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9020A -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9020A
KR20030079020A KR1020020017762A KR20020017762A KR20030079020A KR 20030079020 A KR20030079020 A KR 20030079020A KR 1020020017762 A KR1020020017762 A KR 1020020017762A KR 20020017762 A KR20020017762 A KR 20020017762A KR 20030079020 A KR20030079020 A KR 20030079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module
server
ftp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7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희
정송
장주욱
조혁래
Original Assignee
(주)텔리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텔리젠 filed Critical (주)텔리젠
Priority to KR1020020017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9020A/ko
Publication of KR20030079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9020A/ko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상에서 멀티미디어 형식의 원격강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원격강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격강의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강의저작 시스템, 상기 원격강의 컨텐츠의 게시 및 수강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서버시스템, 및 상기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원격강의를 제공받기 위한 강의수강 시스템을 포함하며, 인터넷 상에서 제공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컨텐츠를 강사 혼자서 제작, 편집, 게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 상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컨텐츠를 강사 혼자서 제작, 편집, 게시할 수 있기 때문에 강의 제작 비용 및 강의 제작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사가 제작한 원격강의 컨텐츠를 웹마스터가 업로드하는 종전의 방식과는 달리 제작한 원격강의 컨텐츠를 강사가 직접 업로드할 수 있어 원격강의 컨텐츠 업로드에 따른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REMOTE LECTURE USING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 상에서 멀티미디어 형식의 원격강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원격강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강의 컨텐츠를 강사혼자서 제작, 편집, 게시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교육을 위하여 강사와 수강자가 같은 장소에 모여야만 했다. 그런데, 최근 인터넷 통신 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수강자가 교육 장소에 가지 않고도 집에서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 강의를 수강하는 것이 가능하여지고 있다.
특히, 인터넷 통신의 특성상 하나의 컨텐츠를 여러 사람이 다른 시간에 다른 장소에서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는, 이른바 주문형 서비스(On Demand Service)가 가능하므로 시간 및 장소의 제약 해소라는 본래의 목적이외에 반복학습을 통한 학습효과의 극대화라는 부차적인 성과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강의 방법은 교육 자료를 서버에 올려놓고 이를 다운로드 받아 지정된 재생기로 재생하는 방식이다. 즉, 강사가 텍스트 자료들 또는 그림 자료들을 웹사이트에 링크시키면 사용자는 상기 자료들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 결과, 인터넷 상에서 원격강의를 수강하는 수강자 입장에서는 텍스트로 되어 있는 자료를 오프라인에서 읽는 것과 별반 다를 바가 없는 기술에 불과하였다.
이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교육 시장은 많은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많이 확산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자료의 멀티미디어화와 스트리밍 서비스의 도입 등 여러가지 방법들이 사용되어 개선된 원격강의 시스템들이 속속 출현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들은 일관되지 못한 컨텐츠 제작 방식과 복잡한 강의 제작 과정으로 인해 높은 강의 제작 비용 및 장시간의 강의 제작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시스템은 강사가 제작한 원격강의 컨텐츠를 웹마스터가 업로드하는 체계로 되어 있어 강의 업로드시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인터넷 상에서 서비스 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컨텐츠를 강사 혼자서 제작, 편집, 게시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상기 제 1목적에 부가하여, 인터넷을 이용한 자동화된 강의 업로드 방식을 도입한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상기 제 1목적에 부가하여, 독자적인 스트리밍 전송방법과 연계하여 크기가 큰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컨텐츠를 수강자의 요구 즉시 서비스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목적은 상기 제 1목적에 부가하여, 시변 의존성을 보이는 인터넷 망의 대역폭 변화에 대해서도 원격지의 다수의 수강자가 동시에 교육받을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시스템 전체의 블록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웹 저작모듈을 통해 제작된 원격강의 컨텐츠를 FTP 를 이용한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원격강의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웹 저작모듈을 통해 제작된 원격강의 컨텐츠를 XML을 이용한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원격강의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저작모듈을 통해 제작된 원격강의 컨텐츠를 FTP를 이용한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원격강의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저작모듈을 통해 제작된 원격강의 컨텐츠를 XML를 이용한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원격강의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웹 저작모듈을 통해 제작된 원격강의 컨텐츠의 업로드 흐름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저작모듈을 통해 제작된 원격강의 컨텐츠의 업로드 흐름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FTP를 이용한 스트리밍 전송방식의 원격강의 수강 방법의 흐름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XML을 이용한 스트리밍 전송방식의 원격강의 수강 방법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강의저작 시스템110, 310 : 자바스크립트 실행기
120, 320 : HTTP 모듈130 : 웹 저작모듈
134, 334 : FTP 모듈136 : 강의파일 변환모듈
140 : 오프라인 저작모듈200 : 서버시스템
210 : 웹서버212 : HTTP 서버
214 : ASP/PHP 서버216 : MMS 서버
220 : DB 서버230 : FTP 서버
300, 400 : 강의수강 시스템330 : 웹 뷰어모듈
420 : XML 해석기440 : VML 실행기
450 : HTML 뷰어460 :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시스템은 원격강의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강의저작 시스템, 상기 원격강의 컨텐츠의 게시 및 수강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서버시스템, 및 상기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원격강의를 제공받기 위한 강의수강 시스템을 포함하며, 인터넷 상에서 서비스 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컨텐츠를 강사 혼자서 제작, 편집, 게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시스템 전체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시스템은 웹브라우저를 통해 실행되며 강의저작 시스템(100), 서버시스템(200), 및 강의수강 시스템(300, 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강의저작 시스템(100)은 웹 저작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오프라인 저작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웹 저작모듈(130)을 포함한 강의저작 시스템(100)은 웹브라우저 상에서 원격강의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웹 저작모듈(130), 제작된 원격강의 컨텐츠를 XML 파일로 변환하는 강의파일 변환모듈(136), 상기 원격강의 컨텐츠의 스트리밍 포맷 변환과 FTP(File Transfer Protocol) 송신을 수행하는 FTP 모듈(134), 웹브라우저에서 상기 웹 저작모듈과 상기 FTP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자바스크립트 함수를 실행하는 자바스크립트 실행기(110), 및 HTML(HyperText Mark up Language) 파일을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의 HTML 파일을 해석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모듈(120)을 포함한다.
