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216Y1 - 음극선관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216Y1
KR200248216Y1 KR2020010016822U KR20010016822U KR200248216Y1 KR 200248216 Y1 KR200248216 Y1 KR 200248216Y1 KR 2020010016822 U KR2020010016822 U KR 2020010016822U KR 20010016822 U KR20010016822 U KR 20010016822U KR 200248216 Y1 KR200248216 Y1 KR 2002482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explosion
cabinet
ray tube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우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6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2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2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216Y1/ko

Link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벌브의 최대 대각 사이즈를 축소시키면서 그 외형을 단순화하여 물류 비용을 감소시키며, 이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벌브의 앞부분을 캐비넷 내부에 고정시키는 구조를 제공하여 벌브와 캐비넷의 조립을 보다 단순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고안은 화면부와 이 화면부의 네 가장자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스커트부를 갖는 페이스 패널과, 페이스 패널 후방에 고정되는 펀넬과, 펀넬 후방에 고정되어 페이스 패널 및 펀넬과 더불어 벌브를 구성하는 넥크부와, 소정의 장력이 인가된 상태로 페이스 패널의 스커트부 외주면에 장착되는 방폭 밴드, 및 벌브를 감싸 고정하는 한쌍의 캐비넷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넷은 벌브와 마주하는 내면에 방폭 밴드와 접촉되어 방폭 밴드를 고정 지지하는 한쌍의 고정 돌기부를 형성하는 음극선관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극선관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USING CATHODE RAY TUBE}
본 고안은 음극선관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폭 밴드를 포함한 벌브의 최대 대각 사이즈를 축소시키고, 벌브의 외형을 단순화한 음극선관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은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으로 형광막 스크린을 주사하여 소정의 화면을 구현하도록 그 내부에 전자총과 형광막 스크린 및 섀도우 마스크 등이 내장되며 편향 요크 등이 바깥에 장착된 벌브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음극선관이 외부 케이스인 캐비넷 내부에 고정되어 텔레비젼이나 모니터와 같은 최종 화상 표시 장치로 완성된다.
도 5는 통상적인 음극선관용 벌브와 캐비넷의 분해 사시도로서, 벌브(1)는 내면에 형광막 스크린이 위치하는 페이스 패널(3)과, 내부에 전자총이 고정되는 넥크부(5) 및 상기 페이스 패널(3)과 넥크부(5)를 연결하는 펀넬(7)을 시일 프리트(seal frit)를 통해 일체로 고정하고, 그 내부를 배기시켜 고진공이 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벌브(1)가 그 내부를 고진공 상태로 유지함에 따라, 벌브(1)에 크랙이 생겨 폭축이 일어날 때, 벌브(1)를 구성하는 유리가 비산할 수 있으므로, 도시한 바와 같이 페이스 패널(3) 외주면에 소정의 장력이 인가된 방폭 밴드(9)를 장착하여 시청자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 방폭 밴드(9)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페이스 패널(3) 외주면에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를 붙여 방폭 밴드(9)가 벌브(1)의 유리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스테인레스 강 등을 이용하여 방폭 밴드(9)의 내면 길이가 페이스 패널(3)의 외주장 길이보다 작게 제작하며, 이 밴드를 가열하여 팽창시킨 상태에서 벌브(1) 바깥에 끼우고, 공기를 이용하여 밴드를 냉각시키는 과정을 거쳐 소정의 장력을 얻게 된다.
한편, 벌브(1)와 캐비넷(11)의 결합은 통상적으로 이어(ear)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이어(11)는 방폭 밴드(9)의 네 모서리에 하나씩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이로서 작업자는 이어(11)를 통해 볼트(13)를 프런트 캐비넷(15) 내부에 설치된 너트(17)에 체결하여 벌브(1)를 프런트 캐비넷(15)에 고정시키고, 벌브(1)의 뒷부분을 감싸도록 리어 캐비넷(19)을 프런트 캐비넷(15) 뒤쪽에 고정시켜 캐비넷 조립을 완성한다.
