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6007B1 - Rfid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Rfid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6007B1
KR100606007B1 KR1020040060301A KR20040060301A KR100606007B1 KR 100606007 B1 KR100606007 B1 KR 100606007B1 KR 1020040060301 A KR1020040060301 A KR 1020040060301A KR 20040060301 A KR20040060301 A KR 20040060301A KR 100606007 B1 KR100606007 B1 KR 100606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roadcast service
broadcast
setting information
us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1450A (ko
Inventor
김현철
김영석
오윤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0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007B1/ko
Publication of KR20060011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1Deriving a combined profile for a plurality of end-users of the same client, e.g. for family members within a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있어서, 각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사용자 고유의 태그 ID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태그 ID를 무선신호로 송출하는 다수의 RFID 태그들; 상기 각 사용자의 태그 ID와 상기 각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서비스 내용에 해당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설정 정보에 따라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송출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RFID 태그들로부터 태그 ID를 수신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를 인식하고 상기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적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탑박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다수의 사용자들을 각각 인식하고 구분할 수 있고,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선호채널, 관심분야, 예약 채널등과 같은 사용자 설정 정보에 따라 방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별로 차별화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방송 서비스, 셋탑박스, RFID 태그, 사용자 선호 채널

Description

RFID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BROADCASTING SERVICE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설정 정보 입력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설정 정보 저장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용을 보여주는 일예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설정 정보를 적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셋탑박스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다수의 사용자들 각각을 인식하고 인식된 각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다채널, 다매체, 고속화, 그리고 서비스 다양화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다지털 방송과 통신 서비스의 도입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셋탑박스가 가정 내 핵심 기기의 하나로 부상하고 있다. 방송 서비스 제공자들은 각 가정 내 셋탑박스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셋탑박스는 가입자의 가정에 설치하는 일종의 신호변환장치이며, 일반적으로 서비스 종류에 따라 위성 방송용, 지상파 방송용, 케이블 방송용, 인터넷 TV용 셋탑박스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셋탑박스의 기본적인 기능은 MPEG2로 압축되어 전송된 디지털 정보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재생하는 것이다. 비디오 및 오디오 복호기는 수신된 MPEG2 압축 데이터를 압축 및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4Mbps 내지 20Mbps의 처리 능력을 필요로 한다.
현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셋탑박스는 스마트 카드 또는 로그인 방식을 통해 사용자 구분을 하고 있다. 로그인 방식은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통해 사용자를 구분하는 방식이고, 스마트 카드 방식은 셋탑박스에 삽입된 스마트 카드를 읽어 사용자를 구분하는 방식이다.
로그인 방식은 사용자가 자신의 ID와 자신의 ID가 맞는지를 검사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일일이 입력해야하므로 불편하고, 입력된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에 대응된 사용자 한명밖에 인식하지 못한다. 또한, 스마트 카드 방식은 사용자가 자신 의 스마트 카드를 셋탑박스에 삽입해야만 하므로 불편하고, 삽입된 스마트 카드에 대응된 사용자 한명밖에 인식하지 못한다.
따라서 현재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는 셋탑박스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다수인 경우에도 한번에 단 한명의 사용자만을 인식할 수 있을 뿐 다수의 사용자를 한번에 모두 인식할 수 없고 다수의 사용자 각각을 구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다수의 사용자를 한번에 인식하고, 다수의 사용자들 각각을 구분할 수 있는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셋탑박스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다수의 사용자를 각각 구분하여 인식하고, 각각의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있어서, 각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사용자 고유의 태그 ID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태그 ID를 무선신호로 송출하는 다수의 RFID 태그들; 상기 각 사용자의 태그 ID와 상기 각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서비스 내용에 해당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설정 정보에 따라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송출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RFID 태그들로부터 태그 ID를 수신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를 인식하고 상기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적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탑박스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셋탑박스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방송 서비스 내용에 해당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 입력 시, 상기 입력된 사용자 설정 정보에 해당하는 태그 ID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태그 ID와 상기 입력된 사용자 설정 정보를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제1 단계와, 방송 서비스 제공 요구 시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태그 ID를 인식하고,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인식된 태그 ID에 대응된 사용자 설정 정보에 따라 생성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수신한 후 수신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적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 사용자의 태그 ID와 상기 소정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내용에 해당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셋탑박스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원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태그 ID가 수신되면 수신된 태그 ID에 해당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방송 설정 데 이터를 상기 셋탑박스 전송하여 상기 셋탑박스가 상기 방송 설정 데이터에 따라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별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별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RFID 태그(100), 셋탑박스(200), TV(300), 인터넷망(400), 사용자데이터베이스(500),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600)를 포함한다.
