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7513A - 스마트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7513A
KR20030077513A KR1020030063878A KR20030063878A KR20030077513A KR 20030077513 A KR20030077513 A KR 20030077513A KR 1020030063878 A KR1020030063878 A KR 1020030063878A KR 20030063878 A KR20030063878 A KR 20030063878A KR 20030077513 A KR20030077513 A KR 20030077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information
control
smart remote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민
이현수
Original Assignee
김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민 filed Critical 김정민
Priority to KR1020030063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7513A/ko
Publication of KR20030077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51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기기의 복잡성의 증가에 따른 리모콘의 기능과 그에 따른 키 구성의 복잡성의 증대, 디지털 양방향 TV 시대에 따른 리모콘의 상호 반응성 증대 및 결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라이터 (Reader/Writer)와 LCD 패널과 최소한의 Key만을 가진 스마트 리모콘(Smart Remocon)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리모콘을 이용하여 간단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가전기기의 동작 제어는 물론이고, 전자 결제, 전자 지갑 충전, 가전기기 테스트, A/S, 가전기기의 부가 서비스, 원격 테스트, 스마트 리모콘의 데이터 백업, 가전기기의 작동 예약 등에 대해서도 개시된다.

Description

스마트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및 방법{SMART REMOCON AND HOME NETWORK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킹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RFID 시스템을 채용하여, 각종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리모콘과,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모콘이 가전제품의 인터페이스로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사용자 편의성이 획기적으로 증진되어 왔다. 리모콘은 통신 방식으로 적외선을 사용하며 간단한 마이콤 CPU를 통해서 구현된다. 리모콘의 경제성조건의 충족은 리모콘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가전제품들의 기능이 복잡해지고 타사 제품과 호환이 되지 않으면서 한 가정의 리모콘의 개수는 가전 제품의 숫자가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따라서 통합 리모콘을 구현하려는 시도는 리모콘이 보편화되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끝임 없이 이뤄져왔으나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는 어려웠다. 왜냐하면 통합리모콘을 구현할 수 있다고 해도 이를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통합리모콘의 키는 개별 리모콘의 키 집합의 합집합의 수 이상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복잡성은 리모콘에 전원이나 조명, 기타 여러 가지 가전기기들이 들어오면서 현재의 리모콘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를 갖춘 리모콘들이 등장하게 되었으나 이를 경제적으로나 효과적으로 통합하는데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가정 내 가전기기들이 홈 네트워킹화 되어가면서 효율적인 통합 리모콘의 문제점은 더욱 커지게 된다. 우선 가전제품 자체가 집을 짓을 때 홈 네트워킹을 설치하면서 통합하게 되는 데 이는 건축비의 상승뿐만 아니라 기존의 제품에 대해서는 이용할 수 없는 방식이었다. 이럴 경우 리모콘 사용자는 자신의 가전 제품을 모두 바꿔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가정 내에 가전기기가 복잡해짐에 따라서 통합 리모콘을 설계하려는 노력들은 꾸준히 있어 왔다. 이러한 통합 리모콘은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리모콘의 전송방식, 코딩방법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통합 리모콘의 개발은 가전기기 기능의 복잡화와 새로운 가전기기 업체들의 등장에 따라서 그 한계가 있어왔다.
이러한 통합 리모콘에 대한 종래 기술의 예로서, 한국 특허출원 공개 제2002-0000396호(통합 리모콘 및 그 제어 방법)는 기존에 나와 있는 리모콘을 DB화하여 현재 DB에 들어있는 리모콘의 경우 재사용하고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간단한 키매핑만을 통해서 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러나 이 기술은 여전히 DB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리모콘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키매핑을 해줘야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 특허출원 공개 제2003-0033727호(통합 리모콘에서의 리모콘 기능 다운로딩 장치 및 방법)와 한국 특허출원 공개 제2003-003725호(인터넷을 이용한통합 리모콘 구현 장치 및 방법)에서도 인터넷이나 기타 외부 장치로부터 통합 리모콘이 구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기는 하지만 구체적인 외부 환경 구성 방법과 다운로딩한 제어 리모콘에 대한 키매핑 방법 및 디스플레이 방법, 리모콘 명령 방법에 대해서는 서술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게 될 경우 외부 환경이나 혹은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다운 받는 별도의 프로그램이 필요하여 리모콘에 다운로딩 해야 할뿐만 아니라 리모콘의 기능이 제한적이다.
이 밖에도 통합 리모콘을 만들려고 하는 기존의 특허나 접근 방법들이 있었지만 가전기기 기능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통합하는 효율적인 홈 컨트롤 허브로써의 리모콘의 기능은 제한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한국 특허출원 공개 제2001-08503호에서와 같이 디지털 셋탑박스에 스마트 카드를 착탈하거나 한국 특허출원 제2002-0024066호에서와 같이 리모콘에 스마트 카드를 입력하는 홈쇼핑 장치 및 방법이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결제를 수행할 때마다 스마트 카드를 장착해야 할뿐만 아니라 익명성이 필요한 전자지갑의 충전이나 전자지갑에 의한 결재를 수행하기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LCD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가의 리모콘이나 기타 라디오 방송의 수신을 위해 이용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부에서 어떻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새롭게 구성할 수 있는가에 관한 기술은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기존의 홈 네트워킹에 사용되는 방법은 건축 시에 홈네트웍킹 인프라를 추가로 부설해야 하며 기존의 가전 제품에 대해서는 사용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기기에 대한 무분별한 네트워킹으로 인한 비용 상승의 문제도 문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할 경우에도 블루투스나 IrDA와 같은 장비의 가격이 비쌀 뿐 만 아니라 단순히 통합 제어만을 요구하는 가전기기 통합에 있어서 불필요한 일반성을 증가를 통한 사용자의 과효용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효율적이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단순하게 에어컨을 제어하는 데에도 블루투스 칩을 장착하고 이를 통신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그리고 제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자신의 장치를 등록하기 위한 공개과정 등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가전제품에 일반적인 컴퓨터 기능을 구축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서 기존의 가전제품에 대해서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가전기기의 복잡성으로 인해 리모콘뿐만 아니라 홈네트웍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도 상당한 비용과 복잡성을 요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RFID 리더/라이터와 LCD 혹은 기타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스마트 리모콘을 제안하여, 가정내의 리모콘들을 통합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서 효과적인 홈네트웍을 구성함으로써 가정내의 홈 컨트롤 허브 (Home Control Hub)로써 본 발명의 스마트 리모콘이 가능함을 보이는 동시에 RFID 리더/라이터를 장착함으로써 RFID를 장착한 스마트 카드의 결제와 충전의 기능을 가진 스마트 리모콘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적외선 통신을 하는 리모콘이 가지는 경제성과 기존의 가전 제품을 이용하여 재건축 및 재시공의 추가적인 비용을 들이지 않고 리모콘의 부가적인 기능의 확장을 통해서 홈 네트웍의 가전기기 관리, 원격 관리 등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RFID 태그 정보처리와 리모콘 구성을 위한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리모콘을 제안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통합 리모콘으로서의 홈 컨트롤 허브를 구성하는데 있다. 경제적이라고 함은 소용 비용 뿐 만 아니라 효율성에 있어서도 본 발명이 유효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고 있는 RFID 태그는 저주파 패시브 방식과 같은 경우 수 센트만으로 구입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리모콘에서 사용하고 있는 적외선 통신방법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블루투스나 기타 여러 가지 기술들의 구현에 사용되는 소요비용과 비교하여 경제적이며 기존의 가전 제품에 부과되는 기능은 전혀 없으며 단지 가전 제품 출고 시 혹은 생산 시에 가전 제품에 관한 RFID 태그(Tag)만을 제공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물론 리모콘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현재 리모콘에 사용되고 있는 마이컴과 같은 CPU보다는 고 사양을 요구하고 또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위해서 리모콘용 O/S와 메모리(플레쉬 메모리, EEPROM, RAM등)에 대한 요구 사항이 증대될 것이나 이에 소요되는 비용이 작은 것으로 생각되며 이 비용으로 발생되는 부담은 사용자의 효용의 증대로 충분히 상쇄되어 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이러한 리모콘을 이용한 통합 방법은 기존의 건축 시에 사용되는 홈네트웍킹방법(PLC나 전력선 통신 및 기타 제어방법)이나 혹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망에 의한 방식보다 효과가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종래의 리모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모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RFID 시스템의 내부 회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모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리모콘의 제어 코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모콘에 가전기기에 대한 환경을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RFID 태그 정보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RFID 태그 정보 중 RFID 태그 헤더에 대한 구체적 정보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8의 RFID 태그 정보 중 생산 제품 정보에 대한 구체적 정보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8의 RFID 태그 정보 중 리모콘 환경 정보에 대한 구체적 정보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8의 RFID 태그 정보 중 AS 정보에 대한 구체적 정보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8의 RFID 태그 정보 중 메뉴 구조 정보에 대한 구체적 정보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8의 RFID 태그 정보 중 리모콘 제어 코드 열에 대한 구체적 정보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8의 RFID 태그 정보 중 디바이스 정의 데이터 영역에 대한 구체적 정보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모콘의 명령어 트리 자료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3의 메뉴 구조 정보의 정보 포맷의 인코딩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도 14의 리모콘 제어 코드의 정보 포맷의 인코딩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모콘의 명령어 트리 자료 구조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라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스마트 리모콘에 디바이스를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
도 21은 본 발명에 따라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스마트 리모콘에 가부가 서비스를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
도 22는 본 발명에 따라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스마트 리모콘의 GUI를 통한 디바이스 동작 순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에 따라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스마트 리모콘을 이용한 디바이스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TV로부터의 적외선 신호 수신시의 수신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TV의 영상 디스플레이 동작을 위한 플로우차트.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모콘을 이용한 디바이스 A/S 신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모콘의 메모리부의 데이터를 백업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모콘을 이용한 결제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29는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모콘을 이용한 전자 지갑 충전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모콘을 이용한 디바이스 작동 원격 예약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모콘을 이용한 디바이스 원격 테스트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모콘을 이용한 디바이스의 원격 관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바램직한 실시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기 앞서, 먼저 본 발명이 기반하고 있는 RFID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는 자동인식기술의 하나로서 바코드 및 스마트카드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원거리에서도 인식이 가능하고 충돌방지기능이 있어 동시에 여러 개를 인식할 수 있는 기술적 장점 때문에 바코드, 스마트 카드 등에 비해 활용범위가 넓다. 그리고 스마트 카드에 비해서 월등한 가격 경쟁력을 지닌다.
그러나 바코드에 비해서는 비용이 높고 스마트카드에 비해서는 메모리 용량이 현저히 낮다는 단점도 지니고 있다. 따라서 RFID는 바코드 및 스마트카드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시장을 확보하면서 점진적으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리라고 전망되어지고 있다.
I. RFID 시스템의 기본구성
RFID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안테나, 태그/레이블, 및 리더/라이터로 구성된다.
가. 안테나
태그/레이블의 활성화, 태그/레이블에 데이터 입력, 입력된 데이터를 읽기 위한 신호 발신 등의 기능을 갖는 안테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다. 안테나는 자신에 의해 생성된 전자기장을 통해서 태그를 활성화시켜 컴퓨터와 태그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한다. 휴지기인 경우, 그 장(Field)은 센서 디바이스에 의해 활성화 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더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트랜시버, 디코더 등과 합쳐지는 경우가 많다.
나. 태그/레이블
a) 태그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크기는 피부 밑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것(가축 추적 태그)에서부터 철도 혹은 배에 연결된 컨테이너 또는 중장비, 트럭 등에 사용되는 5*4*2인치의 대형 태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형태 면으로도 나선형에서부터 신용카드 형태까지 다양하다.
