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140Y1 -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140Y1
KR200350140Y1 KR20-2004-0004179U KR20040004179U KR200350140Y1 KR 200350140 Y1 KR200350140 Y1 KR 200350140Y1 KR 20040004179 U KR20040004179 U KR 20040004179U KR 200350140 Y1 KR200350140 Y1 KR 2003501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condensable gas
hot water
discharge devic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한
Original Assignee
기륜공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륜공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륜공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4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1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1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1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5/00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 F25B2345/004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with several tanks to collect or charge a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추기탱크(10)의 하부에 흡수액이 연통될 수 있는 보조탱크(30)가 설치되어, 흡수액의 수압 유동으로 불응축가스의 저장 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보조탱크의 설치는, 불응축가스의 저장 공간확보로 운전자의 추기 횟수가 감소되며, 불응축가스의 포집이 포화되어 역류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흡수식 냉온수기의 냉동 능력이 항상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NON-CONDENSABLE GAS DISCHARGER OF A ABSORPTION CHILLER-HEATER}
본 고안은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상세하게는 기내에서 발생되는 불응축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장치는 모든 기후조건과 실내환경에 따라 최적의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실내공기를 시원하게 하거나 따뜻하게 하는 냉방장치 및 난방장치를 비롯하여, 습도를 적당하게 유지하기 위한 가습장치와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장치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공기조화장치는 사용하는 냉매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할 수 있으며, 특히 물을 냉매로 사용하는 것으로는 흡수식 냉온수기가 있다.
일반적으로, 흡수식 냉온수기는 흡수제인 브롬화리듐과 냉매인 물의 이원 혼합물(二元 混合物), 즉 희석용액을 매체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흡수식 냉온수기는 제작시 외부로부터의 누입량을 줄이기 위해 플랜지이음, 나사이음 등을 용접화하고, 기내의 상태관찰용 보기창을 삭제하는 등 누설을 억제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제작 후 헬륨가스를 이용한 누설 검사를 통해 극히 미세한 누설조차 허용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흡수식 냉온수기의 운전시에는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과 함께 봉입되어 있는 부식억제제에 의해 강판 표면에 보호피막이 형성되는데, 이때 수소가스 즉, 불응축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불웅축가스가 기내에 존재하게 되면 냉온수기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불응축가스 배출장치를 통해 불응축가스를 기외로 배출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웅축가스 배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것으로서, 추기탱크(10)는 저실(11)과 공간부(12)로 구분되어 있으며, 저실(11)은 용액펌프(5)의 일단과 배관으로 연결되어 흡수액의 일부가 용액펌프(5)의 토출압력에 의해 저실(11)측으로 분사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저실(11)의 하부 일단과 흡수기(2)가 배관으로 연결되어 용액펌프(5)에 의해 저실(11)로 유입되는 흡수액의 양만큼 흡수액을 다시 흡수기(2)로 배출시켜 저실(11)내에는 적정한 수준의 흡수액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추기탱크(10)의 공간부(12)는 불응축가스가 발생되는 저온재생기(4) 및 증발기(1)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저온재생기(4)와 증발기(1)에서 발생한 냉매증기와 불응축가스가 추기탱크(10)의 공간부(12)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공간부(12)로 들어간 냉매증기와 불응축가스는 분사되는 흡수액 주변에 형성되는 부압에 유도되어 저실(11)에 저장된 흡수액과 접촉됨으로써 냉매증기는 흡수액에 흡수되고 불응축가스는 흡수액 중에 기포상태로 존재하다가 수면위로 떠오르면서 저실(11) 상부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공간부(12)와 저실(11) 상부는 제 1, 제 2 배관(13),(14)에 의해 진공펌프(20)와 연결되어 있고, 제 1 , 제 2 배관(13)(14)에는 제 1 밸브(16)와 제 2 밸브(17)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제 1 밸브(16) 및 제 2 밸브(17)와 진공펌프(20)사이의 관로에는 진공압력감지기(18)와 진공전자밸브(2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진공전자밸브(21)는 진공펌프(20)의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오픈(open)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는, 저온재생기(4)와 증발기(1)에서 발생한 냉매증기 및 불응축가스를 추기탱크(10) 내부로 유입시켜 추기탱크(10)의 저실(11)에 저장된 흡수액과 접촉시킴으로써 냉매증기를 흡수액에 흡수시키고 불응축가스만을 진공펌프(20)를 통해 기외로 배출시키게 된다.