RFID 태그(100)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고유의 태그 ID(Tag Identification)를 저장하고, 외부 전파신호에 따라 저장된 사용자 고유의 태그 ID를 무선신호로 출력한다. 이러한 RFID 태그(100)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액티브(active) 방식 또는 패시브(passive)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액티브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RFID 태그(100)는 내장된 배터리를 내장하고,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미리 저장된 사용자 고유의 태그 ID를 출력한다. 이러한 액티브 방식의 RFID 태그(100)는 인식거리가 길지만, 배터리를 내장해야하므로 크기가 커지고 비용도 많이 들며 수명이 짧아진다. 또한 패시브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RFID 태그(100)는 별도의 외부 전원 소스 없이 외 부 전파신호에 따라 스스로 전원을 생성하여 미리 저장된 사용자 고유 태그 ID를 출력한다. 이러한 패시브 방식의 RFID 태그는 액티브 방식에 비해 인식거리가 짧고 외부 전파신호를 필요로 하지만, 훨씬 가볍고 저렴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RFID 태그(100)가 패시브 방식으로 구현된 경우를 일예를 들어 설명한다. RFID 태그(100)는 패시브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태그 메모리, 안테나, 리더로 구성될 수 있다. 태그 메모리는 데이터 세트로 프로그램된 사용자 고유의 태그 ID를 저장한다. 안테나는 외부 전파신호에 따라 전자기장을 생성하고, 자신에 의해 생성된 전자기장을 통해 리더를 활성화시킨다. 리더는 활성화되면 태그 메모리 속의 사용자 고유의 태그 ID를 안테나를 통해 무선신호로 출력한다.
셋탑박스(200)는 본 발명의 실시 따라 사용자들 각각의 RFID 태그(100)로부터 태그 ID를 읽어 적어도 한명 이상의 현재 셋탑박스(200)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셋탑박스(200)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2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셋탑박스(200)는 제어부(202), 사용자 입력부(204), RFID 리더부(20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8), 메모리(210), MPEG 디코더(212), 비디오 신호 출력부(214), 오디오 신호 출력부(216)를 포함한다.
제어부(20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2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202)는 사용자별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설정 정보 입력에 따라 태그 ID를 통해 현재 셋탑박스(200) 사용자들을 인식하고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500)에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설정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 설정 정보는 예컨대 자신의 선호채널, 자신의 관심분야, 예약할 프로그램 등과 같이 사용자를 구분하여 사용자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2)는 사용자별 방송 서비스 제공 요구 입력에 따라 태그 ID를 통해 현재 셋탑박스(200) 사용자들을 인식하여 현재 사용자의 사용자 설정 정보에 따른 방송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적용하여 사용자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사용자 입력부(204)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된 입력 신호를 제어부(202)로 출력한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204)는 리모콘 또는 키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설정 정보 입력 신호 또는 사용자에 의한 방송 서비스 제공 요구 입력 신호를 제어부(202)로 출력한다.
RFID 리더부(206)는 제어부(202)의 제어 하에 사용자들 각각의 RFID 태그(100)로부터 태그 ID를 읽기 위한 RF 신호를 발생하고, RF 신호에 의해 RFID 태그(100)으로부터 출력되는 무선신호의 태그 ID를 수신하여 제어부(202)로 전달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8)는 전화라인 혹은 광케이블과 같은 전달매체를 통해 인터넷망(400)과 연결된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500)와 연결되며, 셋탑박스(200)와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500)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8)는 제어부(202)의 제어 하에 RFID 리더부(206)에 의해 읽혀진 사용자 각각의 태그 ID를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500)로 전송하고,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500)로부터 제공되는 MPEG 데이터 스트림형태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
메모리(210)는 제어부(202)에서 실행되는 각종 제어 프로그램과 사용자별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메모리(2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8)를 통해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저장한다.
MPEG 디코더(212)는 제어부(202)에 의해 제어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8)를 통해 수신된 방송 데이터스트림 즉, MPEG 데이터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로 출력한다. 비디오 신호 출력부(214)는 MPEG 디코더(212)에서 처리된 디지털 형태의 비디오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여 TV(300)로 출력한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부(216)는 MPEG 디코더(212)에서 처리된 디지털 오디오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여 TV(300)로 출력한다.
TV(300)는 셋탑박스(200)의 비디오 신호 출력부(214)로부터 출력된 비디오신호를 입력받아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고, 오디오 신호 출력부(216)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으로 출력한다.
