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8284A - 병마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병마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8284A
KR20030078284A KR1020020017217A KR20020017217A KR20030078284A KR 20030078284 A KR20030078284 A KR 20030078284A KR 1020020017217 A KR1020020017217 A KR 1020020017217A KR 20020017217 A KR20020017217 A KR 20020017217A KR 20030078284 A KR20030078284 A KR 20030078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plug
ring
bottle cap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7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호 filed Critical 김영호
Priority to KR1020020017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8284A/ko
Publication of KR20030078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28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마개를 병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병마개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돌리는 것에 의해 병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병마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탄성버팀대(42)에 의해 상단 중심의 공중에 부양된 상태로 지지되는 밸브(44)를 갖고, 병(30)의 입구(32)에 끼워지는 중공형플러그(40)와, 병(30)의 목부(34) 외측에 고정되고 중공형플러그(40)와 맞물림되는 플러그회전방지링(50)와, 중공형플러그(40)와 축방향으로 나사결합되고 중심에 밸브(44)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구멍(64)이 형성된 링너트(60) 및 링너트(60)와 스플라인이음되고, 상단 중앙에 밸브구멍(64)과 중심이 일치되는 구멍(72)이 형성되며, 회전수제한수단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제한된 회전수를 갖는 병마개(7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병마개 개폐장치{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bottle cap}
본 발명은 병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데 이용되는 병마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병마개를 병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병마개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돌리는 것에 의해 병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병마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병마개는 병의 입구와 나사결합되어 있거나 크라운형태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모두 병의 입구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병마개를 병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하여야 되므로, 병마개 분실의 염려가 있었으며, 병의 입구를 개폐할 때마다 병마개를 여러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이 불편하기 때문에 병의 입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병마개를 완전하게 닫지 않은 상태로 두기 때문에 내부에 탄산음료가 든 경우에는 탄산가스가 쉽게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고, 술인경우에는 알콜성분이 빠져나가게 되므로 맛이 변질되거나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병마개는 입구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만 내용물을 따를 수 있기 때문에 따르는 내용물의 양을 조절하는 경우 병의 기울기로 조절하였으나 병이 불투명하게 되어 있는 경우 내용물의 양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자칫 실수하여 많은 양의 내용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게 되는 실수를 저지를 수 있다.
특히, 종래의 병마개중 일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어 손으로 돌려 따게되는 과정에서 손에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병 입구의 개폐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병 입구의 개방시 병마개를 병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배제함으로써 병마개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입구를 통해 따르는 내용물의 양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물론 회전에 의해 손쉽게 개방 및 폐쇄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병마개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탄성버팀대에 의해 상단 중심의 공중에 부양된 상태로 지지되는 밸브를 갖고, 병의 입구에 끼워지는 중공형플러그와, 병의 목부 외측에 고정되고 중공형플러그와 맞물림되는 플러그회전방지링와, 중공형플러그와 축방향으로 나사결합되고 중심에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구멍이 형성된 링너트 및 링너트와 스플라인이음되고, 상단 중앙에 밸브구멍과 중심이 일치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회전수제한수단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제한된 회전수를 갖는 병마개로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상면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 개폐장치에 의해 병의 입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 개폐장치에 의해 병의 입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30 : 병32 : 입구
34 : 목부40 : 중공형플러그
42 : 탄성버팀대44 : 밸브
50 : 플러그회전방지링60 : 링너트
64 : 밸브구멍70 : 병마개
72 : 구멍82 : 일방향걸림돌기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탄성버팀대(42)에 의해 상단 중심의 공중에 부양된 상태로 지지되는 밸브(44)를 갖고, 병(30)의 입구(32)에 끼워지는 중공형플러그(40)와, 병(30)의 목부(34) 외측에 고정되고 중공형플러그(40)와 맞물림되는 플러그회전방지링(50)와, 중공형플러그(40)와 축방향으로 나사결합되고 중심에 밸브(44)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구멍(64)이 형성된 링너트(60) 및 링너트(60)와 스플라인이음되고, 상단 중앙에 밸브구멍(64)과 중심이 일치되는 구멍(72)이 형성되며, 회전수제한수단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제한된 회전수를 갖는 병마개(70)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중공형플러그(40)에 형성된 탄성버팀대(42)는 예컨대, 4개로 구성하고, 모두 동일한 원주방향으로 경사진 나선구조로 구성하였으며, 그 중공형플러그(40)의 하단부에는 병(30)의 입구(32)로 끼워질 때 입구(3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예컨대, 3개의 환형실링부(46)가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버팀대(42)는 병(30)의 입구(32)를 닫을 때 링너트(60)의 밸브구멍(64) 하단 모서리부분에 밀착되는 밸브(44)에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밸브(44)가 링너트(60)의 밸브구멍(64) 하단 모서리부분에 밀착된 상태에서 병마개(70)를 더 돌려서 조이더라도 탄성버팀대(42)가 탄성을 갖고 원주방향으로 비틀리면서 동시에 하강하도록 하여 밸브(44)의 밸브구멍(64)으로의 밀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중공형플러그(40)와 플러그회전방지링(50)의 맞물림은 이 중공형플러그(40)에 형성된 플랜지(48)의 밑면에 예컨대, 4개의 돌기부(48a)를 하방으로 돌출 형성하고, 플러그회전방지링(50)에는 이 돌기부(48a)가 끼워지는 예컨대, 4개의 절개부(52)를 형성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하였다.
