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9091A - 흡수식 냉온수기 응축수 자동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흡수식 냉온수기 응축수 자동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9091A
KR20030079091A KR1020020017859A KR20020017859A KR20030079091A KR 20030079091 A KR20030079091 A KR 20030079091A KR 1020020017859 A KR1020020017859 A KR 1020020017859A KR 20020017859 A KR20020017859 A KR 20020017859A KR 20030079091 A KR20030079091 A KR 20030079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pump
condensed water
surface temperature
discharge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7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종일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7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9091A/ko
Publication of KR20030079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909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sorpt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43Operating continuous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5/00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5/00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 F25B2345/006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characterised by charging or discharg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21On-off valves controlled by pulse sig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식 냉온수기의 응축수 자동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매증기와 불응축가스가 유입되는 공간부와, 흡수액이 분사되는 저실로 구획된 추기탱크와, 상기 추기탱크의 공간부 및 저실과 제1 및 제2 배관에 의해 연결되는 진공펌프를 구비하는 흡수식 냉온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의 표면에 부착되는 측온저항체와, 상기 진공펌프 배출부에 설치되는 전자밸브와, 상기 측온저항체의 저항값 출력에 따라 상기 전자밸브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마이컴을 구비함으로써, 종래 수동으로 제거되던 진공펌프 내의 응축수를 측온저항체의 저항값을 마이컴에 입력하여 진공펌프의 온도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자밸브를 제어하여 운전자의 잉여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흡수식 냉온수기 응축수 자동 배출장치{Auto exhausting device of condensed water of absorbent type cooling heating water system}
본 발명은 흡수식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내에서 발생되는 불응축가스를 외부로 배출한 후, 진공펌프 내의 응축수를 자동으로 외기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흡수식 냉온수기의 응축수 자동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수식 냉온수기는 흡수제인 리튬브로마이드(LiBr)와 냉매인 물의 혼합물, 즉 희석용액을 매체로 사용하며, 이러한 흡수식 냉온수기는 제작 시 외부로부터의 누입량을 줄이기 위해 플랜지이음, 나사이음등을 용접화하고, 기내의상태관찰용 보기창을 삭제하는등 누설을 억제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제작후 헬륨가스를 이용한 누설 검사를 통해 극히 미세한 누설조차 허용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흡수식 냉온수기의 운전 시에는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과 함께 봉입되어 있는 부식억제제에 의해 강판 표면에 보호피막이 형성되는데, 이때 수소가스 즉, 불응축가스가 발생하게 되며, 그 불응축가스가 기내에 존재하게 되면 냉온수기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불응축가스 배출장치를 통해 응축가스를 기외로 배출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흡수식 냉온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기탱크(10)는 저실(11)과 공간부(12)로 구분되어 있으며, 저실(11)은 용액펌프(5)의 일단과 배관으로 연결되어 흡수액의 일부가 용액펌프(5)의 토출압력에 의해 저실(11)측으로 분사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저실(11)의 하부 일단과 흡수기(2)가 배관으로 연결되어 용액펌프(5)에 의해 저실(11)로 유입되는 흡수액의 양만큼 흡수액을 다시 흡수기(2)로 배출시켜 저실(11)내에는 적정한 수준의 흡수액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추기탱크(10)의 공간부(12)는 불응축가스가 발생되는 저온재생기(4) 및 증발기(1)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저온재생기(4)와 증발기(1)에서 발생한 냉매증기와 불응축가스가 추기탱크(10)의 공간부(12)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공간부(12)로 들어간 냉매증기와 불응축가스는 분사되는 흡수액 주변에 형성되는 부압에 유도되어 저실(11)에 저장된 흡수액과 접촉됨으로써 냉매증기는 흡수액에 흡수되고 불응축가스는 흡수액 중에 기포상태로 존재하다가 수면위로 떠오르면서 저실(11) 상부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공간부(12)와 저실(11) 상부는 제1, 제2 배관(13),(14)에 의해 진공펌프(20)와 연결되어 있고, 제1, 제2 배관(13),(14)에는 제1 밸브(16)와 제2 밸브(17)가 설치되어 있으며, 진공펌프(20)의 하부에 수동밸브(22)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는, 저온재생기(4)와 증발기(1)에서 발생한 냉매증기 및 불응축가스를 추기탱크(10) 내부로 유입시켜 추기탱크(10)의 저실(11)에 저장된 흡수액과 접촉시킴으로써 냉매증기를 흡수액에 흡수시키고 불응축가스만을 진공펌프(20)을 가동하여 기외로 배출시킨다.
