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8422A - 화력발전소 비산재를 이용한 저융점 유리 조성물, 결정화유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력발전소 비산재를 이용한 저융점 유리 조성물, 결정화유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8422A
KR20030078422A KR1020020017459A KR20020017459A KR20030078422A KR 20030078422 A KR20030078422 A KR 20030078422A KR 1020020017459 A KR1020020017459 A KR 1020020017459A KR 20020017459 A KR20020017459 A KR 20020017459A KR 20030078422 A KR20030078422 A KR 20030078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l ash
weight
crystallized glass
glass
glas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7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7333B1 (ko
Inventor
김형순
김재명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순천대학교 총장)
김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순천대학교 총장), 김형순 filed Critical 대한민국(순천대학교 총장)
Priority to KR10-2002-0017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7333B1/ko
Publication of KR20030078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3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0/00Devitrified glass ceramics, i.e. glass ceramics having a crystalline phase dispersed in a glassy phase and constituting at least 50%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 C03C10/0063Devitrified glass ceramics, i.e. glass ceramics having a crystalline phase dispersed in a glassy phase and constituting at least 50%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containing waste materials, e.g. 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00Ingredients generally applicable to manufacture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 C03C1/002Use of waste materials, e.g. 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12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 C03C3/127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TiO2 as glass for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03/00Production processes
    • C03C2203/10Melt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03/00Production processes
    • C03C2203/50After-treatment
    • C03C2203/52Heat-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 비산재를 이용한 저융점 유리 조성물, 결정화 유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경오염물질인 석탄재에 저가의 CaO화가 용이한 조개껍질과 소량의 결정화제를 첨가하여 열처리시킴에 의해 얻어지는 고 강도, 내마모성을 갖는 결정화 유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결정화 유리는 석탄재 50∼90중량%, 소성처리 한 조개껍질 10∼30중량% 및 결정화제 5∼11중량%를 균질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950℃에서 1차 하소하여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유해가스가 제거된 혼합물을 1400∼1500℃로 2차 가열하여 용융유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용융후 얻어진 유리를 최대발열시작온도 근처에서 30∼240분 동안 3차 열처리를 수행하여 결정화 유리를 얻는 단계로 구성되는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Description

화력발전소 비산재를 이용한 저융점 유리 조성물, 결정화 유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Glass Composition and Crystallized Glass Composition Having Low Melting Temperature Using Fly Ash of Power Station,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 비산재를 이용한 저융점 유리 조성물, 결정화 유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경오염물질인 석탄재에 저가의 CaO화가 용이한 조개껍질과 소량의 결정화제를 첨가하여 열처리시킴에 의해 얻어지는 고 강도, 내마모성을 갖는 결정화 유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탄은 석유와 함께 인류의 에너지의 원천이며 석유에 비하여 자원이 풍부하고 단위발열당 가격도 염가이기 때문에 특히 발전용 연료로서 사용량이 대폭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화력발전소로부터 발생하는 석탄재는 유효하게 이용되는 것은 40%에 지나지 않고, 나머지 약 60%는 매립 처분하는 것이 현재의 상태이다.
석탄재는 융점이 높아서 용융이 용이하지 않지만 염가의 원료를 첨가함으로써 저융점의 유리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석탄재는 혼합 산화물로 그대로 배출되면 미분의 석탄재가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또한 인체에 해를 끼치게 된다. 이러한 석탄재는 현재 일반적으로 시멘트 원료와 혼합물질로 사용되며, 건축용으로 온돌 바닥재, 토목용으로 지반성 토재, 도로 공사 등에 사용 중이다.
일본특허 공개번호 2001-181019에서는 폐유리, 석탄재, 도자기 찌꺼기, 정수장 발생 오니를 원료로 분쇄, 혼합하여 타일용 원료를 제작하여 900∼1350℃의 온도범위에서 산화 및 환원 소성하여, 외장용 또는 내장용의 타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더러워짐을 막고, 강도 증가와 장식목적으로 응용하였다.