인터넷망(400)은 셋탑박스(200)와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500)간의 데이터 송수신 경로를 제공한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500)는 사용자별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등록된 태그 ID와 태그 ID에 해당하는 사용자와 사용자 각각이 제공받기를 원하는 방송 서비스 내용인 사용자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600)는 셋탑박스(200)로부터 사용자 설정 정보 입력 또는 변경을 위한 태그 ID와 사용자 설정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500)에 수신된 태그 ID에 해당하는 저장영역에 수신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600)는 셋탑박스(200)로부터 사용자별 방송 서비스 제공 요구를 위한 태그 ID가 수신되면 태그 ID에 해당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에 대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셋탑박스(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셋탑박스(200)는 사용자 설정 정보에 따른 방송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적용하여 사용자 각각에게 차별화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별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셋탑박스(200)는 사용자 각각에게 차별화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600)에 전송한다. 그러면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60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500)에 사용자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200)에서 사용자별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설정 정보 입력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600)에서 사용자 설정 정보 저장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셋탑박스(200)는 302단계에서 사용자 입력부(204)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별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설정 정보 예컨대, 사용자의 선호채널, 관심분야, 예약할 프로그램 등을 입력받는다. 이와 같이 사용자별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설정 정보가 입력되면 셋탑박스(200)는 304단계에서 RFID 리더부(206)를 통해 현재 셋탑박스(200)를 사용하는 사 용자들의 RFID 태그(100)로부터 태그 ID를 읽어 적어도 한명 이상의 현재 셋탑박스 사용자를 인식한다.
그리고 셋탑박스(200)는 306단계에서 현재 셋탑박스 사용자의 인원을 판단한다. 셋탑박스(200)는 사용자 인원 판단 결과 만약 사용자가 한명이면 308단계에서 상기 인식된 현재 사용자의 태그 ID와 입력받은 사용자 설정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8)를 통해 인터넷망(400)과 연결된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600)로 전송한다. 또한 셋탑박스(200)는 사용자 인원 판단 결과 사용자가 한명을 넘으면 310단계에서 현재 사용자들의 태그 ID들 중 외부 선택 신호에 따라 특정 태그 ID를 선택한다. 그리고 셋탑박스(200)는 312단계에서 선택된 태그 ID와 입력받은 사용자 설정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8)를 통해 인터넷망(400)과 연결된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600)로 전송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면,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600)는 402단계에서 사용자 설정 정보 입력 또는 변경을 위해 셋탑박스(200)로부터 전송된 태그 ID와 사용자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404단계로 진행한다.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600)는 404단계에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된 사용자들 중 수신된 태그 ID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검색한다. 그리고 나서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600)는 406단계에서 검색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 저장 영역에 셋탑박스(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된 내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500)에 태그 ID 'XXXX'에 해당하는 사용자 '김영호'와 사용자 '김영호'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인'선호 채널', '관심분야', '예약 프로그램'이 저장된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셋탑박스 사용자 각각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별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방송 서비스 제공 요구 입력이 있으면 저장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적용하여 사용자별로 차별화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설정 정보를 적용하여 사용자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셋탑박스(200)는 602단계에서 사용자 입력부(204)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별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요구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와 같이 사용자별 방송 서비스를 제공 요구 신호가 입력되면 셋탑박스(200)는 604단계에서 RFID 리더부(206)를 통해 현재 셋탑박스(200)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RFID 태그(100)로부터 태그 ID를 읽는다. 이 단계를 통해 셋탑박스(200)는 현재 세탑박스(200)를 사용하는 적어도 한명 이상의 사용자들 각각을 인식할 수 있다.
셋탑박스(200)는 현재 사용자들 모두의 태그 ID들을 각각 읽고 나서, 606단계에서 현재 셋탑박스 사용자의 인원을 판단한다. 셋탑박스(200)는 만약 사용자 인원이 한명이면 608단계에서 사용자별 서비스를 제공받기 원하는 한명의 현재 사용자 태그 ID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8)를 통해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600)로 전송한다. 그러면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60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500)에서 셋탑박스(200)로부터 전송된 태그 ID에 해당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를 읽어와서 현재 사용자에 대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셋탑박스(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셋탑박스(200)는 610단계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600)로부터 현재 사용자의 사용자 설정 정보에 대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622단계로 진행한다.
또한, 셋탑박스(200)는 만약 사용자 인원이 한명 초과이면 612단계에서 현재 사용자들의 사용자 설정 정보를 모두 적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지, 현재 사용자들 중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설정 정보만을 적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지 선택받는다. 만약 셋탑박스(200)는 사용자 입력부(204)를 통해 현재 사용자들의 사용자 설정 정보를 모두 적용하도록 선택받으면 61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사용자들 모두의 태그 ID들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8)를 통해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600)로 전송한다.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60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500)에서 셋탑박스(200)로부터 전송된 다수의 태그 ID들에 해당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들을 모두 읽어와서 조합하고 조합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셋탑박스(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셋탑박스(200)는 616단계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600)로부터 현재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조합하여 구성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622단계로 진행한다.