그런데, 이때 진공펌프 내의 응축수가 진공펌프용 오일과 혼합되게 되며, 진공펌프 내에 응축수가 존재하게 되면 진공펌프의 베인이 고착되어 진공펌프를 자주 수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진공펌프 내의 응축수를 제거하기 위해, 진공펌프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면 진공펌프내의 응축수는 상부, 진공펌프용 오일은 하부로 분리되어 운전자가 수동으로 수동밸브를 열어 진공펌프용 오일 상부에 있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상기 오일 상부에 있는 응축수를 외부 배출시킨다 하더라도, 운전자가 진공펌프의 표면온도가 일정온도 떨어진 것을 확인한 후, 일일이 수동으로 수동밸브를 열어서 배출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진공펌프의 표면에 부착된 측온저항체의 출력값에 따라 마이컴에서 진공펌프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여 일정온도가 되면 전자밸브를 자동으로 열어 진공펌프 내의 응축수를 기외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흡수식 냉온수기의 응축수 자동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흡수식 냉온수기 응축수 배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수식 냉온수기 응축수 자동 배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나타낸 개략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매증기와 불응축가스가 유입되는 공가부와, 흡수액이 분사되는 저실로 구획된 추기탱크와, 상기 추기탱크의 공간부 및 저실과 제1 및 제2 배관에 의해 연결되는 진공펌프를 구비하는 흡수식 냉온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의 표면에 부착되는 측온저항체와, 상기 진공펌프 배출부에 설치되어 진공펌프 내부의 응축수를 외기로 배출하는 전자밸브와, 상기 측온저항체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전자밸브를 자동으로 개방하여 응축수를 제거하도록 하는 마이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측온저항체의 입력값에 의해 마이컴에서 진공펌프의 표면온도를 감지하되, 표면온도가 25℃~35℃ 일 때,전자밸브를 자동으로 1분간 개방하여 진공펌프 내의 응축수를 기외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수식 냉온수기 응축수 자동 배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온재생기(4)와 증발기(1)로부터 발생된 냉매증기와 불응축가스가 유입되는 공간부(12)와, 용액펌프(5)에 의해 흡수액이 분사되는 저실(11)로 구획된 추기탱크(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추기탱크(10)의 공간부(12)와 저실(11)은 제1 배관(13)과 제2 배관(14)에 의해 진공펌프(20)와 연결되고 진공펌프(20)의 표면에는 진공펌프(20)의 표면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측온저항체(24)가 부착되고, 진공펌프(20)의 하부에는 진공펌프 내부의 응축수는 외기로 배출하는 전자밸브(28)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측온저항체(24)의 저항값을 제어부(30)에서 입력받아 입력값에 따라 진공펌프(20)의 표면온도를 감지하여 일정온도가 되면 전자밸브(28)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흡수식 냉온수기 응축수 자동 배출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우선, 저온 재생기(4)와 증발기(1)로부터 발생된 불응축가스와 냉매증기가 추기탱크(10)의 공간부(12)로 유입되고, 공간부(12)로 유입된 냉매증기와 불응축가스는 용액펌프(5)에 의해 추기탱크(10)의 저실(11)로 분사되는 흡수액 주변에 형성되는 부압에 의해 저실(11)로 유도되어 저실(11)에 저장된 흡수액과 접촉됨으로써 냉매층기는 흡수액에 흡수되고 불응축가스는 흡수액 중에 기포상태로 존재하다가 수면 위로 떠오르면 저실(11) 상부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저실(11) 상부에 모인 불응축가스만을 진공펌프(20)을 가동하여 기외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진공펌프(20) 가동 시, 진공펌프용 오일과 응축수가 혼합되게 되는데 이는 진공펌프(20)의 가동이 중지되어 진공펌프(20)의 온도가 떨어지면 진공펌프(20) 내의 응축수는 상부로 진공펌프용 오일은 하부로 분리된다.