그러나, 일본특허 공개번호 2001-181019호에서는 폐기물로 된 성형용 원료를 타일의 소정 형상에 합쳐서 성형하고, 성형 후 성형체 표면에 유약을 도포하고 소성하는 방법이나 성형체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900∼1350℃에서 소성될 때 형상이 고르게 소성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1998-152343호에서는 천연물(화산재, 규조토 등), 일반 및 산업폐기물 또는 소각재 등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이들에 함유되어 있는 착색성분을 활용하여, 착색체를 각각의 폐기물들을 혼합하여 비교적 저온에서 용융 및 열처리하여 고 강도 및 경도의 결정화 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일본공개특허 제1998-152343호는 재활용에 관한 것으로 석탄재가 아닌 천연물, 일반 산업폐기물 등에 착색제를 첨가하여 소결하는 방법으로 건축재료로 응용되기 위하여 요구되는 기계적 특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는 그대로 배출되면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석탄재에는 SiO2가 주성분으로 포함되어 있어 이를 재활용함과 동시에 환경오염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다양하게 연구한 결과 저가의 조개껍질을 석탄재에 첨가하면 경도와 내마모성이 우수한 유리를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결정화시킬 수 있는 열처리 공정을 개발하여 고강도, 내마모성을 갖는 결정화 유리(일명, 글라스세라믹)를 발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주원료로서 석탄재에 경도와 내마모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CaO 성분을 보강할 수 있는 약간의 산화물을 첨가하고 용융 후 적당한 열처리를 통하여 고강도, 내마모성 특성을 갖고 건축용 타일 및 인조 대리석 등에 사용 가능한 결정화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원료로서 석탄재에 CaO 성분을 보강할 수 있는 약간의 산화물을 첨가하고 용융시켜 융점이 상대적으로 저하된 특성을 갖는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정화 유리 제조공정을 설명한 열처리 타이밍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석탄재 50∼90중량%, 소성처리 한 조개껍질 10∼30중량%, 결정화제 5∼11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내마모성을 갖는 결정화 유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한 결정화 유리 조성물을 이용한 결정화 유리의 제조방법은 미분의 석탄재에 염가의 첨가제와 소량의 결정화제를 동시에 첨가하여 상기한 결정화 유리 조성물을 균질 혼합하는 단계와, 950℃에서 1차 하소 처리하는 단계와, 1400∼1500℃로 2차 가열하여 유리를 제조하는 단계와, 최대발열시작온도 근처에서 30∼240분 동안 3차 열처리를 통하여 결정화 유리를 얻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결정화 유리 조성물의 일차적으로 조성설계를 위해 X-선 형광분석기(XRF)를 통하여 석탄재(Fly Ash)의 구성 성분을 조사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석탄재 구성 성분(wt.%)
SiO2 Al2O3 Fe2O3 CaO MgO Na2O K2O SO3 TiO2 SrO ZrO2 BaO Total
58.90 23.07 6.67 6.31 0.93 0.54 1.43 0.80 1.24 0.20 0.09 0.30 100
현재 화력발전소 등에서 배출되는 석탄재 조성은 높은 융점을 가지고 있어 용융후 고화가 쉽지 않으므로 융점을 낮추기 위한 첨가제로서 본 발명에서는 저가의 CaO를 다량 함유한 조개껍질을 이용하였고, 조개껍질은 1000℃에서 소성처리 후 원료로 사용하였다. XRF 분석을 활용하여 조개껍질의 구성 성분(Shell Composition)을 조사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조개껍질로부터 비교적 불순물의 함량이 적은 98중량% 이상의 CaO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조개껍질에는 홍합, 굴, 꼬막, 따개비, 기타 패각들이 많이 있지만꼬막껍질이 다른 패각에 비해 시료확보가 용이하고 소성처리 후 불순물의 함량이 비교적 적으며 석탄재에 첨가할 경우 낮은 온도에서 용융 후 유리를 얻을 수 있다.
조개 구성 성분(wt.%)
CaO Na2O SrO SO3 Al2O3 MgO Cl P2O5 Total
98.03 1.06 0.31 0.25 0.12 0.11 0.07 0.06 100
또한 상기 석탄재와 조개껍질의 혼합물을 용융하여 얻어질 수 있는 유리 조성물을 세라믹재료로 전환하기 위해서 소량의 결정화제를 첨가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내마모성을 갖는 결정화 유리 재료를 제조하였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결정화 유리 조성물에 대한 수치한정의 이유를 설명한다.