RFID 태그에는 액티브(active)) 및 패시브(passive) 방식이 있다. 액티브 RFID 태그는 내장된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태그 데이터가 다시 쓰여질 수 있으며 수정될 수 있는 리드/라이트(read/write) 방식에 적용된다. 액티브 태그의 경우 메모리 용량은 어플리케이션의 요구사양에 따라 달라지나 IMB환경에서 운영되는 시스템도 있다. 액티브 태그는 일반적으로 인식거리가 길다. 그러나 패시브 태그에 비해 크기가 커지고 비용도 많이 들며 수명 역시 제한된다. (동작 환경 및 배터리 타입에 따라 다르지만 최장 10년에 이름)
패시브 RFID 태그는 별도의 외부 전원 소스 없이 동작되며 전원은 리더로부터 공급받는다. 패시브 태그는 액티브 태그에 비해 훨씬 가볍고 저렴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이에 반해 인식거리가 짧으며 더 높은 전압을 사용하는 리더를 필요로 한다. 읽기 전용(read-only) 태그는 전형적으로 패시브이며 수정될 수 없는 독특한 데이터 세트 (주로 32 ?? 128 비트)로 프로그램 된다 .
b) 레이블
메모리칩과 함께 종이 혹은 폴리에스터 위에 RF 코일이 없어진 형태를 지닌다. 태그에 비해서는 환경요소에 영향을 받는 편이지만 비용측면에서는 특히 한번 쓰고 버리는 용도에 매우 적합하다. 예를 들어 생산라인 상태에 있는 제품 혹은 제공 품에 부착해 사용한 후 그 물건이 생산라인을 벗어날 경우에는 폐기해도 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다. 리더/라이터
리더/라이터는 안테나와 PC서버 혹은 네트웍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관리한다. 호스트 시스템은 리더/라이터와 접촉하여 패러렐, 혹은 시리얼 혹은 버스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태그의 질의를 관리한다. 리더/라이터는 또한 태그 메모리 속의 데이터로부터 직접 프로세스 컨트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리더/라이터가 전파를 발산하는 영역은 1인치에서부터 30미터에 이르나 그것은 사용 전력과 주파수에 달려있다. RFID 태그/레이블은 전자기 지역 통과 시 리더의 활성 신호를 탐색한다. 리더/라이터는 태그의 칩 안에 암호화되어 있는 데이터를 풀어내고 그 데이터는 프로세싱을 위해 호스트 컴퓨터로 보내진다.
2. 주파수에 의한 RFID 시스템의 구분
RFID 시스템은 또한 주파수 영역에 따라 분류되어 질 수 있는데, 저주파(30 ~ 500 KHz) 시스템은 인식 거리가 짧고 시스템 비용이 낮다. 대부분 보안 접근, 물류 (asset tracking), 가축 인식 어플리케이션 등에 사용된다. 긴 인식거리 (27미터 이상)와 높은 인식 속도 등을 제공하고 있는 고주파 (850 MHz ~ 950 MHz 그리고 2.4 GHz ~ 2.5 GHz) 시스템은 철도 및 차량 물류 (railroad car tracking) 톨게이트 자동화 어플리케이션 등에 사용된다. 그러나 고주파 RFID 시스템은 비용이 높고 안테나와 태그/레이블 사이가 차폐될 경우는 인식이 안 된다는 단점도 지닌다.
3. 바코드 시스템에 대한 RFID 시스템의 장점
RFID 시스템은 별도의 자동인식 시스템 없이 처리에 사용될 수 있으며 기존하는 모든 바코드 시스템에 대해 대체하여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또한 RFID 시스템은 바코드 시스템과 같은 다른 자동 인식 시스템과 공존 또는 보충하는 역할로 사용될 수 있다.
비록 바코드 시스템이 비용 면에서 저렴하나 RFID 시스템은 바코드 시스템에 대해서 아래와 같은 장점이 존재한다.
1) RFID 시스템은 시선(line-of-sight) 판독에 대한 제한이 없다.
2) RFID 시스템은 근접 스캐닝을 요구하지 않는다.
3) RFID 시스템의 태그는 바코드 라벨이 찢어지거나 쉽게 손상될 수 있는 것에 비해 튼튼하다.
4) RFID 시스템은 바코드 시스템이 정보를 일단 입력하면 다시 입력할 수 없고 입력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한정된 것 (2D 바코드의 경우는 100-3000자까지 입력이 가능하나 일반적인 1D바코드는 10-20자 정도 밖에 저장할 수 없음)에 비해 정보를 다시 입력할 수 있으며 정보 저장능력이 확장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바코드 시스템은 부피가 큰 경우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정보의 적용 (재고관리 및 선적정보 등)에 적절한 반면, RFID 시스템은 좀 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읽고 쓰기가 가능한 RFID 태그는 휴대 가능한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하며, 판독기의 접근이 가능한 모든 지점에서 입력된 정보에 대한 수신 및 수정이 가능하다.
이제 본 발명의 스마트 리모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스마트 리모콘의 외부 기능 구성〉
본 발명은 통합 리모콘에 관한 발명이므로 본 발명이 가진 외부적인 구성과 내부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에 앞서,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리모콘의 구성에 대해서 알아본다.
도 1a 및 1b는 현재 시중에 나와있는 리모콘을 보여주고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 리모콘의 경우 TV 동작에 필요한 TV 리모콘 버튼과 인크리먼트/디크리먼트(Incremental/Decremental) 버튼, 숫자 패널, 비디오버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리모콘의 경우 TV, VCR을 선택할 수 있는 모드버튼과 숫자 패널, 비디오 기능을 비한 비디오 버튼, 부가 비디오 버튼과 인크리먼트/디크리먼트 버튼, 기타 부가기능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리모콘이 공통적으로 소요하고 있는 키를 생각해보면, 확인 버튼과 전원 On/Off, 숫자패널, 인크리먼트/디크리먼트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확인 버튼을 누를 때 현재 상태를 알 수 있다면 이는 다양하고 각자 개별적인 기능이 통합될 수 있음을 뜻한다. 즉 확인 버튼이 눌려졌을 때 현재 모드가 TV모드이고 재생이란 버튼이 눌렸다고 리모콘이 해석할 수 있다면 복잡한 키맵이 없어도 리모콘이 동작할 수 있음을 뜻한다. 이와 같은 분석에서 제시된 바를 기초로 본 발명의 스마트 리모콘이 구성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모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리모콘의 전면에는 적외선 송수신부, 전원, TV/DVD/셋 톱 전환버튼, 디스플레이, 다음 레벨의 명령어 화면, 인크리먼트/디크리먼트 버튼, 확인버튼, 메뉴/리모콘 설정/결재/충전/양방향모드/조용히/화면모드 등, 숫자 패널 등이 구비되어 있고, 도 2b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리모콘의 후면에는 RFID 리더/라이터, 밧데리 충전 접속부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적외선 송수신부 : 적외선 송수신을 위한 장치
전원 : 전원을 On/Off를 위한 장치
TV/DVD/셋-톱 전환버튼 : 자주 사용되는 가전기기나 장치의 경우 GUI를 이용하여 접근하기보다는 별도의 핫 키(Hot-Key) 개념으로 구비되는 장치
디스플레이 : 리모콘의 상태와 조작현황을 보여주는 장치
다음 레벨의 명령어 화면 : 리모콘의 레벨이 깊어짐에 따라서 사용자가 명령어를 찾는 데 어려움을 증가하게 되는 데 다음 레벨의 명령어를 보여줌으로써 사용자 네비게이션의 편의성을 위한 장치
인크리먼트/디크리먼트 버튼 : 음량, 채널, 온도 등 점진적인 증가를 필요한 명령어의 입력을 위한 장치
확인버튼 : 명령어 전송을 위한 장치
메뉴/리모콘 설정/결제/충전/양방향모드/조용히/화면모드 : 스마트 리모콘의의 기능 키 장치
숫자패널 :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
RFID 리더/라이터 : RFID 정보 입출력을 위한 장치
밧데리 충전 접속부 : 밧데리 충전을 위한 장치
이와 같은 스마트 리모콘의 외부 구성 요소는 단지 본 발명이 보여주는 실시예를 위해서 구성한 예이다. 이 중에서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필수 요소는 전원, 적외선 송수신부, 디스플레이, 인크리먼트/디크리먼트 버튼, 확인버튼, RFID 리더/라이터이며, 리모콘 제작자에 따라서 별도의 부가적인 키를 구성할 수 있다.
위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키맵에서 키의 숫자를 증가시키기보다는 디스플레이를 도입하여 키맵을 최대한 단순화 시켰으며 인크리먼트/디크리먼트 버튼과 확인 버튼, 적외선 송수신부를 통해서 리모콘 명령어를 전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입력처리를 위해서 RFID 리더/라이터를 채용하였다. 이러한 키맵과 RFID 리더/라이터는 충분히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존의 리모콘에서 가지고 있는 경제성과 기존 가전제품에 대해서도 홈 네트웍 구성이 가능한 RFID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리모콘을 제안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해결방안은 다음과 같다.
·통합 리모콘의 복잡성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아이콘 방식의 GUI를 이용한 사용을 제안한다.
·통합 리모콘의 전송 방식은 가전기기를 설치할 때, RFID 시스템을 설치한 다음에 RFID 태그로부터 제어정보를 읽어들인 후에 기존의 적외선 통신을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인프라를 필요하지 않음으로 인한 경제성을 확보할 뿐 만 아니라 기존의 가전기기 대해서도 가전 제품의 판매자가 모델에 해당하는 RFID 태그에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콘 제어정보를 제공할 경우 현재의 가전제품을 가지고도 홈네트웍을 구축할 수 있는 경제성을 확보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RFID 시스템은 패시브 방식의 저주파방식으로도 충분히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RFID 태그를 사용하여 효과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모리양은 현재 시제품으로는 상용화되어 있지는 않지만 RFID 시스템의 단가를 높이는 것은 메모리의 양보다는 고성능 출력과 액티브 방식의 전송방식이기 때문에 RFID의 리더 /라이터와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단지 현재 패시브 방식은 유도전류의 크기 때문에 RFID 태그 정보를 한번에 전송하기 힘든 관계로 MCU(Memory Controller Unit)가 효과적이고 신뢰성 있는 전송을 위하여 제어하는 로직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로직의 추가는 RFID 시스템을 이용하는데 있어 큰 장벽은 아니다. RFID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스마트 리모콘은 RFID 리더/라이터를 필수적으로 장착하게 되는데, 이는 부가적으로 RFID 태그를 장착한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지불 수단으로서의 리모콘을 구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기존 제품에 대해서는 적외선 수신만을 하지만 앞으로 나올 가전 제품이나 디지털 TV와의 쌍방향 통신을 위해서 적외선 수신뿐만 아니라 송신도 가능한 기능을 가지게 되는 데, 이것이 RFID 시스템과 연동하여 원격관리, 전자지갑충전 등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음, 본 발명에서 채용된 RFID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RFID 시스템의 내부 회로 구성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마트 리모콘은 RFID 시스템과의 송수신을 통해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RFID 시스템의 동작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을 가지고 있는가 아닌가에 따라서 액티브 방식과 패시브 방식의 두 가지가 있다.
