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8894A - 저감된 마이크로포닉 상호 작용을 제공하는 장착 러그 - Google Patents

저감된 마이크로포닉 상호 작용을 제공하는 장착 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8894A
KR20030078894A KR10-2003-7009881A KR20037009881A KR20030078894A KR 20030078894 A KR20030078894 A KR 20030078894A KR 20037009881 A KR20037009881 A KR 20037009881A KR 20030078894 A KR20030078894 A KR 20030078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crt
attachment portion
cathode ray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9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3757B1 (ko
Inventor
스완크해리로버트
안드레브스키지그먼트마리안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30078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7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7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limiting effects of implosion of vessels or containers

Landscapes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16)와, 엔클로저(12) 내에서 복수개의 장착 보스(50)에 고정된 음극선관(CRT: 14)을 포함한다. 음극선관은 4개의 코너를 지니고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면판 패널(18)을 구비한 진공 엔벨로프(17)를 갖는 동시에 주변의 측벽(28)으로 연장하는 시야부(26)를 포함한다. 상기 시야부(26)에는 그 내면 상에 형광 스크린(32)이 마련되어 있다. 시야부(26)는 2개의 직교하는 축, 시야부의 긴 쪽과 평행하는 장축(X)과, 상기 시야부의 짧은 쪽과 평행한 단축(Y)을 포함한다. CRT(14)의 내부에는 장축과 단축에 수직인 CRT의 중앙의 종축을 따라 정렬된 하나 이상의 전자 비임(40)을 생성하는 전자 총(38)이 구비되어 있다. CRT(14)는 면판 패널(18)의 시야부(26)의 내면에 인접한 칼라 선택 전극(36)을 또한 구비한다. 내파 보호 밴드(44)는 면판 패널의 측벽(28) 둘레로 연장한다. 기저부(148, 248, 348), 장착 구멍(152, 251, 252, 352)이 뚫린 부착부(150, 249, 250, 350)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 개의 장착 러그(146, 246, 346)는 CRT(14)를 엔클로저(12) 내부에 고정시키도록 내파 보호 밴드(44)와 협동한다. 장착 러그(146, 246, 346) 각각의 부착부(150, 249, 250, 350)는 적어도 장축 및 단축 중 하나 이상에 평행하고, 부착부(150, 249, 250, 350)를 강화시키고 스피커(16)에 의해 야기된 마이크로포닉을 저감하기 위해 중앙의 종축을 따라 정렬되어 있다.

Description

저감된 마이크로포닉 상호 작용을 제공하는 장착 러그{MOUNTING LUGS PROVIDING REDUCED MICROPHONIC INTERACTION}
칼라 텔레비전 화면 튜브 등의 음극선관(CRT)은 매우 낮은 압력으로 배기되며, 이에 따라 튜브의 모든 표면 상에 가해하는 주변의 압력에 의해 생성된 응력으로 인해 내파(implosion) 발생 가능성에 노출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튜브의 면판(faceplate)을 에워싸고 그것에 압축성의 힘을 가하는 내파 보호 밴드를 CRT에 설치하였다. 내파 보호 밴드와 일체형으로 하거나 그것에 고정된 장착 러그는 캐비닛 내에 튜브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장착 러그는 튜브의 코너에 위치 설정되며, 면판의 측벽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면판의 대각선을 따라 정렬된 부착면을 지닌다. 볼트, 나사 혹은 이에 대응하는 하드웨어는 튜브를 캐비닛 내의 장착 보스에 고정하기 위해 러그의 장착면 내의 개구를 통해 연장한다. 이는 튜브의 종축 혹은 Z축을 따라 튜브를 캐비닛에 효율적으로 결합시킨다. 전방 장착식 스피커를 구비한 캐비닛에 있어서, 스피커의 음향 진동은 튜브 및 그 내부 구성 부재, 특히 칼라 선택 전극에 Z축 방향으로 최대의 진동을 야기한다.