이와 같이 이어(11)를 이용한 벌브(1)의 고정은 단순한 볼트 결합만으로 벌브와 캐비넷을 조립할 수 있는 공정상의 잇점을 제공하지만, 상기 이어(11)를 사용하면 실질적으로 벌브(1)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곤란하므로, 이로 인해 조립 불량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즉, 방폭 밴드(9)는 벌브(1)의 유리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어느 정도 유동성을 가지는 테이프 위에 감기고, 자체적으로 큰 장력이 도입되어 있으므로, 벌브(1)의 운반 과정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장착 위치가 어긋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방폭 밴드(9)의 위치 변화가 이어(11)의 위치 변화로 이어져 벌브(1)를 캐비넷(15, 19)에 조립할 때, 위치 조정이 곤란해지는 문제를 초래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폭 밴드(9)의 네 코너부에 이어(11)가 장착됨에 따라, 벌브(1)의 최대 대각 사이즈(D)가 확대된다. 이로서 벌브(1)의 운반 과정에서 벌브를 담는 포장 용기의 사이즈 또한 확대되어야 하며, 이러한 결과로 음극선관 제작에 소요되는 물류 비용을 증가시켜 원가 절감 측면에서 불리한 단점을 갖는다.
더욱이 벌브(1)와 프런트 캐비넷(15) 사이에 이어(11)가 위치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필요하므로, 프런트 캐비넷(15)의 사이즈를 확대시키게 되며, 방폭 밴드(9)에 4개의 이어(11)를 부착하는 용접 작업이 추가되어 제조 과정을 복잡하게 만드는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벌브의 최대 대각 사이즈를 축소시키면서 그 외형을 단순화하여 포장 용기의 사이즈 축소 및 형상 단순화를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물류 비용을 감소시켜 원가 절감에 유리한 음극선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벌브의 앞부분을 캐비넷 내부에 고정시키는 구조를 제공하여 벌브와 캐비넷의 조립을 보다 단순화하고, 캐비넷에 대한 벌브의 위치 조정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음극선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음극선관과 캐비넷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결합 상태의 음극선관과 캐비넷을 도 1의 A-A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3은 결합 상태의 음극선관과 캐비넷을 도 1의 B-B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통상적인 음극선관용 벌브와 캐비넷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벌브의 정면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형광막 스크린이 형성된 화면부와, 이 화면부의 네 가장자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스커트부를 갖는 페이스 패널과,
상기 페이스 패널 후방에 고정되는 펀넬과,
상기 펀넬 후방에 고정되어 상기 페이스 패널 및 펀넬과 더불어 벌브를 구성하는 넥크부와,
소정의 장력이 인가된 상태로 상기 페이스 패널의 스커트부 외주면에 장착되는 방폭 밴드, 및
상기 벌브를 감싸 고정하는 한쌍의 캐비넷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넷은 상기 벌브와 마주하는 내면에 상기 방폭 밴드와 접촉되어 상기 방폭 밴드를 고정 지지하는 한쌍의 고정 돌기부를 형성하는 음극선관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음극선관과 캐비넷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 상태의 음극선관과 캐비넷을 도 1의 A-A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는 내부의 전자빔 작용으로 화상을 구현하는 음극선관(2)과, 이 음극선관(2)을 감싸 고정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분리 결합하는 한쌍의 상, 하부 캐비넷(4, 6)으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음극선관(2)은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는 벌브(2')로 외관을 형성하는데, 여기서 벌브(2')는 내면에 형광막 스크린(8)이 형성되는 화면부(10a)와 이 화면부(10a)의 네 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스커트부(10b)를 갖는 페이스 패널(10)과, 바깥 둘레에 편향 요크(12)를 고정하는 펀넬(14)과, 내부에 전자총(16)을 장착하는 넥크부(18)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벌브(2')의 내부로 다수의 빔통과용 어퍼쳐(20a)를 갖는 섀도우 마스크(20)가 형광막 스크린(8)과 마주하도록 페이스 패널(10) 내측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음극선관(2)은 상기 전자총(16)에서 형광막 스크린(8)의R, G, B 형광막에 대응하는 세줄기 전자빔을 방출하면, 이 전자빔들이 편향 요크(12)가 발생한 자계에 의해 편향되어 형광막 스크린(8) 위에 라스터(raster)를 형성하면서 섀도우 마스크(20)에 의해 해당 R. G, B 형광막으로 분리되어 정확한 색을 구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자빔 주사로 화상을 구현하는 음극선관(2)은 페이스 패널(10)과 펀넬(14) 및 넥크부(18)가 모두 유리로 제작되고, 그 내부가 고진공 상태이기 때문에, 크랙에 의한 벌브(2')의 폭축시 유리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페이스 패널(10)의 스커트부(10b) 외주면에 소정의 장력을 갖는 방폭 밴드(22)를 장착한다.