상기 웹 저작모듈(130)은 웹브라우저 안에 개별 모듈이 통합된 구성의 ActiveX 모듈로서, 실제적으로 강의를 제작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강의파일 변환모듈(13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웹 저작모듈(130)은 비디오 처리모듈, 음성 처리모듈, 화이트 보드, 텍스트 처리모듈, 플래시와 오피스 문서와 동영상 등의 외부문서 처리모듈, 이미지 캡쳐모듈, 저장/재생 모듈로 이루어진다.
상기 웹 저작모듈(130)은 강사 단독으로 강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듈로서, 강의 제작 작업동안 강사의 음성과 동화상 역시 별도의 인력없이 강의 자료안에 포함시킬 수 있는 웹기반의 저작모듈이다.
또한, 상기 웹 저작모듈은 외부문서 처리모듈을 통해 텍스트 외에 그림 파일, 웹문서, 동영상 파일, 플래시 파일 등의 외부문서를 쉽게 삽입할 수 있으며, 특히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과 같은 오피스 프로그램으로 제작된 파일과 한소프트의 한글로 제작된 파일, 어도비사의 PDF 파일 등의 외부문서도 쉽게 삽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보다 다채로운 형태의 멀티미디어 강의를 수행할 수 있다.
강의저작 시스템에 상기 웹 저작모듈과 FTP 모듈이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 자동설치를 위한 ActiveX 모듈이 상기 웹 저작모듈과 FTP 모듈을 자동으로 설치하므로 강사는 별다른 어려움없이 강의를 제작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웹 저작모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본원 출원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2001-0017555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오프라인 저작모듈(140)을 포함한 강의저작 시스템(100)은 오프라인상에서 강의를 제작하기 위한 오프라인 저작모듈(140), 제작된 원격강의 컨텐츠를 XML 파일로 변환하는 강의파일 변환모듈(136), 상기 원격강의 컨텐츠의 스트리밍 포맷 변환과 FTP(File Transfer Protocol) 송신을 수행하는 FTP 모듈(134), 웹브라우저에서 상기 FTP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자바스크립트 함수를 실행하는 자바스크립트 실행기(110), 및 HTML(HyperText Mark up Language) 파일을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의 HTML 파일을 해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모듈(120)을 포함한다.
상기 오프라인 저작모듈(140)은 웹브라우저 상에서 강의를 제작하지 않고 오프라인 상에서 강의를 제작하기 위한 도구로서, 오프라인 상에서 제작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웹 저작모듈(13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서버시스템(200)은 웹서버(210), 원격강의 컨텐츠의 경로와 강사현황과 수강자 현황 등의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DB 서버(220), 및 원격강의 컨텐츠를 송수신하고 FTP를 이용한 스트리밍 전송시 원격강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FTP 서버(230)를 포함한다.
상기 웹서버(210)는 웹 기능을 수행하는 HTTP 서버(212), ASP(Active Server Page) 프로그램과 PHP(Personal Home Page Tools)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ASP/PHP 서버(214), 및 Microsoft Windows Media 기술에 의한 스트리밍 서버로서 동영상 데이터 전송 작업을 수행하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미디어 서버(MMS:Microsoft Windows Media Server)(216)로 구성된다. 상기 MMS(216)는 윈도우2000서버 이상의 OS에서 무료로 제공된다.
상기 HTTP 서버(212)는 원격강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HTML을 가지고 있는 서버로서, 각종 HTTP요청을 처리하고 HTML 파일, 저작모듈 설치파일(*.CAB파일), 뷰어모듈 설치파일(*.CAB파일) 등이 저장된다.
상기 강의수강 시스템(300, 400)이 FTP를 이용하여 스트리밍 전송 받을 경우 별도의 웹 뷰어모듈이 설치되어야 하며, XML을 이용하여 스트리밍 전송 받을 경우 별도의 웹 뷰어모듈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일반적인 웹브라우저만 설치되어 있으면 강의수강이 가능하다.
또한, 강의수강 시스템에 상기 웹 뷰어모듈이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 자동설치를 위한 ActiveX 모듈이 상기 웹 뷰어모듈을 자동으로 설치하므로 수강자는 별다른 어려움없이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
웹 뷰어모듈(330)을 포함하는 강의수강 시스템(300)은 원격강의 컨텐츠의 FTP 수신을 수행하는 FTP 모듈(334), 강의뷰어 프로그램의 통합 모듈인 웹 뷰어모듈(330), 웹브라우저에서 상기 웹 뷰어모듈(330)과 상기 FTP 모듈(334)을 제어하기 위한 자바스크립트 함수를 실행하는 자바스크립트 실행기(310), 및 HTML 파일을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의 HTML 파일을 해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모듈(320)을 포함한다.