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송 중에, 예컨대 그 장치를 떨어뜨리는 경우와 같이 잘못된 취급이 이따금 발생할 수 있다. CRT의 목부가 아래로 향한 상태로 떨어질 경우, 장착 러그는 구부러져 엔클로저의 사면(斜面)과 튜브 사이에 간극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간극으로 우연히 도전성 물질이 삽입될 경우, 고전압에서 작동하는 튜브의 구성 부분들과의 전기 접촉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캐비닛 등의 엔클로저(enclosure) 내에 칼라 텔레비전 화면 튜브(picture tube) 등의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칼라 텔레비전 화면 튜브에 더 큰 지지력과, 그리고 스피커의 음향 진동(acoustical vibration)에 의해 야기된 텔레비전 화면 튜브 내의 소정의 구성 요소에 마이크로포닉의 저감을 제공하는 장착 러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된 칼라 CRT를 축방향으로 부분 절단한 평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CRT 장착 구조체를 이용하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표시된 원 4의 내부를 도시한 장력 마스크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신규의 CRT 장착 구조체의 제1 실시예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도이며,
도 6은 신규의 CRT 장착 구조체의 일부인 도 5에 표시된 원 6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7은 신규의 CRT 장착 구조체의 제1 실시예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8은 신규의 CRT 장착 구조체의 제2 실시예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9는 신규의 CRT 장착 구조체의 제2 실시예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10은 신규의 CRT 장착 구조체의 제3 실시예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11은 신규의 CRT 장착 구조체의 제3 실시예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12는 신규의 CRT 장착 구조체의 제4 실시예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13은 신규의 CRT 장착 구조체의 제4 실시예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14는 신규의 CRT 장착 구조체의 제5 실시예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15는 신규의 CRT 장착 구조체의 제5 실시예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16은 신규의 CRT 장착 구조체의 제6 실시예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17은 제6 실시예에 사용된 장착 어댑터의 확대 평면도이며,
도 18은 도 17의 18-18 선을 따라 취한 저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와, 엔클로저 내에서 복수개의 장착 보스에 고정된 음극선관(CRT)을 포함한다. 음극선관은 4개의 코너를 지니고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면판 패널을 구비한 진공 엔벨로프를 갖는 동시에 주변의 측벽으로 연장하는 시야부(viewing portion)를 포함한다. 이 시야부에는 그 내면 상에 형광 라인 스크린이 마련되어 있다. 시야부는 2개의 직교하는 축, 시야부의 긴 쪽과 평행하는 장축과, 시야부의 짧은 쪽과 평행한 단축을 포함한다. CRT의 내부에는 장축과 단축에 수직인 CRT 중앙의 종축을 따라 정렬된 하나 이상의 전자 비임을 생성하는 전자총이 구비되어 있다. CRT는 면판 패널의 시야부의 내면에 인접한 칼라 선택 전극을 또한 구비한다. 내파 보호 밴드는 면판 패널의 측벽 둘레로 연장한다. 기저부, 장착 구멍이 뚫린 부착부를 각각 구비하는 적어도 4개의 장착 러그는 CRT를 엔클로저 내부에 용이하게 고정시키도록 내파 보호 밴드와 협동한다. 장착 러그 각각의 부착부는 적어도 장축 및 단축 중 하나 이상에 평행하고, 부착부를 강화시키고 스피커에 의해 야기된 마이크로포닉을 저감하기 위해 중앙의 종축을 따라 정렬되어 있다.