먼저, 석탄재의 함량이 9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석탄재에 포함된 많은 량의 SiO2와 Al2O3때문에 융점이 높아서 전기로에서 용해가 어렵게되는 문제점이 있고, 50중량% 미만인 경우 원료로서 경제성이 없는 문제가 있어, 본 발명의 석탄재 함량은 상기 범위로 정한다.
또한 점도저하와 융점의 저하를 위한 목적으로 CaO의 공급원으로 첨가되는 조개 껍질의 함량은 10중량% 미만일 때 융점저하에 대한 효과가 없었으며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융점이 다시 증가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즉, 석탄재(비산재)에 조개껍질을 다량 (30중량% 이상)으로 첨가하면 융점이 상승되나, 10∼30중량% 범위, 특히 10∼15중량% 범위에서 첨가하면 고온에서 융체의 점성저하와 유동성의 증대로 보다 저온에서 용융이 가능하며 유리의 주조시에균일한 조성의 유리를 제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열처리 후 제조된 결정화 유리의 물성 측면에서는 경도와 내마모성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기 표 3에서 보듯이 조개껍질의 첨가에 따라 높은 융점을 갖는 석탄재를 융점을 1400℃에서 1210℃까지 낮추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결정화제로 첨가되는 TiO2의 양은 5-11중량%의 범위이며, 이 경우 첨가량이 5중량% 미만에서는 내부결정화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11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원료의 비경제성으로 최소화하는 양을 고려하여야 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CaO의 공급원으로 조개껍질을 첨가하여 낮은 온도에서 유리를 제조 후 열처리를 통하여 결정성장을 유도하고자 결정화제를 적당량 첨가하였다. 제조된 유리를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취성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강도, 내마모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결정화를 유도하여 결정화 유리를 제조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따라서, 결정화제의 최적 첨가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TiO2로 0∼11중량% 농도 범위에서 첨가하여 적당한 농도를 조사한 결과 표 3의 결과처럼 TiO2의5중량% 이상에서 내부결정화를 나타났으며, 이때 적절한 TiO2의 농도는 CaO의 양에 따라 상대적으로 변하였다. 결정화상태는 내부 및 표면 결정화 상태중 하나로 나타난다. 표면결정화 상태는 여전히 재료의 내부가 비정질의 유리상태로 존재하므로 내부결정화 상태의 재료에 비교하여 경도, 강도, 내마모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물성을 나타내므로 본 발명에서는 내부결정화를 유도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또한, 상기 열처리를 통한 결정화 유리를 얻는 단계에서 열처리조건 중 최대발열 시작온도(To)이하인 950℃ 이하에서는 결정화가 일어나지 않으며 1050℃ 이상에서는 결정화과정인 발열반응단계가 완료되는 온도로 바람직하지 못한 온도구간이다. 열처리 시간측면에서 30분 가량의 열처리시간은 핵생성과 내부결정성장을 유도하는데 짧은 시간이었으며 240분 이상에서는 치밀하며 높은 결정화로 내부에 미세기공이 생겨 경도, 강도저하를 초래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결정화 유리의 제조방법을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첫 번째 단계로, 석탄재의 유리 제조를 위해 열분석기를 통하여 1500℃ 이상의 융점을 갖는 석탄재(Fly Ash) : 50∼90중량%, 소성처리 한 조개껍질 : 10∼30중량%, 결정화제로 TiO2: 2∼11중량%를 표 3과 같이 취한 후 균질한 시료의 혼합을 위하여 지르코니아 볼과 에탄올을 사용하여 24시간동안 습식 볼 밀링을 행하였다. 습식 혼합법을 이용하여 볼 밀링한 후의 원료 분말을 15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두 번째 단계로, 전술한 원료 분말을 알루미나 도가니를 이용하여 유해 가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950℃에서 3시간동안 하소처리하고 백금 도가니를 이용 전기로에서 용융하였다. 이때 승온속도는 10℃/min으로 1450℃까지 충분한 용융을 위하여 4시간동안 유지 후 용융유리를 냉각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유리를 열분석기를 이용하여 열처리 온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10℃/min의 승온속도로 1450℃까지 가열하였다. 이렇게 측정된 열처리 온도(Thermal Property), 즉 유리전이온도(Tg), 최대발열 시작온도(To), 최대발열피크온도(Tp), 용융온도(Tl)를 표 3에 나타냈다.