상기 웹 뷰어모듈(330)은 실제적으로 강의를 보여주는 기능을 하며, 원격강의 컨텐츠의 FTP 수신을 수행하는 FTP 모듈(33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강의수강 시스템에 상기 FTP 모듈이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 자동설치를 위한 ActiveX 모듈이 상기 FTP 모듈을 자동으로 설치한다.
일반적인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강의수강 시스템(400)은 XML 데이터를 해석하는 XML 해석기(420), VML 형식으로 구성된 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보조하는 VML 실행기(440), 상기 XML 해석기에서 해석된 데이터와 VML형식의 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HTML 뷰어(450), 동영상 재생을 담당하는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460), 웹브라우저에서 상기 HTML 뷰어(450)와 상기 VML 실행기(440) 및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460)을 제어하기 위한 자바스크립트 함수를 실행하는 자바스크립트 실행기(310), 및 HTML 파일을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의 HTML 파일을 해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모듈(32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시스템을 웹 저작모듈을 사용하여 제작한 원격강의 컨텐츠를 FTP를 이용하여 스트리밍할 경우, 웹 저작모듈을 사용하여 제작한 원격강의 컨텐츠를 XML을 이용하여 스트리밍할 경우, 오프라인 저작모듈을 사용하여 제작한 원격강의 컨텐츠를 FTP를 이용하여 스트리밍할 경우, 오프라인 저작모듈을 사용하여 제작한 원격강의 컨텐츠를 XML을 이용하여 스트리밍할 경우로 구분하여 각각의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웹 저작모듈을 통해 제작된 원격강의 컨텐츠를 FTP 를 이용한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원격강의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격강의 시스템은 웹 저작모듈(130)을 포함하는 강의저작 시스템(100), 서버시스템(200), 및 웹 뷰어모듈(330)을 포함하는 강의수강 시스템(300)으로 구성된다.
강사가 상기 강의저작 시스템(100)의 웹 저작모듈(130)을 통해 원격강의 컨텐츠를 제작하면, 상기 강의저작 시스템(100)의 FTP 모듈(136)은 상기 제작된 원격강의 컨텐츠를 서버시스템(200)의 FTP 서버(230)로 업로드한다.
그리고, 상기 FTP 서버(230)는 상기 원격강의 컨텐츠를 강의수강 시스템(300)의 FTP 모듈(334)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FTP 서버(230)는 상기 원격강의 컨텐츠를 FTP를 이용한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며, 수신된 원격강의 컨텐츠는 강의수강 시스템(300)의 웹 뷰어모듈(330)을 통해 제공된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웹 저작모듈을 통해 제작된 원격강의 컨텐츠를 XML을 이용한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원격강의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격강의 시스템은 웹 저작모듈을 포함하는 강의저작 시스템(100), 서버시스템(200), 및 일반적인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강의수강 시스템(400)으로 구성된다.
강사가 상기 강의저작 시스템(100)의 웹 저작모듈(130)을 통해 원격강의 컨텐츠를 제작하면, 강의파일 변환모듈(136)이 상기 원격강의 컨텐츠를 XML 파일로 변환한다.
상기 강의파일 변환모듈(136)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본원 출원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2002-0002850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변환된 XML 파일을 상기 강의저작 시스템(100)의 FTP 모듈(134)이 서버시스템(200)의 FTP 서버(230)로 업로드한다. 업로드된 XML 파일은 HTTP 서버(210)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HTTP 서버(210)는 상기 XML 파일을 HTTP를 이용한 스트리밍 방식으로 강의수강 시스템(400)의 HTTP 모듈(320)로 전송하고, HTML 뷰어(450)는 상기 HTTP 모듈(320)로 전송된 XML 파일을 디스플레이한다. 동영상은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460)을 통해 제공된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저작모듈을 통해 제작된 원격강의 컨텐츠를 FTP를 이용한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원격강의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격강의 시스템은 오프라인 저작모듈(140)을 포함하는 강의저작 시스템(100), 서버시스템(200), 및 웹 뷰어모듈(330)을 포함하는 강의수강 시스템(300)으로 구성된다.
강사가 상기 강의저작 시스템(100)의 오프라인 저작모듈(140)을 통해 원격강의 컨텐츠를 제작하면, 상기 강의저작 시스템(100)의 FTP 모듈(134)은 상기 제작된 원격강의 컨텐츠를 서버시스템(200)의 FTP 서버(230)로 업로드한다.
그리고, 상기 FTP 서버(230)는 상기 원격강의 컨텐츠를 강의수강 시스템(300)의 FTP 모듈(334)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FTP 서버(230)는 상기 원격강의 컨텐츠를 FTP를 이용한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며, 수신된 원격강의 컨텐츠는 강의수강 시스템(300)의 웹 뷰어모듈(330)을 통해 제공된다.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저작모듈을 통해 제작된 원격강의 컨텐츠를 XML를 이용한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원격강의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격강의 시스템은 오프라인 저작모듈(140)을 포함하는 강의저작 시스템(100), 서버시스템(200), 및 일반적인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강의수강 시스템(400)으로 구성된다.
