로막
35: 고정돌기50: 토션스프링
61: 커버부63: 관통구멍
65: 고정돌기67: 경사면
68: 체결부69: 스냅링
71: 제1 유출통로72: 제2 유출통로
73: 제3 유출통로81: 핀 고정홈
83: 가이드 홈85: 응력고정핀
91,93: 시일링120: 도어지지체
120a: 요철부121: 체결너트
122: 문틀지지체L: 굴절링크
H: 힌지K: 손잡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측 내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다수의 제1 및 제2 고정홈이 형성되고, 하부 내측으로 단턱부를 이루는 제1 스프링 지지홈을 갖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1 스프링 지지홈에 대응하는 제2 스프링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와 바디 사이에는 외주에 축방향을 따라 돌출된 가동가로막을 구비하고 상기 실링부 및 중앙부를 관통하는 제1 내지 제3 유체통로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내측으로 상기 제1 및 제2 유체통로와 연통되는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멍 하단에는 상기 결합구멍 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제2 유체통로와 연통되는 연결홈이 연장 형성된 샤프트가 축방향을 따라 매입된 작동체와, 상기 일측에 가동가로막을 구비하고 하단 외주에 플랜지부를 구비한 실링부를 포함하는 상태로 작동체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바디 중앙에 스냅 결합되며 상기 가동가로막의 선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내주면을 구비하고 내부 일측에는 선단이 상기 실링부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축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을 제1 및 제2 챔버로 구획하는 고정가로막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가로막 및 고정가로막에 의해 구획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3 유체통로와 연통되는 제1 챔버 및 제2 유체통로와 연통되는 제2 챔버를 구비하며, 외주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제1 고정홈에 대응 삽입되는 다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댐퍼캡과,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 지지홈 사이에 설치되어 작동체의 샤프트와 하우징 중 어느 하나가 문틀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가 도어에 고정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이에 대하여 반대방향의 복원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댐퍼캡 상면에 밀착 배치되도록 하우징 상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작동체를 하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작동체 가압수단과, 상기 샤프트 내부에 배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도어가 오픈됨에 따라 상기 작동체 또는 하우징 중 어느 하나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제1 챔버로부터 제1 유체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고점성 유체에 의해 연결홈이 개방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유체통로가 상호 연통되고 상기 유체가 제1 챔버로부터 제2 챔버로 이동하여 도어가 빠르게 열리게 되며, 상기 도어를 클로우즈 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오픈된 도어를 놓을 경우 일방향으로 회전되었던 작동체 또는 하우징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토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2 챔버로부터 제2 유체통로를 통해 이동하는 고점성 유체에의해 연결홈이 폐쇄되고 상기 제2 유체통로로부터 배출된 고점성 유체가 상기 제1 유체통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개방정도를 작게 설정된 제3 유체통로를 통해 제1 챔버로 유입되므로 도어가 서서히 클로우즈 되도록 도어의 속도조절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속도조절수단은 상기 결합구멍을 통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하부 외주면이 상기 제3 유체통로의 개폐범위를 조절하여 유체의 이동량을 제어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결합구멍에 나사 결합된 콘트롤 밸브와, 상기 샤프트의 결합구멍 및 연장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작동체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유체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체크볼과, 상기 콘트롤 밸브 하단과 체크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체크볼이 상기 제1 유체통로를 폐쇄하도록 탄력 지지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체를 지지함과 동시에 하우징 속의 작동체가 외부의 힘에 의해 측 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작동체의 하부 외주면 사이에 접촉 배치된 부싱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동체 가압수단은 외주에 상기 하우징의 제2 요홈에 각각 대응 삽입되고 상면이 외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다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압착구와, 상기 압착구의 경사면에 접촉하여 경사면을 따라 상기 작동체의 중심으로부터 축방향의 직각방향으로 탄발력을 갖는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제2 고정홈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요홈에 일부분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압착구를 하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스냅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체의 바디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핀 고정홈과, 상기 핀 고정홈에 동일한 레벨로 상기 가압구의 상면에 원의 중심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가이드 홈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선단이 가이드 홈을 통해 핀 고정홈에 삽입되는 응력고정핀으로 구성되는 초기응력세팅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초기응력세팅수단은 상기 작동체의 고정홈을 상기 가이드 홈과 동일 축선에 놓이는 각도로 회전 후, 상기 가이드 홈 및 고정홈에 응력고정핀을 삽입 고정시킨 상태로 도어 클로우저를 도어 또는 문틀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킨 뒤 상기 응력고정핀을 제거하면 복귀수단에 축적된 복원력에 의해 도어가 문틀 방향으로 에 완전 밀착된다.