세 번째 단계로, 용융 후 얻어진 유리를 결정화처리를 위하여 최대발열 시작온도(To) 근처에서 0.5∼4시간 열처리하여 각 시험편에 대한 열처리후의 결정화 상태(crystallization after heat treatment)가 내부까지 결정화 상태인지 또는 표면만 결정화 상태인 지를 조사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 No. 석탄재(wt.%) From Shell CaO(wt.%) TiO2(wt.%) 열처리 온도(℃) 결정화 상태
Tg To Tp Tl
0 100 0 0 - - - 1400 표면
1 90 10 0 - - - 1336 표면
2 88 10 2 709 1014 1055 1339 표면
3 85 10 5 685 991 994 1334 내부
4 83 10 7 688 1046 1074 1307 내부
5 79 10 11 714 963 1089 1297 내부
6 78 20 2 719 1008 1023 1328 표면
7 75 20 5 747 962 1044 1241 표면
8 73 20 7 717 1015 1005 1227 표면
9 69 20 11 692 973 993 1255 표면
10 68 30 2 737 1007 1152 1219 표면
11 65 30 5 723 1013 990 1226 표면
12 63 30 7 745 965 1046 1245 표면
13 59 30 11 705 970 997 1269 표면
네 번째 단계로, 전술에서 얻어진 결정화 유리를 분말 X-선회절법을 이용하여 결정상을 분석하였다. 이때 마노유발을 이용하여 각 시편에 대하여 미분으로 만든 후 325mesh의 체를 사용하여 45㎛ 이하의 분말을 얻어 Cu 타겟을 사용하고 회절각은 (2θ)10∼70°범위까지 측정하였다.
상기한 결정화 유리는 분말 X-선 회절 분석기(XRD)를 통하여 구성 결정상을 확인한 결과 뮬라이트와 석영상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입도 분석기를 통하여 수㎛ 에서 수십㎛까지의 입도분포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 번째 단계로, 상기한 결정화유리의 결정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2% 불산(HF)수용액에서 부식한 후 다시 50% 염산(HCl)수용액에서 후처리 한 후 수세하여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미세조직을 관찰하여 표면 및 내부의 결정화 상태(표면, 내부결정화)를 판단하였다 (표 3 결과 참조).
여섯 번째 단계로, 앞에서 제조된 결정화 유리에 대하여 선팽창계수(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험편을 5×5×10mm로 제조한 후 승온속도를 5℃/min으로 하여 상온∼600℃까지 올리면서 측정하였다.
표 3을 참고하면 열처리 후의 결정화 상태가 내부 결정화를 나타낸 것은 3, 4, 5번 시료로서 이들은 결정화제인 TiO2의 양이 5중량% 이상에서 내부 결정화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4번 조성에 대하여 열처리를 하여 타일용 시험편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석탄재(83중량%), 소성처리 한 조개껍질(10중량%), 결정화제 TiO2(7중량%)의 조성을 습식 볼밀링을 위하여 지르코니아 볼과 에탄올을 함께 넣어 24시간동안 습식 볼 밀링 한 후 150℃에서 24시간동안 건조하여 950℃에서 3시간동안 하소처리를 하였다. 그리고 백금도가니를 이용하여 1450℃에서 4시간동안 용융하여 예열된 탄소몰드에 주입하여 열응력 제거 온도인 710℃에서 1시간동안 유지한 후 노냉하였다.
도 1은 상기한 결정화 유리를 제조하는 시간에 따른 열처리의 온도를 나타낸 것으로 하소, 용융, 결정화처리, 열응력 제거의 4단계로 구분되어 처리하였다.