강사가 상기 강의저작 시스템(100)의 오프라인 저작모듈(140)을 통해 원격강의 컨텐츠를 제작하면, 강의파일 변환모듈(136)이 상기 원격강의 컨텐츠를 XML 파일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변환된 XML 파일을 상기 강의저작 시스템(100)의 FTP 모듈(134)이 서버시스템(200)의 FTP 서버(230)로 업로드한다. 업로드된 XML 파일은 HTTP 서버(212)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HTTP 서버(212)는 상기 XML 파일을 HTTP를 이용한 스트리밍 방식으로 강의수강 시스템의 HTTP 모듈(320)로 전송하고, HTML 뷰어(450)는 상기 HTTP 모듈(320)로 전송된 XML 파일을 디스플레이한다. 동영상은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460)을 통해 제공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웹 저작모듈을 통해 제작된 원격강의 컨텐츠의 업로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웹 저작모듈을 통해 제작된 원격강의 컨텐츠의 업로드방법은 강사가 웹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한다(S300).
그러면, 상기 웹서버는 로그인한 강사의 아이디, 비밀번호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DB 서버로 인증을 요청한다(S310).
DB 서버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를 웹서버로 전송한다(S320). 상기 웹서버는 로그인한 강사의 정보에 맞는 세션을 설정한다(S330).
그후, 강사가 강의 게시판으로 이동하여 강의 제작을 선택한다(S340). 그러면, ActiveX 형태의 웹 저작모듈이 포함된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FTP 모듈이 강의저작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자동으로 FTP 모듈이 설치된다. 강의 게시판 이동 과정과 강의 제작 선택 과정은 일반 웹게시판을 이용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상기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면 자바스크립트 실행기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 로그인한 강사에 해당하는 FTP 정보(예를 들면, FTP URL, ID, PASSWORD)가 웹서버로 요청된다.
웹서버가 상기 FTP 정보를 DB 서버로 요청하면(S350), 상기 DB서버는 강사의 개인정보에 기록되어 있는 FTP 정보를 검색하여 웹서버로 전송하고(S360), 상기 웹서버는 상기 FTP 정보를 FTP 모듈로 전송한다(S370). 여기서, FTP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FTP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흐름은 아래와 같다.
HTTP 모듈 -> HTTP 서버 -> ASP/PHP 서버 -> DB 서버 -> ASP/PHP 서버 -> HTTP 서버-> HTTP 모듈 -> 웹 저작모듈 -> FTP 모듈
강사가 상기 웹 저작모듈을 사용하여 강의를 제작하고(S380), 강의 제작이완료되면 자바스크립트 실행기가 자동으로 현재날짜와 강사 아이디 등을 조합하여 폴더이름을 생성한다.
상기 FTP 모듈이 상기 FTP 정보와 폴더이름을 이용하여 원격강의 컨텐츠를 업로드한다(S390). 원격강의 컨텐츠는 FTP 서비스 공간에 업로드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는 FTP 서버에 저장된다.
여기서, 강의에 대한 요약, 참조문서 등의 추가정보를 기록할 수 있으며(S400) 모든 과정이 끝나면 등록완료 버튼을 선택하여 최종적으로 업로드를 완료한다(S410). 여기서, 원격강의 컨텐츠를 업로드하기 위한 신호 흐름은 아래와 같다.
HTTP 모듈 -> 자바스크립트 실행기 -> HTTP 모듈 -> (FTP 모듈 -> FTP 서버 -> FTP 모듈) -> HTTP 모듈의 순서이다. ()는 반복된 동작을 나타낸다.
업로드가 완료되면, DB 서버는 상기 FTP 정보와 폴더이름을 저장한다(S420, S430, S440).
상기 원격강의 컨텐츠를 XML 파일로 변환하여 업로드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일단 강의 제작이 완료되면, 강의파일 변환모듈이 상기 원격강의 컨텐츠를 XML 파일로 변환한다.
그러면, 자바스크립트 실행기가 자동으로 현재날짜와 강사 아이디 등을 조합하여 폴더이름을 생성한다.
FTP 모듈이 FTP 정보와 폴더이름을 이용하여 상기 변환된 XML 파일을 FTP 서버를 통해 업로드한다(S390). 상기 XML 파일은 HTTP 서버에 저장된다.
업로드시, 강의에 대한 요약, 참조문서 등의 추가정보를 기록할 수 있으며(S400) 모든 과정이 끝나면 등록완료 버튼을 선택하여 최종적으로 업로드를 완료한다(S410).
상기 DB 서버는 상기 FTP 정보와 폴더이름을 저장한다(S420, S430, S440).
본 발명의 강의 업로드 방식은 기존의 웹게시판의 이용방법과 동일하기 때문에 강사는 강의 등록에 별다른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저작모듈을 통해 제작된 원격강의 컨텐츠의 업로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라인 저작모듈을 통해 제작된 원격강의 컨텐츠의 업로드방법은 우선, 강사가 오프라인 저작모듈을 통해 강의를 제작한다(S500).