또, 중공형플러그(40)의 중앙에는 병(30) 속의 내용물이 통과할 수 있는 유로(41)가 형성된다.
그리고, 플러그회전방지링(50)과 병(30)의 결합은 플러그회전방지링(50)의 내측면과 병(30)의 목부(34) 외측면에 각각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수직리브(54)(36)를 형성하여 플러그회전방지링(50)을 병(30)의 목부(34)에 수직방향으로 끼워맞춤으로써 플러그회전방지링(50)은 물론, 중공형플러그(40)도 이들 수직리브(54)(36)에 의해 회전되지 못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플러그회전방지링(50)에 형성된 절개부(52)에는 안쪽으로 절곡되어 탄성을 갖는 일방향성탄성걸림편(56)을 형성하여 이 플러그회전방지링(50)을 병(30)의 목부(34)를 향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울 때 병(30)의 목부(34)에 형성된 원추형경사면(38)을 타고 넘어서 하단의 걸림턱(38a)에 걸리도록 구성하였으며, 플러그회전방지링(50)의 상단부에는 내측 중심을 향해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단걸림턱(58)을 형성하여 병(30)의 목부(34)에 형성된 원추형경사면(38)의 중간에 걸리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링너트(60) 및 병마개(70)의 돌리는 회전수(예, 반회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수제한수단은 플러그회전방지링(50)의 하단부에 걸리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일방향걸림돌기(82)를 이 플러그회전방지링(50)의 하단부와 축방향으로 유격을 두고 병마개(70)의 내주면상에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병마개(70)와 링너트(60)의 스플라인이음은 링너트(60)의 외주면상에 일정한 간격의 스플라인홈(66)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병마개(70)의 내측 상단 코너로부터 하방을 향해 수직으로 스플라인돌기부(76)를 형성하여 이 스플라인돌기부(76)가 스플라인홈(66)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병마개(70)와 링너트(60)가 같이 회전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링너트(60)에 형성되는 스플라인홈(66)의 수를 병마개(70)에 형성되는 스플라인돌기부(76)보다 많은 수(예, 6개)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링너트(60)와 중공형플러그(40)의 나사결합은 링너트(60)의 내주면상에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형성되는 암나사부(68)를 형성하고, 중공형플러그(40)의 외주면상에 이 암나사부(68)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49)를 형성하였다.
또, 링너트(60)의 상단부에는 돌출관부(69)를 형성하여 병마개(70)의 상단 중심에 형성된 구멍(72)을 통해 병마개(70)의 상면보다 더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내용물을 따를 때 내용물이 병마개(70)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회전방지링(50)을 병(30)의 목부(34)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우선 플러그회전방지링(50)의 내주면에 형성된 수직리브(54)가 이루는 사이의 틈으로 병(30)의 목부(34)에 형성된 수직리브(36)가 끼워지도록 수평위치를 맞춘 상태에서 플러그회전방지링(50)을 병(30)의 목부(34)를 향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우게 되면, 플러그회전방지링(50)에 형성되어 있는 일방향성탄성걸림편(56)이 병(30)의 목부(34)에 형성된 원추형경사면(38)을 타고넘으면서 그 아래쪽의 걸림턱(38a)에 걸리게 된다.
이때 일방향성탄성걸림편(56)은 원추형경사면(38)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졌다가 걸림턱(38a)에 이르렀을 때 그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형으로 복원되어 걸림턱(38a)에 걸리게 되며, 플러그회전방지링(50)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단걸림턱(58)은 원추형경사면(38)의 중간에서 멈추게 되고, 플러그회전방지링(50)에 형성된 수직리브(54)가 병(30)의 목부(34)에 형성된 수직리브(36)의 사이로 끼워지면서 플러그회전방지링(50)이 병(30)의 목부(34)에 고정된다.
즉, 플러그회전방지링(50)은 서로 맞물린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수직리브(54)(36)에 의해 회전할 수 없는 상태로 고정되고, 동시에 이 플러그회전방지링(50)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단걸림턱(58)과 하부의 일방향성탄성걸림편(56)에 의해 상하부로 이탈될 수 없도록 된다.