여기서, 상기 방폭 밴드(22)는 임의의 다른 부재와 결합하지 않는 독립적인 부재로 제공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폭 밴드(22)를 밴드 전체가 단일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일례로 30 mm의 폭과 1.0 mm의 두께를 갖는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작한다.
이러한 방폭 밴드(22)는 스커트부(10b)의 외주면에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를 붙인 다음, 기존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상기 테이프 바깥에 소정의 장력을 가지고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극선관(2)과 함께 벌브(2')를 감싸 고정하여 소정의 화상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캐비넷은 벌브(2')의 윗부분을 감싸 고정하는 상부 캐비넷(4)과, 벌브(2')의 아랫부분을 감싸 고정하는 하부 캐비넷(6)으로 구성되며, 방폭 밴드(22)가 부착된 벌브(2')의 앞부분과 캐비넷의 결합은 일례로 다음에 설명하는캐비넷 내부 구조를 이용하여 가능하다.
도 3은 결합 상태의 음극선관과 캐비넷을 도 1의 B-B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부분 확대도로서, 상부 캐비넷(4)과 하부 캐비넷(6)은 그 내면에 방폭 밴드(22)와의 접촉으로 이를 고정 지지하는 한쌍의 고정 돌기부(24, 26)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 돌기부(24, 26)는 상, 하부 캐비넷(4, 6) 내부에서 방폭 밴드(22)의 형상에 대응하여 방폭 밴드(22)와 동일한 폭으로 2개의 돌기부가 띠 형상으로 나란히 돌출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서 상기 고정 돌기부(24, 26)는 음극선관(2)과 상, 하부 캐비넷(4, 6)의 결합 과정에서 방폭 밴드(22)의 측면과 접촉하여 이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벌브(2')에 끼워진 방폭 밴드(22)는 그 아랫부분이 하부 캐비넷(6)에 형성된 2개의 고정 돌기부(26) 사이에 끼워져 하부 캐비넷(6) 내부에 고정 장착되며, 이후 상부 캐비넷(4) 조립시, 그 윗부분이 상부 캐비넷(4)에 형성된 2개의 고정 돌기부(24) 사이에 끼워져 상부 캐비넷(4) 내부에 고정 장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술한 방폭 밴드(22) 구성에 의해, 볼트나 너트와 같은 특별한 결합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캐비넷(4, 6) 내부에 제공된 고정 돌기부(24, 26)에 의해 벌브(2')를 지지하므로, 조립 과정을 단순화하며, 벌브(2')를 정확한 위치에 공고히 안착시켜 조립 품질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더욱이 상기한 방폭 밴드(22)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폭 밴드(22)를 포함한 벌브(2')의 최대 대각 사이즈(D')를 효과적으로 축소시킴과 동시에 벌브(2')의 외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상기한 벌브(2')의 제작 후 운반에 필요한 포장 용기의 사이즈를 효과적으로 축소시키면서 그 형상을 단순화하여 물류 비용을 절감시키고, 원가 절감 측면에서 보다 유리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전체가 단일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방폭 밴드와, 한쌍의 고정 돌기부를 갖는 상, 하부 캐비넷을 제공함에 따라, 음극선관과 캐비넷의 조립 과정을 보다 단순화하고, 캐비넷 내부에 음극선관을 정확한 위치에 안착시켜 조립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방폭 밴드가 장착된 벌브의 최대 대각 사이즈를 축소시켜 포장 용기의 축소 및 형상 단순화를 가능하게 하며, 이로서 물류 비용을 감소시켜 원가 절감에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형광막 스크린이 형성된 화면부와, 이 화면부의 네 가장자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스커트부를 갖는 페이스 패널과;