RFID 시스템은 크게 태그와 이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ID 리더/라이터로 구성된다. 패시브 방식의 경우 RFID 리더/라이터가 태그 쪽으로 가까이 가면 상호 유도전류가 발생하여 동작하게 된다. 현재는 패시브 방식에서 전송 량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MCU에서 RFID 태그가 패킷 단위로 RFID 리더/라이터에 전송된다. 이렇게 수신된 RFID 태그 정보는 코덱(codec)을 거쳐서 리모콘에 전송된다.
이제, 상술한 스마트 리모콘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외부 시스템과 셋탑, 가전기기와 리모콘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나타낸다.
RFID 태그를 가진 가전 제품들을 설치할 때 RF모듈을 통해서 스마트 리모콘에 RFID 태그 정보를 전송하면 리모콘은 RFID 태그 정보를 해독하여 자신의 메모리부(플래쉬나 EEPROM등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전송하여 가전제품을 제어하게 된다. 현재는 가전제품과 쌍방향 전송을 하는 그림을 보여주고 있지 못하지만, 가전제품에서 적외선 송신을 할 경우에는 적외선 송수신부에서 처리를 하여 리모콘에 전달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반해 디지털 TV는 쌍방향 송신을 할 수 있는데 이는 셋탑박스를 가지고 있는 디지털 TV의 경우는 양방향 TV방영시 현재 영상에 대한 정보나 홈쇼핑 정보가 리모콘에 전달되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디지털 TV의 아키텍처는 셋탑과 TV영상 부분으로 나뉠 수 있으나 현재는 TV가 고기능화, 복잡화되어 가는 추세임으로 내장형 셋탑기능을 포함한 것을 TV라고 정의할 수 있으므로 디지털 TV라고 명기했다. 이런 디지털 TV는 양방향 통신을 위해서 통신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리모콘에서 사용하는 혹은 리모콘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Gateway)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스마트 리모콘은 디지털 TV를 통해서 브로드밴드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스마트 리모콘의 시스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모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제적으로 입출력을 위한 코덱(Codec)이나 인터페이스부와RFID 리더/라이터에서 읽어들인 태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제어부, LCD 표시를 위한 문자/그래픽 처리부, 적외선 송수신부 등으로 구성된다.
각 부분에 대한 기능은 다음과 같다.
리모콘 키 입력부 : 사용자로부터 리모콘 키 입력을 받아들이는 장치.
리모콘 키 디코더 : 입력된 리모콘 키를 해독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장치.
리모콘 인터페이스 : 해독된 키 코드를 제어부가 처리할 수 있게 제어부에 알리고 제어부가 지정한 장소에 키 코드를 옮기는 장치.
제어부 : 리모콘 시스템의 전체적인 제어를 관장하는 장치
적외선 통신부 : 외부에서 수신되거나 내부 리모콘 명령어를 적외선으로 송수신하는 장치
적외선 통신 인코더/디코더 : 외부에서 수신되거나 내부 리모콘 명령어를 디지털 신호에서 적외선 신호로, 적외선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장치
적외선 통신 제어부 : 제어부에서 외부(내부)로 송수신을 하기 위해서 적외선 송신제어하는 장치
문자/그래픽 처리부 : LCD 화면을 제어하는 장치.
LCD : 각종 명령이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충전제어부 : 배터리 충전을 제어하는 장치
배터리 : 리모콘의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RFID 리더/라이터 : RFID 태그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로서, 리모콘 내에 고정적으로 장착하거나 아니면 보다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착탈식으로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RFID 코덱 : RF 형식으로 들어온 포맷을 디지털 형식으로, 또는 그 반대로 바꾸는 장치
RFID 리더/라이터 인터페이스 : 제어부가 처리를 하기 위해서 디지털화된 포맷을 제어부에 알리는 장치, 혹은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RF로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는 장치
디바이스 설정부 : RF 포맷을 분해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장치
검색부 : 메모리를 검색하는 장치
메모리부 : 메모리부는 일반 제어부가 사용하는 메모리와 RFID 태그 정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로 나뉠 수 있으며 RFID 태그 정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는 RFID 태그의 정보 포맷과 형태에 따라서 다르게 구성하고 있다. 본 메모리부에 사용되는 메모리 모듈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보이는 기능을 위해서 임의적으로 구성했다.
다음, 도 5의 스마트 리모콘을 이용한 홈 네트워킹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마트 리모콘은 가전기기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리모콘 제어코드를 RFID 태그 메모리에 인코딩한 후에 그 정보를 RFID 리더/라이터로 읽어들인 후 스마트 리모콘이 RFID 태그 정보를 해석하여 자동적으로 저장하게 된 후에 동작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한 리모콘의 동작원리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리모콘의 제어 코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리모콘의 명령어는 자신의 제어 제품에 헤드 펄스, 커스텀 펄스, 그리고 제어를 위한 데이터 펄스로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리모콘은 자신이 어떤 특별한 부가기능이나 혹은 가전제품과 관련 없이 제어명령어만 내리면 가전 제품이나 기타 리모콘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우리가 가전제품이나 기타 여러 가지 리모콘으로 동작되는 기기들에 통합 플랫폼을 구성할 때 별다른 통신 기기 없이도 제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즉 현재 가전기기 동작 시그널이 외부에서 제공된다고 할 때 리모콘은 그 리모콘을 제어하는 사람이나 기계에게 그 명령어가 무엇인지 알려주면 그 명령어의 동작여부와 관련 없이 그 명령어를 수행하는 것은 가전제품이나 리모콘의 대상이 되는 기기에서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성은 리모콘은 가전제품을 동작시키는 시그널의 의미나 내용과 상관없이 전송만 책임지고 수행은 각 가전기기에서 이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Turn-On"이란 명령어가 있을 경우 이것을 동작시키는 시그널이나 혹은 그 시그널이 어떻게 동작되는가는 리모콘에게 중요하지 않다. 단지 리모콘은 "Turn-On" 에 해당하는 펄스만 보관해 놓았다가 전송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제공자가 자신의 제어명령어를 RFID 태그에 내장하여 출시를 할 경우 설치 시에 그 정보는 리모콘으로 전송되고 리모콘은 전송된 데이터를 리모콘 사용자나 혹은 기계가 알 수 있도록 구조화하고 표시를 해 줌으로써 가전기기에 관련된 여러 가지 데이터 코드에 대한 동작상황을 몰라도 동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RFID 태그 정보는 기기의 출시와 더불어서 제품에 바코드가 장착되는 것처럼나올 수도 있지만 기존의 가전제품에 대해서도 기기 제공자가 자신의 적외선 처리 IC회로의 동작 주파수와 펄스 코드 등 동작에 간단한 정보만을 제공할 경우 기존 가전기기를 리모콘을 컨트롤 허브로하여 효과적으로 홈 네트워킹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기는 단지 가전제품에 국한되지 않으며 RFID 태그를 가진 스마트 카드나 전자지갑에 경우에도 동일하게 관리될 수 있으며 시스템의 탄력성을 위해서 현재 RFID 태그에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를 패킹하는 경우에 외부와 통신이 가능한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해당 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아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부가적으로 현재 리모콘에 연산 능력이 떨어질 경우 셋 톱 박스나 혹은 PC로부터 연산능력을 임대(lease)할 수 있으며 그 결과만을 해당 기기에 전송할 경우 해당 가전기기의 부가적인 기능을 효과적으로 높을 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모든 처리는 리모콘에서 이뤄질 수 있으나 계산이나 실행은 셋 톱 박스나 혹은 PC상 더 나아가서는 웹서비스로 제공되는 인터넷 공간에서 수행되어 질 수도 있을 것이다. 중요한 사실은 스마트 리모콘이 현재 홈 네트워킹을 위해서 효과적인 서비스 가치를 창조하고 있음을 보이는 사실에 있다.
다음,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RFID 태그 정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ID 태그를 가진 디바이스가 스마트 리모콘으로 통합하기 위해서 RFID 태그 정보를 정의하고 이 정의된 태그 정보를 가지고 홈 네트워킹을 구성하는 방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RFID의 프로토콜 스펙은 실시 예를 보이기 위한 임의적인 예이다. 즉이러한 프로토콜은 국제적인 표준이나 혹은 산업계 표준에 의하면 좀 더 탄력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도 8에서 보여주고 있는 정보 필드를 XML DTD혹은 XML 스키마(schema)로 정의하고 스마트 리모콘이나 기타 계산능력을 임대하여 구성할 수 있다면 보다 탄력적인 구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럴 경우 스마트 리모콘이 XML 파싱(parsing) 기능을 탑재해야하고, 자바 버추얼 머신과 같은 응용 소프트웨어가 필요하기 때문에 현재는 최소한의 오토마타를 구비한 스마트 리모콘이라는 가정 하에 서술하게 될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ID 태그 정보는 크게 RFID 태그 헤더 정보, 생산제품정보, 리모콘 환경정보, AS정보, 메뉴구조정보, 리모콘 제어 코드열, 디바이스 정의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RFID 태그 헤더는 본 정보가 RFID 태그 정보임을 나타내는 정보로 RFID 리더/라이터로 신뢰성 있는 전송을 하기 위한 정보들이 담겨져 있다. 생산제품정보는 현재 이 제품의 종류나 기타 여러 가지 생산과 출하 및 이 제품 자체를 고유하게 나타낼 수 있는 정보들이 들어있다. 리모콘 환경 정보의 경우 가전기기가 구동될 수 있는 리모콘의 조건에 대한 정보들이 들어있다. AS정보는 본 제품의 AS를 받기 위한 접속정보가 담겨져 있어서 스마트 리모콘이 외부 통신망과 연결이 되어 있을 경우 이를 이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디바이스 정의 데이터 영역은 이 디바이스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나 혹은 이 디바이스를 구동할 수 있는 간단한 응용프로그램정보가 들어있다.
그러면, RFID 태그 정보를 구성하는 구체적 정보들에 대해 설명한다.
RFID 태그 헤더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ID 태그 구분자, RFID 태그 총 크기, RFID 패킷 번호, RFID 태그 환경 등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다. RFID 태그 구분자는 이 태그가 RFID 정보임을 나타내는 구분자이다. RFID 태그 총 크기는 태그에 저장된 정보의 크기를 나타낸다. RFID 패킷 번호는 현재 전송해야 할 패킷의 총수를 나타내며, RFID 태그 환경은 주파수, 태그 종류, 범위, 다중 판독 기능 등의 RFID 태그의 환경 정보를 나타낸다.
생산 제품정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제품 분류, 가전제품 생산번호, 가전제품 모델명, 가전제품 이름, 가전제품 사용환경, 생산날짜 등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다. 가전제품 분류는 예컨대 에어컨, TV, 오디오 등과 같은 RFID 태그를 가진 가전제품의 분류를 나타내며, 가전제품 생산번호는 예컨대 HDN-123314와 같이 생산 시에 가전제품에 부여된 고유 번호를 나타내며, 가전제품 모델명은 예컨대 M456과 같이 가전제품의 모델명을 나타내며, 가전제품 이름은 오디오, 에어컨, HDTV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름을 나타내며, 가전제품 사용환경은 예컨대 프리 전압, 110V 전압 등과 같이 가전제품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환경을 나타내며, 생산날짜는 그 가전제품의 생산날짜를 나타낸다.
리모콘 환경정보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송출 주파수, 적외선 수신 주파수, 리모콘 제조 회사명, 전용 리모콘 모델명, 리모콘 송출 헤더 등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다. 적외선 송출 주파수는 가전제품이 송출하는 주파수, 적외선 수신 주파수 가전 제품이 수신하는 주파수, 리모콘 제조 회사명은 삼성, 현대 등과 같이 전용 리모콘을 제조하는 회사명, 전용 리모콘 모델명은 가전제품이 수신할 수있는 전용 리모콘의 모델명, 리모콘 송출 헤더는 예컨대 길이, 타입, HeadP, HeadS, 1Pulse, 1 Space, 0Pulse, 0Space, Space 등과 같은 리모콘의 송출 헤더 정보를 나타낸다.