도 1에는 내부에 칼라 CRT(14) 및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스피커(16)를 내장하고 있는 엔클로저(12)를 포함하는 칼라 텔레비전 리시버(10)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CRT(14)는 진공 유리 엔벨로프(17)를 포함하며, 이 엔벨로프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면판 패널(18)과 직사각형 퍼넬(funnel: 22)에 의해 결합된 관형 목부(20)를 구비한다. 퍼넬(22)은 접촉 상태로 있고 양극 버튼(24)에서 목부(20)로 연장하는 동시에 면판 패널(18)을 향해 연장하는 내측 도전성 코팅(도시 생략)을 구비한다. 면판 패널(18)은 시야부(26)와, 유리 프릿(frit: 30)에 의해 퍼넬(22)에 밀봉되어 있는 주변 측벽(28)을 구비한다. 면판 패널(18)의 시야부(26)는 시야부의 긴 쪽에 평행하는 장축(X)과 면판 패널의 시야부의 짧은 쪽에 평행하면서 장축에 직각인 단축(Y)을 포함한다. CRT(14)는 장축(X)과 단축(Y)에 각각 상호 직교하는 중앙의 종축(Z)을 더 포함한다. 3색 발광 형광 스크린(32)이 시야부(26)의 내면 상에 지지되어 있다. 스크린(32)은 적색 발광, 녹색 발광 및 청색 발광 형광선(R, G)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한 벌이 3색 형광 라인을 각각 포함하도록 3개가 한 벌로 배치된 다양한 스크린 소자를 포함하는 라인 스크린(line screen)이다. 얇은 도전층(34), 양호하게는 알루미늄 도전층은 스크린(32) 위에 놓여 그곳에 전위를 인가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장력 마스크(36) 등의 다구경 칼라 선택 전극은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스크린(32)에 대해 예정된 간격을 유지한 채로 면판 패널(18)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2에 점선을 대략 도시한 전자총(38)은 목부(20) 내의 중앙에 장착되어 3개의 인라인 전자 빔(40)을 생성하는 동시에 장력 마스크(36)를 통해 스크린(32)으로 수렴 경로를 따라 안내한다. 상기 빔(40)의 인라인 방향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이다.
도 2의 CRT는 퍼넬 대 목부 연결부의 이웃에 도시된 외측 자성 편향 요크(yoke: 42)와 함께 사용된다. 활성화될 때, 요크(42)는 3개의 비임(40)을 자계에 노출시켜 비임이 스크린(32) 위로 수평 및 수직 래스터(raster)를 스캐닝하도록 해준다.
내파 보호 밴드(44)는 측벽(28)의 적어도 일부를 에워싼다. 이 밴드(4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의 코너에 위치한 적어도 4개의 통상적인 장착 러그(46)를 구비한다. 장착 러그(46) 각각은 이곳을 관통하는 장착 구멍(48)을 포함하며, 이 구멍은 CRT(14)의 종축(Z)을 따라 정렬되어 있다. 나사 혹은 볼트(도시 생략)는 엔클로저(12)의 코너에 형성된 보스(50)의 Z 축을 따라 정렬되어 있는 리테이너(도시 생략)에 CRT(14)를 고정시키기 위한 각각의 구멍(48)을 통해 연장한다. 장력 마스크(36)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프레임(56)에 고정된 2개의 긴 측면(52, 54)과, 2개의 짧은 측면(58, 60)을 포함한다. 마스크의 긴 측면(52, 54)은 CRT의 장축(X)에 평행하며, 2개의 짧은 측면(58, 60)은 CRT의 단축(Y)에 평행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 마스크(36)는 CRT의 단축(Y)에 평행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의 슬롯(64)과 종래에 공지된 것과 마찬가지로 스크린(32)의 형광 라인(도시 생략)에 의해 분리된 복수개의 가늘고 긴 금속 스트랜드(strand: 62)를 포함한다. 전방 장착 스피커(16)를 갖는 엔클로저(12) 내에서, 스피커의 음향 진동은 소정의 상황에서 장력 마스크(36)의 금속 스트랜드(62)에 마이크로포닉 진동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스크린(32) 상에 이미지의 칼라 충실도(fidelity)를시각적으로 왜곡시킨다.