강의제작이 완료되면, 강사가 웹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한다(S506, S510, S520, S530). 그리고 강의 게시판으로 이동하여 강의 업로드를 선택한다(S540). 그러면, ActiveX 형태의 FTP 모듈이 포함된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FTP 모듈이 강의저작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자동으로 FTP 모듈이 설치된다. 강의 게시판 이동 과정과 강의 제작 선택 과정은 일반 웹게시판을 이용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상기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면 자바스크립트 실행기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 로그인한 강사에 해당하는 FTP 정보(예를 들면, FTP URL, ID, PASSWORD)가 웹서버로 요청된다.
웹서버가 상기 FTP 정보를 DB 서버로 요청하면(S550), 상기 DB서버는 강사의개인정보에 기록되어 있는 FTP 정보를 검색하여 웹서버로 전송하고(S560), 상기 FTP 모듈이 상기 FTP 정보를 수신한다(S570).
강사가 업로드할 강의 파일을 선택하여 업로드를 요청하면(S572), 자바스크립트 실행기가 자동으로 현재날짜와 강사 아이디 등을 조합하여 폴더이름을 생성한다.
상기 FTP 모듈이 상기 FTP 정보와 폴더이름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원격강의 컨텐츠를 업로드한다(S580). 원격강의 컨텐츠는 FTP 서비스 공간에 업로드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는 FTP 서버에 저장된다.
업로드시, 강의에 대한 요약, 참조문서 등의 추가정보를 기록할 수 있으며(S582) 모든 과정이 끝나면 등록완료 버튼을 선택하여 최종적으로 업로드를 완료한다(S590).
상기 DB 서버는 상기 FTP 정보와 폴더이름을 저장한다(S600, S610, S620).
상기 원격강의 컨텐츠를 XML 파일로 변환하여 업로드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일단 강의 제작이 완료되면, 강의파일 변환모듈이 상기 원격강의 컨텐츠를 XML 파일로 변환한다.
그후, 강사가 웹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한다(S506, S510, S520, S530). 그리고 강의 게시판으로 이동하여 강의 업로드를 선택한다(S540). 그러면, ActiveX 형태의 FTP 모듈이 포함된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FTP 모듈이 강의저작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자동으로 FTP 모듈이 설치된다. 강의 게시판 이동 과정과 강의 제작 선택 과정은 일반 웹게시판을 이용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상기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면 자바스크립트 실행기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 로그인한 강사에 해당하는 FTP 정보가 웹서버로 요청된다.
웹서버가 상기 FTP 정보를 DB 서버로 요청하면(S550), 상기 DB서버는 강사의 개인정보에 기록되어 있는 FTP 정보를 검색하여 웹서버로 전송하고(S560), FTP 모듈이 상기 FTP 정보를 수신한다(S570).
강사가 업로드할 XML 파일을 선택하여(S572) 업로드를 요청하면, 자바스크립트 실행기가 자동으로 현재날짜와 강사 아이디 등을 조합하여 폴더이름을 생성한다.
상기 FTP 모듈이 상기 FTP 정보와 폴더이름을 이용하여 상기 변환된 XML 파일을 FTP 서버를 통해 업로드한다(S580). 상기 XML 파일은 HTTP 서버에 저장된다.
업로드시, 강의에 대한 요약, 참조문서 등의 추가정보를 기록할 수 있으며(S582) 모든 과정이 끝나면 등록완료 버튼을 선택하여 최종적으로 업로드를 완료한다(S590).
상기 DB 서버는 상기 FTP 정보와 폴더이름을 저장한다(S600, S610, S620).
본 발명의 강의 업로드 방식은 기존의 웹게시판의 이용방법과 동일하기 때문에 강사는 강의 등록에 별다른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FTP를 이용한 스트리밍 전송방식의 원격강의 수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FTP를 이용한 스트리밍 방식을 통한 원격강의 수강방법은 우선, 수강자가 원격강의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고(S700, S710, S720, S730) 강의 게시판에서 수강할 원격강의를 선택한다(S740).
그러면, 웹 뷰어모듈이 포함된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면 자동으로 상기 강의에 해당하는 FTP 정보와 폴더이름이 DB에서 검색되어 FTP 모듈에 입력된다(S750, S760, S770). 이때, 웹 뷰어모듈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자동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FTP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FTP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흐름은 아래와 같다.
HTTP 모듈 -> HTTP 서버 -> ASP/PHP 서버 -> DB 서버 -> ASP/PHP 서버 -> HTTP 서버 -> HTTP 모듈 -> 웹 뷰어모듈 -> FTP 모듈
그 다음에, FTP 모듈이 상기 FTP 정보와 폴더이름을 사용하여 FTP 서버로 강의 수강을 요청한다(S780).
그러면, 상기 웹 뷰어모듈이 상기 FTP 서버로부터의 원격강의 컨텐츠를 FTP를 이용한 스트리밍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한다(S790, S792).
여기서, 원격강의를 수강하기 위한 신호 흐름은 아래와 같다.
HTTP 모듈-> 자바스크립트 실행기 -> HTTP 모듈 -> 웹 뷰어모듈 -> (FTP 모듈 -> FTP 서버 -> FTP 모듈 -> 웹 뷰어모듈) -> HTTP 모듈의 순서이다. ()는 반복된 동작을 나타낸다.
수강이 끝나면(S800) 수강자 클라이언트는 강의 수강화면을 종료한다(S810).