또한 상기 실링부의 플랜지 상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가동가로막 두께보다 긴 기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속도 가속용 요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가 클로우즈 되는 방향으로 작동체가 회전될 경우 상기 가속홈이 고정가로막 하면에 접촉하여 지나가는 동안에 고점성 유체가 고압의 일챔버로부터 저압의 다른 챔버로 이동함에 따라 도어의 닫힘속도가 상승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제2 고정홈을 축방향을 따라 연장 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 상단에 연장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커버부의 상측 중앙으로 축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연장부 보다 높게 연장형성된 체결부와, 일측에 상기 연장부의 제2 고정홈에 대응 삽입되는 요철부를 갖고 타측에는 도어 상면에 다수의 피스를 통해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관통구멍을 갖는 도어 지지체와, 상기 하우징과 동일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 지지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체결부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너트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동체의 샤프트에 일단이 고정 결합된 연결로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로드의 타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요홈을 갖고 도어에 수평방향으로 부착 고정된 가이드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도어지지수단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우징과 작동체의 상대적인 회전운동 만으로 내부에 장착한 토션스프링의 복원력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종래의 동종타입에 비하여 오일 제어 방식을 크게 개선하였고 또한 내부 마모가 발생시 자동보정 기능을 구비하여 기계적인 안정성을 높여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가로막 및 고정가로막의 궤적을 축소시키고 오일 이동량 제어부의 위치를 상부로 이동시킴에 따라 전체적으로 콤팩트한 구조를 이루면서 고장율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부품을 유니트화하여 생산성 및 조립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는 도 2에서 표시한 "A-A"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표시한 "B"부분의 확대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 하우징(10)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10)은 내측으로수용부(11)를 갖고 상부 내주면에는 축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 및 제2 고정홈(13,14)이 상/하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이 경우 상기 제2 고정홈(14)에는 하기에 설명되는 스냅링(69) 이 삽입되는 스냅링 결합요홈(15)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또한 상기 하우징의 하부 내측으로는 상단이 단턱부(16)를 이루며 중앙에 한쌍의 고정돌기(18a,18b)가 돌설된 제1 스프링 지지홈(1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이 도 9와 같이 도어(D)에 부착되는 타입일 경우에는 하우징(10)의 좌/우측으로 고정편(19a,19b)이 연장 형성되며, 도 10과 같이 하우징(10)이 문틀(D1)에 고정되는 타입일 경우에는 도 10과 같이 상/하측으로 고정편(190a,190b)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작동체(20)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하단에 아세탈로 이루어진 내마모성을 갖는 부시(40)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의 단턱부(16)에 안착되어 하우징(1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작동체(20)는 하부직경이 상부직경 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바디(21)를 구비하며, 상기 바디(21) 하단에는 도 3과 같이 제1 스프링 지지홈(17)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제2 스프링 지지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 지지홈(17,22)에는 토션 스프링(50)의 상단이 제2 스프링 지지홈(22)의 한쌍의 걸림돌기(21d,21e)에 삽지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하우징(10)의 한쌍의 고정돌기(18a,18b)에 각각 삽지 고정됨에 따라, 상기 작동체(20)의 회전에 따라 비틀어짐에 따라 복원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체(20)는 중앙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탄력을 구비한 실링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23)는 하단이 상기 제1 스프링 지지홈(22) 외측 상측면에 안착되는 플랜지(23a)를 구비하고 일측에는 축방향을 따라 돌출된 가동가로막(23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랜지(23a) 상면에는 도어의 클로우즈 속도를 일정구간에서 가속시키기 위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한쌍의 가속홈(23c,23d)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가속홈(23c,23d)은 고압의 일챔버로부터 저압의 다른 챔버로 고점성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에 설명되는 고정가로막(33)의 폭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부(23)는 탄력을 갖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상기 실링부(23)의 상단 및 플랜지(23a) 외주가 상기 하우징(10) 내측과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하기에 설명되는 제1 및 제2 챔버(C1,C2)의 1차 기밀을 유지하게 되며, 또한 상기 바디(21)에는 실링부(23)와 하기에 설명되는 댐퍼 캡(30) 사이에 충진되는 고점성 유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실링부(23)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제1 및 제2 시일링 결합홈(21a,21b)이 각각 형성됨에 따라 2차 기밀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시일링 결합홈(21a,21b)에 결합되는 시일링(91,93)은 O-링 또는 