AS 정보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S 접속 URL, AS 전화번호, 부가 서비스 코드-1, 부가 서비스 코드-2, ..., 부가 서비스 코드-N 등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다. AS 접속 URL은 온 라인으로 AS를 받을 수 있는 URL, AS 전화번호는 전화로 AS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전화번호, 부가 서비스 코드들은 예컨대 고장 신고, 아이콘 자동 다운로드, 마일리지 등과 같이 온라인으로 부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코드로서 AS 접속 URL에 접속 시에 코드 번호를 입력 파라메터로 사용한다.
메뉴구조정보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md 노드 번호, Cmd 노드 타입, 아이콘 이름, 부(parent) Cmd 노드 번호, 전이(transition) 노드 번호 등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다. Cmd 노드 번호는 리모콘 제어 명령어를 나타내는 고유 숫자로서, Cmd 노드 가전제품의 제어 코드를 가진 단말 노드와 리모콘에서 네비게이션을 위한 중간 노드와 루트 노드에 할당된다. Cmd 노드 타입은 리모콘 제어 명령어의 구조 트리의 노드 타입으로서, 단말(terminal), 종속(dependent), 내부(internal), 및 루트(root)의 네 가지가 있다. 아이콘 이름은 현재 명령어를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로 접근할 때 나타날 아이콘의 이름, 부 Cmd 노드 번호는 현재 노드의 부 노드를 나타내는 숫자, 전이 노드 번호는 현재 노드의 명령어가 수행되었을 때 전이해야할 노드의 숫자를 나타낸다.
리모콘 제어 코드열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펄스 코드, 커스텀코드, 노드 번호, 명령어 이름, 사전 정의 리모콘 키, 명령어 코드, 리턴 데이터 크기, 애플리케이션 오프셋 등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다. 노드 번호는 명령어를 나타내는 고유 인자를 나타내며, 명령어 이름은 아이콘의 이름과 동일할 수 있으며, 사전 정의 리모콘 키는 구조 정보에 의한 접근뿐만 아니라 리모콘 키 직접 매핑을 나타내는 이름이나 숫자를 나타내며 (예컨대, 턴 온/오프 명령 같은 경우 스마트 리모콘의 전원에 직접 매핑되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서 일부 자주 사용하는 키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핫키개념으로 매크로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어 코드는 가전 제품 IC에 전해지는 명령어 코드를 나타내며, 리턴 데이터 크기는 현재 명령어가 쌍방향 동작이 필요할 경우, 리턴 값을 저장해야 할 때에 리모콘에서 할당해야 할 메모리 크기, RFID 태그를 장착한 전자 지불 카드나 전자 지갑의 경우 결제 서버나 충전 서버로부터 리턴 되는 금액, 아이콘 다운로드의 경우에는 아이콘의 크기 등을 저장할 때 사용된다. 애플리케이션 오프셋은 디바이스 정의 데이터 영역에 있는 애플리케이션까지의 오프셋으로서, 리모콘에서 전송명령이 들어올 경우 명령어 코드를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을 수행시킨 후에 그 결과를 전송한다.
디바이스 정의 데이터 영역은 필요한 구동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크기, 데이터 영역 크기, 애플리케이션 이름, 애플리케이션, 개인 신상 , 카드 번호, 전자화폐 등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다. 이 디바이스 정의 데이터 영역은 스마트 리모콘이 사용하는 데이터 영역이 아니다. 이 데이터는 디바이스(가전제품이나 혹은 전자지갑을 통칭하는 것임)가 자체적으로 구동 애플리케이션을 가졌을 때에 리모콘과 연동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사용된다. 즉, 전자 지갑 충전을 위해서 전자지갑에 사용되는 포맷을 리모콘이 알 필요는 없다. 그러나 이 영역에 들어가는 데이터는 전자 지갑 자신만 알고 있는 포맷이면 된다. 또한 RFID 태그를 가진 전자지불 장치가 설정될 경우에는 디바이스에 따라서는 인터넷에서 애플릿이나 혹은 기타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때 다운 받은 애플리케이션이 알고 있으면 된다. 리모콘은 현재 디바이스가 자체적으로 정의한 데이터가 어디에서부터인지를 애플리케이션에게 넘겨주면 애플리케이션이 주어진 포맷을 해독하여 사용하게 될 것이다. 전자 지갑의 경우 충전 명령어 코드와 절차는 전자 지불 장치로부터 다운받은 응용 프로그램이나 인터넷으로 다운 받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다시 전자지불 결제에 쓰여질 것이고, 리모콘은 단지 현재의 데이터를 패킹하여 입력받기를 원하는 장치에 RFID 라이터를 통해서 전송하면 된다. 이 영역에는 디바이스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자체도 저장될 수 있다. 이 영역이 자체에 정의된 코드가 아닌 경우에는 리모콘은 필요한 구동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영역 크기까지만 인식한다. 필요한 구동 애플리케이션은 MS 계열이나 기타 버추얼 머신이 필요한 경우 명시하는 필드로서, 저장된 데이터가 자바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자바 버추얼 머신을 필요로 한다.
다음에는 RFID 태그 명령어의 자료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RFID 태그를 가지고 통합 리모콘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리모콘이 GUI 환경이 되었건 아니면 사전 정의된(predefined) 키에 의해서 구동이 되었건 간에 리모콘이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 리모콘이 명령어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조정보로 패킹을 하여 제공하고 있다.
도 16은 현재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TV의 명령어를 트리(tree) 자료구조를 통해서 표현한 것이다. 이 트리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루트, 내부, 단말, 종속 노드로 구성되어 있다.
루트 노드는 이 자료구조가 시작되는 노드를 말하며 대개는 이 디바이스 자체를 의미한다. 내부 노드는 단말 노드와 종속 노드를 제외한 노드를 말한다. 단말 노드는 종속 노드만을 자(child) 노드로 가지는 노드를 말한다.
우선 도 16에서의 트리의 채널 편집이란 노드를 RFID 태그 포맷의 메뉴구조정보와 리모콘 제어코드열을 인코딩하면 도 17과 도 18과 같이 인코딩된다. 이렇게 인코딩된 노드들은 RFID 태그로 저장되어 스마트 리모콘에 전송되면 리모콘은 이를 디코딩하여 재구성한 후에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정보는 GUI상에 리모콘이 어떻게 명령어를 발송하는 지에 대한 구조정보를 나타내어 사용자가 채널편집이라는 아이콘에 확인버튼을 누르는 순간 해당 제어코드가 발진하여 기기를 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종속 노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종속 노드는 자신의 상태(status)를 가지지 않는 노드를 말한다. 즉 리모콘에서 확인 버튼을 누른 후에도 원래 상태를 유지하면서 종속 노드에 있는 제어코드열만 발송하는 노드를 말한다.
도 19는 종속 노드를 위한 자료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단말 노드는 재생이다. 따라서 리모콘에서 재생에 확인 버튼을 누르면 재생에 대한 리모콘 제어명령어가 송출된다. 그리고 또 한번 누르면 GUI가 한 수준 더 낮은 것으로바뀌는 것이 아니라 화면은 그 상태를 유지하고 2배속(혹은 4배속)에 대한 리모콘 제어명령어만을 송출하게 된다.
스마트 리모콘을 이용한 홈 네트워킹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
이제 지금까지 설명된 스마트 리모콘과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과, 이에 이용되는 자료 구조를 가지고 여러 가지 홈 네트워킹을 수행하는 프로세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디바이스 설정
이것은 가전 제품을 설치한 후에 스마트 리모콘에 RFID 태그 정보를 읽어들이는 작업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라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스마트 리모콘에 디바이스를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A-1에서 사용자가 스마트 리모콘의 모드를 디바이스 설치 모드로 변경한다. 단계 SA-2에서 제어부는 스마트 리모콘의 키 입력 버튼이 모드 변경임을 해독한다. 단계 SA-3에서 제어부는 스마트 리모콘의 현재 상태를 저장하고 설치 모드를 변경한다. 단계 SA-4에서 제어부는 스마트 리모콘의 문자/그래픽 처리부에 설치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설정한다. 단계 SA-5에서 제어부는 스마트 리모콘의 RFID 코덱으로부터 RFID 태그 정보를 대기한다. 단계 SA-6에서 제어부는 RFID 태그 정보 중 리모콘 환경 정보를 얻는다. 단계 SA-7에서 제어부는 스마트 리모콘의 검색부에 스마트 리모콘의 환경 정보를 요청한다. 단계 SA-8에서 제어부는 디바이스가 자신의 리모콘에서 동작하는 모델인지 확인한다. 단계 SA-9에서 동작 모델인지를 판단한다. 동작 모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단계 SA-10에서 제어부는 문자/그래픽 처리부에 설치 불가를 설정하고, 단계 SA-11에서 제어부는 저장한 모드 상태를 변경한다. 단계 SA-9에서 동작 모델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A-12에서 제어부는 RFID 태그정보 중 가전제품 생산 정보를 얻는다. 단계 SA-13에서 제어부는 디바이스 설정부에게 가전제품 정보를 제어 디바이스 목록에 추가한다. 단계 SA-14에서 제어부는 RFID 태그 정보 중 AS 정보를 얻는다. 단계 SA-15에서 제어부는 디바이스 설정부에게 AS 정보를 외부 서비스 접속 테이블에 저장하게 한다. 단계 SA-16에서 제어부는 RFID 태그 정보 중 메뉴 구조정보를 얻는다. 단계 SA-17에서 제어부는 디바이스 설정부에게 메뉴 구조정보를 송신 코드 구조에 저장하게 한다. 단계 SA-18에서 제어부는 RFID 태그 정보 중 리모콘 제어 코드열을 얻는다. 단계 SA-19에서 제어부는 디바이스 설정부에게 리모콘 제어 코드열을 리모콘 송신 코드 테이블에 저장하게 한다. 단계 SA-20에서 제어부는 RFID 태그 정보 중 디바이스 정의 데이터 영역을 얻는다. 단계 SA-21에서 제어부는 디바이스 설정부에게 디바이스 정의 데이터 영역을 송신 코드 구조에 저장하게 한다. 단계 SA-22에서 제어부는 문자 그래픽 처리부에 디바이스 설치 완료를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단계 SA-23에서 제어부는 저장한 모드 상태를 변경하고 디바이스 설치를 완료한다.