    상기 페이스 패널 후방에 고정되는 펀넬과;
    상기 펀넬 후방에 고정되어 상기 페이스 패널 및 펀넬과 더불어 음극선관의 벌브를 구성하는 넥크부와;
    소정의 장력이 인가된 상태로 상기 페이스 패널의 스커트부 외주면에 장착되는 방폭 밴드; 및
    상기 음극선관의 벌브를 감싸 고정하는 한쌍의 케비넷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넷의 내면에 상기 방폭 밴드와 접촉되어 이 방폭 밴드를 고정 지지하는 한쌍의 고정 돌기부가 형성되는 음극선관을 이용한 화상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부가 상기 방폭 밴드와 동일한 폭의 사이 간격을 유지하면서 띠 형상으로 나란히 돌출되어 상기 방폭 밴드와의 결합시 이 방폭 밴드에 접촉되어 상기 방폭 밴드를 고정 지지하는 음극선관을 이용한 화상 표시장치.
KR2020010016822U 2001-06-05 2001-06-05 음극선관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2002482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822U KR200248216Y1 (ko) 2001-06-05 2001-06-05 음극선관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822U KR200248216Y1 (ko) 2001-06-05 2001-06-05 음극선관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216Y1 true KR200248216Y1 (ko) 2001-10-29

Family

ID=73102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822U KR200248216Y1 (ko) 2001-06-05 2001-06-05 음극선관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2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195B1 (ko) * 2001-03-15 2003-06-02 이미지퀘스트(주) 브라운관 고정용 리브를 가지는 모니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195B1 (ko) * 2001-03-15 2003-06-02 이미지퀘스트(주) 브라운관 고정용 리브를 가지는 모니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2203A (en) Cathode ray tube having an envelope shaped to reduce beam deflection power requirements
KR100373822B1 (ko) 컬러음극선관
CA1219303A (en) Color image display system having an improved external magnetic shield
KR200248216Y1 (ko) 음극선관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EP0991105B1 (en) Cathode ray tube
JP3457563B2 (ja) カラー受像管
CA2039822C (en) Cathode-ray tube having improved 16 x 9 aspect ratio faceplate panel
KR20010005585A (ko) 음극선관 장착 캐비넷
US6432592B1 (en) Shadow mask for color CRT
US6795131B1 (en) Structure for fastening flat braun tube to cabinet
JP3153582B2 (ja) カラー受像管
JPH03165426A (ja) カラー陰極線管の偏向補正磁界発生用磁石
KR100278815B1 (ko) 칼라음극선관
JP3275071B2 (ja) 磁気遮蔽装置を備えた平面カラー陰極線管
KR100692043B1 (ko) 음극선관
KR100246284B1 (ko) 음극선관의 스커트부 판넬
KR20030022479A (ko) 음극선관을 이용한 화상 표시장치
KR100481488B1 (ko) 음극선관의 캐비닛 구조
JP2002008564A (ja) カラー受像管
KR200149254Y1 (ko) 음극선관용 벌브 고정 구조
KR100321652B1 (ko) 지지 러그를 갖는 내파 방지 밴드를 구비한 음극선관
JP2003331756A (ja) 陰極線管のファンネル構造
JP2000021332A (ja) 陰極線管
KR20000073384A (ko) 음극선관
US20060087216A1 (en) Cathode ray tube (C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