도 5 내지 도 7에는, 스피커(16)의 음향 진동으로 인해 장력 마스크(36)의 금속 스트랜드(62)(도 4에 도시)의 마이크로포닉 진동을 현저하게 저감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RT(14)는 내파 보호 밴드(44)의 코너에 인접하게 고정되어 있는 복수개의 장착 러그(146)에 의해 엔클로저(12) 내에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러그(146)는 기저부(148)와, 구멍(152)이 관통하고 있는 직립 부착부(150)를 포함한다. 러그(146)의 두께(t)는 CRT(14)의 크기와 중량에 의해 결정되지만, 통상적으로 2 내지 3.2mm 범위 내에 있다. 직립 부착부(150)의 폭(W)은 통상 20-40mm 이다. 기저부(148)는 CRT(14)의 코너의 적어도 일부 둘레로 연장함과 동시에 예컨대 용접에 의해 내파 보호 밴드(44)에 고정되어 있는 원호형 쇼울더부(154)를 포함해도 좋다. 밴드(44)에 고정될 때, 러그(146)의 직립 부착부(150)의 폭은 CRT 의 Z축을 따라 정렬되고 구멍(152)은 그것에 수직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볼트 혹은 나사(156)는 구멍(152)을 통해 배치되어 있고 장착 보스(50) 쪽에 형성된 리테이너(158) 내에 고정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러그(146)는 장착 보스(50)의 우측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를 우측 형상으로 칭한다. 이 우측 형상에 있어서, 상부의 좌측 및 하부의 우측 장착 러그(146)의 직립 부착부(150)는 Y축에 평행한 반면에, 상부 우측 및 하부 좌측 장착 러그(146)의 직립 부착부(150)는 X축에 평행하다. 러그(146)의 직립 부착부(150)의 폭이 CRT(14)의 Z축을 따라 정렬되어 있고 Z축으로 상당히 큰 강도를 지니기 때문에,스피커(16)의 음량 진동은 Z축 방향으로의 CRT 운동을 현저하게 없애 장력 마스크(36)의 스트랜드(62)를 스피커(16)의 음향 진동으로부터 격리시킨다. 음향 진동으로부터 장력의 격리를 추가로 보조하기 위해, 제1의 격리 부재(160)가 장착 볼트(156)와 장착 러그(146)의 직립 부착부(150)의 일면 사이에 배치된다. 제2 격리 부재(162)는 직립 부착부(150)의 양면과 보스(50) 사이에 배치된다. 격리 부재(160, 162)는 비닐, 열가소성 고무 혹은 우레탄 등의 적절한 진동 혹은 충격 감쇠 재료로 구성된다. 이 격리 재료는 그 재료의 강성 및 감쇠 특성 양자를 제어함으로써 CRT의 구체적인 특성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는 미국 인디아나주 인디아나폴리스 소재의 E-A-R 스페셜티 콤포지트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목부가 아래로 향하거나 또는 잘못 취급될 경우, 우측 형상으로 배향된 러그(146)의 직립 부착부(150)는 종래 기술의 형상의 장착 러그보다 덜 구부러지기 쉽게 된다.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장착 러그(146)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모든 관점에서 동일하며, 또한 내파 보호 밴드(44)의 코너에 인접하게 부착되어 있다. 각각의 러그(146)는 도 8에 도시한 장착의 좌측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를 좌측 형상으로 칭한다. 이 좌측 형상에 있어서, 상부의 우측 및 하부의 좌측 장착 러그(146)의 직립 부착부(150)는 Y축에 평행한 반면에, 상부 좌측 및 하부 우측 장착 러그(146)의 직립 부착부(150)는 X축에 평행하다. 러그(146)의 직립 부착부(150)의 폭이 CRT(14)의 Z축을 따라 정렬되어 있고 그 두께보다 상당히 더 큰 폭을 지니기 때문에, 스피커(16)의 음량 진동은 Z축 방향으로의 CRT 운동을 현저하게 없애 장력 마스크(36)의 스트랜드(62)를 스피커(16)의 음향 진동으로부터 격리시킨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목부가 아래로 향하거나 또는 잘못 취급될 경우, 좌측 형상으로 배향된 러그(146)의 직립 부착부(150)는 종래 기술의 형상의 장착 러그보다 덜 구부러지기 쉽게 된다. 러그(146)는 구멍(152)을 통해 배치되어 보스(50)에 형성된 리테이너(158) 내에 고정된 볼트 혹은 나사(156)를 사용하여 제1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으로 보스(50)에 고정된다. 양호하게는, 격리 부재(160, 162)가 또한 전술한 방법으로 사용되어도 좋다.