불응축가스의 배출은, 운전자가 진공압력감지기(18)를 통해 추기탱크(10) 내부의 진공도를 파악한 후, 수동으로 저실(11) 상부와 연결된 제 2 밸브(17)를 열고 진공펌프(20)를 동작시켜 추기탱크(10) 내부의 불응축가스를 기외로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추기탱크(10)의 공간부(12)에 포집될 수 있는 불응축가스의 저장 공간이 협소하여, 운전자가 수시로 추기탱크(10)의 진공도를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전자의 미숙으로 인해 즉, 수시로 채워지는 불응축가스의 배출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불응축가스가 역류되어 진공도가 저하되고 이로 인해 냉온수기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추기탱크와 연통되는 보조탱크를 설치함으로서, 불응축가스의 저장 공간이 확보되어 운전자의 추기 횟수가 감소되며, 불응축가스의 포집이 포화되어 역류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냉매증기와 불응축가스가 유입되는공간부와, 흡수액이 분사되는 저실로 구획되는 추기탱크를 구비한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에 있어서, 추기탱크의 하부에 흡수액이 연통될 수 있는 보조탱크가 설치되어, 상기 흡수액의 수압 유동으로 불응축가스의 저장 공간이 확보되는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증발기 2 : 흡수기
4 : 저온재생기 5 : 용액펌프
10 : 추기탱크 11 : 저실
12 : 공간부 13,14 : 제 1, 제 2 배관
20 : 진공펌프 30 : 보조탱크
32 : 연결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선행기술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로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는, 저온재생기(4)와 증발기(1)로부터 발생된 냉매증기와 불응축가스가 유입되는 공간부(12)와, 용액펌프(5)에 의해 흡수액이 분사되는 저실(11)로 구획된 추기탱크(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추기탱크(10)의 공간부(12)와 저실(11)은 제 1 배관(13)과 제 2 배관(14)에 의해 진공펌프(20)와 연결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특징으로 추기탱크(10)의 하부에 흡수액이 연통될 수 있는보조탱크(30)가 설치된다.
보조탱크(30)는 추기탱크(10)의 근접부에 연결관(32)으로 하여 내부가 연통되도록 수직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보조탱크(30)는 내부가 이중관으로 구성된다.
또한, 보조탱크(30)는 추기탱크(10) 보다 높이가 낮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흡수액이 추기탱크(10)와 보조탱크(30)에 같은 수위를 유지한 상태로 채워져 있다.
흡수액은, 저실(11)의 하부 일단과 흡수기(2)가 배관으로 연결되어 용액펌프(5)에 의해 저실(11)로 유입되는 흡수액의 양만큼 흡수액을 다시 흡수기(2)로 배출시켜 저실(11)내에는 적정한 수준의 흡수액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저온 재생기(4)와 증발기(1)로부터 발생된 불응축가스와 냉매증기가 추기탱크(10)의 공간부(12)로 유입되고, 공간부(12)로 유입된 냉매증기와 불응축가스는 용액펌프(5)에 의해 추기탱크(10)의 저실(11)로 분사되는 흡수액 주변에 형성되는 부압에 의해 저실(11)로 유도되어 저실(11)에 저장된 흡수액과 접촉됨으로써 냉매증기는 흡수액에 흡수되고 불응축가스는 흡수액중에 기포상태로 존재하다가 수면위로 떠오르면서 저실(11) 상부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추기탱크(10)의 저실(11) 상부에 모인 불응축가스로 인해 저실(11)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어 흡수액에 압력이 가해지면 흡수액은 밀려난 만큼 보조탱크(30)로 유입된다. 따라서 공간부(12)에 불응축가스의 저장 공간이 확보되며, 보조탱크(30)의 수위가 만수가 되는 적정 수위까지 불응축가스가 모이게 된다.