부가 서비스 설정
부가 서비스는 RFID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리모콘에 디바이스를 설치한 후에 인터넷 접속이 되어 있는 경우 그 디바이스에 대해서 추가적인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간단하게는 현재 설치된 디바이스의 메뉴 구조정보를 나타내는 LCD나 디스플레이에 아이콘을 다운로드 하여 변경하게 하거나 디바이스에 대한 추가적인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게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사용자가 디바이스(냉장고, 에어컨 등) 모드에 대해서 LCD 디스플레이에서 부가 서비스 설정 아이콘을 누를 때에, 혹은 리모콘에 사전 정의된 부가 서비스 설정키를 누를 때에 스마트 리모콘에 RFID 태그 정보를 읽어들이는 작업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라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스마트 리모콘에 부가 서비스를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B-1에서 사용자는 스마트 리모콘의 모드를 부가 서비스 설치 모드로 변경한다. 단계 SB-2에서 제어부는 스마트 리모콘의 문자/그래픽 처리부에서 현재 디바이스 코드를 얻는다. 단계 SB-3에서 제어부는 스마트 리모콘의 검색부로부터의 디바이스 코드를 가지고 제품 생산 번호를 얻는다. 단계 SB-4에서 제어부는 검색부로부터 현재 얻은 디바이스 코드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 접속 테이블에서 AS 정보를 얻는다. 단계 SB-5에서 제어부는 AS 정보로부터 접속 URL을 얻는다. 단계 SB-6에서 제어부는 부가 서비스 코드 I를 얻는다. 단계 SB-7에서 제어부는 제품 생산 번호, 접속 URL, 및 부가 서비스 코드 I를 전송한다. 단계 SB-8에서 제어부는 적외선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디바이스 설정부를 통해 디바이스 정의 데이터 영역에 갱신한다. 단계 SB-9에서 부가 서비스 코드 I가 N(소정 한계값)과 같은 지를 판단한다. 같지 않다고 판단되면, 단계 SB-6으로 되돌아가고, 같다고 판단되면, 단계 SB-10에서 제어부는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를 질의한다. 단계 SB-11에서 실행한다고 판단되면, 단계 SB-12에서 제어부는 디바이스 코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디바이스 정의 데이터 영역으로 가져오고, 단계 SB-13에서 제어부는 디바이스 정의 데이터를 실행한다. 단계 SB-14에서 I가 N과 같다고 판단되면, 단계 SB-15에서 제어부는 문자/그래픽 처리부에 부가 서비스 설치 완료를 설정하고, 단계 SB-16에서 제어부는 저장한 모드 상태를 변경하고 부가 서비스 설정을 완료한다. 한편, 단계 SB-11에서 실행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단계 SB-15로 바로 진행된다. 또, 단계 SB-14에서 I와 N이 같지 않다고 판단되면, 단계 SB-10으로 되돌아가서 그 이후의 단계를 다시 실행한다.
디바이스 동작
이것은 디바이스 설정을 완료한 후에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실시 예는 먼저 스마트 리모콘의 GUI의 동작 예를 보이고 이것이 처리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라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스마트 리모콘의 GUI를 통한 디바이스 동작 순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RFID 태그에 자신의 구동 정보를 담은 것을 스마트 리모콘에 설치한 후에 사용자는 리모콘을 통해서 제어명령을 내릴 수 있다. 구조정보를 통해서 저장된 정보는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의해서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게 되는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명령어가 나올 때까지 브라우징을 수행한다. 이 브라우징의 끝은 명령어 자료구조에서 단말 노드까지 수행하게 된다. 도 22에서는 재생 단말 노드이기 때문에 재생까지 브라우징을 수행한 후 사용자가 확인 버튼을 누르면 이 노드에 해당하는 적외선이 송출이 되어 해당 기기가 수행하게 된다. 이후에 한번 더 확인 버튼을 누르면 화면은 바뀌지 않고 다음레벨의 화면만이 하이라이트가 되고 해당 명령어를 수행하게 된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라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스마트 리모콘을 이용한 디바이스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 모드는 사용자가 리모콘의 키를 누를 경우에 대한 것으로, 디바이스 설치 후 제어 디바이스 목록이 갱신되고 리모콘은 자동적으로 루트 노드에 디스플레이를 위해서 루트 노드 밑에 설정된 디바이스를 위한 아이콘을 추가하게 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C-1에서 제어부는 현재 눌려진 키를 확인한다. 단계 SC-1에서 눌려진 키가 인크리멘트/디크리멘트 키인가를 확인하고, 인크리먼트/디크리먼트 키인 경우 단계 SC-4에서 부(parent) 노드가 루트 노드인가를 판단한다. 루트 노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단계 SC-5에서 제어부는 다음 작동 아이콘을 해당 노드로 변경하고, 단계 SC-10에서 제어부는 문자/그래픽 처리부에서 현재 작동 아이콘을 변경하고 화면으로 출력하고, 다음 레벨 명령어 화면도 구성된 트리에서 다음 노드의 이름을 읽어들여 출력한다. 단계 SC-4에서 루트 노드라고 판단되면, 단계 SC-6에서 제어부는 다음 작동 아이콘을 해당 디바이스로 변경한다. 이어서 단계 SC-7에서 자(child) 노드가 있는지 판단하고, 자 노드 있다고 판단되면 단계 SC-10을 실행한다. 자노드가 없다고 판단되면, 단계 SC-8에서 제어부는 해당 디바이스의 송신 코드 구조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읽어 들이고, 단계 SC-9에서 제어부는 읽어 들인 데이터로 트리를 구성하여 현재 트리(현재 디바이스 노드)에 자 노드를 추가한 후, 단계 SC-10을 실행한다.
한편, 단계 SC-2에서 인크리먼트/디크리먼트 키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단계 SC-3에서 확인키인가를 판단한다. 확인키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C-11에서 제어부는 현재 트리에서 자 노드 타입을 읽어 들인다. 이어 단계 SC-12에서 자 노드타입이 내부(internal) 노드인가를 판단하고, 내부 노드인 경우 단계 SC-18에서 제어부는 자 노드를 작동 아이콘으로 변경한 후, 단계 SC-10을 실행한다. 내부 노드가 아닌 경우 단계 SC-13에서 단말 노드인가를 판단하고, 단말(terminal) 노드인 경우 단계 SC-19에서 제어부는 검색부를 통해 스마트 리모콘 송신 코드 테이블에서 전송 코드를 찾고, 단계 SC-20에서 제어부는 자 노드를 작동 아이콘으로 변경하고, 단계 SC-21에서 제어부는 명령어 제어 코드를 만들어 적외선 송신을 하고, 단계 SC-22에서 제어부는 종속성(dependency)을 0으로 설정한 후, 단계 SC-23에서 제어부는 문자/그래픽 처리부에서 현재 작동 아이콘을 변경하고 화면으로 출력하고, 다음 레벨 명령어 화면도 구성된 트리에서 다음 노드의 이름을 읽어들여 출력한다. 한편 단계 SC-13에서 단말 노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단계 SC-14에서 제어부는 검색부를 통해 스마트 리모콘 송신 코드 테이블에서 전송 코드를 찾고, 단계 SC-15에서 제어부는 명령어 제어 코드를 만들어 적외선 송신을 하고, 단계 SC-16에서 제어부는 종속성을 [종속성 = (종속성 + 1)Mod 자 노드의 개수]로 설정한 후, 단계 SC-17에서 제어부는 상기 문자 그래픽 처리부에 현재 전송된 다음 레벨 명령어 화면에서 명령어 노드를 반전시킨다. 단 종속성이 0이면 다음 레벨 명령어 화면에 반전된 항목을 초기화시킨다. 즉 반전된 화면은 없게된다.
한편, 단계 SC-3에서 확인키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단계 SC-24에서 제어부는 사전 정의된 리모콘 키를 얻고, 단계 SC-25에서 제어부는 검색부를 통해 현재 장치모드에 해당하는 사전 정의된 리모콘 키를 가진 명령어를 리모콘 송신 코드 테이블에서 찾아, 단계 SC-26에서 적외선 전송을 한다.
양방향 TV 수신
본 발명의 스마트 리모콘은 RFID 리더/라이터와 함께 적외선을 수신 할 수 있다. 적외선 수신 방식은 경제적인 구성을 위해서라면 기존의 적외선 수신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고 IrDA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단 적외선 수신을 하기 위해서는 전송하는 디바이스가 리모콘이 전송하는 명령어를 해독할 수 있도록 전송 포맷을 알고 있다고 가정한다. 전송 포맷은 디바이스가 직접 리모콘이 알 수 있는 방식으로 인코딩을 하여 리모콘에 전송할 수도 있고 중간에 셋 톱이나 혹은 홈 게이트웨이가 리모콘 전용 어댑터를 통해서 변환하여 전송을 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수신 포맷은 해당 명령어의 분류나 혹은 명령어 자체를 나타내는 OpCode와 데이터 세그먼트(data segment)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 세그먼트는 OpCode에 따라서 다양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우선 양방향 TV의 수신의 경우, 데이터 세그먼트의 경우 OpCode와 입력 파라메터인 데이터와 그 데이터를 가지고 수행할 리모콘 내의 커맨드(command)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입력이 들어올 경우 리모콘은 OpCode를 통해서 양방향 TV수신 모드임을 알고 들어온 아이콘의 데이터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그 아이콘을 클릭하면 해당 명령어를 수행하게 된다. 수행 명령어는 리모콘내의 명령어이며 이런 방식으로 수행되는 대표적인 명령어는 결제와 충전과 같은 지불이라고 할 수 있다. 전자지갑의 경우에는 충전을 해야할 전자지갑번호와 금액과 기타 정보를 인코딩하여 입력이 되면 리모콘은 OpCode를 통해서 전자지갑 충전 명령어임을 해독하고 자신이 보관하는 전자지갑 정보와 같은 지를 확인하고 금액을 충전하게 된다. 결제의 경우는 결제를 해야하는 사이트 정보와 결제대금을 지불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반적으로는 금액정보를 통해서 결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T-Commerce시에 사용자 신용카드 정보를 사이트에 직접 전송하는 것이 아닐 것으로 생각되어 발송 로케이션(Location) 정보에 대한 부가정보 필드를 사용하였다. 즉 구매를 대행해 줄 임의의 사이트를 가정할 경우에는 발송 로케이션에 대한 정보가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러나 금액정보가 있을 경우 신용카드정보를 발송하여 결제를 수행하게 된다. 원격관리의 경우는 리모콘에서 제어해야 할 디바이스 번호와 제어명령어를 포맷으로 사용하며 원격에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어명령어라고 함은 리모콘 제어코드를 말한다. 사용자가 RFID 태그에 리모콘 제어코드를 인코딩하여 제품을 출하할 수 있다면 원격관리나 혹은 원격제어를 수행하기 위해서 이러한 제어코드를 이용할 수 있다는 가정은 무리한 가정이 아닐 것이다. 왜냐하면 RFID 태그에 인코딩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가전기기를 출시한 회사에서 제공하거나 혹은 그 정보를 공개하여 다른 제3의 사업자가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단지 여기서 리모콘은 또하나의 게이트웨이처럼 들어온 정보를 가전기기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리모콘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셋탑 위의 프로그램이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고 외부 인터넷에 제어코드열을 숨기려고 한다면 단순히 이름이나 기호만을 배포하고 원격에서 제어명령이 들어왔을 경우에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리모콘 제어코드열을 알아낼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간단하게 리모콘 제어코드열이 바로 들어오고 리모콘은 단순히 중계기역할만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예약은 원격관리 포맷에 시간부가 추가되어 저장했다가 예약관리부에 의해서 수행하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리모콘에 응용프로그램을 다운 받아서 구동을 할 수 있는데 구동원리는 애플릿이 구동하는 방식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원격에서 바이너리로 스마트 리모콘이 해독할 수 있는 포맷으로 인코딩하여 다운로딩하면 스마트 리모콘은 OpCode를 통해서 해석하고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수행하게 된다. 이밖에 현재 설치된 기기의 A/S정보를 통해서 외부에서 테스트 셋을 다운 받을 수도 있는데, 사용자는 외부의 테스트 셋을 통해서 가전기기를 진단하고 동작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 고장신고까지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TV로부터의 적외선 신호 수신시의 수신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실시 예에서는 전송하는 디바이스는 전송 포맷을 알고 있다고 가정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포맷은 OpCode와 데이터 세그먼트로 구성되는데, OpCode는 적외선으로 들어온 명령어를 가지며, OpCode의 종류는 디스플레이, 전자지갑 충전, 결제, 원격 관리, 예약,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딩, 명령어에 대한 리턴값(부가 서비스 다운로드, 테스트 셋 다운로드 등) 등이 있다. 