도 10 및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장착 러그(246)는 내파 보호 밴드(44)의 코너 각각에 예컨대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장착 러그(246)는 기저부(248)와, 구멍(251, 252)이 관통하고 있는 2개의 직립 부착부(249, 250)를 포함한다. 러그(246)의 두께(t)는 CRT(14)의 크기와 중량에 의해 결정되지만, 통상적으로 2 내지 3.2mm 범위 내에 있다. 직립 부착부(249, 250)의 폭(W)은 통상 20-40mm 이다. 기저부(148)는 CRT(14)의 코너 둘레로 연장함과 동시에 예컨대 용접에 의해 내파 보호 밴드(44)에 고정되어 있는 원호형 쇼울더부(254)를 포함해도 좋다. 밴드(44)에 고정될 때, 러그(246)의 직립 부착부(249)는 CRT의 장축(X)에 평행하며, 직립 부착부(249)의 폭은 CRT의 Z축을 따라 정렬되고 구멍(251)은 그것에 수직하게 된다. 러그(246)의 직립 부착부(250)는 CRT의 단축(Y)에 평행하며, 직립 부착부(250)의 폭은 CRT의 Z축을 따라 정렬되고 구멍(252)은 그것에 수직하게 된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각 러그(246)의 직립 부착부(249, 250)는 구멍(251, 252)을 통해 배치되어 있고 보스에 형성된 리테이너 내에 고정된 볼트 혹은 나사(156)에 의해 장착 보스(50)의 양면에 고정되어 있다. 양호하게는, 격리 부재(160, 16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된다. 러그(246)의 직립 부착부(249, 250)의 폭이 CRT(14)의 Z축을 따라 정렬되어 있고 그 두께보다 상당히 더 큰 폭을 지니기 때문에, 스피커(16)의 음량 진동은 Z축 방향으로의 CRT 운동을 현저하게 없애 장력 마스크(36)의 스트랜드(62)를 스피커(16)의 음향 진동으로부터 격리시킨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목부가 아래로 향하거나 또는 잘못 취급될 경우, 보스(50)의 양측에 고정된 러그(246)의 직립 부착부(249, 250)는 제1 실시예 혹은 제2 실시예보다 더 높은 강도를 부여한다.
도 12 및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장착 러그(346)는 각 코너에 인접하는 짧은 쪽의 면판 패널(18)을 따라 내파 보호 밴드(44)에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장착 러그(346)는 기저부(348)와, 구멍(352)이 관통하고 있는 직립 부착부(350)를 포함한다. 러그(346)의 두께(t)는 CRT(14)의 크기와 중량에 의해 결정되지만, 통상적으로 2 내지 3.2mm 범위 내에 있다. 직립 부착부(350)의 폭(W)은 통상 20-40mm 이다. 러그(346)의 직립 부착부(350)의 폭은 CRT의 Z축을 따라 정렬되고 구멍(352)은 그것에 수직하게 된다. 제4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러그(346)는 면판 패널(18)이므로 각각의 러그(346)의 직립부(350)는 면판 패널(18)의 Y축에 평행하다. 러그(346)는 제1 실시예와 연관하여 설명한 방법으로 구멍(352)을 통해 배치되어 있고 보스(50)에 형성된 리테이너 내에 고정된 볼트 혹은 나사(156)를 사용하여 보스(50)에 고정되어 있다. 양호하게는, 격리 부재(160, 16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된다. 러그(346)의 직립 부착부(350)의 폭이 CRT(14)의 Z축을 따라 정렬되어 있고 그 두께보다 상당히 더 큰 폭을 지니기 때문에, 스피커(16)의 음량 진동은 Z축 방향으로의 CRT 운동을 현저하게 없애 장력 마스크(36)의 스트랜드(62)를 격리시킨다.
도 14 및 도 15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변형례인 제5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장착 러그(346)는 제4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모든 관점에서 동일하며, 또한 내파 보호 밴드(44)의 코너에 인접하지만 면판 패널(18)의 긴 쪽을 따라 부착되어 있다. 제5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러그(346)는 내파 보호 밴드의 긴 쪽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러그(346)의 직립한 부착부(350)는 면판 패널(18)의 Y축에 평행하다. 러그(346)의 직립 부착부(350)의 폭이 CRT(14)의 Z축을 따라 정렬되어 있고 그 두께보다 상당히 더 큰 폭을 지니기 때문에, 스피커(16)의 음량 진동은 Z축 방향으로의 CRT 운동을 현저하게 없애 장력 마스크(36)의 스트랜드(62)를 스피커(16)의 음향 진동으로부터 격리시킨다.