U-패킹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21) 상단에는 상부가 일부 돌출되도록 축방향을 따라 매입된 샤프트(25)가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25)의 상부 외주는 도어 지지체(L2)의 일단에 결합되는 다각부(25a) 및 지지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캡너트(도시하지 않음)가체결되는 나사 가공부(2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샤프트(25)는 내측에 하기에 언급되는 컨트롤밸브(26)가 나사 결합되도록 축방향을 따라 결합구멍(25d)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멍(25d) 하단부에는 상기 결합구멍(25d)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연장홈(25e)이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23)를 포함하는 상태로 작동체(2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바디(21)에 결합되는 댐퍼캡(20)은 상기 가동가로막(23b)의 선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내주면을 구비하고 내부 일측에는 선단이 상기 실링부(23)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된 상태로 축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고정가로막(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 3과 같이 상기 댐퍼캡(30) 하부 내측에는 상기 작동체의 바디(21) 하부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돌설된 스냅결합돌기(21c)에 착탈 가능하게 스냅 결합되도록 스냅결합요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댐퍼캡(30) 내부는 상기 고정가로막(33)에 의해 상기 댐퍼캡(30) 내부가 제1 및 제2 챔버(C1,C2)로 각각 구획되며, 상기 제1 및 제2 챔버(C1,C2)는 작동체(20)의 정/역회전에 따라 가동가로막(23b)이 정/역방향으로 선회하여 제1 및 제2 챔버(C1,C2)에 충진된 고점성 유체를 각 챔버로 상호 이동시켜 상기 각 챔버(C1,C2)내의 유압이 고압 또는 저압상태를 갖도록 그 용적이 상호 가변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댐퍼캡(30)은 외주 상부에 상기 제1 고정홈(13)에 대응 삽입되어하우징 내측에 고정되도록 다수의 고정돌기(35)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는 상기 제1 및 제2 챔버(C1,C2) 내로 고점성 유체, 예를 들어 오일을 충진하기 위해, 작동체(20)와 댐퍼캡(30)을 분리시킨 상태로 오일이 담겨있는 별도의 용기(도시하지 않음)에 완전히 침적시킨 후, 상기 작동체(20)와 댐퍼캡(30)을 상호 스냅 결합시킴에 따라 간단하게 오일을 충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댐퍼캡(30)은 도 2와 같이 고정가로막(33)이 중심에서 좌측으로 배치될 경우에는 가동가로막(23b)이 우측으로 배치되며 이때 작동체(20)의 회전방향은 시계방향이 되고, 상기 댐퍼캡(30)의 고정가로막(33)이 중심에서 우측으로 배치될 경우에는 가동가로막(23b)이 좌측으로 배치되어 작동체(20)의 회전방향은 반시계방향으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도어의 열리고 닫히는 방향에 따라 알맞게 선택적으로 댐퍼캡(30) 및 작동체(20)를 하우징(10)에 상호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상기 실링부(23)의 가동가로막(23b) 일측 주변에는 상기 샤프트(25)의 연장홈(25e)과 직각으로 연통되는 제1 유출통로(7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유출통로(71) 상측으로는 상기 샤프트(25)의 결합구멍(25c)과 직각으로 연통되는 제3 유출통로(7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3 유출통로(71,73)에 대하여 상기 가동가로막(23b)을 중심으로 타측 주변에는 상기 샤프트의 결합구멍(25c)과 직각으로 연통되는 제2 유출통로(7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 유출통로(71,73)는 실링부(23) 및 작동체의 바디(21)를 각각 축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특히 상기 제2유출통로(72)는 제1 및 제3 유출통로(71,73) 사이의 레벨에 위치 설정됨과 동시에 상기 체크볼(28)의 상측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샤프트(25)에 나사 결합되는 컨트롤 밸브(26)는 챔버(C1,C2) 내에 충진된 유체의 이동량을 제어하기 위해 결합구멍(25c)을 따라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하단 외주면에 의해 상기 제3 유출통로(73)의 개방 정도를 제한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 밸브(26) 하단에는 압축스프링(27)이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유체통로(71)를 개폐하기 위해 압축스프링(27)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체크볼(28)이 상기 연장홈(25e) 상단에 안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가로막(33) 및 가동가로막(23b)이 상기 작동체(20)의 중앙 외주에 배치되고 종래의 자동 도어 클로우저와는 달리 체크밸브부 및 이동량 제어부가 하나로 통합됨에 따라 종래에 비해 본 발명은 도어 클로우저의 크기를 대폭줄일 수 있으며, 도어의 닫힘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댐퍼캡(30) 상면에 하면이 안착되도록 대응 형성되는 커버부(61)는 중앙에 바디의 상부가 관통하고 댐퍼캡(30)의 상부면 형상과 밀착 고정되는 관통구멍(63)이 형성되고 외주에 상기 제2 고정홈(14)에 각각 대응 삽입되고 도 4와 같이 상면이 외측으로 대략 10°정도 상향 경사진 경사면(67)을 갖는 다수의 고정돌기(65)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61)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스냅링 결합요홈(15)에 결합되는 스냅링(69)이 형성되며, 상기 스냅링(69)은 커버부(61)의 경사면(67)에 접촉하여 경사면(67)을 따라 상기 작동체(20)의 중심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탄발력을 갖는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냅링(69)은 가압구(61)의 경사면(67)에 대하여 가압구(61)를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61)는 댐퍼캡(30) 및 작동체(20)를 가압함에 따라 장시간 사용시 작동체(20)의 회전에 따라 부시(40)와 마찰하는 작동체(20) 하단이 마모될 경우 마모율에 비례하여 스냅링(69)이 고정돌기(65)의 경사면(67)을 따라 스냅링 결합요홈(15)으로 더욱 깊숙이 결합되면서 상기 작동체(20)를 지속적으로 가압하여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함에 따라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의 초기 성능을 장시간 지속시켜 주게 된다.