이 경우 결정화유리를 제조하기 위하여 유리의 최대발열 시작온도(To)에 의거하여 900, 950, 1000, 1050, 1100℃ 에서 각각 30, 60, 120, 240분 동안 열처리하였다. 이렇게 열처리된 시편을 X-선 회절기를 이용하여 결정상 분석을 조사한 결과, 열처리 시간이 1시간 이하에서는 Fe2TiO5결정상이 주상으로 나타났으나, 열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Fe2TiO5결정상이 감소하며, 아노사이트(Anorthite)(CaAl2Si2O8)의 결정상이 주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험편을 30×30mm2로 제조한 후 900, 950, 1000, 1050, 1100℃ 에서 30, 60, 120, 240분 동안 열처리하여 비커스 경도기(하중:0.3kg)를 이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으며, 내마모성 평가는 KS F 2182에 의거하여 낙하식 마모시험기를 사용하였다. 마모시험용 시험체는 정사각형으로 제작한 후 시험체 무게를 측정한 후 수평면과 45°각도로 경사지게 장치하고, 1100mm의 높이에서 KS L 6508에 규정한 탄화규소 연삭재 C의 입도 20번을 무게 10kg 낙하시킨 다음, 시험체에 부착된 가루를 잘 털어내고 시험체의 무게를 측정하여 그 무게 감량을 마모감량으로 하였다. 무게는 0.01g까지 측정하였다.
이렇게 평가된 유리와 결정화유리의 기계적 특성평가는 유리의 경우 6.04GPa정도의 비커스 경도(Vickers Hardness)와 6.28(x 10-4g/cm2) 마모율(Wear rate)을 보였으며 1000℃에서 2시간 열처리한 결정화 유리 경우에는 7.2GPa의 경도와 1.32(x10-4g/cm2)의 마모율을 나타냈다. 열처리 조건에 따른 결정화 유리의 경도, 마모율의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냈다.
상기 표 4로부터 열처리조건 중 최대발열 시작온도(To)이하인 950℃ 이하에서는 결정화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1050℃ 이상에서는 결정화과정인 발열반응단계가 완료되는 온도로 바람직하지 못한 온도구간이다. 열처리 시간측면에서 30분 가량의 열처리시간은 핵생성과 내부결정성장을 유도하는데 짧은 시간이었으며 240분 이상에서는 치밀하며 높은 결정화도로 내부에 미세기공이 생겨 경도, 강도저하를 초래하는 조건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시간이다.
한편, 열특성평가 측면에서 유리와 결정화유리의 선팽창계수는 4∼5×10-6//K의 범위였으며, 결정화유리는 유리보다 낮은 4.80∼5.1×10-6//K 범위에 놓였다. 또한, 고온에서 결정성장을 유도한 결정화유리의 선팽창계수는 약간 감소되었으며 장시간 유지할수록 미소하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와 열처리 후 결정화 유리의 선팽창계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냈다.
시료 No. 열처리 온도(℃) 열처리 시간(min) 비커스 경도 (GPa) 마모율 (10-4g/cm2) 선팽창계수(10-6/K)
2 Glass 0 6.05 7.0526 5.23
3 900 240 6.07 6.9831 -
4-1 950 30 6.20 5.0526 5.04
4-2 60 7.06 2 -
4-3 120 7.42 1.6842 -
4-4 240 7.55 1 5.14
4-5 1000 30 7.28 1.4211 -
4-6 60 7.39 1.2632 -
4-7 120 7.20 1.3158 4.95
4-8 240 7.44 1.5263 5.09
4-9 1050 30 7.25 1.4737 -
4-10 60 7.25 1.5632 -
4-11 120 7.07 2.8421 4.74
4-12 240 6.98 2.9474 4.80
5 1100 60 6.73 3.1294 -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용융 석탄재의 결정화 유리는 우수한 경도와 내마모성을 나타내므로 건축용 자재인 타일과 구조 세라믹재료로 응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다량 발생하는 환경오염 물질인 석탄재를 저가의 조개껍질과 소량의 결정화제를 첨가함에 의해 고강도, 높은 내마모성을 갖춘 건축자재로 제조하여 효율적으로 자원을 재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석탄재 70-90중량%와 CaO의 공급원으로 소성처리 한 조개껍질 10∼30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재를 이용한 저 융점 유리 조성물.