도 16 내지 도 18에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제 4실시예와 유사하며, 장착 러그(346)는 각 코너에 인접하는 CRT(14)의 면판 패널의 짧은 쪽을 따라 내파 보호 밴드(44)에 고정되어 있어, 각각의 러그(346)의 직립 부착부(350)는 면판 패널(18)의 Y축에 평행하다. 러그(346) 각각은 장착 어댑터(360)의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의 구멍(362)을 통해 배치된 볼트 혹은 나사(156)에 의해 장착 어댑터(360)에 고정되어 있다. 제1의 구멍(362)에 수직한제2의 구멍(364)은 또한 어댑터(360)의 본체를 통해 연장한다. 볼트 혹은 나사(도시 생략)는 각각의 보스(50)의 Z축을 따라 정렬되어 있는 리테이너(도시 생략)에 장착 어댑터(360)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형상은 CRT(14)가 종래 기술의 것과 동일한 엔클로저(12) 내부에 고정되도록 해준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장착 어댑터(360)는 금속이나, 비닐, 열가소성 고무 혹은 우레탄 등의 적절한 진동 혹은 충격 감쇠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장착 어댑터(360)의 재료 구성은 그 재료의 강성 및 감쇠 특성 양자를 제어함으로써 CRT의 구체적인 특성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는 미국 인디아나주 인디아나폴리스 소재의 E-A-R 스페셜티 콤포지트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예컨대, 장착 어댑터(360)는 그것의 폭이 최대인 부분에서 약 30mm 의 길이(l), 약 30mm 의 폭(w), 그리고 약 16mm 의 높이로 구성될 수 있다. 장착 어댑터(360)의 코너는 감쇠 재료의 비용 절감을 위해 절두되어 있다. 장착 러그(346)의 직립 부착부(350)의 폭이 CRT(14)의 Z축을 따라 정렬되어 있고 그 두께보다 상당히 더 큰 폭을 지니기 때문에, 스피커(16)의 음량 진동은 Z축 방향으로의 CRT 운동을 현저하게 없애 장력 마스크(36)의 스트랜드(62)를 격리시킨다.
제6 실시예에서는 장착 러그(346)가 그 짧은 쪽을 따라 내파 보호 밴드(44)에 고정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44)의 긴 쪽을 따라 러그(346)를 고정한 다음 보스(50)의 Z축을 따라 형성된 리테이너에 CRT(14)를 고정하기 위해 그곳에 장착 어댑터(360)를 고정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속한다.

Claims (9)

  1. 하나 이상의 스피커(16)를 구비하는 엔클로저(12) 내에 고정된 음극선관(14)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상기 음극선관은 4개의 코너를 지니고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면판 패널(18)을 구비한 진공 엔벨로프(17)를 갖는 동시에 주변의 측벽(28)으로 연장하는 시야부(26)를 포함하며, 상기 시야부에는 그 내면 상에 형광 스크린(32)이 마련되어 있고, 2개의 직교하는 축, 상기 시야부의 긴 쪽과 평행하는 장축과, 상기 시야부의 짧은 쪽과 평행한 단축을 포함하며, 상기 음극선관의 내부에는 상기 장축과 단축에 수직인 중앙의 종축을 따라 하나 이상의 전자 비임(40)을 생성하는 전자 총(38)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음극선관은 상기 시야부의 상기 내면에 인접한 칼라 선택 전극(36)과, 상기 면판 패널의 상기 측벽 둘레로 연장하는 내파 보호 밴드(44)와, 그리고 기저부(148, 248, 348), 장착 구멍(152, 251, 252, 352)이 뚫린 부착부(150, 249, 250, 350)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 개의 장착 러그(146, 246, 346)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러그는 상기 음극선관을 상기 엔클로저 내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내파 보호 밴드와 협동하며, 상기 각각의 장착 러그의 상기 부착부는 그것의 두께보다 더 큰 폭을 지니며, 상기 부착부는 적어도 상기 장축 및 단축 중 하나 이상에 평행하고, 상기 부착부의 폭은 상기 부착부를 강화시키고 상기 스피커에 의해 야기된 마이크로포닉을 저감하기 위해 상기 중앙의 종축을 따라 정렬되어 있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2. 엔클로저(12) 내에서 복수 개의 장착 보스(50)에 고정된 음극선관(14)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상기 엔클로저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1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극선관은 4개의 코너를 지니고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면판 패널(18)을 구비한 진공 엔벨로프(17)를 갖는 동시에 주변의 측벽(28)으로 연장하는 시야부(26)를 포함하며, 상기 시야부에는 그 내면 상에 형광 스크린(32)이 마련되어 있고, 2개의 직교하는 축, 상기 시야부의 긴 쪽과 평행하는 장축과, 상기 시야부의 짧은 쪽과 평행한 단축을 포함하며, 상기 음극선관의 내부에는 상기 장축과 단축에 수직인 중앙의 종축을 따라 하나 이상의 전자 비임(40)을 생성하는 전자 총(38)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음극선관은 상기 시야부의 상기 내면에 인접한 장력 마스크(36)와, 상기 면판 패널의 상기 측벽 둘레로 연장하는 내파 보호 밴드(44)와, 그리고 기저부(148, 248, 348), 장착 구멍(152, 251, 252, 352)이 뚫린 