이 경우 도 3과 같이 상기 커버부(61)는 상기 부시(40)의 마모에 비례하여 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커버부(61)를 하우징(10)에 결합시킬 경우, 상기 커버부(61)의 다수의 고정돌기(65) 하단이 상기 하우징(10)의 제2 고정홈(14)으로부터 소정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댐퍼캡(30)의 경우에도 다수의 고정돌기(35)의 하단이 상기 제1 고정홈(13)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자동 가압을 위한 여유공간을 확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는 상기한 다수의 부품을 조립한 후, 도어에 설치하기 전에 작동체(20)를 소정각도 회전시켜 상기 작동체(20)에 복원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도어에 설치한 후, 복원력을 해제시킴에 따라 도어의 닫힘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초기 세팅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초기 세팅수단은 상기 작동체(20)의 바디(21)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핀 고정홈(81)과, 상기 가압구(61)가 하우징(10)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핀 고정홈(81)과 동일한 레벨로 작동체(20)의 중심방향을 따라 가압구(61)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83)과, 상기 하우징(10) 외측으로부터 관통하여 선단이 상기 가이드 홈(83)을 따라 핀 고정홈(81)에 삽입되는 응력고정핀(85)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초기 세팅수단을 통해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를 초기 세팅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댐퍼캡(30)의 고정가로막(33)이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좌측으로 소정각도로 배치되도록 댐퍼캡(30)의 고정돌기(35)를 제1 고정홈(13)에 결합시킨다, 이 경우 가동가로막(23b)은 상기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우측에 소정 각도로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61)의 가이드 홈(83)은 상기 작동체(20)를 회전시켜 핀 고정홈(81)과 동일 축방향을 이루는 곳에 미리 위치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체의 핀 고정홈(81)이 가이드 홈(83)과 동일 축방향을 이루는 위치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킨 후, 응력고정핀(85)으로 하우징(10)의 일측을 관통하여 가이드 홈(83) 및 핀 고정홈(81)에 삽입하여 상기 작동체(20)를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토션 스프링(50)이 비틀어지면서 복원응력이 축력된다.
이 상태로 도 5a와 같이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를 닫힌 상태의 도어에 설치한 후, 상기 응력고정핀(85)을 제거하면 상기 작동체(20)는 토션 스프링(50)에 축적된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는클로우즈되는 방향으로 일정한 힘을 비축한 상태가 되어 도어를 문틀에 완전히 닫히게 할 수 있으며, 갑작스런 외풍에 의해 도어가 오픈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5a∼도 7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는 도 9와 같이 도어(D)에 하우징(10)이 고정편(19a,19b)에 의해 고정되며, 굴절링크(L)의 문틀지지체(L1)에 의해 일단이 문틀(D1)의 상단에 고정되고 도어지지체(L2)에 의해 샤프트(25)에 각각 연결된 하우징 회전-샤프트 고정타입이다.