  2. 석탄재 70∼90중량% 및 소성처리 한 조개껍질 10∼30중량%를 균질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950℃ 에서 3시간동안 1차 하소하여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유해가스가 제거된 혼합물을 1400∼1500℃로 2차 가열하여 용융유리를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재를 이용한 저융점 유리의 제조방법.
  3. 석탄재 50∼90중량%, 소성처리 한 조개껍질 10∼30중량% 및 결정화제 5∼11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내마모성을 갖는 결정화 유리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제는 TiO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내마모성을 갖는 결정화 유리 조성물.
  5. 석탄재 50∼90중량%, 소성처리 한 조개껍질 10∼30중량% 및 결정화제 5∼11중량%를 균질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950℃에서 3시간동안 1차 하소하여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유해가스가 제거된 혼합물을 1400∼1500℃로 2차 가열하여 용융유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용융후 얻어진 유리를 최대발열시작온도 근처에서 30∼240분 동안 3차 열처리를 수행하여 결정화 유리를 얻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내마모성을 갖는 결정화 유리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차 열처리는 950∼1050℃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내마모성을 갖는 결정화 유리의 제조방법.
KR10-2002-0017459A 2002-03-29 2002-03-29 화력발전소 비산재를 이용한 저융점 유리 조성물, 결정화유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77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459A KR100477333B1 (ko) 2002-03-29 2002-03-29 화력발전소 비산재를 이용한 저융점 유리 조성물, 결정화유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459A KR100477333B1 (ko) 2002-03-29 2002-03-29 화력발전소 비산재를 이용한 저융점 유리 조성물, 결정화유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422A true KR20030078422A (ko) 2003-10-08
KR100477333B1 KR100477333B1 (ko) 2005-03-25

Family

ID=3237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459A KR100477333B1 (ko) 2002-03-29 2002-03-29 화력발전소 비산재를 이용한 저융점 유리 조성물, 결정화유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733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9063A2 (ko) * 2010-06-14 2011-12-22 부관흥 유골 용융 결정체 제조방법
KR101124873B1 (ko) * 2011-08-01 2012-03-26 부관흥 용융 결정체 제조방법
CN105384341A (zh) * 2015-11-12 2016-03-09 烟台大学 一种绿色生态泡沫玻璃及其生产方法
CN108483925A (zh) * 2018-04-27 2018-09-04 中国兵器科学研究院宁波分院 一种综合利用城市固废高效制备高强韧微晶玻璃的方法
CN109160742A (zh) * 2018-11-14 2019-01-08 西南科技大学 一种以粉煤灰为原料的微晶玻璃
CN109160741A (zh) * 2018-11-14 2019-01-08 西南科技大学 一种直接烧结粉煤灰制备微晶玻璃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237B1 (ko) * 2008-12-31 2011-09-28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석탄 바닥재를 이용한 결정화 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061463B1 (ko) * 2008-12-31 2011-09-02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석탄 바닥재를 이용하여 넷휄린이 주결정상인 결정화 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165177B1 (ko) 2010-02-24 2012-07-11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석탄바닥재와 Lⅰ2O를 이용한 열팽창 계수가 매우 낮은 결정화 유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5525B2 (ja) * 1990-12-25 1998-07-16 月島機械株式会社 結晶化ガラスの製造方法
CA2099460A1 (en) * 1992-07-02 1994-01-03 Michelle G. Alexander Process for vitrifying incinerator ash
JPH0867527A (ja) * 1994-08-19 1996-03-12 Hikari Giken:Kk 天然鉱物、一般及び産業廃棄物の焼却灰などを有効に利 用したガラス
KR100208224B1 (ko) * 1995-10-14 1999-07-15 이구택 내마모성이 우수한 글래스세라믹 소재의 제조방법
AU2445397A (en) * 1996-04-09 1997-10-29 Vortec Corporation Manufacture of ceramic tiles from fly ash
JP2001328859A (ja) * 2000-05-18 2001-11-27 Tadashi Fukiya 呼吸性を備えた室内用セラミック建材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9063A2 (ko) * 2010-06-14 2011-12-22 부관흥 유골 용융 결정체 제조방법