부착부(150, 249, 250, 350)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 개의 장착 러그(146, 246, 346)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러그는 상기 음극선관을 상기 엔클로저 내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내파 보호 밴드와 협동하며, 상기 각각의 장착 러그의 상기 부착부는 그것의 두께보다 더 큰 폭을 지니며, 상기 부착부는 적어도 상기 장축 및 단축 중 하나 이상에 평행하고, 상기 부착부의 폭은 상기 부착부를 강화시키고 상기 스피커에 의해 야기된 마이크로포닉을 저감하기 위해 상기 중앙의 종축을 따라 정렬되어 있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러그의 상기 부착부는 상기 보스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장축에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러그의 상기 부착부는 상기 보스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단축에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러그의 상기 부착부는 상기 보스에 고정되는 동시에 우측 형상으로 배향되어 있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러그의 상기 부착부는 상기 보스에 고정되는 동시에 좌측 형상으로 배향되어 있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러그 각각은 2개의 부착부를 구비하며, 하나의 의 상기 부착부는 상기 보스에 고정되는 동시에 우측 형상으로 배향되어 있고, 상기 부착부 각각은 상기 보스에 고정되어 있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장착 어댑터(360)가 상기 장착 러그의 상기 부착부 각각과 상기 보스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장착 어댑터(360)가 상기 장착 러그의 상기 부착부 각각과 상기 보스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37009881A 2001-01-30 2002-01-16 저감된 마이크로포닉 상호 작용을 제공하는 장착 러그 KR100823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772,402 US6437838B1 (en) 2001-01-30 2001-01-30 Mounting lugs providing reduced microphonic interaction
US09/772,402 2001-01-30
PCT/US2002/001054 WO2002061796A1 (en) 2001-01-30 2002-01-16 Mounting lugs providing reduced microphonic intera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894A true KR20030078894A (ko) 2003-10-08
KR100823757B1 KR100823757B1 (ko) 2008-04-21

Family

ID=25094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9881A KR100823757B1 (ko) 2001-01-30 2002-01-16 저감된 마이크로포닉 상호 작용을 제공하는 장착 러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37838B1 (ko)
EP (1) EP1358665A1 (ko)
JP (1) JP2004519073A (ko)
KR (1) KR100823757B1 (ko)
CN (1) CN1311507C (ko)
HU (1) HUP0400746A3 (ko)
MX (1) MXPA03006669A (ko)
WO (1) WO20020617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7796B2 (en) * 2001-05-04 2004-05-18 Thomson Licensing S. A. Cathode-ray tube mounting apparatus
US6757158B2 (en) * 2002-06-25 2004-06-29 Thomson Licensing S. A. Implosion resistant cathode ray tube with mounting lug having a compound bend
ITMI20060014A1 (it) * 2006-01-05 2007-07-06 Videocolor Spa Dispositivo di sospensione di tubo a raggi catodici
CN212519306U (zh) * 2020-06-30 2021-02-09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扬声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7735A (en) * 1955-12-22 1959-12-15 Westinghouse Electric Corp Television receiver
US4390809A (en) 1980-11-17 1983-06-28 North American Philips Consumer Electronics Corp. Bracket support means for a cathode ray tube
US4506188A (en) * 1982-11-24 1985-03-19 North American Philips Consumer Electronics Corp. Laminated metallic means for dampening internal CRT vibrations
ATE124572T1 (de) * 1989-10-02 1995-07-15 Philips Electronics Nv Struktur von implosionsschutzbändern, implosionsschutzband für eine derartige struktur und bildwiedergaberöhre mit einem derartigen implosionsschutzband.