이와 같은 경우 도어가 클로우즈 된 상태, 사용자에 의해 오픈되고 있는 상태 및 사용자가 도어를 놓았을 경우 클로우즈 되고 있는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가 설치된 도어가 클로우즈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가 설치된 도어가 오픈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가 설치된 도어가 클로우즈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5a 및 도 5b와 같이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를 도어에 초기 세팅상태로 설치한 경우, 제1 및 제2 챔버(C1,C2) 내의 유체는 상호 이동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K)를 잡고 힌지(H)를 중심으로 도어를 오픈시키는 경우, 하우징(10)은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하우징(10)에 고정된 댐퍼캡의 고정가로막(33)이 시계방향으로 선회한다.
이에 따라 제1 챔버(C1)는 고압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제2 챔버(C2)는 저압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1 챔버(C1) 내에 충진된 도어(D)의 고점성 유체는 제1 유체통로(71)를 지나 압축스프링(27)에 의해 탄력 지지된 체크볼(28)을 상부로 밀어 올리며 빠르게 제2 유체통로(72)를 통해 제2 챔버(C2)로 유입됨에 따라, 도어 개방시에는 별도의 유압이 발생하지 않고 다만 토션스프링(50)의 복원력만 도어에 작동하게 되어 도어가 쉽게 개방된다.
그 후, 사용자가 개방된 도어를 클로우즈 시키기 위해 도어를 놓을 경우,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상기 고정가로막(33)은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되며 이 경우상기 압축스프링(27)에 의해 탄력 지지된 체크볼(28)은 제1 유출구멍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이동이 멈추게 되어 연장홈(25e)을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유체통로(72)를 통해 결합구멍(25d)으로 송출되는 고점성 유체가 제1 유체통로(71)를 통해 제1 챔버(C1)로 유입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하게 되어 제2 챔버(C2) 내에 유압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복원하려는 토션스프링(50)의 복원력을 유압으로 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도어(D)가 유압에 비례하여 서서히 닫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3 유체통로(73)는 콘트롤밸브(26)의 축방향을 따라 상/하 조절함에 따라 개방정도를 설정할 수 있고, 그 설정된 개방정도에 따라 고압 챔버로부터 저압 챔버로의 유체의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7b에서는 제3 유체통로(73)가 50%정도 개방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한편 상기 콘트롤밸브(26) 이외에도 상기 실링부의 플랜지부(23a)에 가속홈(23c,23d)을 형성함에 따라 도 8과 같이 도어가 닫히는 선회구간(S1∼S4)별로 클로우즈 속도를 제어되며, 이 경우 상기 고정가로막(33)이 선회 도중 가속홈(23c,23d) 위를 지나는 구간 즉, S1 및 S3에서는 가속홈(23c,23d)을 통해 고점성 유체가 제2 챔버(C2)로부터 제1 챔버(C1)로 유입됨에 따라 도어가 빠르게 선회하고, S2 및 S4는 정상속도로 선회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속홈(23c,23d)은 그 깊이와 길이에 따라 유체의 흐름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해주며, 상기의 속도조절수단과는 별도로 구간별 도어의 닫힘 속도에 변화를 줄 수 있어 도어의 종류와 용도에 따라 다양한 도어 클로우즈 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를 문틀에 설치하고 도어 지지체를 안내하는 가이드 프레임을 도어에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이 경우는 하우징 고정-샤프트 회전타입이다.
도 10과 같이 하우징(10)은 상/하로 연장 형성된 고정편(190a,190b)에 의해 문틀(D1)에 고정되어 있으며, 샤프트의 다각부(25a)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도어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가이드 프레임(1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지지체(110)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도어를 오픈시킬 경우 하우징(10) 내에서 작동체(20)가 선회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도어 지지체(110)가 가이드 프레임(112)을 따라 소정 거리 이동한 뒤, 사용자가 도어(D)를 놓으면 복원력에 의해 작동체(20)가 역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상기 도어 지지체(110)는 가이드 프레임(112)을 따라 이동하여 도어를 클로우즈 시키게 된다. 여기서 H는 힌지를 나타낸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를 피봇힌지의 상부문틀 조립형으로 사용하여 도어 지지체와 문틀 지지체에 의해 도어와 문틀에 연결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12a는 도 11에 나타낸 자동 도어 클로우저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12b는 도 11에 나타낸 도어의 상부에 위치한 클로우저 유니트에 대응하는 하부 힌지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과 같이 샤프트(25)과 하우징(10)에 각각 문틀 지지체(122)와 도어 지지체(120)를 연결하면 샤프트 고정-하우징 회전타입이 된다.