상기 진공펌프(20) 표면에 부착된 측온저항체(24)의 저항값을 제어부(30)에서 입력받아 측온저항체(24)의 저항값을 온도로 환산함으로써 진공펌프(20)의 표면온도를 알 수 있으며, 이때, 진공펌프(20)의 표면온도가 25℃~35℃ 범위이면 제어부(30)에 의해 전자밸브(28)를 자동으로 개방하여 진공펌프 내부의 상부에 있는 응축수를 외기로 배출시켜 진공펌프(20) 내의 응축수를 제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흡수식 냉온수기 응축수 자동 배출장치에 의하면, 진공펌프에 부착된 측온저항체에 의해 진공펌프의 표면온도를 감지하여 일정온도가 되면 제어부에 의해 전자밸브가 자동으로 개폐되어 응축수를 기외로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종래 운전자에 의해 수동으로 밸브를 개폐하여 응축수를 기외로 배출시키던 방식에 비해 운전자의 잉여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냉매증기와 불응축가스가 유입되는 공간부와, 흡수액이 분사되는 저실로 구획된 추기탱크와;
    상기 추기탱크의 공간부 및 저실과 제1 및 제2 배관에 의해 연결되는 진공펌프를 구비하는 흡수식 냉온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의 표면에 부착되는 측온저항체와,
    상기 진공펌프 배출부에 설치되어 진공펌프 내부의 응축수를 외기로 배출하는 전자밸브와,
    상기 측온저항체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전자밸브를 자동으로 개방하여 응축수를 제거하도록 하는 마이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온수기 응축수 자동 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온저항체의 입력값에 의해 마이컴에서 진공펌프의 표면온도를 감지하되, 표면온도가 25℃~35℃ 일 때, 전자밸브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온수기 응축수 자동 배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밸브는 약 1분동안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흡수식 냉온수기 응축수 자동 배출장치.
KR1020020017859A 2002-04-01 2002-04-01 흡수식 냉온수기 응축수 자동 배출장치 KR200300790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859A KR20030079091A (ko) 2002-04-01 2002-04-01 흡수식 냉온수기 응축수 자동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859A KR20030079091A (ko) 2002-04-01 2002-04-01 흡수식 냉온수기 응축수 자동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091A true KR20030079091A (ko) 2003-10-10

Family

ID=32377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859A KR20030079091A (ko) 2002-04-01 2002-04-01 흡수식 냉온수기 응축수 자동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90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86081B2 (ja) 自動抽排気システム
KR20030079091A (ko) 흡수식 냉온수기 응축수 자동 배출장치
CN201202959Y (zh) 膜盒排空气自由浮球式蒸汽疏水阀
KR19990056521A (ko)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
JP2964066B2 (ja) 温水暖房システム
KR200350140Y1 (ko)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
US20100037636A1 (en) Method for servicing a refrigeration system
US20080022715A1 (en) Method for washing cooling or air conditioning circuits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JP2006214698A (ja) 抽気装置
JP3154044B2 (ja) 吸収冷凍機
CN215176153U (zh) 溴化锂制冷机排水装置
KR19990027473A (ko)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
KR100803515B1 (ko) 흡수식 냉온수기의 사이트글래스를 구비한 퍼지장치
CN211585279U (zh) 油气冷凝系统
CN109960289B (zh) 凝结水氧含量的控制方法及系统
CN108896700B (zh) 一种相容性试验系统
CN110711402A (zh) 油气冷凝系统
JP2001041614A (ja) 吸収冷凍機
KR101324510B1 (ko) 흡수식 냉동기의 오염 냉매 배출장치
KR0180599B1 (ko) 흡수식 냉,온수기
JP3086552B2 (ja) 吸収式冷凍機の不凝縮ガス自動排出装置
TW202223310A (zh) 冷媒系統線上純化再生機
CN206919410U (zh) 一种热回收锅炉
CN117308612A (zh) 还原炉自然循环冷却系统
KR200401632Y1 (ko) 흡수식 냉동사이클의 냉매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