데이터 세그먼트의 경우 OpCode에 따라서 다양한 데이터 세그먼트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OpCode가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일 경우 자바 클래스 파일로 된 파일이 패킹되고, OpCode 다음에 JVM (Java Virtual Machine)이 필요하다고 명시하는 필드로서, 제어부는 받은 데이터를 클래스 파일로 인식해서 JVM을 불러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임의의 서비스가 홈에 존재하는 리모콘의 전송 포맷에 대해서 알 수 없다. 리모콘에 대한 전송 포맷을 알고 있는 것은 리모콘이 인터넷으로 전송할 때 전송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인 홈서버나 혹은 셋탑만이 알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게이트웨이가 통신을 위한 메시지 변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현재 기술로 가능한 시나리오를 설정하자면, 서비스나 기타 전송 경로가 설정되고, 전송 데이터가 웹서비스 형태로 제공되고 XML 형식으로 전송될 경우 리모콘 전송 포맷을 알고 있는 홈의 게이트웨이가 XML을 파싱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한 후에 리모콘 전송 형식으로 재패킹하여 전송하게 될 것이다. 가전 제품이 리모콘 포맷을 알 경우에는 XML 형식이 아니라 리모콘 전송 방식으로 패킹한 후 리모콘이 직접 해석할 수도 있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TV의 부가적인 정보를 가진 TV 영상 디스플레이 동작을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즉 EPG (Electronic Program Guide)나 혹은 간단하게는 캡션 정보나 전자상거래 정보가 영상 시그널과 같이 디지털 TV에 송신될 경우 디지털 TV화면에 수신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지만 이럴 경우 시청자가 시청하고 있는 영상이 방해받을 수 있으므로 부가 정보를 리모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경우 현재화면 영상도 받지 않고 그에 해당하는 부가 정보도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TV를 시청하고 있고, 현재 리모콘 모드는 TV 모드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D-1에서 스마트 리모콘의 적외선 통신부가 양방향 TV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SD-2에서 스마트 리모콘의 적외선통신 인코더/디코더에서 적외선 신호를 디코딩한 후 스마트 리모콘의 제어부에 통지한다. 단계 SD-3에서 제어부가 현재 들어온 적외선 신호의 명령어를 해독한다. 단계 SD-4에서 제어부가 데이터 중 데이터 세그먼트를 추출하여 데이터와 Cmd를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단계 SD-5에서 제어부가 데이터를 추출하여 스마트 리모콘의 문자/그래픽 처리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여기서 Cmd는 리모콘과는 상관없는 명령어일 수도 있고 리모콘에 있는 어떤 디바이스의 키가 눌렸을 때 리모콘이 반응하는 기능을 수행시키는 명령어일 수도 있다. 도 254에서는 "화면전환"과 "결재"가 Cmd가 된다. "화면전환"같은 경우에 리모콘은 화면전환에 대한 아무런 정보도 가지고 있지 못하다. 이 정보는 디지털 TV나 셋탑과 같은 기기에서 해독되고 수행될 명령어이기 때문에 저장만 하면 된다. "결재"같은 경우에는 리모콘에서 제공하는 기능이기 때문에 리모콘의 기능과 외부 디지털 TV나 셋탑과 연동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 경우도 디지털 TV나 셋탑이 리모콘 수신 포맷을 알고 있다고 가정한다면 이 두 개의 기기 간에 일어나는 연동은 해당 사업자들이 일반적인 상식하에서 연동이 가능한 것으로 생각되어 단순히 저장하는 것까지만 설명한다. 즉 디지털 TV나 셋탑이 도 24의 첫 번째 두 번째 포맷으로 상호 연동할 수 있다면 일반적으로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A/S 신고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모콘을 이용한 디바이스 A/S 신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 모드는 사용자가 현재 이상이 있는 디바이스 발견한 경우에 이용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E-1에서는 사용자가 A/S 신고아이콘이나 키를 누른다. 단계 SE-2에서 리모콘 키 디코더가 키 코드를 해독하고 제어부에 통지한다. 단계 SE-3에서 제어부가 키 코드가 A/S 신고임을 확인한다. 단계 SE-4에서 제어부가 검색부를 통해 디바이스 번호를 가지고 디바이스의 제어 디바이스 목록으로부터 가전 제품 생산 번호를 얻는다. 단계 SE-5에서 제어부가 검색부를 통해 디바이스 번호를 가지고 외부 서비스 접속 테이블에서 외부 접속 정보를 얻는다. 단계 SE-6에서 제어부가 가전 제품 생산 번호와 현재 동작하는 Cmd를 외부 접속 정보를 가지고 패킹한다. 여기서 Cmd는 스마트 리모콘이 제어하는 제어 코드를 말한다. 단계 SE-7에서 제어부가 패킹한 정보를 적외선 통신 인코더를 통해 외부 A/S 서비스에 전송한다.
리모콘 데이터 백업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모콘의 메모리부의 데이터를 백업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F-1에서 사용자가 스마트 리모콘의 백업키를 누른다. 단계 SF-2에서 리모콘 키 디코더가 키 코드를 해독하여 제어부에 통지한다. 단계 SF-3에서 제어부가 스마트 리모콘의 메모리로부터 전송이 가능한 데이터 크기를 읽어낸다. 단계 SF-4에서 제어부가 적외선 인코더를 통해서 셋 톱 박스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단계 SF-5에서 메모리부의 모든 데이터가 전송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모든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에는 백업 작업을 종료하고, 모든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F-3로 되돌아가서 백업이 완료될 때까지 그 후의 단계를 반복 실행한다.
신용카드 결제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모콘을 이용한 결제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현재 결제를 위해서 전송해야 할 접속 정보를 제어부가 알고 있다고 가정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G-1에서 사용자가 결제키나 결제 아이콘을 누른다. 단계 SG-2에서 리모콘 키 디코더가 결제 키 코드를 해독하여 제어부에 통지한다. 단계 SG-3에서 제어부는 검색부를 통해 신용카드 정보 저장부에서 신용카드 정보를 얻는다. 단계 SG-4에서 제어부는 문자/그래픽 처리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비밀 번호를 요청한다. 단계 SG-5에서 사용자가 비밀 번호를 입력하고 확인키를 누른다. 단계 SG-6에서 리모콘 키 디코더가 확인 키 코드를 해독하고 제어부에 통지한다. 단계 SG-7에서 제어부는 적외선 인코더를 통해 신용 카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한다. 이러한 신용카드를 결재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된 보안 알고리즘을 적용해야 보다 타당한 결제방법이 될 것이다. 또한 결재가 일어나기까지 인증방법이나 PKI구조와 같은 설명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보안을 적용하는 모듈은 셋탑이나 혹은 홈서버에서 이뤄질 것으로 생각되어지고 인증의 문제는 본 발명과 다른 영역에 속한다고 생각한다. 단지 본 리모콘에서 보여 주려고 하는 것은 RFID 리더를 가진 스마트 리모콘이 RFID를 가진 신용카드 정보를 읽어들이고 리모콘이 마치 신용카드처럼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자 지갑 충전
도 29는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모콘을 이용한 전자 지갑 충전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H-1에서 사용자가 전자 지갑충전키나 아이콘을 누른다. 단계 SH-2에서 리모콘 키 디코더가 충전 키 코드를 해독하여 제어부에 통지한다. 단계 SH-3에서 제어부는 검색부를 통해서 신용 정보 저장부에서 충전 정보(이체 통장과 충전 카드 번호, 충전 장소 등)를 읽어 들인다. 단계 SH-4에서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문자/그래픽 처리부를 통해서 비밀 번호와 충전 금액을 요구한다. 단계 SH-5에서 사용자는 비밀 번호와 충전 금액을 입력한다. 단계 SH-6에서 리모콘 키 디코더가 비밀 번호와 충전 금액 입력 키 코드를 해독하여 상기 제어부에 통지한다. 단계 SH-7에서 제어부는 적외선 통신 인코더/디코더를 통해 상기 비밀 번화 충전 금액을 충전 장소에 전송한다. 이 때, 전송 후 모드를 유지하면서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단계 SH-8에서 제어부는 적외선 인코더/디코더를 통해 충전 장소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SH-9에서 제어부는 디바이스 설정부를 통해 신용 카드 정보부에 충전 금액을 저장한다. 단계 SH-10에서 제어부는 문자/그래픽 처리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에 충전 금액을 표시한다. 전자 지갑 충전의 경우에 있어서는 충전 장소로부터 스마트 리모콘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에는 보안 목적 상 암호화되어 있어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 본 발명의 스마트 리모콘에는 이러한 암호를 해독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해독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디바이스 작동 예약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모콘을 이용한 디바이스 작동 원격 예약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I-1에서 적외선통신부가 양방향 TV(셋 톱)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SI-2에서 적외선 통신 인코더/디코더는 적외선 신호를 디코딩한 후에 제어부에 통지한다. 단계 SI-3에서 제어부는 현재 들어 온 적외선 신호의 명령어를 해독한다. 단계 SI-4에서 제어부는 명령어 중 데이터 세그먼트를 추출하여 예약 시간, 디바이스 번호 및 Cmd를 예약 관리부를 통해 예약 정보 테이블에 저장한다. 단계 SI-5에서 제어부는 예약 완료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낸다. 여기서 Cmd는 역시 리모콘 제어코드를 말한다. 단 외부에서 상징어나 혹은 리모콘 내부의 노드 번호로 입력이 들어올 경우 리모콘은 해당 제어코드를 검색부를 통해서 리모콘 송신 코드 테이블에서 해당 Cmd를 가져와 예약 정보 테이블에 저장한다.
디바이스 원격 테스트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모콘을 이용한 디바이스 원격 테스트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테스트 단계에서도 외부에서 진단 및 AS를 위해서 테스트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테스트 셋을 제공하는 사업자는 아마도 리모콘을 통해서 제어하려는 리모콘 송신 제어코드를 알고 있다고 가정하는 것이 상식적일 것이다. 따라서 리모콘은 외부의 테스트 셋을 단순히 중계만 하고 리모콘을 사용하는 사람이 테스트 결과에 대해서 진단을 할 수 있게 저장해 놓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리모콘 내부에 있는 테스트 셋을 가지고 테스트를 수행할 수도 있으나 위의 과정과 유사하기에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여기서 Cmd도 역시 리모콘 송신 제어 코드로 가정한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J-1에서 적외선 통신부가 양방향 TV(셋톱)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SJ-2에서 적외선 통신 인코더/디코더는 적외선 신호를 디코딩한 후에 제어부에 통지한다. 단계 SJ-3에서 제어부는 현재 들어온 적외선 신호의 명령어를 해독한다. 단계 SJ-4에서 제어부는 명령어 중 데이터 세그먼트로부터의 디바이스 번호와 테스트 Cmd들을 추출하여 저장한다. 단계 SJ-5에서 제어부가 검색부를 통해서 해당 테스트 Cmd 중 하나를 선택한다. 단계 SJ-6에서 제어부는 검색부를 통해서 해당 테스트가 안된 테스트 Cmd 중 하나를 선택한다. 단계 SJ-7에서 제어부는 적외선 통신 인코더/디코더를 통해서 Cmd를 패킹한다. 단계 SJ-8에서 사용자는 적외선 송신 후 제대로 동작이 되는지 결과를 지켜본다. 단계 SJ-9에서 테스트 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확인키를 누르고,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A/S 키나 아이콘을 누른다. 단계 SJ-10에서 모든 테스트 Cmd를 수행했는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모든 테스트 Cmd가 수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단계 SJ-6으로 되돌아가서 처리를 반복하고, 모든 테스트 Cmd가 수행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 SJ-11에서 제어부는 문자/그래픽 처리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에 테스트 완료를 표시한다.