먼저 상기 하우징(10)의 제2 고정홈(14)을 축방향을 따라 연장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10) 상단에 연장부(10a)를 연장형성하고, 커버부(61)의 상측 중앙에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연장부(10a)의 상단보다 높게 연장되고 외주에 나사부가 가공된 체결부(6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지지체(120)은 일측에 상기 연장부의 제2 고정홈(14)에 대응 삽입되는 요철부(120b)를 갖고, 타측이 다수의 피스(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도어(D)에 고정되도록 다수의 관통구멍(120c)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장부의 제2 고정홈(14)에 결합된 도어지지체(120)를 하우징(120)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너트(121)는 상기 체결부(68)에 나사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체결너트(121)에 의해 상기 도어지지체(120)는 하우징(10)과하나의 유닛으로 사용할 수 있게된다.
또한 문틀 지지체(122)는 다수의 관통구멍(122b)을 통해 피스(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문틀(D1) 상측에 고정되고 일단이 샤프트의 다각부(25a)에 결합하기 위한 다각부(25a)에 대응하는 결합구멍(12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D)의 하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는 도 12b와 같이 중앙에 관통구멍(139a)을 갖는 베어링(139)의 하부에 문틀(D1)의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베어링 수납홈(138)을 갖는 문틀 지지체(137)가 배치되고, 베어링(139)의 상부에는 일단이 도어(D)에 고정되고 타단에 핀 결합구멍(131)이 형성된 도어 지지체(130)가 배치된 상태에서 핀 결합구멍(131)과 베어링의 관통구멍(139a)으로 힌지핀(133)을 상부로부터 삽입하여 결합시킨 구성이다. 여기서 부재번호 135는 스크류 고정용 홀이다.
이와 같은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는 도어(D)를 개폐하게 되면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의 하우징(10)이 샤프트(25)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D)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데 별도의 굴절링크, 아암 또는 레버 등을 사용하지 않고 단지 피봇힌지 타입의 도어장착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를 용이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를 경첩타입으로 적용 설치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 13과 같이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는 하우징(10) 일주면에 축방향을따라 문틀에 결합되는 제1 경첩부(141)를 연장 형성하고, 샤프트(25)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며 타측이 도어에 결합되는 제2 경첩부(143)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경첩부(141,143)는 다수의 결합구멍(141a,143a)을 통해 피스(도시하지 않음)로 문틀 또는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각각 결합된다.
이 경우에는 하우징 고정-샤프트 회전타입으로 도어의 측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에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예이며, 매우 콤팩트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일방향으로 개방되는 도어에 대하여 적용예를 설명하였으나, 한편 양방향으로 개방하는 도어에 경우,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를 도어의 상부와 이와 동일한 축방향에 해당하는 문틀 하단에 각각 매입 설치하고, 각각의 샤프트를을 문틀의 상부와 도어의 하단에 각각 힌지 고정함에 따라 대략 270°내에서 일축을 기준으로 선회가능한 양방향 도어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은 일반적인 건축물에 배치되는 도어를 기준으로 적용예를 설명하였으나, 그 외에도 각종 가구의 도어,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의 도어, 복사기 커버 등의 전자제품 도어, 자동차 도어, 본넷, 트렁크 등과 같이 주로 개폐되는 도어 및 커버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우징과 작동체의 상대적인 회전운동 만으로 내부에 장착한 토션스프링의 복원력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종래의 동종타입에 비하여 오일 제어 방식을 크게 개선하였고 또한 내부 마모가 발생시 자동보정 기능을 구비하여 기계적인 안정성을 높여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가로막 및 고정가로막의 궤적을 축소시키고 오일 이동량 제어부의 위치를 상부로 이동시킴에 따라 전체적으로 콤팩트한 구조를 이루면서 고장율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부품을 유니트화하여 생산성 및 조립성을 상승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상측 내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다수의 제1 및 제2 고정홈이 형성되고, 하부 내측으로 단턱부를 이루는 제1 스프링 지지홈을 갖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1 스프링 지지홈에 대응하는 제2 스프링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와 바디 사이에는 외주에 축방향을 따라 돌출된 가동가로막을 구비하고 상기 실링부 및 중앙부를 관통하는 제1 내지 제3 유체통로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내측으로 상기 제1 및 제2 유체통로와 연통되는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멍 하단에는 상기 결합구멍 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제2 유체통로와 연통되는 연결홈이 연장 형성된 샤프트가 축방향을 따라 매입된 작동체와,