US5053880A (en) * 1990-06-05 1991-10-0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Implosion-resistant cathode-ray tube with mounting lug having a curved shoulder projection
US5055934A (en) 1990-06-05 1991-10-08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Implosion protection means having mounting lug base-accommodating concavities therein
JPH05182602A (ja) * 1992-01-06 1993-07-23 Mitsubishi Electric Corp 防爆形ブラウン管の取付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防爆形ブラウン管
US5270826A (en) * 1992-07-28 1993-12-14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Implosion-resistant cathode-ray tube having implosion protection means with integral mounting loops
JPH11146303A (ja) * 1997-11-13 1999-05-28 Mitsubishi Electric Corp 陰極線管取付装置および該装置の陰極線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P0400746A2 (hu) 2004-08-30
EP1358665A1 (en) 2003-11-05
JP2004519073A (ja) 2004-06-24
CN1311507C (zh) 2007-04-18
KR100823757B1 (ko) 2008-04-21
WO2002061796A1 (en) 2002-08-08
MXPA03006669A (es) 2003-10-24
CN1489777A (zh) 2004-04-14
US6437838B1 (en) 2002-08-20
HUP0400746A3 (en) 2004-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6821A (en) Color image display system having an improved external magnetic shield
KR100823757B1 (ko) 저감된 마이크로포닉 상호 작용을 제공하는 장착 러그
US5530315A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magnetic members for mitigating effects of an external magnetic field along an axial direction of the in-line election gun
JPH11345580A (ja) 陰極線管装置および陰極線管の偏向装置
EP1231624B1 (en) CRT having a vibration damper for a tension mask
EP0978862A1 (en) Color cathode ray tube
KR20010069126A (ko) 평면 브라운관의 프레임 어셈블리 구조
JP2002523867A (ja) 陰極線管のアパーチャグリル
US6809466B2 (en) Cathode ray tube with structure for preventing electron beam mis-landing caused by geomagnetism
KR100201643B1 (ko) 평면브라운관의 지자기 차폐장치
JP3153582B2 (ja) カラー受像管
KR200262574Y1 (ko) 칼라음극선관용 마스크구조체
KR100316102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지지체
KR100766919B1 (ko) 음극선관
KR200248216Y1 (ko) 음극선관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20020072222A (ko) 편향 유닛을 구비한 컬러 음극선관 장치
KR100414484B1 (ko) 평면 브라운관의 프레임 구조
KR100470337B1 (ko) 칼라 음극선관 섀도우 마스크
KR20060008969A (ko) 음극선관 프레임/마스크 세트용 내충격 디바이스
JPH05191748A (ja) 陰極線管の筐体への固定構造
MXPA02001900A (es) Una unidad de estructura de mascara de tension para un tubo de rayos catodicos.
KR20000005429U (ko) 칼라음극선관용 스터드핀
KR20030022479A (ko) 음극선관을 이용한 화상 표시장치
KR20020017124A (ko) 평면 브라운관
JPH0729503A (ja) カラー受像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