또한, 셋탑박스(200)는 현재 사용자들 중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설정 정보만을 적용하도록 선택받으면 618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사용자들 모두의 태그 ID들 중 특정 사용자에 대한 태그 ID를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600)로 전송한다. 그러면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60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500)에서 특정 사용자의 태그 ID에 해당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를 읽어와서 현재 사용자들 중 특정 사용자의 설정 정보에 대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셋탑박스(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셋탑박스(200)는 620단계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600)로부터 현재 사용자들 중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설정 정보에 대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62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600)로부터 방송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나서 셋탑박스(200)는 622단계에서 수신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적용하여 사용자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다수의 사용자들을 각각 인식하고 구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선호채널, 관심분야, 예약 채널등과 같은 사용자 설정 정보에 따라 방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별로 차별화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다수의 사용자들을 각각 인식 및 구 분할 수 있으므로 방송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별 방송 서비스 사용 현황을 집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8)

  1. 다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있어서,
    각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사용자 고유의 태그 ID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태그 ID를 무선신호로 송출하는 다수의 RFID 태그들;
    상기 각 사용자의 태그 ID와 상기 각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서비스 내용에 해당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설정 정보에 따라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송출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RFID 태그들로부터 태그 ID를 수신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를 인식하고 상기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적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탑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설정 정보는 사용자의 선호채널, 사용자의 관심분야, 사용자의 예약 프로그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전파를 송출하고, 송출한 전파에 의해 상기 RFID 태그들로부터 무선신호로 송출되는 태그 ID를 수신하는 RFID 리더부;
    상기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설정 정보에 따라 생성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RFID 리더부에 수신된 태그 ID를 통해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를 인식하고, 상기 네트워크부를 통해 수신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적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셋탑박스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방송 서비스 내용에 해당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 입력 시, 상기 입력된 사용자 설정 정보에 해당하는 RFID 태그 ID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RFID 태그 ID와 상기 입력된 사용자 설정 정보를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제1 단계와,
    방송 서비스 제공 요구 시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RFID 태그 ID를 인식하고,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인식된 RFID 태그 ID에 대응된 사용자 설정 정보에 따라 생성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수신한 후 수신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적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설정 정보는 사용자의 선호채널, 사용자의 관심분야, 사용자의 예약 프로그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소정 사용자의 원하는 방송 서비스 내용에 해당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가 입력되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적어도 한명 이상의 RFID 태그 ID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인원을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원이 한명이면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RFID 태그 ID와 상기 입력된 사용자 설정 정보가 대응 저장되도록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원이 한명 초과이면 상기 인식된 사용자들의 RFID 태그 ID들 중 특정 RFID 태그 ID를 선택한 후 선택된 RFID 태그 ID와 상기 입력된 사용자 설정 정보가 대응 저장되도록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소정 사용자에 의한 방송 서비스 제공 요구 신호가 입력되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적어도 한명 이상의 사용자의 RFID 태그 ID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인원을 판단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원이 한명이면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한명의 사용자의 RFID 태그 ID에 대응된 사용자 설정 정보에 따라 생성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적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7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원이 한명 초과이면 상기 사용자들의 사용자 설정 정보를 모두 적용할지, 상기 사용자들 중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설정 정보만을 적용할지 선택받는 제8 단계와,
    상기 사용자들의 사용자 설정 정보를 모두 적용하도록 선택받으면 상기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들 모두의 사용자 설정 정보를 조합하여 생성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적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9 단계와,
    상기 사용자들 중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설정 정보만을 적용하도록 선택받으면 상기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설정 정보에 따라 생성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적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0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 사용자의 RFID 태그 ID와 상기 소정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내용에 해당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셋탑박스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원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RFID 태그 ID가 수신되면 수신된 RFID 태그 ID에 해당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방송 설정 데이터를 상기 셋탑박스 전송하여 상기 셋탑박스가 상기 방송 설정 데이터에 따라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0060301A 2004-07-30 2004-07-30 Rfid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06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301A KR100606007B1 (ko) 2004-07-30 2004-07-30 Rfid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301A KR100606007B1 (ko) 2004-07-30 2004-07-30 Rfid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450A KR20060011450A (ko) 2006-02-03