디바이스 원격 관리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TV(셋 톱)이 동작하고 있고, 현재 리모콘의 방향이 해당 디바이스에 적외선을 송신할 수 있는 방향이다. 같은 방에 없더라도 현재 리모콘의 적외선 신호를 받아서 다른 방에 중계를 할 수 있는 중계기가 있을 경우에는 같은 방에 없더라도 무관하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모콘을 이용한 디바이스의 원격 관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원격관리에서 사용하는 Cmd도 리모콘의 실시 예를 통해서 리모콘의 효용을 나타내는 것이 목적인 만큼 외부에서 리모콘 송신 제어 코드가 직접 들어온다고 가정해도 무리가 없으므로 여기서 Cmd는 리모콘 송신코드를 의미한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K-1에서 적외선 통신부는 양방향 TV(셋톱)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SK-2에서 적외선 통신 인코더/디코더가 적외선 신호를 디코딩한 후 제어부에 통지한다. 단계 SK-3에서 제어부는 현재 들어온 적외선 신호의 명령어를 해독한다. 단계 SK-4에서 제어부는 명령어 중 데이터 세그먼트를 추출하여 디바이스 번호와 Cmd를 저장한다. 단계 SK-5에서 제어부는 적외선 인코더/디코더를 Cmd를 전송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여러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과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수정, 부가, 등가치환을 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수정, 부가, 등가치환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음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은 RFID 리더/라이터와 적외선 송수신 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리모콘과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웍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유발 할 수 있을 것이다.
건축비나 혹은 가전제품의 재구매/별도의 홈네트웍 설비(PLC, 블루투스등)를 통하지 않고도 효과적이며 경제적으로 홈네트웍을 구축할 수 있다.
고성능 RFID 태그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가전기기 제공자 역시 경제적으로자신의 데이터를 패킹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통합 리모콘을 구성할 수 있게 하고 기기 제공자는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부가서비스를 이용하게 함으로 인해서 사용자와 보다 높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System을 구축하게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자신의 물류관리 및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가전기기에 대한 수명관리등을 이용하여 재고 및 기타 제품 출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양방향 TV와 반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합함으로 인해서 양방향 어플리케이션의 프레임웍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전자지불뿐만 아니라 RFID 태그를 사용하는 전자지갑의 경우에도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홈네트웍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원격관리도 수행할 수 있다. 적외선 통신의 특성상 벽을 넘어 전송할 수 없는 단점은 천장에 명령어 중계기를 통해서 해결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확장 가능한 원격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Claims (29)

  1. 소정의 디바이스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 적외선 통신부;
    제어 정보가 내장된 RFID 태그가 각각 부착된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RFID 태그에 내장된 상기 제어 정보를 읽어 들이는 RFID 리더/라이터;
    상기 RFID 리더/라이터로부터 읽어 들인 상기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스마트 리모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리모콘.
  2. 제1항에 있어서, 디바이스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리모콘.
  3. 제1항에 있어서, 키패드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리모콘.
  4. 제1항에 있어서, 타이머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리모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라이터는 스마트 리모콘에 착탈 가능한 스마트 리모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제어 디바이스 목록, 외부 서비스 접속 테이블, 송신 코드 구조 정보, 리모콘 송신 코드 테이블, 신용 카드 정보, 아이콘, 디바이스 정의 데이터, 스마트 리모콘 환경 정보, 예약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는 스마트 리모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마트 리모콘;
    각각의 제어 정보를 내장하는 RFID 태그와 적외선 수신부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디바이스;
    상기 스마트 리모콘과 양방향 적외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적외선 통신부를 구비한 적외선 통신 가능 디바이스
    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 리모콘에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의 기능을 설정하여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적외선 통신 가능 디바이스를 통해 외부와의 원격 통신을 수행하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리모콘의 제어 코드는 헤드 코드, 커스텀 코드, 및 데이터 코드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는 RFID 태그 헤더, 생산 제품 정보, 리모콘 환경 정보, AS 정보, 메뉴 구조 정보, 리모콘 제어 코드 열, 및 디바이스 정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 헤더는 RFID 태그 구분자, RFID 태그 총 크기, RFID 패킷 번호, 및 RFID 태그 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 제품 정보는 가전 제품의 분류, 생산 번호, 모델명, 이름, 사용 환경, 및 생산 날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킹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환경 정보는 적외선 송출 주파수, 적외선 수신 주파수, 리모콘 제조 회사명, 전용 리모콘 모델명, 및 리모콘 송출 헤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S 정보는 AS 접속 URL, AS 전화 번호, 및 복수의 부사 서비스 코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구조 정보는 리모콘 제어 명령어 고유 번호, 리모콘 제어 명령어의 트리 구조의 노드 타입, 아이콘 이름, 현재 노드의 부모 노드 번호, 및 전이 노드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정의 데이터는 필요한 구동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크기, 데이터 영역 크기, 애플리케이션 이름, 애플리케이션, 개인 신상 정보, 카드 번호, 전자 화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는 트리형 명령어 자료 구조를 갖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통신 가능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스마트 리모콘으로의 적외선 수신시의 수신 포맷은 전자 지갑 충전, 결제, 원격관리, 예약,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테스트 진단 명령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
  1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마트 리모콘; 각각의 제어 정보를 내장하는 RFID 태그와 적외선 수신부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디바이스; 상기 스마트 리모콘과 양방향 적외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적외선 통신부를 구비한 적외선 통신 가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상기 스마트 리모콘에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리모콘의 모드를 디바이스 설치 모드로 변경하는단계;
    b) 상기 스마트 리모콘의 키 입력 버튼이 모드 변경임을 해독하는 단계;
    c) 상기 스마트 리모콘의 현재 상태를 저장하고 설치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
    d) 상기 스마트 리모콘의 문자/그래픽 처리부에 설치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e) 상기 스마트 리모콘의 RFID 코덱으로부터 RFID 태그 정보를 대기하는 단계;
    f) 상기 RFID 태그 정보 중 리모콘 환경 정보를 얻는 단계;
    g) 상기 스마트 리모콘의 검색부에 상기 스마트 리모콘의 환경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h) 디바이스가 자신의 리모콘에서 동작하는 모델인지 확인하는 단계;
    i)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스마트 리모콘에서 동작하는 모델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RFID 태그 정보를 상기 스마트 리모콘의 메모리부에 저장한 다음에 상기 문자/그래픽 처리부에 설치 완료를 설정하고,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스마트 리모콘에서 동작하는 모델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문자/그래픽 처리부에 설치 불가를 설정하는 단계; 및
    j) 저장한 모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설정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 정보를 상기 스마트 리모콘의 메모리부에저장하는 단계는
    i-1) 가전 제품 생산 정보를 상기 스마트 리모콘의 상기 메모리부의 제어 디바이스 목록에 저장하는 단계;
    i-2) AS 정보를 상기 스마트 리모콘의 상기 메모리부의 외부 서비스 접속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
    i-3) 메뉴 구조 정보를 상기 스마트 리모콘의 상기 메모리부의 송신 코드 구조 정보부에 저장하는 단계;
    i-4) 리모콘 제어 코드열을 상기 스마트 리모콘의 상기 메모리부의 리모콘 송신 코드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 및
    i-5) 디바이스 데이터 정의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 리모콘의 상기 메모리부의 디바이스 정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설정 방법.
  2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마트 리모콘; 각각의 제어 정보를 내장하는 RFID 태그와 적외선 수신부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디바이스; 상기 스마트 리모콘과 양방향 적외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적외선 통신부를 구비한 적외선 통신 가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부가 서비스를 상기 스마트 리모콘에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리모콘의 모드를 부가 서비스 설치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 리모콘의 문자/그래픽 처리부에서 현재 디바이스 코드를 얻는 단계;
    c) 상기 스마트 리모콘의 검색부로부터의 디바이스 코드를 가지고 제품 생산번호를 얻는 단계;
    d) 상기 디바이스 코드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 접속 테이블에서 AS 정보를 얻는 단계;
    e) 상기 AS 정보로부터 접속 URL을 얻는 단계;
    f) 부가 서비스 코드를 얻는 단계;
    g) 상기 제품 생산 번호, 상기접속 URL, 및 상기 부가 서비스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h) 상기 적외선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디바이스 설정부를 통해 디바이스 정의 데이터 영역에 갱신하는 단계;
    i)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를 질의하는 단계;
    j)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 코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 정의 데이터 영역으로 가져와서, 디바이스 정의 데이터를 실행하는 단계;
    k) 상기 문자/그래픽 처리부에 부가 서비스 설치 완료를 설정하는 단계; 및
    l) 저장한 모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가 서비스 설정 방법.
  2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마트 리모콘; 각각의 제어 정보를 내장하는 RFID 태그와 적외선 수신부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디바이스; 상기 스마트 리모콘과 양방향 적외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적외선 통신부를 구비한 적외선 통신 가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현재 눌려진 키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키가 인크리멘트/디크리멘트 키이고 부(parent) 노드가 루트 노드인 경우에는 다음 작동 아이콘을 해당 디바이스로 변경하고, 부 노드가 루트 노드가 아닌 경우에는 다음 작동 아이콘을 해당 노드로 변경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해당 노드로 변경되면, 문자/그래픽 처리부에서 현재 작동 아이콘을 변경하고 화면으로 출력하고, 다음 레벨 명령어 화면도 구성된 트리에서 다음 노드의 이름을 읽어들여 출력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b)에서 해당 디바이스로 변경되면, 자(child) 노드가 있는지 판단하고, 자 노드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계 c)를 실행하는 단계;
    e) 자 노드가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해당 디바이스의 송신 코드 구조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읽어 들이는 단계;
    f) 상기 읽어 들인 데이터로 트리를 구성하여 현재 트리에 자 노드를 추가한 후, 상기 단계 b)를 실행하는 단계;
    g)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키가 인크리멘트/디크리멘트 키가 아니고, 확인키인 경우에, 현재 트리에서 자 노드 타입을 읽어 들이는 단계;
    h) 상기 자 노드 타입이 내부(internal) 노드인 경우, 자 노드를 작동 아이콘으로 변경한 후, 상기 단계 c)를 실행하는 단계;
    i) 상기 자 노드 타입이 단말(terminal) 노드인 경우, 스마트 리모콘 송신 코드 테이블에서 전송 코드를 찾고, 자 노드를 작동 아이콘으로 변경하고, 명령어 제어 코드를 만들어 적외선 송신을 하고, 종속성(dependency)을 0으로 설정한 후, 상기 단계 c)를 실행하는 단계;
    j) 상기 자 노드 타입이 단말 노드가 아닌 경우, 스마트 리모콘 송신 코드 테이블에서 전송 코드를 찾고, 명령어 제어 코드를 만들어 적외선 송신을 하고, 종속성을 [종속성 = (종속성 + 1)Mod 자 노드의 개수]로 설정한 후, 제어부는 상기 문자 그래픽 처리부에 현재 전송된 다음 레벨 명령어 화면에서 명령어 노드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반전시키되, 종속성이 0이면 반전된 화면이 없게 되도록 다음 레벨명령어 화면에 반전된 항목을 초기화시켜 는 단계;
    k) 상기 단계 g)에서 확인키가 아닌 경우, 사전 정의된 리모콘 키를 얻는 단계; 및
    l) 현재 장치 모드에 해당하는 사전 정의된 리모콘 키를 가진 명령어를 리모콘 송신 코드 테이블에서 찾아 적외선 전송을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동작 방법.