    상기 일측에 가동가로막을 구비하고 하단 외주에 플랜지부를 구비한 실링부를 포함하는 상태로 작동체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바디 중앙에 스냅 결합되며 상기 가동가로막의 선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내주면을 구비하고 내부 일측에는 선단이 상기 실링부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축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을 제1 및 제2 챔버로 구획하는 고정가로막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가로막 및 고정가로막에 의해 구획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3 유체통로와 연통되는 제1 챔버 및 제2 유체통로와 연통되는 제2 챔버를 구비하며, 외주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제1 고정홈에 대응 삽입되는 다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댐퍼캡과,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 지지홈 사이에 설치되어 작동체의 샤프트와 하우징 중 어느 하나가 문틀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가 도어에 고정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이에 대하여 반대방향의 복원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댐퍼캡 상면에 밀착 배치되도록 하우징 상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작동체를 하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작동체 가압수단과,
    상기 샤프트 내부에 배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도어가 오픈됨에 따라 상기 작동체 또는 하우징 중 어느 하나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제1 챔버로부터 제1 유체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고점성 유체에 의해 연결홈이 개방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유체통로가 상호 연통되고 상기 유체가 제1 챔버로부터 제2 챔버로 이동하여 도어가 빠르게 열리게 되며, 상기 도어를 클로우즈 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오픈된 도어를 놓을 경우 일방향으로 회전되었던 작동체 또는 하우징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토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2 챔버로부터 제2 유체통로를 통해 이동하는 고점성 유체에 의해 연결홈이 폐쇄되고 상기 제2 유체통로로부터 배출된 고점성 유체가 상기 제1 유체통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개방정도를 작게 설정된 제3 유체통로를 통해 제1 챔버로 유입되므로 도어가 서서히 클로우즈 되도록 도어의 속도조절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조절수단은 상기 결합구멍을 통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하부 외주면이 상기 제3 유체통로의 개폐범위를 조절하여 유체의 이동량을 제어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결합구멍에 나사 결합된 콘트롤 밸브와,
    상기 샤프트의 결합구멍 및 연장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작동체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유체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체크볼과,
    상기 콘트롤 밸브 하단과 체크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체크볼이 상기 제1 유체통로를 폐쇄하도록 탄력 지지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를 지지함과 동시에 하우징 속의 작동체가 외부의 힘에 의해 측 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작동체의 하부 외주면 사이에 접촉 배치된 부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 가압수단은 외주에 상기 하우징의 제2 요홈에 각각 대응 삽입되고 상면이 외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다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압착구와,
    상기 압착구의 경사면에 접촉하여 경사면을 따라 상기 작동체의 중심으로부터 축방향의 직각방향으로 탄발력을 갖는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제2 고정홈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요홈에 일부분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압착구를 하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스냅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의 바디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핀 고정홈과,
    상기 핀 고정홈에 동일한 레벨로 상기 가압구의 상면에 원의 중심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가이드 홈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선단이 가이드 홈을 통해 핀 고정홈에 삽입되는 응력고정핀으로 구성되는 초기응력세팅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초기응력세팅수단은 상기 작동체의 고정홈을 상기 가이드 홈과 동일 축선에 놓이는 각도로 회전 후, 상기 가이드 홈 및 고정홈에 응력고정핀을 삽입 고정시킨 상태로 도어 클로우저를 도어 또는 문틀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킨 뒤 상기 응력고정핀을 제거하면 복귀수단에 축적된 복원력에 의해 도어가 문틀 방향으로 에 완전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플랜지 상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가동가로막 두께보다 긴 기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속도 가속용 요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가 클로우즈 되는 방향으로 작동체가 회전될 경우 상기 가속홈이 고정가로막 하면에 접촉하여 지나가는 동안에 고점성 유체가 고압의 일챔버로부터 저압의 다른 챔버로 이동함에 따라 도어의 닫힘속도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2 고정홈을 축방향을 따라 연장 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 상단에 연장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커버부의 상측 중앙으로 축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연장부 보다 높게 연장형성된 체결부와,
    일측에 상기 연장부의 제2 고정홈에 대응 삽입되는 요철부를 갖고 타측에는 도어 상면에 다수의 피스를 통해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관통구멍을 갖는 도어 지지체와,
    상기 하우징과 동일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 지지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체결부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의 샤프트에 일단이 고정 결합된 연결로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로드의 타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요홈을 갖고 도어에 수평방향으로 부착 고정된 가이드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도어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