본 발명의 FTP를 이용한 스트리밍 전송 방법은 본원 출원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2001-0051505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파일을 이용한 FTP 스트리밍 전송 방법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XML을 이용한 스트리밍 전송방식의 원격강의 수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XML을 이용한 스트리밍 방식을 통한 원격강의 수강방법은 우선, 수강자가 원격강의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고(S900, S910, S920, S930) 강의 게시판에서 수강할 원격강의를 선택한다(S940).
상기 선택한 XML 파일이 HTTP를 이용한 스트리밍 방식으로 웹브라우저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S950, S960). 이때, 별도의 뷰어모듈은 필요하지 않으며 일반적인 웹페이지를 통해 강의가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원격강의를 수강하기 위한 신호 흐름은 아래와 같다.
HTTP 모듈-> HTTP 서버 -> HTTP 모듈 -> XML 해석기 -> HTTP 모듈 -> 자바스크립트 실행기 -> HTTP 모듈 -> HTML 뷰어이다.
동영상은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을 통하여 제공된다.
여기서, 동영상이 제공되기 위한 신호 흐름은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 -> MMS 서버 ->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의 순서이다.
수강이 끝나면(S970) 수강자 클라이언트는 강의 수강화면을 종료한다(S980).
본 발명의 XML을 이용한 스트리밍 전송 방법은 본원 출원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2002-0001250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XML 파일을 HTTP를 이용하여 스트리밍 전송하는 방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강의를 제공받기 위해 수강자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계열의 OS를 사용해야하며, 강의수강 시스템에 버전 5.5이상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브라우저와 버전 6.4이상의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전제 사항은 최근의 컴퓨터 사용자들이 보편적으로 갖추고 있는 상황이므로 대부분의 수강자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 상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컨텐츠를 강사 혼자서 제작, 편집, 게시할 수 있기 때문에 강의 제작 비용 및 강의 제작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사가 제작한 원격강의 컨텐츠를 웹마스터가 업로드하는 종전의 방식과는 달리 제작한 원격강의 컨텐츠를 강사가 직접 업로드할 수 있어 원격강의 컨텐츠 업로드에 따른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트리밍 방식을 사용하여 크기가 큰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컨텐츠를 수강자의 요구 즉시 서비스할 수 있어 수강자들이 크기가 큰 파일을 재생하기 위해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없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원격강의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강의저작 시스템, 및 상기 원격강의 컨텐츠의 게시 및 수강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서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강의저작 시스템은,
    웹브라우저 상에서 원격강의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웹 저작모듈;
    상기 제작된 원격강의 컨텐츠를 XML 파일로 변환하는 강의파일 변환모듈;
    상기 원격강의 컨텐츠 또는 상기 변환된 XML 파일을 스트리밍 포멧 변환하여 업로드하는 FTP 모듈;
    웹브라우저 상에서 상기 웹 저작모듈과 FTP 모듈을 제어하기 위해 자바스크립트 함수를 실행하고, 상기 원격강의 컨텐츠 또는 XML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폴더이름을 생성하는 자바스크립트 실행기; 및
    상기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HTML 파일을 해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HTTP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버시스템은,
    웹서버를 포함하는데, 상기 웹서버는 원격강의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웹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ASP/PHP 서버; 및
    상기 ASP/PHP 서버가 처리한 결과 값을 HTML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XML 파일을 저장하여 수강자에게 전송하는 HTTP 서버로 구성되고;
    상기 XML 파일의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을 제어하는 MMS 서버;
    상기 ASP/PHP 서버의 요청에 의해 FTP 정보를 포함한 원격강의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DB 서버; 및
    상기 원격강의 컨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원격강의 컨텐츠를 상기 FTP 정보와 폴더이름을 이용하여 수강자에게 전송하는 FTP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FTP 모듈 및 강의파일 변환모듈이 상기 웹 저작모듈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원격강의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강의수강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강의수강 시스템은,
    상기 FTP 서버로부터의 원격강의 컨텐츠를 상기 FTP 정보와 폴더이름을 이용하여 스트리밍 전송 받는 FTP 모듈;
    상기 FTP 모듈이 수신한 원격강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웹 뷰어모듈;
    웹브라우저 상에서 상기 웹 뷰어모듈과 FTP 모듈을 제어하기 위해 자바스크립트 함수를 실행하는 자바스크립트 실행기; 및
    상기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HTML 파일을 해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HTTP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시스템으로부터 XML 파일을 제공받기 위한 강의수강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강의수강 시스템은,
    상기 HTTP 서버로부터 XML 파일과 HTML 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HTML 파일을 해석하는 HTTP 모듈;
    상기 HTTP 모듈이 수신한 XML 파일을 해석하는 XML 해석기;
    VML 형식의 선 정보를 실행하기 위한 VML 실행기;
    상기 해석된 XML 데이터, VML형식의 선 정보, HTML 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HTML 뷰어;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 및
    웹브라우저에서 상기 HTML 뷰어와 상기 VML 실행기 및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 및 HTTP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자바스크립트 함수를 실행하는 자바스크립트 실행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시스템.