한편, 위와 같은 상태에서 중공형플러그(40)에 형성된 돌기부(48a)가 하측의 플러그회전방지링(50)의 절개부(52)로 끼워지도록 하면서 중공형플러그(40)를 병(30)의 입구(32)로 압입하게 되면, 이 병(30)의 입구(32) 내경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되어 있는 환형실링부(46)가 탄성에 의해 상측으로 변형되면서 입구(32) 내벽에 밀착되고, 중공형플러그(40)에 형성된 플랜지(48)가 병(30)의 상단에 걸리면서 돌기부(48a)가 플러그회전방지링(50)의 절개부(52)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중공형플러그(40)는 돌기부(48a)와 절개부(52)의 맞물림에 의해 회전될 수 없게 되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링너트(60)에 형성된 암나사부(68)와 중공형플러그(40)에 형성된 수나사부(49)를 서로 나사결합하면서 링너트(60)와 중공형플러그(40)를 결합한 다음 병마개(70)로 덮기 위하여 이 병마개(70)에 형성된 스플라인돌기부(76)가 링너트(60)에 형성된 스플라인홈(66)에 끼워지도록 병마개(70)를 끼우게 되면, 우선 병마개(70)의 내주면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일방향걸림돌기(82)가 플러그회전방지링(50)의 외주면 저항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지다가 플러그회전방지링(50)의 하단에 이르렀을 때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이 플러그회전방지링(50)의 하단에 걸리게 되고, 병마개(70)를 더 아래쪽으로 누르게 되면, 스플라인돌기부(76)가 스플라인홈(66)에 끼워지면서 병마개(70)와 링너트(60)가 결합된다.
즉, 링너트(60)는 중공형플러그(40)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있게 되며, 병마개(70)는 링너트(6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는 상태로 되는 동시에 플러그회전방지링(50)의 하단에 걸리면서 상측으로 이탈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이때 병마개(70)에 형성된 일방향걸림돌기(82)는 플러그회전방지링(50)의 하단부와 소정거리의 유격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병마개(70)의 상하방향 이동거리가 제한된 상태로 확보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마개(70)에 의해 링너트(60)를 조이는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링너트(60)에 형성된 밸브구멍(64)의 하단부에 밸브(44)가 밀착되면서 중공형플러그(40)의 유로(41)가 폐쇄되고, 병(30) 속의 내용물이 밖으로 빠져나올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즉, 병마개(70)를 돌릴 때 이 병마개(70)와 링너트(60)를 결합하고 있는 스플라인돌기(76)와 스플라인홈(66)에 의해 병마개(70)와 함께 링너트(6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링너트(60)와 중공형플러그(40)가 서로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링너트(60)를 돌리는 방향에 따라 링너트(60)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밸브(44)로부터 떨어져서 틈을 만들거나 밀착되어 밀폐하게 된다.
이때 중공형플러그(40)는 그 아래쪽의 플러그회전방지링(50)에 의해 회전이 정지된 상태로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링너트(60)에 의해 회전할 수 없게 되며, 플러그회전방지링(50) 또한 병(30)의 목부(34)에서 회전될 수 없도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중공형플러그(40)를 견고하게 붙들고 있는 꼴이 된다.
또, 링너트(60)가 아래쪽으로 움직이면서 밸브구멍(64)의 하단부에 밸브(44)가 접촉되면, 이 밸브(44)를 지지하고 있는 탄성버팀대(42)가 원주방향으로 비틀리면서 탄성을 갖고, 밸브(44)가 아래쪽으로 더 이동하게 되어 밸브(44)와 밸브구멍(64) 간의 밀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첨부도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너트(60)와 중공형플러그(40)가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병마개(70)를 돌리게 되면, 링너트(60)의 밸브구멍(64)이 밸브(44)로부터 떨어지면서 병(30) 속의 내용물이 빠져나올 수 있는 틈을 만들게 되고, 밸브(44)는 탄성버팀대(4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측으로 약간 상승되는 형태로 복귀된다.
이때 병마개(70)에 형성되어 있는 일방향걸림돌기(82)가 플러그회전방지링(50)의 하단부에 걸리게 되면, 더 이상 병마개(70)를 돌릴 수 없기 때문에 병마개(70) 분실의 염려가 없게 된다.