WO2011159063A3 (ko) * 2010-06-14 2012-04-19 부관흥 유골 용융 결정체 제조방법
KR101124873B1 (ko) * 2011-08-01 2012-03-26 부관흥 용융 결정체 제조방법
CN105384341A (zh) * 2015-11-12 2016-03-09 烟台大学 一种绿色生态泡沫玻璃及其生产方法
CN108483925A (zh) * 2018-04-27 2018-09-04 中国兵器科学研究院宁波分院 一种综合利用城市固废高效制备高强韧微晶玻璃的方法
CN108483925B (zh) * 2018-04-27 2021-08-10 中国兵器科学研究院宁波分院 一种综合利用城市固废高效制备高强韧微晶玻璃的方法
CN109160742A (zh) * 2018-11-14 2019-01-08 西南科技大学 一种以粉煤灰为原料的微晶玻璃
CN109160741A (zh) * 2018-11-14 2019-01-08 西南科技大学 一种直接烧结粉煤灰制备微晶玻璃的方法
CN109160742B (zh) * 2018-11-14 2022-03-01 西南科技大学 一种以粉煤灰为原料的微晶玻璃
CN109160741B (zh) * 2018-11-14 2022-03-01 西南科技大学 一种直接烧结粉煤灰制备微晶玻璃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7333B1 (ko) 200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hurudeen et al. Influence of different processing methods on the pozzolanic performance of sugarcane bagasse ash
Souza et al. Reuse of sugarcane bagasse ash (SCBA) to produce ceramic materials
Andreola et al. Technological properties of glass-ceramic tiles obtained using rice husk ash as silica precursor
ES2638051T3 (es) Procesamiento de cenizas volantes y fabricación de artículos que incorporan composiciones de cenizas volantes
Mukhopadhyay et al. Effect of fly ash on the physico-chem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 porcelain composition
Martín et al. Crystallisation and microstructure of nepheline–forsterite glass-ceramics
Lerdprom et al. Porcelain production by direct sintering
Farooque et al. Characterization and utilization of rice husk ash (RHA) from rice mill of Bangladesh
KR100477333B1 (ko) 화력발전소 비산재를 이용한 저융점 유리 조성물, 결정화유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Mukhopadhyay et al. Phase analysis and microstructure evolution of a bone china body modified with scrap addition
Liu et al. Glass-ceramics made from arc-melting slag of waste incineration fly ash
Dana et al. Evolution of microstructure in flyash-containing porcelain body on heating at different temperatures
Awaad et al. Effect of replacing weathered feldspar for potash feldspar in the production of stoneware tiles containing fish bone ash
KR101913590B1 (ko) 세라믹타일의 제조방법
Jiménez-Quero et al. Industrial wastes as alternative raw materials to produce eco-friendly fired bricks
Boulaiche et al. Valorisation of Industrial Soda-Lime Glass Waste and Its Effect on the Rheological Behavior, Physical-Mechan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Sanitary Ceramic Vitreous Bodies
Mirhadi et al. Effect of calcium fluoride on sintering behavior of SiO2-CaO-Na2O-MgO glass-ceramic system
Suvorov et al. High-temperature heat-insulating materials based on vermiculite
Bhattacharyya et al. Effect of titania on fired characteristics of triaxial porcelain
Iya et al. Effect of Iron (111) Oxide (Fe2O3) as an Additive and substitution of quartz with POFA on physico-mechanical properties of porcelain
Bajare et al. Obtaining composition of geopolymers (alkali activated binders) from local industrial wastes
Chandrasekaran et al.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ceramic bricks with replacing waste glass in low volume ratio
KR101418642B1 (ko) 승온 소성법을 이용한 균일 발포 특성을 갖는 인공경량골재의 제조
KR100465460B1 (ko) 도시소각재를 활용한 결정화유리 제조방법
Kutty et al. Influence on the phase formation and strength of porcelain by partial substitution of fly ash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