  5. 원격강의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강의저작 시스템, 및 상기 원격강의 컨텐츠의 게시 및 수강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서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강의저작 시스템은,
    원격강의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오프라인 저작모듈;
    상기 제작된 원격강의 컨텐츠를 XML 파일로 변환하는 강의파일 변환모듈;
    상기 원격강의 컨텐츠 또는 상기 XML 파일을 스트리밍 포멧 변환하여 업로드하는 FTP 모듈;
    웹브라우저 상에서 상기 FTP 모듈을 제어하기 위해 자바스크립트 함수를 실행하고, 상기 원격강의 컨텐츠 또는 상기 XML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폴더이름을 생성하는 자바스크립트 실행기; 및
    상기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HTML 파일을 해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HTTP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버시스템은,
    웹서버를 포함하는데, 상기 웹서버는 원격강의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웹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ASP/PHP 서버; 및
    상기 ASP/PHP 서버가 처리한 결과 값을 HTML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XML 파일을 저장하여 수강자에게 전송하는 HTTP 서버로 구성되고;
    상기 XML 파일의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을 제어하는 MMS 서버;
    상기 ASP/PHP 서버의 요청에 의해 FTP 정보를 포함한 원격강의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DB 서버; 및
    상기 원격강의 컨텐츠를 상기 FTP 정보와 폴더이름을 이용하여 수강자에게전송하는 FTP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강의파일 변환모듈은 상기 오프라인 저작모듈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원격강의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강의수강 시스템을 포함하는데;
    상기 강의수강 시스템은,
    상기 FTP 서버로부터의 원격강의 컨텐츠를 상기 FTP 정보와 상기 강의저작 시스템에서 생성된 폴더이름을 이용하여 스트리밍 전송 받는 FTP 모듈;
    상기 FTP 모듈이 수신한 원격강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웹 뷰어모듈;
    웹브라우저 상에서 상기 웹 뷰어모듈과 FTP 모듈을 제어하기 위해 자바스크립트 함수를 실행하는 자바스크립트 실행기; 및
    상기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HTML 파일을 해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HTTP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서버시스템으로부터 XML 파일을 제공받기 위한 강의수강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강의수강 시스템은,
    상기 HTTP 서버로부터 XML 파일과 HTML 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HTML 파일을 해석하는 HTTP 모듈;
    상기 HTTP 모듈이 수신한 XML 파일을 해석하는 XML 해석기;
    VML 형식의 선 정보를 실행하기 위한 VML 실행기;
    상기 해석된 XML 데이터, VML형식의 선 정보, HTML 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HTML 뷰어;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 및
    웹브라우저에서 상기 HTML 뷰어와 상기 VML 실행기 및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 및 HTTP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자바스크립트 함수를 실행하는 자바스크립트 실행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시스템.
  9. 강사가 웹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고 강의게시판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강의 게시판에서 강의 제작을 선택하면 웹 저작모듈이 포함된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면 자동으로 상기 강사에 해당하는 FTP 정보가 웹서버로 요청되는 단계;
    웹서버가 상기 FTP 정보를 DB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DB 서버가 상기 FTP 정보를 검색하여 FTP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FTP 모듈이 상기 FTP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강사가 상기 웹 저작모듈을 사용하여 강의를 제작하고, 강의 제작이 완료되면 자바스크립트 실행기가 임의의 폴더이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FTP 모듈이 원격강의 컨텐츠를 상기 폴더이름과 FTP 정보를 이용하여 FTP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및
    업로드가 완료되면, DB 서버가 상기 FTP 정보와 폴더이름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강의 제작이 완료되면, 강의파일 변환모듈이 상기 원격강의 컨텐츠를 XML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자바스크립트 실행기가 임의의 폴더이름을 생성하는 단계;
    FTP 모듈이 상기 폴더이름과 FTP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변환된 XML 파일을 FTP 서버를 통해 HTTP 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 및
    업로드가 완료되면, DB 서버가 상기 FTP 정보와 폴더이름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수강자가 웹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고 강의게시판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강의게시판에서 수강할 강의를 선택하면 웹 뷰어모듈이 포함된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면 자동으로 상기 강의에 해당하는 FTP 정보가 웹서버로 요청되는 단계;
    상기 웹서버가 상기 FTP 정보와 폴더이름을 DB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DB 서버가 상기 요청된 FTP 정보와 폴더이름을 검색하여 FTP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FTP 모듈이 상기 FTP 정보와 폴더이름을 사용하여 FTP 서버로 강의 수강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웹 뷰어모듈이 상기 FTP 서버로부터의 원격강의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수강자가 웹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고 강의게시판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강의게시판에서 수강할 강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한 XML 파일이 HTTP를 이용한 스트리밍 방식으로 웹브라우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방법.