  2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마트 리모콘; 각각의 제어 정보를 내장하는 RFID 태그와 적외선 수신부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디바이스; 상기 스마트 리모콘과 양방향 적외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적외선 통신부를 구비한 양방향 TV 및 셋 톱 박스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상기 양방향 TV의 영상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리모콘의 상기 적외선 통신부가 상기 양방향 TV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리모콘의 적외선 통신 인코더/디코더에서 적외선 신호를 디코딩한 후 상기 스마트 리모콘의 제어부에 통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현재 들어온 적외선 신호의 명령어를 해독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데이터 중 데이터 세그먼트를 추출하여 데이터와 리모콘 송신 제어코드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스마트 리모콘의 문자/그래픽 처리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양방향 TV 영상 표시 방법.
  2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마트 리모콘; 각각의 제어 정보를 내장하는 RFID 태그와 적외선 수신부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디바이스; 상기 스마트 리모콘과 양방향 적외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적외선 통신부를 구비한 양방향 TV 및 셋 톱 박스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의 이상에 대한 A/S를 신고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A/S 신고 아이콘이나 키를 누르는 단계;
    리모콘 키 디코더가 키 코드를 해독하고 제어부에 통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키 코드가 A/S 신고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검색부를 통해 디바이스 번호를 가지고 제어 디바이스 목록으로부터 가전 제품 생산 번호를 얻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검색부를 통해 디바이스 번호를 가지고 외부 서비스 접속 테이블에서 외부 접속 정보를 얻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가전 제품 생산 번호와 현재 동작하는 리모콘 송신 제어코드를 외부 접속 정보를 가지고 패킹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패킹한 정보를 적외선 통신 인코더를 통해 외부 A/S 서비스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이상 A/S 신고 방법.
  24.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마트 리모콘; 각각의 제어 정보를 내장하는 RFID 태그와 적외선 수신부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디바이스; 상기 스마트 리모콘과 양방향 적외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적외선 통신부를 구비한 양방향 TV 및 셋 톱 박스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상기 스마트 리모콘의 데이터를 상기 셋 톱 박스에 백업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리모콘의 백업키를 누르는 단계;
    리모콘 키 디코더가 키 코드를 해독하여 제어부에 통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마트 리모콘의 메모리로부터 전송이 가능한 데이터 크기를 읽어내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적외선 인코더를 통해서 상기 셋 톱 박스에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리모콘의 데이터 백업 방법.
  25.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마트 리모콘; 각각의 제어 정보를 내장하는 RFID 태그와 적외선 수신부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디바이스; 상기 스마트 리모콘과 양방향 적외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적외선 통신부를 구비한 양방향 TV 및 셋 톱 박스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신용 카드를 결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결제키나 결제 아이콘을 누르는 단계;
    리모콘 키 디코더가 결제 키 코드를 해독하여 제어부에 통지하는 단계;
    신용카드 정보 저장부에서 신용 카드 정보를 얻는 단계;
    문자/그래픽 처리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비밀 번호를 요청하는 단계;
    비밀 번호를 입력하고 확인키를 누르는 단계;
    리모콘 키 디코더가 확인 키 코드를 해독하고 상기 제어부에 통지하는 단계; 및
    적외선 인코더를 통해 신용 카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용 카드 결제 방법.
  26.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마트 리모콘; 각각의 제어 정보를 내장하는 RFID 태그와 적외선 수신부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디바이스; 상기 스마트 리모콘과 양방향 적외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적외선 통신부를 구비한 양방향 TV 및 셋 톱 박스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전자 지갑을 충전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 지갑 충전키나 아이콘을 누르는 단계;
    리모콘 키 디코더가 충전 키 코드를 해독하여 제어부에 통지하는 단계;
    신용 정보 저장부에서 충전 정보를 읽어 들이는 단계;
    사용자에게 문자/그래픽 처리부를 통해서 비밀 번호와 충전 금액을 요구하는 단계;
    비밀 번호와 충전 금액을 입력하는 단계;
    리모콘 키 디코더가 비밀 번호와 충전 금액 입력 키 코드를 해독하여 상기 제어부에 통지하는 단계; 및
    적외선 통신 인코더/디코더를 통해 상기 비밀 번화 충전 금액을 충전 장소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외선 인코더/디코더를 통해 상기 충전 장소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디바이스 설정부를 통해 신용 카드 정보부에 충전 금액을 저장하는 단계; 및
    문자/그래픽 처리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에 충전 금액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충전 방법.
  2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마트 리모콘; 각각의 제어 정보를 내장하는 RFID 태그와 적외선 수신부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디바이스; 상기 스마트 리모콘과 양방향 적외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적외선 통신부를 구비한 양방향 TV 및 셋 톱 박스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작동을 예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TV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외선 신호를 디코딩한 후에 제어부에 통지하는 단계;
    현재 들어 온 적외선 신호의 명령어를 해독하는 단계;
    상기 명령어 중 데이터 세그먼트를 추출하여 예약 시간, 디바이스 번호 및 리모콘 송신 제어코드를 예약 관리부를 통해 예약 정보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 및
    예약 완료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내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작동 예약 방법.
  2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마트 리모콘; 각각의 제어 정보를 내장하는 RFID 태그와 적외선 수신부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디바이스; 상기 스마트 리모콘과 양방향 적외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적외선 통신부를 구비한 양방향 TV 및 셋 톱 박스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테스트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TV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외선 신호를 디코딩한 후에 제어부에 통지하는 단계;
    현재 들어온 적외선 신호의 명령어를 해독하는 단계;
    상기 명령어 중 데이터 세그먼트로부터의 디바이스 번호와 테스트 리모콘 송신 제어코드들을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해당 테스트 리모콘 송신 제어코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해당 테스트가 안된 테스트 리모콘 송신 제어코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적외선 통신 인코더/디코더를 통해서 리모콘 송신 제어코드를 패킹하는 단계;
    테스트 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확인키를 누르고,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A/S 키나 아이콘을 누르는 단계; 및
    문자/그래픽 처리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에 테스트 완료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원격 테스트 방법.
  2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마트 리모콘; 각각의 제어 정보를 내장하는 RFID 태그와 적외선 수신부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디바이스; 상기 스마트 리모콘과 양방향 적외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적외선 통신부를 구비한 양방향 TV 및 셋 톱 박스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상기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TV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외선 신호를 디코딩한 후 제어부에 통지하는 단계;
    현재 들어온 적외선 신호의 명령어를 해독하는 단계;
    상기 명령어 중 데이터 세그먼트를 추출하여 디바이스 번호와 리모콘 송신 제어코드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적외선 인코더/디코더를 통해 리모콘 송신 제어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원격 관리 방법.
KR1020030063878A 2003-09-15 2003-09-15 스마트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775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878A KR20030077513A (ko) 2003-09-15 2003-09-15 스마트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878A KR20030077513A (ko) 2003-09-15 2003-09-15 스마트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513A true KR20030077513A (ko) 2003-10-01

Family

ID=3238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878A KR20030077513A (ko) 2003-09-15 2003-09-15 스마트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7513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007B1 (ko) * 2004-07-30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00596B1 (ko) * 2004-07-09 2008-02-04 이 리앙 팅 원격 제어되는 전자 디바이스를 유니버설 리모트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유니버설리모트 컨트롤러
KR100811701B1 (ko) * 2006-08-08 2008-03-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수개의 전자 장치들의 통합 원격 지시장치
KR100880475B1 (ko) * 2006-02-16 2009-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 리모콘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7647610B2 (en) 2003-08-19 2010-01-12 Lg Electronics Inc. Interfacing system between digital TV and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method thereof, remote controller thereof, and remote controller signal transmitting method thereof
KR101531498B1 (ko) * 2013-03-13 2015-06-25 주식회사 한스크리에이티브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기반의 전력 제어 복합 장치
KR20190002094A (ko) * 2017-06-29 2019-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29816B1 (ko) * 2019-11-25 2020-07-03 남기선 스마트 시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5396921A (zh) * 2022-08-23 2022-11-25 深圳市慎勇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数显遥控器进行快速配网的方法
CN117079445A (zh) * 2023-10-13 2023-11-17 深圳市微克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手表的红外遥控方法、系统及介质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7610B2 (en) 2003-08-19 2010-01-12 Lg Electronics Inc. Interfacing system between digital TV and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method thereof, remote controller thereof, and remote controller signal transmitting method thereof
KR100800596B1 (ko) * 2004-07-09 2008-02-04 이 리앙 팅 원격 제어되는 전자 디바이스를 유니버설 리모트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유니버설리모트 컨트롤러
KR100606007B1 (ko) * 2004-07-30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80475B1 (ko) * 2006-02-16 2009-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 리모콘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811701B1 (ko) * 2006-08-08 2008-03-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수개의 전자 장치들의 통합 원격 지시장치
US7777642B2 (en) 2006-08-08 2010-08-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for a plurality of digital devices
KR101531498B1 (ko) * 2013-03-13 2015-06-25 주식회사 한스크리에이티브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기반의 전력 제어 복합 장치
KR20190002094A (ko) * 2017-06-29 2019-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29816B1 (ko) * 2019-11-25 2020-07-03 남기선 스마트 시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5396921A (zh) * 2022-08-23 2022-11-25 深圳市慎勇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数显遥控器进行快速配网的方法
CN115396921B (zh) * 2022-08-23 2023-08-04 深圳市慎勇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数显遥控器进行快速配网的方法
CN117079445A (zh) * 2023-10-13 2023-11-17 深圳市微克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手表的红外遥控方法、系统及介质
CN117079445B (zh) * 2023-10-13 2023-12-15 深圳市微克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手表的红外遥控方法、系统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8567B1 (en) Generic handheld remote control device
EP1818878B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050224589A1 (en) SD memory card for extension of function
KR100771769B1 (ko)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기 가전 제품
US20020097165A1 (en)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apparatus using a single remote control device
JP5124288B2 (ja) デバイスを動作させること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US9262711B2 (en) NFC tag,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CN104093218A (zh) 利用nfc技术构建的移动物联网络及其信息交换方法
KR20030077513A (ko) 스마트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및 방법
CN101176361A (zh) 射频识别数据处理系统
JP6516133B2 (ja) 通信デバイス及び通信システム
JPH08129405A (ja) 通信プロトコル管理用のコントローラ/コントロールドプロセッサ
CN100390687C (zh) 用于配置网络的方法
US20090261952A1 (en) Reader/writer, communication processing device,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data management system and communication system
JP2000112719A (ja) Icカ―ド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装置ならびにicカ―ド
JP4357524B2 (ja) Icカード処理装置
KR20200121625A (ko) 더미단말기와 카드거래승인 모듈 및 서버를 구비한 결제시스템과 그 결제방법
CN214670717U (zh) 用于实现物联网支付功能的装置及物联网设备
KR100323248B1 (ko) 인터넷텔레비젼의 전자상거래용 무선 결제장치와 그 방법
KR100478963B1 (ko) 디스플레이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장치
KR200424411Y1 (ko) 적외선 통신을 이용한 수도 검침기와 휴대용 수도 검침단말기
JP2006054757A (ja) サブ通信インターフェース付きrfidタグによる情報通信システム
KR200246518Y1 (ko) 복합 결제처리장치
KR100679056B1 (ko) 홈오토메이션 보안기기 알에프 카드리더 모듈
KR100669519B1 (ko) 홈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