KR10-2002-0019538A 2002-04-10 2002-04-10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 KR100446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538A KR100446221B1 (ko) 2002-04-10 2002-04-10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538A KR100446221B1 (ko) 2002-04-10 2002-04-10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750A true KR20030080750A (ko) 2003-10-17
KR100446221B1 KR100446221B1 (ko) 2004-08-30

Family

ID=32378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538A KR100446221B1 (ko) 2002-04-10 2002-04-10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22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561B1 (ko) * 2008-07-22 2010-10-12 주식회사 이피텍 냉장고용 홈바도어의 개폐 장치
KR20110013149A (ko) * 2009-07-31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WO2011025251A2 (ko) * 2009-08-26 2011-03-03 주식회사 고도기연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
KR101245926B1 (ko) * 2011-08-12 2013-03-20 윤동환 도어 클로저 가드
CN109930934A (zh) * 2019-04-10 2019-06-25 徐振溪 一种自动闭合门窗单元及利用其制作的双向平衡门窗单元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394B1 (ko) * 2007-02-13 2008-11-11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KR20100044308A (ko) * 2008-10-22 2010-04-30 주식회사 루트싸이언스 도어클로져
EP2546443A1 (en) * 2010-03-12 2013-01-16 Moonju Hardware Co., Ltd. Door damper buffer
KR101116815B1 (ko) 2011-06-29 2012-02-22 대민산업개발(주) 농업용수 수문 개폐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961A (en) * 1975-06-30 1977-01-14 Okabe Kinzoku Kogyo Kk Hinge
US4756051A (en) * 1987-01-23 1988-07-12 Shy Haw Yaw Door-closer hinge with rotary-movement shock absorber
JPH0681873B2 (ja) * 1990-05-23 1994-10-19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ドアクローザー
JP2581655B2 (ja) * 1991-03-08 1997-02-12 トックベアリング株式会社 高トルク用ダンパ
JP4370590B2 (ja) * 1998-10-26 2009-11-25 トックベアリング株式会社 回転ダンパ
KR100439421B1 (ko) * 2000-11-23 2004-07-09 김흥기 도어 힌지 유니트
KR100414520B1 (ko) * 2001-05-07 2004-01-07 세원정밀주식회사 회전식 오일 댐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561B1 (ko) * 2008-07-22 2010-10-12 주식회사 이피텍 냉장고용 홈바도어의 개폐 장치
KR20110013149A (ko) * 2009-07-31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WO2011025251A2 (ko) * 2009-08-26 2011-03-03 주식회사 고도기연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
WO2011025251A3 (ko) * 2009-08-26 2011-06-30 주식회사 고도기연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
CN102844515A (zh) * 2009-08-26 2012-12-26 禹生允 自动门板闭合单元
US8677561B2 (en) 2009-08-26 2014-03-25 Saeng Yoon Woo Automatic door closure unit
CN102844515B (zh) * 2009-08-26 2015-08-19 禹生允 自动门板闭合单元
KR101245926B1 (ko) * 2011-08-12 2013-03-20 윤동환 도어 클로저 가드
CN109930934A (zh) * 2019-04-10 2019-06-25 徐振溪 一种自动闭合门窗单元及利用其制作的双向平衡门窗单元
CN109930934B (zh) * 2019-04-10 2024-04-26 徐振溪 一种自动闭合门窗单元及利用其制作的双向平衡门窗单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6221B1 (ko) 2004-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2260B1 (ko) 자동도어 클로우저 유니트
KR100874633B1 (ko) 분리형 자동복귀 힌지장치
KR100446221B1 (ko)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
US20110302743A1 (en) Hinge apparatus for a door
EP1073821A2 (en) Hinge type automatic door closer
EP0469697A1 (en) Hydraulic door closer
AU2005202341A1 (en) Door closer
GB2261915A (en) Method of swinging a pivoted door to a selected position and cam and follower mechanism for use in the method
EP0576672B1 (en) Damper mechanism
WO2012150481A1 (en) Hinge
CN109812163B (zh) 用于铰链或门关闭器的阻尼机构
US4386446A (en) Door closer
CN201326332Y (zh) 一种闭门器
US4325164A (en) Offset pivot hinges with door closing devices
GB2244759A (en) Door closing device
JP2023511607A (ja) 自閉式液圧緩衝ヒンジ
KR100483362B1 (ko) 현관도어용 유압경첩
KR200243185Y1 (ko) 내장형 도어 개폐 완충기
KR200213553Y1 (ko)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
KR100387211B1 (ko) 도어클로저
JPH08184254A (ja) 自動復帰型ヒンジ
KR20080112870A (ko) 측면 속도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매입형 자동복귀힌지장치
KR930010633B1 (ko) 도어 클로저
GB2140076A (en) Door closers
RU2417298C2 (ru) Шарнирная структура для самозакрывающихся дверей или т.п., в частности стеклянных дверей или т.п., и узел, содержащий такую структур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