  13. 강사가 오프라인 저작모듈을 사용하여 강의를 제작하는 단계;
    강의 제작이 완료되면, 웹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고 강의게시판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강의게시판에서 강의 업로드를 선택하면, FTP 모듈이 포함된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면 자동으로 상기 강사에 해당하는 FTP 정보가 웹서버로 요청되는 단계;
    웹서버가 상기 FTP 정보를 DB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DB 서버가 상기 FTP 정보를 검색하여 FTP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FTP 모듈이 상기 FTP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강사가 업로드할 원격강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업로드를 요청하면, 자바스크립트 실행기가 업로드시 필요한 임의의 폴더이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FTP 모듈이 상기 선택한 원격강의 컨텐츠를 상기 폴더이름과 FTP 정보를 이용하여 FTP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및
    업로드가 완료되면, DB 서버가 상기 FTP 정보와 폴더이름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강의 제작이 완료되면, 원격강의 컨텐츠 변화모듈이 상기 원격강의 컨텐츠를 XML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강사가 웹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고 강의게시판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강의게시판에서 강의 업로드를 선택하면 FTP 모듈이 포함된 웹페이지가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면, 자동으로 상기 강사에 해당하는 FTP 정보가 웹서버로 요청되는 단계;
    상기 웹서버가 상기 FTP 정보를 DB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DB 서버가 상기 요청된 FTP 정보를 검색하여 FTP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FTP 모듈이 상기 FTP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강사가 업로드할 XML 파일을 선택하여 업로드를 요청하면, 자바스크립트 실행기가 업로드시 필요한 임의의 폴더이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FTP 모듈이 상기 폴더이름과 FTP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변환된 XML 파일을 FTP 서버를 통해 HTTP 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 및
    업로드가 완료되면, DB 서버가 상기 FTP 정보와 폴더이름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수강자가 웹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고 강의게시판으로 이동하는 단계;
    강의게시판에서 수강할 강의를 선택하면 웹 뷰어모듈이 포함된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면 자동으로 상기 강의에 해당하는 FTP 정보와 폴더이름이 웹서버로 요청되는 단계;
    상기 웹서버가 상기 FTP 정보와 폴더이름을 DB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DB 서버가 상기 요청된 FTP 정보와 폴더이름을 검색하여 FTP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FTP 모듈이 상기 FTP 정보와 폴더이름을 사용하여 FTP 서버로 강의 수강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웹 뷰어모듈이 상기 FTP 서버로부터의 원격강의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수강자가 웹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고 강의게시판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강의게시판에서 수강할 강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한 XML 파일이 HTTP를 이용한 스트리밍 방식으로 웹브라우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방법.
KR1020020017762A 2002-04-01 2002-04-01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790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762A KR20030079020A (ko) 2002-04-01 2002-04-01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762A KR20030079020A (ko) 2002-04-01 2002-04-01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110U Division KR200390416Y1 (ko) 2003-07-09 2003-07-09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장치
KR20-2004-0005999U Division KR200360089Y1 (ko) 2004-03-05 2004-03-05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020A true KR20030079020A (ko) 2003-10-10

Family

ID=32377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762A KR20030079020A (ko) 2002-04-01 2002-04-01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90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32186A4 (en) * 2009-05-26 2016-12-28 Zte Corp FILE HOLLOWING PROCESS AND SYSTEM FOR WEB APPLIC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637A (ko) * 2000-06-21 2000-10-05 정의섭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07279A (ko) * 2000-05-26 2001-12-07 구광시 데이터가 수반되는 온라인 교육방법
KR20010110842A (ko) * 2000-06-08 2001-12-15 김영습 인터넷을 이용한 학습자료 이용 활성화 및 학습방법
KR20010111862A (ko) * 2000-06-14 2001-12-20 이태호 인터넷 원격교육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20020012873A (ko) * 2000-08-09 2002-02-20 이미란 인터넷상에서의 컨텐츠 제작 및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279A (ko) * 2000-05-26 2001-12-07 구광시 데이터가 수반되는 온라인 교육방법
KR20010110842A (ko) * 2000-06-08 2001-12-15 김영습 인터넷을 이용한 학습자료 이용 활성화 및 학습방법
KR20010111862A (ko) * 2000-06-14 2001-12-20 이태호 인터넷 원격교육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20000058637A (ko) * 2000-06-21 2000-10-05 정의섭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12873A (ko) * 2000-08-09 2002-02-20 이미란 인터넷상에서의 컨텐츠 제작 및 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32186A4 (en) * 2009-05-26 2016-12-28 Zte Corp FILE HOLLOWING PROCESS AND SYSTEM FOR WEB APPL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49822B (zh) 一种基于云计算和移动终端的智能教育视频服务系统及其运行方法
Morain et al. YouTutorial: A framework for assessing instructional online video
Whatley et al. Using video to record summary lectures to aid students' revision
US20020034721A1 (en) Computer-based training system using digitally compressed and streamed multimedia presentations
Kent et al. The case for captioned lectures in Australian higher education
TW201335902A (zh) 雲端化多媒體教學系統、其製作方法及其互動方法
TW201044331A (en) Interactive teaching system
KR102414966B1 (ko)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US84238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ocument analysis
KR20130115484A (ko) 강의 교재와 동기되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
Bloom et al. Cybercounseling & Cyberlearning: An Encore.
JP2008096482A (ja) 受信端末、ネットワーク学習支援システム、受信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学習支援方法
KR101198091B1 (ko) 학습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Notess Screencasting for libraries
KR20140122415A (ko) 학습컨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학습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360089Y1 (ko)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장치
KR200390416Y1 (ko)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장치
US20040126749A1 (en) Educational method and system by utilizing historical informations
KR20030079020A (ko)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시스템 및 방법
JP6850820B2 (ja) 処理プログラム、端末装置及び、投稿方法
KR20090002546A (ko) 인터넷상에서의 강의자료 제작방법 및 온라인-오프라인접목 강의 시스템
CN112270854A (zh) 一种教学系统、教学设备及教学方法
KR100752343B1 (ko) 멀티미디어 게시판 시스템 및 제공방법
JP6230131B2 (ja) 教育支援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KR19990037877A (ko) 양방향교육시스템과그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