불응축가스의 배출은, 운전자가 진공압력감지기(18)를 통해 추기탱크(10) 내부의 진공도를 파악한 후, 수동으로 저실(11) 상부와 연결된 제 2 밸브(17)를 열고 진공펌프(20)를 동작시켜 추기탱크(10) 내부의 불응축가스를 기외로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처럼, 보조탱크(30)의 설치로 불응축가스의 저장 공간 확보는 잦은 불응축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아도 되며, 수시로 채워진 불응축가스의 역류 현상이 방지된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는, 추기탱크와 연통되는 보조탱크를 설치함으로서, 불응축가스의 저장 공간확보로 운전자의 추기 횟수가 감소되며, 불응축가스의 포집이 포화되어 역류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흡수식 냉온수기의 냉동 능력이 항상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냉매증기와 불응축가스가 유입되는 공간부와, 흡수액이 분사되는 저실로 구획되는 추기탱크를 구비한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기탱크(10)의 하부에 흡수액이 연통될 수 있는 보조탱크(30)가 설치되어, 상기 흡수액의 수압 유동으로 불응축가스의 저장 공간이 확보되는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30)는 상기 추기탱크(10)와 같이 수직하게 설치되며, 이중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30)는 상기 추기탱크(10) 보다 높이가 낮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
KR20-2004-0004179U 2004-02-18 2004-02-18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 KR2003501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179U KR200350140Y1 (ko) 2004-02-18 2004-02-18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179U KR200350140Y1 (ko) 2004-02-18 2004-02-18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140Y1 true KR200350140Y1 (ko) 2004-05-12

Family

ID=49429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179U KR200350140Y1 (ko) 2004-02-18 2004-02-18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1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1919B1 (en) Refrigeration system with purge using enrivonmentally-suitable chiller refrigerant
US7891202B1 (en) Absorption system
KR200350140Y1 (ko)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
US3131546A (en) Purge arrangements
JP5606714B2 (ja) 抽気回収装置とその運転方法及びそれを備えたターボ冷凍機
US2374564A (en) Safety device for valves
KR19990056521A (ko)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
CN209782881U (zh) 一种无制冷压缩机的空调制冷系统
US3309894A (en) Device for separating, removing, and storing non-condensable gas in absorption-type refrigerators
KR20030079091A (ko) 흡수식 냉온수기 응축수 자동 배출장치
KR100803515B1 (ko) 흡수식 냉온수기의 사이트글래스를 구비한 퍼지장치
JP2006214698A (ja) 抽気装置
CN219589212U (zh) 一种具有精准液位控制结构的空调储液器
US2730869A (en) Purging device for closed refrigeration systems
KR19990027473A (ko)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
CN215176153U (zh) 溴化锂制冷机排水装置
JP7313356B2 (ja) 閉サイクル吸収トランスフォーマーヒートポンプ及び閉サイクル吸収チラーシステムから非凝縮ガスを除去するモータレスパージシステムと方法
CN211953346U (zh) 氟利昂制冷系统自动排空装置
US4457143A (en) Absorption type heat pump device
KR200401632Y1 (ko) 흡수식 냉동사이클의 냉매재생장치
KR0180599B1 (ko) 흡수식 냉,온수기
JP2005265296A (ja) 冷蔵庫
KR200289065Y1 (ko) 실외기 없는 에어콘
CN206330326U (zh) 一种具有防腐功能的热泵机组用蒸发器
SU1717907A1 (ru) Система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 воздуха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