한편, 병마개(70)에 의해 회전되는 링너트(60)의 회전량에 따라 형성되는 밸브(44)와 밸브구멍(64) 간의 틈새에 의해 병(30)으로부터 빠져나오는 내용물의 양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병마개를 병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단지 돌리는 것에 의해 병 속의 내용물을 따를 수 있는 상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게 되고, 병마개 분실의 염려가 없게 되며, 밀폐성능이 우수하여 용기내의 탄산가스 또는 알코올 성분 등의 누출을 막아 내용물의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병마개의 돌리는 양에 따라 밸브와 밸브구멍간의 틈새가 넓어지거나 좁아지기 때문에 내용물의 따르는 양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서 작은 각도의 회전에 의해 개폐를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손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복수의 탄성버팀대(42)에 의해 상단 중심의 공중에 부양된 상태로 지지되는 밸브(44)를 갖고, 병(30)의 입구(32)에 끼워지는 중공형플러그(40)와;
    상기 병(30)의 목부(34)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중공형플러그(40)와 맞물림되는 플러그회전방지링(50)와;
    상기 중공형플러그(40)와 축방향으로 나사결합되고 중심에 상기 밸브(44)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구멍(64)이 형성된 링너트(60) 및;
    상기 링너트(60)와 스플라인이음되고, 상단 중앙에 상기 밸브구멍(64)과 중심이 일치되는 구멍(72)이 형성되며, 회전수제한수단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제한된 회전수를 갖는 병마개(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플러그(40)에 형성된 탄성버팀대(42)는 모두 동일한 원주방향으로 경사진 나선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제한수단은 상기 플러그회전방지링(50)의 하단부에 걸리는 일방향걸림돌기(82)를 이 플러그회전방지링(50)의 하단부와 축방향으로 유격을 두고 상기 병마개(70)의 내주면상에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개폐장치.
KR1020020017217A 2002-03-29 2002-03-29 병마개 개폐장치 KR200300782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217A KR20030078284A (ko) 2002-03-29 2002-03-29 병마개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217A KR20030078284A (ko) 2002-03-29 2002-03-29 병마개 개폐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363U Division KR200280761Y1 (ko) 2002-03-29 2002-03-29 병마개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284A true KR20030078284A (ko) 2003-10-08

Family

ID=3237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217A KR20030078284A (ko) 2002-03-29 2002-03-29 병마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8284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0304A (en) * 1984-12-07 1987-09-01 Simone Morel Obturating device for tubes, flasks and other containers, the opening and closing of which are controlled through rotation
JPH01124563A (ja) * 1987-11-10 1989-05-17 Astra Plastique Sa ディスペンサ用ストッパ
JPH02233371A (ja) * 1989-01-06 1990-09-14 Cebal クリーム状又はペースト状製品の分配器
JPH09124062A (ja) * 1995-10-30 1997-05-13 Yoshida Kogyo Kk <Ykk> ワンタッチキャップ付容器
KR19990007106U (ko) * 1997-07-31 1999-02-25 다니엘리취 용기 및 뚜껑 재밀봉용 푸시풀 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0304A (en) * 1984-12-07 1987-09-01 Simone Morel Obturating device for tubes, flasks and other containers, the opening and closing of which are controlled through rotation
JPH01124563A (ja) * 1987-11-10 1989-05-17 Astra Plastique Sa ディスペンサ用ストッパ
JPH02233371A (ja) * 1989-01-06 1990-09-14 Cebal クリーム状又はペースト状製品の分配器
JPH09124062A (ja) * 1995-10-30 1997-05-13 Yoshida Kogyo Kk <Ykk> ワンタッチキャップ付容器
KR19990007106U (ko) * 1997-07-31 1999-02-25 다니엘리취 용기 및 뚜껑 재밀봉용 푸시풀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069B1 (ko) 측면 가압식 안전캡
US6095375A (en) Dust cover attachment for push-pull cap
US6062441A (en) Two-piece dispensing closure
US20060022000A1 (en) Bottle Closure
CA1285525C (en) Safety closure and container package
US5678735A (en) Rupturable stopper for a pouring spout
US3809272A (en) Safety bottle closure
US4364484A (en) Child resistant closure
JP2019523191A (ja) キャップ
BRPI1106157A2 (pt) vÁlvula de fechamento de fÁcil abertura para garrafas
JP2009083925A (ja) ボトルキャップ
KR200280761Y1 (ko) 병마개 개폐장치
US20110186573A1 (en) Cap for a container
JP2018203298A (ja) 安全キャップ付き容器
JP2005170475A (ja) 容器口部の密封機構及び容器
KR20030078284A (ko) 병마개 개폐장치
KR200398918Y1 (ko) 안전마개
US8286811B1 (en) Child proof closure cap for containers having curved skirt
JP4156888B2 (ja) 副容器を備えた容器蓋
US1441364A (en) Milk-bottle stopper and pouring spout
JP4294411B2 (ja) 液体容器用キャップ
KR200301401Y1 (ko) 음료용 병구와 병마개
CA1166194A (en) Container having a safety closure
US3038623A (en) Spaced wall container
KR200385312Y1 (ko)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