KR100606007B1 true KR100606007B1 (ko) 2006-07-28

Family

ID=3712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301A KR100606007B1 (ko) 2004-07-30 2004-07-30 Rfid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60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376B1 (ko) 2010-03-19 2012-02-22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셋톱박스, 무선 단말 및 셋톱박스 인증 방법
KR101298587B1 (ko) * 2007-06-11 2013-08-22 주식회사 케이티 Rfid 기반 기술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361B1 (ko) * 2004-12-28 2010-10-08 주식회사 케이티 리더/라이터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미디어 서비스 방법
KR100714098B1 (ko) * 2005-06-24 2007-05-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태그 방송 시스템 및 전자태그를 이용한 방송 방법
US7609162B2 (en) 2005-10-10 2009-10-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obile RFID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0652023B1 (ko) * 2005-10-10 2006-12-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등급별 차별화 서비스가 가능한 모바일 rfid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737856B1 (ko) * 2005-11-22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Rfid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별 방송환경 설정방법 및이를 적용한 방송재생장치
KR100860641B1 (ko) * 2006-09-18 2008-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948034B1 (ko) * 2008-02-28 2010-03-19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 태그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통하여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988A (ko) * 2000-06-20 2002-04-04 요트.게.아. 롤페즈 토큰에 기초하는 스마트 어플라이언스들의 개인화
KR20020071198A (ko) * 2001-03-05 2002-09-12 엘지전자주식회사 인터넷 티브이의 사용자 정보 생성방법
KR20030062157A (ko) * 2002-01-16 2003-07-2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디지털 텔레비전의 개인 프로파일을 이용한 사용자 관리및 결재방법
KR20030077513A (ko) * 2003-09-15 2003-10-01 김정민 스마트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및 방법
US20040268132A1 (en) 2003-06-30 2004-12-30 Nokia Corporati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based network access management
KR20050024377A (ko) * 2002-06-26 2005-03-10 노키아 코포레이션 무선 주파수 식별을 이용하여 무선 장치들을 통한 네트웍접속을 일으키는 시스템, 기기,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988A (ko) * 2000-06-20 2002-04-04 요트.게.아. 롤페즈 토큰에 기초하는 스마트 어플라이언스들의 개인화
KR20020071198A (ko) * 2001-03-05 2002-09-12 엘지전자주식회사 인터넷 티브이의 사용자 정보 생성방법
KR20030062157A (ko) * 2002-01-16 2003-07-2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디지털 텔레비전의 개인 프로파일을 이용한 사용자 관리및 결재방법
KR20050024377A (ko) * 2002-06-26 2005-03-10 노키아 코포레이션 무선 주파수 식별을 이용하여 무선 장치들을 통한 네트웍접속을 일으키는 시스템, 기기, 및 방법
US20040268132A1 (en) 2003-06-30 2004-12-30 Nokia Corporati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based network access management
KR20030077513A (ko) * 2003-09-15 2003-10-01 김정민 스마트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587B1 (ko) * 2007-06-11 2013-08-22 주식회사 케이티 Rfid 기반 기술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KR101113376B1 (ko) 2010-03-19 2012-02-22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셋톱박스, 무선 단말 및 셋톱박스 인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450A (ko) 200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4546B1 (en) Method of transmitting data from a receiver to a mobile device
US94140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facing content between devices
US8214859B2 (en) Automatic switching between high definition and standard definition IP television signals
US20110119715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CN104954820A (zh) 节目的推荐方法及装置
US20070214475A1 (en) Viewing/listening restri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broadcast
KR100617309B1 (ko) Epg 제공 장치 및 그 방법과 epg를 제공받는 단말기및 epg 표시방법
KR20070016301A (ko) 모바일 쿠폰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1063819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06007B1 (ko) Rfid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402155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media content to wireless electronic device
KR20070035327A (ko) 양방향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장치 및 그방법
US9351018B2 (en) Method for receiving viewing-restricted channel
CN102124761A (zh) 在通用用户标识模块解锁环境下保留广播信息的系统及其方法
JP5672377B2 (ja) ポータブル電子システムで使用する、興味あるビデオを識別するための装置、システムならびに方法
KR100912047B1 (ko) 디지털방송수신기에서의 방송안내데이터 디코딩 방법 및장치
US2017028963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90064261A1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formation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40083485A1 (en) Viewer data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a direct broadcast satellite television network
KR100640077B1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서비스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70174867A1 (en) Computer controlled system for enabling the owner/host of a television set to limit the access of designated viewers to television programs
KR20140099983A (ko) 리다이렉트를 이용한 광고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030056935A (ko) 데이터방송의 데이터컨텐츠 전송장치 및 그 방법
KR20090103701A (ko) 인터넷 방송 시스템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US11546671B2 (en) Providing promotion cha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